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649B1 - 파이프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이프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649B1
KR102648649B1 KR1020230192314A KR20230192314A KR102648649B1 KR 102648649 B1 KR102648649 B1 KR 102648649B1 KR 1020230192314 A KR1020230192314 A KR 1020230192314A KR 20230192314 A KR20230192314 A KR 20230192314A KR 102648649 B1 KR102648649 B1 KR 102648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workpiece
fram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충길
Original Assignee
(주)고운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운스틸 filed Critical (주)고운스틸
Priority to KR102023019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or clamp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rives for strap saw blades; of whee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trap saw blades
    • B23D55/082Devices for guiding strap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9/00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3D59/001Measuring or control devices, e.g. for automatic control of work feed pressure on band saw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7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with a cutting liquid nozzle specially adaptable to different kinds of machin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기설정되는 치수에 맞게 밴드형의 절단날을 이용하여 자동 절단 및 배출이 되도록 하는 파이프가공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가공시스템{pipe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파이프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을 기설정되는 치수에 맞게 밴드형의 절단날을 이용하여 자동 절단 및 배출이 되도록 하는 파이프가공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밴드쇼잉머신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양단을 접합한 밴드 쇼를 구동륜과 종동륜에 걸고, 종동륜을 구동륜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밴드 쇼에 텐션을 주고 방향전환 안내장치로서 톱날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구동륜을 회전하면 구동륜과 밴드쇼의 접촉마찰에 의하여 톱날은 일정한 주속도 전진을 하게되며, 이 구동부분 전체의 상하 운동으로 아래측 바이스에 고정된 피가공재를 절단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 방법은 밴드 쇼를 장착 시부터 마모 파손 등으로 제거할때까지 항상 강한 텐션을 걸어 놓음으로 수명단축의 요인이 되며 또 밴드쇼와 구동륜 및 종동륜의 접촉부분에 절삭칩 등의 이물질이 끼여들면 이물질을 중심으로 밴드쇼의 양측이 텐션으로 꺾어지는 상태가 되어 균열이 발생하고 회전에 의하여 점점 균열부가 커져 밴드쇼가 절단되는 현상이 있었었다.
그리고 밴드쇼에 걸린 텐션이 약한 경우에는 톱날이 피가공재를 절단하는 부하보다 구동륜과 밴드 쇼의 접촉마찰에 의한 견인력이 약하게 되면 밴드 쇼의 슬립현상이 일어나고 구동 부분의 하강속도는 동일하므로 톱날 하나에 걸리는 절삭 부하는 더욱 증가하여 마침내 밴드 쇼가 정지하게 되고 이를 감지하는 안전장치가 밴드 쇼를 위로 상승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 동안에 톱날은 절단 과부하에 의하여 변형과 균열 파손이 일어나므로 역시 수명단축의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피가공재의 절삭시 발생하는 절삭칩은 톱날의 홈 사이에 끼어 있으며 이를 제거하는 장치인 와이어브러시롤러는 톱날 진행 방향의 직각 방향에서 톱날의 한쪽 면을 긁어내어 탈락하므로, 경도가 높은 와이어가 톱날의 한쪽면에 반복하여 금속 마찰을 가하므로 날의 한쪽이 조기 마모되는 현상이 있고 이 방법으로는 톱날 끝에 꽉 박혀있는 절삭칩은 완전제거가 되지 않고 구동륜과 밴드쇼 사이에 끼어들게 되면 텐션에 의하여 절삭칩이 구동륜의 표면에 눌려 다져지므로 구동륜의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되고 따라서 밴드 쇼와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면 마찰 구동력이 떨어져 밴드 쇼의 슬립이 발생하여 톱날이 손상되거나 작업이 중단되므로 보다 강한 텐션을 가하게 되어 결국 밴드 쇼의 수명을 더욱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69544호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기설정되는 치수에 맞게 밴드형의 절단날을 이용하여 자동 절단 및 배출이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기설정되는 치수에 맞게 밴드형의 절단날을 이용하여 자동 절단 및 배출이 되도록 하는 파이프가공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가공시스템은, 절단되는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절단프레임과, 절단프레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절단날이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절단프레임 상측으로 형성되는 날프레임과, 절단날을 교체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날프레임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날교체커버와, 피가공물을 절단하기 위해 날프레임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결되어 날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일측이 날교체커버 측 내부로 연결되고, 타측이 날구동모터 측에 연결 형성되는 절단날과, 승하강실린더의 구동으로 날프레임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절단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바와, 날프레임을 승하강 시키기 위해 절단프레임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승하강가이드바를 관통하여 승하강될 수 있도록 날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회전되는 절단날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날프레임 중앙 