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223B1 -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223B1
KR102651223B1 KR1020230154633A KR20230154633A KR102651223B1 KR 102651223 B1 KR102651223 B1 KR 102651223B1 KR 1020230154633 A KR1020230154633 A KR 1020230154633A KR 20230154633 A KR20230154633 A KR 20230154633A KR 102651223 B1 KR102651223 B1 KR 102651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mulsified asphalt
room temperature
asphal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김정숙
Original Assignee
(주)성지이테크
주식회사 상원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지이테크, 주식회사 상원엔텍 filed Critical (주)성지이테크
Priority to KR102023015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9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0/10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8Heterocyclic nitroge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8Slag c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대입경이 20mm 이하인 순환골재A와 최대입경이 13mm 이하인순환골재B가 1 : 1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 순환골재 10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10 내지 30 중량부; 석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석회석분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채움재 1 내지 10 중량부,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 t-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20 중량부;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 1 내지 10 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5 내지 2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재생 유기 결합재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은 함소화씨 오일 단독 또는 함소화씨 오일과 아마씨 오일이 1 :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오일을 함유함으로써,
순환골재를 사용하여 매우 친환경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도로포장 및 공장바닥 등의 포장 시에 가장 유효한 파라미터인 안정도, 흐름값 및 공극률을 최적정으로 확보할 수 있어 매우 안정적인 포장재로서 역할 수행이 가능하고,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하여 연료비 절감 효과와 동시에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고, 아스팔트의 가열 산화 열화에 의한 품질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Modified emulsified asphalt concrete composition with excellent room temperature work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장 시에 가장 유효한 파라미터인 안정도, 흐름값 및 공극률을 최적정으로 확보할 수 있고 연료비 절감 효과와 동시에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하며 아스팔트의 가열 산화 열화에 의한 품질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량의 증가에 따라 도로의 아스팔트콘크리트 개·보수 공사 뿐만 아니라 도시가스, 상수도 및 오폐수 관거 등의 교체공사로 인하여 건설산업부산물 중에 폐아스팔트 콘크리트(이하 폐아스콘으로 칭함)의 발생량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폐아스콘은 건설산업부산물 중 가장 발생량이 많은 폐콘크리트와는 달리 골재표면에 아스팔트 유제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용, 구조물 뒷체움재 및 보조기층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폐아스콘의 매립은 매립지로부터 빗물 등에 의해 씻겨 나온 아스팔트나 잔류시멘트가 지층으로 흘러들어가 지하수와 하천을 오염시키는 등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재활용이 가능한 폐아스콘 등의 매립을 줄여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다량으로 발생되는 폐아스콘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한편으로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아스팔트의 수요량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으면서 재생 아스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실용화에 접어들었다. 우리나라에서도 토목, 건축분야를 중심으로 폐아스콘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폐기되는 폐아스콘의 재활용을 위하여 폐아스콘을 지정부산물로 선정하고,"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및 "순환골재 품질기준"을 두어 고품질을 유지하면서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폐아스콘의 유효재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가열 또는 상온 재생아스팔트로 사용해야한다. 그러나 높은 열을 요구하는 가열 아스팔트의 경우 CO2의 발생량이 많아 최근에는 이러한 온도를 낮추려는 저탄소 녹색도로 '중온화 아스팔트포장'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실제 상온의 온도로 시공이 가능한 상온 재생아스팔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은 상온에서 폐아스콘 혼합골재에 유화 아스팔트 등을 혼합한 역청재료이다. 유럽 등의 국가에서는 1980년대부터 활용하고 있으며, 미국도 1990년대부터 새로운 공법을 적용하였다. 국내에도 1990년대에 도입되어, 현재는 건설폐자재를 활용하여 도로 포장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은 폐아스콘 혼합골재 및 유화 아스팔트의 침입도 성능 회복 등의 물성변화를 부여하여 위하여, 다양한 재생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스콘 성능평가의 주요인자인 안정도값 및 흐름값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장타설 시 주용한 재료간의 결합력, 잔입자 분리현상 및 양생속도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46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64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17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신골재 사용 없이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제조한 순환골재만을 사용하여 안정도, 흐름값, 공극률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최대입경이 20mm 이하인 순환골재A와 최대입경이 13mm 이하인순환골재B가 1 : 1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 순환골재 10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10 내지 30 중량부; 석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석회석분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채움재 1 내지 10 중량부,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 t-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20 중량부;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 1 내지 10 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5 내지 2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재생 유기 결합재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은 함소화씨 오일 단독 또는 함소화씨 오일과 아마씨 오일이 1 :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오일인 것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오일은
