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51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51B1
KR102647851B1 KR1020160160090A KR20160160090A KR102647851B1 KR 102647851 B1 KR102647851 B1 KR 102647851B1 KR 1020160160090 A KR1020160160090 A KR 1020160160090A KR 20160160090 A KR20160160090 A KR 20160160090A KR 102647851 B1 KR102647851 B1 KR 102647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bstrate
pad
front body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522A (ko
Inventor
박제경
문다힌
전종원
채경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의 일측에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기판부; 및 상기 프런트바디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기판부와 접촉하고, 유연(flexible)한 재질로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렌즈부에 물방울 맺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주차할 경우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자동차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경위, 사고원인 등을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상황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인식장치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스마트카, 즉 자동차의 주행시 전후방의 충돌가능성을 미리 탐지하여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충돌경고시스템, 자동차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차 간 충돌을 운전자에 운전에 의하지 않고 상기 제어장치가 직접 회피할 수 있는 충돌회피시스템 등이 장착되는 자동차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고 관련기술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카의 외부상황 인식수단으로 카메라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의 생산과 기술개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예는, 렌즈부에 물방울 맺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의 일측에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기판부; 및 상기 프런트바디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기판부와 접촉하고, 유연(flexible)한 재질로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렌즈; 및 상기 제1렌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기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는, 상기 패드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는 리어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기판부와 접촉하는 부위에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렌즈부와 상기 기판부에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가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패드는 광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바디는 광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렌즈부가 장착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의 일측에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기판부; 및 상기 프런트바디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기판부와 접촉하고, 유연(flexible)한 재질로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기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고, 상기 프런트바디는 상기 패드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런트바디; 및 상기 프런트바디의 일측에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으며, 상기 렌즈부로 열을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기판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대류 또는 복사에 의해 상기 렌즈부에 전달되어 가열되고, 상기 렌즈배럴로부터 전도에 의해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런트바디와 접촉하는 패드를 배치하여, 렌즈부의 내부온도와 외부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줄임으로써, 이러한 온도차로 인해 상기 렌즈부에 발생하는 물방울 맺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이에 따라 물방울 맺힘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열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렌즈배럴을 형성함으로써, 렌즈부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따라서, 렌즈부의 내부온도와 외부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줄임으로써, 이러한 온도차로 인해 상기 렌즈부에 발생하는 물방울 맺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이에 따라 물방울 맺힘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기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쉴드부재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배럴(100), 프런트바디(200), 기판부(300), 패드(400) 및 리어바디(5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렌즈부(110)가 장착되고, 프런트바디(200)에 결합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프런트바디(200)와 나사결합,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렌즈부(110)가 장착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10)는 상기 렌즈배럴(100)의 중공에 장착되고,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렌즈배럴(100)에 결합할 수 있다. 렌즈부(110)는 복수의 렌즈가 광축방향 즉, 제1방향으로 정렬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부(110)는 기판부(300)에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301)와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렌즈부(110)를 통해 입사하는 광은 상기 렌즈부(110)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301)에 입사하고, 이미지 센서(301)에서는 이미지가 결상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렌즈(111)와 상기 제1렌즈(111)의 타측 즉, 제1렌즈(111)의 외부 노출측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렌즈(111)와 상기 제2렌즈(112) 사이에는 공간부(SP)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외부온도와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공간부(SP)를 형성하는 제1렌즈(111)의 표면에는 물방울 맺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물방울 맺힘은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방울 맺힘을 억제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카메라 모듈에 패드(400)를 장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패드(400)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런트바디(200)에는 상기 렌즈배럴(100)이 장착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전방부에 상기 렌즈배럴(10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바디(200)에는 상기 렌즈배럴(100)이 장착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바디(200)와 렌즈배럴(100)은 예를 들어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 프런트바디(200)와 렌즈배럴(100)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도 있고, 나사결합 및 접착제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기판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일측에 상기 렌즈부(110)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판부(300)는 리어바디(500)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방향으로 상기 렌즈부(1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300)는 상기 렌즈부(11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고, 입사하는 광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3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센서(301)는 상기 기판부(300) 중 상기 렌즈부(110)와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기판(310)에서 상기 렌즈부(110)와 마주보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기판부(300)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리어바디(500)는 상기 기판부(300)를 수용하고,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바디(500)는 상기 기판부(30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바디(500)와 프런트바디(200)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패드(400)는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렌즈배럴(100)과 상기 기판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400)는 상기 렌즈부(110)와 상기 기판부(300)에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301)가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렌즈부(11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301)에 입사하는데 상기 패드(400)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구성이다.
