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477B1 -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477B1
KR102648477B1 KR1020190012100A KR20190012100A KR102648477B1 KR 102648477 B1 KR102648477 B1 KR 102648477B1 KR 1020190012100 A KR1020190012100 A KR 1020190012100A KR 20190012100 A KR20190012100 A KR 20190012100A KR 102648477 B1 KR102648477 B1 KR 10264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nection
housing
connection part
c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0018A (en
Inventor
배재용
장상호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EP19162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44125B1/en
Priority to US16/357,816 priority patent/US10763610B2/en
Priority to CN201910208041.2A priority patent/CN110289517B/en
Publication of KR20190110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0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4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캡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연결 파트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보호 파트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는 동안,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서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 파트 및 보호 파트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보호 파트를 상기 연결 파트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어낼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p housing, a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ed inside the cap housing, a connection part fixed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p housing, and a connection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a male connector including a protective part that is relatively movable; and a female connector including a plug housing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and while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lug housing maintains a fixed state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otection part being fixed to each other. By releasing, the protection part can be push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Description

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설명은 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description below relates to a male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커넥터란 전기적인 접속을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전기 부품의 일종이다. 커넥터는 자동차 또는 생활 가전 등 다양한 전자 기계 장치에 사용되어, 복수 개의 전자 부품 상호 간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 연결을 위하여 사용된다.A connector is a type of electrical component that can connect or disconnect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s are used in various electromechanical devices such as automobiles or home appliances, and are used to electrically and/or phys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to each other.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정렬을 보조하여 접속 단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된다. 또한, 커넥터 내부로 유체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된다.Technologies are required to prevent damage to the connection terminals by assisting in the alignment of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connector. Additionally, technologies are required to more reliably block the inflow of fluid o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connector.

도 18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특허문헌 1).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캡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된 보호판 걸림 부재(12)에 의해 지지되는 보호판(20)을 포함한다. 보호판(20)의 외측에는 보호판 걸림 부재(12)에 걸리는 걸림 홈(22)이 마련된다. 보호판 걸림 부재(12)는 캡 하우징(10)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형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을 사출 금형 방식을 통하여 제작하기 위해서는 캡 하우징(10)의 테두리 부분에 코어 홀(H, core hole)이 형성되게 된다.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방수 처리를 위해서는 코어 홀도 방수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코어 홀(H)을 복수 개의 단차 포트와 동일 영역에서 방수 처리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Patent Document 1). A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protective plate 20 supported by a protective plate engaging member 12 provided inside the cap housing 10. On the outside of the protection plate 20, a locking groove 22 is provided that engages the guard plate locking member 12. The protection plate locking member 12 has a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 housing 10. In order to manufacture this shape through an injection mold method, a core hole (H)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cap housing 10. In order to waterproof a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re hole also had to be waterproofed. In addition, in order to waterproof the core hole (H) in the same area as the plurality of step port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connector assembly was unnecessarily large. Technology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140262호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40262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접속 단자의 정렬을 보조하여 접속 단자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방수 구조를 구현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암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female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that can implement a waterproof structure and have a compact structure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connection terminal by assisting in the alignment of the connection terminal.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캡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연결 파트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보호 파트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는 동안,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서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 파트 및 보호 파트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보호 파트를 상기 연결 파트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어낼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p housing, a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ed inside the cap housing, a connection part fixed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p housing, and a connection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a male connector including a protective part that is relatively movable; and a female connector including a plug housing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and while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lug housing maintains a fixed state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otection part being fixed to each other. By releasing, the protection part can be push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접속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홀을 포함하는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 및 상기 연결 파트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조립되고,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캡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때,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고정 구조물에 의해 상기 캡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The cap housing includes a cap body including a terminal hole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fixing structure formed inside the cap body and fixing the connection part, wherein the cap housing and the connection part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members and then assembled, and the prot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cap housing. When relatively raised or lowered, the connection part may not be moved relative to the cap housing by the fixing structure.

상기 캡 바디는, 상기 고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 바디의 내측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cap body includes a core hole for forming the fixing structure, and the core hole is located in a waterproof area for waterproofing the inside of the cap body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You can.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캡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캡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 헤드의 테두리부에 의해 규정되는 경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p housing further includes a cap head that protrudes from the cap body and surrounds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re hole is formed by an edge portion of the cap head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It can be placed inside a defined boundary.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보호 파트를 지지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 파트의 내측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바디; 및 상기 플러그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바디가 상기 보호 파트의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로드를 변형시키는 장착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support rod that supports the protection part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the plug housing includes a plug body insertable inside the protection part; and a moun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plug body and deforms the support rod when the plug body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part.

상기 보호 파트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걸림 부재에 걸림으로써 상기 보호 파트를 상승시킬 수 있는 분리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on part may include a locking member, and the plug housing may include a separation protrusion that can raise the protection part by engaging the locking member.

상기 캡 하우징은, 내벽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캡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암 커넥터로부터 상기 수 커넥터가 일정 거리만큼 상승하는 동안에는 상기 캡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상기 캡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변형됨으로써, 상기 보호 파트로부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분리되게 할 수 있다.The cap housing includes a cap guide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and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and the lock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cap guide while the male connector rise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emale connector. Deformation is prevented, and when the male connector rises beyo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deformed without being supported by the cap guide, thereby causing the plug housing to be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part.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binding part that prevents the protection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le connector can slide relative to the connection part and may further include a slider that prevents the connection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바디; 및 외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r includes a slider body; and a slider lever that protrudes from the slider body to transmit power from the outside to the slider body.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연결 파트를 상기 캡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바디는, 슬라이딩 하는 동안 상기 고정 구조물과 간섭을 피하기 위한 슬라이더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p housing may include a fixing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slider body and secures the connection part to the cap housing, and the slider body may include a slider hol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ixing structure while sliding. there is.

상기 보호 파트의 일부는 절개되어, 상기 슬라이더 레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protective part may be cut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slider lever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 따른 수 커넥터는,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접속 단자; 상기 캡 하우징과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조립되는 연결 바디와, 상기 연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 연결 파트; 및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로드에 의해 지지되는 보호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 및 연결 파트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조립되고,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캡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때,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캡 하우징 및 상기 연결 파트를 상호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 구조물에 의해 상기 캡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cap housing; a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ed inside the cap housing; A connection part including a connection body manufactur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cap housing and then assembled inside the cap housing, and a support rod that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body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a protection part provided inside the cap housing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wherein the cap housing includes: a cap body; and a fixing structure formed inside the cap body and fixing the connection part, wherein the cap housing and the connection part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members and then assembled, and the protection part is relative to the cap housing. When being raised or lowered, the connection part may not move relative to the cap housing by the fixing structure that fixes the cap housing and the connection part to each other.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l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binding part that prevents the protection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상기 캡 바디는, 상기 고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 바디의 내측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cap body includes a core hole for forming the fixing structure, and the core hole is located in a waterproof area for waterproofing the inside of the cap body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can do.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can slide relative to the connection part and may further include a slider that prevents the connection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연결 파트, 보조 파트 및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결합되는 동안, 걸림 부재 및 분리용 돌기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분리되는 동안, 걸림 부재 및 분리용 돌기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결합되는 동안, 걸림 부재 및 장착용 돌기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분리되는 동안, 걸림 부재 및 장착용 돌기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돌기가 연결 파트에 결합되는 동안, 캡 돌기가 연결 파트에 고정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암 커넥터의 연결 파트 및 보조 파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limited way.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of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of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7 is a front view of a cap hous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is a rear view of the cap hous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an auxiliary part, and a slider of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0 is a rear view of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interaction of a locking member and a separation protrusion while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coupled.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interaction of a locking member and a separation protrusion while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action of a locking member and a mounting protrusion while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coupled.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action of a locking member and a mounting protrusion while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5 is a bottom view of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how the cap projection is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while the cap projec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and an auxiliary part of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본 특허출원은 2018년 3월 19일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8-0031626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고, 해당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특허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This pat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patent application No. 2018-0031626 filed on March 19, 2018,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to this patent application.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an embodiment,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s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given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sid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showing a state before combining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sid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showing the male connector in a coupled st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복수 개의 전자 부품 상호 간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 연결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1)는 어느 하나의 전자 부품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암 커넥터(2)는 다른 하나의 전자 부품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는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자 부품을 접속시킬 수 있다.1 to 3, the connector assembly 100 may include a male connector 1 and a female connector 2 that can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nnector assembly 100 may assist in electrical and/or phys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For example, the male connector 1 may be electrically and/or physically connected to on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female connector 2 may be electrically and/or physically connected to another electronic component. The male connector 1 and the female connector 2 can connec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electronic components by being physically coupled to each other.

