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646B1 - Charge fix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harge fix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646B1
KR102650646B1 KR1020190012816A KR20190012816A KR102650646B1 KR 102650646 B1 KR102650646 B1 KR 102650646B1 KR 1020190012816 A KR1020190012816 A KR 1020190012816A KR 20190012816 A KR20190012816 A KR 20190012816A KR 102650646 B1 KR102650646 B1 KR 102650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fixing device
sliding
uni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5118A (en
Inventor
윤여길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646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6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5/00Cartridge ammunition, e.g. 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 F42B5/02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 F42B5/067Mounting or locking missiles in cartridge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4/00Projectiles or missi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guiding or sealing them inside barrels, or for lubricating or cleaning barrels
    • F42B14/06Sub-calibre projectiles having sabots; Sabots therefor
    • F42B14/061Sabots for long rod fin stabilised kinetic energy projectiles, i.e. multisegment sabots attached midway on the project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장약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를 따라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의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장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harge secur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a sliding part tha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moves linearly along the body part, and a sliding part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to fix the charge. Includes a fixing part.

Description

장약 고정장치{Charge fixing apparatus}Charg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약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charge fixing devices.

일반적으로 장약을 포신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밀대 장치(push loading device)로 밀어주어서 장약을 포신 내부로 삽입하거나 장약을 흡입하여 밀대장치에 고정시킨 후 장약을 포신에 삽입하는 방법이 있다.Generally, in order to place a charge in a gun barrel, there is a method of inserting the charge into the gun barrel by pushing it with a push loading device, or sucking the charge and fixing it in the push device and then inserting the charge into the gun barrel.

장약을 단순한 밀대장치로 밀어서 포신에 삽입하는 경우 포신 내부에서 장약의 관성에 의해 장약이 움직임으로써 격발을 위한 이격거리(stand-off)가 허용치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 When inserting a charge into a gun barrel by pushing it with a simple push device, the charge moves due to the inertia of the charge inside the gun barrel, which can increase the stand-off distance for firing beyond the allowable valu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밀대 장치에 장약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흡입장치(suction device)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동력원과 흡입장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장약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과도한 흡입력을 가하는 경우 장약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To prevent this, when using a suction device to fix the charge to the push device, not only is a separate power source and suction device required, but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charge if excessiv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fix the charge.

이러한 장약을 장착하는 장치와 관련하여서 일본등록특허 제2585082호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습니다. The device for installing such charges is specifically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2585082.

일본등록특허 제2585082호Japanese Patent No. 258508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device for securing a charg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를 따라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의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장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a sliding portion tha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moves linearly along the body portion, and a slid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A charge fixing device includ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charg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 시 상기 슬라이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sliding part and the body par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liding part when the sliding part moves.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약을 가력하는 가력부와, 상기 가력부 및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force part that applies the charge, and a link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rce part and the body part.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력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약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art disposed on the force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charge.

또한, 상기 바디부 또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disposed on the body part or the sliding part and fixing the sliding par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을 자동으로 고정시키고 장약의 장착 후 장약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automatically fixing the charge and automatically disengaging from the charge after install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의 장착 시 장약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charge when installing the char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장약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통하여 장약을 장착할 때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약과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통하여 장약을 장착할 때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약과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가 장약으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가 장약으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harge supply device including a charg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when the charge is mounted through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and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when mounting the charge through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and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7.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being separated from the charge.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being separated from the charge.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rule out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장약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harge supply device including a charg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장약 공급장치(10)는 다양한 무기 체계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약 공급장치(10)는 지상 고정포, 육상 견인포, 함상 고정포, 차륜형 자주포, 궤도형 자두포 등에 탑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harge supply device 10 can be mounted on various weapon systems. For example, the charge supply device 10 may be mounted on a ground fixed gun, a land towed gun, a shipboard fixed gun, a wheeled self-propelled howitzer, a tracked self-propelled gun, etc.

이러한 장약 공급장치(10)는 장약 고정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3), 장약(20)을 포신(1)에 공급하는 장약공급부(2) 및 구동부(3)에 연결되는 장약 공급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This charge supply device 10 includes a drive unit 3 that moves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a charge supply unit 2 that supplies the charge 20 to the gun barrel 1, and a charge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drive unit 3. (10) may be included.

