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506B1 -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 Google Patents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506B1
KR101546506B1 KR1020150030269A KR20150030269A KR101546506B1 KR 101546506 B1 KR101546506 B1 KR 101546506B1 KR 1020150030269 A KR1020150030269 A KR 1020150030269A KR 20150030269 A KR20150030269 A KR 20150030269A KR 101546506 B1 KR101546506 B1 KR 101546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ggregate
asphalt concrete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왕
심선종
심선욱
양복순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서원아스콘
(주)삼덕아스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서원아스콘, (주)삼덕아스콘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서원아스콘
Priority to KR1020150030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10Lime cements or magnesium oxid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제조한 순환골재 89~92중량부; 채움재 2.0~6.0중량부;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 0.7~1.0중량부; 및 물 4~5중량부; 를 포함하고,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상기 물 중량의 1/30~1/25 만큼 첨가되어, 경화 후에 안정도 3,500N 이상, 흐름값 0.1~0.5cm 및 공극률 3~12vol%의 조건이 충족되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Recycled Cold Asphalt Concrete Mixture}
본 발명은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순환골재만을 사용하고, 채움재,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 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경화 후에 안정도 3,500N 이상, 흐름값 0.1~0.5mm 및 공극률 3~12vol%의 조건이 충족되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 도로상황은 도로증가율에 비하여 교통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기존 도로의 확장 및 신규 도로의 건설이 필요한 실정으로, 최근 골재자원의 부족, 환경보호 차원에서 재생아스콘 포장이 차지하는 비율도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가열재생아스콘 생산기술의 경우 사용재료의 배합비율 및 온도관리 등 품질관리가 용이하여 고품질의 재생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현장에서 발생된 폐아스콘을 플랜트로 운반하여야 하고 플랜트 설치지역 인근 이외의 장소에서는 온도저하 및 운반비용으로 현장적용이 어려우며, 신재골재 및 아스팔트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제조단가 및 초기설치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생산과정에서 가열과정을 생략하여 화석연료의 사용과 이로 인한 공해를 방지하고 아스팔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상온 아스콘이 부각되고 있으며, 순환골재 사용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4685호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이하, 선행기술 1)"은 다량의 첨가제 및 개질제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증가를 방지하고, 또한 폐아스콘에서 유래하는 순환골재를 사용하여, 천연골재자원의 보호와 환경 보호적 측면을 강화함과 동시에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갖고 있는 강도, 경도, 점성도, 안정도 및 유연성을 고루 갖춘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GR F 4026의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골재입도 기준에 적합하도록 순환골재, 신규골재, 시멘트를 배합하고, 시멘트와 혼합성이 우수한 유화제를 사용한 골재 혼합용 유화아스팔트에 점,접착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Ethylene Vinyl Acetate Emulsion, EVA)을 첨가하여 개질한 개질 유화아스팔트를 이용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다만, 위의 선행기술 1은 신규골재를 반드시 사용하는 기술이고(골재 혼합물 중 신규골재가 0중량% 초과 내지 44중량%, 선행기술 1의 청구항 7 참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으로 개질된 개질 유화아스팔트 혼합량이 전체 혼합물의 5중량% 내지 12중량%로 많아 제조 원가가 높을 것으로 파악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6588호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시공방법(이하, 선행기술 2)"은 폐아스콘 40∼70중량%, 신골재 23∼50중량%, 채움재 2∼4중량%, 유화아스팔트 1∼5중량%, 재생첨가제 0.1∼0.2중량% 및 물 3∼6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선행기술 2 역시 상당량의 신골재(23~50중량%)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재생첨가제는 에멀젼계로서 정밀 용제-정제된 중파라핀 증류액, 비투멘 및 미네랄 피치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나프탄계 유분, 방향족 유분, 석유수지, 천연 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및 셀룰로오즈 섬유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제조 원가가 높을 것으로 파악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81861호 "재생첨가제가 함유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이하, 선행기술 3)"은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로부터 얻어지는 순환골재 60~85중량%와, 신재골재 15~40중량%로 이루어지는 도로포장용 골재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채움재 10~40중량부, 유화아스팔트 10~30중량부, 재생첨가제 5~45 중량부 및 물 5~4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선행기술 3 역시, 신재골재가 포함되며, 유화아스팔트 및 재생첨가제의 혼합량이 많고, 재생첨가제는 고분자 결합재, 반응 활성화제, 소포제 및 물로 조성되므로 제조 원가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36479호 "상온 재생아스팔트 혼합물(이하, 선행기술 4)"은 폐아스콘 순환골재 5~90중량%, 신골재 5~91 중량%, 채움재 1~6 중량%로 이루어진 골재 배합물 100중량부에, 순환골재의 구제 아스팔트의 물성을 향상시키며 소성변형 억제 및 균열파괴를 감소시키는 재생첨가제 0.3~8중량부와, 점착력과 전단저항각을 증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개질 아스팔트 0.3~8중량부를 포함하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선행기술 4 역시 신골재가 포함되고, 재생첨가제와 개질 아스팔트의 함유량이 많으며, 상기 재생첨가제는 유화아스팔트와 아크릴폴리머를 혼합한 조성물이고, 상기 개질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아민계 첨가제 및 개질재(황,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왁스, SBS 및 타이어 분말로 구성됨)로 구성된 것이어서 제조 공정과 설비가 간단하지 않고 제조 원가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4685호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6588호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시공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81861호 "재생첨가제가 함유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36479호 "상온 재생아스팔트 혼합물"
