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601B1 -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601B1
KR102648601B1 KR1020200183098A KR20200183098A KR102648601B1 KR 102648601 B1 KR102648601 B1 KR 102648601B1 KR 1020200183098 A KR1020200183098 A KR 1020200183098A KR 20200183098 A KR20200183098 A KR 20200183098A KR 102648601 B1 KR102648601 B1 KR 102648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mage
orbit
area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898A (ko
Inventor
황종희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표시 패널로 출력되는 영상 중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에 따라 고정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한 휘도를 조절 처리하거나,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터치 빈도수에 따라 오빗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 및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밝기 수준으로 화면을 오래 지속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잔상을 개선하고 열화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 정보 인지 기술을 활용하여 잔상을 저감할 수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유기 발광층을 발광시키는 자발광 소자를 이용하므로 휘도가 높고 구동 전압이 낮으며 초박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OLED 소자를 높은 밝기 수준으로 오래 지속하는 장시간 구동시 전류 스트레스 증가에 의해 OLED 소자가 열화되어 장시간 고정 패턴이나 로고가 표시되는 부분에서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잔상 개선 구동 알고리즘 등이 표시 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잔상 개선 구동 알고리즘은 휘도 제어 및 표시 영역(A/A) 화면 이동에 의한 특정 영역의 화질 저하 및 이동 방향이 인지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잔상 개선 구동 알고리즘은 정해진 주기에 맞추어 표시 영상 전체를 쉬프트시킴으로써 화소가 받는 스트레스를 분산시키는 오빗(Orbit) 구동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오빗 구동 방법은 전체 영상을 정해진 방향에 따라 쉬프트시키고, 영상 쉬프트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외곽 부분에 블랙 데이터를 표시하는 블랙 데이터 삽입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블랙 데이터 삽입을 이용하는 오빗 구동 방법은 표시 영상 전체가 쉬프트됨에 따라 영상 테두리 부분에 삽입된 블랙 라인이 인지되는 블랙 라인 아티팩트(artifact)가 발생하여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되는 터치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인지하고, 관심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로고 등 고정 패턴 영상의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잔상을 저감할 수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터치 빈도수와,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터치 빈도수가 일정 이상이고 산출된 거리가 임계 거리 이상인 경우에, 로고 영역의 휘도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발명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터치 빈도수를 계산하여 일정 이상이고, 터치 영역이 센터 영역인 경우에, 오빗(orbit) 구동 방식으로 표시 발광을 제어하되,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증가시켜 화면 이동량이 큰 구동 패턴으로 표시 발광을 제어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발명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터치 빈도수,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터치 빈도수가 일정 이상이고 산출된 거리가 임계 거리 이상이며, 터치 영역이 센터 영역인 경우에, 로고 영역의 휘도를 낮추고, 오빗(orbit) 구동 방식으로 표시 발광을 제어하되,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증가시켜 화면 이동량이 큰 구동 패턴으로 표시 발광을 제어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발명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에 영상을 출력하는 중에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거리 및 터치 빈도수에 따라 고정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한 휘도를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중에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검출되고,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여 터치 빈도수에 따라 오빗(orbit)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 및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로 영상이 출력되는 중에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표시 패널로 출력되는 영상 중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에 따라 고정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한 휘도를 조절 처리하거나,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터치 빈도수에 따라 오빗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 및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표시 패널에 영상을 출력하는 중에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고정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영상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중에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검출되고,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여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오빗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표시 패널로 영상이 출력되는 중에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표시 패널로 출력되는 영상 중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여,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고정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처리하거나,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오빗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주시하는 표시 패널에 영상이 출력되고 있을 때,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영상 중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여,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커서 고정 영상이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에 고정 영상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휘도 값을 낮추어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밝기 수준으로 화면을 오래 지속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잔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검출될 때,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화면 중앙에 있는 센터 영역에 집중된 경우에 오빗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회전 주기를 낮추면서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면의 센터 영역을 중심으로 터치 및 클릭 등 마우스 동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더라도 화면 이동량이 큰 구동 패턴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열화되는 정도를 늦출 수 있으며, 터치 입력에 따른 오빗 구동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한 서브화소의 구성을 예시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터치전극들이 포함된 터치 패널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영상 화면에서 폴더 터치 입력과 메신저 및 문자 입력시 터치 입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을 터치 회로부에서 인식하여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고정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서 터치 입력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발생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열화량이 큰 영상을 열화량이 작은 영상으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오빗 구동 방식을 사각형 형태의 제1 이동 경로와 제1 이동 주기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오빗 구동 방식을 사각형 형태의 제2 이동 경로와 제2 이동 주기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오빗 구동 방식을 다이아몬드형 형태의 제3 이동 경로와 제3 이동 주기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회로부에서 터치 정보를 타이밍 컨트롤러의 영상 처리부에 전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터치 빈도수와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값을 제어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흐름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한 서브화소의 구성을 예시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0), 게이트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타이밍 컨트롤러(40), 감마전압 생성부(50) 및 영상 처리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발광 영역(AA) 및 비발광 영역(NA)을 포함하고, 발광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PX, 또는 서브 화소(Sub Pixel; SP)로 명명됨)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들은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서브 화소(PX)는 특정한 한 종류의 컬러필터가 형성되거나, 컬러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유기발광소자가 특별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는 단위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화소 어레이(Pixel Arry)를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다양한 화소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화소 어레이의 기본 화소는 백색(W),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중 2색, 3색, 또는 4색 서브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PX)는 제1 내지 제3 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화소(PX)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각각의 화소(PX)는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화소(PX)들은 4개 이상의 색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화소(PX)는 레드(R), 그린(G), 블루(B) 및 화이트(W)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색을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m)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PX)는 대응되는 게이트 라인(GL1~GLn) 및 데이터 라인(DL1~DLm)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PX)들은 게이트 라인들(GL1~GLn) 및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0)은 터치 센서가 내장되거나 부착된 터치 패널(Touch Panel; TP)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에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은 제2 터치 전극들과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과 제2 터치 전극들의 교차부들 각각에 터치 센서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구현된 터치 센서들은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구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터치 전극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도 2에서, 각 서브화소(SP)는 고전위 구동전압(제1 구동전압; EVDD) 라인(PW1) 및 저전위 구동전압(제2 구동전압; EVSS) 라인(PW2) 사이에 접속된 OLED 소자(70)와, OLED 소자(70)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 TFT(ST1, ST2) 및 구동 TFT(DT)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적어도 포함하는 화소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화소 회로는 도 2의 구성 이외에도 다양하므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스위칭 TFT(ST1, ST2) 및 구동 TFT(DT)는 아몰퍼스 실리콘 (a-Si) TFT, 폴리-실리콘(poly-Si) TFT, 산화물(Oxide) TFT, 또는 유기(Organic) TFT 등이 이용될 수 있다.
