KR102652175B1 - 폼롤러 - Google Patents

폼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175B1
KR102652175B1 KR1020210168673A KR20210168673A KR102652175B1 KR 102652175 B1 KR102652175 B1 KR 102652175B1 KR 1020210168673 A KR1020210168673 A KR 1020210168673A KR 20210168673 A KR20210168673 A KR 20210168673A KR 102652175 B1 KR102652175 B1 KR 10265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member
foam roller
unit block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2302A (ko
Inventor
유원규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6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원통 형상의 몸체블럭부; 및 상기 몸체블럭부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는 챔버를 구비하는 유체블럭부를 포함하는 폼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폼롤러에 의하면, 복수개의 유체블럭 각각의 압력을 변화시켜 지지면 및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하여 신체부위별 안정화 및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폼롤러에 배치된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좌우 불균형 및 척추간 안정화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폼롤러{Foam Roller}
본 발명은 폼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 마사지 및 유연성 훈련뿐만 아니라 힘 또는 조절을 위한 운동 및 치료분야에서 사용하는 폼롤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사용, 컴퓨터 작업 등으로 인해 현대인들의 자세가 나빠지고 있다. 자세를 바르게 잡기 위해 필라테스나 요가와 같은 운동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필라테스는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하는데 운동기구의 종류로는 폼롤러, 짐볼, 스트레칭 밴드, 서클링 등 다양하다.
이중에서도 폼롤러는 자기근막이완(Self-Myofascial-Release)을 도와주는 운동기구로,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근막을 마사지 해주어 뭉치고 타이트해진 근막을 풀어 근육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운동의 강도나 개인의 이용 목적에 따라 크게 3가지 종류의 폼롤러가 존재한다. 첫 번째로 EVA 폼롤러는 가볍고 부드러운 소재의 스펀지로 입문자에게 적합하며, 다음으로 EPP폼롤러는 무거운 강도와 딱딱한 재질로 고급자를 위한 폼롤러이다. 마지막으로 돌기형 폼롤러의 경우 종아리, 허벅지, 등과 같이 특정 부위를 부분적으로 마사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폼롤러는 기다란 원기둥모양을 하고 있으며 차지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시에 불편한 점이 있으며, 또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은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잘못 실행하게 되면 오히려 몸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몸의 상황에 맞는 폼롤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기존의 폼롤러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경우, 뒷머리의 해부학적 형태에 따라서 목을 굽힌 채 운동하는 경향이 많으며 머리가 땅에 떨어지는 불안감이 있으며, 개인별 척추의 커브에 따라 지지하는 부위와 지지하지 못하는 부위가 있으므로 운동 시 난이도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2525호(발명의 명칭 : 개선된 운동용 롤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유체블럭을 배치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지지할 수 있는 폼롤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원통 형상의 몸체블럭부; 및 상기 몸체블럭부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는 챔버를 구비하는 유체블럭부를 포함하는 폼롤러를 제공한다.
상기 유체블럭부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신체의 지지면 및 높이를 조절하여 체형에 맞도록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폼롤러에 의하면, 반원통 형상의 몸체블럭과, 상기 몸체블럭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내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블럭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위블럭부; 상기 단위블럭부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단위블럭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단위블럭부들을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블럭부는, 머리부위를 지지하는 제1블럭과, 상기 제1블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흉추부위를 지지하는 제2블럭과, 상기 제2블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3블럭과, 상기 제3블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골반부위를 지지하는 제4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위블럭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고정몸체부재와, 상기 고정몸체부재의 타 측면에 배치되고, 타 측면에 인접하는 단위블럭부의 고정몸체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볼몸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부재는, 상기 볼몸체부재를 감싸며, 상기 볼몸체부재가 회전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된 수용몸체와, 상기 단위블럭부와 고정몸체 사이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임너트는, 상기 고정몸체 외주면에서 일 측 및 타 측으로 회전 이동하며, 일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몸체의 공간이 수축되어 상기 볼몸체부재가 고정되고, 타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몸체의 공간이 이완되어 상기 볼몸체부재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내부에 압력감지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압력감지센서가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고, 신체의 좌우 불균형 및 척추간 안정화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압력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단위블럭부는, 외주면에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밴드 또는 포켓 형상의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블럭부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재질 또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폼롤러에 의하면, 복수개의 유체블럭 각각의 압력을 변화시켜 지지면 및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하여 신체부위별 안정화 및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폼롤러에 배치된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좌우 불균형 및 척추간 안정화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폼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폼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폼롤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부터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폼롤러(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폼롤러(100)는, 몸체블럭부(110) 및 유체블럭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블럭부(110)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블럭부(110)는 기존의 폼롤러와 같은 재질인 EVA(Ethylene Vinyl Acetate) 재질 또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유체블럭부(120)는 상기 몸체블럭부(110)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는 챔버(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블럭부(120)는 내부에 압력을 조절하여 신체의 지지면 및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하는 조절부(121)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부(121)는 내부에 압력감지센서(미도시)를 탑재하여, 상기 압력감지센서가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고, 신체의 좌우 불균형 및 척추간 안정화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스마트폰(P)으로 제공하는 압력제어부(121a)가 구비된다.
이하부터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 2 중 도 1과 중복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하 후술하는 내용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폼롤러(200)는, 복수개의 단위블럭부(1000) 및 연결부(13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단위블럭부(1000)는 반원통 형상의 몸체블럭(1100)과, 상기 몸체블럭(11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내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블럭(1200)을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블럭부(1000)는 머리부위를 지지하는 제1블럭(1000a)과, 상기 제1블럭(1000a)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흉추부위를 지지하는 제2블럭(1000b)과, 상기 제2블럭(1000b)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3블럭(1000c)과, 상기 제3블럭(1000c)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골반부위를 지지하는 제4블럭(1000d)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단위블럭부(1000)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단위블럭부(10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단위블럭부(1000)들을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단위블럭부(1000)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고정몸체부재(1310)와 상기 고정몸체부재(1310)의 타 측면에 배치되고, 타 측면에 입접하는 단위블럭부(1000)의 고정몸체부(1310)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볼몸체부재(132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몸체부재(1310)는 수용몸체(1311), 고정몸체(1312) 및 조임너트(1313)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몸체(1311)는 상기 볼몸체부재(1320)를 감싸며, 상기 볼몸체부재(1320)가 회전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1312)는 상기 단위블럭부(1000)와 고정몸체(1311) 사이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1313)는 상기 고정몸체(131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너트(1313)는 상기 고정몸체(1312) 외주면에서 일 측 및 타 측으로 회전 이동하며, 일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몸체(1311)의 공간이 수축되어 상기 볼몸체부재(1320)가 고정되고, 타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몸체(1311)의 공간이 이완되어 상기 볼몸체부재(1320)가 회전하게 된다.
이하부터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 3 중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중복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하 후술하는 내용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폼롤러(300)의 상기 각 단위블럭부(1000)는, 외주면에 스마트폰(P)을 수용하는 밴드 또는 포켓 형상의 수용부(14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1400)에 상기 스마트폰(P)이 삽입된 상태에서 운동 시 상기 스마트폰(P)의 가속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폼롤러(300)의 신체의 좌우 불균형 및 척추간 안정화 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100, 200, 300 : 폼롤러
110 : 몸체블럭부 120 : 유체블럭부
121, 1210 : 조절부 121a, 1210a : 압력제어부
1000 : 단위블럭부 1000a : 제1블럭
1000b : 제2블럭 1000c : 제3블럭
1000d : 제4블럭 1100 : 몸체블럭
1200 : 유체블럭 1300 : 연결부
1310 : 고정몸체부재 1311 : 수용몸체
1312 : 고정몸체 1313 : 조임너트
1320 : 볼몸체부재 1400 : 수용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반원통 형상의 몸체블럭과, 상기 몸체블럭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내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블럭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위블럭부;
    상기 단위블럭부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단위블럭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단위블럭부들을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위블럭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고정몸체부재와, 상기 고정몸체부재의 타 측면에 배치되고, 타 측면에 인접하는 단위블럭부의 고정몸체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볼몸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몸체부재는, 상기 볼몸체부재를 감싸며, 상기 볼몸체부재가 회전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된 수용몸체와, 상기 단위블럭부와 고정몸체 사이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폼롤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부는, 머리부위를 지지하는 제1블럭과, 상기 제1블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흉추부위를 지지하는 제2블럭과, 상기 제2블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3블럭과, 상기 제3블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골반부위를 지지하는 제4블럭을 포함하는 폼롤러.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임너트는, 상기 고정몸체 외주면에서 일 측 및 타 측으로 회전 이동하며, 일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몸체의 공간이 수축되어 상기 볼몸체부재가 고정되고, 타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몸체의 공간이 이완되어 상기 볼몸체부재가 회전하는 폼롤러.
  8. 삭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블럭부는, 외주면에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밴드 또는 포켓 형상의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폼롤러.

