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160B1 -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160B1
KR102552160B1 KR1020220189445A KR20220189445A KR102552160B1 KR 102552160 B1 KR102552160 B1 KR 102552160B1 KR 1020220189445 A KR1020220189445 A KR 1020220189445A KR 20220189445 A KR20220189445 A KR 20220189445A KR 102552160 B1 KR102552160 B1 KR 10255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data
code
color code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권성
Original Assignee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작성 대상인 학교생활기록부 디지털문서에 입력할 학생데이터가 인코딩되는 제1컬러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제1컬러코드에 인코딩된 학생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컬러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의 결합을 통해 생성되는 제3컬러코드의 판독결과에 따라 학생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자동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METHOD FOR AUTOMATIC ENTRY OF SCHOOL RECORDS AND DIFFERENTIAL SECURITY OF DATA USING COLOR CODE}
본 발명은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기로 작성되는 문서를 특정 공간에 적재하여 관리하게 되는 아날로그식 문서 작성 및 관리 방법은 데이터저장장치의 해킹과 같은 보안문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지만, 데이터를 직접 입력해야 하고, 추후 데이터 활용성이 떨어지며, 문서 자체를 관리하기 위해 시간적/공간적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각 분야의 기업 및 기관에서는 문서를 디지털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도입한 상태이거나 도입 예정인 상황에 있다.
한편, 디지털문서가 도입됨에 따라 관리적인 측면에서의 효율은 많이 향상되었지만, 문서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 및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등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편의를 개선시킬 여지는 많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문서화된 학교생활기록부에 학생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지도교사가 담당하는 학생의 데이터를 서면으로 기록하거나 전달받아 이를 디지털문서에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학생데이터의 입력과정에서 철저한 보안이 이루어지지 않아 쉽게 위/변조될 수 있는 상황에 있다. 또한, 추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된 특정 학생의 데이터를 열람해야 할 경우에도, 학생 본인이 용도에 따라 노출되는 데이터의 범위가 조절된 학교생활기록부를 출력하여 열람자에게 제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문서에 입력할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제1컬러코드 및 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컬러코드의 결합을 통해 생성되는 제3컬러코드의 판독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자동입력할 수 있는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a) 작성 대상인 학교생활기록부 디지털문서에 입력할 학생데이터가 인코딩되는 제1컬러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제1컬러코드에 인코딩된 학생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컬러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의 결합을 통해 생성되는 제3컬러코드의 판독결과에 따라 학생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자동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a) 단계는 제1컬러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포함하는 제1컬러군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 단계는 제2컬러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포함하는 제2컬러군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컬러군 및 제2컬러군은 각각 동일한 계열의 색상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c) 단계는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서로 오버랩하여 제1컬러군 및 제2컬러군이 포함하는 색상을 혼합하는 단계; 제1컬러군 및 제2컬러군의 색상 혼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제3컬러군으로 구성된 제3컬러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기 생성된 데이터입력승인코드 및 제3컬러코드의 형태 및 색상을 대조한 결과에 따라 학생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자동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3컬러군은 제1컬러군 및 제2컬러군의 색상이 혼합됨에 따라 1개 내지 3개 계열의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d) 디지털문서의 열람에 이용되는 열람요청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디지털문서 열람자가 제공하는 열람요청코드의 판독결과에 따라서 디지털문서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d) 단계는 열람요청코드를 분류하여 제공하기 위한 컬러필터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디지털문서 열람자의 신분정보에 기초하여 컬러필터 목록 중 하나에 해당하는 컬러필터를 적용시킨 열람요청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e) 단계는 컬러필터에 의해 특정 색상으로 필터링된 열람요청코드를 판독하여 디지털문서 열람자의 신분에 상응하는 범위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학교생활기록부 디지털문서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지털문서에 입력할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제1컬러코드 및 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컬러코드의 결합을 통해 생성되는 제3컬러코드의 판독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자동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작성한 데이터가 인코딩된 복수의 제1컬러코드를 지도교사에게 전달하면, 지도교사는 제2컬러코드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3컬러코드를 통해 각 학생들의 데이터를 학교생활기록부 디지털문서에 자동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컬러코드는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되므로, 보안성을 확보하여 불특정 사용자가 디지털문서에 임의의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문서의 데이터를 열람하는 열람자의 신분에 따라 선별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컬러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컬러코드에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하나의 컬로코드만으로는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 보안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컬러코드를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생성되는 새로운 컬러코드를 통해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독특한 기술(색의 혼합)을 통해 데이터의 저장, 이동, 보안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컬러코드에 인코딩한 후 소정의 컬러필터와 오버랩하여 생성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 보안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컬러와 영역을 갖는 컬러필터를 생성하고, 컬러필터마다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는 권한을 차등부여함으로서, 동일한 컬러코드에 어떤 컬러필터를 오버랩하는가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보안등급이 다른)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하나의 컬러코드에 데이터 전체를 인코딩 한 후, 제1컬러필터를 갖고 있는 사람은 데이터의 일부만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제2컬러필터를 갖고 있는 사람은 데이터의 전부를 볼 수 있도록 차등 권한을 설정함으로서, 데이터의 저장, 이동, 보안에 있어 편리하고도 새로운 장을 열었다.
