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394B1 - Flower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 Google Patents

Flower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394B1
KR102650394B1 KR1020220120859A KR20220120859A KR102650394B1 KR 102650394 B1 KR102650394 B1 KR 102650394B1 KR 1020220120859 A KR1020220120859 A KR 1020220120859A KR 20220120859 A KR20220120859 A KR 20220120859A KR 102650394 B1 KR102650394 B1 KR 10265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bottom portion
hole
wall portion
flow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미수
Original Assignee
서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미수 filed Critical 서미수
Priority to KR102022012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3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3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25Wind breakers, i.e. devices providing lateral protection of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화분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한 바닥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을 둘러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부;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 근방 또는 상기 측벽부에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 초기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이 비교적 서서히 배수될 수 있어 분토의 전체에 수분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으며, 급수가 종료된 이후에는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which has an internal space, comprising: a bottom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nal space; a side wall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a side of the interior space and protru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through hole that communicates the interior space with the outside,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near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or on the side wall, and are not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beginning of water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can be drained relatively slowly, allowing moisture to be evenly supplied to the entire soil, and after watering has ended, there is an effect of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Description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화분 {Flower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Flower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수 초기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이 비교적 서서히 배수될 수 있어 분토의 전체에 수분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으며, 급수가 종료된 이후에는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and in particular, at the beginning of water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can be drained relatively slowly, so that moisture can be evenly supplied to the entire soil, and after watering has ended, it relates to a flower 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

종래의 화분은 플라스틱이나 도자기 등의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의 바닥면으로 한 개 이상의 배수구를 형성하여 사용한다.Conventional flower pots have a body with an internal space made of plastic or ceramics, and one or more drainage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이러한 종래의 화분은 도자기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통상 배수구가 밑바닥에만 위치하고 있어 급수 시 매우 짧은 시간 이내에 물이 전부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These conventional flower pots are made of materials such as ceramics or plastic, and the drain is usually located only at the bottom, so when watering, all the water flows down with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따라서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물받이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급수 시 물받이에서 물이 넘칠까를 염려하여 충분한 양의 급수를 하지 못함으로써, 분토에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식물의 생육에 지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grow and appreciate plants indoors, you have no choice but to use a separate water pan. However, when watering, you are worried that the water pan will overflow, so you cannot water a sufficient amount. This causes a lack of moisture in the soil, which hinders the growth of the plants.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disruption.

위와 반대로, 분토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급수를 하다보면, 물받이에서 물이 넘쳐흘러 주변을 더럽히는 경우도 많다는 문제점도 있었다.Contrary to the above, there was also the problem that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was supplied to supply sufficient moisture to the soil, water often overflowed from the water pan and polluted the surrounding area.

그리고 종래의 화분은, 화분 몸체가 전체적으로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분토 상부의 식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는 있지만, 분토 내부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 일부와 뿌리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conventional flower pots, the entire body of the pot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so although the plants on the top of the pot can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part of the stem and roots of the plant planted inside the pot cannot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또한 종래의 화분은, 화분에 채워진 분토의 수분 정도를 확인하기 어려워 적정량의 물을 적시에 화분에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flower pots had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o the flower pot at the right time because it was difficult to check the moisture level of the soil filled in the flower pot.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급수 초기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이 비교적 서서히 배수될 수 있어 분토의 전체에 수분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으며, 급수가 종료된 이후에는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allow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to drain relatively slowly at the beginning of watering, so that moisture can be evenly supplied to the entire soil, and after watering is finished, drainage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lower pot with an improved structure for excellent ventil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화분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한 바닥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을 둘러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부;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 근방 또는 상기 측벽부에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er pot having an internal space, including a bottom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nal space; a side wall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a side of the interior space and protru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through hole that communicates the interior space with the outside,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near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or on the side wall, and are not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여기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여기서, 상기 측벽부는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단위 측벽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ide walls that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pair of adjacent unit side walls.

여기서, 상기 측벽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바닥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Here, the side wall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or oval pipe shape, the bottom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or oval plate shape,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여기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ortion so that the state of the internal spac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glass, acrylic, and plastic.

여기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한 색상의 컬러 도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Here,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may include color paint of a predetermined color.

여기서,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ovided to accommodate water flowing out from the through hole, and preferably includes a water tray disposed below the bottom part.

여기서, 상기 물받이는,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ater pan preferably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ortion so that the internal stat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물받이는, 미리 정한 색상의 컬러 도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Here, the water pan may include color paint of a predetermined color.