  10. 삭제
KR1020210168673A 2021-10-29 2021-11-30 폼롤러 KR102652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6526 2021-10-29
KR1020210146526 2021-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302A KR20230062302A (ko) 2023-05-09
KR102652175B1 true KR102652175B1 (ko) 2024-03-29

Family

ID=8640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673A KR102652175B1 (ko) 2021-10-29 2021-11-30 폼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1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0995A1 (en) * 2009-02-13 2011-12-08 Angelo Castiglione Exercise roller
US20130158455A1 (en) * 2011-12-15 2013-06-20 Marika Ruschmeyer Massage Roll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757A (en) * 1995-03-06 1996-11-12 O'sullivan; Dennis C. Body support having hingedly connected semi-cylindrical cushions
KR200456599Y1 (ko) * 2010-03-09 2011-11-08 정기은 척추 받침대
KR102330442B1 (ko) * 2020-02-24 2021-11-24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스마트 교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0995A1 (en) * 2009-02-13 2011-12-08 Angelo Castiglione Exercise roller
US20130158455A1 (en) * 2011-12-15 2013-06-20 Marika Ruschmeyer Massage 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302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276B1 (en) Fitness ball chair
US58335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CN101208137B (zh) 训练器具
US6872175B2 (en) Exercise balance trainer
CA2859722C (en) Dynamic stretching, strengthening and stabilization device for postural correction and retraining
US8678985B2 (en) Balanc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US90443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ervical curvature and for maintaining proper curvature in persons predisposed to develop improper curvature
KR101300822B1 (ko) 복근운동 보조기구
US20070087902A1 (en) Device to carry out physical exercise
US20150257962A1 (en) Hands-free ball massage device
KR20210071299A (ko) 조립식 통합형 폼롤러
US20030224914A1 (en) Flexible multiple-positional net-like strap assembly/resilient shape configurations
KR102652175B1 (ko) 폼롤러
US20050159279A1 (en) Body support for exercising and stretching
CN215275654U (zh) 瑜伽砖结构
US20080064580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exercise using the same
KR200311329Y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US20240130926A1 (en) Muscle fitness relaxation device
CN110124257B (zh) 便携式多功能健身器材
KR102570514B1 (ko) 마사지 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운동기구
JP3241135U (ja) 腰痛対策用のクッション及び携帯クッション
CN209347580U (zh) 一种腰部按摩器
GB2565866B (en) An orthopaedic device
WO1994000201A1 (en) The flat stomach machine
JP2022018169A (ja) スクワット運動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