수 커넥터(1)는 캡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캡 하우징(11)은 전방(+x 방향) 및 후방(-x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수 커넥터(1)의 후방 개구부는 암 커넥터(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수 커넥터(1)의 전방 개구부는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메인 개구부(1a)와, 다른 전선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조 개구부(1b)를 포함할 수 있다. 시일(미도시)은 메인 개구부(1a) 및 보조 개구부(1b) 내측에는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수 커넥터(1)의 전방 개구부를 통해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male connector 1 may include a cap housing 11. The cap housing 11 may be open forward (+x direction) and rearward (-x direction). The rear opening of the male connector (1) can be covered by the female connector (2). The front opening of the male connector 1 may include a main opening 1a surrounding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openings 1b for receiving other wires. A seal (not shown) can be inserted inside the main opening 1a and the auxiliary opening 1b to block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rough the front opening of the male connector 1 from the outside.

암 커넥터(2)는 수 커넥터(1)에 장착될 수 있다. 암 커넥터(2)는 수 커넥터(1)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암 커넥터(2)는 케이스(21) 및 커넥터 레버(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emale connector (2) can be mounted on the male connector (1). The female connector (2) can slide along the outside of the male connector (1). The female connector 2 may include a case 21 and a connector lever 23.

케이스(21)는 예를 들어 암 커넥터(2)의 슬라이딩 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케이스 돌기(21a)를 포함할 수 있다.Case 21 may include, for example, a case protrusion 21a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female connector 2.

캡 하우징(11)은 y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 돌기(11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레버(23)는 케이스 돌기(2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레버(23)는 케이스 돌기(21a) 및 외측 돌기(11a)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캡 하우징(11) 및 케이스(21)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The cap housing 11 may include an outer protrusion 11a protruding in the y-axis direction. The connector lever 23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protrusion 21a. The connector lever 23 may assist in coupling the cap housing 11 and the case 21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se protrusion 21a and the outer protrusion 11a.

커넥터 레버(23)는 외측 돌기(11a)를 수용하는 레버 개구(23a)와, 외측 돌기(11a)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레버 가이드(23b)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돌기(11a)가 레버 가이드(23b)에 삽입된 것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레버(23)를 도 3의 화살표 방향(y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23)가 회전되는 동안, 외측 돌기(11a)는 케이스 돌기(21a)에 가까이 근접할 수 있다. 커넥터 레버(23)가 y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한,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nnector lever 23 may include a lever opening 23a that accommodates the outer projection 11a and a lever guide 23b that sets a movement path of the outer projection 11a.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outer protrusion 11a is inserted into the lever guide 23b, the user can rotate the lever 2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3 (counterclockwise around the y-axis). While the lever 23 is rotated, the outer protrusion 11a may come close to the case protrusion 21a. As long as the connector lever 23 is not rotated clockwise about the y-axis, the male connector 1 and the female connector 2 can remain coupled.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를 결합시킬 때 방수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기술과 같이 코어 홀(core hole)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코어 홀을 막기 위한 별도의 방수 구조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도 18 참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어 홀이 메인 개구부(1a)에 마련되게 함으로써 그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코어 홀을 막기 위한 별도의 방수 구조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며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hen combining the male connector (1) and female connector (2),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a waterproof structure. When a core hole is formed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waterproof structure is required to block the core hole (see FIG. 18).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such problems by providing a core hole in the main opening (1a).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waterproof structure to prevent core holes. 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는 접속 단자가 생략되었음을 밝혀 둔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연결 파트, 보조 파트 및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showing a state before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n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Note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is omitted in Figure 6.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cap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rear view of the cap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9 shows a connection part, an auxiliary part, and a slider of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코어 홀(H2)가 메인 개구부(1a)에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코어 홀(H2)을 막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여기서, 코어 홀(H2)이란 캡 돌기(113)를 형성하는 동안 불가피하게 제작되는 홀을 의미한다. 코어 홀(H2)이 메인 개구부(1a)에 마련되기 위해서는, 캡 돌기(113)가 캡 하우징(11)의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100)가 컴팩트한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지지 로드(132)는 캡 하우징(11)의 내측벽에 최대한 근접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연결 파트(13)라는 구성을 포함한다.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보호 파트(14)는 직접적으로 캡 하우징(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이 아니라, 캡 하우징(11)에 고정되는 연결 파트(1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코어 홀(H2)을 메인 개구부(1a)에 마련하면서도, 지지 로드(132)를 캡 하우징(11)의 내측벽에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4 to 9, the connector assembly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re hole H2 is provided in the main opening 1a. According to this structure, no separate configuration is required to block the core hole (H2). Here, the core hole H2 refers to a hole that is inevitably produced while forming the cap protrusion 113. In order for the core hole H2 to be provided in the main opening 1a, the cap protrusion 113 must be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11. Meanwhile, in order for the connector assembly 100 to have a compact structure, the support rod 132 should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11. Accordingly, the connector assembly 100 includes a component called a connection part 13. The protection part 14 of the connector assembly 100 does not slide directly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ap housing 11, but rather slid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13 fixed to the cap housing 11. I understan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 compact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by providing the core hole H2 in the main opening 1a and positioning the support rod 132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11.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수 커넥터(1), 암 커넥터(2) 및 이너 시일(24)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커넥터(1)는 캡 하우징(11), 접속 단자(12), 연결 파트(13), 보호 파트(14), 결속 파트(15) 및 슬라이더(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assembly 100 may include a male connector 1, a female connector 2, and an inner seal 24. The male connector 1 may include a cap housing 11, a connection terminal 12, a connection part 13, a protection part 14, a binding part 15, and a slider 16.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보호판 걸림 부재(12)가 캡 하우징(11)과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캡 하우징(10)에는 보호판 걸림 부재(12)에 대응하는 코어 홀(H)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캡 하우징(11) 및 연결 파트(13)를 별개의 부재로 제작한 뒤 서로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코어 홀(H)이 캡 하우징(11)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 파트(13)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캡 돌기(113)는 캡 하우징(11)에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인 "고정 구조물"의 일 예시에 불과함을 밝혀 둔다. 캡 하우징(11) 및 연결 파트(13)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조립되고, 보호 파트(14)가 캡 하우징(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때, 연결 파트(13)는 캡 하우징(11) 및 연결 파트(13)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물에 의해 캡 하우징(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Patent Document 1, as the protective plate engaging member 1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p housing 11, the cap housing 10 has a core hole (H) corresponding to the protective plate engaging member 12. This is form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housing 11 and the connection part 13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members and then assembled together, so that the core hole H is not formed in the cap housing 11, but rather the connection part. It can be formed in (13).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ap protrusion 113 is only an example of a “fixing structure” that is configured to fix the connection part 13 to the cap housing 11. The cap housing 11 and the connection part 13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members and then assembled, and when the protection part 14 is raised or lowered relative to the cap housing 11, the connection part 13 is The cap housing 11 and the connecting part 13 may not move relative to the cap housing 11 due to a fixing structure that fixes the cap housing 11 and the connecting part 13 to each other.

고정 구조물은 캡 하우징(11) 및 연결 파트(13)를 상호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하에서, 고정 구조물은 캡 하우징(11)의 하위 구성인 캡 돌기(113)인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고정 구조물은 연결 파트(13)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캡 하우징(11)에 고정되는 돌기일수도 있다.The fixing structure is configured to fix the cap housing 11 and the connection part 13 to each other. Hereinafter, the fix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the cap protrusion 113, which is a sub-component of the cap housing 11,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xing structure may be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part 13 and is fixed to the cap housing 11.