여기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바닥부가 삽입되어 올려질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ater pan preferably includes a stepped portion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so that the bottom portion can be inserted and raised.

여기서, 상기 관통공은, 접착제와 용접을 포함하는 결합 수단을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만 간헐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상기 결합 수단이 결여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Here,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a point where the coupling means including adhesive and welding is missing by intermittently applying the coupling means only to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화분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한 바닥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을 둘러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부;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 근방 또는 상기 측벽부에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급수 초기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이 비교적 서서히 배수될 수 있어 분토의 전체에 수분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으며, 급수가 종료된 이후에는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wer pot having an internal space, comprising: a bottom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nal space; a side wall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a side of the interior space and protru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through hole that communicates the inner space with the outside,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near the edge of the bottom or on the side wall, but are not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o that at the initial stage of supplying water,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The contained water can be drained relatively slowly, allowing moisture to be evenly supplied to the entire soil, and has the effect of providing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after watering is comple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화분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화분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화분의 분리사시도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flower po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lower pot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화분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I-III선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flower po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shown in Figure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은, 내부 공간(S)에 식물을 심어 재배하기 위한 화분으로서, 바닥부(10)와 측벽부(20)와 프레임 부재(30)와 물받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flower pot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er pot for planting and cultivating plants in an internal space (S), and includes a bottom portion (10), a side wall portion (20), and It is composed of a frame member 30 and a water catcher 40.

상기 바닥부(10)는, 평판형 부재로서 상기 내부 공간(S)의 하단부에 위치한 부재이다.The bottom 10 is a flat memb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nal space S.

상기 바닥부(10)는, 사각형, 원형, 삼각형, 오각형 등 어떤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으로 마련되어 있다.The bottom portion 10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such as a square, circle, triangle, or pentagon,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provided in a square shape.

상기 바닥부(10)는, 물이 통과하지 않는 방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10)가 유리를 포함하고 있다.The bottom portion 10 is preferably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that does not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nd may b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glass, acrylic, and plastic.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10 includes glass.

상기 바닥부(10)는, 상기 내부 공간(S)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가 투명하도록 마련되어 있다.The bottom portion 10 may includ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ortion so that the state of the interior space S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provided to be entirely transparent.

상기 바닥부(10)는, 미리 정한 색상의 컬러 도료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 도료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The bottom portion 10 may be prepared to include color paint of a predetermined color, but in this embodiment, it does not include color paint.

상기 측벽부(20)는, 상기 바닥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벽부로서, 상기 내부 공간(S)의 측면을 둘러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side wall portion 20 is a wall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10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internal space S.

상기 측벽부(20)는, 상기 바닥부(10)와 협력하여 상기 내부 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The side wall portion 20 cooperates with the bottom portion 10 to form the internal space 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부(20)는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 측벽(20a)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ide wall portion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unit side walls 20a that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측벽(20a)은, 각각이 평판형 부재로서 상기 내부 공간(S)의 측면을 완전히 둘러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unit side walls 20a, each of which is a flat member, is arranged to completely surround the side of the internal space S.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 측벽(20a)은 4개의 정사각형으로 마련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측벽부(20)가 사각형 파이프 형태로 마련된다.In this embodiment, the unit side walls 20a are formed into four squares and arranged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side wall portion 2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pe.

상기 단위 측벽(20a)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미리 정한 틈새(G)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The unit side walls 20a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gap G, as shown in FIG. 3 .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단위 측벽(20a)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부(10)가 서로 연결되는 상기 바닥부(10)의 테두리 부위에도, 상기 단위 측벽(20a)와 상기 바닥부(10) 사이에 틈새(G)가 존재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the unit side wall 20a and the bottom 10 also have an edge portion of the bottom 10 where the lower end of the unit side wall 20a and the bottom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a gap (G) between (10).

상기 단위 측벽(20a)은, 물이 통과하지 않는 방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 측벽(20a)이 유리를 포함하고 있다.The unit side wall 20a is preferably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that does not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nd may be prepared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glass, acrylic, and plastic. In this embodiment, the unit side wall 20a includes glass.

상기 단위 측벽(20a)은, 상기 내부 공간(S)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가 투명하도록 마련되어 있다.The unit side wall 20a may includ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ortion so that the state of the internal space S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provided to be entirely transparent.