양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날이동가이드와,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제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프레임 상면으로 형성되는 제품배출판과, 제어조작판을 통해 조작되어 절단이 이루어지는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어조작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어상태판과, 절단되는 피가공물의 절단길이와 절단속도와 절삭유주입유무와 절단날과 피가공물 간의 높낮이를 제어하기 위해 절단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어조작판과, 피가공물 절단을 위해 제1밀착부재를 밀어 피가공물을 일측방향으로 밀착시키기며, 피가공물의 절단 완료시 제1밀착부재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이동판의 구동으로 피가공물을 제품배출판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1밀착부재가 후퇴되며 초기 위치로 슬라이드이동판이 이동되고, 절단을 위해 제1밀착부재를 피가공물 측으로 밀착시키는 반복적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드이동판 상측으로 형성되는 제1밀착실린더와, 제1밀착실린더에 의해 피가공물을 일측 방향으로 밀착 시키도록 제1밀착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1밀착부재와, 피가공물의 일측을 밀착고정하기 위한 제2밀착부재를 피가공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절단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밀착실린더와, 제2밀착실린더에 의해 피가공물을 일측 방향으로 밀착 시키도록 제2밀착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2밀착부재와, 절단날의 타측을 지지하며, 날구동모터의 구동시 절단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어가 내장되도록 날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구동체인함체와, 절단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날프레임 구동체인함체 일측으로 형성되는 날구동모터와, 피가공물이 안착되며, 피가공물을 절단날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절단프레임 후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구동부재 상면에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이동판과, 슬라이드이동판이 안착되어 슬라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단프레임 후면에 연결 형성되는 슬라이드구동부재와, 슬라이드이동판이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단프레임 후면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슬라이드구동부재 내부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바와, 피가공물이 안착되어 제1밀착부재에 의해 밀착되어 이동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이동판 상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안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가공시스템은, 파이프 절단가공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포집하기 위한 비산물포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산물포집부는, 포집펌프를 이용하여 절단날을 통해 절단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포집하도록 절단프레임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포집챔버와, 포집부재 주변에서 비산되는 비산물을 포집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포집챔버 상부로 형성되는 포집펌프와, 포집부재 측으로 흡입되는 비산물을 포집챔버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포집펌프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포집부재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포집관과, 절단날을 이용하여 파이프절단시 발생되는 비산물이 흡입되도록 포집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포집부재와, 포집펌프를 통해 흡입되는 비산물이 포집챔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포집챔버 상측으로 형성되는 유입구와,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세정액이 저장되도록 포집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세정탱크와, 세정탱크 내부의 세정액을 고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세정탱크 상부로 형성되는 주입펌프와, 세정액을 분사노즐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주입펌프에 연결되고, 타측이 세정탱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주입관과, 주입관을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는 세정액이 포집챔버 내부로 고압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입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과, 배출구 측으로 배출될 공기 중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역류방지판 하면과 비산차단판 일측 사이로 형성되는 정화필터와, 정화필터를 통해 정화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포집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구와, 포집챔버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이 유입구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포집챔버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역류방지판과, 포집챔버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일측이 역류방지판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포집챔버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비산차단판과, 포집챔버 내부로 보관되는 퇴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포집챔버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수위센서와, 포집챔버 내부의 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포집챔버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퇴수관과, 퇴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퇴수의 양을 조절하며, 퇴수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퇴수관 