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553B1 -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553B1
KR102646553B1 KR1020220056390A KR20220056390A KR102646553B1 KR 102646553 B1 KR102646553 B1 KR 102646553B1 KR 1020220056390 A KR1020220056390 A KR 1020220056390A KR 20220056390 A KR20220056390 A KR 20220056390A KR 102646553 B1 KR102646553 B1 KR 10264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data
ffe
pos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4251A (ko
Inventor
채주형
최병두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56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553B1/ko
Publication of KR2023016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114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non-adaptive, i.e. not adjustable, manually adjustable, or adjustable only during the reception of special signals
    • H04L25/03133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non-adaptive, i.e. not adjustable, manually adjustable, or adjustable only during the reception of special signals with a non-recursive structure
    • H04L25/0314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non-adaptive, i.e. not adjustable, manually adjustable, or adjustable only during the reception of special signals with a non-recursive structure using fractionally spaced delay lines or combinations of fractionally integrally spaced t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6Arrangements for providing Galvanic isolation, e.g. by means of magnetic or capaci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8Arrangements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8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nd
    • H04L25/0282Provision for current-mod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대해 전이비트 데이터와 비전이비트 데이터로 분리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FFE 콘트롤러;
상기 FFE 콘트롤러로부터 처리된 전이데이터 신호에 대해 임피이턴스 매칭 처리를 포함하여 전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탭 드라이버;
상기 FFE 콘트롤러로부터 처리된 비전이데이터 신호에 대해 임피이턴스 매칭 처리를 포함하여 전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포스트-탭 드라이버;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에 공급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공급전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에 접지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공급전압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Transmitter equalization device based voltage regulation}
본 발명은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중심 시대의 도래와 함께 가상현실, 클라우드 서비스, 고성능 컴퓨팅, 자율주행차 등 많은 신기술이 머신러닝이나 딥러닝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또한 방대한 데이터에서 핵심 속성을 추출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최근 경향은 입/출력(I/O) 대역폭의 확장을 요구하기 때문에 전기 링크는 고대역폭, 고 견고성 및 에너지 효율적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광범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달성하는 하나의 방법은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으로 핀(pin)당 데이터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채널의 주파수 종속적 삽입 손실은 핀당 증가하는 데이터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로에서 주파수에 의한 지연 특성이나 진폭 특성의 차이로 생기는 파형 일그러짐을 보정 회로에 의해 감소시키는 등화 기술(equalization techniques)이 필요하다. 최근 전기 링크의 응용 프로그램과 환경이 더 다양하기 때문에 채널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 또는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의 Nyquist 주파수에서 다양한 삽입 손실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채널 조건에 대처하기 위해 탭 계수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feed-forward equalization(이하 'FFE' 라 함)를 사용하는 송신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엠퍼시스(de-emphasis) 또는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와 같은 전압 영역의 FFE는 설계 및 테스트의 단순성으로 인해 송신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 FFE가 전류 모드 드라이버 또는 저전압 차동 신호 드라이버에 사용될 때 탭 계수는 일반적으로 바이어스 전류에 의해 제어되어 고해상도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FFE 선형성은 MOS 트랜지스터 기반 비선형 전류원으로 인해 저하될 수 있으며, FFE 범위는 포화 영업 마진으로 인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드라이버는 FFE 과정에서 short current 경로가 발생되며, 비전이 비트 전송시 임피던스 매칭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파워 및 전력소모가 커서 전압 모드 드라이버보다 에너지 효율이 더 낮게 된다. 한편, 전압 모드 드라이버에서 FFE를 구현하면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으나, 전압 모드 드라이버에서 이퀄라제이션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출력 드라이버 분할은 FFE 분해능을 제한하고 라우팅 혼잡을 유발하며 사전 드라이버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압 모드 설계를 단일 설계로 다양한 채널 환경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즉, 응용에 따라 설계 방법론이나 프로세스 노드를 재설계하여 수정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전류 모드 드라이버와 동일하게 FFE 과정에서 short current 경로가 발생되며, 비전이 비트 전송시 임피던스 매칭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19/0156049A1 (Voltage regulator with feed-forward circui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2020-0079807A (데이터 송신회로)
[1] H. Ko, M. Kim, H. Park, S. Lee, J. Kim, S. Kim, and J.-H. Chae, "A controller PHY for managed DRAM solution with damping-resistor- aided pulse-based feed-forward equalizer" IEEE J. Solid-State Circuits, vol. 56, no. 8, pp. 2563-2573, Aug. 2021. [2] A.M. Ionescu, "Energy efcient computing and sensing in the zettabyteera: From silicon to the cloud" in IEDM Tech. Dig. Dec2017, pp. 1-2. [3] S. Ghose, A. Boroumand, J. S. Kim, J. Gomez-Luna, and O. Mutlu, "Processing-in-memory: A workload-driven perspective" IBM J. Res. Develop., vol. 63, no6, pp. 1-19, Nov. 2019. [4] J. Kim, A. Balankutty, and R. Dokania, "A 112 Gb/s PAM-4 56 Gb/s NRZ recongurable transmitter with three-tap FFE in 10-nm FinFET" IEEE J. Solid-State Circuits, vol. 54, no. 1, pp. 29-42, Jan. 2019. [5] J.-H. Chae, Y.-U. Jeong, and S. Kim, "Data-dependent selection of amplitude and phase equalization in a quarter-rate transmitter for memory interfaces," IEEE Trans. Circuits Syst. I, Reg. Papers, vol. 67, no. 9, pp. 2972-2983, Sep. 2020. [6] J.-H. Chae, M. Kim, G.-M. Hong, J. Park, and S. Kim, "A 3.2 Gb/s 16-channel transmitter for intra-panel interfaces,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output swing, common-mode voltage, and equalization," IEEE Access, vol. 6, pp. 78055-78064, 2018. [7] S.-Y. Kao and S.-I. Liu, "A 20-Gb/s transmitter with adaptive preemphasis in 65-nm CMOS technology," IEEE Trans. Circuits Syst. II, Exp. Briefs, vol. 57, no. 5, pp. 319-323, May 2010. [8] M. Erett, J. Hudner, D. Carey, R. Casey, K. Geary, K. Hearne, P. Neto, T. Mallard, V. Sooden, M. Smyth, Y. Frans, J. Im, P. Upadhyaya, W. Zhang, W. Lin, B. Xu, and K. Chang, "A 0.5-16.3 GBps multi-standard serial transceiver with 219 mW/channel in 16-nm FinFET," IEEE J. Solid-State Circuits, vol. 52, no. 7, pp. 1783-1797, Jul. 2017. [9] B. Zhang, K. Khanoyan, H. Hatamkhani, H. Tong, K. Hu, S. Fallahi, K. Vakilian, and A. Brewster, "3.1 a 28 Gb/s multi-standard serial-link transceiver for backplane applications in 28 nm CMOS," in IEEE ISSCC Dig. Tech. Papers, Feb. 2015, pp. 52-54. [10]W. Bae, H. Ju, K. Park, J. Han, and D.