상기 단위 측벽(20a)은, 미리 정한 색상의 컬러 도료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 도료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The unit side wall 20a may be prepared to include color paint of a predetermined color, but in this embodiment, it does not include color paint.

상기 프레임 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0)와 단위 측벽(20a)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The frame member 30 is a member for coupling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unit side walls 20a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30)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금속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rame member 30 is a metal member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n “L” 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3.

상기 프레임 부재(30)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단위 측벽(20a) 사이의 연결 부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단위 측벽(20a)과 상기 바닥부(10) 사이에도 배치되어 있다.The frame member 30 is dispos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pair of adjacent unit side walls 20a, and is also dispos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unit side walls 20a and the bottom 10. there is.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막대형 부재를 서로 용접 등으로 결합으로써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측벽부(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의 프레임 부재(30)를 마련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a frame member 30 of a shap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therein is provided by joining eight rod-shaped members to each other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프레임 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31)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30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관통공(31)은, 상기 내부 공간(S)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구멍으로서, 배수와 통기를 위한 구멍이다.The through hole 31 is a hole that communicates between the inner space S and the outside, and is a hole for drainage and ventila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공(3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가 서로 연결되는 상기 바닥부(10)의 테두리와 상기 측벽부(20)의 4개 모서리에 마련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 hole 31 is formed by forming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10 where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ide wall portion ( 20) are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그러나 상기 관통공(31)은,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들과 달리 상기 바닥부(10)의 중앙부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through hole 31 is not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10, unlike conventional flower pots.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는, 상기 프레임 부재(3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으나, 상기 프레임 부재(30)를 제거하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rame member 30, but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frame member 30 is removed.

상기 프레임 부재(30)와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의 사이에는 결합을 위한 접착제, 나사 등의 결합 수단이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상기 프레임 부재(30)의 구조 강도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접착제, 나사 등의 결합 수단 없이도 상기 화분(1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Additional coupling means, such as adhesive or screws, may be used between the frame member 30,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but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frame member 30 is increased. When increased, the shape of the flower pot 100 can be maintained without the use of bonding means such as adhesives or screw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 부재(30)와 상기 측벽부(20)의 결합과 상기 프레임 부재(30)와 상기 바닥부(10)의 결합을 위하여,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a silicone adhesive is used to bond the frame member 30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o bond the frame member 30 and the bottom portion 10.

상기 물받이(40)는, 상기 관통공(31)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용기로서, 상기 바닥부(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The water pan 40 is a container provided to accommodate water flowing out from the through hole 31, and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받이(40)는, 상기 바닥부(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정사각형의 개구부를 상단부에 구비하는 용기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0)의 폭(D)은 상기 물받이(40)의 폭과 동일하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pan 40 is a container having a square opening at the upper e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width D of the bottom portion 10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water pan 40.

상기 물받이(40)의 상단부에는 단차부(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단차부(41)는 상기 바닥부(10)가 삽입되어 올려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단차부(41)는 상기 바닥부(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A step portion 4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pan 40. The step portion 41 is a portion into which the bottom portion 10 is inserted and raised, and the step portion 41 is the bottom portion ( It is prepa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받이(40)는,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reservoir 40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 so that the internal stat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상기 물받이(40)는, 미리 정한 색상의 컬러 도료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 도료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The water pan 40 may be provided to include color paint of a predetermined color, but in this embodiment, it does not include color paint.

상기 물받이(40)는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아크릴을 포함하고 있다.The water pan 40 may be provided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glass, acrylic, and plastic, an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crylic.

상술한 구성의 화분(100)은, 내부 공간(S)을 구비하는 화분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S)의 하단부에 위치한 바닥부(10); 상기 내부 공간(S)의 측면을 둘러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부(20); 상기 내부 공간(S)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31);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31)은, 상기 바닥부(10)의 테두리 근방 또는 상기 측벽부(20)에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10)의 중앙부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급수 초기에는 내부 공간(S)에 수용된 물이 비교적 서서히 배수될 수 있어 분토의 전체에 수분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으며, 급수가 종료된 이후에는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flower pot 100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 flower pot having an internal space (S), including a bottom portion (1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nal space (S); A side wall portion (20) arranged to surround a side of the interior space (S) and protru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10); It includes a through hole 31 that communicates the internal space S with the outside,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are provided near the edge of the bottom part 10 or in the side wall part 20. Since it is not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bottom 10,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S) can be drained relatively slowly at the beginning of watering, allowing moisture to be evenly supplied to the entire soil, and after watering is completed, drainage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breathability.

