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854B1 -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854B1
KR102650854B1 KR1020210098054A KR20210098054A KR102650854B1 KR 102650854 B1 KR102650854 B1 KR 102650854B1 KR 1020210098054 A KR1020210098054 A KR 1020210098054A KR 20210098054 A KR20210098054 A KR 20210098054A KR 102650854 B1 KR102650854 B1 KR 10265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lder
insect screen
lifting body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494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우 filed Critical 김현우
Priority to KR1020210098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8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미닫이형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측부에는, 개방슬릿을 통해 창문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을 갖는 케이싱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창호프레임과; 상기 케이싱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회전력을 출력하는 토션샤프트, 토션샤프트에 권취되며 외력에 의해 개방슬릿의 외부로 당겨져 전개되는 방충시트, 방충시트의 선단부에 고정되되 케이싱 외부에서 개방슬릿에 걸린 상태로 대기하는 커넥터를 갖는 방충망과; 상기 창문에 설치되며,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홀더와; 홀더를 조작하여 커넥터에 대한 홀더의 결합을 결정하는 홀더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은,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창문에 대한 방충망의 연결과 분리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창문 개방 시 방충망을 전개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창문과 방충망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되므로, 풍압이 가해지더라도 방충망이 창문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Window system equipped with appearing and disappearing type insect screen}
본 발명은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의 개폐에 연동하여 전개 및 은폐가 가능한 방충망을 갖는,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공간을 외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창호는, 실내의 환기와 온도유지는 물론 채광 등의 중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건물의 미감이나 방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모양이나 작동 방식을 가지도록 개발되고 있다.
한편, 창문을 열어 놓을 경우, 각종 날벌레나 모기 등의 해충이 실내로 침투할 수 있으므로, 거의 모든 창호에는 방충망이 장착된다. 방충망은, 공기는 통과시키고 해충은 차단하는 망사형 시트로서, 창틀 프레임의 바깥쪽에 장착된다.
그런데, 방충망은, 창문을 열었을 때에는 바람을 통과시키고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등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는 하지만, 창문을 닫았을 때에는 실내 거주자의 시야만 가릴 뿐 사실상 필요가 없어진다. 창문을 열지 않는다면 방충망을 사용할 일이 없는 것이다. 더욱이 방충망이 붙박이로 사용되는 만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종 먼지 등에 오염되고 구멍이 뚫리는 등의 손상을 입게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충망을 롤스크린 식으로 적용한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가령,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8128호에는, 문틀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창문에 있어서, 창문의 일측 프레임에 구비되고, 일면에 수직으로 인출입공이 연장 형성된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고정축; 고정축 외경에 일측이 고정됨과 동시에 권취되고, 타측이 수직프레임의 인출입공 외부로 유출된 방충망; 방충망의 타단에 고정되고, 일면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부착부재가 돌설된 고정부재; 고정축의 중앙영역에 고정되고, 방충망 일측이 고정되어 방충망의 인출입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문틀에 구비되어 방충망의 인출시 방충망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창문용 방충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개시된 창문용 방충망은, 방충망의 전개된 상태가 단지 자기력으로 유지되므로, 가령 강풍에 의해 방충망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를 갖는다. 이를테면, 방충망에 풍압이 가해질 때 부착부재가 자성체로부터 분리되고, 이 순간 탄성부재의 작용으로, 방충망이 수직프레임 내부로 들어가 버리는 것이다. 또한 방충망이 창문의 프레임에 내장되므로 창문이 무겁고 개폐 동작 시 힘이 많이 든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8128호 (창문용 방충망)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6568호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창문에 대한 방충망의 연결과 분리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창문과 방충망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되므로 방충망이 창문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은, 미닫이형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측부에는, 개방슬릿을 통해 창문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을 갖는 케이싱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창호프레임과; 상기 케이싱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회전력을 출력하는 토션샤프트, 토션샤프트에 권취되며 외력에 의해 개방슬릿의 외부로 당겨져 전개되는 방충시트, 방충시트의 선단부에 고정되되 케이싱 외부에서 개방슬릿에 걸린 상태로 대기하는 커넥터를 갖는 방충망과; 상기 창문에 