-K. Jeong, "A supply-scalable- serializing transmitter with controllable output swing and equalization for next-generation standard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5, no. 7, pp. 5979-5989, Jul. 2018. [11] M. Ramezani, M. Abdalla, A. Shoval, M. Van Ierssel, A. Rezayee, A. McLaren, C. Holdenried, J. Pham, E. So, D. Cassan, and S. Sadr, "An 8.4 mW/Gb/s 4-lane 48 Gb/s multi-standard-compliant transceiver in 40 nm digital CMOS technology," in IEEE ISSCC Dig. Tech. Papers, Feb. 2011, pp. 352-354. [12] K. L. Chan, K. H. Tan, and Y. Frans, "A 32.75-Gb/s voltage-mode transmitter with three-tap FFE in 16-nm CMOS," IEEE J. Solid-State Circuits, vol. 52, no. 12, pp. 29-42, Oct. 2019. [13] W.-J. Su and S.-I. Liu, "A 5 Gb/s voltage-mode transmitter using adaptive time-based de-emphasis," IEEE Trans. Circuits Syst. I, Reg. Papers, vol. 64, no. 4, pp. 959-968, Apr. 2017. [14] M. Kossel, C. Menol, and J. Weiss, "A T-coil-enhanced 8.5 Gb/s high- swing SST transmitter in 65nm bulk CMOS with 16 dB return loss over 10 GHz bandwidth,’’ IEEE J. Solid-State Circuits, vol. 43, no. 12, pp. 2905-2920, Dec. 2008. [15] H. Hatamkhani, K.-L. J. Wong, R. Drost, and C.-K. K. Yang, "A 10 mW 3.6 Gbps I/O transmitter," in VLSI Circuits Symp. Dig. 2003, pp. 97-98. [16] S.-G. Kim,T. Kim, D.-H. Kwon,and W.-Y. Choi, "A 5-8 Gbps low-power transmitter with 2-tap pre-emphasis based on toggling serialization," in Proc.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 Conf. (ASSCC), Nov. 2016, pp. 249-252. [17] W. D. Dettloff, J. C. Eble, L. Luo, P. Kumar, F. Heaton, T. Stone, and B. Daly, "A 32mW 7.4Gb/s protocol-agile source-series-terminated transmitter in 45 nm CMOS SOI," in IEEE ISSCC Dig. Tech. Papers, Feb. 2010, pp. 370-371. [18] A. Amirkhany, J. Wei, N. Mishra, and J. Shen, "A 12.8-Gb/s/link tri-modal single-ended memory interface," IEEE J. Solid-State Circuits, vol. 47, no. 4, pp. 911-925, Apr. 2012. [19] Y.-H. Song and S. Palermo, "A 6-Gbit/s hybrid voltage-mode transmitter with current-mode equalization in 90-nm CMOS," IEEE Trans. Circuits Syst. II, Exp. Briefs, vol. 59, no. 8, pp. 491-495, Aug. 2012. [20] B. Leibowitz, R. Palmer, J. Poulton, Y. Frans, S. Li, J. Wilson, M. Bucher, A. M. Fuller, J. Eyles, M. Aleksic, T. Greer, and N. M. Nguyen, "A 4.3 GB/s mobile memory interface with power-efcient bandwidth scaling," IEEE J. Solid-State Circuits, vol. 45, no. 4, pp. 889-898, Apr. 2010. [21] R. Inti, A. Elshazly, B. Young, W. Yin, M. Kossel, T. Toi, and P. K. Hanumolu, "A highly digital 0.5-to-4 Gb/s 1.9 mW/Gb/s serial-link transceiver using current-recycling in 90 nm CMOS," in IEEE ISSCC Dig. Tech. Papers, Feb. 2011, pp. 152-15.
본 발명의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이 비트 데이터와 비전이 비트 데이터로 분리하여 신호처리를 함으로써, 모든 데이터 비트에서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저질 수 있는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대해 전이비트 데이터와 비전이비트 데이터로 분리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FFE 컨트롤러; 상기 FFE 컨트롤러로부터 처리된 전이데이터 신호에 대해 임피던스 매칭 처리를 포함하여 전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탭 드라이버; 상기 FFE 컨트롤러로부터 처리된 비전이데이터 신호에 대해 임피던스 매칭 처리를 포함하여 전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포스트-탭 드라이버;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에 공급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공급전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에 접지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접지전압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FE 컨트롤러는, 단일 종단신호(Single-ended)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차동신호(differential)로 변환하는 S-to-D 컨버터; 상기 S-to-D 컨버터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전이 데이터와 비전이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 및 상기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코드에 맞추어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 셀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전압 레귤레이터는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를 위한 메인-탭 공급전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포스트-탭 드라이버를 위한 포스트-탭 공급전압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접지전압 레귤레이터는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를 위한 메인-탭 접지전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포스트-탭 드라이버를 위한 포스트-탭 접지전압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또한, 상기 S-to-D 컨버터는 전송 데이터 신호(DIN[n]) 및 1-UI(unit Interval) 지연 데이터 신호 DIN[n-1]가 입력이 되면, 차동 데이터 신호 D[n], Db[n], D[n-1] 및 Db[n-1]를 생성시키고, 상기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는 상기 차동 데이터 신호로부터 2개의 전이데이터 신호(Dmain, Dbmain) 및 2개의 비전이 데이터 신호(Dpost 및 Dbpost)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전압 레귤레이터는 0.05[V] 분해능을 가지며, 0.6[V] 이상 0.8[V] 이하의 범위에서 공급전압을 조정 제어하고, 상기 접지전압 레귤레이터는 0.2[V] 이상 0.4[V] 이하의 범위에서 접지전압을 조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와 포스트-탭 드라이버는 동시에 작동되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그리고 한 번에 하나의 드라이버만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전압 레귤레이터는 소형 온-칩 MOSCAP 커패시터 및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상기 공급전압 레귤레이터 및 접지전압 레귤레이터에서 생성되는 전압으로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 레벨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하는 임피던스 코드를 선택하는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피던스 켈리브레이션부에서 상기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하는 임피던스 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코드를 상기 데이터 셀렉터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셀렉터에서는 상기 검색된 코드에 의해 turns-on 된 드라이버 레그를 판단하여 변조된 데이터신호를 상기 turns-on된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상기 임피던스 코드에 의해 온-저항을 조정하여 저항 분할을 통해 제1출력 전압(VCALP/N)을 생성하고, 상기 제1출력 전압은 비교기에서 기준 전압(VREFP/N)과 비교되어 상기 제1출력 전압 레벨이 기준전압(VREFP/N)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비교기에서 STOP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임피던스 코드는 상기 데이터 셀렉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적용한 송신기 장치는, 입력신호에 대해 의사난수 이진 시퀀스 병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의사난수 이진 시퀀스 생성기; 상기 병렬 데이터 신호에 대해 병렬-직렬 변환을 수행하여 풀-레이트 데이터신호(DIN[n])를 생성하는 직렬변환기와 상기 풀-레이트 데이터신호 DIN[n]에 대해 1-UI 지연된 지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래치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부;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클록 송신부; 및 채널 임피던스와 임피던스의 매칭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는,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의 온-저항을 독립적으로 교정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탭 P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 및 메인-탭 N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와, 상기 포스트-탭 드라이버의 온-저항을 교정 기능을 수행하는 포스트-탭 P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 및 포스트-탭 N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의 