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699B1 -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699B1
KR102650699B1 KR1020190009414A KR20190009414A KR102650699B1 KR 102650699 B1 KR102650699 B1 KR 102650699B1 KR 1020190009414 A KR1020190009414 A KR 1020190009414A KR 20190009414 A KR20190009414 A KR 20190009414A KR 102650699 B1 KR102650699 B1 KR 10265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ump
bypass
pipe
monitoring device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187A (ko
Inventor
한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6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2Multi-stage pumps
    • F04D19/04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to the production of a high vacuum, e.g. molecula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9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bleeding, by passing or recycling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D2270/301Pressure
    • F05D2270/3015Pressure differential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진공 펌프; 상기 진공 펌프에 연결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는 모니터링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우회하는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 관;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는 진공 펌프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System for vacuum pump, method for vacuum pump monitoring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펌프의 고장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는 여러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도체 공정에는 증착, 식각 등 다양한 공정이 존재할 수 있다. 각 공정들은 특수한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착 공정은 진공 환경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증착 공정의 진행을 위해, 공정 챔버 내부를 실질적인 진공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공정 챔버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진공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진공 펌프의 고장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웨이퍼의 손상을 방지하여 공정 수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은 진공 펌프; 상기 진공 펌프에 연결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는 모니터링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우회하는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 관;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은 연결관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 및 상기 연결관에 결합된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것; 을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우회하는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 관;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은 연결관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 및 상기 연결관에 결합된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것;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은 공정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공정 챔버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반도체 공정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우회하는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 관;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진공 펌프의 고장을 미리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웨이퍼의 손상을 방지하여 공정 수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에서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에서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에서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에서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의 우측 방향을 제1 방향(D1), 윗 방향을 제2 방향(D2),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3 방향(D3)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진공 펌프 시스템은 진공 펌프(1), 연결관(3), 모니터링 장치(5), 및 배기 처리 장치(9)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진공 펌프 시스템은 제어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펌프 시스템은 공정 챔버(7)에 연결될 수 있다.
진공 펌프(1)는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 진공 펌프(1)에 의해 공정 챔버(7)의 내부는 실질적인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펌프라는 용어는, 액체, 기체 및 기타 입자들의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연결관(3)은 진공 펌프(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3)은 제1 연결관(31) 및 제2 연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관(31)은 공정 챔버(7)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관(31)은 진공 펌프(1)와 공정 챔버(7)를 연결시킬 수 있다. 진공 펌프(1)는 제1 연결관(31)을 통해 공정 챔버(7) 내의 입자를 흡입할 수 있다. 공정 챔버(7)에서 나온 유체는 제1 연결관(31)을 통해 진공 펌프(1)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연결관(33)은 배기 처리 장치(9)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관(33)은 진공 챔버(1)와 배기 처리 장치(9)를 연결시킬 수 있다. 진공 챔버(1)에서 나온 유체는 제2 연결관(33)을 통해 배기 처리 장치(9)로 유동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5)는 연결관(3)에 결합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5)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모니터링 장치(5)는 제1 모니터링 장치(51) 및 제2 모니터링 장치(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니터링 장치(51)는 제1 연결관(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장치(53)는 제2 연결관(33)에 결합될 수 있다.
배기 처리 장치(9)는 배기 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배기 처리 장치(9)는 진공 펌프(1)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배기 처리 장치(9)는 제2 연결관(33)을 매개로 진공 펌프(1)에 연결될 수 있다. 진공 펌프(1)에서 나온 유체 및 기타 입자들은 제2 연결관(33)을 통해 배기 처리 장치(9)로 유입될 수 있다.
