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507B1 -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 Google Patents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507B1
KR102649507B1 KR1020207034683A KR20207034683A KR102649507B1 KR 102649507 B1 KR102649507 B1 KR 102649507B1 KR 1020207034683 A KR1020207034683 A KR 1020207034683A KR 20207034683 A KR20207034683 A KR 20207034683A KR 102649507 B1 KR102649507 B1 KR 102649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runway
cavity
rais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265A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제이. 레베스크
대니얼 글렌 왜릭
커크 에프. 슈나이더
케네스 제이. 닐드
트래비스 채니
피트 페리
Original Assignee
엔지니어드 어레스팅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지니어드 어레스팅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엔지니어드 어레스팅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0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 B64F1/029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using a cable or t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68Arrester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항공기 초과 저지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가 개시된다. 초과 저지 시스템은 항공기의 테일후크(tailhook)에 의한 포획을 위해 활주로를 가로질러 케이블을 연장시키도록 기능한다.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는 케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설계된다. 개시된 시스템은 또한 램핑 시스템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5월 3일자로 출원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Retractable Runway Edge Sheave with Ramping for use in an Aircraft Arresting System"인 미국 가출원 제62/666,404호에 관한 것으로 그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개시내용의 분야는 항공기 초과 저지 시스템(aircraft arresting system)에 사용하기 위한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retractable runway edge sheave)에 관한 것이다. 초과 저지 시스템은 항공기의 테일후크(tailhook)에 의한 포획을 위해 활주로를 가로질러 케이블을 연장시키도록 기능한다.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는 케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설계된다.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는 또한 테이프 커넥터 및 구입 테이프의 일부를 활주로 표면 위로 상승시킨다. 개시된 시스템은 또한 램핑 시스템(ramping system)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활주로를 가로질러 케이블을 연장시킴으로써 항공기 기능을 감속하는 데에 사용되는 한가지 유형의 항공기 초과 저지 시스템이 있다. 이들 시스템은 흔히 테일후크가 장착된 항공기가 착륙해야 할 수 있는 활주로(상업용 또는 군용)에 설치된다. 사용시, 항공기의 테일후크는 비상 상태의 경우에 항공기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해 케이블과 맞물릴 수 있다.
통상적인 항공기 초과 저지 시스템은 테이프 릴이 있는 에너지 흡수기(제동 시스템) 및 활주로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테이프를 정렬하는 활주로 에지 시브로 구성된다. 이는 도 1에 의해 예시된다. 이들 구성요소는 각각의 측면에 한 세트의 구성요소씩 활주로의 양 측면에 위치된다. 도 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는, 제동 시스템 상의 테이프 릴로부터 비롯되어, 활주로 에지 시브를 통해 공급된다. 양측의 테이프는 테이프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횡단 활주로 케이블에 연결된다. 초과 저지 이벤트 동안, 테이프는 릴로부터 풀려 활주로를 가로질러 이동한다.
현재의 활주로 에지 시브 구성은 활주로의 측면을 따라 콘크리트 기초에 장착된 활주로 에지 시브/페어리드 빔(fairlead beam)을 제공한다. 이 설치 구성은 또한 통상적으로 시브의 양측에 영구적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램핑으로 구성된다. 이 램핑은 항공기에 의한 활주로 에지 시브의 우발적인 또는 부차적인 롤오버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이 활주로 에지 시브 및 램핑 구성은 지상에 영구적으로 설치된다. 국제 민간 항공 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ICAO)의 권장 사항에 따르면, 이 영구적인 지상 구성은 비행장 장애물로 고려된다.
지상에 남아있는 다른 시스템에서,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활주로의 약간 위(약 2 인치)에 지지되어 항공기 테일후크에 더 잘 접근 가능하게 한다. 활주로 위에 케이블을 위치 설정하면 항공기의 테일후크가 케이블을 포획하지 못하는 "후크 스킵"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시스템에서, 이 케이블 지지는 케이블 길이를 따라 이격된 고무 "도넛"에 의해 제공된다. 도넛은 활주로 표면 상에 직접 놓이고, 이는 케이블 위를 항공기가 계속 지나가게 만든다. 이로 인해 케이블 및 활주로 표면 모두에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장애물을 생성한다는 사실로 인해, 도넛 지지형 케이블은 또 다른 유형의 비행장 장애물이다.
