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017B1 - 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017B1
KR102652017B1 KR1020220115365A KR20220115365A KR102652017B1 KR 102652017 B1 KR102652017 B1 KR 102652017B1 KR 1020220115365 A KR1020220115365 A KR 1020220115365A KR 20220115365 A KR20220115365 A KR 20220115365A KR 102652017 B1 KR102652017 B1 KR 102652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support
loading box
ai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37398A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102022011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017B1/en
Publication of KR2024003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3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33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characterised by regulating means acting on more than one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08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details, e.g. antifreeze for suspension fluid, pumps, retarding means per 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6Mounting of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4Type of interconnection using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50Pressure
    • B60G2400/51Pressure in suspension unit
    • B60G2400/512Pressure in suspension unit in spring
    • B60G2400/5122Fluid spring
    • B60G2400/51222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을 완충 및 지지하고,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을 다중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지지 및 완충의 구성에 고장이 발생되어 기능을 상실한 경우 다른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이 대신하여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불필요하게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차량의 안정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는 제1 탑재부;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탑재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2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제2 탑재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메인 지지부 대신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which buffers and supports the cargo box of a vehicle such as a truck, and applies multiple support and buffer configurations in a complex manner to prevent the function from occurring due to a failure in any one of the support and buffer configurations. In case of loss, other support and buffering configurations take over to support and buffer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loading box,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and drivability of the vehicle, such as preventing situations in which the vehicle must stop unnecessarily. The purpose is to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installed in a loading box of a vehicle or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loading box; At least one second mounting part is installed on the loading box or support mean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first mounting part; a main support part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unit, expanded by air being injected into the interior, and supporting the loading box or supporting means while bringing the second mounting un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ading box or supporting means; and a spare support part that is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part and receives air when air flows out of the main support part and expands to support the loading box or support means instead of the main support part.

Description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vehicles {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과 같은 차량에 구비된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다중 복합적으로 지지 및 완충할 수 있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supporting and buffering loads transmitted from a loading box provided in a vehicle such as a truck.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에는 많은 양의 적재물을 적재하고 있다.Generally, a large amount of cargo is loaded into the cargo truck's cargo box.

이러한 화물차의 적재함에는 노면진동을 차단하기 위해 판 스프링이 설치된다.Leaf springs are installed in the loading boxes of these trucks to block road vibration.

판스프링은 화물차 등의 차량 프레임 후륜 측에 설치된다.Leaf springs are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ide of vehicle frames such as trucks.

판스프링은 후륜 뒤 부분의 길이를 길게 만들며 강철 재질로 만들어서 스프링으로 사용된다.Leaf springs lengthen the area behind the rear wheel and are made of steel and used as springs.

한편, 산업 사회의 발달로 도자기운반, 예술품 운반, 종우 또는 종돈의 운반, 계란 또는 살아있는 어류의 운반, 판유리 운반 등 차량의 강한 진동에 취약한 화물의 취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 진동에 취약한 화물의 운송에 적합한 방진 차량들이 산업 분야별로 제공되고 못하고 있다.Meanwhile,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 handling of cargo vulnerable to strong vibrations from vehicles, such as transporting ceramics, transporting art works, transporting cattle or pigs, transporting eggs or live fish, transporting plate glas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Dust-proof vehicles suitable for transportation are not provided by industry.

이와 같이 취급이 조심스러운 화물들은 통상의 트럭에 탑재하고 서행을 하든지 매우 조심하여 운전하게 된다.Cargoes that require careful handling like this are loaded onto regular trucks and driven slowly or with extreme caution.

아울러, 차량의 적재함에는 많은 양의 적재물을 적재하여 운반하게 되는바, 종래에는 판 스프링 대신 에어 서스펜션을 설치하기도 한다.In addition, since a large amount of cargo is loaded and transported in the cargo box of a vehicle, air suspension is conventionally installed instead of leaf springs.

