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502B1 -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8502B1 KR102648502B1 KR1020220190904A KR20220190904A KR102648502B1 KR 102648502 B1 KR102648502 B1 KR 102648502B1 KR 1020220190904 A KR1020220190904 A KR 1020220190904A KR 20220190904 A KR20220190904 A KR 20220190904A KR 102648502 B1 KR102648502 B1 KR 102648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ute
- disaster
- unit
- safety
- provid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대피로로서 최단거리를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최단경로상 위험지역이 발생할 시,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즉각적으로 우회도로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재난/재해 발생 시, 사용자가 위험 지역을 회피하여 안전대피소까지 안전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웹 GIS 기반 모바일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재난/재해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을 통해, 재난/재해 발생 시, 사용자가 위험 지역을 회피하여 안전대피소까지 안전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웹 GIS 기반 모바일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재난/재해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대피로로서 최단거리를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최단경로상 위험지역이 발생할 시,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즉각적으로 우회도로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해 지도는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18조의 규정에서 재해지도의 종류를 과거 침수흔적 조사를 목적으로 하는 침수흔적도와, 하천 및 해안지역 침수예상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침수예상도와, 주민대피 등 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재해정보지도로 구분하고 침수예상도는 홍수범람예상도와 내수침수예상도, 해안침수예상도로 세분하며, 재해 정보지도는 피난활용형과 방재정보형과 방재교육형으로 세분한다.
자연재해대책법 제21조에서 재해예방 및 경감을 위하여 각종 재해 지도를 제작 보급 활용토록 규정하고 있으며, 재해지도 도입에 따른 제도상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2004년에는 전국 12개 시군을 시범사업지구로 선정하여 침수흔적조사 및 침수흔적도 제작사업을 실시하였으며, 2005년에는 전국 12개 시군을 대상으로 주민대피용 재해정보 지도를 시범사업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종래의 재해지도는 지역단위별로 한 장의 큰 지도로만 되어 있어 각 지역의 재해지도를 모두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임의의 지역에 대한 재해를 사전에 인지하고 대비하기가 쉽지 않았고, 각 지역마다 재해 지도가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재해지도의 표시내용에 일관성이 없어 침수지역을 비롯한 관련재해정보를 한 눈에 파악하기가 곤란하였으며, 더욱이 방재시설과 수리시설이 표시된 지도가 없어 재해발생시 정부지자체의 신속한 대처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15305호인 '위성영상을 이용한 재해예측지도책자'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실시간으로 반영되지 않아서 대피로가 위험 지역에 속할 경우에 안전대피소까지 도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전대피로로서 최단거리를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최단경로상 위험지역이 발생할 시,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즉각적으로 우회도로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쟁이나 천재지변으로 인한 재난/재해시에 안전대피로를 제공하되, 안전대피로로서 최단거리를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최단경로상 위험지역이 발생할 시,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즉각적으로 우회도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를 시작하는 시작버튼(100)과,
상기 시작버튼에 의한 스타트를 인식하여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스타트인식부(150)와,
상기 스타트인식부에 의하여 스타트 신호가 발생하면 지피에스를 통하여 현위치를 파악하는 현위치제공부(200)와,
상기 현위치를 중심으로 지리정보를 획득하는 지리정보획득부(250)와,
상기 지리정보에 의하여 지리정보를 그래픽으로 제공하는 지리정보도식부(300)와,
상기 현위치를 상기 지리정보도식부의 지리정보그래픽에 표시하는 현위치표식부(350)와,
상기 현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지리정보내에서 최단거리 안전대피소를 검색하여 획득하거나,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에서 지정한 안전대피소를 획득하는 안전대피소획득부(400)와,
상기 안전대피소와 현위치 간의 최단경로를 제공하는 최단경로제공부(450)와,
상기 최단경로를 그래픽으로 제공하는 최단경로도식부(500)와,
상기 최단경로 상에 위험지역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지역판단부(550)와,
상기 위험지역판단부에 의하여 위험지역이 최단경로 상에 있다면, 우회경로를 제공하는 우회경로제공부(600)와,