일부 설계자는 지하 시브 시스템을 제공하려고 시도하였다. 시도된 한가지 해결책은 철회 가능한 후크 케이블 지지 시스템(Retractable Hook Cable Support System)(RHCSS)을 포함하였다. 시스템의 일부는 Cambridge Engineering Ltd의 Marshall의 자료에 의해 설명된다. 이 시스템은 표준 비행 작동 중에 횡단 활주로 트로프에 케이블을 수용함으로써 케이블과 활주로 표면을 보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지지 상자는 활주로의 폭을 가로질러 이격되어 있다. 초과 저지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상자는 케이블을 활주로 위의 위치로 상승시켜 테일후크가 맞물리게 한다. 케이블이 사용되지 않을 때, 케이블은 횡단 활주로 트로프 내에 있다. 이 하강된 위치에서, 철회 가능한 후크 케이블 지지 시스템은 ICAO를 준수한다.
지하 시스템의 더욱 이전 예는 미국 특허 제3,620,489호에 의해 예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 발명자는 활성화 이전에 오목부 내에 철회된 지하 시브 시스템을 제공하였다. 덮개는 페이아웃 요소(횡단 활주로 케이블에 연결됨)가 그 아래에 텐셔닝되어 있는 폐쇄 위치에서 로킹되어 있다. 항공기가 착륙하여 케이블과 맞물릴 때, 미리 텐셔닝된 페이아웃 요소는 미리 결정된 상향력을 초과하도록 초과 저지의 초기 단계 중에 충분히 더 텐셔닝되고, 이는 래치 로킹 장치를 해제하여 덮개 조립체가 텐셔닝에 응답하여 오목부로부터 상승되게 한다. 래치가 해제되면 초과 저지 중에 시브가 지상으로 상승된다. 그러나, 시브 시스템은 항공기가 지면에 착륙할 때까지 활성화되지 않는다. 시브의 상승은 상승 및 하강 시스템이 아니라 텐션만으로 인한 것이었다.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현재 ICAO 지침을 준수하는 이용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해결책이 없다. 지하 시스템에서 행한 이전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따라서, 기존 활주로 에지 시브 설비는 모두 지상에 장착되어, 장애물을 유발하고 ICAO 지침을 준수하지 않는다. 개선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항공기 활주로 표면을 가로질러 케이블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철회 가능한 시브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시스템은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기초, 공동 내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된 시브로서 기능하는 빔, 빔과 관련된 힌지, 빔과 관련된 상승/하강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승/하강 메커니즘이 빔을 하강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은 공동 내에 안착되고 항공기 활주로 표면과 동일 높이에 있으며, 상승/하강 메커니즘이 빔을 상승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은 세장형 빔의 적어도 전방 부분이 활주로 표면 위로 상승하도록 힌지에 대해 힌지 연결된다. 빔과 관련된 힌지는 후방 힌지일 수 있으며, 상승/하강 메커니즘이 빔을 상승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은 세장형 빔의 전방 부분이 활주로 표면 위로 상승하도록 후방 힌지에 대해 힌지 연결된다. 다른 예에서, 빔과 관련된 힌지는 측면 힌지일 수 있다.
빔은 상승 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초는 빔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속 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빔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된 측면 경사 부분이 또한 제공된다. 빔의 상승은 또한 측면 경사 부분의 상승을 초래하고, 빔의 하강은 측면 경사 부분의 하강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측면 경사 부분은 빔의 측면에 힌지 연결되어, 빔의 상승은 경사 부분의 대응하는 상승을 초래한다. 측면 경사 부분은 빔에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기초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빔이 상승될 때 기초와 경사 부분 에지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덮기 위해 가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는 활주로 에지 시브로서 기능하는 세장형 빔으로서의 빔을 포함한다. 빔은 빔을 통해 이동하는 테이프를 배향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평 롤러 시브 및 적어도 하나의 수직 시브를 가질 수 있다.