에어 서스펜션은 차체와 차축 사이에 판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과 쇽 업소버 결합체를 장착하여 이들 탄성체의 종합된 탄성 특성으로 노면진동을 차단하고,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 및 지지하는 장치이다.Air suspension is a device that installs a combination of leaf springs, air springs, and shock absorbers between the car body and the axle to block road vibration using the combined elastic properties of these elastic bodies, and cushions and support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cargo box.

상기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는 탄성 강도가 큰 금속 판 스프링 탄성과 탄성진폭이 큰 에어 탄성을 조합하기 위해 설정된 공기압을 에어 스프링에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고가의 차량에 채용되고 있다.The air suspension device described above is a device that includes a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that supplies air pressure set to the air spring to combine the elasticity of a metal leaf spring with high elastic strength and the air elasticity with a large elastic amplitude, and is used in expensive vehicles.

그러나, 종래에는 에어 서스펜션을 하나로만 적용하고 있는 바, 에어 서스펜션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에어 서스펜션이 터져 에어가 유출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However, conventionally, only one air suspension is applied, and when the air suspension is used for a long time, the air suspension bursts and air leaks frequently occur.

그리고, 에어 서스펜션이 터지는 경우 차량과 적재물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새로운 에어 서스펜션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suspension burs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must be stopped and replaced with a new air suspension to protect the vehicle and cargo.

이러한 경우, 에어 서스펜션을 교체하기 전까지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며, 결국 지정된 시간 안에 적재물을 운반(배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vehicle's operation is stopped until the air suspension is replaced, which ultimately leads to the problem that the load cannot be transported (delivered) within the specified tim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207Registered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3162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을 완충 및 지지하고,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을 다중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지지 및 완충의 구성에 고장이 발생되어 기능을 상실한 경우 다른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이 대신하여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불필요하게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차량의 안정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cushions and supports the loading box of a vehicle such as a truck, and applies multiple support and buffering configurations in a complex manner, so that it can be used in any one support and buffering configuration. When a malfunction occurs and the function is lost, other support and buffering components take over to support and buffer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loading box, preventing the vehicle from having to stop running unnecessarily,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vehic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shock system for vehicles that can improve drivability.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는 제1 탑재부;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탑재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2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제2 탑재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메인 지지부 대신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한다.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installed in a loading box of a vehicle or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loading box; At least one second mounting part is installed on the loading box or support mean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first mounting part; a main support part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unit, expanded by air being injected into the interior, and supporting the loading box or supporting means while bringing the second mounting un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ading box or supporting means; and a spare support part that is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part and receives air when air flows out of the main support part and expands to support the loading box or support means instead of the main support par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되, 외력이 인가될 시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1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의 상면에 설치되되, 외력이 인가될 시 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2 탑재부;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제1 탑재부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제2 탑재부는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메인 지지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한다.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a loading compartment of a vehicle or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loading compartment, and capable of rotating downwar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second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capable of rotating upwar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main support portion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expanded by air being injected into the interior to support the loading box or support means; and is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part, and when air flows out of the main support part, it receives air and expands, causing the first mounting part to rotate downward, and rotating the second mounting part upward to make the main support part It includes a spare support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ading box or support means.