OLED 소자(70)는 구동 TFT(DT)의 소스 노드(N2)와 접속된 애노드와, EVSS 라인(PW2)과 접속된 캐소드와,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의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애노드는 서브화소별로 독립적이지만 캐소드는 전체 서브화소들이 공유하는 공통 전극일 수 있다. OLED 소자(70)는 구동 TFT(DT)로부터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캐소드로부터의 전자가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되고, 애노드로부터의 정공이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되어, 유기 발광층에서 전자 및 정공의 재결합으로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을 발광시킴으로써, 구동 전류의 전류값에 비례하는 밝기의 광을 발생한다.
제1 스위칭 TFT(ST1)는 게이트 구동부(20)로부터 한 게이트 라인(Gn1)에 공급되는 스캔 펄스(SCn)에 의해 구동되고, 데이터 구동부(30)로부터 데이터 라인(Dm)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을 구동 TFT(DT)의 게이트 노드(N1)에 공급한다.
제2 스위칭 TFT(ST2)는 게이트 구동부(20)로부터 다른 게이트 라인(Gn2)에 공급되는 센스 펄스(SEn)에 의해 구동되고, 데이터 구동부(30)로부터 레퍼런스 라인(Rm)에 공급되는 레퍼런스 전압(Vref)을 구동 TFT(DT)의 소스 노드(N2)에 공급한다.
구동 TFT(DT)의 게이트 노드(N1) 및 소스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및 제2 스위칭 TFT(ST1, ST2)를 통해 게이트 노드(N1) 및 소스 노드(N2)에 각각 공급된 데이터 전압(Vdata)과 레퍼런스 전압(Vref)의 차전압을 구동 TFT(DT)의 구동 전압(Vgs)으로 충전하고, 제1 및 제2 스위칭 TFT(ST1, ST2)가 오프되는 발광 기간 동안 충전된 구동 전압(Vgs)을 홀딩한다.
구동 TFT(DT)는 EVDD 라인(PW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압(Vgs)에 따라 제어하여 구동 전압(Vgs)에 의해 정해진 구동 전류를 OLED 소자(70)로 공급함으로써 OLED 소자(70)를 발광시킨다.
한편, 서브화소(SP)의 센싱 모드일 때, 구동 TFT(DT)는 데이터 라인(Dm) 및 제1 스위칭 TFT(ST1)를 통해 공급되는 센싱용 데이터 전압(Vdata)과, 레퍼런스 라인(Rm) 및 제2 스위칭 TFT(ST2)를 통해 공급되는 레퍼런스 전압(Vref)를 공급받아 구동한다. 구동 TFT(DT)의 전기적인 특성(Vth, 이동도)이 반영된 화소 전류는 제2 스위칭 TFT(ST2)를 통해 플로팅 상태인 레퍼런스 라인(Rm)의 라인 커패시터에 전압으로 충전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레퍼런스 라인(Rm)에 충전된 전압을 샘플링하고 각 서브픽셀(SP)의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여 타이밍 컨트롤러(4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는 표시 패널(10)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 또는 '구동부'로 표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을 구동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구동부(2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는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을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20)는 구동 방식이나 표시 패널(10)의 설계 등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20)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을 통해 표시 패널(10)의 화소(PX)들과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는 타이밍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CONT1)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는 생성된 게이트 신호들을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을 통해 화소(PX)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게이트 IC(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되고, COF(Chip On Film) 등과 같이 회로 필름에 게이트 IC가 개별적으로 실장되어 표시 패널(10)에 TAB(Tape Automatic Bonding) 방식으로 본딩 및 접속되거나,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2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는 다른 예로는, 표시 패널(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20)는 표시 패널(10)의 화소 어레이를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함께 기판에 형성되어 표시 패널(10)의 양측부 또는 일측부의 비표시 영역에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GIP) 타입으로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는 게이트 구동부(20)와 데이터 구동부(30)가 표시 패널(10)과 별개의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패널(10)과 일체로 형성되는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m)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구동부(30)는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타이밍 컨트롤러(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표시 패널(10)의 화소(PX)들과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타이밍 컨트롤러(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DATA) 및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ONT2)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생성된 데이터 신호들을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화소(PX)들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구동부(30)는 감마 전압 생성부(50)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들이 세분화된 계조 전압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10)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레퍼런스 전압(Vref)을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표시 패널(10)의 레퍼런스 라인들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센싱 모드일 때, 데이터 라인으로 센싱용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여 각 서브화소가 구동되게 하고, 구동된 서브화소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화소 전류를 레퍼런스 라인을 통해 전압으로 센싱하고 디지털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여 타이밍 컨트롤러(40)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복수의 데이터 IC로 구성되고, COF(Chip On Film) 등과 같이 회로 필름에 데이터 IC가 개별적으로 실장되어 표시 패널(10)에 TAB(Tape Automatic Bonding) 방식으로 본딩되거나,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 패널(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 패널(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표시 패널(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해당하는 소스 구동 칩은 연성 필름에 실장되고, 연성 필름의 일측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측은 표시 패널(10)에 본딩될 수 있다.