상기 우회경로를 그래픽으로 제공하는 우회경로도식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는,
전쟁이나 천재지변으로 인한 재난/재해시에 안전대피로를 제공하되, 안전대피로로서 최단거리를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최단경로상 위험지역이 발생할 시,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즉각적으로 우회도로를 제공함으로써, 재난/재해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재난/재해 발생 시, 사용자가 위험 지역을 회피하여 안전대피소까지 안전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웹 GIS 기반 모바일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재난/재해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최단경로도식부(500)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우회경로도식부(650)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데이터 수집, 가공, 표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재난/재해 위험지역을 회피하여 안전대피소까지 찾아가는 최적경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직접 회피경로를 추가하는 과정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재난/재해 위험지역과 사용자 추가 지점을 모두 반영하여 우회하는 최적경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도로 정보 데이터의 노드와 링크를 지도상에 표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최단경로도식부(500)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우회경로도식부(650)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데이터 수집, 가공, 표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재난/재해 위험지역을 회피하여 안전대피소까지 찾아가는 최적경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직접 회피경로를 추가하는 과정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재난/재해 위험지역과 사용자 추가 지점을 모두 반영하여 우회하는 최적경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도로 정보 데이터의 노드와 링크를 지도상에 표출한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를 시작하는 시작버튼(100)과,
상기 시작버튼에 의한 스타트를 인식하여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스타트인식부(150)와,
상기 스타트인식부에 의하여 스타트 신호가 발생하면 지피에스를 통하여 현위치를 파악하는 현위치제공부(200)와,
상기 현위치를 중심으로 지리정보를 획득하는 지리정보획득부(250)와,
상기 지리정보에 의하여 지리정보를 그래픽으로 제공하는 지리정보도식부(300)와,
상기 현위치를 상기 지리정보도식부의 지리정보그래픽에 표시하는 현위치표식부(350)와,
상기 현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지리정보내에서 최단거리 안전대피소를 검색하여 획득하거나,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에서 지정한 안전대피소를 획득하는 안전대피소획득부(400)와,
상기 안전대피소와 현위치 간의 최단경로를 제공하는 최단경로제공부(450)와,
상기 최단경로를 그래픽으로 제공하는 최단경로도식부(500)와,
상기 최단경로 상에 위험지역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지역판단부(550)와,
상기 위험지역판단부에 의하여 위험지역이 최단경로 상에 있다면, 우회경로를 제공하는 우회경로제공부(600)와,
상기 우회경로를 그래픽으로 제공하는 우회경로도식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최단경로도식부(500)는,
현위치를 최단 경로 출발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최단경로출발도식모듈(510);과
안전대피소를 최단 경로 목적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최단경로목적지도식모듈(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우회경로도식부(650)는,
현위치를 우회 경로 출발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우회경로출발도식모듈(651);과
안전대피소를 우회 경로 목적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우회경로목적지도식모듈(65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우회경로제공부(600)는,
우회경로를 복수개로 제공할 경우에,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우회경로 상의 주요 경유지 혹은 도로명을 제공하며,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우회 경로를 획득하도록 하는 선택우회경로획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선택우회경로획득모듈은,
우회경로 상의 주요 경유지 혹은 도로명마다 다른 색깔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1000)는, 크게, 시작버튼(100), 스타트인식부(150), 현위치제공부(200), 지리정보획득부(250), 지리정보도식부(300), 현위치표식부(350), 안전대피소획득부(400), 최단경로제공부(450), 최단경로도식부(500), 위험지역판단부(550), 우회경로제공부(600), 우회경로도식부(65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단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대피소는 재난 발생 시 주민이 대피하는 장소로써 대피생활이 가능한 대피장소를 의미한다. 비교하여 긴급대피소는 침수구역 내에 설치되어 만일 대피가 늦어진 경우에 사용하는 대피장소이다.
이때, 안전대피로는 현재 있는 장소에서 최단거리의 안전대피소로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의미한다.
