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84B1 -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 Google Patents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84B1
KR102647884B1 KR1020230099679A KR20230099679A KR102647884B1 KR 102647884 B1 KR102647884 B1 KR 102647884B1 KR 1020230099679 A KR1020230099679 A KR 1020230099679A KR 20230099679 A KR20230099679 A KR 20230099679A KR 102647884 B1 KR102647884 B1 KR 102647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barcode
contract
authentication
color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권성
Original Assignee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정권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정권성 filed Critical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4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elective to wavelength, e.g. color barcode or barcodes only visible under UV or 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3Multi-level security, e.g. mandatory access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2019/06215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 G06K2019/06225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using wavelength selection, e.g. colour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약의 제1당사자단말이 제1바코드를 촬영하여 계약내용을 확인하고, 계약체결 의사를 인증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계약의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이 포함된 제2바코드를 촬영하고, 제2인증을 수행한 후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이 포함된 전자계약서를 포함하는 제3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1당사자단말이 제3바코드를 촬영하여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Electronic Contract Method Using High-Density Barcode}
본 발명은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하여 전자계약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약은 일정한 법률 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당사자의 의사를 표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계약의 입증을 위해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계약서에는 당사자의 사인이나 인장을 날인을 포함시켜 당사자의 의사를 표시하고 증명한다.
전통적인 대면방식의 계약은 계약서를 당사자의 수만큼 출력하고, 복수의 계약서에 각각 날인하고, 간인과 계인을 하는 등 복잡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나중에 계약서의 변조, 위조 등을 입증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렇게 체결한 계약서는 전자문서화 되어 있지 않아 보관이 불편하고, 전자문서화 되어 있다고 해도 원본계약서의 존부에 대한 다툼이 발생할 수 있어 문제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면방식의 계약체결을 수행할 때 계약내용이 포함된 고밀도바코드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a) 계약 당사자가 협의한 계약내용을 제1바코드에 인코딩하는 단계;
(b) 계약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제1바코드를 촬영하고 제1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c) 제1당사자단말이 제1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포함하는 제2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제2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e) 계약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제2바코드를 촬영하고 제2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확인하는 단계;
(f) 제2당사자단말이 제2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2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g)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이 포함된 제3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제3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h) 제1당사자단말이 제3바코드를 촬영하여 완성된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 계약 당사자가 협의한 계약내용을 A바코드에 인코딩하는 단계;
(2) 계약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A바코드를 촬영하고, A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3) 제1당사자단말이 A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4)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포함하는 B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B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5) 계약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A바코드를 촬영하고, A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6) 제2당사자단말이 A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2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7)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2인증을 포함하는 C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요청한 후, 생성된 C 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8) 제1당사자단말이 C바코드를 촬영하거나, 제2당사자단말이 B바코드를 촬영한 후, B바코드 및 C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을 취합하여 전자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9) 전자계약서를 생성한 단말이 전자계약서를 포함하는 D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D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다른 단말과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전자계약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a) 계약 당사자가 협의한 계약내용을 제1컬러바코드에 인코딩하는 단계;
(b) 계약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제1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제1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c) 제1당사자단말이 제1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포함하는 제2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제2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e) 계약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제2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제2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확인하는 단계;
(f) 제2당사자단말이 제2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2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g)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이 포함된 제3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제3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h) 제1당사자단말이 제3컬러바코드를 촬영하여 완성된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 계약 당사자가 협의한 계약내용을 A컬러바코드에 인코딩하는 단계;
(2) 계약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3) 제1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4)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포함하는 B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B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5) 계약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6) 제2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2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7)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2인증을 포함하는 C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요청한 후, 생성된 C 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8) 제1당사자단말이 C컬러바코드를 촬영하거나, 제2당사자단말이 B컬러바코드를 촬영한 후, B컬러바코드 및 C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을 취합하여 전자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9) 전자계약서를 생성한 단말이 전자계약서를 포함하는 D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D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다른 단말과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전자계약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되는 것인,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부를 보안등급 데이터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일반등급 데이터으로 설정하는 단계;
일반등급 데이터만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1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를 모두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2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를 생성하는 컬러코드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컬러필터 및 제2컬러필터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컬러코드 생성단계에서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제1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되며,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제2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계약서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3항의 제3컬러바코드 또는 제4항의 D컬러바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제5항의 제1컬러필터를 입력받는 단계;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 중 어느 하나와 제1컬러필터를 서로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하는 단계;
변형된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여 컬러코드에 포함된 데이터 중 일반등급 데이터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하여 계약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고밀도 바코드는 컬러코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컬러코드에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하나의 컬로코드만으로는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 보안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컬러코드를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생성되는 새로운 컬러코드를 통해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독특한 기술(색의 혼합)을 통해 데이터의 저장, 이동, 보안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컬러코드에 인코딩한 후 소정의 컬러필터와 오버랩하여 생성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 보안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컬러와 영역을 갖는 컬러필터를 생성하고, 컬러필터마다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는 권한을 차등부여함으로서, 동일한 컬러코드에 어떤 컬러필터를 오버랩하는가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보안등급이 다른)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하나의 컬러코드에 데이터 전체를 인코딩 한 후, 제1컬러필터를 갖고 있는 사람은 데이터의 일부만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제2컬러필터를 갖고 있는 사람은 데이터의 전부를 볼 수 있도록 차등 권한을 설정함으로서, 데이터의 저장, 이동, 보안에 있어 편리하고도 새로운 장을 열었다.