소스 인쇄회로기판은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결 매체를 통해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과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타이밍 컨트롤러(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표시 패널(10),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 등으로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 주거나 공급할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소스 영상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은 컴퓨터, TV 시스템, 셋탑 박스, 태블릿이나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 신호들은 도트 클럭,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 및 제어 신호(CS)를 수신하여,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신호(RGB)는 복수의 계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CS)는 예를 들어,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및 메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영상 신호(RGB) 및 제어 신호(CS)를 표시 패널(10)의 동작 조건에 적합하도록 구현하여, 영상 데이터(DATA),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CONT1),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ONT2) 및 전원 공급 제어 신호(CONT3)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로 제어신호를 공급함으로써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할 수 있다.
감마 전압 생성부(50)는 전압 레벨이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들을 포함하는 기준 감마 전압 세트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감마 전압 생성부(50)는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기준 감마 전압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소스 영상에 대한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D) 및 터치 빈도수(N)에 따라 고정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한 휘도를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Pre Frame)과 다음 프레임(Post Frame) 간의 화소 휘도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소 휘도 차이가 임계 범위 이내인 화소들이 이루는 영상을 고정 영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고정 영상은 예를 들면, 로고(Logo)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영역을 이루는 각 화소들 중 최외각 화소로부터 로고 영상을 이루는 각 화소들 중 최외각 화소까지의 이격 거리(D)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 거리(D)가 임계 거리(Dth)보다 크고(D>Dth), 터치 빈도수(N)가 기준 횟수(Nth)보다 큰 경우에(N>Nth)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고(D≤Dth),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N≤Nth),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60)는 영상 쉬프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영상 쉬프트 처리 이전 또는 이후에 화질 보정이나,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한 휘도 보정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60)는 타이밍 컨트롤러(40)와 분리되어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입력단에 접속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영상 처리부(60)의 출력은 타이밍 컨트롤러(40)를 통해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영상 처리부(60)의 출력을 데이터 구동부(30)로 공급하기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된 각 서브화소의 특성 편차에 대한 보상값을 적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센싱 모드일 때, 타이밍 컨트롤러(40)는 데이터 구동부(30)를 통해 표시 패널(10)의 각 서브화소의 전기적인 특성(구동 TFT의 Vth, 이동도, OLED의 Vth 등)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각 서브화소의 보상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는 오빗(Orbit) 구동 방식에 따라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는 영상 쉬프트 방향에 따라 인접한 라인(row line, column line) 간의 영상 특성을 비교하여 그 영상 특성 차이가 임계값보다 낮은 보상 라인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인접 라인들과 유사한 영상 특성을 갖는 보상 라인을 삽입할 수 있다. 보상 라인의 삽입에 의해 보상 라인 이후의 영상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60)에 의해 영상 쉬프트 방향에 따라 라인 단위로 쉬프트될 수 있다. 복수의 보상 라인은 최소 이격 거리를 두고 분산되어 삽입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영상 쉬프트 처리가 완료된 데이터를 타이밍 컨트롤러(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터치 빈도수(N)를 산출하여 터치 빈도수(N)에 따라 오빗(orbit)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 및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빈도수(N)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N>Nth),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N≤Nth), 오빗 주기를 정상으로 설정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유지되거나 복원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오빗 구동 방식에 따라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사각형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로 화소 쉬프트 이동을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다.