캡 하우징(11)은 접속 단자(12), 연결 파트(13), 보호 파트(14), 결속 파트(15) 및 슬라이더(16)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하우징(11)은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이 암 커넥터(2)에 대한 수 커넥터(1)의 삽입 방향과 나란하도록, 접속 단자(12)를 지지할 수 있다. 캡 하우징(11)의 전방은 메인 개구부(1a) 및 보조 개구부(1b)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개구부(1a) 및 보조 개구부(1b)는 각각 내측으로 삽입되는 시일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메인 개구부(1a)는 후술하는 단자 홀(H1)과 연통될 수 있고, 메인 개구부(1a)가 밀봉될 경우, 외부로부터 단자 홀(H1)을 향한 물 또는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보조 개구부(1b)는 케이블(미도시)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일 수 있다. 캡 하우징(11)은 캡 바디(111), 캡 헤드(112), 고정 구조물(113) 및 캡 가이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p housing 11 can accommodate the connection terminal 12, the connection part 13, the protection part 14, the binding part 15, and the slider 16. For example, the cap housing 11 may support the connection terminal 12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is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1 into the female connector 2. The front of the cap housing 11 may be provided with a main opening 1a and an auxiliary opening 1b. The main opening 1a and the auxiliary opening 1b may each be sealed by a seal inserted inward. The main opening 1a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hole H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main opening 1a is sealed, the inflow of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toward the terminal hole H1 can be blocked. The auxiliary opening 1b may be an opening for passing a cable (not shown). The cap housing 11 may include a cap body 111, a cap head 112, a fixing structure 113, and a cap guide 114.

캡 바디(111)는 캡 하우징(1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캡 바디(111)의 내측 형상은 연결 파트(13)의 외측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캡 바디(111)는 연결 파트(13)의 1자유도 슬라이딩을 보조할 수 있다. 캡 바디(111)는 접속 단자(12)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캡 바디(111)는 고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바디(111)는 캡 돌기(113)의 돌기 헤드(1132)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 홀(H1) 및 코어 홀(H2)은 캡 바디(11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단자 홀(H1)에는 접속 단자(12)가 삽입될 수 있고, 단자 홀(H1)에 삽입된 접속 단자(12)는 캡 바디(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단자 홀(H1)의 개수는 접속 단자(12)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홀(H2)은 사출 금형 제작 과정에서, 언더컷(undercut) 형상을 갖는 캡 돌기(113)를 형성하기 위해, 코어가 삽입됨에 따라 생기는 구멍에 해당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 돌기(113)는 캡 바디(11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바디(1131)와, 돌기 바디(113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헤드(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헤드(113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캡 바디(111)에 관통 형성되는 코어 홀이 필연적으로 형성된다. 코어 홀(H2)도 마찬가지로 캡 돌기(113)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ap body 111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ap housing 11. The inner shape of the cap body 111 may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13. The cap body 111 can assist the one-degree-of-freedom sliding of the connection part 13. The cap body 111 may include a terminal hole H1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terminal 12. The cap body 111 may include a core hole for forming a fixing structure. For example, the cap body 111 may include a core hole H2 for forming the protrusion head 1132 of the cap protrusion 113. The terminal hole H1 and the core hole H2 may be formed through the cap body 111. The connection terminal 12 may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H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2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H1 may be supported by the cap body 111. The number of terminal holes H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onnection terminals 12. The core hole H2 may correspond to a hole created as the core is inserted to form the cap protrusion 113 having an undercut shape during the injection mold manufacturing proces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ap protrusion 113 may include a protrusion body 1131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cap body 111 and a protrusion head 1132 that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protrusion body 1131. . In order to form such a protruding head 1132, a core hole is inevitably formed through the cap body 111. Likewise, the core hole H2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p protrusions 113.

코어 홀(H2)은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캡 바디(111)의 내측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방수 영역이란, 외부로부터 캡 바디(111)의 내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 등이 장착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일(미도시)는 메인 개구부(1a) 및/또는 보조 개구부(1b)에 장착되어, 유체가 메인 개구부(1a) 또는 보조 개구부(1b)를 통해 캡 바디(11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일(미도시)은 단자 홀(H1)과 코어 홀(H2)이 방수 영역인 메인 개구부(1a)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도 7 참조). 예를 들어, 캡 하우징(11)이 후술하는 캡 헤드(112)를 포함할 경우, 메인 개구부(1a)는 캡 헤드(112)의 테두리에 의해 정의되고, 코어 홀(H2)은 캡 헤드(11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re hole H2 may be located in a waterproof area for waterproofing the inside of the cap body 111,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Here, the waterproof area refers to an area where a seal, etc. is installed to prevent flui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cap body 111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 seal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main opening 1a and/or the auxiliary opening 1b to allow fluid to enter the cap body 111 through the main opening 1a or the auxiliary opening 1b. Inflow can be prevented. For example, the seal (not shown) can be mounted in a position where the terminal hole H1 and the core hole H2 cover the entire main opening 1a, which is the waterproof area (see FIG. 7). For example, when the cap housing 11 includes the cap head 1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in opening 1a is defined by the edge of the cap head 112, and the core hole H2 is defined by the cap head 112. ) can b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다른 예로, 접속 단자(12)의 전체 크기가 클 경우, 캡 하우징(11)이 후술하는 캡 헤드(112)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방수 영역은 접속 단자(12)가 삽입되는 단자 홀(H1)이며, 이 홀을 따라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이 장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단자 홀(H1)의 테두리 부분 중 일부는 코어 홀(H2)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홀(H2)은,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속 단자(12)와 단자 홀(H1)의 내측 사이의 이격 거리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코어 홀(H2)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overall size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is large, the cap housing 11 may not include the cap head 1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waterproof area is the terminal hole H1 into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12 is inserted, and may be an area where a seal is installed to prevent fluid from flowing into the hole. A por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terminal hole (H1) may function as the core hole (H2). For example, the core hole H2 may be provided withi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12 and the inside of the terminal hole H1,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According to this structure, no separate configuration is required to waterproof the core hole H2.

캡 헤드(112)는 캡 바디(11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메인 개구부(1a)를 형성할 수 있다. 캡 헤드(112)는 접속 단자(12)를 둘러쌀 수 있다. 캡 헤드(112)는, 암 커넥터(2)에 대한 수 커넥터(1)의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x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캡 헤드(112)는 전자 부품이 커넥터 어셈블리(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cap head 112 may protrude from the cap body 111 to form the main opening 1a. The cap head 112 may surround the connection terminal 12. The cap head 112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1 to the female connector 2 (+x direction). The cap head 112 may guide electronic components so that they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assembly 100.

고정 구조물(113)은 캡 바디(111) 내측에 수용되는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캡 돌기(113)는 캡 바디(111) 내측에 수용되는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캡 돌기(113)는 후술하는 지지 로드(132) 보다 캡 하우징(11)의 내벽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 홀(H2)은 상대적으로 중앙부에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키는 구성일 뿐, 보호 파트(14)를 지지하는 구성은 연결 파트(13)에 별도로 구비되므로(지지 로드),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xing structure 113 may fix the connection part 13 accommodated inside the cap body 111. The cap protrusion 113 may secure the connection part 13 accommodated inside the cap body 111. The cap protrusion 113 is spaced further away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11 than the support rod 1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core hole H2 may be formed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In addition, the cap protrusion 113 is only a component for fixing the connection part 13, and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protection part 14 is provided separately on the connection part 13 (support rod), so the connector assembly 100 may have a compact structure.

캡 돌기(113)는 슬라이더(16)를 관통하여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13)가 커넥터 어셈블리의 폭 방향(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캡 돌기(113)는 슬라이더(16)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캡 돌기(113)는, 캡 바디(111)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캡 바디(11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 바디(1131)와, 돌기 바디(113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키는 돌기 헤드(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바디(1131)는, 암 커넥터(2)에 대한 수 커넥터(1)의 결합 방향(-x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 헤드(1132)는 돌기 바디(1131)의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기 바디(113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연결 파트(13)가 캡 바디(111)에 완전히 안착될 경우 돌기 헤드(1132)를 수용하는 연결 파트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The cap protrusion 113 may penetrate the slider 16 and secure the connection part 13. While the cap protrusion 113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13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r z-axis direc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the cap protrusion 113 does not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lider 16. . The cap protrusion 113 includes a protrusion body 1131 that protrudes from the cap body 11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cap body 111, and a connection part 13 that protrudes from the protrusion body 1131. It may include a protruding head 1132 for fixing it. The protruding body 113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coupling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1 with respect to the female connector 2. The protrusion head 113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rotrusion body 1131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body 1131. The connection part 13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groove (not shown) that accommodates the protruding head 1132 when the connection part 13 is completely seated on the cap body 111.

