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782B1 -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 - Google Patents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782B1
KR102646782B1 KR1020220016774A KR20220016774A KR102646782B1 KR 102646782 B1 KR102646782 B1 KR 102646782B1 KR 1020220016774 A KR1020220016774 A KR 1020220016774A KR 20220016774 A KR20220016774 A KR 20220016774A KR 102646782 B1 KR102646782 B1 KR 102646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ler
area
gel cushion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332A (ko
Inventor
윤석균
박재욱
Original Assignee
윤석균
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균, 박재욱 filed Critical 윤석균
Priority to KR1020220016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782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5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liquid type, e.g. filled with water or g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쾌적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젤 쿠션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단위필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외부 공기의 유동이 용이하여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석하는 단위필러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체압 분산이 용이하여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GEL CUSHION AND CHAIR CUSH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쾌적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은 내부에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쿠션재를 삽입하고 외측에 커버를 씌워서 의자나 바닥에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사용된다.
장시간 의자에서 생활하는 학생, 컴퓨터 앞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직장인, 차를 장시간 운전하는 운전자들은 상기 쿠션재료로 제조된 방석을 사용하다 보면 허벅지와 사타구니 부분에 땀이 차서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몸무게가 엉덩이 부분에 집중되어 통증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으면 피로감을 느끼게 되면서 목과 어깨 및 허리에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종래의 대부분의 방석들은 공기 순환이 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면 형상이 원래 형상으로 복구되지 않아 방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665931호 (2007.01.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쾌적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 쿠션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단위필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동일한 영역에 형성된 단위필러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영역에 형성된 단위필러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사용자가 착석시 엉덩이 부위가 안착되는 제1 영역; 사용자가 착석시 허벅지 부위가 안착되는 제2 영역; 및 사용자가 착석시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의 양측이 안착되는 제3 영역;으로 구획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단위필러는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단위필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필러의 단면적은 상기 제2 단위필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위필러는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된 제3 단위필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위필러의 단면적은 상기 제2 단위필러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 쿠션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상기 단위필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의 사이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의 사이에 형성되어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필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를 구획하고, 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구획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위필러는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삼각형의 꼭지점이 근접하여 배치되는 단위필러들은 함께 육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 쿠션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상기 단위필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중심을 가로질러 형성된 보조 격벽필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필러와 상기 보조 격벽필러는 이웃하는 단위필러와 이격 배치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쿠션은, 의자의 좌판부와 등판부에 각각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의자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좌판부에 배치되고,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젤 쿠션으로 마련된 좌판부 젤 쿠션; 및 상기 등판부에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복수의 단위필러가 자유단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되 서로 이격 배치된 등판부 젤 쿠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에 따르면, 외부 공기의 유동이 용이하여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석하는 단위필러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체압 분산이 용이하여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석하는 단위필러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앉아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좌판부 젤 쿠션을 의자의 좌판부에 배치하고, 등판부 젤 쿠션을 의자의 등판부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장시간 앉아있어도 편안함과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쿠션에서 등판부 젤 쿠션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쿠션이 의자에 배치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쿠션이 의자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젤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젤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 쿠션(100)은 실리콘, 고무, 우레탄 또는 수지 등의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특정 형상을 가지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작된다. 이러한, 상기 젤 쿠션(100)은 의자, 소파 또는 실내바닥 등에서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젤 쿠션(100)에 착좌하면 사용자의 체압(body pressure)에 의해 상기 젤 쿠션(100)이 변형되고, 사용자가 상기 젤 쿠션(100)에서 이탈하면 원래 형상으로 탄성 복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젤 쿠션(10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단위필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필러(120)는 자유단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다.