함소화씨앗과 아마씨앗을 1 :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씨앗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씨앗을 80 내지 120 ℃ 에서 30 분 내지 1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씨앗을 80 내지 130 kHz의 주파수이며, 400 내지 700 W/cm2의 강도로 1 내지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혼합씨앗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쿠알란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압착한 후, 여과하여 여과된 혼합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혼합 오일을 10 내지 20일 자연 침전시킨 후 상층부를 회수하여 정제된 혼합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이고,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에탄올에 용해시켜 노볼락 에폭시 수지 에탄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 에탄올 용액을 포틀랜드 시멘트에 분무하면서 회전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에탄올이 증발할때까지 회전 교반하여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재생 유기 결합재는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베르베린 0.5 내지 5 중량부를 더욱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재생 유기 결합재는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 1 내지 5 중량부를 더욱 함유하고,
상기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페닐말레이미드, 니트로페닐말레이미드, 모노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디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모노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디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및 에틸메틸페닐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파쇄된 순환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포설된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순환골재를 사용하여 매우 친환경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도로포장 및 공장바닥 등의 포장 시에 가장 유효한 파라미터인 안정도, 흐름값 및 공극률을 최적정으로 확보할 수 있어 매우 안정적인 포장재로서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하여 연료비 절감 효과와 동시에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고, 아스팔트의 가열 산화 열화에 의한 품질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최대입경이 20mm 이하인 순환골재A와 최대입경이 13mm 이하인순환골재B가 1 : 1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 순환골재 10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10 내지 30 중량부; 석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석회석분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채움재 1 내지 10 중량부,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 t-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20 중량부;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 1 내지 10 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5 내지 2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재생 유기 결합재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은 함소화씨 오일 단독 또는 함소화씨 오일과 아마씨 오일이 1 :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오일인 것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순환골재를 사용하여 매우 친환경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도로포장 및 공장바닥 등의 포장 시에 가장 유효한 파라미터인 안정도, 흐름값 및 공극률을 최적정으로 확보할 수 있어 매우 안정적인 포장재로서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하여 연료비 절감 효과와 동시에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고, 아스팔트의 가열 산화 열화에 의한 품질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순환골재, 채움재, 재생 유기 결합재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골재는 최대입경이 20mm 이하인 순환골재A와 최대입경이 13mm 이하인순환골재B가 1 : 1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순환골재B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골재간의 간극을 메우기 부족하여 하중에 의한 포장도로의 침강,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장 도로의 충분한 공극률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상기 최대입경이 다른 2종의 순환골재는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수거하여 분쇄한 후, 적절한 입도 분리(예를 들면 체 분리 등) 방법을 사용하여 입도 분포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골재는 재활용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골재 단독 또는 재활용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골재와 중량 골재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재활용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골재(아스팔트용 순환골재)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 등의 각종 건설현장에서 폐기된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파쇄, 체가름한 골재로서 구재 아스팔트를 포함하며, 다른 골재와 섞이거나 나무조각, 금속편 등 이물질이 섞이지 않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재활용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골재는 KS F 2572(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 기준에 따른다.
상기 중량골재는 재활용 중량골재로서, 단단하고 강하고 내구성이 있고 부착물이 없어야 하며 점토, 실트, 및 그 밖의 해로운 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질이며 내마모성이 좋고 비교적 파쇄면이 많은 형상과 입형을 갖고 있으며 흡수율이 낮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내약품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량골재는 예를 들면 철광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재간의 분산성 및 혼화성을 향상시켜 공극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표면처리된 최대입경이 다른 2종의 순환골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된 최대입경이 다른 2종의 순환골재는 상기 최대입경이 다른 2종의 순환골재 100 중량부와 에피카테킨갈레이트 1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피카테킨갈레이트는 순환골재의 분산성을 개선하고, 다른 재료간의 우수한 혼화성을 제공하고 공극률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채움재는 골재의 간극을 충진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각 성분들간의 결합력 향상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시공성 개선, 안정성, 강도 및 물성 등을 개선시키며 공극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채움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10 내지 30 중량부; 석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석회석분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한다.