캡 돌기(113)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캡 돌기(113)의 일부는 단자 홀(H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고, 연결 파트(13)의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캡 돌기(113)는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캡 돌기(113)는 단자 홀(H1)을 중심으로 +z 방향에 형성되고, 다른 2개의 캡 돌기(113)는 단자 홀(H1)을 중심으로 -z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ap protrusions 113 may be provided. Some of the plurality of cap protrusions 113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terminal hole H1 and may support other parts of the connection part 13.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6 and 8 , four cap protrusions 113 may be provided. Two cap protrusions 113 may be formed in the +z direction with the terminal hole H1 as the center, and the other two cap protrusions 113 may be formed in the -z direction with the terminal hole H1 as the center.

돌기 바디(1131)는 연결 파트(13)와 간섭되어 변형될 수 있다. 돌기 헤드(1132)는 상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기 헤드(1132)가 돌기 바디(1131)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돌기 바디(1131)의 상단으로부터 아래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연결 파트(13)가 캡 바디(111)를 따라 하강하는 동안,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13)에 의해 간섭되어 외측으로 변형될 수 있고, 연결 파트(13)가 캡 바디(111)에 완전히 안착될 경우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protruding body 1131 may interfere with the connection part 13 and be deformed. The protruding head 1132 may have a flat top and a surface slop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other words, the length at which the protrusion head 1132 protrudes from the protrusion body 1131 may increase from the top of the protrusion body 1131 downwar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ile the connection part 13 descends along the cap body 111, the cap protrusion 113 is interfered with by the connection part 13 and can be deformed outward, and the connection part 13 When it is completely seated on the cap body 111,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connection part 13 can be fixed.

캡 돌기(113)는 돌기 바디(1131) 부분 보다 캡 바디(111)로부터 멀리 이격된 부분, 즉 돌기 헤드(1132) 부분이 두껍기 때문에, 캡 바디(111)에는 코어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홀(H2)은 돌기 헤드(1132)의 아래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홀(H2)은 단자 홀(H1)과 나란한 방향으로 캡 바디(111)를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도 7 참조), 캡 헤드(112)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코어 홀(H2)은 캡 헤드(11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홀(H2)이 캡 헤드(112)의 내측에 형성될 경우, 캡 헤드(112)가 시일에 의해 밀봉되면 단자 홀(H1) 뿐만 아니라 코어 홀(H2)도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캡 돌기(113)는 보호 파트(14)와 직접 상호 작용하는 구성이 아니고,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므로 캡 바디(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파트(14)와 직접 상호 작용하는 구성인 연결 파트(13)의 지지 로드(132)는 연결 파트(13)의 가장 바깥쪽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보호 파트(14)의 내측에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Since the portion of the cap protrusion 113 that is farther away from the cap body 111 than the portion of the protrusion body 1131, that is, the protrusion head 1132 portion, is thicker, a core hole H2 may be formed in the cap body 111. there is. The core hole H2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protruding head 1132. The core hole H2 may be surrounded by the cap head 112 when the cap body 111 is view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erminal hole H1 (see FIG. 7). In other words, the core hole H2 may be formed inside the cap head 112. When the core hole H2 is formed inside the cap head 112, when the cap head 112 is sealed with a seal, not only the terminal hole H1 but also the core hole H2 can be sealed. The cap protrusion 113 is not a component that directly interacts with the protection part 14, but is a component that fixes the connection part 13, so it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111. The support rod 132 of the connection part 13, which directly interacts with the protection part 14, is formed on the outermost edge of the connection part 13, so that there is sufficient space inside the protection part 14. We can assist you in making it happen.

캡 가이드(114)는 후술하는 보호 파트(14)의 걸림 부재(142)와 간섭할 수 있다. 캡 가이드(114)는 캡 하우징(11)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고, 내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의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캡 가이드(114)는 걸림 부재(14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의 지지 로드(132)에 의해 더 이상 지지되지 않고, 연결 파트(13)를 따라 하강할 경우, 캡 가이드(114)는 걸림 부재(142)가 외측으로 변형될 수 없도록 지지할 수 있다. 걸림 부재(142)는, 수 커넥터(1)로부터 암 커넥터(2)가 일정 거리 만큼 상승하는 동안에는 캡 가이드(114)에 의해 지지되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암 커넥터(2)가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캡 가이드(114)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변형됨으로써, 보호 파트(14)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2)이 분리되게 할 수 있다.The cap guide 114 may interfere with the locking member 142 of the protection part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ap guide 114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11 and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While the protection part 1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132 of the connection part 13, the cap guide 11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member 142. When the protection part 14 is no longer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132 of the connecting part 13 and is lowered along the connecting part 13, the cap guide 114 causes the locking member 142 to move outward. It can be supported so that it cannot be deformed. The locking member 142 is supported by the cap guide 114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while the female connector 2 rise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male connector 1, and the female connector 2 exceeds a certain distance. When it rises, it is deformed without being supported by the cap guide 114, thereby causing the plug housing 22 to be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part 14.

접속 단자(12)는 수 커넥터(1)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과, 암 커넥터(2)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접속 단자(12)는 캡 하우징(11)에 장착될 수 있다. 접속 단자(1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접속 단자(12)의 하단부는 캡 헤드(112)의 돌출 방향으로 노출되고, 접속 단자(12)의 상단부는 캡 돌기(113)의 돌출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접속 단자(12)의 상단부는 보호 파트(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12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on the male connector 1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on the female connector 2. The connection terminal 12 may be mounted on the cap housing 11. The connection terminal 12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may be expos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ap head 112,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terminal 12 may be expos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ap protrusion 113.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may be supported by the protection part 14.

연결 파트(13)는 캡 하우징(11) 내에 장착되고, 보호 파트(14)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보호 파트(14)가 상하로 이동할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연결 파트(13)에 의해, 코어 홀(H2)은 단자 홀(H1)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캡 헤드(1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보호 파트(14)는 연결 파트(13)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되어 내측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연결 바디(131) 및 지지 로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 is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11 and can support the protection part 14. The connection part 13 can assist the protection part 14 to move up and down. By means of the connecting part 13, the core hole H2 is located adjacent to the terminal hole H1 and can be surrounded by the cap head 112, and the protective part 14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connecting part 13.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132 formed in to ensure sufficient space inside. The connection part 13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131 and a support rod 132.

연결 파트(13)는 지지 로드(132)를 캡 돌기(113)와 다른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코어 홀(H2)의 위치 설정을 위해 캡 돌기(113)가 상대적으로 중앙부에 형성되더라도, 연결 파트(13)는 지지 로드(132)를 테두리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 may provide the support rod 132 in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ap protrusion 113. Even if the cap protrusion 113 is formed at a relatively central portion for positioning the core hole H2, the connection part 13 may form the support rod 132 at the edge portion.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onnector assembly can have a compact structure.

연결 바디(131)는 캡 하우징(11)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 바디(131)는 캡 돌기(113)의 돌기 헤드(1132)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바디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 바디(131)가 캡 하우징(11)에 완전히 삽입되면 캡 돌기(113)의 돌기 헤드(1132)는 연결 바디(1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전용 지그를 통해 캡 돌기(113) 및 연결 바디(131)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연결 바디(131)는 접속 단자를 통과시키는 홀을 구비하는 연결 베이스(131a)와, 연결 베이스(131a)의 테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 측벽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131 may be mounted on the cap housing 11. The connection body 131 may have a connection body groove (not shown) to accommodate the protrusion head 1132 of the cap protrusion 113. When the connection body 13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11, the protrusion head 1132 of the cap protrusion 113 may secure the connection body 131. The user can disconnect the cap protrusion 113 and the connection body 131 using a dedicated jig. The connection body 131 may include a connection base 131a having a hole through which a connection terminal passes, and a connection side wall portion 131b protru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connection base 131a.