터치 회로부(80)는 터치 구동부(81)와 터치 제어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부(80)는 표시 패널(10)의 터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10)과 연결된 터치 신호 라인들을 통해 터치 신호의 스캔을 위한 구동 신호를 표시 패널(10)에 공급하고, 터치 센서들 각각의 차지 변화량을 센싱하여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구동부(81)는 터치 신호의 스캔을 위한 구동 신호를 표시 패널(10)에 공급하고, 터치 센서들 각각의 차지 변화량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82)는 터치 구동부(81)로부터 구동 신호가 출력될 때 또는 차지 변화량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신호 라인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82)는 터치 구동부(81)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제어부(82)는 터치 구동부(81)로부터 터치 센서들의 차지 변화량을 수신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고, 터치 좌표의 정보를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영상 처리부(60) 또는 호스트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터치 회로부(8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품, 예를 들어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와는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회로부(80)의 전체 또는 일부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또는 그 내부 회로 중 하나 이상과 통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터치전극들이 포함된 터치 패널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 터치전극들(330), 터치라인들(TL) 등을 포함하는 터치센서메탈들(TE, TL)은 봉지층(3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전극들(330), 터치라인들(TL) 등을 포함하는 터치센서메탈들(TE, TL) 상에는 평탄화층(340)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층(340)은 일반적으로 포토 아크릴(Photo Acryl, PAC)을 포함하는 아크릴 계열 물질 또는, 평탄하게 성막되는 성질을 갖는 물질이면 어떤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터치 패널(TP)은 터치센서메탈들(TE, TL)이 봉지층(320) 상에 위치하는 TOE(Touch On Encapsulation Layer)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지층(320)의 하부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2 전극에 해당하는 캐소드막(3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캐소드막(310)에는 기저 전압(ELVSS)이 인가될 수 있다.
TOE 구조를 다시 설명하면, 터치센서메탈들(TE, TL)은 표시 패널(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터치센서메탈들(TE, TL)이 내장된 표시 패널(10)은 캐소드막(310)과, 캐소드막(310) 상에 위치한 봉지층(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터치전극들(330) 및 다수의 터치라인들(TL)을 포함하는 터치센서메탈들(TE, TL)이 봉지층(3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TOE 구조에 따르면, 터치센서메탈들(TE, TL)을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해당하는 표시 패널(10)에 효과적으로 내장할 수 있다.
한편, 봉지층(320)은 유기물, 무기물 등이 여러 층이 적층 된 복합 층일 수 있다. 또한, 봉지층(320)은 절연층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구동신호 등에 의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터치센서메탈(TE, TL)과 기저 전압(ELVSS)이 인가되는 캐소드막(310) 사이에 존재하는 봉지층(320)은 유전체로 작용하여, 터치센서메탈(TE, TL)과 캐소드막(310) 사이에 캐패시턴스(CP)가 형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메탈(TE, TL)과 캐소드(310) 사이에 형성되는 캐패시턴스(CP)는 터치 센싱에 필요한 캐패시턴스가 아니라, 불필요한 기생 캐패시턴스에 해당한다. 즉, 복수의 터치라인들(TL) 서로 간의 간섭에 따라, 터치채널(구동 채널, 센싱 채널) 별로 기생 캐패시턴스(CP)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라인들(TL) 서로 간의 간섭에 따라, 터치채널(구동 채널, 센싱 채널) 별로, 터치센서메탈(TE, TL)과 캐소드막(310) 간의 기생 캐패시턴스(CP)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TP)이 표시 패널(10)에 포함되어 동시에 사용하므로,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을 터치 패널(TP)로 볼 수 있으며, 터치 패널(TP)을 표시 패널(10)로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TP)은, 제1 방향(Y)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1 터치 전극(TE)과 제2 방향(X)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2 터치 전극(R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TE)과 제2 터치 전극(RE)의 교차 지점에는 터치 센서에 해당하는 상호 용량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Y)으로 서로 연결된 제1 터치 전극들(TE) 중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터치 전극(TE)은 제1 터치 신호 라인(TL)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신호 라인(TL)은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한 패드(PAD)를 통해 터치 구동부(81)에 연결되고, 제1 터치 전극(TE)들은 제1 터치 신호 라인(TL)을 통해 터치 구동부(81)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2 방향(X)으로 서로 연결된 제2 터치 전극(RE) 중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RE)들은 제2 터치 신호 라인(RL)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신호 라인(RL)은 패드(PAD)를 통해 터치 구동부(81)에 연결되고, 제2 터치 전극(RE)들은 제1 터치 신호 라인(TL)을 통해 터치 구동부(81)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방향(Y)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1 터치 전극(TE)들은 브릿지 전극(BE)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터치 전극(TE)들은 콘택(CT)을 통해 브릿지 전극(BE)과 연결될 수 있다. 각 터치 신호 라인(TL, RL)의 끝에는 터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패드로서의 터치 신호 패드(TP)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터치 패널(TP)은, 터치 구동부(81)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은 후,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이 있게 되면, 터치 지점에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응되는 터치 감지 전압을 터치 구동부(81)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터치 구동부(81)는 터치 감지 전압을 터치 제어부(82)로 전달하고, 터치 제어부(82)는 터치 구동부(81)로부터 터치 센서들의 터치 지점 및 터치 감지 전압을 수신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고, 터치 좌표의 정보를 타이밍 컨트롤러(4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타이밍 컨트롤러(40)에서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좌표 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 패널(10)에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영상 화면에서 폴더 터치 입력과 메신저 및 문자 입력시 터치 입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을 터치 회로부에서 인식하여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이 스마트 폰이나 모바일 폰 등에 적용되어, 바탕화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다수의 폴더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 패널(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폴더 선택에 따라 바탕화면에 표시된 폴더 터치 시에 폴더 내에서만 터치가 이루어지고, 폴더 외 영역에는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르지 않을 가능성 및 시간이 적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터치하는 곳에만 시선을 집중하게 되고,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화면 중 터치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는 시선이 가지 않게 되므로, 터치 영역 이외에 사용자의 시선이 가지 않는 영역은 해당 영상의 화소들에 대한 휘도 값을 높게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메신저나, 문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문자 입력 시에도 사용자는 문자 및 이모티콘 전송을 위해 글자판 영역에 시선이 고정되며, 그 터치 영역이 한정될 수 밖에 없다.