상에 형성되는 퇴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기설정되는 치수에 맞게 밴드형의 절단날을 이용하여 자동 절단 및 배출이 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 및 작업자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절단가공시스템에 대한 정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후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비산물포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분류보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공기정화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절단가공시스템에 대한 정면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후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파이프가공시스템(100)은 피가공물을 기설정되는 치수에 맞게 밴드형의 절단날(113)을 이용하여 자동 절단 및 배출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가공시스템(100)은 절단프레임(110), 날프레임(111), 날교체커버(112), 절단날(113), 승하강가이드바(114), 승하강실린더(115), 가이드부재(116), 날이동가이드(117), 제품배출판(118), 제어상태판(119), 제어조작판(120), 제1밀착실린더(121), 제1밀착부재(122), 제2밀착실린더(123), 제2밀착부재(124), 구동체인함체(125), 날구동모터(126), 슬라이드이동판(127), 슬라이드구동부재(128), 이동가이드바(129), 안착롤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프레임(110)은 절단되는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프레임(110)은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프레임(111)은 절단프레임(1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절단날(113)이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날프레임(111)은 절단프레임(11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교체커버(112)는 절단날(113)을 교체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날교체커버(112)는 날프레임(111)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날(113)은 피가공물을 절단하기 위해 날프레임(111)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결되어 날구동모터(126)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날(113)은 일측이 날교체커버(112) 측 내부로 연결되고, 타측이 날구동모터(126) 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가이드바(114)는 승하강실린더(115)의 구동으로 날프레임(111)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가이드바(114)는 절단프레임(110) 상부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115)는 날프레임(111)을 승하강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실린더(115)는 절단프레임(110)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16)는 승하강가이드바(114)를 관통하여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16)는 날프레임(1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이동가이드(117)는 회전되는 절단날(113)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날이동가이드(117)는 날프레임(111) 중앙 양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제품배출판(118)은 절단날(113)에 의해 절단되는 제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배출판(118)은 절단프레임(110)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상태판(119)은 제어조작판(120)을 통해 조작되어 절단이 이루어지는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상태판(119)은 제어조작판(1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조작판(120)은 절단되는 피가공물의 절단길이와 절단속도와 절삭유주입유무와 절단날(113)과 피가공물 간의 높낮이를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조작판(120)은 절단프레임(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밀착실린더(121)는 피가공물 절단을 위해 제1밀착부재(122)를 밀어 피가공물을 일측방향으로 밀착시키기며, 피가공물의 절단 완료시 제1밀착부재(122)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이동판(127)의 구동으로 피가공물을 제품배출판(118)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1밀착부재(122)가 후퇴되며 초기 위치로 슬라이드이동판(127)이 이동되고, 절단을 위해 제1밀착부재(122)를 피가공물 측으로 밀착시키는 반복적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밀착실린더(121)는 슬라이드이동판(127)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밀착부재(122)는 제1밀착실린더(121)에 의해 피가공물을 일측 방향으로 밀착 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밀착부재(122)는 제1밀착실린더(121)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밀착실린더(123)는 피가공물의 일측을 밀착고정하기 위한 제2밀착부재(124)를 피가공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밀착실린더(123)는 절단프레임(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밀착부재(124)는 제2밀착실린더(123)에 의해 피가공물을 일측 방향으로 밀착 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밀착부재(124)는 제2밀착실린더(123)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체인함체(125)는 절단날(113)의 타측을 지지하며, 날구동모터(126)의 구동시 절단날(113)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어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체인함체(125)는 날프레임(111)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구동모터(126)는 절단날(113)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날구동모터(126)는 날프레임(111) 구동체인함체(12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이동판(127)은 피가공물이 안착되며, 