제어부(C)는 진공 펌프(1) 및 공정 챔버(7)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C)는 모니터링 장치(5)로부터 압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C)는 모니터링 장치(5)로부터 수신한 압력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진공 펌프(1) 및/또는 공정 챔버(7)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공정 챔버(7)는 공정이 진행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공정은 반도체 제조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공정 챔버(7)의 안에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공정 챔버(7)의 안에서 증착 공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공정 챔버(7)의 내부는 실질적인 진공 상태에 가깝게 유지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공정 챔버(7)는 진공 펌프(1)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공정 챔버(7)는 제1 연결관(31)을 매개로 진공 펌프(1)에 연결될 수 있다. 진공 펌프(1)의 작동에 의해, 공정 챔버(7) 내부의 유체 및 기타 입자들은 공정 챔버(7)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공정 챔버(7)는 실질적인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에서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진공 펌프는 하우징(11) 및 회전체(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진공 펌프의 몸체일 수 있다. 하우징(11)은 회전체(1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회전체(13)를 감쌀 수 있다. 회전체(13)는 하우징(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회전체(13)는 회전할 수 있다. 회전체(13)는 회전할 수 있는 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회전체(13)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회전체들(13)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회전체들(13)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회전체(13)는 주철석, 니켈, 주철석-니켈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회전체(13)는 니켈로 도금될 수 있다.
회전체(13)는 하우징(11)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회전체(13)의 제1 외면(131)은 하우징(11)의 제1 내면(111)와 제1 거리(x)만큼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회전체(13)의 제2 외면(133)은 하우징(11)의 제2 내면(113)와 제2 거리(y)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거리(x) 및 제2 거리(y)는 좁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1 거리(x) 및 제2 거리(y)는 하우징(11)의 두께보다 좁을 수 있다. 회전체(13)가 하우징(11)의 내면과 이격됨에 따라, 회전체(13)와 하우징(11) 사이에는 유체 등이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의 단면적은 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로의 단면적은 하우징(1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회전체(13)가 회전하면, 공정 챔버(7)의 내부에 있는 유체 및 입자 등이 진공 펌프로 흡입될 수 있다. 회전체(13)가 계속 회전하면, 진공 펌프 내로 흡입된 유체 및 입자 등은 배기 처리 장치(9)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회전체(13)와 하우징(11)이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유체 및 입자 등이 회전체(13)와 하우징(11) 사이로 유동할 수 있다.
회전체(13)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체(13) 및 하우징(11) 등의 온도는 상승될 수 있다. 회전체(13)의 회전에 의해, 공정 챔버(7)의 내부의 유체 및 입자가 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유체 및 입자는 부식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식성 물질에 의해 하우징(11)의 내면 및 회전체(13)의 외면은 부식될 수 있다. 회전체(13) 및 하우징(11) 등의 온도가 높으면, 부식성 물질에 의한 부식은 더욱 빨라질 수 있다. 부식이 진행되면, 회전체(13)와 하우징(11) 사이의 거리는 줄어들 수 있다. 제1 거리(x) 및 제2 거리(y)는 좁아질 수 있다. 유체 및 입자 등이 지나가는 통로는 좁아질 수 있다. 부식이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되면, 유체 및 입자 등이 지나가는 통로가 매우 좁아질 수 있다. 진공 펌프는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공정 챔버(7)에 대한 흡입 작업은 중단될 수 있다. 공정 챔버(7)의 내부는 진공 상태로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공정 챔버(7)의 내부 압력은 높아질 수 있다. 공정 챔버(7)의 내부에 유체 및 입자 등이 많아질 수 있다. 공정 챔버(7)의 내부에서 수행되던 공정은 방해 받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공정 챔버(7)의 내부에 웨이퍼 등이 배치된 경우, 유체 및 입자 등에 의해 웨이퍼 등은 손상될 수 있다. 웨이퍼가 복수 개가 배치된 경우, 복수 개의 웨이퍼가 모두 손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에서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모니터링 장치(51)는 바이패스 관(511) 및 압력 센서(51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1 모니터링 장치(51)는 가열장치(5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관(511)은 제1 연결관(31)에 결합될 수 있다. 바이패스 관(511)의 내부 공간은 제1 연결관(3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바이패스 관(511)은 제1 연결관(31)을 우회할 수 있다. 