상승/하강 메커니즘은 공압 시스템, 유압 시스템, 전기적 작동, 또는 기계적 작동, 또는 에어백 시스템을 통한 작동을 포함한다.
빔의 전방 부분에 위치 설정된 테이프 연결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항공기 활주로 표면을 가로질러 케이블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철회 가능한 시브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기초, 공동 내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된 시브로서 기능하는 빔, 빔과 관련된 상승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승 시스템이 빔을 하강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은 공동 내에 안착되고 항공기 활주로 표면과 동일 높이에 있으며, 상승 시스템이 빔을 상승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의 적어도 전방 부분이 활주로 표면 위로 상승된다. 상승 시스템은 후방 힌지 및 상승/하강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때 빔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하는 상승/하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 시스템은 유압 시스템, 전기적 작동, 기계적 작동 또는 에어백 시스템을 통한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테일후크가 횡단 활주로 케이블을 포획한 항공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페어리드 빔 시브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승된 위치에 있는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의 일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강된 위치에 있는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의 일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예시의 편의를 위해 경사 부분이 제거된 상태로 하강된 위치에 있는 세장형 빔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0은 상승된 위치에 있는 도 9의 세장형 빔을 예시한다.
도 11a는 도 9의 세장형 빔의 정면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1b는 도 10의 세장형 빔의 정면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2는 세장형 빔을 기초 공동에 고정하기 위한 대안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3은 세장형 빔을 기초 공동에 고정하기 위한 대안 실시예의 대안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의 정면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측면 힌지형 세장형 빔의 대안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5a는 하강된 위치에 있는 빔을 도시한다. 도 15b는 상승된 위치에 있는 빔을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하강된 위치 뿐만 아니라 상승된 위치에서 활주로에 평행하게 유지되는 세장형 빔의 대안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6a는 하강된 위치에 있는 빔을 도시한다. 도 16b는 상승된 위치에 있는 빔을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팝업 시브의 대안 실시예를 예시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시스템을 제공한다. 개시된 시스템은 철회 가능한 후크 케이블 지지 시스템(RHCSS)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시스템은 활주로 에지 시브를 지상으로 상승시키고 배터리(초과 저지 준비) 위치에 놓을 수 있다. 이어서, 사용하지 않을 때 다양한 규정이나 지침을 충족시키기 위해 경사면 아래로 철회(하강)되거나 활주로와 동일 높이에 있을 수 있다. RHCSS는 또한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의 위치 설정에 부합하도록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이들 시스템은 서로 협력하여 작동한다. 케이블이 상승되었지만 시브가 하강된 상태는 초과 저지를 위해 테일후크가 하강된 항공기에 위험한 것으로 고려된다. 양쪽 시스템 간에 완전히 상승된 또는 하강된 위치를 찾는 데 약간의 동기화 지연이 있을 수 있지만, 양쪽 시스템 모두는 일반적으로 안전 작동을 위해 완전히 상승되거나 철회된다.