스마트 폰의 경우, 예를 들면, 고정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상단 메뉴바가 있는 화면에서, 상단 메뉴바의 반대 위치에 터치가 발생될 시에 상단 메뉴바에 대한 사람의 관심도는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0)의 화면에서 이렇게 사람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영역에 있는 고정 영상(상단 메뉴바, 로고 등)에 대하여 그 고정 영상을 이루는 화소들의 휘도값을 낮추어 표시 패널(1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노트북/MNT의 경우에는 고정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하단 메뉴바(실행파일, 윈도우 창, 시간/날짜 정보 등)에 의한 열화가 심하므로, 터치 및 마우스 클릭 등과의 연동을 통해 열화를 낮출 수 있다.
한편, 화면 이동을 위한 연속 터치 발생시, 이동하는 찰나에 사용자는 터치 방향의 반대 방향을 주시할 수 있다. 즉, 화면이 이동함에 따라 새로운 오브젝트들이 등장하는 지점을 향하여 곧바로 시각적 주의가 집중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0)의 터치 발생 시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될 수 있는 장면(Scene)의 경우에, 예를 들면, 무의식적으로 누르는 연속 터치(Knock on) 시에 상기한 기능을 제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술한 예들 이외에 유투브(Youtube) 및 쇼핑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될 때도, 표시 패널(10)의 화면에서 실제 터치 행위가 일어나는 영역에 시선이 집중되며, 터치 행위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에 시선이 집중되거나 머물지 않는 것을 이용하여, 터치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에 있는 고정 영상에 대하여, 그 화소들에 대한 휘도 값들을 열화가 발생되지 않는 휘도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일어날 때, 터치 입력이 발생된 터치 영역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표시 패널(10)에 터치 입력이 발생했을 때, 터치 패널(TP)은 터치 지점에 위치한 제1 터치 전극(TE)이 제1 터치 신호 라인(TL)을 통해, 제2 터치 전극(RE)이 제2 터치 신호 라인(RL)을 통해 터치 구동부(81)에 터치 신호를 전달한다. 즉, 터치 패널(TP)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제1 터치 전극(TE)과 제2 터치 전극(RE) 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응되는 터치 감지 전압을 터치 구동부(81)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에, 터치 구동부(81)는 터치 감지 전압을 터치 제어부(82)로 전달하고, 터치 제어부(82)는 터치 구동부(81)로부터 터치 센서들의 터치 지점 및 터치 감지 전압을 수신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고, 터치 좌표의 정보를 타이밍 컨트롤러(40)로 전송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에서 영상 처리부(60)가 터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에서 로고 영상을 검출한다(S710).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40)에서 영상 처리부(60)는 표시 패널(10)에 포함된 터치 패널(TP)을 통하여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회로부(80)로부터 터치 좌표를 비롯한 터치 횟수 등 터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또한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 중에서 고정 영상에 해당하는 로고 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Pre Frame)과 다음 프레임(Post Frame) 간의 화소 휘도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소 휘도 차이가 임계 범위 이내인 화소들이 이루는 영상을 고정 영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고정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60)는 이전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간의 화소 휘도 차이가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에 정지 영상이나 고정 영상으로 인식하고,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동영상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영상은 로고(Logo)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영상 처리부(60)는 표시 패널(10)을 통하여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S720-Y), 터치 빈도수(N)를 비롯해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이격 거리(D)를 계산한다(S730).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에 대하여 블록(Block)화 한 후에, 전술한 과정에서 검출한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로고 영역은 16 ㅧ 16 블록에서 정지 화소(pixel)들로 이루어져 있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N'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각 화소당 가로 및 세로 값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화소를 기본 단위로 하여 터치 영역의 화소로부터 로고 영역에 있는 화소까지의 거리를 이루는 화소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이격 거리(D)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영역을 이루는 각 화소들 중 최외각 화소로부터 로고 영상을 이루는 각 화소들 중 최외각 화소까지의 이격 거리를 이루는 화소들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화소 기본 단위를 이용하여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 영상 처리부(60)는 산출된 이격 거리(D)가 임계 거리(Dth)보다 크고(D>Dth), 터치 빈도수(N)가 기준 횟수(Nth)보다 큰 경우에(N>Nth)(S740-Y),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조절 처리한다(S750).
그러나, 영상 처리부(60)는,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고(D≤Dth),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N≤Nth),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처리한다(S760).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0)에 영상을 출력하는 중에 터치 입력이 발생했을 때, 터치 영역에서 고정(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로고 영역이 사용자의 시선에서 벗어난 경우에, 로고 영상의 휘도를 낮춤으로써 로고 영역의 화소들에 대한 열화를 낮출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에서 영상 처리부(60)가 터치 회로부(80)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다(S1010).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40)에서 영상 처리부(60)는 표시 패널(10)에 포함된 터치 패널(TP)을 통하여 터치 입력을 인식하되,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회로부(80)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여 터치 좌표를 비롯한 터치 횟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면(S1020-Y), 터치 정보에 근거하여 터치 빈도수(N)를 계산한다(S1030).
