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40B1 - BRACKET APPARATUS USED FOR AAU(Active Antenna Unit) POLE - Google Patents

BRACKET APPARATUS USED FOR AAU(Active Antenna Unit) 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40B1
KR102647840B1 KR1020220112211A KR20220112211A KR102647840B1 KR 102647840 B1 KR102647840 B1 KR 102647840B1 KR 1020220112211 A KR1020220112211 A KR 1020220112211A KR 20220112211 A KR20220112211 A KR 20220112211A KR 102647840 B1 KR102647840 B1 KR 10264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ember
repeater
bolt
horizontal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33498A (en
Inventor
이근주
이승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22011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40B1/en
Publication of KR2024003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8Pivot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브라켓의 후면부가 브라켓의 전면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어 설치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시공에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이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고, 브라켓의 전면부와 후면부 간의 평행도가 시공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부재와,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후방이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일측이 상기 돌출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부재와 수평하게 중계기용 폴에 고정되는 제2 수평부재 및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후방에 구비되어 중계기가 연결되는 중계기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타측 후방에 구비되고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볼트부재 및 상기 제1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제1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부재는,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부재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너트부재를 상기 볼트 삽입 오목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제1 볼트부재의 전방에 체결시켜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를 상기 중계기용 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The disclosed content is that the rear part of the bracket is hinged to the front part of the bracket so that it can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work and reducing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bracket. It relates to a bracket device used for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in which the parallelism between the poles is kept constant regardless of the installer's skill level.
The disclosed content includes a first horizontal member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a pair of protruding members arranged in parallel up and down, the rear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front from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 protrusion protruding in an “L” shape in the direction, a second horizontal member on one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protrusion and fixed to the repeater pole in a horizontal position with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first horizontal member. It includes a repeater connection member provided at the rear and connected to a repeater,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member includes a first bolt memb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irst bolt member. It includes a first nut member fastened to, wherein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includes a bolt insertion reces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into which the first bolt member is inserted, and the first nut member is connected to the One embodiment of a bracket device used for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first bolt member protruding forward of the bolt insertion concave portion to fix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to the repeater pole. presented as

Description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BRACKET APPARATUS USED FOR AAU(Active Antenna Unit) POLE}Bracket device used for repeater installation pole {BRACKET APPARATUS USED FOR AAU(Active Antenna Unit) POLE}

개시된 내용은 5G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중계기를 기둥에 고정시키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에 관련된다.The disclosed content relates to a bracket device used in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that secures a repeater used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to a pole.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되었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are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virtue of being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최근에 생산되고 있는 휴대폰들은 5G 전용 휴대폰들이어서, 5G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중계기들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The mobile phones being produced recently are 5G-specific mobile phones, and the installation of repeaters used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is increasing.

그러나 건물의 옥상 등 기존에 중계기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들은 이미 4G 이전에 사용되던 중계기들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5G용 중계기의 신규 설치에 제약이 있었다. However, existing spaces where repeaters can be installed, such as the rooftop of a building, are already equipped with repeaters used before 4G, so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of new repeaters for 5G.

이에 따라 지상에 5G용 중계기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둥이 세워지고, 이 기둥에 중계기를 고정하는 장치인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들이 제시되고 있다. Accordingly, a separate pillar is being erected on the ground to install a 5G repeater, and bracket devices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which are devices that secure the repeater to this pillar, are being proposed.