개시된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는, 활주로 중앙 위의 설계된 위치로 테이프 경로의 정렬을 유지하면서, 활주로 에지 시브를 배터리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설계된다. 케이블이 활주로 표면에 놓일 정도로 처지지 않도록 상승된, 초과 저지 준비 위치에 있는 동안 케이블에 일정 정도의 텐션을 유지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활주로 에지 시브는 단일 슬로프 활주로의 경우에 활주로 표면의 크라운 또는 중앙 위의 설계된 높이에 정렬된다. 또한, 활주로 에지 시브는 케이블이 활주로 표면 상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에 유지되는 충분한 텐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인장력은 통상적으로 에너지 흡수기의 테이프 되감기 시스템에 의해 인가되며 테이프를 통해 횡단 활주로 케이블로 전달된다. 테이프는 시브의 중앙에 위치 설정되어야 하며 마찰 및 바인딩이 발생할 수 있는 에지를 향해 편향되어서는 안된다. 그러한 간섭으로 인해 테이프 에지가 마모되고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개시된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는 또한 활주로 에지 시브를 상승된 및 하강된 위치로 따르게 하는 임의적인 램핑 디바이스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램핑 디바이스는 상승된 활주로 에지 시브를 직접 쳐서 발생되는 손상으로부터 활주로를 벗어난 항공기를 보호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세장형 빔(14)의 일 예를 예시한다. 빔(14)이 일반적으로 활주로 에지 시브로서 기능하는 세장형 부재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빔/시브 구성이 가능하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은 대체로 수평인 후방 시브에 있는 에너지 흡수기로부터 테이프를 수용하는 페어리드 빔이다. 테이프가 시브 내에서 약 90°회전되도록 전방 세트의 수직 시브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에 대한 테이프 커넥터 인터페이스가 필요에 따라 위치 설정되도록 테이프를 정렬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은 안정된 기초(12)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기초(12)는 통상적으로 활주로 에지 시브가 현재 지상에 장착된 기초 유형과 유사한 콘크리트 기초이다. 그러나, 기초(12)는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시스템 구성요소가 장착되는 내부 공동 영역을 획정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상승된 위치에서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시스템(10)을 예시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철회된/하강된 위치에서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시스템(10)을 예시한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시스템(10)은 시브로서 기능하는 세장형 빔(14)을 갖는다. 특정 예에서, 페어리드 빔이 세장형 빔(14)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세장형 빔(14)은 메커니즘(16)을 통해 공동 내에서 상승 및 하강된다. 메커니즘(16)은 유압 작동, 공압 작동, 전기적 작동, 에어백 팽창 또는 기어 및 풀리 시스템과 같은 기계적 작동,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상승 및 하강 시스템을 통해 기능하는 상승 및 하강 메커니즘일 수 있다. 2개의 상승 메커니즘(16)이 도 5에 의해 예시되어 있지만, 시스템의 중량 및 상승 연결 장치의 설계에 따라 단일 메커니즘 또는 다중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로, 메커니즘(16)이 세장형 빔(14) 아래에 위치 설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메커니즘은 빔의 측면 또는 상부 영역에서 기능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세장형 빔(14)은 힌지(20)를 통해 후방 부분(18)을 따라 공동 내에 장착된다. 메커니즘(16)이 활성화될 때, 세장형 빔(14)은 힌지(20)에 대해 위로 피봇된다. 이는 도 4의 측면도에서 볼 수 있다. 빔(14)에 들어가는 테이프는 기초(12)를 향할 때 튜브에서 지하로 이동할 수 있다.
세장형 빔(14)의 전방 부분(22)은 케이블(26)이 고정되는 테이프 커넥터(24)를 갖는다. 세장형 빔(14)의 전방 부분(22)은 또한 상승 판(28)을 획정한다. 상승 판(28)은 세장형 빔(14)과 함께 이동한다. 상승 판의 전방 부분은, 시스템이 상승될 때 테이프 커넥터를 위한 선반을 제공하는 립 영역(30)을 갖는다. 상승 판(28) 및 립(30)은 기초(12)의 오목한 영역에 끼워질 수 있다.