그리고, 스페어 지지부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 상기 제2 탑재부가 상기 스페어 지지부에 의해 밀려 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제2 탑재부를 지지한다.Then, when the spare support part is expanded by air injection, the second mounting part is pushed by the spare support part and rotated downward, and the main support part supports the second mounting part in a contracted stat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상기 메인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 내의 공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압센서; 및 상기 공압센서에서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일 경우 상기 스페어 지지부의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neumatic sensor installed on the main support part and measuring the air pressure in the main support part in real tim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ir to be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unit whe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neumatic sensor is lower than a preset pressur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을 메인 지지부로 완충 지지하고, 메인 지지부에 고장이 발생되어 기능을 상실할 경우 스페어 지지부가 즉시 작동하여 적재함을 완충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불필요하게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차량의 안정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ushions and supports the cargo box of a vehicle, such as a truck, with a main support part, and when the main support part malfunctions and loses its function, the spare support part immediately operates to cushion and support the cargo box,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and drivability of the vehicle, such as preventing situations where driving must be stopped unnecessari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이 적재함의 후륜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스페어 지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이 적재함의 후륜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스페어 지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ide of a loading box.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pare support applied to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ide of a loading box.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pare support applied to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components applied to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imilar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이 적재함의 후륜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스페어 지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ide of a loading box.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pare support applied to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ir connection relationship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1)은, 트럭과 같은 차량에 구비된 적재함(2)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완충하고,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을 다중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지지 및 완충의 구성에 고장이 발생되어 기능을 상실한 경우 다른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이 대신하여 적재함(2)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불필요하게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차량의 안정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nd buffer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loading box 2 provided in a vehicle such as a truck, and applies multiple and complex configurations of support and buffering, If one of the support and buffering components fails and loses its function, another support and buffering component takes over and supports and buffer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loading box (2), resulting in a situation where the vehicle's driving must be stopped unnecessarily. This is a product that can improve the stability and drivability of vehicles by preventing them from occurring.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1)은, 제1 탑재부(110)와, 제2 탑재부(120)와, 메인 지지부(130)와, 스페어 지지부(140)와, 공압센서(S)와, 에어펌프(P) 및 제어부(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part 110, a second mounting part 120, a main support part 130, a spare support part 140, and a pneumatic sens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 an air pump (P), and a control unit (C).

제1 탑재부(110)는 차량의 적재함(2) 또는 적재함(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3)에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first mounting unit 110 is installed on the loading box 2 of the vehicle or the support means 3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2.

도면에는 제1 탑재부(110)가 지지수단(3)에 제1 브라켓(4)을 매개로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mounting unit 11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ans 3 via the first bracket 4.

이때, 지지수단(3)은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빔이나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ans 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eam or bar having a certain length and thickness.

제1 탑재부(110)는 그 일단이 지지수단(3)에 마련된 제1 브라켓(4)에 부싱(B1)을 통해 결합되며, 대략 수평을 이루는 제1 부재(111)와, 제1 부재(111)의 타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부재(212)(112) 및 제2 부재(212)(11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재(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110 has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4 provided on the support means 3 through a bushing B1, and includes a first member 111 that is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a first member 111. ) At least one of the second members 212 (112) extending in a downward bent form from the other end and the third member (11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members (212) (112) It may include more.

제3 부재(113)는 차량의 후륜(뒤 타이어) 측에 배치되며, 제3 부재(113)의 상면에 후술되는 메인 지지부(130)가 설치된다.The third member 113 is disposed on the rear wheel (rear tire) side of the vehicle, and a main support portion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member 113.

제2 탑재부(120)는 그 일단이 지지수단(3)에 마련된 제2 브라켓(5)에 부싱(B2)를 통해 결합되며, 대략 수평을 이루는 제1 부재(121)와, 제1 부재(121)의 타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부재(122) 및 제2 부재(12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재(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120 has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5 provided on the support means 3 through a bushing B2, and includes a first member 121 that is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a first member 121.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member 122 extending in a downward bent form from the other end and a third member 12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member 122. .

제2 탑재부(120)의 제3 부재(123)는 제1 탑재부(110)의 제3 부재(113) 및 메인 지지부(130)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 상면에 후술되는 스페어 지지부(140)가 설치된다.The third member 123 of the second mounting unit 120 is disposed behind the third member 113 of the first mounting unit 110 and the main support unit 130, and has a spare support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its upper surface. It is installed.

이때, 제1 탑재부(110)의 제1 부재(111)는 회동되지 아니하도록 제1 브라켓(4)에 고정되며,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될 시에만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2 브라켓(5)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member 111 of the first mounting unit 110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4 so as not to rotate, and the first member 121 of the second mounting unit 120 is subject to an external force of a certain level or more. It is installed on the second bracket (5) so that it can be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nly.

그리고, 제2 탑재부(120)는 제1 탑재부(11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수단(3)에 설치된다.And, the second mounting unit 12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ans 3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unting unit 1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메인 지지부(130)는 제1 탑재부(110)의 제3 부재(113)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 저면을 지지한다.The main support part 130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21 of the second mounting part 120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member 113 of the first mounting part 110.