지지 로드(132)는 보호 파트(14)를 지지하고, 탄성 변형 가능하다. 지지 로드(132)는 연결 바디(13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로드(132)는 연결 베이스(131a)로부터 연결 측벽부(131b)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파트(13)가 캡 하우징(11)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지지 로드(132)는 캡 하우징(11)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지지 로드(132)는 연결 바디(1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 바디(1321)와, 지지 바디(1321)로부터 연결 바디(13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 헤드(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암 커넥터(2)가 수 커넥터(1)에 삽입되기 전에는, 지지 로드(132)는 보호 파트(14)를 지지할 수 있다. 암 커넥터(2)가 수 커넥터(1)에 삽입되는 동안, 암 커넥터(2)는 지지 헤드(1322)와 간섭하여 지지 로드(132)를 외측으로 변형시키고, 이에 따라 지지 로드(132)는 더 이상 보호 파트(14)를 지지하지 않게 되고, 보호 파트(14)는 연결 파트(13)를 따라 하강할 수 있다.The support rod 132 supports the protection part 14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support rod 132 may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body 131. For example, the support rod 132 may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base 131a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on side wall portion 131b.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13 is mounted on the cap housing 11, the support rod 13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11. The support rod 132 may include a support body 1321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connection body 131, and a support head 1322 that protrudes from the support body 1321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body 131. You can. Before the female connector 2 is inserted into the male connector 1, the support rod 132 can support the protection part 14. While the female connector 2 is inserted into the male connector 1, the female connector 2 interferes with the support head 1322 to deform the support rod 132 outward, so that the support rod 132 further At this point, the protection part 14 is no longer supported, and the protection part 14 can descend along the connection part 13.

지지 로드(132)는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캡 헤드(11a)의 테두리부에 의해 규정되는 경계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6 참조).The support rod 13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oundary defined by the edge of the cap head 11a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see FIG. 6).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캡 돌기(113)는 플러그 하우징(22)의 내측에 마련되고, 지지 로드(132)는 플러그 하우징(22)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Based o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the cap protrusion 113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plug housing 22, and the support rod 132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22. .

보호 파트(14)는 접속 단자(12)의 상단 끝 부분을 지지하여, 접속 단자(12)가 암 커넥터(2)와 올바르게 정렬되도록 보조하고, 접속 단자(12)가 파손되지 않도록 접속 단자(12)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 파트(14)는 연결 파트(13)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의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보호 파트(14)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보호 파트(14)는 암 커넥터(2)가 지지 로드(132)를 외측으로 밀어낼 경우, 보호 파트(14)에 대해 하강할 수 있다. 보호 파트(14)는 암 커넥터(2)가 수 커넥터(1)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암 커넥터(2)와 간섭되어, 보호 파트(14)에 대해 상승할 수 있다. 보호 파트(14)는 보호 바디(141), 걸림 부재(142), 지지 돌기(143) 및 보호 가이드(1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on part 14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assists the connection terminal 12 to be properly aligned with the female connector 2, and prevents the connection terminal 12 from being damaged. ) can be protected. The protection part 14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connection part 13. For example, while the protection part 1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132 of the connection part 13, the movement of the protection part 14 may be restricted. The protection part 14 may descend relative to the protection part 14 when the female connector 2 pushes the support rod 132 outward. The protective part 14 may interfere with the female connector 2 and rise relative to the protective part 14 while the female connector 2 is separated from the male connector 1 . The protection part 14 may include a protection body 141, a locking member 142, a support protrusion 143, and a protection guide 144.

보호 바디(141)는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되어 연결 바디(131)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보호 바디(141)가 연결 바디(1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는 것은, 보호 바디(141) 및 연결 바디(131)가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것을 의미한다. 접속 단자(12)를 지지하기 위한 홀을 구비하고,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호 바디(141)는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 바디(13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호 바디(141)는 접속 단자를 통과시키는 홀을 구비하는 보호 베이스(141a)와, 보호 베이스(141a)의 테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 측벽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베이스(141a)는 연결 베이스(131a)와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암 커넥터(2)는 보호 측벽부(141b)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보호 베이스(141a)를 연결 베이스(131a)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 protection body 14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132 and can mainta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body 131. The fact that the protection body 141 is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body 131 means that the protection body 141 and the connection body 1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It has a hole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terminal 12 and can be supported by a support rod 132. The protection body 141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132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body 1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The protective body 141 may include a protective base 141a having a hole through which a connection terminal passes, and a protective side wall portion 141b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edge of the protective base 141a. The protection base 141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base 131a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emale connector 2 can be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side wall portion 141b to press the protective base 141a toward the connection base 131a.

걸림 부재(142)는 보호 바디(141)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부재(142)는 암 커넥터(2)와 간섭할 수 있다. 걸림 부재(142)는 암 커넥터(2)가 수 커넥터(1)로 장착되는 동안 외측으로 변형되어 암 커넥터(2)를 통과시키고, 암 커넥터(2)가 수 커넥터(1)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캡 가이드(114)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이 제한되어 암 커넥터(2)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걸림 부재(142) 및 암 커넥터(2)의 간섭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걸림 부재(142)는 보호 측벽부(141b)의 상단 테두리부로부터, 보호 측벽부(141b)의 돌출 방향과 나란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부재(142)는 보호 측벽부(141b)의 상단 테두리부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142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body 141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The locking member 142 may interfere with the female connector 2. The locking member 142 is deformed outwardly to pass the female connector 2 while the female connector 2 is mounted on the male connector 1, and is capped while the female connector 2 is separated from the male connector 1. Outward deformation is limited by the guide 114 so that it can rise together with the female connector 2. Interference between the locking member 142 and the female connector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The locking member 14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dge of the protection side wall portion 141b, parallel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rotection side wall portion 141b. For example, the locking member 142 may protrude upward or down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protective side wall portion 141b.

지지 돌기(143)는 보호 측벽부(141b)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 로드(132)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돌기(143)에 의해, 보호 베이스(141a)는 연결 베이스(131a)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143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protection side wall portion 141b and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rod 132. By the support protrusion 143, the protection base 141a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spaced upward from the connection base 131a.

보호 가이드(144)는 보호 파트(14)에 대한 암 커넥터(2)의 정렬을 보조할 수 있다. 보호 가이드(144)는 보호 베이스(141a)로부터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guide 144 may assist in the alignment of the female connector 2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part 14 . The protection guide 144 may protrude from the protection base 14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결속 파트(15)는,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에 장착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변형되고,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에 장착된 상태에서 형상이 복원되어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를 결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 파트(15)는 연결 파트(13)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속 파트(15)에 의해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가 결속된 상태에서, 보호 파트(14)는 연결 파트(13)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 이내에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The binding part 15 is temporarily deformed while the protection part 14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13, and its shape is restored while the protection part 14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13, thereby forming the connection part ( 13) and the protection part 14 can be tied together. For example, the binding part 15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necting part 13 to prevent the protection part 1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art 13. The connecting part (15)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necting part 13. 13) and the protection part 14 are connected, the protection part 14 can be raised or lowered within a certain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13.

결속 파트(15)는 결속 바디(151), 결속 돌기(152) 및 결속 가이드(1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nding part 15 may include a binding body 151, a binding protrusion 152, and a binding guide 153.

결속 바디(151)는 연결 바디(13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보호 바디(141)를 관통할 수 있다. 결속 바디(151)는 연결 바디(131) 및 보호 바디(141)의 정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 바디(151)는 연결 바디(131)의 폭 방향(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길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보호 바디(141)는 결속 바디(151)를 통과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형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결속 바디(151)는 보호 바디(141)의 홀에 맞게 진입 하여야만, 결속 바디(151) 및 보호 바디(141)는 정상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binding body 151 protrudes from the connecting body 131 and may penetrate the protective body 141. The binding body 151 may perform an alignment fun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31 and the protection body 141. For example, the binding body 151 may have an elongated plate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r z-axis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131, and the protection body 141 is used to pass the binding body 151. It may include holes of corresponding shapes. The binding body 151 must fit into the hole of the protection body 141 in order for the binding body 151 and the protection body 141 to be properly coupled.

결속 돌기(152)는 결속 바디(151)의 돌출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속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속 파트(15)는,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로 삽입되는 동안, 보호 파트(14)에 의해 간섭되어 변형되고, 보호 파트(14)가 통과한 뒤에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속 돌기(152)의 상면은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 돌기(152)가 결속 바디(151)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한편, 결속 돌기(152)의 하면은 보호 베이스(141a)의 상면과 평행한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보호 파트(14)를 단순히 연결 파트(13)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보호 파트(14)는 결속 돌기(152)를 지나 연결 파트(13)에 장착될 수 있으나, 보호 파트(14)를 단순히 꺼내는 동작만으로는, 보호 파트(14)를 연결 파트(13)로부터 분리시키 어렵다. 사용자는 도구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결속 파트(15)를 변형시킨 후, 보호 파트(14)를 연결 파트(1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binding protrusion 15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inding body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binding body 151. The binding part 15 is deformed by interference by the protection part 14 while the protection part 14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13,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fter the protection part 14 pas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tection part 1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13. The upper surface of the binding protrusion 152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binding protrusion 152 protruding from the binding body 151 may become smaller as it moves upward. Mean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binding protrusion 152 may include a flat surfac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on base 141a.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rotection part 14 can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13 through the binding protrusion 152 by simply pushing the protection part 14 into the connection part 13.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protection part 14 from the connection part 13 by simply pulling out (14). The user can deform the binding part 15 using a tool or his or her fingers and then separate the protection part 14 from the connecting part 13.