도면은 또한 좌측 및 우측 경사 부분(32a, 32b)을 예시한다. 경사 부분(32a, 32b)은 세장형 빔(14)의 측면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경사 부분(32) 중 하나를 세장형 빔(14)에 고정하는 경사 힌지(34)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4)는 빔(14)의 실질적인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대신에 일련의 더 작은 힌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세장형 빔(14)이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경사 부분(32a, 32b)은, 도 5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기초(12)와 빔(14) 사이에 상향 슬로프를 생성한다. 이 특징은 오버런 항공기가 시스템(10) 위를 굴러가는 경우에 시스템(10)을 보호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뿐만 아니라 항공기와 그 탑승자를 보호함).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부분(32a, 32b)은 절두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형상은 세장형 빔(14)이 상승하든 하강하든 간에 경사 부분(32a, 32b)이 기초(12)의 풋프린트 내에 끼워지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제공된다면, 경사 부분(32)은 시스템과 함께 상승 및 하강되도록 설계된다. 도 5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빔(14)이 상승될 때, 경사 부분의 외부 에지(38)는 세장형 빔을 향해 당겨진다. 이는 기초(12)의 베이스를 따라 추적하고 경사 부분이 상승됨에 따라 내향으로 굴러가도록 기능하는 하나 이상의 원통형 롤러의 사용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세장형 빔(14)의 상향 이동은 경사 부분을 도 6 내지 도 8에 의해 예시된 평탄한 위치로부터 도 3 내지 도 5에 의해 예시된 상승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경사 부분의 외부 에지의 삼각형 형상은 경사 부분이 기초 표면에서 솟아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부스러기가 경사 에지(38)와 기초 에지(40) 사이에 남겨진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 에지(38)를 따라 하나 이상의 가드가 제공될 수 있다.
세장형 빔(14)의 상향 이동은 케이블(26) 및 그 테이프 커넥터(24)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임의적인 경사 부분(32)이 내향으로 추적하고 또한 상승되게 한다. 세장형 빔(14)과 철회 가능한 후크 케이블 시스템의 상승은 케이블(26)을 활주로를 가로질러 적절하게 위치 설정한다. 세장형 빔(14)이 하강될 때, 빔의 상부 표면은 활주로 표면과 동일 높이에 있다. 이는 케이블(26)을 활주로 표면과 동일 높이 또는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하강된 위치에서의 세장형 빔(14)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세장형 빔(14)의 하강은 상승/하강 메커니즘(16)의 하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하강될 때, 경사 부분(32)은 또한 활주로 표면과 동일 높이가 된다.
도 8 및 도 9는 세장형 빔(14)과 측면 구속 판(42) 사이의 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다. 측면 구속 판(42)은, 항공기가 케이블과 맞물린 경우에 모든 하중이 적절하게 관리되도록,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세장형 빔(14)을 고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검토의 용이함을 위해 경사 부분(32)이 없는 세장형 빔을 도시한다. 측면 구속 판(42)은 기초(12)에 대해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도시된 예에서, 측면 구속 판(42)은 빔 대면 고정 부분(44)을 갖는다. 도시된 고정 부분(44)은 세장형 빔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고정 부분(4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일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고정 부분(46)은 세장형 빔(14)과 관련된 일련의 키 또는 돌출부(46)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은 반전될 수 있어, 구속 베이스판 상의 고정 부분(44)은 세장형 빔과 관련된 개구를 형성하는 대응하는 고정 부분에 의해 수용되는 치형부 또는 돌출부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단일 세장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단일 세장형 개구가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측면 구속 판은 공동 내부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측면 구속 판은 세장형 빔(14)의 하부 부분의 측벽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세장형 빔 측벽의 하부 부분과 수직 구속 판 사이의 그러한 접촉은 횡력에 저항할 수 있다.
일반적인 목표는 세장형 빔(14)을 안정된 구성으로 고정하기 위해 부분(44, 46)이 서로에 대해 정합 또는 네스팅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고정 부분(46)은 치형부/돌출부(46)로서 형성된다. 이들 치형부/돌출부는 세장형 빔과 관련되거나 달리 빔을 따라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상승된 위치에서 도 9의 세장형 빔(14)을 (다시, 검토의 용이함을 위해 경사 부분(32) 없이) 예시한다. 사용시, 세장형 빔(14)이 상승될 때, 고정 부분(44, 46)은 서로에 대해 네스팅되거나 인터로킹된다. 도시된 특정 예에서, 측면 구속 판(42)의 개구는 인클로저 베이스 판의 돌출부를 수용한다. 특정 예에서, 치형부/돌출부는 정렬이 정확하지 않더라도 개구로 들어가는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상단 에지를 따라 경사질 수 있다. 세장형 빔이 상승되면, 고정 부분(44, 46) 사이의 협력이 세장형 빔(14)을 제자리에 고정 및 앵커링하고 볼트 체결한다. 이 구성은 통상적으로 세장형 빔을 콘크리트 기초에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앵커 볼트를 대신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세장형 빔(14)의 하강된 및 상승된 구성과 고정 부분(44, 46)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다.