그리고 상기 화분(100)은,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31)은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 자체에는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가공이 용이하며, 화분이 일부분이 파손되었을 경우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And the flower pot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31 is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Since it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itself, there is no need to form a through hole, making processing eas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repair if part of the flower pot is damaged. there is.

또한 상기 화분(100)은, 상기 측벽부(20)가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 측벽(20a)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31)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단위 측벽(20a)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므로, 상기 단위 측벽(20a) 자체에는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가공이 용이하며, 단위 측벽(20a) 중 하나가 파손되었을 경우 그것만 교체하면 되므로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ide walls 20a in which the side wall portions 20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31 is a connection between a pair of adjacent unit side walls 20a. Since it is formed in a specific area, there is no need to form a through hole in the unit side wall (20a) itself, making processing easy, and when one of the unit side walls (20a) is damaged, only the unit side wall (20a) needs to be replaced,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repair.

그리고 상기 화분(100)은,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 공간(S)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하므로, 분토 내부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 일부와 뿌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장식감이 뛰어나고, 화분에 채워진 분토의 수분 정도를 확인하기 용이하여 적정량의 물을 적시에 화분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lowerpot 100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ortion so that the state of the inner space S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ortion. Parts of the stems and roots of the plants planted inside can be visually inspected, providing excellent decoration, and it is easy to check the moisture level of the soil filled in the pot, which has the advantage of supply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o the pot at the right time.

또한 상기 화분(100)은,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므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원료를 비교적 저가로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flower pot 100,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glass, acrylic, and plastic, and thu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aw material is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procured at a relatively low price.

그리고 상기 화분(100)은,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한 색상의 컬러 도료를 포함하므로, 다양한 색상을 통한 장식감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lowerpot 100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a sense of decoration through various colors because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includes color paint of a predetermined color.

또한 상기 화분(100)은, 상기 관통공(31)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10)의 하방에 배치되는 물받이(40)를 포함하므로,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고 감상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100 is provided to accommodate water flowing out from the through hole 31 and includes a water reservoir 40 disposed below the bottom 10, so that plants can be grown indoo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ppreciate.

그리고 상기 화분(100)은, 상기 물받이(40)가,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하므로, 외부에서 물받이(40)에 수용된 물의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100 has the advantage that the water pan 40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 so that the internal stat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pan 40 can be easily determined from the outside. there is.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막대형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30)를 제작하였으나, 12개의 막대형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30)를 정육면체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rame member 30 was manufactured using 8 rod-shaped members, but of course, the frame member 30 could also be manufactured in a cubic shape using 12 rod-shaped members.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화분(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화분(200)은 상술한 화분(100)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양자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Figure 5 shows a flower pot 200,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is flower pot 200 ha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 and effects as those of the flower pot 100 described above,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화분(200)은, 바닥부(210)와, 측벽부(220)와, 프레임 부재(230)와, 물받이(240)를 포함한다.The flower pot 200 includes a bottom portion 210, a side wall portion 220, a frame member 230, and a water pan 240.

상기 바닥부(210)는, 상기 바닥부(10)와 달리 원형의 판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The bottom portion 210, unlike the bottom portion 10, is provided in a circular plate shape.

상기 측벽부(220)는, 상기 측벽부(20)와 달리,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어 있다.Unlike the side wall portion 20, the side wall portion 22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프레임 부재(230)는, 상기 프레임 부재(30)와 달리,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The frame member 230, unlike the frame member 30, is provided in a circular ring shape.

상기 물받이(240)는, 상기 물받이(40)와 달리, 상기 바닥부(2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개구부를 상단부에 구비하는 용기로 마련된다.The water pan 240, unlike the water pan 40, is provided as a container having a circular opening at the upper e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210.

상기 화분(200)은, 상기 측벽부(220)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바닥부(210)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31)은 상기 측벽부(220)와 상기 바닥부(210)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벽부(220) 및 프레임 부재(230)의 구성이 단순해져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flower pot 200, the side wall portion 220 is provided in a circular or oval pipe shape, the bottom portion 210 is provided in a circular or oval plate shape, and the through hole 31 is provided in the side wall portion. Since it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220 and the bottom portion 210,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220 and the frame member 230 is simplified, so assembly is easy,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latively low.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화분(3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화분(300)은 상술한 화분(100)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양자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Figure 6 shows a flower pot 300, which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is flower pot 300 ha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 and effect as that of the flower pot 100 described above,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화분(300)은, 상기 화분(100, 200)과 달리 프레임 부재(30, 230)를 구비하지 않는 차이점이 있다.The flower pot 300 is different from the flower pots 100 and 200 in that it does not have frame members 30 and 230.