상기와 같은 경우 장약 고정장치(100)는 포신(1)에 포탄(B)을 삽입한 후 장약(20)을 포신(1)에 삽입 시 장약(20)을 가압할 수 있으며, 장약(20)의 배치가 완료된 후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can pressurize the charge 20 when inserting the charge 20 into the gun barrel 1 after inserting the shell B into the gun barrel 1, and the charge 20 After the arrangement is completed,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charge 20.

이때, 장약 고정장치(100)는 일부가 포신(1)에 배치된 기본링(1-1)에 일부가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장약(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part of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is caught on the basic ring 1-1 disposed on the gun barrel 1, and thus can be separated from the charge 20. In this regard, it will be explained in detail below.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장약 고정장치(100)는 바디부(110), 슬라이딩부(120), 고정부(130), 탄성부(140) 및 스토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may include a body part 110, a sliding part 120, a fixing part 130, an elastic part 140, and a stopper part 150. .

바디부(110)는 하우징(111)과 하우징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은 슬라이딩부(120)가 삽입되어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1)에는 슬라이딩부(120)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10 may include a housing 111 and a housing cover 112. The housing 111 may have a space formed inside it. Additionally, the housing 111 can move linearly by inserting the sliding portion 120. At this time, a hole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11 to allow the sliding part 120 to be inserted.

하우징커버(112)는 하우징(111)을 차폐시킬 수 있다. 이때, 하우징커버(112)는 외부로 돌출되어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cover 112 can shield the housing 111. At this time, the housing cover 112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113 that protrudes outward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not shown).

바디부(110)는 하우징(111) 내부에 배치되어 탄성부(140)를 지지하고, 슬라이딩부(120)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14)는 일단이 하우징커버(1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하우징(111)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1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1 to support the elastic portion 140 and may include a guide portion 114 that guides the linear movement of the sliding portion 12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guide part 114 may be fixed to the housing cover 112, and the other end may protrude into the housing 111.

슬라이딩부(120)는 하우징(111)에 삽입되어 하우징(111) 내측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20)는 장약(20)의 일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21) 및 지지부(121)와 연결되며, 지지부(121)에서 하우징(111) 측으로 돌출되는 운동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1)는 장약(20)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운동부(122)의 단면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약(20)과 접촉하는 지지부(121)의 표면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이 도포될 수 있다. 운동부(122)는 내부에 가이드부(114) 및 탄성부(1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운동부(12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각 기둥 또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운동부(122)는 고정부(130)와 연결되어 고정부(130)를 회전시키도록 외주면에 랙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랙기어는 운동부(122)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운동부(122)의 운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liding part 120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11 and slide inside the housing 111. The sliding part 120 may include a support part 121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harge 20 and a moving part 122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21 and protrudes from the support part 121 toward the housing 111. The support portion 121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moving portion 122 to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charge 20. Additionally, the support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1 in contact with the charge 20 may be coated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etc. The exercise unit 122 may be formed so that the guide unit 114 and the elastic unit 140 are inserted therein. The exercise unit 122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and may have a polygonal pillar or cylindrical shape. Additionally, the exercise unit 122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unit 130 and may be provided with a rack gear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to rotate the fixing unit 130. In this case, the rack gear may be arrang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ercise unit 122 (for exampl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xercise unit 122).

고정부(130)는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고정부(130)는 바디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고정부(130)와 형성하는 각도가 일정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고정부(130)는 바디부(110)의 외면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30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body part 11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xing parts 130 may be provided, an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130 and the adjacent fixing parts 130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constant. That is,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130 may be arrang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고정부(130)는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0)는 링크부(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가력부(132)에 배치되어 장약(20)에 접촉하는 접촉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30 may include a link part 131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110. Additionally, the fixing part 130 may include a force part 132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k part 131. The fixing part 130 may include a contact part 133 that is disposed on the force part 132 and contacts the charge 20.

링크부(131)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링크(131-1)와 제2 링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131-1)와 제2 링크(131-2)는 가력부(132)가 너무 빠르게 회전하거나 너무 많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nk unit 131 may include a first link 131-1 and a second link 131-2 tha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link 131-1 and the second link 131-2 can prevent the force portion 132 from rotating too quickly or too much.

가력부(13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32)는 표면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장약(20)의 내부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가력부(13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어느 정도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The force portion 13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t this time, the load portion 132 may have a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harge 20. In addition, the force portion 13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can secure a certain degree of strength.