이때, 최단거리 혹은 최단경로란, 출발 위치와 목적지 간에 인간 혹은 자동차로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짧은 거리를 의미하며, 지리정보에 의한 도로정보 혹은 길 정보를 기반으로 통행이 가능한 경로를 말한다.
이때, 우회경로 혹은 우회도로란, 출발 위치와 목적지 간에 최단 경로를 제외한 다른 경로로서, 인간 혹은 자동차로 도달할 수 있는 통행이 가능한 경로이다.
이때, 선택된 우회경로 혹은 선택된 우회도로란, 출발위치와 목적지 간에 최단경로를 제외한 다른 경로들 중에 하나의 선택된 도로로서, 단말기의 버튼을 통하여 선택되어진 하나의 경로를 의미한다.
이때, 위험 지역이란, 전쟁이나 천재지변으로 인한 재난/재해시에 심각한 파괴가 있거나, 침수 붕괴로 인하여 통행이 불가능하거나 통행에 부적합한 지역을 의미한다.
상기 위험 지역은 사전에 예측되는 침수 다발지역, 산사태 발생지역을 참조하여 사전에 등록된 지역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로 지정하거나, 문자방송, 데이터통신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지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지리정보 그래픽이란, 지리정보에 의하여 지리정보를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사용자단말기)에 그래픽으로 도시된 화면을 의미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구성요소들과 이들간의 유기적인 동작 관계를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시작버튼(100)은 안전대피로 제공장치를 시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최초 사용자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장치에 접속할 경우에 탑재된 최초 화면 상에 표출되는 버튼을 의미하고, 이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클릭 신호를 획득하게 되며, 시작버튼을 통해 안전대피로 제공장치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즉, 스타트인식부(150)를 통해 상기 시작버튼에 의한 스타트를 인식하여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현위치제공부(200)는 현재 접속된 사용자단말기의 현 위치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스타트인식부에 의하여 스타트 신호가 발생하면 지피에스를 통하여 현 위치를 파악하게 되며, 현재 파악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리정보획득부(250)는 상기 현위치를 중심으로 지리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며, 지리정보도식부(300)를 통해 상기 지리정보에 의하여 지리정보를 그래픽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과 같은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지리 정보를 획득하여 그래픽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현위치표식부(350)를 통해 상기 현위치를 상기 지리정보도식부의 지리정보그래픽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과 같이, 현위치를 출발 위치로 지리정보그래픽 상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프로그레시브 웹 애플리케이션(Progressive web applications = PWA)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PWA는 웹을 통해 전달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 일반 웹 기술들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표준을 준수하는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어떠한 플랫폼에서도 동작하도록 고안되었다.
기능에는 오프라인 작업, 푸시 알림, 장치 하드웨어 접근, 데스크톱과 모바일 장치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의 창출을 가능케 하는 것이 포함된다.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알려진 웹 페이지 또는 웹사이트의 일종이기 때문에 개발자나 사용자가 애플 앱 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와 같은 디지털 배급 시스템을 통해 웹 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웹 애플리케이션들이 처음부터 모바일 장치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긴 했으나 이들은 속도가 더 느렸고 기능이 더 적은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네이티브 앱보다 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전에 네이티브 앱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던 오프라인 작업 기능과 더불어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PWA들은 훨씬 더 빠르게 수행이 가능하며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네이티브 앱과의 격차를 줄여주고 데스크톱과 모바일 플랫폼에 모두 이식이 가능하게 된다.
PWA들은 별도의 빌드 또는 배포 과정이 필요 없으며, 프로그레시브 웹 앱의 게시는 어떠한 웹 페이지를 대상으로도 가능하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길찾기 알고리즘으로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는 그래프에서 한 정점(노드)에서 다른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이 과정에서 도착 정점뿐 아니라, 모든 다른 정점까지 최단 경로로 방문하며 각 정점까지 최단 경로를 모두 찾게 되며, 매번 최단 경로의 정점을 선택해 탐색을 반복하는 것이다.
최단경로제공부(450)와 우회경로제공부(600)가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단 경로의 정점을 선택해 탐색을 반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을 적용하게 되는데, GIS란, 인간 생활에 필요한 지리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이다.