4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교정 기능은 각 채널 임피던스와 임피던스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교정 기능 동작은 데이터 전송 중에는 작동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송신기 장치는 전이 데이터 및 비전이 데이터 전송의 임피던스 정합으로 유연한 FFE 조정을 달성할 수 있어서, 우수한 온-저항 및 반사 손실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 FEE 송신기 장치에 비하여 short current 경로가 제거되어 전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듀얼 모드의 전원공급 레귤레이터 및 접지전압 공급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유연한 2-탭 FFE 조정이 가능한 전압 모드 송신기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입력된 신호 데이터를 FFE 컨트롤러를 통하여 전이비트(Transition Bit)와 비전이비트(Non-Transition Bit)의 데이터로 분리 처리하여 각 Equalizer 블록에 전달하는 회로를 채택함으로써, FFE 작동에서 short current 경로가 제거되어 전력 소모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각각 Impedance 교정(Calibration)이 가능하고, 모든 데이터 비트에서 Impedance 매칭(Matching)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급전압(VDD) 레귤레이터 및 접지전압(VSS) 레귤레이터에서 조절된 공급전압/접지 전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FFE 장치와 비하여 FFE 탭 계수의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고, 설계 과정에서 FFE 해상도와 범위 대상을 더 효과적으로 넓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류 모드 드라이버의 2-탭 FFE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전압 모드 드라이버의 FEE 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다양한 2-탭 FEE 장치에서의 온-저항 조정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의 입력 및 출력 신호의 예에 대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적용한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 시제품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에서 최상의 케이스, 일반적 케이스 및 최악 케이스의 포스트 레이아웃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소형 온-칩 MOSFET 커패시터(MOSCAP) 및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VDD 레귤레이터 및 (b) 소형 온-칩 MOSCAP 및 부하 전류 보상 회로를 사용하는 VDD 레귤레이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두 가지 유형에서 조정된 공급전압/접지전압과 부하전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VDD 레귤레이터 및 (b) VSS 레귤레이터에서 PSRR(Power Supply Rejection Ratio)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에서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에서 시뮬레이션된 작동 파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적용한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의 시제품에 대한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와 비교하기 위한 종래의 2-탭 FFE 회로를 적용한 송신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종래 송신기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적용한 FEE 송신기 장치의 구현에서 출력 드라이버의 시뮬레이션된 평균 전류 소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a) 종래 송신기 장치와 (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에서 공통 모드 전압과 전압 스윙 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a) 종래 FFE 송신기 장치 및 (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시뮬레이션된 최악의 온-저항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3개의 코너 케이스에서 시뮬레이션된 평균 PMOS 및 NMOS 온-저항(Ron,p Ron,n)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a) 종래 FFE 송신기 장치 및 (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FFE 계수에 따른 전이데이터 및 비전이데이터의 시뮬레이션된 차동 모드 반사 손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세 코너 케이스에서 시뮬레이션된 평균 차동모드 반사손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a) 종래 FFE 송신기 장치 및 (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FFE 강도에 따른 출력 고전압 및 저전압 레벨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a)아이 다이어그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설정 및 (b)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4개 채널환경에 대한 삽입손실 플롯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도 22에 따른 채널환경에 대한 시뮬레이션된 차동 아이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소비전력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공급전압 전압조정기 및 접지전압 전압조정기의 듀얼모드 전압조정기를 사용하여 유연한 2-탭 FFE 조정이 가능한 전압 모드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의 FFE 데이터 변조기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이비트부와 비전이비트부로 나누어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이비트 데이터는 메인-탭 공급전압(VDD)/접지전압(VSS) 레귤레이터가 있는 메인-탭 드라이버로 전달되고, 비전이비트 데이터는 포스트-탭 VDD/VSS 레귤레이터가 있는 포스트-탭 드라이버로 전달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종래의 송신장치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① FFE 작동에서 short current 경로를 제거하여 종래에 비하여 전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② 드레인-소스 전압 레벨(Vds) 변화를 고려하여 메인-탭과 포스트-탭 드라이버에 대해 별도의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를 사용함으로써 비전이비트 데이터 전송의 경우에도 출력 임피던스가 채널 임피던스와 매칭이 잘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더 나은 온-저항 특성 및 반사 손실 특성을 제공하여 신호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VDD 전압조정기 및 VSS 전압조정기를 조절하여 FFE 강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출력 전압 스윙 및 공통 모드 전압과 같은 출력 특성을 전원 공급 장치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유연한 FFE 강도 조정과 출력 특성의 독립적인 제어 기능을 갖춘 송신기는 여러 표준 및 채널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송신기 설계에서 2-탭 FFE는 전류 또는 전압 모드 드라이버에 통합하려는 시도가 연구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전류 모드 드라이버의 2-탭 FFE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FFE 계수는 메인-탭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에 할당된 후단 전류 Imain 및 Ipost의 비율을 제어하여 조정될 수 있다[비특허문헌[7] 참조]. 도 1의 FEE 장치에서는 이렇게 하여 해상도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전류원의 트랜지스터는 트랜지스터의 저항이 큰 포화 영역에서 작동해야 하므로 수동 저항 R의 값이 출력 온-저항을 결정한다. 따라서 도 1의 FEE 장치에서는 채널 임피던스 매칭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구현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모든 데이터 전송에서 정적 전류 소비가 발생한다. 출력 신호가 공급전압(VDD) 또는 접지전압(VSS)을 참조해야 하기 때문에 공통 모드 전압을 조정하면 출력 스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2는 종래 전압 모드 드라이버의 FEE 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데이터 D[n]과 1단위 간격 지연 반전 데이터 Db[n-1]을 사용하여 비전이 데이터의 전송 시 VDD에서 VSS로의 short current 경로(오른쪽 그림의 음영 참조)를 만들게 된다(비특허문헌[15] 참조). 이는 전체 전력 소비를 상당히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토글링 직렬화[비특허문헌[16] 참조] 사용하는 FFE는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를 구현하고 short current 경로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FFE를 구현하려면 도 2(b) 우측 그림과 같이 부스팅 전류(음영 표시된 것 참조)가 필요하며 이는 전체 전류 소비를 개선에 악영향을 미친다. 하지 않습니다. 또한, 비전이 데이터 전송 동안의 Vds 변화는 부스팅 전류의 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3은 종래 다양한 2-탭 FEE 장치에서의 온-저항 조정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디지털 선택에 의한 2-탭 FEE 장치에서의 온-저항 조정을 나타내며(비특허문헌[17, 18] 참조), 도 3b는 게이트-소스 전압에 의한 2-탭 FEE 장치에서의 온-저항 조정을 나타내고(비특허문헌[19] 참조), 도 3c는 공급전압 전압조정기] 제어에 의한 2-탭 FFE 설계의 온-저항 조정을 나타낸다(비특허문헌[20], [21] 참조).
도 3을 참조하면, 2-탭 FFE가 있는 전압 모드 드라이버에서 출력 드라이버가 켜졌을 때 출력 저항인 온-저항은 트랜지스터(도 3(a))의 수, 게이트-소스 전압(그림 3(b)), 또는 전치 드라이버와 그 출력 드라이버의 공급 전압(그림 3(c))을 제어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모드 드라이버는 FFE를 구현하기 위해 출력 드라이버의 분할이 필요하게 된다. FFE 강도 조정은 간단한, FFE 분해능 및 제어 범위는 총 세그먼트 수에 따라 다르다. 많은 수의 세그먼트는 FFE 분해능을 증가시켜 불균일한 FFE 분해능, 라우팅 혼잡, 상당한 프리 드라이버 전류(pre-driver current) 및 넓은 영역을 초래할 수 있다.