피가공물을 절단날(113)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이동판(127)은 절단프레임(110) 후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구동부재(128) 상면에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부재(128)는 슬라이드이동판(127)이 안착되어 슬라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구동부재(128)는 절단프레임(110) 후면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가이드바(129)는 슬라이드이동판(127)이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가이드바(129)는 일측이 절단프레임(110) 후면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슬라이드구동부재(128) 내부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롤러(130)는 피가공물이 안착되어 제1밀착부재(122)에 의해 밀착되어 이동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롤러(130)는 슬라이드이동판(127) 상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비산물포집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산물포집부(200)는 본 발명 파이프가공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비산물포집부(200)는 파이프 절단가공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포집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산물포집부(200)는 포집챔버(210), 포집펌프(211), 포집관(212), 포집부재(213), 유입구(214), 세정탱크(215), 주입펌프(216), 주입관(217), 분사노즐(218), 정화필터(219), 배출구(220), 역류방지판(221), 비산차단판(222), 수위센서(223), 퇴수관(224), 퇴수밸브(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챔버(210)는 포집펌프(211)를 이용하여 절단날(113)을 통해 절단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포집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챔버(210)는 절단프레임(110)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펌프(211)는 포집부재(213) 주변에서 비산되는 비산물을 포집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챔버(210)는 포집챔버(2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관(212)은 포집부재(213) 측으로 흡입되는 비산물을 포집챔버(21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관(212)은 일측이 포집펌프(211)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포집부재(213)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부재(213)는 절단날(113)을 이용하여 파이프절단시 발생되는 비산물이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부재(213)는 포집관(2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214)는 포집펌프(211)를 통해 흡입되는 비산물이 포집챔버(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214)는 포집챔버(21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탱크(215)는 분사노즐(218)을 통해 분사될 세정액이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정탱크(215)는 포집챔버(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펌프(216)는 세정탱크(215) 내부의 세정액을 고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입펌프(216)는 세정탱크(215)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관(217)은 세정액을 분사노즐(218)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입관(217)은 일측이 주입펌프(216)에 연결되고, 타측이 세정탱크(215)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218)은 주입관(217)을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는 세정액이 포집챔버(210) 내부로 고압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218)은 주입관(21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필터(219)는 배출구(220) 측으로 배출될 공기 중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화필터(219)는 역류방지판(221) 하면과 비산차단판(222) 일측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220)는 정화필터(219)를 통해 정화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220)는 포집챔버(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판(221)은 포집챔버(210)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이 유입구(214)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역류방지판(221)은 포집챔버(210)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산차단판(222)은 포집챔버(210)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이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비산차단판(222)은 일측이 역류방지판(221)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포집챔버(2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센서(223)는 포집챔버(210) 내부로 보관되는 퇴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위센서(223)는 포집챔버(210)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수관(224)은 포집챔버(210) 내부의 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퇴수관(224)은 포집챔버(2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수밸브(225)는 퇴수관(224)을 통해 배출되는 퇴수의 양을 조절하며, 퇴수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퇴수밸브(225)는 퇴수관(224)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분류보관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품분류보관부(300)는 본 발명 파이프가공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품분류보관부(300)는 절단되어 배출되는 제품을 분류하여 