접촉부(133)는 가력부(132)의 표면에 배치되어 장약(20)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33)는 가력부(132)가 장약(20)을 가력 시 장약(2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력부(132)와 장약(20)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133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force portion 132 and contact the charge 20.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133 prevents excessive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charge 20 when the force portion 132 loads the charge 20 and simultaneously maintain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orce portion 132 and the charge 20. It may include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silicone, etc.

상기와 같은 고정부(130)와 슬라이딩부(120) 사이에는 기어부(160)가 배치되어 슬라이딩부(120)와 고정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부(160)는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딩부(120)의 랙기어와 연결되는 제1 기어(161) 및 제1 기어(161)와 연결되며, 링크부(131)와 연결되는 제2 기어(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어(162)는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어(1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링크부(1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A gear unit 160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part 130 and the sliding part 120 as described above to connect the sliding part 120 and the fixed part 130. Specifically, the gear unit 160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body unit 1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161 and the first gear 161 connected to the rack gear of the sliding unit 120, and the link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gear 162 connected to (131). At this time, the second gear 162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110 and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161 to rotate the link portion 131.

탄성부(140)는 가이드부(114)와 운동부(122) 사이에 배치되어 운동부(1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40)는 운동부(122)의 운동 시 압축됨으로써 운동부(122)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부(12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40)는 코일 스프링,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 탄성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unit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uide unit 114 and the exercise unit 122 and inserted into the exercise unit 122. At this time, the elastic unit 140 is compressed when the exercise unit 122 moves, thereby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exercise unit 12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xercise unit 122. This elastic portion 140 may include a coil spring, an elastic bar made of rubber, silicon, etc.

스토퍼부(150)는 바디부(110) 또는 슬라이딩부(120)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부(120)의 운동에 따라 슬라이딩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디부(110) 또는 슬라이딩부(120) 중 다른 하나에는 슬라이딩부(12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토퍼부(150)가 바디부(110)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stopper unit 150 may be disposed on the body unit 110 or the sliding unit 120 to fix the slid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unit 120. In this case, an insertion groove 123 into which the sliding part 120 is selectively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body part 110 or the sliding part 12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case where the stopper unit 150 is disposed on the body unit 110.

스토퍼부(150)는 바디부(110)에 선형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151) 및 스토퍼(151)와 바디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스토퍼(15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토퍼탄성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51)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탄성부(152)는 상기에서 설명한 탄성부(14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탄성부(152)는 스토퍼(151)의 끝단과 바디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스토퍼탄성부(152)는 스토퍼(151)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151)에는 스토퍼탄성부(152)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topper part 150 includes a stopper 151 arranged to move linearly on the body part 110, and a stopper elastic part 152 disposed between the stopper 151 and the body part 110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stopper 151. ) may include. At this time, the stopper 151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nd may have rounded ends. Additionally, the stopper elastic portion 152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elastic portion 140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stopper elastic portion 1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stopper 151 and the body portion 110. In another embodiment, the stopper elastic portion 152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151. In this case, a protrusion, etc. may be formed on the stopper 151 to support one end of the stopper elastic portion 152.

운동부(122)에는 스토퍼(151)의 끝단이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삽입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23)의 내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홈(123)은 반구 형태일 수 있다. An insertion groove 123 into which the end of the stopper 151 is selectively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exercise unit 122.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23 may be formed to be round. For example, the insertion groove 123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이하에서는 장약 고정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통하여 장약을 장착할 때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약과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통하여 장약을 장착할 때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약과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when the charge is mounted through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and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when mounting the charge through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and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7.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장약(20)을 장착하는 경우 장약공급부(미도시)는 장약(20)을 포신(1)의 후면 개구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구동부(미도시)가 작동하면,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을 포신(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to 8, when mounting the charge 20, the charge supply unit (not shown) may place the charge 20 at the rear opening of the gun barrel 1. Afterwards, when the driving unit (not shown) operates,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can supply the charge 20 into the gun barrel 1.