기존에 사용되던 코드에 컬러를 접목하여 컬러코드를 생성하면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한다는 것도 적지 않은 효과이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계약 방법의 당사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의 실시예로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는 사용주체에 따라 사용자단말, 서비스단말, 서비스서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와 같은 용어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에 관한 것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통신부', '통신모듈'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코드를 인코딩하는 방법, 디코딩하는 방법은 인코딩모듈, 디코딩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예를들어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서비스 사업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서버 또는 서비스 단말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계약 방법의 당사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전자계약서(10)는 고밀도바코드(11) 및 계약내용(12)을 포함한다. 계약내용은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인간이 눈으로 읽을 수 있는 문자형태로 기재된 것을 말한다. 고밀도바코드는 계약내용을 포함한다. 인간의 눈으로 해석할 수는 없지만, 고밀도바코드를 스캔하여 디코딩하면 계약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고밀도바코드는 ㈜보이스아이에서 개발한 바코드로 아래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보이스아이의 고밀도 바코드
㈜보이스아이의 고밀도 바코드는 2차원 바코드의 좌측 상단에 직각 삼각형 형상의 기준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기준영역인 직각 삼각형 내부에는 검은색과 흰색의 줄무늬가 반복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기준영역은 고밀도 바코드의 회전 등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는 나머지 부분에 인코딩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QR코드 보다 월등히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계약서의 내용이 많더라도 이를 저장할 수 있고, 당사자의 도장이나 사인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제1당사자단말(100)과 제2당사자단말(200)은 계약당사자가 사용하는 컴퓨터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1바코드를 생성한다(S1100). 제1바코드는 계약내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바코드는 당사자인 제1당사자단말 또는 제2당사자단말이 직접 생성하거나, 서비스서버에 계약내용을 전송하며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는 본 발명의 바코드 인코딩모듈이 설치되어 있어 계약내용을 바코드에 인코딩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제1바코드가 준비되면 제1인증을 수행한다(S1200). 제1인증은 다음과 같은 실시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계약의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제1바코드를 촬영한다. 촬영된 제1바코드를 디코딩한다. 디코딩하면 문자로 기재된 계약내용이 추출되므로 제1당사자가 계약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계약내용이 확인되면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1당사자단말이 제1인증을 수행한다.
제1인증은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는 행위로 당사자의 도장을 날인하거나, 사인을 입력하거나, 공동인증서 등의 전자적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2인증, 제3인증도 이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인증이 완료되면,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이 포함된 제2바코드를 직접 생성하거나, 서비스서버에 생성을 요청한다(S1300). 제2바코드가 생성되면 제1당사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제2바코드를 표시한다.
계약의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제2바코드를 촬영한다. 촬영된 제2바코드를 디코딩한다. 디코딩하면 문자로 기재된 계약내용과 제1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계약내용이 확인되면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2당사자단말이 제2인증을 수행한다(S1400).