저장하며, 분류저장되는 제품의 적재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분류보관부(300)는 보관함체(310), 폐유함체(311), 완충패드(312), 폐유홀(313), 분리격벽(314), 폐유레벨센서(315), 배출관(316), 배출밸브(317), 제1보관틀(318), 제1슬라이드홈(319), 제1돌기(320), 제1스프링부재(321), 제1완충스프링(322), 제1터치부재(323), 제1터치센서(324), 제1점등램프(325), 제2보관틀(326), 제2슬라이드홈(327), 제2돌기(328), 제2스프링부재(329), 제2완충스프링(330), 제2터치부재(331), 제2터치센서(332), 제2점등램프(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함체(310)는 제1보관틀(318)과 제2보관틀(326)이 내장되어 무게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관함체(310)는 상측이 절단프레임(110) 전면 일측으로 부착되고, 하측이 폐유함체(311)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유함체(311)는 보관함체(310)에서 잔류되어 배출되는 폐기름을 보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폐유함체(311)는 보관함체(3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패드(312)는 보관함체(310)에 보관되는 제품의 무게를 지지하며, 외부의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패드(312)는 폐유함체(311)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유홀(313)은 제1보관틀(318)과 제2보관틀(326)에 보관되는 제품에서 흐르는 폐기름이 폐유함체(31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폐유홀(313)은 보관함체(310) 바닥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격벽(314)은 절단되는 제품의 크기에 따라 분류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격벽(314)은 보관함체(310) 내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유레벨센서(315)는 폐유함체(311)에 보관되는 폐기름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폐유레벨센서(315)는 폐유함체(311) 내부 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316)은 폐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316)은 폐유함체(311)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밸브(317)는 폐유함체(311) 내부에 잔류되는 폐기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밸브(317)는 배출관(316)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관틀(318)은 배출되는 제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보관틀(318)은 보관함체(310)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슬라이드홈(319)은 제1보관틀(318)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1돌기(32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슬라이드홈(319)은 상호 대응되는 보관함체(310) 내부 일측과 분리격벽(314)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돌기(320)는 제1슬라이드홈(319)에 삽입되어 무게에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돌기(320)는 제1보관틀(318)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프링부재(321)는 제1보관틀(318) 하면 중앙과 보관함체(310) 내부 바닥면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하여 제1완충스프링(322)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완충스프링(322)은 제1보관틀(318)에 적재되는 제품에 의해 하강되는 제1보관틀(318)을 지지하며, 제1보관틀(318) 하면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재(321) 내부와 보관함체(310)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재(321)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터치부재(323)는 제1터치센서(324)를 터치하여 터치신호를 제1점등램프(325)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터치부재(323)는 제1보관틀(318) 하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터치센서(324)는 제1터치부재(323)가 접촉되어 제1점등램프(325) 측으로 감지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터치센서(324)는 제1터치부재(323)와 대응되는 보관함체(310) 바닥면 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점등램프(325)는 제1터치센서(324)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빛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점등램프(325)는 보관함체(3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관틀(326)은 배출되는 제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보관틀(326)은 보관함체(310) 내부 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슬라이드홈(327)은 제2보관틀(326)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2돌기(328)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슬라이드홈(327)은 상호 대응되는 보관함체(310) 내부 타측과 분리격벽(314)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돌기(328)는 제2슬라이드홈(327)에 삽입되어 무게에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돌기(328)는 제2보관틀(326)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프링부재(329)는 제2보관틀(326) 하면 중앙과 보관함체(310) 내부 바닥면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하여 제2완충스프링(33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완충스프링(330)은 제2보관틀(326)에 적재되는 제품에 의해 하강되는 제2보관틀(326)을 지지하며, 제2보관틀(326) 하면에 형성되는 제2스프링부재(329) 내부와 보관함체(310)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스프링부재(329)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터치부재(331)는 제2터치센서(332)를 터치하여 터치신호를 제2점등램프(333)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터치부재(331)는 