결속 가이드(153)는 결속 돌기(152)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결속 바디(15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속 가이드(153)는 결속 바디(151)와 함께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의 정렬을 보조할 수 있다. 결속 가이드(153)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슬라이더(16)는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위치 보증 부재(DBL)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방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코어 홀(H2)은 메인 개구부(1a)에 마련된다. 이렇게 코어 홀(H2)을 메인 개구부(1a)에 마련하기 위해서는, 캡 돌기(113)를 캡 하우징(11)의 내측벽으로부터 어느정도 이격시켜야 한다.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방수 구조를 구현하면서, 컴팩트한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지지 로드(132)를 최대한 캡 하우징(11)의 내측벽에 가까이 위치시켜야 하므로,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캡 하우징(11) 및 보호 파트(14)와 별개의 구성인 연결 파트(13)를 포함한다. 연결 파트(13)가 캡 하우징(11)에 고정되더라도, 슬라이더(16)는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위치 보증 부재(DBL) 역할을 구조적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슬라이더(16)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binding guide 153 may protrude from the binding body 15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binding protrusion 152. The binding guide 153 may assist in aligning the connection part 13 and the protection part 14 with the binding body 151. There may be a plurality of binding guides 15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lider 16 may be a position assurance member (DBL) of the connector assembly 100. As previously described, in order to implement a waterproof structure of the connector assembly 100, the core hole H2 is provided in the main opening 1a. In order to provide the core hole H2 in the main opening 1a, the cap protrusion 113 must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11 to a certain extent. In order to have a compact structure while implementing a waterproof structure of the connector assembly 100, the support rod 132 must be located as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11 as possible, so the connector assembly 100 is connected to the cap housing 11. ) and a connection part (13) that is separate from the protection part (14). Even if the connection part 13 is fixed to the cap housing 11, the slider 16 can perform the role of a position assurance member (DBL) of the connector assembly 100 without structural difficulty. Hereinafter, the slider 1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슬라이더(16)는 연결 파트(13)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속 단자(12)가 연결 파트(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6)는 연결 바디(131)에 대해 일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접속 단자(12)에 삽입되고, 연결 바디(131)에 대해 반대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접속 단자(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접속 단자(12)는 슬라이더(16)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슬라이더(16)가 접속 단자(12)의 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6)가 접속 단자(12)의 홈에 삽입될 경우,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제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더(16)가 -z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접속 단자(12)의 홈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접속 단자(12)는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슬리이딩 할 수 있다. 물론, 접속 단자(12)는 캡 바디(111)에 의해 지지되므로,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캡 바디(1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16)는 슬라이더 바디(161) 및 슬라이더 레버(1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r 16 is install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13, and can prevent the connection terminal 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13. For example, the slider 16 slides in one direction (+z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ody 13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12, and sli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z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ody 131.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12 by sliding. The connection terminal 12 may have a groove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lider 16. For example, Figure 4 shows the slider 16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As shown in FIG. 4 , when the slider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sliding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may be limited. Although not shown, when the slider 16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 by sliding in the -z direction, the connection terminal 12 may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course, since the connection terminal 12 is supported by the cap body 111, it can remain fixed to the cap body 111 when an external force of a certain magnitude or more is not applied. The slider 16 may include a slider body 161 and a slider lever 162.

슬라이더 바디(161)는 연결 파트(1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더 바디(161)는 연결 파트(13)를 중심으로 보호 파트(14)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고정된 상태로 보호 파트(1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연결 파트(13)의 하측에 구비된 슬라이더 바디(161)는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접속 단자(12)의 홈에 삽입되거나 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slider body 161 can slide along the connection part 13. The slider body 161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ection part 14 with the connection part 13 as the center. The connection part 13 can stably support the protection part 14 in a fixed state, and the slider body 161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13 slides in the z-axis direction to connect the connection terminal 12. It can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groove.

슬라이더 레버(162)는 슬라이더 바디(16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슬라이더 바디(161)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슬라이더 레버(162)에 힘을 가하여 슬라이더 바디(161)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슬라이더 레버(162)를 +z 방향으로 당기는 방식으로, 접속 단자(12) 및 슬라이더 바디(161)를 결합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슬라이더 레버(162)를 -z 방향으로 밀어 내는 방식으로, 접속 단자(12) 및 슬라이더 바디(161)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슬라이더 레버(162)는 슬라이더 바디(16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가 보호 파트(14)를 통과할 수 있다. 슬라이더 레버(162)는 캡 하우징(11)의 내부에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바디(161)가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의 하측에 위치하더라도, 슬라이더 레버(162)의 상단부는 보호 파트(1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슬라이더 바디(161)가 연결 파트(13)의 하측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는 용이하게 슬라이더 바디(161)를 조작할 수 있다.The slider lever 162 protrudes from the slider body 161 and can transmit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slider body 161. For example, the user may slide the slider body 161 by applying force to the slider lever 162. For example, the user can couple the connection terminal 12 and the slider body 161 by pulling the slider lever 162 in the +z direction, and the user can couple the slider lever 162 in the -z direction. In this way,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12 and the slider body 161 can be released. The slider lever 162 protrudes from the slider body 161, and its upper end can pass through the protection part 14. The slider lever 162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ith the connection part 13 and the protection part 14 installed inside the cap housing 11. Referring to FIG. 9 , even if the slider body 161 is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part 13 and the protection part 14, the upper end of the slider lever 162 may be located above the protection part 14. Throug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slider body 161 even if the slider body 161 is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part 13.

예를 들어, 보호 파트(14)의 일부는 슬라이더 레버(16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절개될 수 있다. 보호 파트(14)는 내벽에 밀착하면서도, 슬라이더 레버(162)를 통과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protection part 14 may be cut away to provide a space for exposing the slider lever 162 to the outside. The protection part 1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and allows the slider lever 162 to pass through.

암 커넥터(2)는 케이스(21), 플러그 하우징(22) 및 커넥터 레버(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emale connector 2 may include a case 21, a plug housing 22, and a connector lever 23.

케이스(21)는 암 커넥터(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21)의 중앙부는 플러그 하우징(22)의 후면에 연결되고, 케이스(21)의 외곽부는 캡 하우징(11)의 외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하다. 케이스(21)의 중앙부는 후술하는 이너 시일(24)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 형상의 이너 시일(24)은 케이스(21)의 중앙부를 감쌀 수 있다.Case 21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female connector 2. The central part of the case 21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lug housing 22, and the outer part of the case 21 can sli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housing 11.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21 can support the inner seal 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ring-shaped inner seal 24 may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21.

플러그 하우징(22)은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가 서로 결합하는 동안, 서로 고정되어 있는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2)은,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보호 파트(14)를 연결 파트(13)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어낼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파트(13)의 바닥면이란, 보호 파트(14)가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보호 파트(14)로부터 이격되고 보호 파트(14)를 마주하는 표면을 말한다. 플러그 하우징(22)은 케이스(21)의 중앙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캡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보호 파트(14)에 장착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2)은 보호 파트(14)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플러그 바디(221)와, 플러그 바디(221)로부터 플러그 바디(221)의 슬라이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용 돌기(222) 및 분리용 돌기(223)를 포함할 수 있다(도 11 내지 도 14 참조). 장착용 돌기(222) 및 분리용 돌기(22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plug housing 22 can release the connection part 13 and the protection part 14 that are fixed to each other while the male connector 1 and the female connector 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lug housing 22 can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connection part 13 and the protection part 14 and push the protection part 14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3. 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3 refers to a surfac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ection part 14 and faces the protection part 14 while the protection part 1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132. The plug housing 22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21,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11, and can be mounted on the protection part 14. The plug housing 22 includes a plug body 221 that can slide along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part 14, and a mounting protrusion ( 222) and a separation protrusion 223 (see FIGS. 11 to 14).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unting protrusion 222 and the separating protrusion 223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커넥터 레버(23)는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의 결합 또는 분리를 보조할 수 있다.The connector lever 23 can assist in combining or separating the male connector 1 and the female connector 2.