메인 지지부(130)는 에어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support portion 130 may be formed of an air spring.

후술되는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13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한다.An air pump (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jects air into the main support portion 130.

메인 지지부(130)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된다.The main support portion 130 is expanded by air being injected into the main support portion 130.

메인 지지부(130)는 일정한 부피로 팽창된 상태에서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를 지지수단(3)의 저면에 밀착시키면서 지지수단(3) 및 적재함(2)의 하중을 완충하면서 지지하게 된다.The main support part 130, in a state expanded to a certain volume, adheres the first member 121 of the second mounting part 12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3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support means 3 and the loading box 2. It provides cushioning and support.

메인 지지부(130)를 통해 차량의 후륜측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및 감소시켜 차량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It absorbs and reduces shock and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through the main support portion 130, allowing the vehicle to drive while maintaining a stable structure.

스페어 지지부(140)는 제2 탑재부(120)의 제3 부재(123) 상면에 설치된다.The spare support part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member 123 of the second mounting part 120.

스페어 지지부(140)의 상측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판부 및 원판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지지수단의 저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연결부(141)가 결합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spare support portion 140, a disk portion formed in a disk shape and a connection portion 141 including a pair of coupling units bent upward from both edges of the disk portion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means are coupled.

스페어 지지부(140)는 에어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are support portion 140 may be formed of an air spring.

스페어 지지부(140)는 메인 지지부(130)에서 에어가 유출될 경우 작동하여 지지수단(3)을 대신 지지한다.The spare support part 140 operates when air leaks from the main support part 130 to support the support means 3 instead.

에어펌프(P)는 적재함(2)이나 지지수단(3)에 설치될 수 있다.The air pump (P) can be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2) or the support means (3).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130) 및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게 된다.The air pump (P) injects air into the main support part 130 and the spare support part 140.

에어펌프(P)는 분기관을 통해 메인 지지부(130) 및 스페어 지지부(140)에 연결된다.The air pump (P) is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part 130 and the spare support part 140 through a branch pipe.

따라서,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130) 및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pump (P) can inject air into the main support part 130 and the spare support part 140.

이때,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130)가 터지거나 이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메인 지지부(13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에어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에만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t this time, the air pump (P) pumps air into the spare support part 140 only when the air filled inside the main support part 130 leaks out due to a burst or abnormality in the main support part 130. programmed to inject.

이를 위해, 공압센서(S)는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C)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To this end, the pneumatic sensor (S) measures the pressure within the main support unit (13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C) in real time.

이때, 공압센서(S)가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since the method by which the pneumatic sensor S measures the pressure within the main support part 130 is a commercialized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어부(C)는 공압센서(S)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을 유지할 경우, 에어펌프(P)를 작동시키지 아니한다.The control unit (C) does not operate the air pump (P) when the pressure within the main support unit 130 transmitted from the pneumatic sensor (S) remains above the preset pressure.

따라서,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는 에어가 주입되지 않는다.Therefore,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part 140.

즉, 스페어 지지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That is, the spare support part 140 maintains the contracted state as shown in FIG. 2.

그러나, 메인 지지부(130)가 적재함(2)의 하중이나, 외력, 기타 다양한 이유에 의해 터질 경우,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은 감소한다.However, when the main support part 130 bursts due to the load of the loading box 2, external force, or various other reasons, the pressure within the main support part 130 decreases.

그리고, 공압센서(S)는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 값을 제어부(C)에 전송한다.And, the pneumatic sensor (S) transmits the pressure value within the main support unit (130) to the control unit (C).

제어부(C)는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질 경우, 에어펌프(P)를 즉시 작동시켜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한다.When the pressure in the main support part 130 becomes lower than the preset pressure, the control unit (C) immediately operates the air pump (P) to inject air into the spare support part 140.

도 3은 스페어 지지부(140)에 에어가 주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스페어 지지부(140)는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메인 지지부(130) 대신 지지수단(3)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air is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part 140. The spare support part 140 is expanded by air injection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support means 3 instead of the main support part 130.