제2보관틀(326) 하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터치센서(332)는 제2터치부재(331)가 접촉되어 제2점등램프(333) 측으로 감지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터치센서(332)는 제2터치부재(331)와 대응되는 보관함체(310) 바닥면 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점등램프(333)는 제2터치센서(332)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빛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점등램프(333)는 보관함체(3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공기정화배출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배출부(400)는 본 발명 파이프가공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정화배출부(400)는 파이프 절단가공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정화 배출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정화배출부(400)는 정화탱크(410), 탱크지지대(411), 순환판(412), 배출홀(413), 흡입펌프(414), 흡입관(415), 흡입가이드관(416), 필터케이스(417), 배출필터(418), 배출팬(419), 탈취액탱크(420), 분사관(421), 순환관(422), 순환펌프(423), 순환필터(424), 유입걸름망(425), 배출걸름망(426), 순환망필터(4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탱크(410)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화탱크(410)는 날프레임(111) 상측으로 형성되는 탱크지지대(411) 상부로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지지대(411)는 정화탱크(410)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탱크지지대(411)는 날프레임(111)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판(412)은 분사관(421)을 통해 분사되는 탈취액과 흡입되는 공기중에 섞인 이물질로 혼합된 혼합물이 정화탱크(410) 하부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순환판(412)은 정화탱크(4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홀(413)은 혼합물이 정화탱크(410) 하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홀(413)은 순환판(412)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펌프(414)는 흡입가이드관(416)을 통해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펌프(414)는 정화탱크(410) 일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관(415)은 흡입가이드관(416)을 통해 흡입되는 오염공기가 정화탱크(410)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415)은 일측이 흡입펌프(414)에 연결되고, 타측이 흡입가이드관(416) 일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가이드관(416)은 파이프 절단가공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가이드관(416)은 흡입관(4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케이스(417)는 배출필터(418)를 고정하며, 배출팬(419)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케이스(417)는 정화탱크(410)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필터(418)는 배출팬(419)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섞인 먼지를 걸러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필터(418)는 필터케이스(417) 내부로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팬(419)은 순환망필터(427)를 거쳐 정화되는 공기 중에 섞인 미세먼지를 걸러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팬(419)은 필터케이스(417)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취액탱크(420)는 순환되어 이동되는 탈취액을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탈취액탱크(420)는 정화탱크(4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관(421)은 탈취액탱크(420)에 보관된 탈취액을 정화탱크(410)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관(421)은 정화탱크(410) 내부 상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관(422)은 배출되는 세정액을 재활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순환관(422)은 정화탱크(410)와 순환필터(424) 간의 연결과, 순환필터(424)와 탈취액탱크(420) 간에 각각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펌프(423)는 배출되는 세정액을 탈취액탱크(42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순환펌프(423)는 정화탱크(410)와 순환필터(424) 사이에 형성되는 순환관(422)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필터(424)는 순환관(422)을 통해 순환되는 세정액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순환필터(424)는 정화탱크(410)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걸름망(425)은 흡입펌프(414)를 통해 흡입되는 오염공기 중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걸름망(425)은 정화탱크(4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걸름망(426)은 세정액에 의해 제거된 공기가 순환망필터(427)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걸름망(426)은 정화탱크(410) 내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망필터(427)는 배출걸름망(426)을 통해 이동되는 정화된 공기 중에 섞인 초미세먼지가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순환망필터(427)는 정화탱크(410) 내부 타측 상면과 하면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파이프가공시스템
110 : 절단프레임 111 : 날프레임
112 : 날교체커버 113 : 절단날
114 : 승하강가이드바 115 : 승하강실린더
116 : 가이드부재 117 : 날이동가이드
118 : 제품배출판 119 : 제어상태판
120 : 제어조작판 121 : 제1밀착실린더
122 : 제1밀착부재 123 : 제2밀착실린더
124 : 제2밀착부재 125 : 구동체인함체
126 : 날구동모터 127 : 슬라이드이동판
128 : 슬라이드구동부재 129 : 이동가이드바
130 : 안착롤러
200 : 비산물포집부