제1 연결관(31)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 등은 바이패스 관(511)의 내부 공간을 따라 우회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바이패스 관(511)은 제1 바이패스 관(5111), 측정관(5113) 및 제2 바이패스 관(5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 관(5111)은 제1 연결관(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관(31)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 등은 제1 바이패스 관(51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 관(5111)의 연장 방향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이패스 관(5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바이패스 관(5111)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측정관(5113)은 제1 바이패스 관(51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 관(5111)으로 유입된 유체 등은 측정관(5113)으로 흐를 수 있다. 측정관(5113)의 내부 공간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측정관(5113)의 내부 공간의 단면은 사각형 및/또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측정관(5113)의 내부 공간의 직경은 제3 거리(z)일 수 있다. 제3 거리(z)는 제1 거리(x, 도 2 참고) 및/또는 제2 거리(y)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측정관(5113)의 단면적은, 하우징(11, 도 2 참고)과 회전체(13) 사이의 통로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측정관(5113)의 단면적은 하우징(11)과 회전체(13) 사이의 통로의 단면적의 80~90% 일 수 있다. 측정관(5113)은 회전체(1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측정관(5113)은 주철석, 니켈, 주철석-니켈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측정관(5113)의 내벽은 니켈로 도금될 수 있다.
제2 바이패스 관(515)은 측정관(5113)과 제1 연결관(31)을 연결할 수 있다. 측정관(5113) 내의 유체 등은 제2 바이패스 관(515)을 통해 제1 연결관(31)으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압력 센서(513)는 바이패스 관(511)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513)는 측정한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C)로 전송할 수 있다. 압력 센서(513)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압력 센서(513)는 제1 압력 센서(5131) 및 제2 압력 센서(5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31)는 제1 바이패스 관(51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31)는 제1 바이패스 관(5111)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33)는 제2 바이패스 관(51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33)는 제2 바이패스 관(5113)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관(5113)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에 각각 압력 센서(5131, 5133)가 배치되면, 유체 등이 측정관(5113)의 내부 공간을 지나면서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가열장치(515)는 바이패스 관(511)을 가열시킬 수 있다. 가열장치(515)는 측정관(5113)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가열장치(515)는 측정관(5113)을 가열시킬 수 있다. 가열장치(515)의 가열에 의해, 측정관(5113)의 내부 공간의 온도는 상승될 수 있다. 가열장치(515)는 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가열장치(515)는 측정관(5113)의 온도가 하우징(11, 도 2 참고) 및 회전체(13)의 온도에 근접하도록 측정관(5113)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관(5113)의 내부 공간의 환경은 하우징(11) 및 회전체(13)의 사이에 제공되는 통로의 환경과 유사해질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2 모니터링 장치(53)는 제1 모니터링 장치(51)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S)은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S1), 압력을 측정하는 것(S2), 압력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S3), 신호를 해석하는 것(S4) 및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펌프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S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기준으로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고하여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S)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S1)에서 제어부(C)가 진공 펌프(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C)의 제어에 의해 진공 펌프(1)가 작동할 수 있다. 진공 펌프(1)가 작동하면 회전체(13, 도 2 참고)가 회전할 수 있다. 회전체(13)가 회전하면 공정 챔버(7)의 내부에 있는 유체 및 입자 등이 진공 펌프(1)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정 챔버(7)의 내부에 있는 유체 및 입자 등은 제1 연결관(31)을 통과하여 진공 펌프(1)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 및 입자 등의 일부는 제1 연결관(31)을 통과할 때, 모니터링 장치(5)로 우회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유체 등의 일부는 제1 바이패스 관(5111), 측정관(5113) 및 제2 바이패스 관(5115)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바이패스 관(5115)을 통과한 유체 등은 다시 제1 연결관(31)을 통해 진공 펌프(1)로 들어갈 수 있다. 유체 등은 회전체(13)와 하우징(11) 사이의 통로를 지나 제2 연결관(3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연결관(33)을 지나는 유체 등의 일부는 제2 모니터링 장치(53)로 우회하여 유동할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장치(53)로 우회하는 과정은 제1 모니터링 장치(51)로 우회하는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장치(53)를 빠져 나온 유체 등은 제2 연결관(33)을 통해 배기 처리 장치(9)로 유입될 수 있다.