상기 패드(400)는 상기 기판부(3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바디(200)는 상기 패드(400)와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열전도(thermal conduction) 현상에 의해 상기 패드(400)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또한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기판부(300)가 전류를 인가받아 작동하는 경우, 상기 기판부(300)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301), 각종 소자(302)들은 발열하고, 기판부(300)에서 발생하는 열은 렌즈부(110)로 대류 또는 복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기판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제2렌즈(112)와 공간부(SP)에 충진되는 공기는 가열되는 반면, 제1렌즈(111)의 외부노출면(111a)은 차가운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렌즈(111)의 상기 외부노출면(111a)과 공간부(SP)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온도차로 인해, 상기 공간부(SP)에 충진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는 응결되어 제1렌즈(111)의 상기 내부면(111b)에 달라붙게 되어, 제1렌즈(111)의 상기 내부면(111b)에 물방울 맺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패드(400)가 기판부(300)로부터 제2렌즈(112)로 열전달을 일부 차단하여 상기의 물방울 맺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기판부(300)로부터 발생한 열 중 일부는 상기 패드(400)로 전달되고, 상기 패드(400)에 전달된 열은 상기 패드(400)에 접촉하는 프런트바디(200)에 전달되며, 상기 프런트바디(200)는 외주가 외부공기에 노출되므로 패드(400)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기판부(300)로부터 제1렌즈(111) 및 공간부(SP)로 전달되는 열은 양적으로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에 상기 패드(400)가 배치됨으로 인해, 기판부(300)로부터 공간부(SP) 및 제1렌즈(111)로 전달되는 열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제1렌즈(111)의 상기 외부노출면(111a)과 상기 공간부(SP) 사이의 온도차도 현저히 줄어들게 되므로, 이러한 온도차로 인해 발생하는 제1렌즈(111)의 상기 내부면(111b)에서의 물방울 맺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패드(400)는 일측이 상기 기판부(300)와 접촉하고, 유연(flexible)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패드(400)와 기판부(300)의 접촉부위는 이미지 센서(301)를 제외한 부위 예를 들어 기판부(300)에 장착되는 소자, 더욱 구체적으로 제1기판(310)의 상기 이미지 센서(301)가 장착되는 면에 장착되는 소자(302)일 수 있다.
패드(400)는 기판부(300)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기판부(300)에 발생하는 열이 열전도에 의해 효과적으로 패드(4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패드(400)가 기판부(300)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내부공간 중 패드(4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도 있다.
상기 패드(400)가 기판부(300)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판부(300)에 장착되는 소자(302)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패드(400)는 유연한 재질 즉, 상기 기판부(300)와 접촉하는 부위에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400)가 유연하고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상기 패드(400)는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패드(400)에 실리콘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으나, 실리콘의 물리적 특성상 열전도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패드(400)의 유연성과 열전도도를 고려하여 실리콘의 함유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드(400)의 열전도도가 약 1.0 W/mK가 되도록 상기 패드(400)의 실리콘 함유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400)를 구성하는 실리콘 이외의 다른 재질의 함유량도 패드(400)의 유연성과 열전도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패드(400)의 열용량이 약 1.0 J/gK가 되도록 상기 패드(400)에서 실리콘 및 실리콘 이외의 재질의 함유량을 선택함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 패드(400)는 광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바디(200)는 광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10)가 삽입되는 삽입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10)는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됨으로써, 패드(400)는 상기 카메라 모듈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410)는 상기 패드(400)와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상호 접촉면적을 넓혀, 프런트바디(200)로부터 패드(400)로 열전도 현상에 의한 열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런트바디(200)와 접촉하는 패드(400)를 배치하여, 렌즈부(110)의 내부온도와 외부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줄임으로써, 이러한 온도차로 인해 상기 렌즈부(110)에 발생하는 물방울 맺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이에 따라 물방울 맺힘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배럴(100)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100)은 상기 기판부(3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10)는 상기 렌즈배럴(100)의 내주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장착되므로, 상기 렌즈부(110)는 상기 렌즈배럴(10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111)와 제2렌즈(112)의 외주면은 렌즈배럴(100)의 내주면과 접촉하므로, 렌즈배럴(100)로부터 제1렌즈(111), 제2렌즈(112) 및 공간부(SP)를 포함하는 렌즈부(110)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100)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므로 열전도도가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렌즈배럴(100)은 효과적으로 상기 기판부(30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다시 상기 렌즈부(110)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부(300)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주로 대류 또는 복사에 의해 상기 렌즈부(110)에 전달되고, 상기 렌즈배럴(100)로부터 전도에 의해 열을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렌즈부(110)는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렌즈(111)는 효과적으로 가열되므로, 외부공기의 온도가 낮아도, 제1렌즈(111)와 공간부(SP)의 온도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렌즈(111)의 외부노출면(111a)과 공간부(SP)의 온도차로 인해 제1렌즈(111)의 내부면(111b)에 물방울 맺힘이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열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렌즈배럴(100)을 형성함으로써, 렌즈부(110)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따라서, 렌즈부(110)의 내부온도와 외부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줄임으로써, 이러한 온도차로 인해 상기 렌즈부(110)에 발생하는 물방울 맺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이에 따라 물방울 맺힘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기판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쉴드부재(350)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실시예의 기판부(300)는 제1기판(310), 제2기판(320), 제3기판(330), 연결부(340) 및 쉴드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310) 내지 제3기판(330)은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예를 들어 총 3개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기판은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판(310)은 상기 렌즈부(1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기판(330)은 상기 제1기판(310)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320)은 상기 제1기판(310)과 상기 제3기판(330) 사이에, 상기 제1기판(310)과 상기 제3기판(330)과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310)은 상기 렌즈부(110)와 대향하되, 상기 렌즈부(11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렌즈부(110)와 마주보는 면 즉, 전면에 이미지 센서(301)가 장착될 수 있고, 기타 각종의 소자(302) 등이 구비되는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110)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센서(301)에서 센싱하고, 상기 