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256B1 -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256B1
KR102649256B1 KR1020230056252A KR20230056252A KR102649256B1 KR 102649256 B1 KR102649256 B1 KR 102649256B1 KR 1020230056252 A KR1020230056252 A KR 1020230056252A KR 20230056252 A KR20230056252 A KR 20230056252A KR 102649256 B1 KR102649256 B1 KR 10264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groove
digital printing
driving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아라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아라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아라그룹
Priority to KR102023005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525Arrangement for multi-colour printing, not covered by group B41J2/21, e.g.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부족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부족분 만큼의 해당 색상의 잉크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잉크의 잔량을 직접 확인 및 충전하지 아니하고도 디지털 인쇄장치의 사용이 상시 가능하도록 구현한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인쇄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잉크를 색상 별로 저장해 두는 다수 개의 잉크 탱크; 및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잔량을 잉크 색상 별로 확인하며,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색상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해당 색상의 잉크를 전달받아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An ink supply system that supplies ink to a plurality of digital printing devices}
본 발명은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부족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부족분 만큼의 해당 색상의 잉크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잉크의 잔량을 직접 확인 및 충전하지 아니하고도 디지털 인쇄장치의 사용이 상시 가능하도록 구현한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Digital Printing Machine)에서는 마젠타(자주), 옐로우(노랑), 시안(청록) 이라는 삼원색을 사용하여 색을 덧칠하여 여러가지 색상을 창출하는 감산혼합기법을 사용한다.
상기한 감산혼합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상을 갖는 잉크가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각각의 색상을 주사하는 헤드로 공급되도록 하여 각각의 헤드에서 주사되는 색상의 잉크가 덧칠해져 새로운 색이 시현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디지털 프린팅머신에서는 각각의 헤드로 공급되는 잉크가 각각 수용된 잉크수용본체의 잉크의 량이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로 차이가 발생하는 바, 그 이유는 헤드로 공급되는 삼원색의 잉크는 인쇄되는 이미지와 인쇄량에 따라 각 색상의 잉크 사용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인쇄물의 종류와 혼합색에 따라 삼원색의 잉크 중 어느 하나의 색을 갖는 잉크는 사용량이 많게 되어 잉크통의 잔량이 다른 잉크통에 수용된 다른 색의 잉크보다 적게 되거나 어느 하나의 색을 갖는 잉크의 사용량이 적게 되어 다른 잉크통에 수용된 다른 색의 잉크보다 많게 되어 잉크의 양에 차이를 갖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22180호 (2004.03.12.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부족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부족분 만큼의 해당 색상의 잉크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잉크의 잔량을 직접 확인 및 충전하지 아니하고도 디지털 인쇄장치의 사용이 상시 가능하도록 구현한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은, 디지털 인쇄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잉크를 색상 별로 저장해 두는 다수 개의 잉크 탱크; 및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잔량을 잉크 색상 별로 확인하며,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색상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해당 색상의 잉크를 전달받아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잉크 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잔량 또는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상기 잉크 탱크의 충전 요청 또는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공급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잉크 탱크가 안착되며, 상기 잉크 탱크를 일정한 주기로 움직여 주는 탱크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 거치대는, 전후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 형상의 아치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아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상기 아치홈에 안착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잉크 탱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잉크 탱크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탱크 안착홈;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아치홈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아치홈의 원주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또는 전후 방향의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상기 아치홈의 내주면 중앙에 함몰 형성되되, 저면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저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구동홈; 상기 구동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구동부 바디; 및 상기 구동부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홈의 저면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아치홈의 원주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또는 전후 방향의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이동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유도부는, 상기 구동부 바디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구동부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밀착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밀착 블록의 상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밀착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블록 지지 스프링; 상기 밀착 블록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밀착 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밀착 블록의 내측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부 설치홈; 하단이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구동홈의 저면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구체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동 구체; 및 상기 구동부 설치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구동 구체의 상단에 밀착 되어 상기 구동부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구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체 구동부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 설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홈을 형성하는 링형 레일;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와 대향하면서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와 대향하면서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는 회전 모터; 일단이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하여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링형 레일의 내측에서 회전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중단에 설치되어 하단이 상기 구동부 설치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구동 구체의 상단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 방향을 달리하면서 상기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구동 구체를 회전시켜 주는 고무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부족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부족분 만큼의 해당 색상의 잉크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잉크의 잔량을 직접 확인 및 충전하지 아니하고도 디지털 인쇄장치의 사용이 상시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다수 개의 잉크 탱크와 공급 장치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탱크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5의 이동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구체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10)은, 다수 개의 잉크 탱크(100-1 내지 100-N) 및 공급 장치(200)를 포함한다.
다수 개의 잉크 탱크(100-1 내지 100-N)는, 디지털 인쇄장치(1)로 공급하기 위한 잉크를 색상(즉, 시안(청록), 마젠타(자주), 옐로우(노랑), 블랙(검정) 중 어느 하나)로 저장해 두며, 공급 장치(200)로 개별적으로 자신이 수용하고 있는 잉크를 전달한다.