본 발명은 신골재 사용 없이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제조한 순환골재만을 사용하여 GF F 4026의 안정도, 흐름값, 공극률 기준을 충족시키고, 생산 원가가 저렴하며, 전형적인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색감이 발현되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제조한 순환골재 89~92중량부; 채움재 3.9~6.0중량부;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 0.7~1.0중량부; 및 물 4~5중량부; 를 포함하고,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상기 물 중량의 1/30~1/25 만큼 첨가되어, 경화 후에 안정도 10,000N 이상, 흐름값 0.1~0.5cm 및 공극률 3~12vol%의 조건이 충족되며, 상기 채움재는 시멘트 또는 석회석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분말재 0.1~2.2중량부, 주물 더스트 2.8~2.9중량부 및 폴리실리콘 슬러지 1.0~2.9중량부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순환골재는 직경 13~25mm 골재와 직경 13mm 미만 골재의 중량비가 1:0.6~1.2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골재는 전량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제조한 순환골재이므로 매우 친환경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다.
2. 본 발명은 상온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기술이므로 시공이 단순하고 시공비가 절감된다.
3.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생산 시에 가열공정이 생략되므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4. 본 발명은 도로포장 및 공장바닥 등의 포장 시에 가장 유효한 파라미터인 안정도, 흐름값 및 공극률을 최적정으로 확보할 수 있어 매우 안정적인 포장재로서 역할을 다 할 수 있다.
5. 가격이 저렴하고 접착성 및 탄성을 부여하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부여하고,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물성을 향상시킨다.
6. 주물 더스트 첨가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합성물의 색상을 어둡게 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느낌을 살려준다.
7. 산업부산물인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첨가하여, 산업부산물 재활용에 기여하고 경제적이며, 폴리실리콘 슬러지는 SiO2가 주성분인 광물성 재료로서 채움재 기능을 충실히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한 안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한 흐름값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한 공극률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품질표준인 GR F 4026에 따르면, 순환골재를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체 골재 중 KS F 2572 규정에 적합한 순환골재를 25wt% 이상 사용하되, 기층용 혼합물로는 70wt% 이하, 표층용 혼합물일 경우는 50wt% 이하로 사용하도록 한다. KS F 2572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재 아스팔트
함량(%)
구재 아스팔트 침입도
(25℃, 1/10mm)
씻기 시험에서
손실되는 양(%)
이물질 함유량(%)
유기이물질 무기이물질
3.8이상 20이상 5이하 1.0이하 1.0이하
위와 같이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골재 중 순환골재의 사용량은 그 상한이 정해져 있지만, 품질기준을 만족하고 감독자의 승인이 있을 경우엔 순환골재의 사용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골재의 전량을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제조한 순환골재로 적용하여, GR F 4026의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품질기준을 만족하도록 한 것이다.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품질은 KS F 2337에 따라 시험하며, 아래 [표 2]의 기준치를 만족해야 한다.
항 목 기 준 치
안정도(25℃, N) 3,500 이상
흐름값(1/100cm) 10~50
공극률(%) 3~12
이를 위해 상기 순환골재를 입도에 따라 직경 13~25mm 골재와 직경 13mm 미만 골재를 분리 선별하여, 직경 13~25mm 골재와 직경 13mm 미만 골재의 중량비가 1:0.6~1.2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골재의 바인더로 작용하는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는 GR F 4026의 MS(A)-2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아래 [표 3]의 품질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항 목 기 준
엥글러도(25℃, 점도) 3~40
체잔류분(1.18mm) 질량(%) 0.3 이하
부착도 -
골재피막도(40℃, 5분) -
조립도 골재 혼합성 -
밀입도 골재 혼합성 균등할 것
흙덩어리 골재 혼합성 질량(%) -
시멘트 혼합성 질량(%) -
입자의 전하 음(-)
저장안정도(24시간, 질량%) 1 이하
동결안정도(-5℃) -
증발 잔류분(wt%) 57 이상
증발
잔류물
침입도(℃, 1/10mm) 60~200
신도(15℃, cm) 40 이상
톨루엔 가용분(%) 97 이상
플로트 유지시간(60℃, 초) 1,200 이상
또한, 본 발명은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PVA)의 접착성 및 탄성을 이용한다. 이러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가격이 저렴하며, 물에 희석하여 혼합시킬 수 있어, 본 발명에서도 물에 희석(폴리비닐아세테이트:물 = 1:25~30)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상기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와 함께 바인더로 적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시멘트 또는 석회석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성된 분말재, 주물 더스트 및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포함하여 조성된 물질이 채움재로 적용되며, 이러한 채움재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3.9~6.0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채움재의 조성을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분말재 0.1~2.2중량부, 주물 더스트 2.8~2.9중량부 및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1.0~2.9중량부로 조성된다.