상기와 같은 장약(20)은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소진케이스(21), 소진케이스(21) 내부에 배치되는 추진제(22) 및 추진제(22) 내부에 배치되는 점화제(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진케이스(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진제(22)의 후단보다 일부가 장약 고정장치(100) 측으로 더 돌출되는 소진케이스돌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진케이스돌출부(21-1)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장약 고정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다. The charge 20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n exhaust case 21 forming the outer surface, a propellant 22 disposed inside the exhaust case 21, and an ignition agent 23 disposed inside the propellant 22. there is. At this time, the exhaust case 2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include an exhaust case protrusion 21-1 that partially protrudes further toward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than the rear end of the propellant 22. In this case, the exhaust case protrusion 21-1 may form an internal space, and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may be inserted.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여 장약 고정장치(100)를 선형 운동시키는 경우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과 함께 포신(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장약(20)이 포신(1)의 내부에서 움직임을 멈추는 경우 장약(20)에 접촉한 지지부(121)에 장약(20)이 힘을 가할 수 있다. When the driving unit operates to linearly move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gun barrel 1 together with the charge 20. Afterwards, when the charge 20 stops moving inside the gun barrel 1, the charge 20 may apply force to the support portion 121 in contact with the charge 20.

지지부(121)에 힘이 가해지면, 지지부(121)의 움직임은 멈추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바디부(110)가 계속해서 포신(1)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동부(122)는 바디부(110) 내부로 더 삽입될 수 있다.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part 121,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121 stops, and the body part 110 can continue to enter the inside of the gun barrel 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 part. In this case, the exercise unit 122 may be further inserted into the body unit 110.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부(120)가 바디부(110)에 대해서 상대 운동하는 경우 탄성부(140)는 압축될 수 있다. 탄성부(140)는 가이드부(114)를 따라 압축됨으로써 형상이 변하거나 압축 경로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120)가 상기와 같이 바디부(110)에 대해서 상대 운동하는 경우 스토퍼(미도시)는 바디부(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스토퍼탄성부(미도시)는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iding part 120 moves relative to the body part 110, the elastic part 140 may be compressed. The elastic part 140 may not change its shape or deviate from the compression path by being compressed along the guide part 114. Additionally, when the sliding part 120 moves relative to the body part 110 as described above, a stopper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part 110. At this time, the stopper elastic portion (not shown) may continuously apply elastic force to the stopper.

상기와 같이 운동부(122)가 바디부(110)에 대해서 상대 운동하는 경우 운동부(122) 표면의 랙기어는 제1 기어(1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161)는 제2 기어(162)를 회전시키고, 제2 기어(162)는 제1 링크(13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131-1)의 회전에 따라서 제2 링크(131-2)도 회전하고, 가력부(132) 및 접촉부(133)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력부(132) 및 접촉부(133)는 소진케이스돌출부(21-1)에 근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 가력부(132)와 접촉부(1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moving part 122 moves relative to the body part 110 as described above, the rack gear on the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2 can rotate the first gear 161. Additionally, the first gear 161 may rotate the second gear 162, and the second gear 162 may rotate the first link 131-1. At this time, as the first link 131-1 rotates, the second link 131-2 may also rotate, and the force portion 132 and the contact portion 133 may also rotate. In this case, the force portion 132 and the contact portion 133 may move closer to the exhaustion case protrusion 21-1. That is, in the above case, the force portion 132 and the contact portion 133 may be arranged as shown in FIG. 8.

상기와 같은 경우 접촉부(133)는 소진케이스돌출부(21-1)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고정부(130)의 접촉부(133)는 동시에 소진케이스돌출부(21-1)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1)는 장약(20)에 완전히 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21)와 접촉부(133)은 장약(20)에 완전히 고정될 뿐만 아니라 장약(20)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장약(20)이 움직이거나 장약(2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the contact portion 133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case protrusion 21-1.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s 133 of the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130 may simultaneous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case protrusion 21-1. Additionally, the support portion 121 may be in complete contact with the charge 20. In this case, the support portion 121 and the contact portion 133 are not only completely fixed to the charge 20, but also the contact area with the charge 20 is increased to prevent the charge 20 from moving 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harge 20. It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이 장약(20)이 포신(1)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면서 장약 고정장치(100)가 포신(1)을 완전히 고정시키면 상기 스토퍼의 끝단은 운동부(122)에 배치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탄성부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삽입홈 내부로 가력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상기 스토퍼는 운동부(122)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슬라이딩부(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arge 20 is placed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gun barrel 1 and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completely fixes the gun barrel 1, the end of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not shown) disposed on the moving part 122. ) can be inserted into. At this time, the stopper elastic portion may force the stopper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stopper can fix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120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122.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가 장약으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가 장약으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being separated from the charge.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harg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being separated from the charge.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장약(20)을 포신(1) 내부의 공간에 배치한 후 장약 고정장치(100)를 포신(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9 and 10, after placing the charge 20 in the space inside the gun barrel 1 as described above,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can be pulled out of the gun barrel 1.