210 : 포집챔버 211 : 포집펌프
212 : 포집관 213 : 포집부재
214 : 유입구 215 : 세정탱크
216 : 주입펌프 217 : 주입관
218 : 분사노즐 219 : 정화필터
220 : 배출구 221 : 역류방지판
222 : 비산차단판 223 : 수위센서
224 : 퇴수관 225 : 퇴수밸브
300 : 제품분류보관부
310 : 보관함체 311 : 폐유함체
312 : 완충패드 313 : 폐유홀
314 : 분리격벽 315 : 폐유레벨센서
316 : 배출관 317 : 배출밸브
318 : 제1보관틀 319 : 제1슬라이드홈
320 : 제1돌기 321 : 제1스프링부재
322 : 제1완충스프링 323 : 제1터치부재
324 : 제1터치센서 325 : 제1점등램프
326 : 제2보관틀 327 : 제2슬라이드홈
328 : 제2돌기 329 : 제2스프링부재
330 : 제2완충스프링 331 : 제2터치부재
332 : 제2터치센서 333 : 제2점등램프
400 : 공기정화배출부
410 : 정화탱크 411 : 탱크지지대
412 : 순환판 413 : 배출홀
414 : 흡입펌프 415 : 흡입관
416 : 흡입가이드관 417 : 필터케이스
418 : 배출필터 419 : 배출팬
420 : 탈취액탱크 421 : 분사관
422 : 순환관 423 : 순환펌프
424 : 순환필터 425 : 유입걸름망
426 : 배출걸름망 427 : 순환망필터

Claims (3)

  1. 피가공물을 기설정되는 치수에 맞게 밴드형의 절단날을 이용하여 자동 절단 및 배출이 되도록 하는 파이프가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공시스템은,
    절단되는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절단프레임과,
    절단프레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절단날이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절단프레임 상측으로 형성되는 날프레임과,
    절단날을 교체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날프레임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날교체커버와,
    피가공물을 절단하기 위해 날프레임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결되어 날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일측이 날교체커버 측 내부로 연결되고, 타측이 날구동모터 측에 연결 형성되는 절단날과,
    승하강실린더의 구동으로 날프레임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절단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바와,
    날프레임을 승하강 시키기 위해 절단프레임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승하강가이드바를 관통하여 승하강될 수 있도록 날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회전되는 절단날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날프레임 중앙 양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날이동가이드와,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제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프레임 상면으로 형성되는 제품배출판과,
    제어조작판을 통해 조작되어 절단이 이루어지는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어조작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어상태판과,
    절단되는 피가공물의 절단길이와 절단속도와 절삭유주입유무와 절단날과 피가공물 간의 높낮이를 제어하기 위해 절단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어조작판과,
    피가공물 절단을 위해 제1밀착부재를 밀어 피가공물을 일측방향으로 밀착시키기며, 피가공물의 절단 완료시 제1밀착부재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이동판의 구동으로 피가공물을 제품배출판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1밀착부재가 후퇴되며 초기 위치로 슬라이드이동판이 이동되고, 절단을 위해 제1밀착부재를 피가공물 측으로 밀착시키는 반복적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드이동판 상측으로 형성되는 제1밀착실린더와,
    제1밀착실린더에 의해 피가공물을 일측 방향으로 밀착 시키도록 제1밀착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1밀착부재와,
    피가공물의 일측을 밀착고정하기 위한 제2밀착부재를 피가공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절단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밀착실린더와,
    제2밀착실린더에 의해 피가공물을 일측 방향으로 밀착 시키도록 제2밀착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2밀착부재와,
    절단날의 타측을 지지하며, 날구동모터의 구동시 절단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어가 내장되도록 날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구동체인함체와,
    절단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날프레임 구동체인함체 일측으로 형성되는 날구동모터와,
    피가공물이 안착되며, 피가공물을 절단날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절단프레임 후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구동부재 상면에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이동판과,
    슬라이드이동판이 안착되어 슬라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단프레임 후면에 연결 형성되는 슬라이드구동부재와,
    슬라이드이동판이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단프레임 후면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슬라이드구동부재 내부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바와,
    피가공물이 안착되어 제1밀착부재에 의해 밀착되어 이동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이동판 상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안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가공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공시스템은,
    파이프 절단가공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포집하기 위한 비산물포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산물포집부는,
    포집펌프를 이용하여 절단날을 통해 절단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포집하도록 절단프레임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포집챔버와,
    포집부재 주변에서 비산되는 비산물을 포집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포집챔버 상부로 형성되는 포집펌프와,