제2인증이 완료되면,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이 포함된 제3바코드를 직접 생성하거나, 서비스서버에 생성을 요청한다(S1500). 제3바코드가 생성되면 제2당사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제3바코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 양 당사자의 계약체결 의사에 해당하는 제1인증과 제2인증이 종료되므로 계약체결이 완료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3바코드는 완성된 전자계약서를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1당사자단말이 제3바코드를 촬영하여 전자계약서를 공유함으로서, 전자계약의 체결과 공유를 마무리지을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의 바코드는 컬러바코드일 수 있다. 이 경우 계약은 아래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계약 당사자가 협의한 계약내용을 제1컬러바코드에 인코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계약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제1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제1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1당사자단말이 제1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포함하는 제2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제2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계약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제2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제2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2당사자단말이 제2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2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이 포함된 제3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제3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1당사자단말이 제3컬러바코드를 촬영하여 완성된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실시예는 제1당사자의 제1인증 이후 제2당사자가 제2인증을 수행하는 순차적 인증에 대한 실시예라면 도 3의 실시예는 제1인증과 제2인증이 독립적으로 혹은 동시에 진행되는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A바코드를 생성한다(S2100). A바코드에는 계약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A바코드가 준비되면 A바코드를 제1당사자단말과 제2당사자단말이 독립적으로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촬영한 뒤 제1인증과 제2인증을 진행한다.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계약의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A바코드를 촬영하여 계약내용을 확인한다. 계약내용이 확인되면 제1당사자단말이 A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인증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한다(S2210).
제1인증을 수행한 후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이 포함된 B바코드를 직접 생성하거나 서비스서버에 생성을 요청한 후, 생성된 B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2310).
계약의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A바코드를 촬영하고, A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인증하기 위해 제2인증을 수행한다(S2220).
제2인증을 수행한 후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제2인증이 포함된 C 바코드를 직접 생성하거나 서비스서버에 생성을 요청한다(S2320). 생성된 C바코드를 제2당사자단말이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제1인증과 제2인증이 완료되고 인증의 내용이 각각 B바코드와 C바코드에 포함되면 이를 취합하여 전자계약서를 완성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당사자단말, 또는 제2당사자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B바코드 및 C바코드에 포함된 부동산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을 취합하여 전자계약서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당사자단말이 취합하는 경우에는 이미 B바코드를 갖고 있으므로 제2당사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C바코드를 촬영한 후,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을 추출한 후 이를 취합하여 전자계약서를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당사자단말이 취합하는 경우에는 이미 C바코드를 갖고 있으므로 제1당사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B바코드를 촬영한 후,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을 추출한 후 이를 취합하여 전자계약서를 생성한다.
취합을 통해 전자계약서를 생성한 후, 전자계약서를 생성한 단말이 전자계약서를 포함하는 D바코드를 직접 생성하거나 서비스서버에 생성을 요청한다(S2400). 생성된 전자계약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다른 단말에게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면 일련의 전자계약을 완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의 바코드는 컬러바코드일 수 있다. 이 경우 계약은 아래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계약 당사자가 협의한 계약내용을 A컬러바코드에 인코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계약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1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포함하는 B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B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계약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2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2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2인증을 포함하는 C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요청한 후, 생성된 C 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1당사자단말이 C컬러바코드를 촬영하거나, 제2당사자단말이 B컬러바코드를 촬영한 후, B컬러바코드 및 C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을 취합하여 전자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전자계약서를 생성한 단말이 전자계약서를 포함하는 D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D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다른 단말과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데이터 차등보안의 실시예]
앞서 설명한 컬러바코드의 실시예는 데이터를 차등보안하는 아래의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계약서에서 일부 내용을 보안등급 데이터로 분류하고 향후 권한을 갖는 자만이 보안등급 데이터를 추출해볼 수 있도록 설정하는 효과가 있다.
즉, 하나의 컬러코드에 데이터 전체를 인코딩 한 후, 제1컬러필터를 갖고 있는 사람은 데이터의 일부만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제2컬러필터를 갖고 있는 사람은 데이터의 전부를 볼 수 있도록 차등 권한을 설정함으로서, 데이터의 저장, 이동, 보안에 있어 편리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된다.
먼저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부를 보안등급 데이터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일반등급 데이터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반등급 데이터만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1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를 모두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2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를 생성하는 컬러코드 생성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컬러필터 및 제2컬러필터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컬러코드 생성단계에서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제1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된다.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제2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된다.
한편, 데이터의 추출은 아래의 단계를 통해 진행된다.
먼저 일반등급 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는 단말의 일반등급 데이터 추출 과정을 설명한다.
전자계약서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를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1컬러필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 중 어느 하나와 제1컬러필터를 서로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변형된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여 컬러코드에 포함된 데이터 중 일반등급 데이터만를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보안등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단말의 보안등급 데이터 추출 과정을 설명한다.
전자계약서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를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2컬러필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 중 어느 하나와 제2컬러필터를 서로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변형된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여 컬러코드에 포함된 데이터 중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를 동시에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데이터 차등보안의 구체적의 설명]
전자계약서에 포함된 데이터의 일부를 보안등급 데이터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일반등급 데이터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보안등급, 일반등급으로 나눈다고 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보안을 위해 데이터를 나누는 것 이외에 사용목적이나 사용대상에 따라 데이터의 등급을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데이터를 보안등급, 일반등급으로 나누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등급 데이터만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1컬러필터를 생성한다.