공급 장치(200)는, 각 디지털 인쇄장치(1-1 내지 1-N)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디지털 인쇄장치(1)의 잉크 잔량을 잉크 색상 별로 확인하며, 특정 디지털 인쇄장치(1)로부터 잉크 잔량이 기준값(예를 들어, 잉크 잔량이 5% 이하 등) 이하로 떨어졌다고 통지된 경우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색상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잉크 탱크(100)로부터 해당 색상의 잉크를 전달받아 잉크전달관(P)을 이용하여 디지털 인쇄장치(1)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 장치(200)는, 잉크 탱크(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잔량 또는 디지털 인쇄장치(1)의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잉크 탱크(100)의 충전 요청 또는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디지털 인쇄장치(1)의 잉크 공급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통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10)은,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부족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부족분 만큼의 해당 색상의 잉크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잉크의 잔량을 직접 확인 및 충전하지 아니하고도 디지털 인쇄장치의 사용이 상시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20)은, 다수 개의 잉크 탱크(100-1 내지 100-N), 공급 장치(200) 및 탱크 거치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 개의 잉크 탱크(100-1 내지 100-N) 및 공급 장치(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탱크 거치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잉크 탱크(100)(즉, 하나의 잉크 탱크(100) 또는 다수 개의 잉크 탱크(100) 등)가 안착되며, 잉크 탱크(100)를 일정한 주기로 움직여 줌으로써, 잉크 탱크(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굳거나 침전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20)은, 탱크 거치대(400)를 이용하여 잉크 탱크(100)를 일정한 주기(예를 들어, 하루에 1 번 또는 10 번 등)로 움직여 줌으로써, 잉크 탱크(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굳거나 침전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탱크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탱크 거치대(40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 이동 플레이트(420), 탱크 안착홈(430) 및 플레이트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이동 플레이트(4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 형상의 아치홈(411)이 상부에 형성된다.
이동 플레이트(420)는, 하부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아치홈(4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아치홈(411)에 안착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을 그리면서 이동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탱크 안착홈(430)에 안착되어 있는 잉크 탱크(100)를 이동시켜 잉크 탱크(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굳거나 침전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탱크 안착홈(430)은, 잉크 탱크(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동 플레이트(420)의 상부에 잉크 탱크(10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플레이트 구동부(500)는, 이동 플레이트(4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아치홈(411)에서 이동 플레이트(420)를 아치홈(411)의 원주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또는 전후 방향의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구동부(500)는, 구동홈(510), 구동부 바디(520) 및 이동 유도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홈(510)은, 구동부 바디(520)가 안착되어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치홈(411)의 내주면 중앙에 함몰 형성되되, 이동 유도부(530)가 밀착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저면이 이동 플레이트(420)의 저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구동부 바디(520)는, 구동홈(5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이동 플레이트(420)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이동 유도부(530)가 설치된다.
이동 유도부(530)는, 구동부 바디(520)에 설치되어 구동홈(510)의 저면에 밀착 안착되며, 이동 플레이트(42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홈(411)의 원주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탱크 거치대(400)는, 탱크 안착홈(430)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잉크 탱크(100)를 곡선 방향 또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잉크 탱크(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굳거나 침전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도 5의 이동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유도부(530)는, 블록 안착홈(531), 밀착 블록(532), 블록 지지 스프링(533), 구체 안착홈(534), 구동부 설치홈(535), 구동 구체(536) 및 구체 구동부(537)를 포함한다.
블록 안착홈(531)은, 밀착 블록(532)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 바디(520)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구동부 바디(520)의 내측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밀착 블록(532)은, 블록 지지 스프링(533)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안착홈(531)에 안착되며, 구체 안착홈(534), 구동부 설치홈(535), 구동 구체(536) 및 구체 구동부(537)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블록 지지 스프링(533)은, 블록 안착홈(531)의 상측에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531)에 안착되는 밀착 블록(532)의 상단을 지지하여 구동 구체(536)가 구동홈(510)의 저면에 밀착 안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구동 구체(536)가 회전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발생되어 밀착 블록(532)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구체 안착홈(534)은, 구동 구체(536)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밀착 블록(532)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밀착 블록(532)의 하부에 형성된다.
구동부 설치홈(535)은, 구체 구동부(537)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체 안착홈(534)의 상단으로부터 밀착 블록(532)의 내측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동 구체(536)는, 하단이 구체 안착홈(534)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어 구동홈(510)의 저면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구체 안착홈(53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구체 구동부(537)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구체 구동부(537)는, 구동부 설치홈(535)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구동 구체(536)의 상단에 밀착 되어 구동부 설치홈(535)에 설치되며, 구동 구체(536)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 유도부(530)는, 이동 플레이트(420)를 지지함은 물론, 이동 플레이트(420)를 곡선 방향 및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줌과 동시에 이동 플레이트(420)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이동 플레이트(420)에 안착되어 있는 잉크 탱크(100)의 파손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구체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구체 구동부(537)는, 링형 레일(5371), 제1 슬라이더(5372), 제2 슬라이더(5373), 회전 모터(5374), 회전축(5375) 및 고무 볼(5376)을 포함한다.