이러한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2193185호(2020.12.14. 등록)에는 설치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을 폴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볼트-너트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볼트-너트 세트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상기 볼트의 제2 측이 벤딩되어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의 제1 측은 상기 제1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볼트의 상기 제1 측에 체결되고, 상기 볼트의 제2 측은 상기 제2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볼트가 제2 브라켓에 걸리도록 체결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of a bracket device used in such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93185 (registered on December 14, 2020) includes an installation bracket set, a first bracket, a second bracket, and the first bracket and the above. and a pair of bolt-nut sets for fix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pole, wherein the pair of bolt-nut sets include a bolt and a nut, and the bolt is formed by bending the second side of the bolt. a hook portion, wherein a first side of the bolt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first bracket, the nut is fastened to the first side of the bolt to secure the first bracket, and a second side of the bolt is An installation bracket set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second bracket, and the hanging portion is fastened so that the bolt is caught on the second bracket.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83337호(2017.04.24. 등록)에는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를 폴에 고정하는 고정용 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장비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 삽입공이 형성된 장비 브라켓 및 상기 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장비 브라켓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폴의 기 결정된 높이에 상기 장비를 고정하는 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장비 브라켓 및 상기 폴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폴에 밀착되는 폴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폴 브라켓에는 T자 홀이 형성되고, 상기 T자 홀에 조임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결합부재를 삽입 및 이탈 하여, 상기 폴을 상기 폴 브라켓과 상기 장비 브라켓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폴 브라켓과 상기 장비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고정용 장치가 개시된다.In addition,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3337 (registered on April 24, 2017) provides a fixing device for fixing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equipment to a pole,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equipment, and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An equipment bracket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insertion hole and a pole bracket coupled to the equipment bracket and the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with the pole interposed therebetween to fix the equipment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ole, Each of the equipment bracket and the pole bracket is formed with a pole adhesion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le, a T-shaped hole is formed in the pole bracket, and the coupling member with the tightening member coupled to the T-shaped hole is inserted and removed. ,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pole between the pole bracket and the equipment bracket and coupling the pole bracket and the equipment bracket is disclosed.

복수의 중계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폴 브라켓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16-0071728호(2016.06.22. 공개)에는 통신 장비 설치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통신 장비가 결합되는 유닛 브라켓 세트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닛 브라켓 세트들이 각각 결합되는 메인 브라켓 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유닛 브라켓 세트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브라켓에 각각 수용되어 구속된 후, 제1체결부에 의해 상기 메인 브라켓에 각각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of a pole bracket device capable of fixing a plurality of repeater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71728 (published on June 22, 2016) includes a s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installation brackets, a set of unit brackets to which communication equipment is coupled; It includes a main bracket set to which the at least two unit bracket sets are respectively coupled,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each unit bracket set is received and restrained in the main bracket, and then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ain bracket by a first fastening part. An installation bracket set is disclos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들은 시공 시 작업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고, 브라켓의 전면부와 후면부 간의 평행도가 틀어지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However, the bracket devices used in the conventional repeater installation poles a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of poor workability during construction,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a defect may occur in which the parallelism between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bracket is distorted.

1.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2193185호(2020.12.14. 등록)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93185 (registered on December 14, 2020) 2.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83337호(2017.04.24. 등록)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3337 (registered on April 24, 2017) 3.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16-0071728호(2016.06.22. 공개)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71728 (published on June 22, 2016)

설치작업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시공에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이 절감되고, 브라켓의 전면부와 후면부 간의 평행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aim is to provide a bracket device used for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that is configured to facilitate installation work, thus reducing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maintaining constant parallelism between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bracke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Additionally,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be derived from the description below.