세장형 빔을 제자리에 지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측방향 하중에 저항하기 위해 기초의 측면을 사용하는 세장형 빔 아래에 하나 이상의 용접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빔(14)의 밑면에 용접되거나 달리 부착될 수 있는 베이스 판(6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프레임워크(62)는 또한 초과 저지 하중을 지지하면서 세장형 빔(14)을 상승된 위치로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워크(62)는 콘크리트 기초의 공동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측면 판(64)은 지지 프레임워크(6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 판(64)은 강철일 수 있고 빔(14)이 지지 프레임워크(62) 내에서 활주되게 하는 저마찰 재료를 제공하기 위해 저마찰 재료로 그 외부 표면이 피복될 수 있다.
도 13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구속 판은 공동 내부에 수직으로 위치된 측면 판(70)일 수 있다. 프레임 용접부(66)는 콘크리트 기초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워크(이 이미지에 도시되지 않음)는 프레임 용접부(66) 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측면 구속 판(70)은 세장형 빔(14)의 하부 부분의 측벽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세장형 빔 측벽의 하부 부분과 수직 측판(64) 사이의 접촉은 항공기 초과 저지 동안 가해지는 측방향 힘에 저항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4는 프레임 용접부(66)가 기초 내에 위치 설정된 상태로 도 13의 단부도를 도시한다. 지지 프레임워크(62)는 프레임 용접부(66) 내에 위치 설정된다. 측면 판(70)은 지지 프레임워크(62)의 양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측면 판(70)은 저마찰 재료(72)가 도포될 수 있다. 세장형 빔(14)은 베이스 판(60)이 고정되고 지지 프레임워크(62) 내에 위치 설정된다. 다른 고정 및 이동 옵션이 가능하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
초과 저지가 발생한 후에, 필요에 따라 케이블을 수동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관제탑은 세장형 빔(14)을 지면으로 하강시키는 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대안적인 옵션이 가능하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5a 및 도 15b에 의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분에서 세장형 빔(14)을 힌지 연결하는 대신에, 빔은 측면 힌지(50)를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52)(상승 및 하강 메커니즘(16)과 유사)는 세장형 빔(14)을 기초(12)의 공동 내의 하강된 위치(도 15a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로부터 상승된 배터리 위치(도 15b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로 이동시키는 측력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세장형 빔을 상승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측면 고정이 구현될 수 있다. 덮개(54)는 세장형 빔의 상부에 걸쳐 제공되어 세장형 빔이 철회되어 있는 동안 유닛에 대한 항공기 롤오버로 인한 부스러기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대안 실시예는 전체 세장형 빔(14)을 상승 및 하강시켜, 전체 빔이 배터리 위치로 상승되든 기초 공동으로 하강되든 간에 활주로 표면에 평행하게 유지된다. 빔을 힌지 연결하는 대신에 전체적으로 상승될 수 있는 세장형 빔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세장형 빔은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된다. 이 실시예는 후방 부분에 힌지(20)를 갖지 않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상승 및 하강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가 도 16a 및 도 16b에 의해 예시된다. 이 예의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빔 판에 수용된 베어링을 타고 있는 기초(12)에 장착된 일련의 로드(56)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고정 부분(44, 46)을 사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승 및 하강 메커니즘 또는 액추에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유압 실린더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작동 메커니즘일 수 있다. 대안으로, 작동력은 세장형 빔 아래에 위치된 에어백(58)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7a 및 도 17b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팝업 시브를 제공한다. 이 예에서, 빔은 인클로저 내에 제공되고 롤러 베어링에서 수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의도는 인클로저 상자 내에서 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수평 시브와 별개인 조립체 내에 수용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시브를 제공할 수 있다. 초과 저지 이벤트 동안, 수직 시브는 아래에서 공급되는 힘(상승 및 하강 메커니즘/액추에이터, 또는 에어백, 또는 다른 적절한 작동 메커니즘일 수 있음)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상승된다. 시브 조립체는 선형 베어링과 같은 가이드를 갖고, 및/또는 인클로저 내에 구속되어 예측 가능하게 상승 및 하강되는 것을 보장하고 활주로 표적에 대해 적절한 테이프 정렬을 제공할 수 있다. 