이때, 스페어 지지부(140)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 제2 탑재부(120)가 스페어 지지부(140)에 의해 밀려 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메인 지지부(130)는 수축된 상태로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 저면을 지지해준다.At this time, when the spare support part 140 is expanded by air injection, the second mounting part 120 is pushed by the spare support part 140 and rotated downward, and the main support part 130 is in a contracted state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 It supports the bottom of the first member 121 of 120).

그리고, 메인 지지부(130)는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를 매개로 스페어 지지부(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준다.And, the main support part 130 stably supports the spare support part 140 via the first member 121 of the second mounting part 120.

즉, 메인 지지부(130)에 고장이 발생되어 에어가 유출됨에 따라 적재함(2)을 지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즉시 스페어 지지부(140)가 작동하여 적재함(2)을 대신 안정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차량이 주행을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f a malfunction occurs in the main support unit 130 and the loading box 2 cannot be supported due to air leakage, the spare support unit 140 immediately operates to stably support the loading box 2 instea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must stop driving.

그리고, 메인 지지부(130)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스페어 지지부(140)가 적재함(2)을 대신 지지함에 따라, 차량 및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support part 130, the spare support part 140 supports the loading box 2 instead, thereby protecting the safety of the vehicle and passengers.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이 적재함의 후륜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스페어 지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ide of the cargo box, and Figure 5 is a spare support applied to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uni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1)은, 제1 탑재부(210)와, 제2 탑재부(220)와, 메인 지지부(230)와, 스페어 지지부(240)와, 공압센서(S)와, 에어펌프(P) 및 제어부(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part 210, a second mounting part 220, a main support part 230, a spare support part 240, and a pneumatic sens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 an air pump (P), and a control unit (C).

제1 탑재부(210)는 차량의 적재함(2) 또는 적재함(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3)에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first mounting unit 210 is installed on the loading box 2 of the vehicle or the support means 3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2.

도면에는 제1 탑재부(210)가 지지수단(3)에 제3 브라켓(6)을 매개로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mounting unit 21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ans 3 via a third bracket 6.

제1 탑재부(210)는 그 일단이 제3 브라켓(6)에 부싱(B3)을 통해 결합되며, 대략 수평을 이루는 제1 부재(211)와, 제1 부재(211)의 타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부재(212) 및 제2 부재(21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재(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210 has one end coupled to the third bracket 6 through a bushing (B3), a first member 211 that is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211.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member 212 extending in a bent shape and a third member 21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member 212.

제3 부재(213)는 차량의 후륜 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에는 후술되는 스페어 지지부(240)가 설치된다.The third member 213 is disposed on the rear wheel side of the vehicle, and a spare support portion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its upper surface.

그리고, 제1 탑재부(210)는 재1 부재가 제3 브라켓(6)에 부싱(B3)을 매개로 결합됨으로 인해 외력이 인가될 시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0 may be rotated downwar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ecause the first member is coupled to the third bracket 6 via the bushing B3.

이때, 부싱(B3)은 제1 부재(211)의 일단을 제3 브라켓(6)에 뻑뻑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1 탑재부(210)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4와 같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지 아니한다.At this time, the bushing (B3) rigidly fixes one end of the first member (211) to the third bracket (6). Accordingly, the first mounting unit 210 does not rotate downward as shown in FIG. 4 in normal times when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unit 240.

그러나, 제1 탑재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지지부(240)에 외력이 인가될 시, 즉,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될 경우 부싱(B3)을 축으로 하여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5,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pare support part 240, that is,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part 240, the first mounting part 210 is mounted with the bushing B3 as the axis. It can be rotated downward.

제2 탑재부(220)는 그 일단이 부싱(B4)을 매개로 제1 부재(2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부재(221), 제1 부재(221)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부재(222), 제2 부재(22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3 부재(223), 제3 부재(223)의 끝단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4 부재(224) 및 제4 부재(224)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5 부재(2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unit 220 is a first member 221,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11 via a bushing B4, and is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member 221. A second member 222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member 222, a third member 223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member 222 in a horizontally bent shape, and a shape bent upward from the end of the third member 22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ourth member 224 extending to and a fifth member 225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ourth member 224 in a horizontally bent shape.