개시된 내용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부재와,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후방이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일측이 상기 돌출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부재와 수평하게 중계기용 폴에 고정되는 제2 수평부재 및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후방에 구비되어 중계기가 연결되는 중계기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타측 후방에 구비되고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볼트부재 및 상기 제1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제1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부재는,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부재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너트부재를 상기 볼트 삽입 오목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제1 볼트부재의 전방에 체결시켜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를 상기 중계기용 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The disclosed content includes a first horizontal member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a pair of protruding members arranged in parallel up and down, the rear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front from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 protrusion protruding in an “L” shape in the direction, a second horizontal member on one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protrusion and fixed to the repeater pole in a horizontal position with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first horizontal member. It includes a repeater connection member provided at the rear and connected to a repeater,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member includes a first bolt memb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irst bolt member. It includes a first nut member fastened to, wherein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includes a bolt insertion reces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into which the first bolt member is inserted, and the first nut member is connected to the One embodiment of a bracket device used for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first bolt member protruding forward of the bolt insertion concave portion to fix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to the repeater pole. presented as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수평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돌출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 힌지와, 상기 제1 힌지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수평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힌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힌지와, 상기 제1 힌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힌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 및 제2 힌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2 볼트부재 및 상기 제2 볼트부재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볼트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 너트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it further includes a rotating part rotatably connecting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wherein the rotating part includes a first hinge formed in front of the protrusion, and facing the first hinge. The beam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nd is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hinge and extends through the second hinge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inge. It includes a second bolt member that is formed to rotatably connect the first hinge and the second hinge, and a second nut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olt member to secure the second bolt member.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는 각각 “ㄷ” 자 형상의 세로 방향으로의 단면을 형성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each form a “ㄷ”-shaped longitudinal cross-section.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수평부재는, 제1 수평부재의 타측 내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제1 형상유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재는, 제2 수평부재의 타측 내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제2 형상유지부재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further includes a first shape maintaining member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further includes a second shape maintaining member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수평부재는, 제1 수평부재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형상유지부재의 내주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타측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볼트부재 및 상기 제3 볼트부재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3 볼트부재를 고정시키는 제3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재는, 제2 수평부재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형상유지부재의 내주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타측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4 볼트부재 및 상기 제4 볼트부재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4 볼트부재를 고정시키는 제4 너트부재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extends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hape maintaining member to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It further includes a third bolt member and a third nut member fastened to a lower part of the third bolt member to secure the third bolt member,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nd 2 A fourth bolt member extending through the inner periphery of the shape maintaining member and exte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nd a fourth nut member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fourth bolt member to secure the fourth bolt member. Includes mor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수평부재는, 제1 수평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재는, 제2 수평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가 상기 중계기용 폴에 고정될 때 각각 상기 중계기용 폴의 후방 및 전방에 면 접촉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further includes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in front of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to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includes,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cave portion formed at the rear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wherein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are each formed in the same shape at the sam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is fixed to the repeater pole, it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rear and front of the repeater pole, respectively.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is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neral structural carbon steel, general structural rolled steel, hot rolled steel, and mixtures thereof.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에 의하면 브라켓의 후면부가 브라켓의 전면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어 설치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시공에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이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rear portion of the bracket is hing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racket so that it can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work and reducing the effort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has the effect of saving time.

또한, 브라켓의 전면부와 후면부 간의 평행도가 시공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rallelism between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bracket is maintain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constructo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기존의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의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의 세로방향으로의 단면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의 사용상태도.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bracket device used in an existing repeater installation po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device used in a pole for installing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in an exploded stat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device used in a pole for installing a repeater in a fix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a bracket device used in a pole for installing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below,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depic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은 기존의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1 is a state diagram of the bracket device used in the existing repeater installation pole.

기존의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는 한 쌍의 볼트부재를 통하여 중계기가 연결된 브라켓과 반대쪽 브라켓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반대쪽 브라켓은 일측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볼트부재를 중심으로 지면과 수직하게 회전을 하게 되고, 반대쪽 브라켓에 타측에 구비된 또 다른 볼트부재를 상기 반대쪽 브라켓에 삽입하기 위하여서는 타측에 구비된 볼트부재를 타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벌려야 삽입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를 중계기용 폴에 설치하는데 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The bracket device used in the existing repeater installation pole allows the bracket to which the repeater is connected and the opposite bracket to be fixed through a pair of bolt members. At this time, the opposite bracket rotate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round one bol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and in order to insert another bolt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to the opposite bracket, a bolt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is used. Insertion may be possible only when the bolted member is spread a certain distance in the other direction. Accordingly, it may take a lot of effort and time to install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on the repeater pole.