이어,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빈도수(N)가 기준 횟수보다 크고(N>Nth),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터치발생영역=센터영역)(S1040-Y),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처리한다(S1050).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 중 영상 블록화 화면을 통하여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Center Area)에 해당하는 경우에 오빗(orbit)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서 터치 입력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발생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센터 영역은 오빗 구동시 비관심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이 고정 패턴 영상인 경우에, 열화량이 크고 변화가 첨예(Big and Sharp)한 것을 열화량이 작고 변화가 느슨(Small and Smooth)한 것으로 제어함으로써 열화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열화량이 큰 영상을 열화량이 작은 영상으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오빗 구동 방식은 고정 패턴에 의한 열화를 분산시켜 그 속도를 늦추고 경계를 흐르게 하여 잔상 인지 시간을 지연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에서는 이를 센터 영역을 중심으로 터치 및 클릭(Click) 등의 마우스 동작이 지속적으로 발생 가능한 경우,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빗(Orbit) 구동 방식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증가시키고, 화면 이동량이 큰 구동 패턴으로 변화하여 열화되는 정도를 늦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오빗 구동 방식에 따라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사각형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로 화소 쉬프트 이동을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어,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N≤Nth)(S1040-N), 오빗 주기를 정상으로 설정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유지되거나 복원되도록 처리한다(S1060).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오빗 구동 방식을 사각형 형태의 제1 이동 경로와 제1 이동 주기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는, 제1 이동 경로와 제1 이동 주기에 따른 오빗 구동으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 경로는, 예를 들면, 우측으로 6 픽셀, 하측으로 4 픽셀, 좌측으로 12픽셀, 상측으로 4픽셀, 및 우측으로 6픽셀 순서의 경로로서, 직사각형 형태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동 경로의 총 이동거리는 32 픽셀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60)는 제1 이동 주기에서 ① 분주기 시간에 ① 영상으로 처리하고, ② 분주기 시간에 ② 영상으로 처리하고, ③ 분주기 시간에 ③ 영상으로 처리하고, ④ 분주기 시간에 ④ 영상으로 처리하고, ⑤ 분주기 시간에 ⑤ 영상으로 처리하고, ⑥ 분주기 시간에 ⑥ 영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제1 이동 주기를 3분으로 가정하는 경우, 영상은 3분마다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한 픽셀씩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영상의 시간(분)당 이동량은 1/3 픽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제1 픽셀 데이터(PD1)는 초기에 표시 패널(10)의 제1 픽셀(P1)에 표시되고, 제1 이동 주기마다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한 픽셀씩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픽셀 데이터(PD1)는 96분이 경과된 후 다시 제1 픽셀(P1)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1 사이클의 orbit 동작이 수행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96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오빗 구동 방식을 사각형 형태의 제2 이동 경로와 제2 이동 주기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는, 제2 이동 경로와 제2 이동 주기에 따른 오빗 구동으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동 경로는, 예를 들면, 우측으로 6 픽셀, 하측으로 4 픽셀, 좌측으로 12 픽셀, 상측으로 4 픽셀, 우측으로 12 픽셀, 상측으로 4 픽셀, 좌측으로 12 픽셀, 하측으로 4 픽셀, 및 우측으로 6 픽셀 순서의 경로로서, 8자 형태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이동 경로의 총 이동 거리는 64 픽셀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 경로의 총 이동거리는 제1 이동 경로의 총 이동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60)는 제2 이동 주기에서 ① 분주기 시간에 ① 영상으로 처리하고, ② 분주기 시간에 ② 영상으로 처리하고, ③ 분주기 시간에 ③ 영상으로 처리하고, ④ 분주기 시간에 ④ 영상으로 처리하고, ⑤ 분주기 시간에 ⑤ 영상으로 처리하고, ⑥ 분주기 시간에 ⑥ 영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제2 이동 주기에서 ⑦ 분주기 시간에 ⑦ 영상으로 처리하고, ⑧ 분주기 시간에 ⑧ 영상으로 처리하고, ⑨ 분주기 시간에 ⑨ 영상으로 처리하고, ⑩ 분주기 시간에 ⑩ 영상으로 처리하고, ⑪ 분주기 시간에 ⑪ 영상으로 처리하고, ⑫ 분주기 시간에 ⑫ 영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 주기는 제1 이동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동 주기를 2분으로 가정하는 경우, 영상은 2분마다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한 픽셀씩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시간(분) 당 이동량은 1/2 픽셀으로서, 제1 이동 주기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 영상의 제2 픽셀 데이터(PD2)는 초기에 표시 패널(10)의 제2 픽셀(P2)에 표시되고, 제2 이동 주기마다 제2 이동 경로를 따라 한 픽셀씩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픽셀 데이터(PD2)는 128분이 경과된 후 다시 제2 픽셀(P2)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 주기에 따라 1 사이클의 orbit 동작이 수행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128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오빗 구동 방식을 다이아몬드형 형태의 제3 이동 경로와 제3 이동 주기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는, 제3 이동 경로와 제3 이동 주기에 따른 오빗 구동으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이동 경로는, 예를 들면, 우측으로 5 픽셀과 상측으로 5 픽셀을 포함하는 우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총 10 픽셀, 우측으로 5 픽셀과 하측으로 5 픽셀을 포함하는 우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총 10 픽셀, 좌측으로 5 픽셀과 하측으로 5 픽셀을 포함하는 좌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총 10 픽셀, 좌측으로 10 픽셀과 상측으로 10 픽셀을 포함하는 좌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총 20 픽셀, 좌측으로 5 픽셀과 하측으로 5 픽셀을 포함하는 좌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총 10 픽셀, 우측으로 5 픽셀과 하측으로 5 픽셀을 포함하는 우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총 10 픽셀, 및 우측으로 5 픽셀과 상측으로 5 픽셀을 포함하는 좌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총 10 픽셀의 순서를 갖는 경로로서, 가로로 뉘여진 8자 형태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 이동 경로의 총 이동거리는 80 픽셀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이동 경로의 총 이동거리는 제1 이동 경로의 총 이동거리 및 제2 이동 경로의 총 이동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60)는 제3 이동 주기에서 ① 분주기 시간에 ① 영상으로 처리하고, ② 분주기 시간에 ② 영상으로 처리하고, ③ 분주기 시간에 ③ 영상으로 처리하고, ④ 분주기 시간에 ④ 영상으로 처리하고, ⑤ 분주기 시간에 ⑤ 영상으로 처리하고, ⑥ 분주기 시간에 ⑥ 영상으로 처리하고, ⑦ 분주기 시간에 ⑦ 영상으로 처리하고, ⑧ 분주기 시간에 ⑧ 영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3 이동 주기는 제2 이동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예컨대, 제3 이동 주기를 1분으로 가정하는 경우, 영상은 1분마다 제3 이동 경로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한 픽셀 및 세로 방향으로 한 픽셀(총 두 픽셀)씩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이동 주기에서 영상의 시간(분) 당 이동량은 2 픽셀으로서, 제2 이동 주기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서 영상의 제3 픽셀 데이터(PD3)는 초기에 표시 패널(10)의 제3 픽셀(P3)에 표시되고, 제3 이동 주기마다 제3 이동 경로를 따라 총 두 픽셀씩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픽셀 데이터(PD3)는 40분이 경과된 후 다시 제3 픽셀(P3)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이동 주기에 따라 1 사이클의 orbit 동작이 수행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40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1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에서 영상 처리부(60)가 터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에서 로고 영상을 검출한다(S1610).