기존에 사용되던 코드에 컬러를 접목하여 컬러코드를 생성하면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한다는 것도 적지 않은 효과이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제3컬러코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러코드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러코드를 오버랩하여 생성된 제3컬러코드로부터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컬러코드와 복수의 컬러필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러필터를 오버랩하여 생성된 2차컬러코드로부터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의 실시예로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는 사용주체에 따라 사용자단말, 서비스단말, 서비스서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와 같은 용어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에 관한 것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통신부', '통신모듈'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컬러코드의 인코딩 및 컬러코드의 디코딩은 컬러코드 인코딩모듈, 디코딩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예를들어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서비스 사업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서버 또는 서비스 단말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방법 중 인코딩은 서비스 단말이, 디코딩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은 예를 들어, 컬러코드를 인코딩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은 크게 아래의 (a) 내지 (c)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a) 작성 대상인 학교생활기록부 디지털문서에 입력할 학생데이터가 인코딩되는 제1컬러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제1컬러코드에 인코딩된 학생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컬러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c)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의 결합을 통해 생성되는 제3컬러코드의 판독결과에 따라 학생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자동입력하는 단계
상술한 단계에 따른 디지털문서의 데이터 자동입력 과정은 아래와 같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성 및 관리 대상인 디지털문서가 학교생활기록부고, 데이터작성자가 특정 학급의 학생들이며, 디지털문서 관리자가 특정 학급의 지도교사인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학생들이 자신의 기록지(학생데이터)가 인코딩된 제1컬러코드를 지도교사에게 전달하게 되면, 지도교사는 자신이 발급받은 제2컬러코드를 제1컬러코드와 함께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여 서비스 서버가 제3컬러코드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제3컬러코드의 판독결과 문제가 없는 경우 학생의 기록지에 기록된 내용을 학교생활기록부에 입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서비스 서버는 코드판독기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장치를 포함하여, 서면에 인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고 있는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인식 및 판독하고, 제3컬러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형태의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제공받아 별도의 하드웨어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결합하여 제3컬러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제3컬러코드는 기 생성된 데이터입력승인코드와 대조되며, 양 코드의 일부영역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학생이 작성한 학생데이터는 디지털문서에 자동입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부영역의 일치란 코드의 특정영역에서 양 코드의 색상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입력승인코드가 미리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생성된 제3컬러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기준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컬러코드의 일부영역이 제2컬러코드의 형태와 일치하는지 여부 및 제3컬러코드의 색상 계열이 지정된 계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컬러코드는 디지털문서에 입력할 학생데이터가 기록된 서류 상의 특정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서류가 서면으로 제공되어야 할 경우에는 제1컬러코드가 함께 인쇄되도록 서류를 출력하여 제1컬러코드를 디지털문서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컬러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포함하는 제1컬러군으로 구성하고, 제2컬러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포함하는 제2컬러군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컬러군 및 제2컬러군은 각각 동일한 계열의 색상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컬러군은 적색 계열의 색상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컬러군은 청색 계열의 색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는 제1컬러코드(10)를 나타낸 것이며, (B)는 제2컬러코드(20)를 나타낸 것이며, 제1컬러코드(10) 및 제2컬러코드(20)는 서로 다른 계열의 색상을 포함하는 컬러군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서, 제1컬러군 및 제2컬러군은 복수의 동일 계열 색상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편의상 각 컬러군이 하나의 색상만을 포함하도록 설정하였으며, 제1컬러코드(10) 및 제2컬러코드(20)의 형태는 본 발명에서 QR코드의 형태로 나타내고 