설치되며,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홀더와; 홀더를 조작하여 커넥터에 대한 홀더의 결합을 결정하는 홀더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문의 창틀 내부에는, 다수의 리시빙홀을 통해 상기 케이싱 방향으로 개방된 홀딩공간이 마련되며, 홀딩공간의 내부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되 상기 리시빙홀에 대응하는 홀더설치구를 갖는 고정판이 장착되고, 상기 홀더는; 홀더설치구 내에 고정되는 지지핀과, 지지핀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부채꼴의 형상을 취하는 부채꼴기어와, 부채꼴기어에 일체를 이루는 래치로 이루어진 걸쇠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창문이 닫힐 때 리시빙홀을 통과하여 걸쇠에 대응 배치되고, 걸쇠의 회전에 따라 래치가 걸림구멍에 끼워짐에 의해 홀더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홀딩공간은, 관통형 가이드슬릿을 통해 실내측으로도 개방되고, 홀더구동부는; 홀딩공간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부에, 부채꼴기어와 치합하는 랙기어부를 갖는 승강바디와, 승강바디에 고정되고 가이드슬릿을 통해 창틀 외부로 연장된 연장바와, 연장바의 단부에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승강바디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걸쇠의 래치는, 승강바디가 상승할 때 하향 회전하여 커넥터의 걸림구멍에 끼워지고, 승강바디가 하강할 때 상향 회전하여 걸림구멍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승강바디가 상사점에 도달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승강바디의 상단부에 고정된 승강자석과, 승강자석의 수직방향 상부에 장착되고, 승강바디가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승강자석과 결합하여, 승강바디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과, 홀더설치구에 내장되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판과, 제어기판에 연결되고, 승강바디가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접속되어, 제어기판으로 하여금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상부단자 및 하부단자와, 제어기판의 제어신호를 받아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발생부와, 창틀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제어기판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엘이디램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은,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창문에 대한 방충망의 연결과 분리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창문 개방 시 방충망을 전개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창문과 방충망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되므로, 풍압이 가해지더라도 방충망이 창문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이 적용된 창호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시스템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케이싱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의 케이싱에 설치되는 방충망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10)이 적용된 창호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벽체에 본 실시예의 창호시스템(10)이 시공되어 있다. 창호시스템(10)은, 보통의 창호와 같이, 창호프레임(20) 및 창문(30)을 포함하며, 일측 창문(30)의 측부에 방충망(70)을 갖는다.
방충망(7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타입의 방충망으로서, 창문(30)의 창틀(31)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선택적 고정이라 함은, 창문과 방충망을 연결할 수도 있고 분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창문(30)을 닫은 상태에서, 창틀(31)과 방충망(70)을 연결하면, 창문(30)을 화살표 c방향으로 개방할 때, 방충망(70)이 전개된다. 보이지 않던 방충망이 나타나 설치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창문(30)을 다시 닫으면 방충망(70)은 후술할 케이싱(21)으로 말려 들어간다.
또한 창문(30)을 닫은 상태에서, 창틀(31)과 방충망(70)을 분리하면, 창문을 화살표 c방향으로 개방할 때 방충망은 전개되지 않고 창문(30)만 개방된다.
창문(30)과 방충망(70)의 연결이나 분리는, 사용자가, 홀더구동부(50)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홀더구동부(50)의 일부인 슬라이더(53)를 화살표 a방향으로 올리면 방충망이 걸려 연결되고, 하부로 내리면 분리되는 것이다.
도 1의 도면부호 35k는 엘이디램프이다. 엘이디램프(35k)는 슬라이더(53)가 올라간 상태에서 점등된다. 야간에 실내에 실내등을 켜지 않더라도, 또한, 슬라이더(53)를 손으로 만져 올라가 있는지 내려가 있는지를 가늠하지 않더라도, 창문(30)과 방충망(70)이 연결된 상태인지를, 엘이디램프(35k)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시스템(10)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케이싱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a의 케이싱에 설치되는 방충망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10)은, 창호프레임(20), 방충망(70), 홀더(도 5의 40), 홀더구동부(도 5의 50)를 포함한다.
창호프레임(20)은, 벽체에 시공되는 사각틀로서, 다수의 창문(30)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 지지한다. 이를 위해 창호프레임(20)에는 창문(30)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레일(미도시)이 형성된다.
특히 창호프레임(20)의 우측 단부에는 케이싱(21)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21)은, 창호프레임(20)의 일부분으로서 내부에 수납공간(21c)을 갖는다. 수납공간(21c)은 방충망(70)을 수용하는 공간이며, 수직의 개방슬릿(21a)을 통해 창문(30) 측으로 개방된다.
케이싱(21)의 바닥과 천장에는 샤프트고정홈(21d)이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고정홈(21d)은 토션샤프트(71)의 상하단부가 끼워지는 홈이다. 케이싱(21)의 창문을 향하는 면은 대향면(21b)이다. 개방슬릿(21a)은 대향면(21b)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일정폭을 갖는다.