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40)에서 영상 처리부(60)는 표시 패널(10)에 포함된 터치 패널(TP)을 통하여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회로부(80)로부터 터치 좌표를 비롯한 터치 횟수 등 터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또한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 중에서 고정 영상에 해당하는 로고 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 영상 처리부(60)는 표시 패널(10)을 통하여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S1620-Y), 터치 빈도수(N)를 비롯해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이격 거리(D)를 계산한다(S1630).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에 대하여 블록(Block)화 한 후에, 전술한 과정에서 검출한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각 화소당 가로 및 세로 값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화소를 기본 단위로 하여 터치 영역의 화소로부터 로고 영역에 있는 화소까지의 거리를 이루는 화소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이격 거리(D)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 영상 처리부(60)는 산출된 이격 거리(D)가 임계 거리(Dth)보다 크고(D>Dth), 터치 빈도수(N)가 기준 횟수(Nth)보다 큰 경우에(N>Nth)(S1640-Y),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지(터치발생영역=센터영역)를 판단한다(S1650).
이때,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S1650-Y),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처리하며,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조절 처리한다(S16650).
한편, 영상 처리부(60)는,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고(D≤Dth),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N≤Nth)(S1640-N), 오빗 주기를 정상으로 설정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유지되거나 복원하며,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복원되도록 하거나 일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처리한다(S1670).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N≤Nth)(S1650-N), 오빗 주기를 정상으로 설정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유지되거나 복원되도록 처리하고,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복원되도록 하거나 일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처리한다(S1680).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오빗(Orbit) 구동 방식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증가시키고, 화면 이동량이 큰 구동 패턴으로 변화하여 열화되는 정도를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회로부에서 터치 정보를 타이밍 컨트롤러의 영상 처리부에 전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에서 터치 빈도수와 터치 영역과 로고 영역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값을 제어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는 Touch IC로 구현되는 구동 회로부(80)에서 Touch 위치, 크기 및 빈도 Data를 DDI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TCON; 40)에 전달함에 따라 터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는 메인 PCB 세트(SET Main PCB) 상에 AP(SET)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60)의 AP(SET)와 터치 회로부(Touch IC; 80) 간 I2C/SPI 통신을 통해 터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의 AP(SET)와 DDI 사이는 V by one, DP 등의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어 디스플레이(Display)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터치 회로부(Touch IC)와 DDI 간에 I2C 통신을 통해 Touch 정보를 DDI에 전달할 수 있으며, 타이밍 컨트롤러(TCON)에서 블록별 영상정보와 매칭하여 터치 영역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영상 처리부(60)는 터치 빈도수와, 터치 영역과 로고 영상 간의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로고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 휘도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라 표시 패널(10)에 출력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휘도값을 조절 처리함으로써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 영역(영상 고정 영역)의 휘도가 현저히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에 고정 영상이나 정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더라도 터치 정보 및 인지 특성에 따른 잔상을 개선할 수 있고, 열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0)는 로고 영역의 데이터에 가중치 계수(Factor)를 두어 데이터 범위(Range)를 축소하여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40)는 디지털 감마(Digital Gamma)를 활용하여 전체 전압 범위(Range)에서 하위 구간의 전압 범위(Range)로 구동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의 AP에서 처리하는 경우에는 전송된 터치 정보를 기반으로 휘도 제어된 영상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의하면, 터치 정보 인지 기술을 활용하여 화면 잔상과 열화를 저감할 수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은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 및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거리 및 터치 빈도수에 따라 상기 고정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한 휘도를 조절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처리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간의 화소 휘도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소 휘도 차이가 임계 범위 이내인 화소들이 이루는 영상을 상기 고정 영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영상은 로고(Logo)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영역을 이루는 각 화소들 중 최외각 화소로부터 상기 로고 영상을 이루는 각 화소들 중 최외각 화소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 상기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 및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여 터치 빈도수에 따라 오빗(orbit)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 및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조절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 상기 오빗 주기를 정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유지되거나 복원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오빗 구동 방식에 따라 상기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사각형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로 화소 쉬프트 이동을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 및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에 따라 상기 고정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한 휘도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터치 빈도수에 따라 오빗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 및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을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산출된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고정 영상에 대응된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a) 영상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단계; (b)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영상 중 고정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상기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산출된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고정 영상에 대응된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a) 영상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단계; (b)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및 (e)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a) 영상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단계; (b)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영상 중 고정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상기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산출된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고정 영상에 대응된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처리하는 단계; (f) 상기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및 (g)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 표시 패널 20 : 게이트 구동부