링형 레일(5371)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부 설치홈(535)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제1 슬라이더(5372)는,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제2 슬라이더(5373)아 함께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 모터(5374)를 이동시켜 준다.
제2 슬라이더(5373)는, 제1 슬라이더(5372)와 대향하면서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슬라이더(5372)와 대향하면서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축(5375)의 타단을 이동시켜 준다.
회전 모터(5374)는, 제1 슬라이더(5372)의 전단에 설치되어 회전축(5375)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회전축(5375)은, 일단이 회전 모터(5374)의 구동축에 축결합하여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슬라이더(5373)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슬라이더(5372)와 제2 슬라이더(5373)가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링형 레일(5371)의 내측에서 회전 이동하는 동시에 회전 모터(5374)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고무 볼(5376)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고무 볼(5376)은, 회전축(5375)의 중단에 설치되어 하단이 구동부 설치홈(535)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구동 구체(536)의 상단에 밀착 안착되며, 제1 슬라이더(5372)와 제2 슬라이더(5373)가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 방향을 달리하면서 회전 모터(5374)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구동 구체(536)를 회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체 구동부(537)는, 구동 구체(536)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420)가 곡선 방향 또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디지털 인쇄장치
10: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100: 잉크 탱크
200: 공급 장치
300: 사용자 단말기
400: 탱크 거치대
500: 플레이트 구동부

Claims (3)

  1. 디지털 인쇄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잉크를 색상 별로 저장해 두는 다수 개의 잉크 탱크;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잔량을 잉크 색상 별로 확인하며,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색상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해당 색상의 잉크를 전달받아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잉크 탱크가 안착되며, 상기 잉크 탱크를 일정한 주기로 움직여 주는 탱크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 거치대는,
    전후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 형상의 아치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아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상기 아치홈에 안착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잉크 탱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잉크 탱크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탱크 안착홈;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아치홈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아치홈의 원주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또는 전후 방향의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상기 아치홈의 내주면 중앙에 함몰 형성되되, 저면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저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구동홈;
    상기 구동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구동부 바디; 및
    상기 구동부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홈의 저면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아치홈의 원주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또는 전후 방향의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이동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유도부는,
    상기 구동부 바디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구동부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밀착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밀착 블록의 상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밀착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블록 지지 스프링;
    상기 밀착 블록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밀착 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밀착 블록의 내측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부 설치홈;
    하단이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구동홈의 저면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구체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동 구체; 및
    상기 구동부 설치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구동 구체의 상단에 밀착 되어 상기 구동부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구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체 구동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잉크 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잔량 또는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상기 잉크 탱크의 충전 요청 또는 잉크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의 잉크 공급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하는,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3. 삭제
KR1020230056252A 2023-04-28 2023-04-28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KR10264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252A KR102649256B1 (ko) 2023-04-28 2023-04-28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252A KR102649256B1 (ko) 2023-04-28 2023-04-28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256B1 true KR102649256B1 (ko) 2024-03-21

Family

ID=9047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252A KR102649256B1 (ko) 2023-04-28 2023-04-28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2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80B1 (ko) 2001-05-30 2004-03-12 주식회사 디지아이 디지탈 프린팅머신의 잉크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80B1 (ko) 2001-05-30 2004-03-12 주식회사 디지아이 디지탈 프린팅머신의 잉크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0309B (zh) 墨盒
CN1128717C (zh) 图像生成设备
CN107206805B (zh) 喷墨记录设备和记录介质
CN101075115B (zh) 色调剂卡盒
CN1860032A (zh) 打印流体容器
US8077346B2 (en) Gap adjustment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CN1860031A (zh) 打印流体容器
KR102649256B1 (ko) 복수의 디지털 인쇄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시스템
CN1636745A (zh) 液体容器
US6419334B1 (en) Ink-jet printer
KR101440782B1 (ko) 짝을 이루는 고형 잉크 스틱 슈트를 구비한 프린터 고형잉크 운반을 위한 고형 잉크 스틱 슈트
US20190084308A1 (en) Cartridge
KR101981115B1 (ko) 유선기술이 적용된 드론형 3d프린터
US2003006316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080430B2 (ja) 印刷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可変容積型印刷材供給システム
US20080117266A1 (en) Transport system for solid ink for cooperation with melt head in a printer
CN204382816U (zh) 密封部件、墨容纳单元及喷墨打印机
JP4225678B2 (ja) 画像形成装置
CN207535505U (zh) 墨容纳单元及具有其的喷墨打印机
JP2007111899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23035278A (ja) 液体収容ボトル
US7128391B2 (en) Self aligning printhead carrier bearings for an imaging apparatus
JP7306058B2 (ja) 印刷用液体容器、システム、及びキャップ
JP7167852B2 (ja) 印刷用液体容器
US20230063184A1 (en) Liquid suppl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