전류 모드 설계의 경우와 유사하게 출력 스윙은 공급전압(VDD) 전위 또는 접지전압(VSS) 전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공통 모드 전압과 출력 스윙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1)는 공급전압 레귤레이터(151) 및 접지전압 레귤레이터(156)의 듀얼모드 전압 조정을 사용하여 2-탭 FFE를 포함하는 있는 전압 모드 드라이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1)는 단일 종단신호(Single-ended)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차동신호(differential)로 변환하는 S-to-D 컨버터(111), 상기 S-to-D 컨버터(111)에서 변환된 신호를 전이비트 데이터와 비전이비트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112) 및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112)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코드에 맞추어 메인-탭 드라이버(181)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182)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 셀렉터(113)를 포함하는 FFE 컨트롤러(110), 상기 데이터 셀렉터(113)에서 출력된 전이데이터 신호 및 비전이 데이터신호에 대해 임피던스 매칭 처리 기능을 포함하여 회로를 구동시켜서 전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탭 드라이버(181)와 포스트-탭 드라이버(182),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181)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182)에 공급전압(VDD)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급전압 레귤레이터(151) 및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181)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182)에 접지전압(VSS)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접지전압 레귤레이터(15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셀렉터(113)는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에서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코드(ZN, ZP)가 전송되면 그 코드에 맞춰 특정 출력 드라이버 셀로 데이터를 전달해 주는 기능을 포함한다. 즉, 데이터 셀렉터(113)는 출력 드라이버의 임피던스 매칭 특성을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공급전압 레귤레이터(151) 및 접지전압 레귤레이터(156)는 공급전압/접지전압(VDD/VSS)의 값을 조정해주는 회로이며, 해당 회로에서 만들어지는 VDD/VSS 전압 값을 통해 Feed-Forward Equalizer의 출력 레벨이 결정되며 따라서 전체적인 Equalizer의 성능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급전압 레귤레이터(151) 및 접지전압 레귤레이터(156)는 메인-탭 드라이버(181)를 위한 Main-Tap VDD 레귤레이터(151M) 및 Main-Tap VSS 레귤레이터(156M)와 포스트- 탭 드라이버(182)를 위한 Post-Tap VDD 레귤레이터(151P) 및 Post-Tap VSS 레귤레이터(156P)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전이데이터(Transition Bit)는 메인-탭(Main-Tap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며, 비전이데이터(Non-Transition Bit)는 포스트- 탭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드라이버의 최종 출력 파형에서 VDD/VSS Regulator에서 생성되는 전압의 값에 따라 Main-Tap과 Post-Tap의 각 전압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full 전송 데이터 신호 DIN[n] 및 1-UI(unit Interval) 지연 데이터 신호 DIN[n-1]가 S-to-D 컨버터(111)로 입력된다. 입력된 데이터 신호는 S-to-D 컨버터(111)에서 차동 데이터 신호 D[n], Db[n], D[n-1] 및 Db[n-1]이 생성된다. 이러한 차동 신호를 사용하여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112)는 2개의 전이데이터 및 2개의 비전이 데이터 신호, 즉 Dmain, Dbmain, Dpost 및 Dbpost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의 입력 및 출력 신호의 예에 대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112) 동작의 타이밍 다이어그램과 이러한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는 송신기의 차동 출력 신호를 보여준다.
도 5에서 상단으로부터 4단의 신호는 S-to-D 컨버터(111)에서 생성되어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112)에 입력되는 차동 데이터 신호 D[n], Db[n], D[n-1] 및 Db[n-1]를 나타낸다.
그 다음 Dmain, Dbmain, Dpost 및 Dbpost 신호는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112)에 의해 전이비트 신호(Transition Bit), 비전이비트 신호(Non-Transition Bit)로 나누어진 데이터신호를 나타낸다.
도 5의 다이어그램에서 색으로 채원진 원은 전이비트 데이터를 나타내고 빈 원은 비전이비트 데이터를 나타낸다. Dmain 및 Dbmain 신호는 차동 출력 신호의 0에서 1 및 1에서 0으로의 전이비트 데이터(transition data) 신호를 나타내고 Dpost 및 Dbpost 신호는 차동 출력 신호의 비전이비트 데이터 신호 "0" 및 비전이비트 데이터 신호 "1"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된 데이터를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112)에서 전이비트 데이터와 비전이비트 데이터로 분리하여 이 분리된 신호로 메인-탭 드라이버(181)와 포스트-탭 드라이버(182)를 각각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112)에서 전이비트 데이터와 비전이비트 데이터로 분리하는 동작 구성은 short current 경로를 생성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impedance calibration block, 미 도시됨)를 더 포함하며, 동작시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가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하는 선택 임피던스 코드 Zn 및 Zp를 검색하여, 검색된 임피던스 코드 Zn 및 Zp를 데이터 셀렉터(113)로 전송한다. 데이터 셀렉터(113)에서는 상기 검색된 임피던스 코드(Zn 및 Zp)에 의해 turns on 된 드라이버 레그를 판단하여 변조된 데이터신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변조된 데이터 신호 Pmain, Ppost, Nmain 및 Npost 를 해당 출력 드라이버로 보낸다. 여기서, Pmain 및 Ppost 데이터 신호는 변조된 데이터를 반전하여 PMOS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취하는 데이터신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1)는 메인-탭 드라이버(181) 및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182)에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공급전압(VDD)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급전압(VDD) 레귤레이터(151) 및 접지전압(VSS)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접지전압(VSS) 레귤레이터(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급전압(VDD) 레귤레이터(151) 및 접지전압(VSS) 레귤레이터(156)는 각 메인-탭 드라이버(181)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182)에서 조정된 전원전압(VDDmain 및 VDDpost), 접지전압(VSSmain 및 VSSpost)을 공급하고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 스윙, 공통 모드 전압 및 FFE 강도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급전압(VDD) 레귤레이터(151) 및 접지전압(VSS) 레귤레이터(156)에서 조절된 공급전압/접지 전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FFE 장치와 비하여 FFE 탭 계수의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고, 설계 과정에서 FFE 해상도와 범위 대상을 더 효과적으로 넓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적용한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적용한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 시제품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제안된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적용하여 제작된 FEE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10)의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FFE 컨트롤러(210)에는 도 4의 S-to-D 컨버터(111), FFE 모듈레이터(112) 및 데이터 셀렉터(113)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는 1/2 레이트 클로킹 아키텍처를 채택하고 1개의 데이터 경로, 1개의 클록 경로, 메인-탭 드라이버(281)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282),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281)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282)를 위한 3-5pF 온-칩 디커플링 MOSFET 커패시터(MOSCAP)를 포함하는 VDD 레귤레이터(251) 및 VSS 레귤레이터(256), 그리고 메인-탭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261) 및 포스트-탭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262)를 포함한다.
또한, 조정된 각 공급(VDD) 전압 및 접지(VSS) 전압에 대한 대형 오프-칩 디커플링 커패시터도 스위칭 노이즈를 흡수하는데 사용된다. 클록 송신부(270)는 CLKIN 신호를 각 데이터 및 클록 경로로 전송한다.