이러한 채움재는 순환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흐름값이 감소하여 도로포장을 위한 품질기준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고온의 용융슬래그를 압력수로 급냉한 수쇄슬래그를 건조, 미분쇄한 것으로, SiO2, Al2O3, CaO, MgO, TiO2, Fe2O3 등을 포함하는데, SiO2의 규소와 산소가 망상구조를 이루어 알칼리 용액 중에서 수산화기의 침입이 용이하므로, 수산화기의 침입에 의해 망상구조가 파괴되며 수화반응 및 경화반응이 빠르게 일어나, 고로슬래그에 의해 시공 초기의 강도가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수화 발열속도가 작고 알칼리 골재반응 억제 효과 및 수밀성 염분차단성 내해수성, 내약품성 등이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는 조강(早强), 저열(低熱), 중용열(中庸熱), 내황산염(耐黃酸鹽) 등의 특별한 성질을 갖지 아니한 표준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를 활용한 상온형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서는 채움제와 바인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는 골재간의 접착력과 동시에 바인더 성분과의 혼화성을 향상시켜 공극을 감소시키고, 장기 안정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며 초기 발열을 억제하여 온도 균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에탄올에 용해시켜 노볼락 에폭시 수지 에탄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 에탄올 용액을 포틀랜드 시멘트에 분무하면서 회전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에탄올이 증발할때까지 회전 교반하여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뭉침이 발생하여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YDCN-500 시리즈 제품(국도화학사), 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KER 151PN제품(금호피앤비화학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포틀랜드 시멘트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이 저하되고 흐름값이 감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석고는 물을 흡수하여 부피가 팽창되는 성질이 있어, 시멘트의 경화 수축을 보완함으로써 수축균 열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축균열 억제 효과와 함께 고로슬래그에 대한 반응촉진제 작용을 하여 고로슬래그에 의한 강도 발현에 도움을 주고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도 갖는다.
이러한 석고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석고가 수분을 흡수 하면서 부피가 팽창되어 균열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석회석분은 친유성이 높은 무극성의 분말로 물과 혼합되면 이에 반발하여 구를 형성하는 소수성의 특성이 강하며, 골재 간 박리 현상을 억제하는 역할을한다. 상기 석회석분은 CaO을 주성분으로 하고 Al2O3, SiO3, Fe2O3 및 Mg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첨가물이 함유된 형태이다.
이러한 석회석분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이 저하되고 흐름값이 감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재생 유기 결합재는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 t-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20 중량부;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 1 내지 10 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5 내지 2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10-1802412)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재생 유기 결합재는 포장재로서의 구조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바인딩 역할과 함께 폐아스팔트 순환골재에 포함된 구제아스팔트의 성능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제 아스팔트 침투하여 부착력이 강하고 부식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며, 점도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재생 유기 결합재는 순환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 및 물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화아스팔트는 상온 시공성, 작업성 및 성형성을 확보하고 포장재로서의 구조성능(강도 및 내구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바인딩 역할을 한다. 또한, 아스팔트의 접착강도, 유연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이온 안정성, 물리적 안정성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상기 유화아스팔트에 포함된 유화제의 전하에 따라 양이온계, 비이온계, 음이온계 유화아스팔트로 분류되며, 사용되는 골재의 극성에 따라 상기 유화아스팔트의 극성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암, 석영, 규산질계 골재는 표면이 음전하로 대전되어 있기 때문에 양이온계 유화아스팔트가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석회석과 같은 골재는 표면이 음전하로 대전되어 있어 음이온계 유화아스팔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비이온계 유화아스팔트 및 음이온계 유화아스팔트에 비해 유화 입자의 분해가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져 도로포장 후 교통 개방이 비교적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고, 저장 안정성 및 접착력이 우수한 양이온계 유화아스팔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이온계 유화아스팔트에 포함된 유화제는 지방족 디아민염, 4차 암모늄염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유화아스팔트는 상대적인 유착(coalesce) 속도, 즉 양생 내지 경화 속도에 따라 급속경화형(RS, rapid setting), 중속경화형(MS, medium setting), 및 완속경화형(SS, slow setting)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들은 각각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단독 또는 적절하게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t-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점성이 높고 우수한 접착력과 탄력성이 있으며, 강도증진 및 인장강도를 증진시켜 골재간의 결합력이 장기간 지속되어 균열을 방지하며, 화학물질에 대하여 탁월한 내구성을 갖고 있어 도로의 표면을 보호하고 교통량에 대한 내구성 및 소성변형에 강한 저항성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t-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접착력에 의한 포장의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과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5 내지 2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을 일정비로 혼합 사용하여, 마셜 안정도 및 동적 안정도가 높은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저온에서도 높은 다짐도를 얻을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우수하다. 