이때, 제3 부재(223)의 상면에는 메인 지지부(230)가 설치되고, 제4 부재(224)는 스페어 지지부(240)의 전방에 위치되며, 제5 부재(225)는 스페어 지지부(240)의 상측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main support part 2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member 223, the fourth member 224 is located in front of the spare support part 240, and the fifth member 225 is the spare support part 24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제2 탑재부(220)는 제1 부재(221)가 제1 탑재부(210)의 상면에 부싱(B4)을 매개로 결합됨으로 인해 외력이 인가될 시 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unit 220 may be rotated upwar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ecause the first member 22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unit 210 via the bushing B4.

이때, 부싱(B4)은 제2 탑재부(220)의 제1 부재(221) 일단을 제1 탑재부(210)의 제1 부재(211) 상면에 뻑뻑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2 탑재부(220)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4와 같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지 아니한다.At this time, the bushing B4 rigidly fixes one end of the first member 221 of the second mounting unit 2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11 of the first mounting unit 210. Accordingly, the second mounting unit 220 does not rotate downward as shown in FIG. 4 in normal times when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unit 240.

그러나, 제2 탑재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지지부(240)에 외력이 인가될 시, 즉,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될 경우 부싱(B4)을 축으로 하여 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5,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pare support part 240, that is,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part 240, the second mounting part 220 is mounted with the bushing B4 as its axis. It can be rotated upward.

이때, 부싱(B4)은 축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밝힌다.At this time, it is revealed that the bushing (B4) can be replaced with an axis.

메인 지지부(230)는 제2 탑재부(220)의 제3 부재(213)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수단(3)의 저면을 지지한다.The main support part 230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3 whe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member 213 of the second mounting part 220.

메인 지지부(230)는 에어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support part 230 may be formed of an air spring.

후술되는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23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한다.An air pump (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jects air into the main support part 230.

메인 지지부(230)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된다.The main support portion 230 is expanded by air being injected into the main support portion 230.

메인 지지부(230)는 일정한 부피로 팽창된 상태에서 지지수단(3) 및 적재함(2)의 하중을 완충하면서 지지하게 된다.The main support part 230 supports the load of the support means 3 and the loading box 2 while being expanded to a certain volume.

메인 지지부(230)를 통해 차량의 후륜측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및 감소시켜 차량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It absorbs and reduces shock and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through the main support portion 230, allowing the vehicle to drive while maintaining a stable structure.

스페어 지지부(240)는 제1 탑재부(210)의 제3 부재(213) 상면에 설치된다.The spare support part 2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member 213 of the first mounting part 210.

스페어 지지부(240)는 에어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are support portion 240 may be formed of an air spring.

스페어 지지부(240)는 메인 지지부(230)에서 에어가 유출될 경우 작동하여 적재함(2)의 하중을 대신 지지한다.The spare support part 240 operates when air leaks from the main support part 230 to support the load of the loading box 2 instead.

에어펌프(P)는 적재함(2)이나 지지수단(3)에 설치될 수 있다.The air pump (P) can be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2) or the support means (3).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230) 및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게 된다.The air pump (P) injects air into the main support part 230 and the spare support part 240.

에어펌프(P)는 분기관을 통해 메인 지지부(230) 및 스페어 지지부(240)에 연결된다.The air pump (P) is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part 230 and the spare support part 240 through a branch pipe.

따라서,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230) 및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pump (P) can inject air into the main support part 230 and the spare support part 240.

이때,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230)가 터지거나 이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메인 지지부(23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에어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에만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t this time, the air pump (P) pumps air into the spare support part 240 only when the air filled inside the main support part 230 leaks out due to a burst or abnormality in the main support part 230. programmed to inject.

이를 위해, 공압센서(S)는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C)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To this end, the pneumatic sensor (S) measures the pressure within the main support unit (23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C) in real time.