    포집부재 측으로 흡입되는 비산물을 포집챔버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포집펌프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포집부재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포집관과,
    절단날을 이용하여 파이프절단시 발생되는 비산물이 흡입되도록 포집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포집부재와,
    포집펌프를 통해 흡입되는 비산물이 포집챔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포집챔버 상측으로 형성되는 유입구와,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세정액이 저장되도록 포집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세정탱크와,
    세정탱크 내부의 세정액을 고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세정탱크 상부로 형성되는 주입펌프와,
    세정액을 분사노즐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주입펌프에 연결되고, 타측이 세정탱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주입관과,
    주입관을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는 세정액이 포집챔버 내부로 고압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입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과,
    배출구 측으로 배출될 공기 중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역류방지판 하면과 비산차단판 일측 사이로 형성되는 정화필터와,
    정화필터를 통해 정화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포집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구와,
    포집챔버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이 유입구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포집챔버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역류방지판과,
    포집챔버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일측이 역류방지판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포집챔버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비산차단판과,
    포집챔버 내부로 보관되는 퇴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포집챔버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수위센서와,
    포집챔버 내부의 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포집챔버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퇴수관과,
    퇴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퇴수의 양을 조절하며, 퇴수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퇴수관 상에 형성되는 퇴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가공시스템.
KR1020230192314A 2023-12-27 2023-12-27 파이프가공시스템 KR102648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2314A KR102648649B1 (ko) 2023-12-27 2023-12-27 파이프가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2314A KR102648649B1 (ko) 2023-12-27 2023-12-27 파이프가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649B1 true KR102648649B1 (ko) 2024-03-18

Family

ID=9047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2314A KR102648649B1 (ko) 2023-12-27 2023-12-27 파이프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6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520A (ko) * 2013-04-09 2015-12-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절삭 가공 방법 및 절삭 가공 장치
KR20200069544A (ko) 2018-12-07 2020-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시편 절단용 지그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520A (ko) * 2013-04-09 2015-12-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절삭 가공 방법 및 절삭 가공 장치
KR20200069544A (ko) 2018-12-07 2020-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시편 절단용 지그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296B2 (en) Debris collection systems, vehicles, and methods
US7824547B2 (en) Filter arrangement
JP2000140784A (ja) 水泳プ―ル掃除機
KR100943691B1 (ko) 먼지제거장치
US20090250082A1 (en) Conveyor debris washing apparatus and methods
JP4084921B2 (ja) ブローチ盤の切屑除去装置
US6357576B1 (en) Chip conveyor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chips
JP4657688B2 (ja) 切削装置
KR102648649B1 (ko) 파이프가공시스템
KR101235941B1 (ko) 렌즈 연삭수단의 연삭수 처리장치
KR101183669B1 (ko) 마그네틱 컨베이어 필터 장치
KR101235931B1 (ko) 탁상 그라인더의 연삭수 처리장치
CN202344395U (zh) 双用吸口集尘罩
KR102005825B1 (ko) 플랫 그라인딩 오토 머신
KR20090006761U (ko)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시편 연마용 그라인더 장치
CN209394511U (zh) 一种立式窜动磨光机
KR20110106567A (ko) 판재용 롤 연마장치
KR101581435B1 (ko) 진공 청소장치용 오물 배출장치
KR101760901B1 (ko) 드레인 필터가 마련된 오일 미스트 집진기
KR102661153B1 (ko) 절단가공시스템
KR20100072639A (ko)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EP3888845A1 (en) Separator device for separating processing scraps of machine tools in ejection systems and system for ejecting equipped with said separator device
KR20090004059U (ko) 유수분리기
KR20010027486A (ko) 미스트 오일 집진기의 스와프 제거장치
KR102632601B1 (ko) 진공 서큘레이션 펌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