또한, 타측에 볼트부재와 반대쪽 브라켓의 결합 시 유격이 존재하게 되어, 작업의 숙련도에 따라 중계기가 연결된 브라켓과 반대쪽 브라켓 사이에 평행도가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가 연결된 브라켓과 반대쪽 브라켓 간의 평행도를 별도로 관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gap when combining the bolt member on the other side with the opposite bracket, so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work, parallelism may not be secured between the bracket to which the repeater is connected and the opposite bracket. Accordingly, there may b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manage the degree of parallelism between the bracket to which the repeater is connected and the bracket on the opposite side.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의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ed state of a bracket device used in a pole for installing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Figure 3 is a fixed state of a bracket device used in a pole for installing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is is a perspective view of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수평부재(100), 돌출부(200), 제2 수평부재(300), 중계기 연결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bracket device 10 used in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includes a first horizontal member 100, a protrusion 200, and a second horizontal member ( 300), and may include a repeater connection member 400.

여기에서, 상기 제1 수평부재(100)는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또한, 상기 돌출부(200)는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재(210, 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00)후방이 상기 제1 수평부재(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100)의 일측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trusion 200 may include a pair of protrusion members 210 and 220 arranged in parallel up and down. The rear of the protrusion 20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and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in the forward direction in an “L” shape.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된 제1 돌출부재(210)와 하부에 배치된 제2 돌출부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protrusion 20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member 210 disposed at the top and a second protrusion member 220 disposed at the bottom, as shown in FIG. 2. there is.

여기에서, 상기 제1 돌출부재(210) 및 제2 돌출부재(22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2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재(210)의 후방은 제1 수평부재(100)의 일측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ar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그리고 상기 제2 돌출부재(220)의 후방은 제1 수평부재(100)의 일측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And the rear of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수평부재(300)는 일측이 상기 돌출부(2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protrusion 200.

여기에서, 상기 제1 돌출부재(210)의 전방은 상기 제2 수평부재(300)의 일측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ront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1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또한, 상기 제2 돌출부재(220)의 전방은 제2 수평부재(300)의 일측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ront of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2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수평부재(300)는 상기 제1 수평부재(100)와 수평하게 중계기 설치용 폴(20)에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may be fixed to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20 horizontally with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이에 따라,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10)가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20)에 고정되면 상기 제1 수평부재(100) 및 제2 수평부재(300)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bracket device 10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is fixed to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20,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또한, 상기 중계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 수평부재(1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계기 연결부재(400)에는 중계기(30)가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peater connection member 40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A repeater 30 may be connected to the repeater connection member 400.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bracket device 10 used in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part 500, as shown in FIG. 2.

여기에서, 상기 회전부(500)는 상기 돌출부(200)와 상기 제2 수평부재(3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Here, the rotating part 500 may rotatably connect the protruding part 2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500)는 제1 힌지(510), 제2 힌지(520), 제2 볼트부재(530) 및 제2 너트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rotating part 500 may include a first hinge 510, a second hinge 520, a second bolt member 530, and a second nut member 540.

여기에서, 상기 제1 힌지(510)는 상기 돌출부(20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hinge 510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protrusion 200.

또한, 상기 제2 힌지(520)는 상기 제1 힌지(510)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수평부재(3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520)는 상기 제1 힌지(5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hinge 5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facing the first hinge 510. The second hinge 5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510.

그리고 상기 제2 볼트부재(530)는 상기 제1 힌지(5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힌지(52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51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볼트부재(530) 상기 제1 힌지(510) 및 제2 힌지(52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lt member 5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hinge 510 and extend through the second hinge 520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inge 510. The second bolt member 530 may rotatably connect the first hinge 510 and the second hinge 520.

또한, 상기 제2 너트부재(540)는 상기 제2 볼트부재(530)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볼트부재(530)를 고정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nut member 540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olt member 530 to secure the second bolt member 530.