이때, 공압센서(S)가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since the method by which the pneumatic sensor S measures the pressure within the main support part 230 is a commercialized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어부(C)는 공압센서(S)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을 유지할 경우, 에어펌프(P)를 작동시키지 아니한다.The control unit (C) does not operate the air pump (P) when the pressure within the main support unit 230 transmitted from the pneumatic sensor (S) remains above the preset pressure.

따라서,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는 에어가 주입되지 않는다.Therefore,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part 240.

즉, 스페어 지지부(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That is, the spare support portion 240 maintains the contracted state as shown in FIG. 4 .

그러나, 메인 지지부(230)가 적재함(2)의 하중이나, 외력, 기타 다양한 이유에 의해 터질 경우,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은 감소한다.However, when the main support part 230 bursts due to the load of the loading box 2, external force, or various other reasons, the pressure within the main support part 230 decreases.

그리고, 공압센서(S)는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 값을 제어부(C)에 전송한다.And, the pneumatic sensor (S) transmits the pressure value within the main support unit (230) to the control unit (C).

제어부(C)는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질 경우, 에어펌프(P)를 즉시 작동시켜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한다.When the pressure in the main support part 230 becomes lower than the preset pressure, the control unit (C) immediately operates the air pump (P) to inject air into the spare support part 240.

도 5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스페어 지지부(240)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메인 지지부(230) 대신 지지수단(3)에 지지력을 발생시킨다.Figure 5 shows a state in which air is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part 240. The spare support part 240 is expanded by air injection to generate a support force in the support means 3 instead of the main support part 230.

이때, 스페어 지지부(240)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 제1 탑재부(210)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의해 가압되어 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제2 탑재부(220)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의해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축된 상태의 메인 지지부(230)를 지지수단(3)의 저면에 밀착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spare support part 240 is expanded by air injection, the first mounting part 210 is pressed by the spare support part 240 and rotated downward,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220 is attached to the spare support part 240. The main support part 230, which is rotated upward and contracte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3).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서는 메인 지지부(230)가 지지수단(3)을 지지하되, 메인 지지부(230)는 에어가 유출되지 않은 평상시 팽창된 상태로 지지수단(3)을 지지하고, 메인 지지부(230)에서 에어가 유출될 경우에는 스페어 지지부(240)는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서 제2 탑재부(220)를 상승시켜 메인 지지부(230)가 수축된 상태로 지지수단(3)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upport part 230 supports the support means 3, and the main support part 230 is in a normally expanded state without air leaking. 3), and when air leaks from the main support part 230, the spare support part 240 is expanded by air injection and raises the second mounting part 220 to support the main support part 230 in a contracted state. This can be done to support means (3).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의 경우에도 메인 지지부(230)에 고장이 발생되어 에어가 유출됨에 따라 적재함(2)을 지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시, 그 즉시 스페어 지지부(240)가 작동하여 적재함(2)을 대신 안정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차량이 주행을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Even in the case of the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support part 230 and the load box 2 cannot be supported due to air leakage, a spare support part (230) is immediately installed. As 240) operates to stably support the loading box 2,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must stop driving.

그리고, 메인 지지부(230)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스페어 지지부(240)가 적재함(2)에 지지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차량 및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support part 230, the spare support part 240 generates support force in the loading box 2, thereby protecting the safety of the vehicle and passenger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110,210 : 제1 탑재부
111,121,211,221 : 제1 부재 112,122,212,222 : 제2 부재
113,123,213,223 : 제3 부재 224 : 제4 부재
225 : 제5 부재 120,220 : 제2 탑재부
130,230 : 메인 지지부 140,240 : 스페어 지지부
1: Multiple shock absorber system for vehicle 110,210: First mounting unit
111,121,211,221: first member 112,122,212,222: second member
113,123,213,223: Third member 224: Fourth member
225: Fifth member 120,220: Second mounting portion
130,230: main support 140,240: spare support