압력을 측정하는 것(S2)에서 모니터링 장치(5)를 지나는 유체의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바이패스 관(5111)을 지나는 유체의 압력이 제1 압력 센서(513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제2 바이패스 관(5115)을 지나는 유체의 압력이 제2 압력 센서(5133)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장치(53, 도 1 참고)에서도 제1 모니터링 장치(51)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압력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압력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S3)에서 압력 센서(513)는 제어부(C, 도 1 참고)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압력 센서(5131)는 제1 바이패스 관(5111)을 지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부(C)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133)는 제2 바이패스 관(5115)을 지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부(C)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C)는 제1 바이패스 관(5111) 및 제2 바이패스 관(5115)의 내부의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장치(53)는 제어부(C)에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2 모니터링 장치(53)는 제1 모니터링 장치(51)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부(C)에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신호를 해석하는 것(S4)에서 제어부(C)는 제1 모니터링 장치(51)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제어부(C)는 제1 압력 센서(5131)로부터 받은 제1 바이패스 관(5111)의 내부 압력에 대한 정보와, 제2 압력 센서(5133)로부터 받은 제2 바이패스 관(5115)의 내부 압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관(5113)에서 발생하는 압력 강하에 대해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C)는 제2 바이패스 관(5115)의 내부 압력과 제1 바이패스 관(5111)의 내부 압력의 차이를 계산하여 측정관(5113)에서 발생하는 압력 강하에 대해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C)는 제2 모니터링 장치(53)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장치(53)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해석하는 것은, 제1 모니터링 장치(51)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해석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공정을 중단시키는 것(S5)에서 제어부(C)는 이상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C)는 신호를 해석하는 것(S4)에서 이상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이상 신호는 제1 압력 센서(5131), 제2 압력 센서(5133) 및/또는 제2 모니터링 장치(53)의 압력 센서들에서 전송되는 압력에 대한 정보가 비정상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압력에 대한 정보가 비정상적이라는 것은 압력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거나, 압력이 일정 수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C)는 공정 챔버(7) 등을 제어하여 공정을 중단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C)는 이상 신호가 감지되는 시점에서 수행되던 공정까지만 진행하고, 그 다음 공정을 진행하지 아니할 수 있다. 공정 챔버(7)에는 더 이상 웨이퍼 등이 공급되지 아니할 수 있다.
공정이 중단되면 진공 펌프를 교체할 수 있다. 진공 펌프가 교체될 때 모니터링 장치도 같이 교체될 수 있다. 진공 펌프 및 모니터링 장치가 교체되면, 공정은 다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은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측정관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는 진공 펌프의 앞부분 및/또는 뒷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측정관의 내벽은 진공 펌프의 회전체 및/또는 하우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관의 내벽에 부산물이 흡착, 증착 및/또는 부식되는 속도는 진공 펌프의 통로에 부산물이 흡착, 증착 및/또는 부식되는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측정관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가열장치의 가열에 의하여, 측정관은 진공 펌프의 내부의 온도와 유사하게 가열될 수 있다. 부산물이 흡착, 증착 및/또는 부식되는 속도는 온도에 의존적일 수 있다. 따라서 측정관의 온도를 진공 펌프의 온도와 유사하게 유지하면, 측정관이 부산물에 의해 흡착, 증착 및/또는 부식되는 속도와 진공 펌프의 통로가 부산물에 의해 흡착, 증착 및/또는 부식되는 속도는 유사해질 수 있다.