제1컬러필터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컬러코드는 데이터가 인코딩되고 컬러가 컬러영역에 채색된 형태라면, 컬러필터는 컬러영역에 컬러만 채색된 형태이고 데이터가 직접 인코딩되지 않은 '필터'를 의미한다.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를 모두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2컬러필터를 생성한다. 제2컬러필터의 특징은 제1컬러필터의 특징과 대부분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제1컬러필터는 데이터 중 A범위를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고, 제2컬러필터는 데이터 중 B범위를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범위와 B범위는 서로 중복되는 영역이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데이터가 학생기록부일 때, 선생님에게는 제1컬러필터, 학부모에게는 제2컬러필터, 입학사정관에게는 제3컬러필터를 부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컬러필터를 통해 학생기록부에서 읽을 수 있는 데이터의 범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학부모는 데이터 전부를, 입학사정관에게는 학생의 이름과 성별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가 전자계약서라면 계약당사자에게는 모든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 컬러필터를 제공하고, 계약의 디테일한 내용 중 공개를 원하지 않는 데이터를 열람할 수 없는 컬러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를 컬러코드에 인코딩하여 컬러코드를 생성한다. 컬러코드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컬러코드의 다른 특징은 앞서 설명한 제1컬러코드와 중복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컬러코드 생성단계는 일반등급 데이터가 제1컬러필터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도록 인코딩하는 단계, 및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가 모두 제2컬러필터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도록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을 위해 사용자 단말이 컬러코드를 입력받는다.
컬러코드에 제1컬러필터를 오버랩한다. 컬러코드에 제1컬러필터를 오버랩하면 색의 혼합을 통해 새로운 컬러가 생성된다.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컬러코드의 컬러영역에 적색이, 제1컬러필터의 컬러영역에 녹색이 채색되어 있다면, 가산혼합을 통해 노란색이 도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컬러코드에 제1컬러필터를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를 생성한다.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면 제1컬러필터의 권한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제2컬러필터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컬러코드에 제2컬러필터를 오버랩한다. 컬러코드에 제2컬러필터를 오버랩하면 색의 혼합을 통해 새로운 컬러가 생성된다. 컬러코드에 제2컬러필터를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를 생성한다.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면 제2컬러필터의 권한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컬러코드, 제1컬러필터, 및 제2컬러필터는 특정 위치에 특정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영역을 포함하고, 기준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컬러가 채색되어 있다. 예를들어 앞서 설명한 ㈜보이스아이의 고밀도 바코드와 같이 좌측 상단에 직각 삼각형 형태의 기준영역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2차 컬러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색의 혼합(color mixture)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보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컬러코드의 기준영역에 표시된 기준컬러를 입력받는 단계
(2) 제1컬러필터 또는 제2컬러필터의 기준영역에 표시된 기준컬러를 입력받는 단계
(3) '컬러코드 및 제1컬러필터' 또는 '컬러코드 및 제2컬러필터'의 기준영역을 서로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크기와 방향을 보상하는 단계
(4) '컬러코드 및 제1컬러필터' 또는 '컬러코드 및 제2컬러필터'의 기준컬러를 서로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컬러를 보상하는 단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일반 계약의 당사자가 직접 만나 대면하여 전자계약을 체결하는 일반 전자계약방법으로서:
    (a) 계약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 당사자가 협의한 계약내용이 인코딩된 제1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제1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b) 제1당사자단말이 제1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포함하는 제2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제2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d) 계약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제1당사자단말에 표시된 제2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제2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확인하는 단계;
    (e) 제2당사자단말이 제2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2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f)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이 포함된 제3컬러바코드를 직접 생성하거나 서비스서버에 생성을 요청한 후, 생성된 제3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g) 제1당사자단말이 제3컬러바코드를 촬영하여 완성된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전자계약방법은 계약의 당사자가 직접 대면한 후,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하여 계약내용과 인증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되는 것인,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부를 보안등급 데이터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일반등급 데이터으로 설정하는 단계;
    일반등급 데이터만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1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를 모두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2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를 생성하는 컬러코드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컬러필터 및 제2컬러필터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컬러코드 생성단계에서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제1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되며,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제2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4. 일반 계약의 당사자가 직접 만나 대면하여 전자계약을 체결하는 일반 전자계약방법으로서:
    (1) 계약 당사자 중 어느 하나인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 당사자가 협의한 계약내용이 인코딩된 A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2) 제1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1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3) 제1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1인증을 포함하는 B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 요청한 후, 생성된 B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4) 계약 당사자 중 다른 하나인 제2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를 촬영하고,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5) 제2당사자단말이 A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에 대한 계약체결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제2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6) 제2당사자단말이 계약내용 및 제2인증을 포함하는 C컬러바코드를 생성하거나 생성요청한 후, 생성된 C 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7) 제1당사자단말이 C컬러바코드를 촬영하거나, 제2당사자단말이 B컬러바코드를 촬영한 후, B컬러바코드 및 C컬러바코드에 포함된 계약내용, 제1인증, 제2인증을 취합하여 전자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8) 전자계약서를 생성한 단말이 전자계약서를 포함하는 D컬러바코드를 직접 생성하거나 서비스서버에 생성을 요청한 후, 생성된 D컬러바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다른 단말과 전자계약서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고,
    상기 일반 전자계약방법은 계약의 당사자가 직접 대면한 후,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하여 계약내용과 인증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되는 것인,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부를 보안등급 데이터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일반등급 데이터으로 설정하는 단계;
    일반등급 데이터만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1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를 모두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2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를 생성하는 컬러코드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컬러필터 및 제2컬러필터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컬러코드 생성단계에서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제1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되며,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는 제2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5. 삭제
  6. 전자계약서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3항의 제3컬러바코드 또는 제4항의 D컬러바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제3항의 제1컬러필터를 입력받는 단계;
    제3컬러바코드 또는 D컬러바코드 중 어느 하나와 제1컬러필터를 서로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하는 단계;
    변형된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여 컬러코드에 포함된 데이터 중 일반등급 데이터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KR1020230099679A 2023-07-31 2023-07-31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KR102647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679A KR102647884B1 (ko) 2023-07-31 2023-07-31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679A KR102647884B1 (ko) 2023-07-31 2023-07-31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884B1 true KR102647884B1 (ko) 2024-03-14

Family

ID=9024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679A KR102647884B1 (ko) 2023-07-31 2023-07-31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171B1 (ko) * 2003-05-13 2005-11-08 (주)드림투리얼리티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계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024274B1 (ko) * 2017-05-08 2019-09-23 주식회사 디지털존 식별확인코드가 삽입된 문서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쇄 시스템
KR20230089790A (ko) *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큐알뱅크 복수의 간편결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고밀도바코드가 포함된 이종 간편결제코드 및 이의 간편결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171B1 (ko) * 2003-05-13 2005-11-08 (주)드림투리얼리티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계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024274B1 (ko) * 2017-05-08 2019-09-23 주식회사 디지털존 식별확인코드가 삽입된 문서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쇄 시스템
KR20230089790A (ko) *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큐알뱅크 복수의 간편결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고밀도바코드가 포함된 이종 간편결제코드 및 이의 간편결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5867B2 (en) Composite code pattern, generating device, read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DE60117598T2 (de) Sichere transaktionen mit passiven speichermedien
EP356784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ely displaying digital images
CN108540449A (zh) 智能印章的管控方法及系统、计算机存储介质
CN109741800A (zh) 基于区块链技术的医疗数据内外网交互的安全保护方法
DE102017217342B4 (de) Verfahren zum Verwalten eines elektronischen Transaktionsdokuments
KR102647884B1 (ko)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KR101659286B1 (ko) 보안성이 강화된 전자서명 표시방법 및 전자서명 표시장치
US2015004302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cuments and/or information with permanent authentication
FR2932914A1 (fr) Appareil et procede de generation d'un titre securise a partir d'un titre officiel
Veličković et al. Application of Watermark in the Form of QR Code in COVID Certificate Validation
KR102567734B1 (ko) 컬러코드를 이용하여 채권추심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KR102552160B1 (ko)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Echikson Europe’s digital identification opportunity
Determann Electronic form over substance: Esignature laws need upgrades
KR102603455B1 (ko) 복수의 컬러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컬러코드 운영방법
CN110858360A (zh) 扫图支付法
KR102562146B1 (ko) 컬러코드를 이용하여 입장권한과 신분을 증명하는 방법
CN109146022A (zh) 基于生物特征识别身份信息的方法及系统
CN109873897A (zh) 手机式实时在线网络身份证
US202303565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 authentication
Sudharmendra et al. Profile-Decentralized Application for Education
US202303620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 authentication
RU2615311C1 (ru) Способ персонального обмена аудиовизуа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ей и цифровой ключ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Dakhakhni et al. Depict Expressions Of Will In The Electronic Con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