GIS는 지리적 위치를 갖고 있는 대상에 대한 위치자료(spatial data)와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 및 관리하여 지도, 도표 및 그림과 같은 여러 형태의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는 오픈레이어스(OpenLayers) 또는 세슘(CesiumJS) 라이브러리를 적용하게 되는데, OpenLayers는 웹 브라우저에서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이다.
구글지도(Google map) 또는 브이월드맵(Vworld map)과 같은 웹 기반의 지리 응용 프로그램에 API를 제공한다.
즉, 최단경로도식부(500)와 우회경로도식부(650)에 적용되어 웹 브라우저에서 지도데이터를 그래픽으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국 안전대피소, 재난/재해 위험지역, 도로정보 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포털, 국가공간정보포털 등에서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전에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재난/재해 위험지역로는 전국재해위험지구표준데이터,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침수흔적도, 침수예상도 등이 있으며,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축된 예상 지역이 추가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정보수집부는 수집한 도로 정보 데이터를 길찾기 알고리즘 적용이 가능한 노드-링크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9와 같이, 도로 정보 데이터의 노드와 링크 형태로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대피소획득부(400)는 현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지리정보내에서 최단거리 안전대피소를 검색하여 획득하거나,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에서 지정한 안전대피소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사용자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20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현위치 또는 검색 주소에서 가장 최적의 안전대피소를 찾아가는 안전대피로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현위치는 기기의 GPS 정보를 활용하고 주소 검색은 도로명주소 및 지번주소 DB를 활용한다.
즉, 최단경로제공부(450)를 이용하여 안전대피소와 현위치 간의 최단경로를 제공하게 되는데, 최단경로도식부(500)를 통해 상기 최단경로를 그래픽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최단경로도식부(500)는,
현위치를 최단 경로 출발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최단경로출발도식모듈(510);과
안전대피소를 최단 경로 목적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최단경로목적지도식모듈(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최단경로출발도식모듈(510)을 통해 현위치를 최단 경로 출발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게 되며, 최단경로목적지도식모듈(520)을 통해 안전대피소를 최단 경로 목적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단 경로를 그래픽으로 표출하게 되는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보에 의하면, 해당 최단 경로 상에 재난/재해 위험지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지역을 통과하지 않는 우회 경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위험지역판단부(550)는 상기 최단경로 상에 위험지역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단경로 상에 위험 지역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회경로제공부(600)는 상기 위험지역판단부에 의하여 위험지역이 최단경로 상에 있다면, 우회경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우회경로도식부(650)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우회경로를 그래픽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회경로도식부(650)는,
현위치를 우회 경로 출발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우회경로출발도식모듈(651);과
안전대피소를 우회 경로 목적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우회경로목적지도식모듈(65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우회경로출발도식모듈(651)을 통해 현위치를 우회 경로 출발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게 되며, 우회경로목적지도식모듈(652)을 통해 안전대피소를 우회 경로 목적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회경로제공부(600)는,
우회경로를 복수개로 제공할 경우에,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우회경로 상의 주요 경유지 혹은 도로명을 제공하며,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우회 경로를 획득하도록 하는 선택우회경로획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우회경로 상의 주요 경유지 혹은 도로명을 제공하게 되며, 제공된 도로명 중 사용자가 선택한 우회 경로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선택우회경로획득모듈은,
우회경로 상의 주요 경유지 혹은 도로명마다 다른 색깔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 파란색, 노랑색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우회 경로를 획득하게 되면 도 8과 같이, 재난/재해 위험지역과 사용자가 추가한 지점을 반영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장치는 REST API 방식으로 모듈을 분리하여, 계산을 수행하는 BACK-END 시스템에 여러 FRONT-END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재난/재해 위험지역 우회방법은 도 9의 도로정보 데이터의 구간(링크)이 위험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계산하여 위험지역에 포함되는 링크를 제외하고, 길찾기를 수행한다.