A. 데이터 송신부(DATA Transmitter)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FFE 컨트롤러(210)에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의사난수 이진 시퀀스 생성기(pseudo-random binary sequence generator(PRBS Gen.) 201)는 40:1 직렬 변환기(serialize, 202)에서 CLKIN 신호의 주파수를 20으로 나눈 CLKdig 신호를 수신하여 40비트 병렬 PRBS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40:1 직렬 변환기는 병렬-직렬 변환을 수행하여 풀-레이트 데이터신호 DIN[n]을 생성한다. 1-UI 지연된 지연 데이터 신호 DIN[n-1]은 래치모듈(203)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에서 이러한 DIN[n] 및 DIN[n-1] 신호는 2-탭 FFE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 다음 도 4와 같이 S-to-D 변환기(111), FFE데이터 모듈레이터(112) 및 데이터 셀렉터(113)를 포함하는 FFE 컨트롤러(210)로 전송된다. 그리고, 차동 신호 DOUBT 및 DOUTB는 메인-탭 드라이버(281)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282)를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10)는 메인-탭 드라이버(281)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282)에서 변조된 FFE 데이터의 신호 경로는 출력에서 글리치 노이즈(glitch noise)를 방지하기 위해 이들 간의 경로 지연을 일치시키도록 디자인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세스, 전압 및 온도(PVT) 변동으로 인해 경로 지연 불일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경로 지연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최상의, 일반적인, 최악의 포스트-레이아웃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경로 지연 불일치 범위는 -3.6 ~ 2.4 ps로 나타난다. 글리치 노이즈의 고주파 성분은 수백 fF CIO 값으로 인해 드라이버의 출력 대역폭보다 작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에서 최상의 케이스, 일반적 케이스 및 최악 케이스의 포스트 레이아웃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로부터 (a) 최악 케이스의 포스트 레이아웃, (b) 일반적 케이스의 포스트 레이아웃 및 최상의 케이스의 포스트 레이아웃의 출력 파형을 나타내며, 글리치 노이즈는 필터링에 의해 모두의 경우에서 출력에 글리치 노이즈 이슈는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B. 듀얼 VDD 레귤레이터 및 VSS 레귤레이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에서 출력 전압 스윙, 공통모드 전압 및 FFE 강도는 출력 드라이버의 VDDmain, VDDpost, VSSmain 및 VSSpost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DD 레귤레이터(251) 및 VSS 레귤레이터(256) 는 전원전압 및 접지전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 시제품에서 VDD 및 VSS 제어 범위는 각각 0.6V 이상 0.8V 이하 및 0.2V 이상 0.4V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귤레이터는 소형 온-칩 MOSFET 커패시터(MOSCAP: Metal-Oxide-Semiconductor의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 및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VDD 레귤레이터 및 소형 온-칩 MOSCAP 및 부하 전류 보상 회로를 사용하는 VDD 레귤레이터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소형 온-칩 MOSFET 커패시터(MOSCAP) 및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VDD 레귤레이터 및 (b) 소형 온-칩 MOSCAP 및 부하 전류 보상 회로를 사용하는 VDD 레귤레이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온-칩 또는 오프-칩 영역 오버헤드 및 전력 오버헤드와 같은 설계 우선순위에 따라 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소형 온-칩 MOSCAP과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온-칩 레귤레이터는 온-칩 면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지만,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로 인해 오프-칩 PCB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전류 보상 회로가 있는 소형 온-칩 MOSCAP은 온-칩 및 오프-칩 영역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보상된 부하 전류로 인해 전체 전력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부하 전류 보상 회로를 구동하는 신호의 지연 변동으로 인해 조정된 공급/접지 전압의 변동을 가져올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두 가지 유형에서 조정된 공급전압/접지전압과 부하전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a) 소형 온-칩 MOSCAP 및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 적용 예 및 (b) 소형 온-칩 MOSCAP 및 부하 전류 보상 회로 적용 예를 나타낸다.
대상 VDDmain, VSSmain, VDDpost 및 VSSpost는 각각 0.8V, 0.2V, 0.65V 및 0.35V이다.
도 8(a)의 첫 번째 구성은 각 공급전압/접지전압에서 온-칩 3pF MOSCAP 및 80pF 오프-칩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반면 도 8(b)의 두 번째 구성은 온-칩 13pF MOSCAP를 사용한 것이다. .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에서 소형 온-칩 MOSCAP과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가 더 작은 전류 소비 및 전압 변동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칩 MOSCAP 또는 보상 전류를 높이면 공급전압/접지전압 변동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큰 온-칩 영역과 전력 오버헤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에서 온-칩 레귤레이터는 온-칩 면적과 전력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소형 온-칩 MOSCAP 및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첫 번째 구성을 채택한다. 또한, 도 9(a)와 같이 메인-탭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의 온-스위칭 중에 약간의 전원/접지 변동이 있지만 신호 무결성은 차동 신호와 더 큰 오프-칩 커패시터로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에서 PSRR(Power Supply Rejection Ratio)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조정 전압 노드에서 3pF 온-칩 MOSCAP를 사용하는 시뮬레이션을 설정하고 수행하였다. 또한, 오프-칩 커패시터는 30nF가 사용되었다.
0.6~0.8[V] 범위에서 조정된 VDD와 0.2 ~ 0.4[ 범위에서 조정된 VSS의 PSRR 시뮬레이션 결과는 각각 다음 도 10(a)와 도 10(b)으로 나타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VDD 레귤레이터 및 (b) VSS 레귤레이터에서 PSRR(Power Supply Rejection Ratio)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VDD/VSS Regulator에서 생성되는 전압으로 직접 Main-Tap과 Post-Tap의 전압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이 전압 레벨은 FFE Tap 계수를 의미한다.) 종래의 FFE 송신기 장치는 출력 드라이버의 전류의 비율, 혹은 저항 크기의 비율로 FFE Tap 계수를 결정하며 이는 자유로운 Tap 계수 조절에 제한 조건이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ain-Tap과 Post-Tap의 Regulator와 출력 드라이버를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Main-Tap 드라이버와 Post-Tap 드라이버는 동시에 작동되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그리고 한 번에 하나의 드라이버만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Main-Tap과 Post-Tap 드라이버가 동시에 동작하여 Short Current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FFE 송신기 장치에 비해 전류 소모의 감소 이득을 얻을 수 있다.
C. 클록 송신부(CLOCK TRANSMITTER)
소스 동기 송신기 장치는 데이터와 클록 간에 동일한 지터 프로파일(jitter prole)을 가져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록 경로에 있는 클록 송신부는 데이터 경로와 레이턴시(latency)를 맞추기 위해 데이터 송신기와 동일한 아키텍처를 갖도록 설계된다. 클록 신호에는 하나의 주파수 성분이 있다. 그래서 FFE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클록 송신부의 포스트-탭 드라이버의 전원이 꺼지고 FFE 컨트롤러의 복제 회로가 클록 신호를 통과하도록 제어된다.