방충망(70)은 스스로 감기는 롤형 타입으로서, 토션샤프트(71), 방충시트(72), 커넥터(74)로 구성된다.
토션샤프트(71)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을 내장한 지지축으로서 상하단부가 샤프트고정홈(21d)에 고정된다.
방충시트(72)는 토션샤프트(71)에 권취된 상태로 대기하며, 외력에 의해, 가령, 도 2의 화살표 f방향으로 당겨질 때, 개방슬릿(21a)을 통해 외부로 풀려 나간다. 방충시트(72)를 당기던 인장력을 제거하면, 토션샤프트(71)의 작용에 의해 케이싱(21) 내부로 딸려 들어가 자동으로 권취된다.
방충시트(72)는 메쉬본체(72b)와 마감테두리(72a)로 구성된다. 메쉬본체(72b)는 일반적인 방충망과 같은 메시(mesh)를 갖는 그물망이다. 마감테두리(72a)는 메쉬본체(72b)의 테두리부를 마감하는 마감재이다.
커넥터(74)는 방충시트(72)의 선단부에 상하로 고정된 부재로서, 대략 사각판의 형상을 취하며 중앙에 걸림구멍(74a)을 갖는다. 커넥터(7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슬릿(21a)의 폭보다 큰 사이즈를 가져, 대향면(21b)에 걸린 상태로 대기한다.
한편, 창문(30)은 사각의 창틀(31)과 유리(33)로 구성되며 창호프레임(20)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개폐된다.
특히 한쪽 창문(30)의 창틀(31) 내부에는 홀딩공간(31f)이 마련되어 있다. 홀딩공간(31f)은 속이 빈 공간으로서 리시빙홀(31k)을 통해 케이싱(21) 방향으로 개방된다. 리시빙홀(31k)은 창문(30)을 닫은 상태에서 커넥터(74)를 받아들인다. 즉 창문(30)을 닫아 케이싱(21)에 밀착시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74)가 홀딩공간(31f)에 수용되는 것이다.
아울러, 창틀(31)의 내향면, 즉,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에는 가이드슬릿(도 2의 31c)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슬릿(31c)은 홀딩공간(31f)을 개방하는 관통형 구멍으로서 연장바(도 1의 53a)를 통과시킨다.
홀딩공간(31f)의 내부에는 고정판(31g)이 구비된다. 고정판(31g)은 수직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두 개의 홀더설치구(31h)를 갖는다. 홀더설치구(31h)는 후술할 홀더(4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리시빙홀(31k)과 일대일 대응한다.
홀더(40)는, 홀더설치구(31h)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홀딩공간(31f)으로 진입한 커넥터(74)와 결합함으로써, 창문(30)과 방충망(70)이 연결되도록 한다.
홀더(40)는, 지지핀(41)과 걸쇠(43)를 포함한다. 지지핀(41)은 홀딩공간(31f)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걸쇠(4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걸쇠(43)는 지지핀(41)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부재로서, 부채꼴기어(43c)와 래치(43a)를 갖는다. 부채꼴기어(43c)는 90도의 사이각을 갖는 부채꼴형 부재의 외주면에 기어이(43d)를 형성한 것으로서, 후술할 승강바디(51)의 랙기어부(51a)에 치합한다.
래치(43a)는 부채꼴기어(43c)에 일체를 이루며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취한다. 래치(43a)는 도 5의 화살표 g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커넥터(74)의 걸림구멍(74a)에 끼워진다.
홀더구동부(50)는, 걸쇠(43)를 도 5의 화살표 g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거나, (커넥터(74)에 결합하고 있는) 걸쇠(43)를 도 7의 화살표 h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홀더구동부(50)는, 승강바디(도 5의 51), 연장바(53a), 슬라이더(53)를 구비한다.
승강바디(51)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사각봉 형태의 부재로서, 홀딩공간 내에서 고정판(31g)에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즉, 고정판(31g)에 밀착한 상태로 승강하는 것이다. 승강바디(51)의 승강은 사용자에 의해 인력으로 이루어진다.
승강바디(51)에는 두 개의 랙기어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랙기어부(51a)는 부채꼴기어(43c)의 기어이(43d)에 치합한다. 걸쇠(43)는 승강바디(51)의 수직방향 승강운동에 의해 회전한다.