시브 빔과 함께 상승 및 하강하도록 상단 덮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의 주제는 법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 설명은 반드시 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청구된 주제는 다른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고, 상이한 요소 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기존 또는 미래의 기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설명은 개별 단계의 순서 또는 요소의 배열이 명시적으로 설명된 경우를 제외하고, 다양한 단계 또는 요소 사이의 임의의 특정 순서 또는 배열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면에 도시되거나 위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의 상이한 배열 뿐만 아니라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 및 단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유사하게, 일부 특징 및 하위 조합이 유용하며 다른 특징 및 하위 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되었으며, 대안 실시예는 이 특허의 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항공기 활주로 표면을 가로질러 케이블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철회 가능한 시브 시스템으로서,
    항공기 활주로 표면의 측면을 따라 있고,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기초(12),
    공동 내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된 활주로 에지 시브로서 기능하는 빔(14),
    힌지(20)이며, 상기 빔(14)이 힌지(20)를 통해 후방 부분(18)을 따라 공동 내에 장착되는, 힌지(20);
    상승/하강 메커니즘(16)이며, 상기 빔(14)이 메커니즘(16)을 통해 공동 내에서 상승 및 하강되는, 상승/하강 메커니즘(16); 및
    상기 빔(14)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측면 경사 부분(32)을 포함하고,
    상승/하강 메커니즘이 빔을 하강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은 공동 내에 안착되고 항공기 활주로 표면과 동일 높이에 있으며, 상승/하강 메커니즘이 빔을 상승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은 세장형 빔의 적어도 전방 부분이 활주로 표면 위로 상승하도록 힌지에 대해 힌지 연결되고, 철회 가능한 시브 시스템은 활주로 에지에 장착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후방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하강 메커니즘이 빔을 상승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은 세장형 빔의 전방 부분이 활주로 표면 위로 상승하도록 후방 힌지에 대해 힌지 연결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빔은 상승 판을 포함하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는 빔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속 판(34)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상승은 측면 경사 부분의 상승을 포함하고 빔의 하강은 측면 경사 부분의 하강을 포함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경사 부분은 빔에 힌지 연결되고 기초에 대해 활주 가능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경사 부분은 빔의 측면에 힌지 연결되어, 빔의 상승은 경사 부분의 대응하는 상승을 초래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빔이 상승될 때 기초와 경사 부분 에지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덮기 위한 가드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활주로 에지 시브로서 기능하는 세장형 빔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빔을 통해 이동하는 테이프를 배향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평 롤러 시브 및 적어도 하나의 수직 시브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하강 메커니즘은 공압 시스템, 유압 시스템, 전기적 작동, 또는 기계적 작동, 또는 에어백 시스템을 통한 작동을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전방 부분에 위치 설정된 테이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측면 힌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항공기 활주로 표면을 가로질러 케이블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철회 가능한 시브 시스템으로서,
    항공기 활주로 표면의 측면을 따라 있고,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기초(12),
    공동 내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된 활주로 에지 시브로서 기능하는 빔(14),
    상승 시스템; 및
    상기 빔(14)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측면 경사 부분(32)을 포함하고;