상기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은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순환골재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은 함소화씨 오일 단독 또는 함소화씨 오일과 아마씨 오일이 1 :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아마씨 오일은 경화시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을 하기와 같은 방법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오일은 함소화씨앗과 아마씨앗을 1 :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씨앗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씨앗을 80 내지 120 ℃ 에서 30 분 내지 1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씨앗을 80 내지 130 kHz의 주파수이며, 400 내지 700 W/cm2의 강도로 1 내지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혼합씨앗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쿠알란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압착한 후, 여과하여 여과된 혼합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혼합 오일을 10 내지 20일 자연 침전시킨 후 상층부를 회수하여 정제된 혼합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및 초음파 처리 단계는 함소화 씨앗의 영양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오일의 착유 효율을 높이며, 저장성을 개선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스쿠알란은 압착 효율을 증가시키기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씨앗으로 오일을 제조한 후,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과 같은 공정을 수행하여 정제된 오일은 각 씨앗에 함유된 특유의 악취 및 시안화물(-CN) 등의 독성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은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순환골재 및 채움재와의 혼화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5 내지 2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는 경화피마자유에 산화에틸렌을 부가중합하여 얻어진 에스테르화물로, 작업성을 개선하고 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골재분리 방지 효과가 있으며 시공성을 개선하고 건조수축을 작게하여 포장체의 내부가 치밀해지고 균열방지되어 내구성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5 내지 2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는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순환골재 및 채움재와의 뭉침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는 재생 유기 결합재와, 순환골재 및 채움재 등과 같은 무기물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는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테트라설파이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디설파이드, 비스(2-트리에톡시실릴 에틸) 테트라설파이드, 비스(4-트리에키트시시리르브틸) 디설파이드, 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테트라설파이드 및 비스(2-트리메톡시실릴 에틸) 디설파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는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순물 함량이 높아져 제품의 품질 신뢰도가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생 유기 결합재는 골재간의 접착력과 마찰에 의한 입자의 탈리를 방지하여 장기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베르베린 0.5 내지 5 중량부를 더욱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생 유기 결합재는 골재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켜 장기간 지속적으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 1 내지 5 중량부를 더욱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페닐말레이미드, 니트로페닐말레이미드, 모노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디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모노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디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및 에틸메틸페닐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물은 용매 및 반응의 안정성을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은 순환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성 및 반응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파쇄된 순환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포설된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포설 단계는 인력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아스팔트 피니셔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포설 작업과 관련된 어떠한 공지의 기술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짐 단계는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포설된 부위에 머캐덤롤러, 탠덤롤러, 타이어롤러, 진동롤러, 핸드용 콤팩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짐 작업이 다수의 단계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머캐덤롤러 4회, 타이어롤러 8회, 탠덤롤러 4회, 마무리 다짐 탠덤롤러 4회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다짐 단계가 완료된 포장면을 덮고 일광이나 풍우, 하중 등의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하며 