그리고 상기 제2 너트부재(540)와 상기 제1 힌지(510)의 사이에는 이탈 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nut member 540 and the first hinge 510.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수평부재(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형상유지부재(140), 제3 볼트부재(150) 및 제3 너트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includes a first shape maintaining member 140, a third bolt member 150, and a third nut member ( 160) may further be included.

여기에서, 상기 제1 형상유지부재(140)는 제1 수평부재(100)의 타측 내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형상유지부재(140)는 상기 제1 수평부재(10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Here, the first shape maintaining member 14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The first shape maintaining member 140 may maintain the shap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또한, 상기 제3 볼트부재(150)는 제1 수평부재(10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볼트부재(150)는 상기 제1 형상유지부재(140)의 내주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수평부재(100)의 타측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rd bolt member 1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The third bolt member 150 may be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shape maintaining member 14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그리고 상기 제3 너트부재(160)는 상기 제3 볼트부재(150)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너트부재(160)는 상기 제3 볼트부재(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And the third nut member 160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third bolt member 150. The third nut member 160 may secure the third bolt member 150.

또한, 상기 제3 너트부재(160)와 상기 제1 수평부재(100)의 사이에는 이탈 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hird nut member 160 and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수평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형상유지부재(330), 제4 볼트부재(340) 및 제4 너트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includes a second shape maintaining member 330, a fourth bolt member 340, and a fourth nut member ( 350) may further be included.

여기에서, 상기 제2 형상유지부재(330)는 제2 수평부재(300)의 타측 내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형상유지부재(330)는 상기 제2 수평부재(30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Here, the second shape maintaining member 33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The second shape maintaining member 330 may maintain the shap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또한, 상기 제4 볼트부재(340)는 제2 수평부재(30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볼트부재(340)는 상기 제2 형상유지부재(330)의 내주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수평부재(300)의 타측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ourth bolt member 3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The fourth bolt member 340 may be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hape maintaining member 33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그리고 상기 제4 너트부재(350)는 상기 제4 볼트부재(340)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너트부재(350)는 상기 제4 볼트부재(340)를 고정시킬 수 있다.And the fourth nut member 350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fourth bolt member 340. The fourth nut member 350 may secure the fourth bolt member 340.

또한, 상기 제4 너트부재(350)와 상기 제2 수평부재(300)의 사이에는 이탈 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ourth nut member 35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의 세로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first horizontal member and a second horizonta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평부재(100) 및 제2 수평부재(300)는 도 4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ㄷ” 자 형상의 세로 방향으로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may each form a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ㄷ” shape, as shown in FIG. 4. there is.

여기에서, 상기 제1 돌출부재(210)는 상기 제1 수평부재(100) 및 제2 수평부재(3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또한, 상기 제2 돌출부재(220)는 상기 제1 수평부재(100) 및 제2 수평부재(30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lower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재(210) 및 제2 돌출부재(220)의 후방은 상기 제1 수평부재(100)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And rear ends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220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재(210) 및 제2 돌출부재(220)의 전방은 상기 회전부(500)에 의하여 상기 제2 수평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ront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2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by the rotating part 500.

그리고 상기 제2 수평부재(300)는 지상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a bracket device used in a pole for installing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평부재(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110), 제1 볼트부재(120) 및 제1 너트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includes a first concave portion 110, a first bolt member 120, and a first nut member ( 130) may further be included.

여기에서, 상기 제1 오목부(110)는 상기 제1 수평부재(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ncave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제1 볼트부재(120)는 상기 제1 수평부재(100)의 타측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볼트부재(120)는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bolt member 12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0. The first bolt member 1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forward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1 너트부재(130)는 상기 제1 볼트부재(120)에 체결될 수 있다. And the first nut member 13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bolt member 120.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수평부재(300)는 제2 오목부(310) 및 볼트 삽입 오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may include a second concave portion 310 and a bolt insertion concave portion 320.