포함 여부는 DBMS를 이용하여, 위험지역 폴리곤(POLYGON)에 해당 라인(LINE)이 포함되는지 조회할 수 있도록 작성한 쿼리(QUERY)문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출발지와 도착지도 마찬가지로 위험지역에 포함되는 지점(노드)를 제외하고 길찾기를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안전대피로를 요청하여 결과를 얻은 상태에서 경로 중 일부 도로(링크)를 지정하여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난/재해 발생 시, 사용자가 위험 지역을 회피하여 안전대피소까지 안전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웹 GIS 기반 모바일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재난/재해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시작버튼
150 : 스타트인식부
200 : 현위치제공부
250 : 지리정보획득부
300 : 지리정보도식부
350 : 현위치표식부
400 : 안전대피소획득부
450 : 최단경로제공부
500 : 최단경로도식부
550 : 위험지역판단부
600 : 우회경로제공부
650 : 우회경로도식부
150 : 스타트인식부
200 : 현위치제공부
250 : 지리정보획득부
300 : 지리정보도식부
350 : 현위치표식부
400 : 안전대피소획득부
450 : 최단경로제공부
500 : 최단경로도식부
550 : 위험지역판단부
600 : 우회경로제공부
650 : 우회경로도식부
Claims (2)
-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에 있어서,
안전대피로 제공장치를 시작하는 시작버튼(100)과,
상기 시작버튼에 의한 스타트를 인식하여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스타트인식부(150)와,
상기 스타트인식부에 의하여 스타트 신호가 발생하면 지피에스를 통하여 현위치를 파악하는 현위치제공부(200)와,
상기 현위치를 중심으로 지리정보를 획득하는 지리정보획득부(250)와,
상기 지리정보에 의하여 지리정보를 그래픽으로 제공하는 지리정보도식부(300)와,
상기 현위치를 상기 지리정보도식부의 지리정보그래픽에 표시하는 현위치표식부(350)와,
상기 현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지리정보내에서 최단거리 안전대피소를 검색하여 획득하거나, 안전대피로 제공장치에서 지정한 안전대피소를 획득하는 안전대피소획득부(400)와,
상기 안전대피소와 현위치 간의 최단경로를 제공하는 최단경로제공부(450)와,
상기 최단경로를 그래픽으로 제공하는 최단경로도식부(500)와,
상기 최단경로 상에 위험지역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지역판단부(550)와,
상기 위험지역판단부에 의하여 위험지역이 최단경로 상에 있다면, 우회경로를 제공하는 우회경로제공부(600)와,
상기 우회경로를 그래픽으로 제공하는 우회경로도식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최단경로도식부(500)는,
현위치를 최단 경로 출발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최단경로출발도식모듈(510);과
안전대피소를 최단 경로 목적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최단경로목적지도식모듈(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회경로제공부(600)는,
우회경로를 복수개로 제공할 경우에, 사용자단말기(2000)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우회경로 상의 주요 경유지 혹은 도로명을 제공하며,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우회 경로를 획득하도록 하는 선택우회경로획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택우회경로획득모듈은,
우회경로 상의 주요 경유지 혹은 도로명마다 다른 색깔로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회경로도식부(650)는,
현위치를 우회 경로 출발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우회경로출발도식모듈(651);과
안전대피소를 우회 경로 목적이라는 의미의 표시로 도시하는 우회경로목적지도식모듈(65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국 안전대피소, 재난/재해 위험지역, 도로정보 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포털,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수집부는 수집한 도로 정보 데이터를 길찾기 알고리즘 적용이 가능한 노드-링크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최단경로제공부(450)와 우회경로제공부(600)가 길찾기 알고리즘인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단 경로의 정점을 선택해 탐색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재난/재해 위험지역 우회방법은 도로정보 데이터의 구간(링크)이 위험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계산하여 위험지역에 포함되는 링크를 제외하고, 길찾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REST API 방식으로 모듈을 분리하여, 계산을 수행하는 BACK-END 시스템에 여러 FRONT-END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으며, 재난/재해 위험지역 우회방법을 제공함에 있어, 도로정보 데이터의 구간(링크)이 위험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계산하여 위험지역에 포함되는 링크를 제외하고 길찾기를 수행하며, 포함 여부는 DBMS를 이용하여 위험지역 폴리곤(POLYGON)에 해당 라인(LINE)이 포함되는지 조회할 수 있도록 작성한 쿼리(QUERY)문을 이용하여 처리하며, 출발지와 도착지도 위험지역에 포함되는 지점(노드)를 제외하고 길찾기를 수행하며, 사용자가 안전대피로를 요청하여 결과를 얻은 상태에서 경로 중 일부 도로(링크)를 지정하여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요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90904A KR102648502B1 (ko) | 2022-12-30 | 2022-12-30 |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90904A KR102648502B1 (ko) | 2022-12-30 | 2022-12-30 |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8502B1 true KR102648502B1 (ko) | 2024-03-19 |