있지만, 코드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제3컬러코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는 제1컬러코드(10) 및 제2컬러코드(20)를 서로 오버랩하여 제1컬러군 및 제2컬러군이 포함하는 색상을 혼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컬러군 및 제2컬러군의 색상 혼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제3컬러군으로 구성된 제3컬러코드(30)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기 생성된 데이터입력승인코드 및 제3컬러코드(30)의 형태 및 색상을 대조하여 서로 일치하는 일부영역이 확인되는 경우 학생데이터를 디지털문서에 자동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제3컬러군은 제1컬러군 및 제2컬러군의 색상이 혼합됨에 따라 1개 내지 3개 계열의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컬러코드(10) 및 제2컬러코드(20)의 형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컬러코드(10)가 적색 계열의 색상을 포함하고, 제2컬러코드(20)가 청색 계열의 색상을 포함한다면, 제3컬러코드(30)는 적색 계열의 색상 및 청색 계열의 색상의 혼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자홍색 계열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1 및 제2컬러코드의 오버랩에 의해 색이 혼합되지 않는 색미혼합영역(D)은 제1컬러군의 색상 또는 제2컬러군의 색상 또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2컬러코드(20)의 특정영역(P)이 제1컬러코드(10)와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되는 제3컬러코드(30)의 특정영역(P)에 제2컬러코드(20)의 형태적 특징이 반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같이, 제3컬러코드(30)의 특정영역(D, P)에 대한 코드 형태 및 색상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디지털문서에 대한 학생데이터의 입력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제3컬러코드(30) 생성 시 특정영역(D, P)에 대한 별도의 형태 또는 색상 변이가 발현되지 않는 경우에는, 학생데이터를 추후 수정이 가능한 형태로 입력하고,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3컬러코드(30) 생성 시 특정영역(D, P)에 대한 별도의 형태 또는 색상 변이가 발현되는 경우에는, 학생데이터를 입력하되, 추후 데이터 변경이 수행될 수 없도록 디지털문서에 대한 데이터 입력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교사가 학생의 중간기록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게 될 경우, 지도교사는 제3컬러코드의 특정영역에 변이를 발현시키지 않는 제2컬러코드를 발급받아 학생의 데이터를 학교생활기록부에 입력하고, 지도교사가 학생의 최종기록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게 될 경우, 지도교사는 제3컬러코드의 특정영역에 변이를 발현시키는 제2컬러코드를 발급받아 학생의 데이터를 학교생활기록부에 입력하고, 최종기록이 입력된상태로 영구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디지털문서의 열람에 이용되는 열람요청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성되는 열람요청코드는 디지털문서를 조회 및 열람해야 하는 디지털문서 열람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디지털문서 열람자가 제공하는 열람요청코드의 판독결과에 따라서 디지털문서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람요청코드를 분류하여 제공하기 위한 컬러필터 목록을 생성하고, 디지털문서 열람자의 신분정보에 기초하여 컬러필터 목록 중 하나에 해당하는 컬러필터를 적용시킨 열람요청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문서 열람자가 열람요청코드를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면, 컬러필터에 의해 특정 색상으로 필터링된 열람요청코드를 판독하여 디지털문서 열람자의 신분에 상응하는 범위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생활기록부를 열람하려는 디지털문서 열람자가 학부모인 경우 학부모 신분정보를 제공하여 적색 컬러필터가 적용된 열람요청코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적색 컬러필터가 적용된 열람요청코드는 해당 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전체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학교생활기록부를 열람하려는 디지털문서 열람자가 대학입학사정관인 경우 이에 대한 신분정보를 제공하여 청색 컬러필터가 적용된 열람요청코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청색 컬러필터가 적용된 열람요청코드는 해당 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데이터 중 일부를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컬러코드의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러코드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서비스 단말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1컬러코드에 인코딩하여 제1컬러코드를 생성한다(S1100).
본 발명에서 데이터는 문서, 전자문서, 영상, 음성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매체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다만, 아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데이터가 주로 문서에 포함된 문자와 숫자, 그래픽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컬러코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차원 코드일 수 있다. 2차원 코드의 예는 ㈜보이스아이가 보유하고 있는 고밀도 2차원 바코드, QR코드 등을 포함한다. 다만 제1컬러코드가 반드시 2차원 코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차원 코드를 포함하여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되는 컬러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컬러코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제1컬러군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제1컬러코드는 내부에 특정 형태와 면적을 갖는 복수의 컬러영역을 포함하며, 복수의 컬러영역은 제1컬러군에 포함된 컬러에 의해 채색될 수 있다.