D. IMPEDANCE CALIBRATION LOOP
임피던스 불일치는 신호 반사를 유발하고 신호 무결성을 악화시키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동기 송신기 장치(10)에서 출력 온-저항은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하도록 디자인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에서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261, 2621)는 메인-탭 드라이버의 온-저항을 독립적으로 교정기능을 수행하는 메인-탭 P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261-P) 및 메인-탭 N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261-N)와, 포스트-탭 드라이버의 온-저항을 독립적으로 교정 기능을 수행하는 포스트-탭 P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262-P) 및 포스트-탭 N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262-N)의 4개의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각각의 메인-탭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261) 및 포스트-탭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262)는 메인-탭 드라이버(281)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282)와 동일한 VDD/VSS 도메인에서 작동합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10)에서는 비전이비트 데이터 및 전이비트 데이터의 온-저항이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하게 되어 신호 무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선택 임피던스 코드 ZP/N은 온-저항을 조정하여 저항 분할을 통해 제1출력 전압 VCALP/N을 생성한다. 이 제1출력 전압은 비교기에서 기준 전압 VREFP/N과 비교되며 VCALP/N 레벨이 VREFP/N 레벨에 도달하면 STOP 신호가 출력된다. 카운터 동작은 STOP 신호가 발생하면 종료된다. 그 후 ZP/N 코드가 각 송신부로 전송되고,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의 전원은 off가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에서 시뮬레이션된 작동 파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서 VDDmain, VSSmain, VDDpost 및 VSSpost는 각각 0.8V, 0.2V, 0.65V 및 0.35V일 때 시뮬레이션된 동작 파형을 보여준다. CLKdig 주파수는 500MHz이다. 각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는 앞서 언급한 작업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각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에서 보정 과정은 각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하도록 칩의 전원이 on 된 후 처음 수행되며, 또한 전압 및 온도(VT)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사이에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그라운드(foreground)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의 교정 동작은 데이터 전송 중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의 동작은 전체 송신기 장치 작동의 평균 전력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출력 드라이버가 동작하여 각각의 드라이버에 대해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어서 종래의 FFE 송신기 장치의 드라이버 구조와 달리 모든 데이터 전송 구간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적용한 소스 동기식 송신기 장치의 시제품에 대한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65nm CMOS 공정을 통하여 880㎛ × 650㎛ footprint의 크기로 제작된 소스 동기식 송신기의 시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와 비교하기 위한 종래의 2-탭 FFE 회로를 적용한 송신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비교 회로에서 총 20개의 출력 드라이버 세그먼트가 사용되었으며 각 세그먼트의 온-저항은 1k이므로 출력 온-저항은 50[Ω]이다. 종래의 회로에서 FFE 계수 α는 드라이버 세그먼트 수를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FE 계수 α가 2인 경우 메인-탭 드라이버와 포스트-탭 드라이버의 수는 각각 18개와 2개가 준비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의 특성]
A. 전류 소비 특성
도 15는 종래 송신기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적용한 FEE 송신기 장치의 구현에서 출력 드라이버의 시뮬레이션된 평균 전류 소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서 모든 FFE 강도가 4.44dB일 때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비교에서는 PRBS7 데이터 패턴이 사용되었으며 차동 100[Ω] 종단 저항 및 100[fF] 커패시터가 드라이버의 차동 출력에 연결되었다. FFE 강도가 4.44dB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드라이버의 평균 전류 소비는 4[mA]인 반면, 종래 FFE 송신기 장치에서 드라이버의 평균 전류 소비는 6.62[mA]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류 소비가 39.6%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B. 전압 스윙과 공통 모드 전압 간의 의존성 특징
차동 종단이 있는 종래 FFE 송신기 장치에서 드라이버 임피던스가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한다고 가정하면 전압 스윙 VSW 및 공통 모드 전압 VCM은 다음과 같이 공급 전압을 조정하여 결정된다.
공급 전압(VDD)의 조정은 전압 스윙과 공통 모드 전압 모두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존 송신기 장치에서는 전압 스윙과 공통 모드 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없었다.
도 16은 (a)종래 송신기 장치와 (b)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에서 공통 모드 전압과 전압 스윙 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서 VDD의 제어 범위는 0.05[V] 분해능에서 0.6V ~ 0.8[V]이다.
도 16(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에서 다음과 같이 전원 및 접지 전압을 모두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전압 스윙 및 출력 공통 모드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는 VDDmain과 VSSmain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전압 스윙과 공통 모드 전압의 독립적인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b)은 전압 스윙과 공통 모드 전압 사이의 독립적인 관계를 보여준다.
C. 온-저항 특성
온-저항 특성은 전압 스윙과 임피던스 매칭 특성을 결정한다. 따라서 출력 드라이버의 온-저항은 50[Ω]의 저항값을 갖도록 교정되어야 합니다. 온-저항은 다음과 같이 Vds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게된다.
종래 FFE 송신기 장치에서 온-저항은 전이 데이터의 출력 전압 레벨(메인-탭 전압 레벨)을 기반으로 교정이 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 FFE 송신기 장치에서 비전이 데이터 전송의 온-저항은 Vds 변경으로 인해 50[Ω]에서 벗어나게 된다.
도 17은 (a) 종래 FFE 송신기 장치 및 (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시뮬레이션된 최악의 온-저항 예를 도시한 것이다.
17(a)은 종래 FFE 송신기 장치에서의 최악의 온-저항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악의 온-저항은 비전이 데이터가 전송될 때 발생한다. 온-저항 편차는 FFE 계수의 변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종래 FFE 송신기 장치에서는 온-저항 편차에 의해 이퀄라이제이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는 메인-탭 드라이버와 포스트-탭 드라이버에서 온-저항을 교정하기 때문에 도 17(b)과 같이 전이데이터 및 비전이 데이터 전송 시 온-저항값은 약 50[Ω] 부근에서 비교적 평탄하게 유지되어 종래 FFE 송신기 장치에 비하여 신호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3개의 코너 케이스에서 시뮬레이션된 평균 PMOS 및 NMOS 온-저항(Ron,p Ron,n)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각 FFE 계수에서 PMOS 및 NMOS의 온-저항 Ron,p 및 Ron,n은 거의 50[Ω]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목표 출력 전압 스윙이 정확하고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D. 반사 손실(RETURN LOSS) 특성
반사 손실(S11)은 고속 송신기 장치를 설계할 때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된다. 이 매개변수는 다음식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r은 다음 식에서 제공하는 출력 반사 계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실험을 위한 채널 모델의 특성 임피던스(ZCH)는 50[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출력 임피던스(ZTX)는 출력 드라이버의 MOS 트랜지스터 저항, 기생 커패시턴스, 패키징, ESD(Electrostatic Discharge Diode)로 구성된다. 반사 손실 매개변수에서 고주파 성분은 기생 커패시턴스, 패키징 및 ESD로 인한 정전용량 불연속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설정에서 패키징 및 ESD는 포함되지 않았다.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는 온-저항 또는 대형 신호(DC) 저항을 결정한다. 그러나 소형 신호(AC) 저항은 전송 동작 중 Vds 변동으로 인해 대형 신호(DC) 저항에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신호(AC) 저항은 반사 손실의 저주파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FFE를 사용하는 경우 비전이 데이터 전송 시 온-저항이 50[Ω]에서 얼마나 벗어나느냐에 따라 저주파에서의 반사 손실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9는 (a) 종래 FFE 송신기 장치 및 (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FFE 계수에 따른 전이데이터 및 비전이데이터의 시뮬레이션된 차동 모드 반사 손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반사손실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향상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차동 모드 반사 손실을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전이데이터 및 비전이 데이터의 반사손실로 구분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전이 데이터는 메인-탭 데이터, 비전이데이터는 포스트-탭 데이터를 의미한다. 2-탭 FFE를 가지는 종래의 FFE 송신기 장치는 메인-탭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기반으로 임피던스를 보정을 하게 되는데, Vds 변동은 비전이 데이터 전송에서 발생하여 소형 신호(AC) 저항 편차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F 종래의 FFE 송신기 장치는 FE 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Vds가 증가하여 반사손실이 악화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tap FFE 송신기 장치는 VDS 변화를 고려하여 각 메인-탭 및 포스트-탭 온-저항을 교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FFE 송신기 장치에 비하여 비전이 데이터의 반사 손실이 악화되지 않는다. 대신에 도 19(b)와 같이 조정된 공급전압/접지전압에서 Vds 범위가 작은 범위로 인해 소형 신호(AC) 저항 편차가 작기 때문에 반사손실이 종래 FFE 송신기 장치에 비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는 종래의 FFE 송신기 장치에 비해 더 나은 출력 신호 품질을 가질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세 코너 케이스에서 시뮬레이션된 평균 차동모드 반사손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전이데이터의 차동 출력전압 스윙은 0.6[V], 비전이 데이터의 차동 출력전압 스윙은 0.4[V]로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가 전이 및 비전이 데이터 전송 모두에서 우수한 반사 손실 특성을 가지므로 신호 무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E. FFE 강도 및 출력 전압 레벨 특성
도 21은 (a) 종래 FFE 송신기 장치 및 (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FFE 강도에 따른 출력 고전압 및 저전압 레벨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장점 중 하나는 유연한 FFE 강도 조정이다. 도 21은 VDD가 0.8[V], VSS가 0.2[V]일 때 FFE 세기에 따른 (a)종래 FFE 송신기 장치 및 (b)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의 출력 고전압 및 저전압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20개의 드라이버 세그먼트 중 메인-탭 및 포스트-탭에 할당된 드라이버의 수 따라서 이산 제어만 가능하다. FFE 강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려면 세그먼트 수를 늘려야 하지만 이는 프로세스, 전압 및 온도(PVT) 변동을 고려한 프로세스 및 설계에 따라 제한이 된다.