측정관의 단면적은 진공 펌프의 통로의 단면적과 유사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펌프의 통로가 흡착, 증착 및/또는 부식에 의하여 막히기 전에, 측정관이 먼저 흡착, 증착 및/또는 부식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측정관의 전후에 압력 센서를 배치하면, 측정관이 막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측정관이 막히는 경우, 진공 펌프의 통로도 곧 막힐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관이 막히는 것이 감지되면, 감지되는 시기에 수행되던 공정까지만 진행하고, 그 다음 공정을 진행하지 아니할 수 있다. 공정 챔버에는 더 이상 웨이퍼 등이 공급되지 아니할 수 있다. 진공 펌프가 고장 나기 전에 미리 공정을 중단시키므로, 공정 중간에 진공 펌프가 고장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 진행 중에 진공 펌프가 고장 나서 공정 챔버에 배치된 웨이퍼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웨이퍼 등의 제조 수율은 향상될 수 있다. 웨이퍼가 손상되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의 가격은 하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모니터링 장치가 진공 펌프의 앞쪽과 뒤쪽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펌프의 고장에 대한 예측의 정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에서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에서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모니터링 장치는 조절장치(5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장치(517)는 측정관(5113)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절장치(517)는 측정관(5113)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조절장치(517)는 측정관(5113)의 상부(5113a)를 하강시켜 하부(5113b)와의 거리를 가깝게 만들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측정관(5113)의 상부(5113a)와 측정관(5113)의 하부(5113b) 사이의 거리는 제3-1 거리(z')일 수 있다. 제3-1 거리(z')는 제3 거리(z, 도 6 참고)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조절장치(517)에 의해 상부(5113a)가 하강하면, 측정관(5113)의 단면적은 좁아질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조절장치(517)는 나사 돌림 방식으로 측정관(5113)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조절장치(517)는 측정관(5113)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른 다양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측정관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진공 펌프마다 통로의 단면적이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만으로 다양한 진공 펌프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 펌프의 통로의 단면적이 보다 작은 경우,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측정관의 단면적을 좁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펌프의 통로의 형상을 보다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다.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로 여러 종류의 진공 펌프를 모사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조절장치에 의해 측정관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만으로 다양한 단면적을 구현하여, 해당 진공 펌프의 고장 예측에 최적화된 측정관의 단면적을 찾는 실험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진공 펌프의 고정 예측은 더욱 정확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진공 펌프
11: 하우징
111: 제1 내면
113: 제2 내면
13: 회전체
131: 제1 외면
133: 제2 외면
3: 연결관
31: 제1 연결관
33: 제2 연결관
5: 모니터링 장치
51: 제1 모니터링 장치
511: 바이패스 관
5111: 제1 바이패스 관
5113: 측정관
5115: 제2 바이패스 관
513: 압력 센서
5131: 제1 압력 센서
5133: 제2 압력 센서
515: 가열장치
517: 조절장치
53: 제2 모니터링 장치
7: 공정 챔버
9: 배기 처리 장치
C: 제어부

Claims (10)

  1. 진공 펌프;
    상기 진공 펌프에 연결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는 모니터링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우회하는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 관;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관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된 제1 바이패스 관;
    상기 제1 바이패스 관의 후단에 연결되는 측정관;
    상기 측정관의 후단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하는 제2 바이패스 관; 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관의 단면적은 상기 진공 펌프의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진공 펌프의 회전체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진공 펌프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제1 압력 센서 및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바이패스 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바이패스 관에 연결되는 진공 펌프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측정관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진공 펌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관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는 진공 펌프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진공 펌프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 연결관; 및 상기 진공 펌프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2 연결관; 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제1 연결관에 결합되는 제1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제2 연결관에 결합되는 제2 모니터링 장치; 를 포함하는 진공 펌프 시스템.