    상승 시스템이 빔을 하강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은 공동 내에 안착되고 항공기 활주로 표면과 동일 높이에 있으며, 상승 시스템이 빔을 상승된 위치로 구성할 때, 빔의 적어도 전방 부분이 활주로 표면 위로 상승되고, 철회 가능한 시브 시스템은 활주로 에지에 장착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시스템은 후방 힌지(20) 및 상승/하강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때 빔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하는 상승/하강 메커니즘(16)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시스템은 유압 시스템, 전기적 작동, 기계적 작동 또는 에어백 시스템을 통한 작동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07034683A 2018-05-03 2019-05-03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KR102649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6404P 2018-05-03 2018-05-03
US62/666,404 2018-05-03
PCT/US2019/030544 WO2020068167A2 (en) 2018-05-03 2019-05-03 Retractable runway edge shea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265A KR20210003265A (ko) 2021-01-11
KR102649507B1 true KR102649507B1 (ko) 2024-03-21

Family

ID=6838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683A KR102649507B1 (ko) 2018-05-03 2019-05-03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36142B2 (ko)
EP (1) EP3787974A2 (ko)
JP (1) JP7320533B2 (ko)
KR (1) KR102649507B1 (ko)
CA (1) CA3098618A1 (ko)
SG (1) SG11202010905YA (ko)
WO (1) WO2020068167A2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6768A (en) * 1948-11-09 1953-01-27 North American Aviation Inc Aircraft arresting gear
US2919871A (en) 1956-11-15 1960-01-05 All American Eng Co Aircraft runway barriers
US3146974A (en) * 1962-12-27 1964-09-01 Salvatore R Petoia Pendant support
US3182935A (en) * 1964-07-30 1965-05-11 William J G Wischhoefer Vehicle arresting gear system
US3350039A (en) 1965-10-18 1967-10-31 Wilbur D Crater Clutching means for launching and arresting aircraft and the like
US3620489A (en) * 1970-03-16 1971-11-16 All American Ind Runway sheave assembly for aircraft-arresting gear
FR2463057A1 (fr) 1979-08-10 1981-02-20 Aerazur Constr Aeronaut Ensemble de supports retractiles pour un cable d'arret a travers une piste d'envol ou d'atterrissage d'avions
US6394390B1 (en) 2000-10-12 2002-05-28 Engineered Arresting Systems Corporation Hook cable support assembly
US6981673B1 (en) * 2004-11-05 2006-01-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Wear resisting sleeve system for aircraft landing arresting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37639A1 (en) 2019-11-07
US11136142B2 (en) 2021-10-05
WO2020068167A3 (en) 2020-06-25
JP7320533B2 (ja) 2023-08-03
SG11202010905YA (en) 2020-12-30
WO2020068167A2 (en) 2020-04-02
EP3787974A2 (en) 2021-03-10
CA3098618A1 (en) 2020-04-02
JP2021524822A (ja) 2021-09-16
KR20210003265A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252B2 (en) Vertically movable door with safety barrier
US7467909B2 (en) Arresting systems and methods
EP1097098B1 (en) Dock leveler with integral bumpers
US3440673A (en) Dockboard
EP2542721B1 (en) Arresting systems
KR101163530B1 (ko)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102649507B1 (ko) 철회 가능한 활주로 에지 시브
US20160160459A1 (en) Arresting fence system
WO2019142008A1 (en) Tail lift assembly for vehicle trailer
US3620489A (en) Runway sheave assembly for aircraft-arresting gear
JP7257414B2 (ja) 航空機拘束システム用テープ高さ調整装置
US10351394B2 (en) Load assembly and method for lifting a load into an aircraft
WO2020086500A1 (en) Safety gate for loading dock
US20070108427A1 (en) Automatic baggage lift leveling and lift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from a moveable structure such as a jet bridge
US20240067502A1 (en) Lift assembly and assembling/dismantling and docking method
US11591114B2 (en) Aircraft loader
KR102486567B1 (ko) 엘리베이터 카
US9694996B2 (en) Dock leveler safety supports and related methods
WO2023152060A1 (de) Aufzugsan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