즉, 상기 단위필러(120)는 중공을 가지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돌출된 단부는 폐쇄되어 자유단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연결된 부분의 배면은 개방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사용자가 상기 단위필러(120)에 앉으면 체압에 의해 상기 단위필러(120)가 가압되면, 상기 단위필러(120)의 자체 탄성력과 상기 단위필러(12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사용자에게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필러(120)는 복수로 구비되고, 단위필러(120)와 단위필러(120) 사이에 갭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형태로, 각각의 단위필러(120)는 착좌하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가압 변형되므로, 사용자 신체의 형태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형 가능하여 보다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필러(120)는 갭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어 단위필러(120)와 단위필러(120) 사이의 갭을 통하여 공기가 전체 면적을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젤 쿠션(100)에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착좌하면 각각의 단위필러(120)는 수직한 방향으로만 압력을 받아서 수직한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면 단위필러(120)들이 사용자의 자세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함께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단위필러(120)가 기울어진 것을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되고, 본인의 자세가 흐트러진 것을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바른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동일한 영역에 형성된 단위필러(120)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영역에 형성된 단위필러(120)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용자가 착석시 엉덩이 부위가 안착되는 제1 영역(111)과, 사용자가 착석시 허벅지 부위가 안착되는 제2 영역(112), 그리고 사용자가 착석시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의 양측이 안착되는 제3 영역(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영역(113)은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111)에 형성된 제1 단위필러(121)는 상기 제2 영역(112)에 형성된 제2 단위필러(12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필러(121)의 단면적이 상기 제2 단위필러(12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면적은 단위필러의 높이 방향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잘려진 단위필러의 단면적이다. 즉, 도 2의 평면도를 통하여 보여지는 평면에 대한 단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영역(111)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가 안착되는 영역으로 체압이 집중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가 안착되는 상기 제2 영역(112)보다 높은 하중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영역(111)에는 단위필러의 수를 증가시켜 최대한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영역(111)에 보다 많은 수의 단위필러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 단위필러(121)의 단면적이 상기 제2 단위필러(12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단위필러(121)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바른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위필러(122)는 상기 제3 영역(113)에 형성된 제3 단위필러(12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위필러(123)의 단면적은 상기 제2 단위필러(122)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단위필러(123)는 사용자가 착석시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의 양측이 안착되므로,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다른 영역의 단위필러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됨에 따라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위필러(120)는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확대 도면을 참조하면, 삼각형의 꼭지점이 근접하여 배치되는 단위필러들은 함께 육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삼각형인 단위필러(120)의 한변은 이웃하는 단위필러의 한변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즉, 단위필러(120)의 세변은 각각 이웃하는 세개의 단위필러의 한변과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구획홈(150)에 의해 영역이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3 영역(113)은 격벽필러(130)에 의해 영역이 구분된다.
상기 구획홈(150)은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 사이를 구획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 사이로 유동할 수 있도록 홈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홈(150)은 양측단이 외부와 연통되어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구획홈(150)을 따라서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단위필러(120)들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격벽필러(1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상기 단위필러(1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3 영역(113)의 사이 및 상기 제2 영역(112)과 상기 제3 영역(113)의 사이에서 바(bar)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각 영역을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중심을 가로질러 형성된 보조 격벽필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상기 단위필러(1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는 상기 격벽필러(130)와 동일하게 바(bar)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필러(130)와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는 상기 단위필러(120)와 동일하게 중공을 가지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연결된 부분의 배면은 개방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사용자가 상기 격벽필러(130)와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에 앉으면 체압에 의해 상기 단위필러(120)와 함께 상기 격벽필러(130)와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도 가압되면, 상기 격벽필러(130)와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의 자체 탄성력과 상기 격벽필러(130)와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사용자에게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한다.
상기 격벽필러(130)와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는 이웃하는 단위필러(120)와 이격 배치되고, 그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홈(16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유로홈(160)은 상기 격벽필러(130)와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홈(16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은 외부와 연통되어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유로홈(160)을 따라서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단위필러(120)들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위필러(120)을 지지하는 지지필러(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필러(17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단위필러(120)가 가압 변형되는 경우에 상기 단위필러(12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젤 쿠션(100)은 외부 공기의 유동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착석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석하는 단위필러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체압 분산이 용이하여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단위필러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앉아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단위필러(120)는, 도 2의 확대도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돌출 형성된 자유단의 모서리 부분의 외측 부분과 내측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 부분의 곡률반경이 외측 부분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위필러(120)는 전체 형상을 이루는 부분의 두께(t1)보다 라운드지게 형성된 모서리 부분의 두께(t2)가 더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단위필러(120)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모서리 부분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필러(120)의 모서리 부분에서 내측 부분의 곡률반경이 외측 부분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사출성형에 의한 제조시에 금형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필러(130), 상기 보조 격벽필러(140), 그리고 상기 지지필러(170)도 돌출 형성된 자유단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단위필러(120)와 동일한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쿠션에서 등판부 젤 쿠션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의자용 쿠션이 의자에 배치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의자용 쿠션이 의자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쿠션은 의자(10)의 좌판부(11)와 등판부(12)에 각각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 좌식 의자를 도시하였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자용 쿠션은 어떠한 형태의 의자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자용 