  8. 연결관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 및
    상기 연결관에 결합된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것; 을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우회하는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 관;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바이패스 관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된 제1 바이패스 관;
    상기 제1 바이패스 관의 후단에 연결되는 측정관; 및
    상기 측정관의 후단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하는 제2 바이패스 관; 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관의 단면적은 상기 진공 펌프의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진공 펌프의 회전체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부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를 해석하는 것;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공정을 중단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10. 연결관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 및
    상기 연결관에 결합된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것;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은 공정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공정 챔버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반도체 공정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우회하는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 관;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바이패스 관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된 제1 바이패스 관;
    상기 제1 바이패스 관의 후단에 연결되는 측정관;
    상기 측정관의 후단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하는 제2 바이패스 관; 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관의 단면적은 상기 진공 펌프의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진공 펌프의 회전체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90009414A 2019-01-24 2019-01-24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65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414A KR102650699B1 (ko) 2019-01-24 2019-01-24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414A KR102650699B1 (ko) 2019-01-24 2019-01-24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187A KR20200092187A (ko) 2020-08-03
KR102650699B1 true KR102650699B1 (ko) 2024-03-22

Family

ID=7204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414A KR102650699B1 (ko) 2019-01-24 2019-01-24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6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664A (ko) 2021-07-14 2023-01-25 엔셀 주식회사 진공펌프 관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진공펌프 관리 방법
KR20230072255A (ko) 2021-11-17 2023-05-24 엔셀 주식회사 진공펌프의 고장 진단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9099A (ja) * 2001-11-01 2003-05-14 Yamatatsugumi:Kk サイホン作用による送水装置及びその水流制御装置
JP2015194421A (ja) * 2014-03-31 2015-11-05 日立金属株式会社 質量流量計、及び当該質量流量計を使用する質量流量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32B1 (ko) * 2001-09-05 2004-06-30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장비의 배기 구조
KR100609863B1 (ko) * 2004-07-26 2006-08-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반도체 제조용 반응공정 진단시스템
US8097133B2 (en) * 2005-07-19 2012-01-17 Applied Materials, Inc. Evacuable magnetron cha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9099A (ja) * 2001-11-01 2003-05-14 Yamatatsugumi:Kk サイホン作用による送水装置及びその水流制御装置
JP2015194421A (ja) * 2014-03-31 2015-11-05 日立金属株式会社 質量流量計、及び当該質量流量計を使用する質量流量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187A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699B1 (ko) 진공 펌프 시스템, 진공 펌프 모니터링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TW202113152A (zh) 氣相反應器系統
JP5395451B2 (ja) 流量コントローラ
US8590561B2 (en) Pressure sensor, differential pressure type flow meter, and flow rate controller
EP2144043B1 (en) Differential-pressure flow meter and flow-rate controller
JP2011064707A (ja) ガス流量検定ユニット
CN107251200B (zh) 基板处理装置
KR100387524B1 (ko) 반도체 웨이퍼 위치 상태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설비 및 그에 따른 웨이퍼 위치 상태 감지방법
AU2010228003B2 (en) Delivery pressure detection system for long distance slurry pipelin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JP2002519630A (ja) 流体が流れている系内の漏れの存在を検出する方法と装置
KR102473921B1 (ko) 폐색 검출 기능이 있는 비접촉식 지지 플랫폼
US11251047B2 (en) Clog detection in a multi-port fluid delivery system
EP2910908A1 (en) Differential pressure type flowmeter and flow controller provided with the same
GB2408801A (en) Detection of seal leak using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CN109296939A (zh) 一种危险废物管道输送压力监控方法及其监控预警系统
US11499855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a fluid flow through a pipe of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US8383428B2 (en) Exhaust pressure detector
CN109411385B (zh) 真空规连接组件和半导体设备
JP6468213B2 (ja) 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CN208847848U (zh) 管道检测装置
KR20230069149A (ko) 유체 흐름 도관 내 침전물의 존재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14269A1 (en) Leak detection for gas sticks
JP2010112923A (ja) 差圧式流量測定装置
KR100286339B1 (ko) 반도체웨이퍼증착장비의펌프압력측정장치
WO2007109833A1 (en) Sampling and monitoring of particulate suspension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