제1컬러코드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컬러코드도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제1컬러코드와 제2컬러코드가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 서로 중복되는 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제1컬러코드와 제2컬러코드가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컬러코드는 서로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컬러코드만으로는 데이터 전부를 디코딩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의 유출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컬러코드는 인코딩 모듈에 의해 인코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코딩 모듈은 ㈜보이스아이가 보유하고 있는 고밀도 2차원 바코드의 인코딩 모듈일 수 있다. ㈜보이스아이의 고밀도 2차원 바코드는 일반적인 QR코드보다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양이 많은 특징이 있는데, 여기에 컬러가 추가되니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양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2컬러코드에 인코딩하여 제2컬러코드를 생성한다(S1200).
제2컬러코드의 대부분은 제1컬러코드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하고 이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2컬러코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제2컬러군을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이때 제2컬러군은 제1컬러군에 포함된 컬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컬러를 포함한다.
추후 디코딩 과정(혹은 데이터 추출 과정)에서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는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제3컬러코드로 변형된다. 예를들어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가 오버랩된 특정 컬러영역의 컬러가 각각 적색과 초록색이었다면, 두 개의 컬러를 가산혼합하면 노란색이 된다. 따라서, 제3컬러코드의 해당 컬러영역에는 노란색이 채색되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는 제1컬러코드 또는 제2컬러코드만으로는 디코딩(혹은 추출)되지 않고, 제3컬러코드에 의해서만 디코딩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제3컬러코드로 인코딩하고, 제3컬러코드에 포함된 컬러영역의 컬러를 분리하여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생성한다는 설명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3컬러코드의 특정 컬러영역의 컬러가 노란색이라면, 제1컬러코드의 해당 컬러영역에는 적색을, 제2컬러코드의 해당 컬러영역에는 초록색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러코드를 오버랩하여 생성된 제3컬러코드로부터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 단말이 제1컬러코드를 입력받는다(S1300). 제1컬러코드를 입력받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종류가 무엇이고 어떤 입력수단이 구현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이할 것이다. 예를들어,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폰인 경우 제1컬러코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방식으로 입력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2컬러코드를 입력받는다(S1400). 제1컬러코드의 입력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입력된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제3컬러코드를 생성한다(S1500).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오버랩한다. 이때 제1컬러코드와 제2컬러코드를 보정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복수의 컬러코드가 촬영되는 과정에서 크기가 달라졌을 수도 있고, 조명에 의해 색상이 달라졌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러코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보정될 수 있다.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는 특정 위치에 특정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컬러가 채색되어 있어 컬러를 보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보이스아이의 고밀도 바코드는 2차원 바코드의 좌측 상단에 직각 삼각형 형상의 기준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기준영역인 직각 삼각형 내부에는 검은색과 흰색의 줄무늬가 반복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아래 도시에는 컬러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컬러코드는 복수의 줄무늬에 서로 다른 컬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컬러코드는 기준영역과 기준영역에 채색된 기준컬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영역의 크기를 서로 일치시키는 보정을 통해 복수의 컬러코드의 크기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기준컬러의 채도와 명도를 일치시키는 보정을 통해 복수의 컬러코드 사이의 색상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보이스아이의 고밀도 바코드
Figure 112022142067996-pat00001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컬러코드의 기준영역 및 기준컬러를 입력받는다.
제2컬러코드의 기준영역 및 기준컬러를 입력받는다.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의 기준영역의 크기 및 방향을 일치시키는 보정을 통해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의 크기와 방향을 일치시킨다.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의 기준컬러를 서로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의 컬러를 보상한다.
(2) 색의 혼합
앞서 기준영역과 기준컬러를 통해 제1컬러코드 및 제2컬러코드를 보정한 후 제1컬러코드와 제2컬러코드를 오버랩하면 크기와 방향이 서로 정확히 매칭될 것이다.
그러면, 이제 제1컬러코드와 제2컬러코드의 컬러를 색의 혼합을 통해 혼합할 수 있다.
(3) 제3컬러코드 생성
앞선 단계를 통해 색의 혼합을 진행하면 새로운 컬러를 갖는 제3컬러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생성된 제3컬러코드를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추출한다(S1600).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컬러코드와 복수의 컬러필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서비스 단말이 컬러코드에 저장할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2100).
다음으로, 데이터의 일부를 보안등급 데이터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일반등급 데이터으로 설정한다(S2200).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보안등급, 일반등급으로 나눈다고 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보안을 위해 데이터를 나누는 것 이외에 사용목적이나 사용대상에 따라 데이터의 등급을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데이터를 보안등급, 일반등급으로 나누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일반등급 데이터만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1컬러필터를 생성한다(S2300).