상기 채움재는 골재의 틈을 메워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안정성, 인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기층용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경우에는 유화 아스팔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과 반응하여 강도를 발현시키는 재료를 채움재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기층용으로 적용할 때에는 채움재로서 시멘트를 지양하고, 수분증발에 따른 골재와의 부착력 감소 및 탈락현상이 적은 석회석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움재에 포함되는 주물 더스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어두운 색상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물 더스트가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2.8~2.9중량부일 때 일반 아스콘과 유사한 색감이 나타난다.
상기 채움재에 포함되는 폴리실리콘 슬러지는 태양광 모듈재료인 폴리실리콘을 만들 때 부산물로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는 주성분이 SiO2이므로 전체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1.0~2.9중량부 적용할 때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 발현 및 압축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는 현재 주로 석산복구용 매립재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채움재로 사용하여 경제적, 환경적 이득을 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배합으로 조성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은 안정도 3,500N 이상, 흐름값 0.1~0.5cm 및 공극률 3~12vol%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상기 순환골재 89~92중량부; 시멘트 또는 석회석분 채움재 2.0~6.0중량부;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 0.7~1.0중량부; 및 물 4~5중량부; 로 배합하고,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상기 물 중량의 1/30~1/25 만큼 첨가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한 안정도, 흐름값 및 공극률 시험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 4] 내지 [표 5]와 같다.
실시예 순환골재
(13~25mm, 중량부)
순환골재
(13mm미만, 중량부)
채움재 PVA
(물 중량 대비)
MS(A)-2
(중량부)

(중량부)
시멘트
(중량부)
석회석분
(중량부)
주물
더스트
(중량부)
#1 56.7 35.2 2.85 - - 1/25 0.75 4.5
#2 56.7 35.2 2.85 - - 1/30 0.75 4.5
#3 54.6 37.3 - 2.85 - 1/25 0.75 4.5
#4 54.6 37.3 - 2.85 - 1/30 0.75 4.5
#5 42.6 46.4 2.85 - 2.9 1/25 0.75 4.5
#6 42.6 46.4 2.85 - 2.9 1/30 0.75 4.5
#7 42.6 46.4 - 2.85 2.9 1/25 0.75 4.5
#8 42.6 46.4 - 2.85 2.9 1/30 0.75 4.5
실시예 실측밀도 안정도(N) 흐름값(1/100cm) 공극률(vol%)
#1 2.116 16585 43 9.1
#2 2.158 21526 38 8.4
#3 2.107 14526 45 9.7
#4 2.139 16668 43 9.1
#5 2.113 21968 35 9.1
#6 2.161 24657 34 8.6
#7 2.112 18967 42 9.6
#8 2.159 22043 41 9.2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8 모두 GR F 4026의 안정도, 흐름값 및 공극률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래의 [표 6] 및 [표 7]은 폴리실리콘 슬러지 사용 여부에 따른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안정도, 흐름값, 공극률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순환골재
(13~25mm, 중량부)
순환골재
(13mm미만, 중량부)
채움재 MS(A)-2
(중량부)
물+PVA
(중량부. PVA는 물의 1/25)
시멘트+석회석분+주물 더스트 폴리실리콘 슬러지
#9 41.6 49.3 3.9 - 0.7 4.5
#10 41.6 49.3 2.9 1.0 0.7 4.5
실시예 밀도 안정도 흐름값 공극률
#9 2.180 31,555 44.3 9.4
#10 2.174 28,954 45.9 9.8
위의 [표 6] 및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9 및 #10 모두 GR F 4026의 안정도, 흐름값 및 공극률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다소간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해당없음

Claims (5)

  1.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제조한 순환골재 89~92중량부;
    채움재 3.9~6.0중량부;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 0.7~1.0중량부; 및
    물 4~5중량부; 를 포함하고,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상기 물 중량의 1/30~1/25 만큼 첨가되어,
    경화 후에 안정도 10,000N 이상, 흐름값 0.1~0.5cm 및 공극률 3~12vol%의 조건이 충족되며,
    상기 채움재는 시멘트 또는 석회석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분말재 0.1~2.2중량부, 주물 더스트 2.8~2.9중량부 및 폴리실리콘 슬러지 1.0~2.9중량부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2. 제1항에서,
    상기 순환골재는 직경 13~25mm 골재와 직경 13mm 미만 골재의 중량비가 1:0.6~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30269A 2015-03-04 2015-03-04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KR101546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69A KR101546506B1 (ko) 2015-03-04 2015-03-04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69A KR101546506B1 (ko) 2015-03-04 2015-03-04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506B1 true KR101546506B1 (ko) 2015-08-24

Family

ID=5406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269A KR101546506B1 (ko) 2015-03-04 2015-03-04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5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144B1 (ko) * 2017-11-22 2018-05-21 (주)한동알앤씨 긴급 도로 보수용 상온 아스콘 혼합물
KR101876434B1 (ko) * 2017-12-01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폴리머를 이용한 친환경 배수성 도로 포장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배수성 도로 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09342B1 (ko) * 2018-12-20 2019-08-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온 경화형 재활용 아스팔트 혼합물