30 : 데이터 구동부 40 : 타이밍 컨트롤러
50 : 감마전압 생성부 60 : 영상 처리부
70 : OLED 소자 80 : 터치 회로부
81 : 터치 구동부 82 : 터치 제어부
310 : 캐소드막 320 : 봉지층
330 : 터치전극들 340 : 평탄화층
Gn1~Gn2 : 게이트 라인 Dm : 데이터 라인
SCn : 스캔펄스 SEn : 센스펄스
PX : 화소 AA : 발광 영역
NA : 비발광 영역 EVDD : 고전위 전압
EVSS : 저전위 전압 ST1, ST2 : 스위치 TFT
DT : 구동 TFT Cst : 스토리지 캐패시터
TE : 제1 터치전극 RE : 제2 터치전극
BE : 브릿지 전극 TL : 제1 터치신호라인
RL : 제2 터치신호라인 CT : 컨택

Claims (15)

  1. 발광 영역 및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에 따라 상기 고정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한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거나 일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간의 화소 휘도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소 휘도 차이가 임계 범위 이내인 화소들이 이루는 영상을 상기 고정 영상으로 검출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영상은 로고(Logo) 영상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영역을 이루는 각 화소들 중 최외각 화소로부터 상기 로고 영상을 이루는 각 화소들 중 최외각 화소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조절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 상기 로고 영상에 해당하는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6. 발광 영역 및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여 터치 빈도수에 따라 오빗(orbit)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를 감소하거나 정상으로 설정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유지되거나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 상기 오빗 주기를 정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유지되거나 복원되도록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오빗 구동 방식에 따라 상기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사각형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로 화소 쉬프트 이동을 조절하여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0. 발광 영역 및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고정 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에 따라 상기 고정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한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거나 일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터치 빈도수에 따라 오빗 구동 방식에 따른 오빗 주기를 감소하거나 정상으로 설정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유지되거나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산출된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고정 영상에 대응된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상기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3. (a) 영상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단계;
    (b)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영상 중 고정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상기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산출된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고정 영상에 대응된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처리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14. (a) 영상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단계;
    (b)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및
    (e)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15. (a) 영상이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단계;
    (b)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영상 중 고정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영역과 상기 고정 영상 간의 이격 거리 및 터치 빈도수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산출된 이격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고,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고정 영상에 대응된 각 화소들의 휘도 값이 일정 기준 이하로 낮아지도록 처리하는 단계;
    (f) 상기 터치 영역이 일정 크기의 센터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및
    (g) 상기 터치 빈도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 경우에, 오빗 주기를 감소하고, 오빗의 단위 시간당 이동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0200183098A 2020-12-24 2020-12-24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64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98A KR102648601B1 (ko) 2020-12-24 2020-12-24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98A KR102648601B1 (ko) 2020-12-24 2020-12-24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98A KR20220091898A (ko) 2022-07-01
KR102648601B1 true KR102648601B1 (ko) 2024-03-15

Family

ID=8239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098A KR102648601B1 (ko) 2020-12-24 2020-12-24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6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8872A (ja) 2014-02-05 2015-08-20 株式会社リコー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812A (ja) * 1992-08-10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パネルの入力装置
KR20130093426A (ko) * 2012-02-14 201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워 컨트롤 신호에 따라, 로고 타입의 인디케이터를 조정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0442B1 (ko) * 2017-08-1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528996B1 (ko) * 2018-06-28 2023-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8872A (ja) 2014-02-05 2015-08-20 株式会社リコー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98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845B1 (ko) 표시장치
EP3462436A1 (en) Double sided display
JP2020530595A (ja) タッチ表示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電子装置
CN107886902B (zh)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CN105225631A (zh) 显示设备
KR2019007077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488256B1 (ko) 타일드 디스플레이
US1004343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ith pixel shifting compensation data
CN115793896A (zh) 具有触摸屏的显示设备
US11882742B2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156270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648601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474136B1 (ko) 표시패널과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및 모바일 단말기
KR20220091080A (ko) 발광표시장치
KR2020007798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US12008965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40038123A1 (en) Display device
US2022010179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30225160A1 (en) Display panel
US20230217759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30189605A1 (en) Display device
EP4362642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CN117475898A (zh) 显示装置
KR20230034832A (ko) 표시패널과 이를 포함한 전자장치
KR20170081074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