장약 고정장치(100)를 포신(1)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장약(20)은 장약 고정장치(1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포신(1)에는 기본링(1-1)이 배치된 상태이므로 장약(20)이 더 이상 포신(1)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is pulled out of the gun barrel 1, the charge 20 can move together with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At this time, since the basic ring 1-1 is disposed on the gun barrel 1, the charge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rawn out of the gun barrel 1 any longer.

구체적으로 기본링(1-1)의 내경은 포신(1)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본링(1-1)은 포신(1)의 내면과 기본링(1-1) 내면 사이에서는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장약(20)이 포신(1)에 삽입되는 경우 장약(20)은 기본링(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진케이스(21)는 포신(1)에 먼저 삽입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포신(1)의 후단에 배치되는 기본링(1-1)의 개구부가 기본링(1-1)의 다른 부분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장약(20)이 포신(1)에 자유롭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inner diameter of the basic ring (1-1)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n barrel (1). In this case, the basic ring (1-1) may have a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un barrel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ic ring (1-1). At this time, when the charge 20 is inserted into the gun barrel 1, the charge 20 may be inserted into the basic ring 1-1. In this case, the part that is inserted first into the gun barrel (1) of the exhaust case (21)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ther parts, or the opening of the basic ring (1-1)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gun barrel (1) is formed by forming the basic ring (1-1). By being formed to be larger than other parts of , it is possible for the charge 20 to be freely inserted into the gun barrel 1.

상기와 같이 기본링(1-1)을 통과한 장약(20)은 장약 고정장치(100)가 후퇴하는 경우 소진케이스돌출부(21-1)가 기본링(1-1)과 포신(1) 사이의 단차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진케이스돌출부(21-1)는 기본링(1-1)에 의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retracts, the charge 2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asic ring 1-1 as described above is between the basic ring 1-1 and the gun barrel 1. You may get caught in the steps. In this case, the exhaust case protrusion (21-1) may not move due to the basic ring (1-1).

장약(20)이 포신(1)에 걸리는 경우 구동부(미도시)는 장약 고정장치(100)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바디부(110)는 후퇴할 수 있다. When the charge 20 is caught in the gun barrel 1, the driving unit (not shown) may continuously apply force to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10 may retrea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바디부(110)의 후퇴에 따라 바디부(110)와 운동부(122)는 서로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미도시)는 삽입홈(미도시)로부터 이탈되어 바디부(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의 끝단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스토퍼의 끝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바디부(110)와 운동부(122)의 상대 운동 시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삽입홈 내부로부터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바디부(110) 내부로 삽입되고 스토퍼탄성부(미도시)는 다시 압축될 수 있다. As the body portion 110 retreats,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exercise portion 122 may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topper (not shown)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not shown) and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10. Specifically, the end of the stopper is formed to be round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d of the stopper, so that a certain force is applied dur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movement portion 122. It can be naturally pulled out from inside the insertion groove.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stopper elastic portion (not shown) may be compressed again.

상기 스토퍼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면 탄성부(140)는 초기 길이로 복귀하면서 운동부(12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21)는 바디부(11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When the stopper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the elastic portion 140 may return to its initial length and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exercise portion 122. 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121 may be moved away from the body part 110.

운동부(122)와 바디부(110)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운동부(122)의 표면에 배치된 랙기어는 제1 기어(161)를 회전시키고 제1 기어(161)는 제2 기어(1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rack gear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exercise unit 122 rotates the first gear 161 due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exercise unit 122 and the body unit 110, and the first gear 161 rotates the second gear 162. can be rotated.

제2 기어(162)는 제1 링크(131-1)와 연결되어 제1 링크(131-1)를 회전시키고, 제1 링크(131-1)의 회전에 따라 제2 링크(131-2), 가력부(132) 및 접촉부(1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33)는 소진케이스돌출부(21-1)의 내면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The second gear 162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1-1 and rotates the first link 131-1, and the second link 131-2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131-1. , the force portion 132 and the contact portion 133 can be rotat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contact portion 133 may deviat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case protrusion 21-1.

상기와 같은 경우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장약(20)은 포신(1) 내부에 배치한 상태로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case,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charge 20, and the charge 20 can be retracted while placed inside the gun barrel 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따라서 장약 고정장치(100)는 다양한 방향에서 장약(20)과 접촉하여 장약(20)을 고정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장약(20)의 위치 및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contacts the charge 20 from various directions and fixes the charge 20,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charge 20.