즉, 하나의 출력 드라이버 세그먼트의 최소 크기는 프로세스 종속성으로 인해 변경할 수 없으므로 세그먼트 수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FFE 송신기 장치는 미세한 FFE 분해능을 달성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온-저항은 메인-탭 전압 레벨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FFE가 강해짐에 따라 Vds 변화로 인해 온-저항이 최적점에서 벗어나게 되는데, 도 17(a)와 같이 평균 차동 비선형성(DNL)은 0.25 LSB(최소 시퀀스 비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저항이 일정하기 때문에 제안하는 송신기의 FFE 세기를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평균 DNL은 0.05 LSB이다. 도 21의 결과는 비교를 위해 4가지 경우만을 보여주었으나, 아날로그 제어성으로 인해 더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1(b) 그래프는 미세 조정이 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개별 점보다는 선을 사용하여 표시하였다.
F. 아이 다이어그램(EYE DIAGRAM) 특성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a)아이 다이어그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설정 및 (b)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4개 채널환경에 대한 삽입손실 플롯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아이 다이어그램 측정을 위해 채널 후단에 차동 100[Ω] 종단저항 및 100[fF] 커패시터에 연결된다. 이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4개 채널 환경(-18.6dB@10GHz, -12.6dB@10GHz, -10.7dB@10GHz, -7.5dB@10GHz)에 대한 삽입 손실이 도 22(b)에 그래프로 나타나 있다.
도 23은 도 22에 따른 채널환경에 대한 시뮬레이션된 차동 아이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데이터 레이트 20Gb/s에서 PRBS7 데이터 패턴을 사용하는 100fF 커패시터의 다양한 채널 삽입 손실에 대한 시뮬레이션된 차동 아이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23에서 (a) -18.6dB@10GHz, (b) -12.6dB@10GHz, (c) -10.7dB@10GHz, (d) -7.5dB@10GHz의 채널 환경을 나타내며, 차동 출력 전압스윙은 0.6V이다. 각 FFE 강도는 아이 다이어그램에도 표시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는 다양한 채널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유연한 FFE 조정 기법은 종래 단일 구조의 FFE 송신기 장치보다 다양한 채널 환경에 적용할 수 있으며, 독립된 전압 스윙 및 공통 모드 전압 조정과 함께 다양한 표준을 수용할 수 있다.
G. 소비전력 특성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에서 소비전력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0.3[V]의 전압 스윙과 -6.02dB의 FFE를 사용할 때 20Gb/s에서 데이터 송신기의 전력 특성을 보여준다. 총 전력 소비는 44.70[mW]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가장 큰 전력 소비 블록은 40:1 직렬 변환기(serializer), FFE 컨트롤러, 프리드라이버 및 버퍼이다.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는 제안된 FFE 방법의 사용으로 인해 전체 전력 소비의 각각 4.6% 및 0.7%만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FE 송신기 장치와 종래 FFE 송신기 장치들의 특성을 비교한 테이블이다.
도 25에서 종래 FFE 송신기 장치는 각각 종래 기술인 비특허문헌[6], [8], [10], [12], [16]에 대한 것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EE 송신기 장치는 단일 회로 디자인으로 출력 전압 스윙, 공통 모드 전압 및 FFE 강도를 독립적으로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듀얼모드로 공급전압/접지 전압 조정을 수행하여 비전이 데이터 및 전이 데이터와 각각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EE 송신기 장치는 0.3[V]의 전압 스윙과 -6.02[dB]의 FFE를 사용할 때 20Gb/s에서 2.23pJ/bit의 에너지 효율을 갖는다.