이너 시일(24)은 케이스(21) 및 캡 바디(111)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너 시일(24)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케이스(21)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시일(24)은 케이스(21)의 중앙부를 감쌀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너 시일(24)은 캡 바디(1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시일(24)은,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가 결합된 상태에서, 캡 하우징(11) 및 케이스(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시일(24)은, 캡 바디(111)의 내측벽과 케이스(21)의 외측벽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시일(24)은 오링일 수 있다.The inner seal 24 can block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between the case 21 and the cap body 111. The inner seal 24 may have a ring shape and may surround the case 21. For example, the inner seal 24 may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21. As another example, the inner seal 24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p body 111. The inner seal 2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ap housing 11 and the case 21 in a state in which the male connector 1 and the female connector 2 are coupled. The inner seal 24 may be compressed by the inner wall of the cap body 111 and the outer wall of the case 21. For example, the inner seal 24 may be an O-ring.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배면도이다.Figure 10 is a rear view of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보호 바디(141)의 보호 베이스(141a)는 결속 파트(15)를 통과시키기 위한 보호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홀(H3)의 형상은 결속 파트(15)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측벽부(141b) 내측에는 2개의 결속 파트(15)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결속 파트(15) 내측에는 2개의 보호 가이드(144)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결속 파트(15) 및 보호 가이드(144)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Referring to FIG. 10, the protection base 141a of the protection body 141 may include a protection hole H3 for passing the binding part 15. The shape of the protection hole H3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inding part 15. For example, two binding parts 15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side the protective side wall portion 141b. Additionally, two protection guides 144 may be disposed inside the two binding parts 15. Meanwhi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binding parts 15 and protection guides 144 is not limited thereto.

결속 파트(15)는 보호 바디(141)가 결속 파트(15)를 따라 하강하는 동안, 결속 돌기(152)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보호 홀(H3)은, 결속 파트(15)가 변형되는 동안, 결속 바디(151) 및 결속 가이드(153)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inding part 15 may be de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binding protrusion 152 while the protective body 141 descends along the binding part 15 . The protection hole H3 may have a shap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binding body 151 and the binding guide 153 while the binding part 15 is deformed.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결합되는 동안, 걸림 부재 및 분리용 돌기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분리되는 동안, 걸림 부재 및 분리용 돌기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interaction of a locking member and a separation protrusion while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coupled, and Figure 12 is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how the locking member and the separation protrusion interact while being separated.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플러그 하우징(22)이 보호 파트(14)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안, 플러그 바디(221)로부터 측방(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분리용 돌기(223)는 걸림 부재(142)를 통과할 수 있다. 초기 상태, 즉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걸림 부재(142)는 캡 바디(111)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분리용 돌기(223)는 상면 및 하면에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 하우징(22)이 보호 파트(14)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안, 분리용 돌기(223)는 걸림 부재(142)를 외측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플러그 바디(221)는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22)이 캡 하우징(11) 내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보호 파트(14)는 연결 파트(13)에 밀착할 수 있다.11 and 12, while the plug housing 22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part 14, the separation protrusion 223 protruding laterally (z-axis direction) from the plug body 221 is a locking member. (142) can be passed. In the initial state, that is, while the protection part 14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part 13, the locking member 14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body 111. Additionally, the separation protrusion 223 may include inclined surface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ile the plug housing 22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part 14, the separation protrusion 223 can deform the locking member 142 outward, and the plug body 221 is lowered. can do. In this way, the plug housing 22 is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11, so that the protective part 14 can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art 13.

한편, 플러그 하우징(22)이 보호 파트(14)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분리용 돌기(223)는 걸림 부재(142)에 걸림으로써 걸림 부재(142)를 상승시킬 수 있다. 걸림 부재(142)는 캡 가이드(114)에 의해 지지되므로, 외측으로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다. 걸림 부재(142)가 캡 가이드(114)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플러그 하우징(22) 및 보호 파트(14)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보호 파트(14)가 일정 거리 상승하여, 더 이상 걸림 부재(142)가 캡 가이드(114)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때, 분리용 돌기(223)는 걸림 부재(142)를 외측으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플러그 하우징(22)은 보호 파트(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Meanwhile, while the plug housing 22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part 14, the separation protrusion 223 is caught by the locking member 142, thereby raising the locking member 142. Since the locking member 142 is supported by the cap guide 114, outward deformation may be limited. While the locking member 142 is supported by the cap guide 114, the plug housing 22 and the protection part 14 can move together. When the protection part 14 rises a certain distance and the locking member 142 is no longer supported by the cap guide 114, the separation protrusion 223 can deform the locking member 142 outward. , the plug housing 22 can be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part 14.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결합되는 동안, 걸림 부재 및 장착용 돌기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가 분리되는 동안, 걸림 부재 및 장착용 돌기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action of a locking member and a mounting protrusion while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coupled, and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action of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the locking member and the mounting protrusion interact while being used.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플러그 하우징(22)은 플러그 바디(22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지지 로드(132)를 변형시킬 수 있는 장착용 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3 and 14 , the plug housing 22 protrudes from the plug body 221 and may include a mounting protrusion 222 capable of deforming the support rod 132 .

장착용 돌기(222)는 플러그 바디(22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플러그 바디(221)가 보호 파트(14)의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지지 로드를 변형시킴으로써, 보호 파트(14)를 연결 파트(13) 쪽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The mounting protrusion 2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lug body 221, and by deforming the support ro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plug body 221 into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part 14, the protection part 1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 It can be lowered to 13).

장착용 돌기(222)는 예를 들어 상면 및 하면에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용 돌기(222)는, 플러그 바디(221)가 보호 파트(14)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동안, 지지 로드(132)를 외측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지지 로드(132)는 장착용 돌기(222)에 의해 변형될 경우, 더 이상 보호 파트(14)를 지지하지 못하고, 보호 파트(14)는 하강하여 연결 파트(13)에 밀착할 수 있다.장착용 돌기(222)는 상측 및 하측에 경사진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unting protrusion 222 may include inclined surfaces on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mounting protrusion 222 may deform the support rod 132 outward while the plug body 221 slides along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part 14. When the support rod 132 is deformed by the mounting protrusion 222, it can no longer support the protection part 14, and the protection part 14 may descend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13. Mounting The dragon protrusion 222 may include inclined part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수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돌기가 연결 파트에 결합되는 동안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15 is a bottom view of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ile a cap protrusion is coupled to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슬라이더 바디(161)는 캡 돌기(113)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슬라이더 홀(161a)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홀(161a)은 슬라이더 바디(161)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가 캡 하우징에 장착되는 동안 슬라이더 바디(161)를 관통하고, 연결 바디(131)에 의해 간섭되어 변형된다.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가 캡 하우징에 완전히 장착될 경우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연결 파트가 캡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Referring to FIGS. 15 and 16 , the slider body 161 may include a slider hole 161a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ap protrusion 113. The slider hole 161a may be formed alo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er body 161. The cap protrusion 113 penetrates the slider body 161 while the connection part is mounted on the cap housing, and is interfered with and deformed by the connection body 131. The cap protrusion 113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connection part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cap housing, thereby preventing the connection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p housing.

도 17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암 커넥터의 연결 파트 및 보조 파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and an auxiliary part of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7을 참조하면, 연결 파트(33)는 연결 바디(331) 및 지지 로드(3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파트(34)는 보호 바디(341) 및 걸림 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connection part 33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331 and a support rod 332. The protection part 34 may include a protection body 341 and a locking member 342.