제1컬러필터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컬러코드는 데이터가 인코딩되고 컬러가 컬러영역에 채색된 형태라면, 컬러필터는 컬러영역에 컬러만 채색된 형태이고 데이터가 직접 인코딩되지 않은 '필터'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를 모두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2컬러필터를 생성한다(S2400). 제2컬러필터의 특징은 제1컬러필터의 특징과 대부분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제1컬러필터는 데이터 중 A범위를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고, 제2컬러필터는 데이터 중 B범위를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범위와 B범위는 서로 중복되는 영역이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데이터가 학생기록부일 때, 선생님에게는 제1컬러필터, 학부모에게는 제2컬러필터, 입학사정관에게는 제3컬러필터를 부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컬러필터를 통해 학생기록부에서 읽을 수 있는 데이터의 범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학부모는 데이터 전부를, 입학사정관에게는 학생의 이름과 성별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데이터를 컬러코드에 인코딩하여 컬러코드를 생성한다(S2500). 컬러코드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컬러코드의 다른 특징은 앞서 설명한 제1컬러코드와 중복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컬러코드 생성단계는 일반등급 데이터가 제1컬러필터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도록 인코딩하는 단계, 및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가 모두 제2컬러필터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도록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러필터를 오버랩하여 생성된 2차컬러코드로부터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 단말이 컬러코드를 입력받는다(S3100).
컬러코드에 제1컬러필터를 오버랩한다(S3210). 컬러코드에 제1컬러필터를 오버랩하면 색의 혼합을 통해 새로운 컬러가 생성된다.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컬러코드의 컬러영역에 적색이, 제1컬러필터의 컬러영역에 녹색이 채색되어 있다면, 가산혼합을 통해 노란색이 도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컬러코드에 제1컬러필터를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를 생성한다(S3310).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면 제1컬러필터의 권한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3410).
사용자 단말이 제2컬러필터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컬러코드에 제2컬러필터를 오버랩한다(S3220). 컬러코드에 제2컬러필터를 오버랩하면 색의 혼합을 통해 새로운 컬러가 생성된다. 컬러코드에 제2컬러필터를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를 생성한다(S3320).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면 제2컬러필터의 권한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3420).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컬러코드, 제1컬러필터, 및 제2컬러필터는 특정 위치에 특정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영역을 포함하고, 기준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컬러가 채색되어 있다. 예를들어 앞서 설명한 ㈜보이스아이의 고밀도 바코드와 같이 좌측 상단에 직각 삼각형 형태의 기준영역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2차 컬러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색의 혼합(color mixture)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보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컬러코드의 기준영역에 표시된 기준컬러를 입력받는 단계
(2) 제1컬러필터 또는 제2컬러필터의 기준영역에 표시된 기준컬러를 입력받는 단계
(3) '컬러코드 및 제1컬러필터' 또는 '컬러코드 및 제2컬러필터'의 기준영역을 서로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크기와 방향을 보상하는 단계
(4) '컬러코드 및 제1컬러필터' 또는 '컬러코드 및 제2컬러필터'의 기준컬러를 서로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컬러를 보상하는 단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서비스 단말이 구현하는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는 학교생활기록부 디지털문서에 입력할 학생데이터이고, 상기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은:
    (a) 컬러코드에 저장할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데이터의 일부를 보안등급 데이터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일반등급 데이터으로 설정하는 단계;
    (c) 일반등급 데이터만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1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d)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를 모두 읽을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제2컬러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데이터를 컬러코드에 인코딩하여 컬러코드를 생성하는 컬러코드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코드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컬러필터 및 제2컬러필터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군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컬러코드 생성단계에서
    컬러코드는 제1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되며,
    컬러코드는 제2컬러필터와 서로 오버랩되어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된 후, 변형된 2차 컬러코드에 의해서만 상기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가 디코딩되도록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2. 사용자 단말이:
    제1항의 컬러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제1항의 제1컬러필터를 입력받는 단계;
    컬러코드 및 제1컬러필터를 서로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하는 단계;
    변형된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여 컬러코드에 포함된 학교생활기록부 디지털문서의 학생데이터 중 일반등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3. 사용자 단말이:
    제1항의 컬러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제1항의 제2컬러필터를 입력받는 단계;
    컬러코드 및 제2컬러필터를 서로 오버랩하여 색의 혼합(color mixture)을 통해 새로운 컬러를 갖는 2차 컬러코드로 변형하는 단계;
    변형된 2차 컬러코드를 디코딩하여 컬러코드에 포함된 학교생활기록부 디지털문서의 학생데이터 중 일반등급 데이터 및 보안등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컬러코드, 제1컬러필터, 및 제2컬러필터는 특정 위치에 특정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영역을 포함하고, 기준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컬러가 채색되어 있고,
    상기 2차 컬러코드는 색의 혼합(color mixture)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컬러코드의 기준영역에 표시된 기준컬러를 입력받는 단계;
    제1컬러필터 또는 제2컬러필터의 기준영역에 표시된 기준컬러를 입력받는 단계; 및
    '컬러코드 및 제1컬러필터' 또는 '컬러코드 및 제2컬러필터'의 기준컬러를 서로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컬러를 보상하는 단계를 통해 변형되는 것인,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220189445A 2022-12-29 2022-12-29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KR10255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445A KR102552160B1 (ko) 2022-12-29 2022-12-29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445A KR102552160B1 (ko) 2022-12-29 2022-12-29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160B1 true KR102552160B1 (ko) 2023-07-06

Family

ID=8718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445A KR102552160B1 (ko) 2022-12-29 2022-12-29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1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330B1 (ko) * 2004-04-21 2006-03-30 에이디정보통신 주식회사 색상 보정이 가능한 대용량 2차원 칼라 바코드인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3886B1 (ko) * 2004-11-05 2006-12-05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혼합코드 및 혼합코드 인코딩 방법과 장치
JP2014229299A (ja) * 2013-05-24 2014-12-08 キング・アブドゥルアジズ・シティ・フォー・サイエンス・アンド・テクノロジー(ケイ・エイ・シィ・エス・ティ)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and Technology (Kacst) 多次元カラーバーコード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330B1 (ko) * 2004-04-21 2006-03-30 에이디정보통신 주식회사 색상 보정이 가능한 대용량 2차원 칼라 바코드인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3886B1 (ko) * 2004-11-05 2006-12-05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혼합코드 및 혼합코드 인코딩 방법과 장치
JP2014229299A (ja) * 2013-05-24 2014-12-08 キング・アブドゥルアジズ・シティ・フォー・サイエンス・アンド・テクノロジー(ケイ・エイ・シィ・エス・ティ)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and Technology (Kacst) 多次元カラーバーコードおよ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238B2 (en) Secured transaction using color coded account identifiers
USRE44982E1 (en) Mixed c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same
CN101398649B (zh) 图像数据输出处理装置以及图像数据输出处理方法
US77516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ixed code
CN101286200B (zh) 图像处理装置及方法、图像形成装置和图像处理系统
JP2007052779A (ja) 機密保護文書を作成するシステム及び機密保護文書を複製するシステム
CN108345624A (zh) 生成页面的方法及装置
CN106650545A (zh) 一种防伪的二维码追溯标签以及生成方法与识别方法
KR102552160B1 (ko) 컬러코드를 이용한 학교생활기록부 자동입력 및 데이터 차등보안 방법
Mkadmi Archives in the Digital Age: Preservation and the Right to be Forgotten
CN108734849A (zh) 一种自动化发票验真方法及系统
KR102567734B1 (ko) 컬러코드를 이용하여 채권추심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KR102647859B1 (ko) 물품정보가 인코딩된 컬러코드의 생성 방법
CN103793677A (zh) 通过识别点阵图形以进行信息提取与身份鉴别的方法
KR102603455B1 (ko) 복수의 컬러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컬러코드 운영방법
Aubert et al. Citizen photojournalists and their professionalizing logics: The case of contributors to the Citizenside agency
KR102562146B1 (ko) 컬러코드를 이용하여 입장권한과 신분을 증명하는 방법
CN1570962A (zh) 基于图形码子母印章族信息关联机制的软证件防伪方法
KR102647884B1 (ko) 고밀도 바코드를 이용한 대면 방식의 일반 전자계약방법
KR102603446B1 (ko) 제품 소유권의 진위여부를 인증하는 컬러코드의 운용방법
CN101354717B (zh) 原稿提取方法和原稿提取装置
Davidson Health embodi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re agency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CN104850883B (zh) 多灰阶隐形二维码的生成方法
Becker Kelvin Smith Library's Digitization Lab: 2020 Report
Genaitay et al. Early colour film restoration at the BFI National Arc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