Claims (4)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는 제1 탑재부;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탑재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2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제2 탑재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메인 지지부 대신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A first mounting portion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of a vehicle or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loading box;
At least one second mounting part is installed on the loading box or support mean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first mounting part;
a main support part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unit, expanded by air being injected into the interior, and supporting the loading box or supporting means while bringing the second mounting un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ading box or supporting means; and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which is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unit and includes a spare support part that receives air when air leaks from the main support part and expands to support the loading box or support means instead of the main support part.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되, 외력이 인가될 시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1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의 상면에 설치되되, 외력이 인가될 시 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2 탑재부;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제1 탑재부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제2 탑재부는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메인 지지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A first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a vehicle loading box or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loading container, and capable of rotating downwar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second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capable of rotating upwar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main support portion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expanded by air being injected into the interior to support the loading box or support means; and
It is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part, and when air leaks from the main support part, it receives air and expands, causing the first mounting part to rotate downward, and rotating the second mounting part upward to load the main support part. Or,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spare support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mean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 내의 공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압센서; 및
상기 공압센서에서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일 경우 상기 스페어 지지부의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neumatic sensor installed on the main support part and measuring the air pressure within the main support part in real time; and
A multip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ir to be injected into the spare support unit whe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neumatic sensor is lower than a preset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지지부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 상기 제2 탑재부가 상기 스페어 지지부에 의해 밀려 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제2 탑재부를 지지하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spare support part is expanded by air injection, the second mounting part is pushed by the spare support part and rotated downward, and the main support part supports the second mounting part in a contracted state.
KR1020220115365A 2022-09-14 2022-09-14 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 KR102652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365A KR102652017B1 (en) 2022-09-14 2022-09-14 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365A KR102652017B1 (en) 2022-09-14 2022-09-14 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398A KR20240037398A (en) 2024-03-22
KR102652017B1 true KR102652017B1 (en) 2024-04-01

Family

ID=9048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365A KR102652017B1 (en) 2022-09-14 2022-09-14 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01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328035U (en) 2017-08-29 2018-05-08 梁山众兴机械制造有限公司 A kind of air suspen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979A (en)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Cap pitching control device for heavy vehicles
KR200316207Y1 (en) 2003-03-27 2003-06-18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Air-suspension equipment for remodeling of the truck
KR100604380B1 (en) * 2004-12-30 2006-07-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he railway vehicle bogie for having tertiary suspension function
KR102074703B1 (en) * 2018-04-11 2020-02-07 이장범 a functional air spring for trailer
KR102412749B1 (en) * 2020-11-30 2022-06-24 주식회사 에스모터스 Apparatus of duel air spring for vehicle suspen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328035U (en) 2017-08-29 2018-05-08 梁山众兴机械制造有限公司 A kind of air suspen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398A (en)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582B1 (en) Vibration isolation device of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057034B2 (en) Anti-vibration structure for truck bed
US3208770A (en) Fifth wheel pneumatic suspension system
CN201354102Y (en) Air spring suspension device in cab of heavy-duty truck
KR102652017B1 (en) 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
US20090026723A1 (en) Suspension apparatus
US2999682A (en) Pneumatic sp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KR20100114780A (en) Connecting device of railway truck
US3606437A (en) Truck tractor cab suspension system
JP2011005932A (en) Mounting structure of shock absorber
US10882369B2 (en) Longitudinal leaf spring device having bump stop unit
KR101260431B1 (en) Buffering apparatus for adjusting vehicle height using air
JP5504733B2 (en) Anti-vibration structure for loading platform
KR200376210Y1 (en) Air suspension of truck
KR20070094182A (en) Reer suspension of automobile
KR102343565B1 (en) The vehicle's air suspension system
KR200388298Y1 (en) A
KR200356606Y1 (en) Air suspension of truck
CN106627023A (en) Rear suspension damping device and truck
US11548336B1 (en) Suspension system having rebound control for a vehicle
CN220535524U (en) Vibration isolation device in commodity circulation heavy load car
US11731475B2 (en) Agent injection system, an airbag apparatus, a process of filling a suspension airbag, a process of repairing a suspension airbag, and methods of use
US20080157565A1 (en) Vehicle Cab Suspension
KR200300862Y1 (en) Asistance buffer equipment have a suspension system of trailer
CN212685391U (en) Shock attenuation protection device of on-vehicle fire extinguisher case of tank wag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