연장바(53a)는 승강바디(51)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가이드슬릿(31c)을 통과하여 수평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단부에 슬라이더(53)를 갖는다. 슬라이더(53)는 창틀(31)의 외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이다. 말하자면 슬라이더(53)를 손으로 잡고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것이다. 슬라이더(53)를 위로 올리면 창문(30)과 방충망(70)이 연결되고, 아래로 내리면 분리된다.
한편, 창문(30)에는 승강바디(51)가 상사점에 도달했음을 알려주는 신호발생부(35)가 더 설치된다. 래치(43a)는 승강바디(51)가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하향 회전하여 커넥터(74)와 결합하고, 하사점에 도달했을 때에는 도 5의 상태가 된다. 신호발생부(35)를 통해 걸쇠(43)가 커넥터(74)에 걸려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신호발생부(35)는, 승강자석(35b), 고정자석(35a), 제어기판(35d), 상하부단자(35a,35b), 음향발생부(35f), 배터리(35h), 엘이디램프(35k)를 구비한다.
승강자석(35b)은 승강바디(51)의 상단부에 고정된 영구자석이고, 고정자석(32a)은 승강자석(35b)의 수직방향 상부에 설치된 영구자석이다. 고정자석(32a)은 승강바디(51)가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승강자석(32b)과 결합하여, 승강바디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고정자석(32a)과 승강자석(32b)이 인력(引力)관계에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부단자(35a)는 고정자석(32a)의 저면에 위치하고, 하부단자(35b)는 승강자석(32b)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부단자(35a)와 하부단자(35b)는 제어기판(35d)에 각각 접속되며, 고정자석(32a)과 승강자석(32b)이 결합했을 때 접속된다. 고정자석(32a)과 승강자석(32b)은 물리적으로 밀착하지 않지만, 자기력에 의해 상하부단자(35a,35b)가 접속하도록 작용한다.
제어기판(35d)은 상부단자(35a)와 하부단자(35b)가 접속했을 때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음향발생부(35f)와 엘이디램프(35k)를 동작시킨다. 즉, 음향발생부(35f)가 음향을 출력하게 하고, 엘이디램프(35k)가 점등되어 빛을 조사하게 하는 것이다. 배터리(35h)는 신호발생부(35)가 동작할 때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창문(30)이 개방되어 있고, 승강바디(51)가 하강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당연히, 걸쇠(43)의 래치(43a)는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창문(30)을 화살표 P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1)의 대향면(21b)이 창틀(31)과 접하고, 커넥터(74)가 리시빙홀(31k)을 통해 홀딩공간(31f) 내에 진입한다.
창문(30)을 다시 개방할 때에는 슬라이더(53)를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올릴 수도 있고, 아니면 내려가 있는 상태로 놔둘 수 있다. 방충망(70)을 전개시키려면 슬라이더를 올리고, 창문(30)만 개방하려면 슬라이더(53)를 놔둔다.
도 7은 슬라이더(53)를 상승시켜 홀더(40)와 커넥터(74)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43a)가 커넥터(74)에 결합한 상태에서 창문(30)을 개방하면, 방충시트(72)가 창문(30)에 의해 인장되며 케이싱(21)으로부터 인출된다. 창문이 개방됨과 동시에 방충망이 자동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창호시스템 20:창호프레임 21:케이싱
21a:개방슬릿 21b:대향면 21c:수납공간
21d:샤프트고정홈 30:창문 31:창틀
31c:가이드슬릿 31f:홀딩공간 31g:고정판
31h:홀더설치구 31k:리시빙홀 32a:고정자석
32b:승강자석 40:홀더 41:지지핀
43:걸쇠 43a:래치 43c:부채꼴기어
43d:기어이 50:홀더구동부 51:승강바디
51a:랙기어부 53:슬라이더 53a:연장바
70:방충망 71:토션샤프트 72:방충시트
72a:마감테두리 72b:메쉬본체 74:커넥터
74a:걸림구멍

Claims (4)

  1. 삭제
  2. 미닫이형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측부에는, 개방슬릿을 통해 창문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을 갖는 케이싱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창호프레임과; 상기 케이싱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회전력을 출력하는 토션샤프트, 토션샤프트에 권취되며 외력에 의해 개방슬릿의 외부로 당겨져 전개되는 방충시트, 방충시트의 선단부에 고정되되 케이싱 외부에서 개방슬릿에 걸린 상태로 대기하는 커넥터를 갖는 방충망과; 상기 창문에 설치되며,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홀더와; 홀더를 조작하여 커넥터에 대한 홀더의 결합을 결정하는 홀더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문의 창틀 내부에는, 다수의 리시빙홀을 통해 상기 케이싱 방향으로 개방된 홀딩공간이 마련되며, 홀딩공간의 내부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되 상기 리시빙홀에 대응하는 홀더설치구를 갖는 고정판이 장착되고,
    상기 홀더는; 홀더설치구 내에 고정되는 지지핀과, 지지핀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부채꼴의 형상을 취하는 부채꼴기어와, 부채꼴기어에 일체를 이루는 래치로 이루어진 걸쇠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창문이 닫힐 때 리시빙홀을 통과하여 걸쇠에 대응 배치되고, 걸쇠의 회전에 따라 래치가 걸림구멍에 끼워짐에 의해 홀더와 결합하는,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공간은, 관통형 가이드슬릿을 통해 실내측으로도 개방되고,
    홀더구동부는;
    홀딩공간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부에, 부채꼴기어와 치합하는 랙기어부를 갖는 승강바디와,