여기에서, 상기 제2 오목부(310)는 제2 수평부재(3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concave portion 310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볼트 삽입 오목부(320)는 상기 제2 수평부재(3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 삽입 오목부(320)에는 상기 제1 볼트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olt insertion concave portion 3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00. The first bolt member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concave portion 320.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너트부재(130)를 상기 볼트 삽입 오목부(32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제1 볼트부재(120)의 전방에 체결시켜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10)를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20)에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irst nut member 130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first bolt member 120 protruding forward of the bolt insertion concave portion 320 and used on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The bracket device 10 can be fixed to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20.

이 때, 상기 제1 너트부재(130)와 상기 볼트 삽입 오목부(320)의 사이에는 제1 이탈 방지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nut member 130 and the bolt insertion concave portion 320.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10)는 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bracket device 10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mi-structural carbon steel, general structural rolled steel, hot rolled steel, and mixtures thereof.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is is not the ca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1 수평부재
110 : 제1 오목부 120 : 제1 볼트부재
130 : 제1 너트부재 140 : 제1 형상유지부재
150 : 제3 볼트부재 160 : 제3 너트부재
170 : 제1 이탈 방지부재
200 : 돌출부
210 : 제1 돌출부재 220 : 제2 돌출부재
300 : 제2 수평부재
310 : 제2 오목부 320 : 볼트삽입 오목부
330 : 제2 형상유지부재 340 ; 제4 볼트부재
350 : 제4 너트부재
400 : 중계기 연결부재
500 : 회전부
510 : 제1 힌지 520 ; 제2 힌지
530 : 제2 볼트부재 540 ; 제2 너트부재
10 :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20 : 중계기 설치용 폴
30 : 중계기
100: first horizontal member
110: first concave portion 120: first bolt member
130: first nut member 140: first shape maintaining member
150: third bolt member 160: third nut member
170: First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0: protrusion
210: first protruding member 220: second protruding member
300: second horizontal member
310: second concave portion 320: bolt insertion concave portion
330: second shape maintaining member 340; Fourth bolt member
350: Fourth nut member
400: Repeater connection member
500: Rotating part
510: first hinge 520; second hinge
530: second bolt member 540; 2nd nut member
10: Bracket device used for repeater installation pole
20: Pole for repeater installation
30: repeater

Claims (7)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부재;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후방이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일측이 상기 돌출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부재와 수평하게 중계기용 폴에 고정되는 제2 수평부재; 및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후방에 구비되어 중계기가 연결되는 중계기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타측 후방에 구비되고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볼트부재; 및
상기 제1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제1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부재는,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부재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너트부재를 상기 볼트 삽입 오목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제1 볼트부재의 전방에 체결시켜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를 상기 중계기용 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A first horizontal member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A protrusion having a pair of protruding members arranged in parallel up and down, the rear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protruding in an “L” shape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 second horizontal member,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protrusion, and fixed to a repeater pole horizontally with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It includes a repeater connection memb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to which the repeater is connected,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 first bolt memb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extending in a forward direction; and
It includes a first nut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bolt member,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Including a bolt insertion reces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into which the first bolt member is inserted,
Used for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is fixed to the repeater pole by fastening the first nut member to the front of the first bolt member protruding forward of the bolt insertion concave portion. bracke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수평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돌출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 힌지;
상기 제1 힌지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수평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힌지;
상기 제1 힌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힌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 및 제2 힌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2 볼트부재; 및
상기 제2 볼트부재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볼트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In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rotating part rotatably connecting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The rotating part,
a first hinge formed in front of the protrusion;
a second hing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facing the first hing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 second bolt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inge and extending through the second hinge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inge to rotatably connect the first hinge and the second hinge; and
A bracket device used in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comprising: a second nut member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lt member to secure the second bolt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는 각각 “ㄷ” 자 형상의 세로 방향으로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In claim 1,
A bracket device used in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each form a “ㄷ”-shaped longitudinal cross-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재는,
제1 수평부재의 타측 내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제1 형상유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재는,
제2 수평부재의 타측 내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제2 형상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In claim 1,
The first horizontal member,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hape maintaining member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 second shape maintaining member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 bracket device used in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재는,
제1 수평부재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형상유지부재의 내주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타측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볼트부재; 및
상기 제3 볼트부재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3 볼트부재를 고정시키는 제3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재는,
제2 수평부재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형상유지부재의 내주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타측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4 볼트부재; 및
상기 제4 볼트부재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4 볼트부재를 고정시키는 제4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In claim 4,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 third bol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extending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hape maintaining member to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It further includes a third nut member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third bolt member to secure the third bolt member,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 fourth bol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nd extending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hape maintaining member to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nd
A bracket device used in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further comprising: a fourth nut member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bolt member to secure the fourth bolt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재는,
제1 수평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재는,
제2 수평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가 상기 중계기용 폴에 고정될 때 각각 상기 중계기용 폴의 후방 및 전방에 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In claim 1,
The first horizontal member,
It further includes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cave portion formed at the rear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Each repeater installation pole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t the sam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ear and front of the repeater pole, respectively, when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is fixed to the repeater pole. Bracket device used f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In claim 1,
The bracket device used for the repeater installation pole is,
A bracket device used for a repeater installation 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neral structural carbon steel, general structural rolled steel, hot rolled steel, and mixtures thereof.
KR1020220112211A 2022-09-05 2022-09-05 BRACKET APPARATUS USED FOR AAU(Active Antenna Unit) POLE KR102647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211A KR102647840B1 (en) 2022-09-05 2022-09-05 BRACKET APPARATUS USED FOR AAU(Active Antenna Unit)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211A KR102647840B1 (en) 2022-09-05 2022-09-05 BRACKET APPARATUS USED FOR AAU(Active Antenna Unit) P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498A KR20240033498A (en) 2024-03-12
KR102647840B1 true KR102647840B1 (en) 2024-03-15