습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써 양생 작업을 거치면 도로포장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짐 및 양생이 완료된 부위의 상부에 마감재를 도포함으로써 분진 발생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재는 예를 들면 양이온계 유화아스팔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순환골재를 사용하여 매우 친환경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도로포장 및 공장바닥 등의 포장 시에 가장 유효한 파라미터인 안정도, 흐름값 및 공극률을 최적정으로 확보할 수 있어 매우 안정적인 포장재로서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하여 연료비 절감 효과와 동시에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고, 아스팔트의 가열 산화 열화에 의한 품질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조예 1> 표면처리된 순환골재
최대입경이 20 mm 이하인 순환골재A와 최대입경 13 mm 이하인 순환골재B가 1 : 1.2 중량비로 혼합된 순환골재 100 중량부와, 에피카테킨갈레이트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표면처리된 순환골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YDCN-500 시리즈, 국도화학) 400 g을 에탄올 3600 g에 용해시켜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 에탄올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 에탄올 용액을 포틀랜드 시멘트 4000 g에 분무하면서 회전 교반하되, 상기 에탄올이 증발할때까지 회전 교반하여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 대신에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YDCN-500 시리즈, 국도화학) 200 g과 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KER 151PN, 금호피앤비화학) 200 g이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함소화씨 오일
함소화 씨앗 1000 g을 55 ℃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이후에 가열된 함소화 씨앗을 100 kHz의 주파수, 500 W/cm2의 강도로 5 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후에 상기 초음파 처리된 씨앗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쿠알란 7 중량부를 혼합한 후 고압의 압착기로 착유하여 약 100 mL의 함소화 씨앗 오일을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여과된 오일을 12일 자연 침전시킨 후 상층부를 회수하여 정제된 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혼합 오일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함소화 씨앗 1000 g 대신에, 함소화 씨앗 800 g 과 아마씨앗 200g 혼합된 씨앗 혼합물을 사용하여 정제된 혼합 오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하여 및 비교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순환골재 100 100 - 100 100
표면처리된 순환골재 - - 제조예1
(100)
- -
채움재 4 4 4 4 4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 100 100 100 100
포틀랜드 시멘트 20 - - 20 20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 - 제조예2
(20)
제조예3
(20)
- -
석고 5 5 5 5 5
석회석분 7 7 7 7 7
재생 유기 결합재 6 6 6 6 6
(중량부) 유화아스팔트 100 100 100 100 100
t-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3 13 13 - -
폴리비닐아세테이트 - - - - 13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 제조예4
(6)
제조예4
(6)
제조예5
(6)
- -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 4 4 - -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 5 5 5 - -
화학식 1의 베르베린 - 1.5 1.5 - -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 - 3 3 - -
4 4 4 4 4
순환골재: 최대입경이 20mm 이하인 순환골재A와 최대입경이 13mm 이하인 순환골재 B가 1 : 1.2 중량비 범위로 혼합됨.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HC-2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20)제품, 니혼 에멀전사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테트라설파이드와, 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테트라설파이드를 1 : 1 중량비로 혼합
화학식 1의 베르베린: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 페닐말레이미드: 니트로페닐말레이미드와 디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를 1 : 0.5 중량비로 혼합
아래의 실험예들은 상기에 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특성을 비교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상온형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물성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물성 평가는 101.6 mm × 63 mm 크기의 시험공시체를 제작한 뒤, 물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스패튤러를 사용하여 몰드 주위를 15회 중앙을 10회 다져서 표면을 고르며, 상기 상온형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마샬 다짐은 50 회 실시하였으며, 선회다짐은 KS F 2377에 따른 선회다짐기를 사용하여 다짐하였으며, 다짐온도는 25 ℃로 하였다. 그리고, 60 ℃의 오븐에서 48 시간 양생하였으며, 양생이 끝난 시험공시체는 실내에서 2 내지 3시간 방치 후 탈형하고, 25 ℃의 공기욕조에서 2시간 방치시켰다.
[물성평가 방법]
1. 마샬 안정도(N) 및 흐름도(1/100 ㎝) : KS F 2337로 측정.
2. 공극률(%) : KS F 2364로 측정.
3. 간접 인장강도 : KS F 2382로 측정.
4. 수침 잔류안정도 : KS F 2369로 측정.
5. 동적안정도 : KS F 2374로 측정.