결속 파트(35)는 보호 바디(34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연결 바디(331)에 걸리는 방식으로, 보호 파트(34) 및 연결 파트(33)를 결속시킬 수 있다. 결속 파트(35)는 보호 파트(34)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연결 파트(33)가 보호 파트(3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결속 파트(35)는 보호 바디(341)의 테두리 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구비되어 각각 연결 파트(33)의 다른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결속 파트(35)의 하면은 경사면을 포함하고, 연결 파트(33) 및 보호 파트(34)가 결합되는 동안 결속 파트(35)는 외측으로 변형된 뒤, 연결 파트(33)가 보호 파트(34)를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면 복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 파트(33)를 보호 파트(34)를 따라 슬라이딩 시키는 작업을 통해, 연결 파트(33) 및 보호 파트(34)를 결속시킬 수 있다. 결속 파트(35)가 연결 파트(33) 및 보호 파트(34)를 결속하더라도, 연결 파트(33) 및 보호 파트(34)는 일정 거리만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binding part 35 protrudes from the protection body 341 and is caught on the connection body 331 to bind the protection part 34 and the connection part 33. The binding part 35 may protrude from the protection part 34 to prevent the connection part 3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part 34. The binding part 35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the protective body 341, and a plurality of binding parts may be provided, each of which may be mounted on a different part of the connecting part 33. The lower surface of the binding part 35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and while the connection part 33 and the protection part 34 are coupled, the binding part 35 is deformed outward, and then the connection part 33 is attached to the protection part 34. ) can be restored by moving a certain distance along it. The user can connect the connection part 33 and the protection part 34 by sliding the connection part 33 along the protection part 34. Even if the binding part 35 binds the connection part 33 and the protection part 34, the connection part 33 and the protection part 34 may relatively move by a certain distance.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 device,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may be used with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

Claims (16)

캡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연결 파트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보호 파트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는 동안,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서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 파트 및 보호 파트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보호 파트를 상기 연결 파트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어내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보호 파트를 지지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파트는,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된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지지 로드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호 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 파트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 파트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연결 파트 및 보호 파트는 상호 조립되어, 상기 캡 하우징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캡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커넥터 어셈블리.
It includes a cap housing, a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ed inside the cap housing, a connection part fixed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p housing, and a protection part that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a male connector; and
a female connector including a plug housing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Including,
While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lug housing releases the fixed state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otection part that are fixed to each other, and pushes the protection par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support rod that supports the protection part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protection part is provid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of the connection part provided inside the cap ho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ection part is provid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part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the connection part,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otection part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and are completely accommodated within the cap housing, and do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p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접속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홀을 포함하는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 및 연결 파트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조립되고,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캡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때,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고정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캡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ap housing is,
a cap body including a terminal hole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terminal; and
It is formed inside the cap body and includes a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connection part,
The cap housing and connection parts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members and then assembled,
A connector assembly wherein when the protection part is raised or lowered relative to the cap housing, the connecting part is fixed by the fixing structure and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cap hou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는, 상기 고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 바디의 내측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The cap body includes a core hole for forming the fixing structure,
The core hole is a connector assembly located in a waterproof area for waterproofing the inside of the cap body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캡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캡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 헤드의 테두리부에 의해 규정되는 경계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3,
The cap housing further includes a cap head that protrudes from the cap body and surrounds the connection terminal,
The core hole is a connector assembly disposed inside a boundary defined by an edge portion of the cap hea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 파트의 내측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바디; 및
상기 플러그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바디가 상기 보호 파트의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로드를 변형시키는 장착용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plug housing is,
a plug body insertable inside the protection part;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moun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plug body and deforms the support rod when the plug body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파트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걸림 부재에 걸림으로써 상기 보호 파트를 상승시킬 수 있는 분리용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ective part includes a locking member,
The plug housing is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paration protrusion that can raise the protection part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memb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내벽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캡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암 커넥터로부터 상기 수 커넥터가 일정 거리만큼 상승하는 동안에는 상기 캡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일정 거리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상기 캡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변형됨으로써, 상기 보호 파트로부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분리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6,
The cap housing includes a cap guide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and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The lock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cap guide to prevent deformation while the male connector rise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emale connector, and is supported by the cap guide when the male connector rises beyond the certain distance. A connector assembly that causes the plug housing to separate from the protective part by being deformed without being de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 파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o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binding part that prevents the protection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male connector is,
A connecto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slider that can slide relative to the connection part and prevents the connection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바디; 및
외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9,
The slider is,
Slider body;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lider lever protruding from the slider body to transmit power to the slider body from the outsi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연결 파트를 상기 캡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바디는, 슬라이딩 하는 동안 상기 고정 구조물과 간섭을 피하기 위한 슬라이더 홀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0,
The cap housing includes a fixing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slider body and secures the connection part to the cap housing,
The slider body includes a slider hol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ixed structure during slid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파트의 일부는 절개되어, 상기 슬라이더 레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1,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portion of the protection part is cut away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slider lever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접속 단자;
상기 캡 하우징과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조립되는 연결 바디와, 상기 연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 연결 파트; 및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된 상기 지지 로드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보호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 및 연결 파트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조립되고,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캡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때,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캡 하우징 및 상기 연결 파트를 상호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 구조물에 의해 상기 캡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보호 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 파트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 파트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연결 파트 및 보호 파트는 상호 조립되어, 상기 캡 하우징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캡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수 커넥터.
cap housing;
a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ed inside the cap housing;
A connection part including a connection body manufactur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cap housing and then assembled inside the cap housing, and a support rod that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body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It includes a protection part provid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provided inside the cap housing,
The cap housing is,
cap body; and
It is formed inside the cap body and includes a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connection part,
The cap housing and connection parts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members and then assembled,
When the protection part is raised or lowered relative to the cap housing, the connecting part is not moved relative to the cap housing by the fixing structure that fastens the cap housing and the connecting part to each o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ection part is provid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part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the connection part,
A male connector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otection part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and are completely accommodated inside the cap housing, and do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p hous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 파트를 더 포함하는 수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3,
A male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a binding part that prevents the protection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는, 상기 고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 바디의 내측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수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3,
The cap body includes a core hole for forming the fixing structure,
The core hole is a male connector located in a waterproof area for waterproofing the inside of the cap body based 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수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3,
A male connector that can slide relative to the connection part and further includes a slider that prevents the connection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KR1020190012100A 2018-03-19 2019-01-30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26484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2448.5A EP3544125B1 (en) 2018-03-19 2019-03-13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male connector
US16/357,816 US10763610B2 (en) 2018-03-19 2019-03-19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N201910208041.2A CN110289517B (en) 2018-03-19 2019-03-19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1626 2018-03-19
KR1020180031626 2018-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018A KR20190110018A (en) 2019-09-27
KR102648477B1 true KR102648477B1 (en) 2024-03-19

Family

ID=6809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100A KR102648477B1 (en) 2018-03-19 2019-01-30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4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704A (en) 2021-05-04 2022-11-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KR20220168642A (en) 2021-06-17 2022-12-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KR20230035781A (en) 2021-09-06 2023-03-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and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having same
KR20240062609A (en) 2022-11-02 2024-05-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and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655235B1 (en) * 2022-12-20 2024-04-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Controller having Connector Imbedded Housing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12A (en) * 1999-01-27 2000-08-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Connector
JP2006253074A (en) * 2005-03-14 2006-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JP2014530446A (en) 2011-09-27 2014-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Shield connector
JP2017152200A (en) * 2016-02-24 2017-08-3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390B1 (en) 2012-04-27 2015-12-09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Connector having protect plate
KR102662993B1 (en) * 2016-07-21 2024-05-03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having protect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12A (en) * 1999-01-27 2000-08-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Connector
JP2006253074A (en) * 2005-03-14 2006-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JP2014530446A (en) 2011-09-27 2014-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Shield connector
JP2017152200A (en) * 2016-02-24 2017-08-3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018A (en)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477B1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JP6819903B2 (en)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US8187042B2 (en) Waterproof connector that can be designed to be short in overall length
CN104466533B (en) Board-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 device
CN110289517B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ame
CN100578866C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4181895B2 (en) Receptacle
KR101809330B1 (en) Connector having protect plate
GB2425408A (en) Connector assembly with lever to facilitat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JP2012243542A (en) Terminal fitting
US20090221190A1 (en) Electric connector housing
KR20140047020A (en) Plug-connector with cap-holding mechanism
JP2018120666A (en) Waterproof connector
EP3561964A1 (en) Connector
JP2019040827A (en) Connector device and male side connector
JP2016035931A (en) Plug element with locking seal
JP2017228442A (en) connector
JP2010040199A (en) Connector
JP5218213B2 (en) Waterproof connector
KR102662993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protect plate
KR20200092828A (en) Connector assembly
JP6712495B2 (en) connector
KR101360809B1 (en) Connector assembly
JP2005203307A (en) Connector
KR100918136B1 (en) Apparatus for fixing connection of connector and a unit of apparatus for fixing connection of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