    승강바디에 고정되고 가이드슬릿을 통해 창틀 외부로 연장된 연장바와,
    연장바의 단부에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승강바디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래치는,
    승강바디가 상승할 때 하향 회전하여 커넥터의 걸림구멍에 끼워지고, 승강바디가 하강할 때 상향 회전하여 걸림구멍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승강바디가 상사점에 도달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승강바디의 상단부에 고정된 승강자석과,
    승강자석의 수직방향 상부에 장착되고, 승강바디가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승강자석과 결합하여, 승강바디의 상승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과,
    홀더설치구에 내장되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판과,
    제어기판에 연결되고, 승강바디가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접속되어, 제어기판으로 하여금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상부단자 및 하부단자와,
    제어기판의 제어신호를 받아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발생부와,
    창틀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제어기판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엘이디램프를 더 포함하는,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KR1020210098054A 2021-07-26 2021-07-26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KR10265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54A KR102650854B1 (ko) 2021-07-26 2021-07-26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54A KR102650854B1 (ko) 2021-07-26 2021-07-26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94A KR20230016494A (ko) 2023-02-02
KR102650854B1 true KR102650854B1 (ko) 2024-04-12

Family

ID=8522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054A KR102650854B1 (ko) 2021-07-26 2021-07-26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8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906Y1 (ko) * 2000-07-03 2000-12-01 이상철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KR100938505B1 (ko) 2009-03-13 2010-01-25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2098676B1 (ko) 2017-03-14 2020-04-08 (주)엘지하우시스 보안성 및 위생성 개선을 위한 미서기 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28Y1 (ko) 2000-10-30 2001-03-15 조성수 창문용 방충망
KR200457717Y1 (ko) * 2008-12-24 2012-01-03 (주)인익스 롤방충망 장치
KR102426568B1 (ko) 2019-12-16 2022-07-28 권금주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906Y1 (ko) * 2000-07-03 2000-12-01 이상철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KR100938505B1 (ko) 2009-03-13 2010-01-25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102098676B1 (ko) 2017-03-14 2020-04-08 (주)엘지하우시스 보안성 및 위생성 개선을 위한 미서기 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94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91B1 (ko) 친환경 기능성 창호
KR102283214B1 (ko) 다용도 롤러블 스크린 칸막이
US20170275944A1 (en) Window Screen Systems
KR102650854B1 (ko) 출몰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시스템
KR100952573B1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1896260B1 (ko)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KR101170280B1 (ko) 차양 및 빗물 유입방지 기타 사생활보호 및 방범을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된 방충망
KR20210076568A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KR101132145B1 (ko) 롤 방충망의 개폐수단을 갖는 창호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CN211038323U (zh) 多段展收的下悬窗结构组合
CN210508982U (zh) 铝合金翻转百叶系统
KR20040092401A (ko) 창문용 블라인드
CN211173688U (zh) 一种防盗玻璃门
CN114631725B (zh) 一种带有无线监控设备的智能家居
CN219264227U (zh) 一种多功能玄关灯
KR100523248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100925815B1 (ko) 방충망이 설치된 자유개폐형 미닫이 창호
CN117780009B (zh) 一种装配式吊顶设备智能控制系统
KR200332661Y1 (ko) 방충망 이탈 방지 장치
CN213144234U (zh) 一种具有智能开关功能的门窗
CN215632637U (zh) 一种门窗感测装置
CN218265273U (zh) 一种具有防虫功能的户外帐篷
CN213014929U (zh) 一种吊顶设备的装饰罩壳、新风机组件
CN220319426U (zh) 一种建筑室内智慧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