쿠션은 상기 좌판부(11)에 배치되는 좌판부 젤 쿠션(100)과, 상기 등판부(12)에 배치되는 등판부 젤 쿠션(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판부 젤 쿠션(1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젤 쿠션(100)과 동일한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등판부 젤 쿠션(200)은 상기 좌판부 젤 쿠션(100)과 동일하게 실리콘, 고무, 우레탄 또는 수지 등의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복수의 단위필러(120)를 가지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작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등판부 젤 쿠션(200)에 기대면 사용자의 체압(body pressure)에 의해 상기 등판부 젤 쿠션(200)이 변형되고, 사용자가 상기 등판부 젤 쿠션(200)에서 이탈하면 원래 형상으로 탄성 복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판부 젤 쿠션(20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단위필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필러(220)는 상기 좌판부 젤 쿠션(100)에 형성된 단위필러(120)와 동일하게 자유단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서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필러(220)도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삼각형의 꼭지점이 근접하여 배치되는 단위필러들은 함께 육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삼각형인 단위필러(220)의 한변은 이웃하는 단위필러의 한변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즉, 단위필러(220)의 세변은 각각 이웃하는 세개의 단위필러의 한변과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단위필러(2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필러(230)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필러(230)의 양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홈(2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등판부 젤 쿠션(200)에 기대고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유로홈(240)을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단위필러(220)들 사이로 유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위필러(220)을 지지하는 지지필러(2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필러(2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단위필러(220)가 가압 변형되는 경우에 상기 단위필러(22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젤 쿠션, 좌판부 젤 쿠션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1 : 제1 영역 112 : 제2 영역
113 : 제3 영역 120 : 단위필러
121 : 제1 단위필러 122 : 제2 단위필러
123 : 제3 단위필러 130 : 격벽필러
140 : 보조 격벽필러 150 : 구획홈
160 : 유로홈 170 : 지지필러
200 : 등판부 젤 쿠션 210 : 베이스 플레이트
220 : 단위필러 230 : 격벽필러
240 : 유로홈 250 : 지지필러

Claims (10)

  1.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젤 쿠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단위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동일한 영역에 형성된 단위필러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영역에 형성된 단위필러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단위필러는 중공을 가지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돌출된 단부는 폐쇄되어 자유단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된 부분은 개방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형성되며,
    복수의 단위필러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갭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사용자가 착석시 엉덩이 부위가 안착되는 제1 영역;
    사용자가 착석시 허벅지 부위가 안착되는 제2 영역; 및
    사용자가 착석시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의 양측이 안착되는 제3 영역;
    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쿠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단위필러는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단위필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필러의 단면적은 상기 제2 단위필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쿠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필러는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된 제3 단위필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위필러의 단면적은 상기 제2 단위필러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쿠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상기 단위필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의 사이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의 사이에 형성되어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필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쿠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를 구획하고, 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구획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쿠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필러는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삼각형의 꼭지점이 근접하여 배치되는 단위필러들은 함께 육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쿠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상기 단위필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중심을 가로질러 형성된 보조 격벽필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쿠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필러와 상기 보조 격벽필러는 이웃하는 단위필러와 이격 배치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쿠션.
  10. 의자의 좌판부와 등판부에 각각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의자용 쿠션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에 배치되고, 제1항의 젤 쿠션으로 마련된 좌판부 젤 쿠션; 및
    상기 등판부에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복수의 단위필러가 자유단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되 서로 이격 배치된 등판부 젤 쿠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쿠션.
KR1020220016774A 2022-02-09 2022-02-09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 KR102646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774A KR102646782B1 (ko) 2022-02-09 2022-02-09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774A KR102646782B1 (ko) 2022-02-09 2022-02-09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332A KR20230120332A (ko) 2023-08-17
KR102646782B1 true KR102646782B1 (ko) 2024-03-11

Family

ID=8780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774A KR102646782B1 (ko) 2022-02-09 2022-02-09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7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111B2 (ja) * 1992-08-24 2001-09-25 京セラ株式会社 留守中録音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493915Y1 (ko) * 2020-12-14 2021-06-28 (주)디에스피 좌식의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931B1 (ko) 2006-07-26 2007-01-09 김용진 의자 방석
JP3211111U (ja) * 2017-04-14 2017-06-22 日本ジェル株式会社 立体格子状クッション
KR102173497B1 (ko) * 2018-07-25 2020-11-03 주식회사 불스원 골반 시트
KR20200093789A (ko) * 2019-01-29 2020-08-06 신동주 쿠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방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111B2 (ja) * 1992-08-24 2001-09-25 京セラ株式会社 留守中録音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493915Y1 (ko) * 2020-12-14 2021-06-28 (주)디에스피 좌식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332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4821C (en) Multi-layer cushion and cover
EP3815577A1 (en) Breathable cushion
US3463547A (en) Flexible chair seat
US8113582B2 (en) Chair cushion
US6726285B2 (en) Cellular chair construction
JP2021023544A (ja) 着座用クッション体
KR102265263B1 (ko) 에어셀 쿠션
JP7427606B2 (ja) クッション材、クッション材の製造方法、及び、座席シート
KR20200093789A (ko) 쿠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방석
KR102646782B1 (ko)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
US3193328A (en) Foam cushions and seating structures
JP6059692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200421474Y1 (ko) 에어 셀과 에어 박스로 구성된 욕창 치질 방지용 입체 방석
KR102012277B1 (ko)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KR101082517B1 (ko) 에어분출 의자 시트
JPH1033302A (ja) 椅子の弾性シェル構造
JPH0537805Y2 (ko)
KR20230120333A (ko) 젤 쿠션용 고정클립
JP3167964U (ja) 車椅子用クッション
KR102661446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JP2002330843A (ja) 椅子の弾性シェル構造
US11700944B2 (en) Support apparatus
KR200460471Y1 (ko) 의자용 좌판
KR200434765Y1 (ko) 요추받침기능을 구비한 의자
TWM511843U (zh) 提臀塑型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