Family
ID=9048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90904A KR102648502B1 (ko) | 2022-12-30 | 2022-12-30 |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850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5305B1 (ko) | 2006-07-10 | 2007-05-04 | 사단법인 충남방재정보연구회 | 위성영상을 이용한 재해예측지도책자 |
KR20140127151A (ko) * | 2013-04-22 | 2014-11-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
KR102349293B1 (ko) * | 2021-11-09 | 2022-01-11 | 대한민국 | 휴대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실자의 피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
2022
- 2022-12-30 KR KR1020220190904A patent/KR1026485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5305B1 (ko) | 2006-07-10 | 2007-05-04 | 사단법인 충남방재정보연구회 | 위성영상을 이용한 재해예측지도책자 |
KR20140127151A (ko) * | 2013-04-22 | 2014-11-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
KR102349293B1 (ko) * | 2021-11-09 | 2022-01-11 | 대한민국 | 휴대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실자의 피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86479B2 (ja) | 避難ルート出力装置、避難ルー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10059910A (zh) | 安全生产应急救援指挥中心综合管理平台 | |
US20090286505A1 (en) | Comprehensive tsunami alert system via mobile devices | |
CN108510566B (zh) | 一种应急专题地图的生成方法和系统 | |
Kim et al. | Evacuation planning for plausible worst case inundation scenarios in Honolulu, Hawaii | |
KR20130101804A (ko)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난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 |
Hasnat et al. | EMERGENCY RESPONSE DURING DISASTROUS SITUATION IN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A GIS BASED APPROACH. | |
Ortiz et al. | Improving Community Resiliency and Emergency Respons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 |
Keramitsoglou et al. | Decision support system for managing oil spill events | |
KR102648502B1 (ko) | 재난 및 재해 시 위험지역 우회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안전대피로 제공장치 | |
Gaspar et al. | Dynamic structure and data sets of a GIS database for geological riskanalysis in the Azores volcanic islands | |
JP2022052355A (ja) | 情報分析装置、情報分析方法および情報分析プロブラム | |
Tsai et al. | Using mobile disaster response system in bridge management | |
Boye et al. |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emergency service delivery–a case of Ghana national fire service | |
Phyo et al. | Effective evacuation route strategy during natural disaster | |
JP7125694B1 (ja) | 投稿情報分析装置及び投稿情報分析方法 | |
Aziz et al. | Enhancing Disaster Mitigation: Mobile-GIS Sister Village Evacuation Route System for Mount Merapi Eruption in Yogyakarta | |
Kalpana et al. | Network Centrality Assessment (NCA): Assessing the Transport Network Resilience to Urban Flooding | |
Ramos Jiménez | A vulnerability-based risk assessment of the threatened area surrounding Popocatépetl Volcano to support decision-making during a volcanic crisis | |
Basoz et al. | A GIS-based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transportation networks | |
Sridevi et al. | A Geospatial Study on Emergency Response Management System to Combat Fire Accidents—A Case Study of Chennai, Tamil Nadu | |
KR102593517B1 (ko) |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 |
Win et al. | The Best Way to Find an Evacuation Route for Fire Emergency | |
Albataineh et al. | Intelligent and Automated Emergency Evacuation of populated areas in an event of volcanic activity | |
Phyo et al. | Optimal route finding to support fire emergency ser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