비특허문헌[6]에서 제시한 송신기 장치는 결합 바이어스 공통 모드 피드백이 있는 저전압 차동신호(LVDS) 드라이버에서 비전이 데이터 전송 중에 출력 특성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고 임피던스를 일치시키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으나, Driver Segmentation 방식으로 인해 FFE 세기를 미세하고 선형적으로 제어하기 곤란하며, 본 발명과 달리 전류 모드 LVDS 방식을 채택하여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비특허문헌[16]에서 제시한 부스팅 전류를 사용하는 2-탭 FFE 전압 모드 드라이버는 비전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임피던스 매칭 특성 기술을 개시한 바 있으나, 비특허문헌[16]의 이 전압 모드 구조는 단일 회로 디자인으로 출력 특성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없으며 Vds 변동에 의한 교정수단이 없어서, Vds 변동시 승압 전류가 변경되어 선형 FFE 제어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송신기 장치는 전이 데이터 및 비전이 데이터 전송의 임피던스 정합으로 유연한 FFE 조정을 달성할 수 있어서, 우수한 온-저항 및 반사 손실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 FEE 송신기 장치에 비하여 short current 경로가 제거되어 전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듀얼 모드의 전원공급 레귤레이터 및 접지전압 공급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유연한 2-탭 FFE 조정이 가능한 전압 모드 송신기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입력된 신호 데이터를 FFE Data 변조기를 통하여 전이비트(Transition Bit)와 비전이비트(Non-Transition Bit)의 데이터로 분리 처리하여 각 Equalizer 블록에 전달하는 회로를 채택함으로써, FFE 작동에서 short current 경로가 제거되어 전력 소모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각각 Impedance 교정(calibration)이 가능하고, 모든 데이터 비트에서 Impedance 매칭(Matching)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1: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10: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적용한 FFE 송신기 장치
110, 210: FFE 컨트롤러
111: S-to-D 컨버터
112: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
113: 데이터 셀렉터
151, 251: 공급전압 레귤레이터
156, 256: 접지전압 레귤레이터
181, 281: 메인-탭 드라이버
182, 282: 포스트-탭 드라이버
201: 의사난수 이진 시퀀스 생성기
202: 직렬 변환기(serialize)
262: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루프
270: 클록 송신부

Claims (12)

  1.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대해 전이비트 데이터와 비전이비트 데이터로 분리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FFE 컨트롤러;
    상기 FFE 컨트롤러로부터 처리된 전이데이터 신호에 대해 임피던스 매칭 처리를 포함하여 전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탭 드라이버;
    상기 FFE 컨트롤러로부터 처리된 비전이데이터 신호에 대해 임피던스 매칭 처리를 포함하여 전송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포스트-탭 드라이버;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에 공급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공급전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에 접지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접지전압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FE 컨트롤러는,
    단일 종단신호(Single-ended)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차동신호(differential)로 변환하는 S-to-D 컨버터;
    상기 S-to-D 컨버터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전이 데이터와 비전이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 및
    상기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 코드에 맞추어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 셀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전압 레귤레이터는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를 위한 메인-탭 공급전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포스트-탭 드라이버를 위한 포스트-탭 공급전압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접지전압 레귤레이터는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를 위한 메인-탭 접지전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포스트-탭 드라이버를 위한 포스트-탭 접지전압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to-D 컨버터는 전송 데이터 신호(DIN[n]) 및 1-UI(unit Interval) 지연 데이터 신호(DIN[n-1])가 입력이 되면, 차동 데이터 신호 D[n], Db[n], D[n-1] 및 Db[n-1]를 생성시키고,
    상기 FFE 데이터 모듈레이터는 상기 차동 데이터 신호로부터 2개의 전이데이터 신호(Dmain, Dbmain) 및 2개의 비전이 데이터 신호(Dpost 및 Dbpost)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전압 레귤레이터는 0.05[V] 분해능을 가지며, 0.6[V] 이상 0.8[V] 이하의 범위에서 공급전압을 조정 제어하고,
    상기 접지전압 레귤레이터는 0.2[V] 이상 0.4[V] 이하의 범위에서 접지전압을 조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와 포스트-탭 드라이버는 동시에 작동되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그리고 한 번에 하나의 드라이버만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전압 레귤레이터는 소형 온-칩 MOSCAP 커패시터 및 대형 오프-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상기 공급전압 레귤레이터 및 접지전압 레귤레이터에서 생성되는 전압으로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 및 포스트-탭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 레벨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하는 임피던스 코드를 선택하는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에서 상기 채널 임피던스와 일치하는 임피던스 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코드를 상기 데이터 셀렉터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셀렉터에서는 상기 검색된 코드에 의해 turns-on 된 드라이버 레그를 판단하여 변조된 데이터신호를 상기 turns-on 된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는 상기 임피던스 코드에 의해 온-저항을 조정하여 저항 분할을 통해 제1출력 전압 (VCALP/N)을 생성하고, 상기 제1출력 전압은 비교기에서 기준 전압(VREFP/N)과 비교되어 상기 제1출력 전압 레벨이 기준전압(VREFP/N)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비교기에서 STOP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임피던스 코드는 상기 데이터 셀렉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송신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장치는
    입력신호에 대해 의사난수 이진 시퀀스 병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의사난수 이진 시퀀스 생성기;
    상기 병렬 데이터 신호에 대해 병렬-직렬 변환을 수행하여 풀-레이트 데이터신호(DIN[n])를 생성하는 직렬변환기와 상기 풀-레이트 데이터신호(DIN[n])에 대해 1-UI 지연된 지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래치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부;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클록 송신부; 및
    채널 임피던스와 임피던스의 매칭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는,
    상기 메인-탭 드라이버의 온-저항을 독립적으로 교정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탭 P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 및 메인-탭 N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와, 상기 포스트-탭 드라이버의 온-저항을 교정 기능을 수행하는 포스트-탭 P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 및 포스트-탭 NMOS 임피던스 캘리브레이션부의 4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교정 기능은 각 채널 임피던스와 임피던스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교정 기능 동작은 데이터 전송 중에는 작동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장치.


KR1020220056390A 2022-05-09 2022-05-09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KR10264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90A KR102646553B1 (ko) 2022-05-09 2022-05-09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90A KR102646553B1 (ko) 2022-05-09 2022-05-09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251A KR20230164251A (ko) 2023-12-01
KR102646553B1 true KR102646553B1 (ko) 2024-03-13

Family

ID=8912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390A KR102646553B1 (ko) 2022-05-09 2022-05-09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5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4912B1 (en) 2006-11-01 2011-04-12 Xilin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unified signaling decision feedback equalizer
US20170324594A1 (en) 2014-11-26 2017-11-09 Rambus Inc. Equalized multi-signaling mode driv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820B1 (ko) 2018-12-26 2023-09-2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송신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4912B1 (en) 2006-11-01 2011-04-12 Xilin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unified signaling decision feedback equalizer
US20170324594A1 (en) 2014-11-26 2017-11-09 Rambus Inc. Equalized multi-signaling mode dr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251A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0860B2 (ja) シングルエンド構成可能マルチモードドライバ
US11126581B2 (en) Reconfigurable transmitter
US7307447B2 (en) Self series terminated serial link transmitter having segmentation for amplitude, pre-emphasis, and slew rate control and voltage regulation for amplitude accuracy and high voltage protection
US7795919B2 (en) Transmitter driver circuit in high-speed serial communications system
CN109565278B (zh) 电压模式驱动器的阻抗和摆幅控制
US8878568B1 (en) High-speed SSR transmit driver
US9083584B2 (en) Common mode modulation with current compensation
Song et al. An 8–16 Gb/s, 0.65–1.05 pJ/b, voltage-mode transmitter with analog impedance modulation equalization and sub-3 ns power-state transitioning
Fan et al. A 32-Gb/s simultaneous bidirectional source-synchronous transceiver with adaptive echo cancellation techniques
Hwang et al. A 32 Gb/s, 201 mW, MZM/EAM cascode push–pull CML driver in 65 nm CMOS
Kim et al. A 5.2-Gb/s low-swing voltage-mode transmitter with an AC-/DC-coupled equalizer and a voltage offset generator
US7920014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Chae et al. A 12.8-Gb/s quarter-rate transmitter using a 4: 1 overlapped multiplexing driver combined with an adaptive clock phase aligner
US7616926B2 (en) Conductive DC biasing for capacitively coupled on-chip drivers
KR102646553B1 (ko) 전압조정기 기반의 송신 이퀄라이제이션 장치
Chae et al. Design and comparative study of voltage regulation-based 2-tap flexible feed-forward equalizer for voltage-mode transmitters
JPH11345054A (ja) 信号伝送用ドライバ回路
GB2402277A (en) Current mode logic driver with adjustable common-mode level
WO2019001369A1 (zh) 一种串行解串链路发射机的驱动器
Marar et al. A 1.8 áV low power 5áGbps PMOS-based LVDS output driver with good return loss performance
Abugharbieh et al. Line-impedance matching and signal conditioning capabilities for high-speed feed-forward voltage-mode transmit drivers
KR20240099764A (ko)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위한 PAM-3 드라이버의 ZQ Calibration 장치 및 방법
Melikyan Signal Transmission Calibration Systems in Integrated Circuits
Ukaegbu et al. Perspective Chapter: Chip I/O Design Fundamentals, Methodologies and Challenges
Megahed et al. 12-Gb/s low-power voltage-mode driver for multi-standard serial-link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