6. 균열 발생 : 양생 후 공시체 표면 관찰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안정도(N) 33548 36231 37627 23543 25347
흐름값(1/100 mm) 23 27 32 10 15
공극률(%) 10.8 10.4 9.3 18.5 12.5
간접 인장강도 0.19 0.22 0.25 0.08 0.14
수침 잔류안정도 83 85 88 64 71
동적안정도 3850 4210 4470 2640 3040
균열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발생 발생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2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하여, 안정도, 흐름값, 공극률, 간접 인강강도, 수침 잔류안정도 및 동적 안정도 등 전반적인 물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균열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최대입경이 20mm 이하인 순환골재A와 최대입경이 13mm 이하인 순환골재B가 1 : 1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 순환골재 10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10 내지 30 중량부; 석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석회석분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채움재 1 내지 10 중량부,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 t-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20 중량부;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 1 내지 10 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5 내지 2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 내지 10 중량부; 및 설파이드계 실란 커플링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재생 유기 결합재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올레산 함유 식물성 오일은
    함소화씨 오일 단독 또는 함소화씨 오일과 아마씨 오일이 1 :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오일은
    함소화씨앗과 아마씨앗을 1 :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씨앗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씨앗을 80 내지 120 ℃ 에서 30 분 내지 1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씨앗을 80 내지 130 kHz의 주파수이며, 400 내지 700 W/cm2의 강도로 1 내지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혼합씨앗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쿠알란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압착한 후, 여과하여 여과된 혼합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혼합 오일을 10 내지 20일 자연 침전시킨 후 상층부를 회수하여 정제된 혼합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이고,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에탄올에 용해시켜 노볼락 에폭시 수지 에탄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 에탄올 용액을 포틀랜드 시멘트에 분무하면서 회전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에탄올이 증발할때까지 회전 교반하여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에서 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기 결합재는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베르베린 0.5 내지 5 중량부를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화학식 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기 결합재는
    유화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 1 내지 5 중량부를 더욱 함유하고,
    상기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페닐말레이미드, 니트로페닐말레이미드, 모노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디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모노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디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및 에틸메틸페닐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6. 파쇄된 순환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포설된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
KR1020230154633A 2023-11-09 2023-11-09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51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633A KR102651223B1 (ko) 2023-11-09 2023-11-09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633A KR102651223B1 (ko) 2023-11-09 2023-11-09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223B1 true KR102651223B1 (ko) 2024-03-27

Family

ID=9048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4633A KR102651223B1 (ko) 2023-11-09 2023-11-09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2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79B1 (ko) 2011-11-07 2012-04-20 (주)한동알앤씨 상온 재생아스팔트 혼합물
KR101284685B1 (ko) 2012-09-05 2013-07-16 대길환경산업(주)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00163A (ko) * 2012-06-22 2014-0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아스팔트 조성물, 및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33172B1 (ko) 2014-02-27 2014-08-26 전한석 상온순환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20150005902A (ko) * 2012-04-26 2015-01-15 아리조나 케미칼 캄파니, 엘엘씨 폐아스팔트의 재생
KR102020594B1 (ko) * 2019-04-25 2019-10-15 박기선 상온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WO2022204303A1 (en) * 2021-03-26 2022-09-29 Basf Se Rubberized asphalt composition with acrylic copolym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79B1 (ko) 2011-11-07 2012-04-20 (주)한동알앤씨 상온 재생아스팔트 혼합물
KR20150005902A (ko) * 2012-04-26 2015-01-15 아리조나 케미칼 캄파니, 엘엘씨 폐아스팔트의 재생
KR20140000163A (ko) * 2012-06-22 2014-0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아스팔트 조성물, 및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84685B1 (ko) 2012-09-05 2013-07-16 대길환경산업(주)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3172B1 (ko) 2014-02-27 2014-08-26 전한석 상온순환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2020594B1 (ko) * 2019-04-25 2019-10-15 박기선 상온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WO2022204303A1 (en) * 2021-03-26 2022-09-29 Basf Se Rubberized asphalt composition with acrylic copoly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614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이를 사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CN103866667B (zh) 半柔性重载路面铺装结构
KR101141259B1 (ko) 폐아스콘 및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한 친환경성 상온 재생포장재 조성물
KR101296159B1 (ko) 폐아스콘과 무시멘트 결합재를 사용한 기층용 상온 재생아스팔트 조성물 및 포장방법
KR101284685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594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1999964B1 (ko) Sis 및 재생고무분말을 이용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5632B1 (ko) 교면 또는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2589186B1 (ko) 소성변형 저항성이 향상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36308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레미콘 조성물
KR101546506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JP5158026B2 (ja) 透水構造材
CN111704415B (zh) 高强度环保型透水材料及其制备方法和该材料制备的路面
KR100852391B1 (ko)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조성물
KR100836598B1 (ko) 폐 콘크리트를 활용한 콘크리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1645321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CN104631269B (zh) 一种公路养护用钢渣集料同步碎石封层材料及施工方法
KR101125485B1 (ko) PS Ball을 포함하는 투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1440407B1 (ko) 친환경 황토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651223B1 (ko) 우수한 상온시공성을 갖는 개질 유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19586A (ko) 고강도 중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102007726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믹싱 시스템 투입 장비를 이용한 일체형 불투수성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CN114835439B (zh) 一种环氧沥青钢渣混凝土超薄磨耗层及其制备方法
KR101438500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07013B1 (ko) 폐타이어 분말을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