장약 고정장치(100)는 소진케이스(21) 내면을 복수개의 부분에서 접촉하므로 소진케이스(21)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잇다. Since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case 21 at a plurality of parts, it can prevent breakage or damage to the exhaust case 21.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을 포신(1)에 배치한 후 자동으로 장약(20)으로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harge fixing device 100 is capable of automatically leaving the charge 20 after placing the charge 20 in the gun barrel 1.

장약 고정장치(100)는 기구적으로 장약(20)을 고정시키거나 장약(20)으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장약(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다.The charge fixing device 100 mechanically fixes the charge 20 or is released from the charge 20,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device for fixing the charge 20.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포신 122: 운동부
10: 장약 공급장치 123: 삽입홈
20: 장약 130: 고정부
21: 소진케이스 131: 링크부
100: 장약 고정장치 132: 가력부
110: 바디부 133: 접촉부
114: 가이드부 140: 탄성부
120: 슬라이딩부 150: 스토퍼부
121: 지지부 160: 기어부
1: Gun barrel 122: Movement part
10: Charge supply device 123: Insertion groove
20: Charge 130: Fixing part
21: exhaust case 131: link part
100: Charge fixture 132: Loading unit
110: body part 133: contact part
114: guide part 140: elastic part
120: sliding part 150: stopper part
121: support part 160: gear part

Claims (5)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를 따라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와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에 따른 연동하는 기어부; 및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기어부와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
body part;
a sliding part tha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moves linearly along the body part;
a gear portion rotatably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contacting the sliding portion and interlocking with movement of the sliding portion; and
A fixing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which contacts the gear part and rotates around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to fix the char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 시 상기 슬라이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harge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sliding part and the body par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liding part when the sliding part mo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약을 가력하는 가력부; 및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A force portion that applies the charge; and
A charge fixing device comprising a link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12816A 2019-01-31 2019-01-31 Charge fixing apparatus KR102650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16A KR102650646B1 (en) 2019-01-31 2019-01-31 Charge fix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16A KR102650646B1 (en) 2019-01-31 2019-01-31 Charge fix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18A KR20200095118A (en) 2020-08-10
KR102650646B1 true KR102650646B1 (en) 2024-03-25

Family

ID=7204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16A KR102650646B1 (en) 2019-01-31 2019-01-31 Charge fix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646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082Y2 (en) 1993-06-29 1998-11-11 三菱農機株式会社 Substitute rotor in subplant simultaneous planting machine
DE102012108834A1 (en) * 2012-09-19 2014-03-20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Propellant charge applicator, weapon and method of applying propel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18A (en)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449B2 (en) Missile ejection system and launching canister thereof
US4831761A (en) Gun magazine and spring assembly
US6382071B1 (en) Bola capturing apparatus
KR101522212B1 (en) Shell
CN110769879B (en) Transport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such a transport assembly
RU2282136C2 (en) Device for holding of grenade launcher projectile in grenade launcher barrel and method for its fastening to projectile
KR102650646B1 (en) Charge fixing apparatus
US20160025446A1 (en) Cartridge for air gun
ES2101446T3 (en) DEVICE TO HOLD A PROJECTILE IN A BARREL.
US9303790B2 (en) Cable anchoring device
KR20060070526A (en) Missile ejection launching system and canister thereof
US10386163B2 (en) Folding articulating missile fin having sliding block detent mechanism and guided missile
RU2010135805A (en) DEVICE AND METHOD FOR RETAINING THE APPLIANCE IN THE BODY OF THE WEAPON AND THE SUPPORT ELEMENT
KR101298614B1 (en) Projection apparatus and missile launch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545291B1 (en) Device for fixing ammunition
SE8103297L (en) STORAGE
KR20150062461A (en) Rifled Mortar for Aligning of Shell
KR101302491B1 (en) Missile Support System in Canister
US11137238B2 (en) Magazine retention assembly and associated accessories
KR20210058096A (en) Safety arming device and arming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644520B1 (en) Fixing apparatus preventing traversing movement of missile using stud
US20040154207A1 (en) Gun magazine with leaf spring
JP6927945B2 (en) Control cable
KR20110100998A (en) Canister grounding device for launcher and the launcher having the same
US20160195362A1 (en) Firing device for firing cartridge ammu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