KR20190128939A (ko) 2018-05-09 2019-11-19 (주)켐플러스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용 첨가제
KR20190135150A (ko) 2018-05-28 2019-12-0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에멀젼계 첨가제를 활용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
KR102159210B1 (ko) * 2020-06-22 2020-09-24 (주)로터스지이오 일액형 타입의 충진용 친환경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후 폐관 및 접합부 보수충진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259B1 (ko) * 2011-11-09 2012-05-04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폐아스콘 및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한 친환경성 상온 재생포장재 조성물
KR101181861B1 (ko) * 2012-05-30 2012-09-11 민경의 재생첨가제가 함유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KR101284685B1 (ko) * 2012-09-05 2013-07-16 대길환경산업(주)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259B1 (ko) * 2011-11-09 2012-05-04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폐아스콘 및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한 친환경성 상온 재생포장재 조성물
KR101181861B1 (ko) * 2012-05-30 2012-09-11 민경의 재생첨가제가 함유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KR101284685B1 (ko) * 2012-09-05 2013-07-16 대길환경산업(주)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144B1 (ko) * 2017-11-22 2018-05-21 (주)한동알앤씨 긴급 도로 보수용 상온 아스콘 혼합물
KR101876434B1 (ko) * 2017-12-01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폴리머를 이용한 친환경 배수성 도로 포장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배수성 도로 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28939A (ko) 2018-05-09 2019-11-19 (주)켐플러스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용 첨가제
KR20190135150A (ko) 2018-05-28 2019-12-0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에멀젼계 첨가제를 활용한 상온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
KR102009342B1 (ko) * 2018-12-20 2019-08-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온 경화형 재활용 아스팔트 혼합물
KR102159210B1 (ko) * 2020-06-22 2020-09-24 (주)로터스지이오 일액형 타입의 충진용 친환경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후 폐관 및 접합부 보수충진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506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KR101672823B1 (ko) 비휘발성 상온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비휘발성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
KR101977586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41259B1 (ko) 폐아스콘 및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한 친환경성 상온 재생포장재 조성물
KR101977585B1 (ko) Sis를 이용한 저소음 배수성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11046612B2 (en) Water-impermeable waterproof asphalt concrete composition comprising styrene isoprene styrene and method of constructing integrated water-impermeable waterproof asphalt concrete pavement using the method and mixing/feeding system
US11072708B2 (en) Asphalt concret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waterproof performance by comprising SIS, recycled asphalt aggregate, and fine powder aggregate with improved particle siz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84685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9964B1 (ko) Sis 및 재생고무분말을 이용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650781B (zh) 一种中低温温拌高摩阻薄层罩面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KR101566265B1 (ko) 순환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594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1977583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07052B1 (ko) Sebs를 포함하는 도로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93659B1 (ko) 개질 재활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
KR101360886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8674B1 (ko)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8825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12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68619B1 (ko)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2100421B1 (ko) Sis, sbs, 폐타이어 분말 및 개선된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포장침하 방지 및 지지력 확보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믹싱 시스템 투입 장비를 이용한 하부층 안정처리 시공방법
KR101125485B1 (ko) PS Ball을 포함하는 투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07726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믹싱 시스템 투입 장비를 이용한 일체형 불투수성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2077055B1 (ko)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이용한 중온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13B1 (ko) 폐타이어 분말을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