상기 화분(300)은, 주조 공법이나 사출 공법을 사용하여,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측벽부(20)가 1개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flower pot 300 may be manufactured with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as one single part using a casting method or an injection method.

상기 화분(300)은, 상기 화분(100)에 사용된 단순한 정사각형 평판 부재인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단위 측벽(20a)을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위 측벽(20a)의 3개 테두리에 상기 관통공(31)을 미리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10)의 4개 테두리에 관통공(31)을 미리 형성한 후, 상기 단위 측벽(20a)과 상기 바닥부(10)를 실리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The flower pot 300, instead of using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unit side wall 20a, which are simple square flat members used in the flower pot 100, has three edges of the unit side wall 20a. After forming the through holes 31 in advance and forming the through holes 31 on the four edges of the bottom portion 10, the unit side wall 20a and the bottom portion 10 are bonded using a silicone adhesive or the like. It can also be manufactured by adhering to each other using .

상기 화분(300)은, 상기 관통공(31)이, 접착제와 용접 등을 포함하는 결합 수단을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만 간헐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상기 결합 수단이 결여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wer pot 300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through hole 31 lacks the connecting means by intermittently applying the connecting means including adhesive and welding only to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desirab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화분(300)은, 상기 화분(100)에 사용된 단순한 정사각형 평판 부재인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단위 측벽(20a)을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단위 측벽(20a)과 상기 바닥부(10)의 접착 시에 실리콘 접착제 등을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만 간헐적으로 도포함으로써, 상기 접착제가 결여된 지점에 상기 관통공(31)이 형성되는 공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실리콘 접착제 등이 도포되지 않은 모서리 지점에 상기 관통공(31)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lower pot 300 uses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unit side wall 20a, which are simple square flat members used in the flower pot 100, and the unit side wall 20a and the unit side wall 20a When adhering the bottom part 10, it may be manufactured by intermittently applying silicone adhesive, etc. only to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forming the through hole 31 at the point where the adhesive is missing. . That is, the through hole 31 is naturally formed at a corner point where silicone adhesive or the like is not applied.

상기 화분(300)은, 상기 프레임 부재(30, 230)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심플한 장식감을 발휘할 수 있으며, 주조 공법이나 사출 공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flower pot 300 does not include the frame members 30 and 230,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 simple decorative effect can be achieved, and mass production is easy when using a casting or injection method. there i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분(300)은, 아크릴을 포함하며 사출 공법으로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측벽부(20)가 1개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었다.In this embodiment, the flower pot 300 includes acrylic, and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are manufactured as one single part using an injection method.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equivalent configurations modified or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interpreted a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it does not go beyond the scope of thought.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화분
10: 바닥부
20a: 단위 측벽
20: 측벽부
30: 프레임 부재
31: 관통공
40: 물받이
41: 단차부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200, 300: Flowerpot
10: bottom part
20a: unit sidewall
20: side wall part
30: frame member
31: Through hole
40: Water pan
41: Step part