제1기판(310)은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것은 다른 기판들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320)은, 상기 제1기판(310) 및 제3기판(3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310) 및 상기 제3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320)은 상기 제1기판(31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적 통로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제1기판(310)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기판(320)은 제1기판(310)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송하거나, 제3기판(3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정류하여 제1기판(31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판(320)은 제1기판(310)과 제3기판(330)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판(310)과 제3기판(330)이 수행하는 역할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3기판(330)은 상기 제2기판(320)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판(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기판(330)은 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제1기판(310) 및 제2기판(320)에 보내고, 상기 제1기판(310) 및 제2기판(320)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기판(330)에는 카메라 모듈의 작동에 필요한 적절한 전압 및 전류를 가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콘덴서, 정류기, 변압기 등의 소자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3기판(330)에는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이미지 재생장치, 카메라 모듈 제어장치 등과 전기적 연결을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31)는 외부케이블(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40)는 상기 기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유연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340)는 상기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따라서, 상기 기판들의 개수보다 하나 더 적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기판들이 총 3개로 구비되므로, 상기 연결부(340)는 제1기판(310)과 제2기판(320)을 연결하는 것과, 제2기판(320)과 제3기판(330)을 연결하는 것으로 총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340)는 각 기판과 결합작업이 용이한 점, 카메라 모듈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진동에 파손되지 않도록 이러한 충격, 진동을 흡수할 필요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것으로 연결부(340)는 유연회로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부재(350)는, 상기 기판부(30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기판부(300)가 상기 리어바디(500)의 내벽이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기판부(300) 또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노이즈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쉴드부재(350)는 상기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 사이를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쉴드부재(35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쉴드부재(35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렌즈배럴
110: 렌즈부
200: 프런트바디
210: 삽입홈
300: 기판부
310: 제1기판
320: 제2기판
330: 제3기판
340: 연결부
350: 쉴드부재
400: 패드
410: 돌출부
500: 리어바디

Claims (13)

  1.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의 일측에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프런트바디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기판부와 접촉하고, 유연(flexible)한 재질로 구비되는 패드; 및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는 리어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광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바디는 광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렌즈; 및
    상기 제1렌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기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프런트바디로 전달하고,
    상기 프런트바디는 상기 패드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기판부와 접촉하는 부위에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렌즈부와 상기 기판부에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가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중공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7. 삭제
  8.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렌즈부가 장착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의 일측에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프런트바디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기판부와 접촉하고, 유연(flexible)한 재질로 구비되는 패드; 및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는 리어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광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기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고,
    상기 프런트바디는 상기 광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상기 패드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카메라 모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60090A 2016-11-29 2016-11-29 카메라 모듈 KR102647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090A KR102647851B1 (ko) 2016-11-29 2016-11-29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090A KR102647851B1 (ko) 2016-11-29 2016-11-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522A KR20180060522A (ko) 2018-06-07
KR102647851B1 true KR102647851B1 (ko) 2024-03-15

Family

ID=6262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090A KR102647851B1 (ko) 2016-11-29 2016-11-2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9238B2 (en) 2019-12-16 2022-03-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61B1 (ko) * 2011-08-31 2018-07-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0471880Y1 (ko) * 2012-06-29 2014-03-19 주식회사 세코닉스 방수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102248086B1 (ko) * 2014-11-14 2021-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522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9791B2 (en) Vehicular camera module
US11856697B2 (en)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JP6505807B2 (ja) 撮像装置および車両
US9749508B2 (en) Camera module for vehicle
US20170187931A1 (en) Vehicle-mounted camera
KR102612541B1 (ko) 카메라 모듈
KR102620540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US10382142B2 (en) Optical module
KR20230150932A (ko) 카메라 모듈
US20230074986A1 (en) Single pcb board camera with enhanced signal integrity and thermal conduction
KR102647851B1 (ko) 카메라 모듈
KR102338395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614745B1 (ko) 카메라 모듈
KR102645802B1 (ko) 카메라 모듈
CN113923958A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EP3780922B1 (en) Electronic equipment, imaging device, and mobile body
CN115702574A (zh) 相机模块
KR102572852B1 (ko) 카메라 모듈
KR102617339B1 (ko) 카메라 모듈
US20240053663A1 (en) Image capturing unit
CN210157301U (zh) 一种成像装置及电子设备
CN210157302U (zh) 一种成像装置及电子设备
WO2020121746A1 (ja) ステレオカメラ装置
JP2022077607A (ja) カメラ装置
KR20220127692A (ko) 차량용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