Family

ID=9027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211A KR102647840B1 (en) 2022-09-05 2022-09-05 BRACKET APPARATUS USED FOR AAU(Active Antenna Unit) 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4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60Y1 (en) 2006-07-13 2006-10-09 홍천희 Column connection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185B1 (en) * 2014-10-30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Mounting bracket set
KR20160071728A (en) 2014-12-12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Mounting bracket set for rru
KR200483337Y1 (en) * 2015-06-04 2017-04-2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x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60Y1 (en) 2006-07-13 2006-10-09 홍천희 Column connection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498A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93327A1 (en) Mounting assemblies for solar panel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1000775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ging solar panels from a horizontal support
US8893441B1 (en) Continuous load path construction beam
JPWO2013065130A1 (en) Solar cell module fixing structure
US6782668B2 (en) Roof-screen system
KR102074793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CN112726909A (en) Curved roof curtain wall system
CN106426541B (en) Precast beam reinforced bar binding tire film and precast beam reinforced bar construction technology
CN112081364A (en) Cantilever beam fixing structure, cantilever system and mounting method of cantilever beam
KR102647840B1 (en) BRACKET APPARATUS USED FOR AAU(Active Antenna Unit) POLE
KR101465504B1 (en) System for outer wall of building
CN105008642A (en) Door system
CN108049555B (en) Cantilever suspended ceiling and installation method
KR20200133497A (en) Solar Module of Magnetic Attachment Type
US20070144105A1 (en) Mounting bracket for roof-top structures
CN112627344B (en) Wood structure beam column connecting node installation method and assembly typ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N213448997U (en) Prefabricated shear wall of assembly type structure
CN205077743U (en) Interior gutter node construction system
KR20230010917A (en) Fixing device for roof-top tent and roof-top tent including same
CN210867045U (en) Support frame for cable bridge
CN106677404A (en) Integrated suspended ceiling and installation method
US9677291B2 (en) Turnbuckle clip for use with concrete forming products
CN219137979U (en) Building structure connecting piece
CN217984476U (en) Building safety lightning protection system
CN220171701U (en) Warning device for forest fire prev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