Claims (12)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화분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한 바닥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을 둘러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부;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 근방 또는 상기 측벽부에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물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는,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하며,
급수 초기에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이,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서서히 배수될 수 있어, 분토의 전체에 수분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는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단위 측벽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접착제와 용접을 포함하는 결합 수단을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만 간헐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상기 결합 수단이 결여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A flower pot having an internal space,
a floo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ior space;
a side wall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a side of the interior space and protru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It includes a through hole that communicates the inner space and the outsi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near the edge of the bottom or on the side walls, and are not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ortion so that the state of the internal spac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glass, acrylic, and plastic,
It is provided to accommodate water flowing out of the through hole and includes a water tray disposed below the bottom part,
The water pan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 so that the internal stat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at the beginning of watering can be drained more slow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o that moisture can be evenly supplied to the entire soil,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The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ide walls that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pair of adjacent unit side walls,
The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coupling means including adhesive and welding is missing by intermittently applying the coupling means only to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화분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한 바닥부;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을 둘러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부;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 근방 또는 상기 측벽부에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물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는,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하며,
급수 초기에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이,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서서히 배수될 수 있어, 분토의 전체에 수분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바닥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접착제와 용접을 포함하는 결합 수단을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만 간헐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상기 결합 수단이 결여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A flower pot having an internal space,
a floo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ior space;
a side wall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a side of the interior space and protru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It includes a through hole that communicates the inner space and the outsi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near the edge of the bottom or on the side walls, and are not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ortion so that the state of the internal spac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glass, acrylic, and plastic,
It is provided to accommodate water flowing out of the through hole and includes a water tray disposed below the bottom part,
The water pan includ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 so that the internal stat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at the beginning of watering can be drained more slow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o that moisture can be evenly supplied to the entire soil,
The side wall portion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or oval pipe, the bottom portion is provided in a circular or oval plate shape,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The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coupling means including adhesive and welding is missing by intermittently applying the coupling means only to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한 색상의 컬러 도료를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는, 미리 정한 색상의 컬러 도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According to claim 1 or 2,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ncludes color paint of a predetermined color,
A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pan includes color paint of a predetermined colo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바닥부가 삽입되어 올려질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ater pan is a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epped portion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so that the bottom portion can be inserted and rai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20859A 2022-09-23 2022-09-23 Flower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KR102650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859A KR102650394B1 (en) 2022-09-23 2022-09-23 Flower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859A KR102650394B1 (en) 2022-09-23 2022-09-23 Flower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394B1 true KR102650394B1 (en) 2024-03-21

Family

ID=9047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859A KR102650394B1 (en) 2022-09-23 2022-09-23 Flower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394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243U (en) * 1992-02-16 1993-09-07 庸造 田中 flower pot
JP3114565U (en) * 2005-06-24 2005-10-27 ひとみ 中嶋 Panel assembly type flower pot
KR20100000769A (en) * 2008-06-25 2010-01-06 옥성정보통신주식회사 Transparent flowerpot
KR20150007440A (en) * 2013-07-11 2015-01-21 진도현 see flowerpot
KR20170112660A (en) * 2016-04-01 2017-10-12 김형진 Flowerpot with a drip tray
KR102162705B1 (en) * 2020-02-24 2020-10-07 박민서 Functional cultivation container
JP2022133561A (en) * 2021-03-02 2022-09-14 株式会社東海化成 Seedling-grow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243U (en) * 1992-02-16 1993-09-07 庸造 田中 flower pot
JP3114565U (en) * 2005-06-24 2005-10-27 ひとみ 中嶋 Panel assembly type flower pot
KR20100000769A (en) * 2008-06-25 2010-01-06 옥성정보통신주식회사 Transparent flowerpot
KR20150007440A (en) * 2013-07-11 2015-01-21 진도현 see flowerpot
KR20170112660A (en) * 2016-04-01 2017-10-12 김형진 Flowerpot with a drip tray
KR102162705B1 (en) * 2020-02-24 2020-10-07 박민서 Functional cultivation container
JP2022133561A (en) * 2021-03-02 2022-09-14 株式会社東海化成 Seedling-growing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3159U (en) Simple cultivation tool
KR101301014B1 (en) Flowerpot upper sides porous protective cover
KR102650394B1 (en) Flowerpot with excellent drainage and breathability
KR200461953Y1 (en) An assemble type flowerpot
KR200404181Y1 (en) Translucency flowerpot
KR200416035Y1 (en) A flowerpot for beautiful scenery
KR20140130090A (en) flowerpot having wick
CN214593089U (en) Flowerpot for rock climbing type planting
KR200379473Y1 (en) Nude Flowerpot
KR101998622B1 (en) Plant Pot of Assembly Type
KR200360837Y1 (en) Flowerpot for water culture
JPH0514769Y2 (en)
JP3060676U (en)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for houseplants
KR200303993Y1 (en) Water-flowerpot
KR20130097632A (en) Basin for various types of aquatic plant
KR20080002196U (en) Flowerpot structure with water reservoir
CN109716976B (en) Flowerpot cover
KR19980017484U (en) Hydroponic Cultivation Plants
JPH0327408Y2 (en)
KR200365118Y1 (en) Water-flowerpot
JP3021141U (en) Container for cultivation
KR200200898Y1 (en) Double flower pot
KR20040060691A (en) Flowerpot
KR200393055Y1 (en) flowerpot
KR200344754Y1 (en) flowerpo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