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116B1 -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116B1
KR102646116B1 KR1020230083046A KR20230083046A KR102646116B1 KR 102646116 B1 KR102646116 B1 KR 102646116B1 KR 1020230083046 A KR1020230083046 A KR 1020230083046A KR 20230083046 A KR20230083046 A KR 20230083046A KR 102646116 B1 KR102646116 B1 KR 102646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user terminal
voting
mobile app
art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씨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씨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씨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23008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or artist information, time, location or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4Recurrent networks, e.g. Hopfield networks
    • G06N3/0442Recurrent networks, e.g. Hopfield networks characterised by memory or gating, e.g. long short-term memory [LSTM] or gated recurrent units [GR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Artist music ranking and event voting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K-POP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고 그 성장세는 계속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팬들을 대상으로 하는 포괄적인 음원 관련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K-POP과 현지 아티스트 뮤직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아티스트 뮤직 순위를 확인하고 투표에 참여하며, 아이돌과 음악 관련 펀딩을 지원하고 앨범 선구매 등의 기회를 획득할 수 있다.
국내에는 이미 많은 아티스트 및 음원 관련 서비스와 플랫폼이 제공되고 있으나, 국내 서비스와 플랫폼이 국제 시장으로 진출할 때에는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각 나라는 고유한 문화적 특성, 선호도, 해석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K-POP과 관련된 서비스의 수용과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문화적 미묘성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거나 특정 문화적 맥락에 적절하게 적용되지 않을 때 오해나 오인의 소지가 발생할 수 있다.
각 나라별 사용자 요구에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로서, 사용자의 선호도, 음악 소비 습관, 기대치는 각 나라마다 다양하다. 각 시장의 특정 요구에 신속하고 적합하게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16908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864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5921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106695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앱을 운용하되, 상기 모바일앱은 국가별 UI와 언어로 구성되고, 국가별 관리자 단말에 상기 UI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모바일앱에 사용자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회원가입으로 획득한 다수 국가의 회원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투표, 펀딩, 차트, 방송 시청 및 이벤트 메뉴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투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토픽 투표 목록,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목록, 및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목록을 표시하되, 토픽 투표,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및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는,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하는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 및 아티스트 뮤직에 대한 투표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픽 투표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토픽 투표의 투표 상황 및 투표 인터페이스, 또는 투표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목록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목록에 속하는 투표 중 하나가 선택되면, 실시간 투표 참여 가능 시간이 아닌 경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투표가 가능한 시간을 표시하고, 실시간 투표 참여 가능 시간인 경우,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인터페이스,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투표권 금액 이하이면,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리워드 광고 또는 캐쉬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펀딩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현재 진행 중인 펀딩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펀딩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의 협업 콘서트 펀딩과,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팬미팅 펀딩,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발매 예정 앨범 선 구매 펀딩, 및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굿즈 펀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펀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펀딩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행 중인 펀딩에 후원하기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최소 펀딩 금액보다 많은 경우, 펀딩 후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펀딩 금액보다 적은 경우,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아티스트 뮤직과 한국 아티스트 뮤직의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이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티스트 뮤직 재생 또는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스트리밍 이용권 또는 다운로드 이용권의 보유 유무에 따른, 스트리밍 인터페이스, 다운로드 인터페이스, 및 스트리밍 이용권 또는 다운로드 이용권 결제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 시청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제작사에 의해 제작된 방송 목록, 및 접속한 국가에 속한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방송을 재생하되, 상기 선택된 방송이 실시간 방송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채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이 실시간 방송이 아닌 경우, 댓글 인터페이스 및 감정 표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뮤직비디오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뮤직비디오를 재생하되, 댓글 인터페이스 및 감정 표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감성 분석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매주 아티스트 뮤직 방송 및 뮤직비디오의 댓글을 감성 분석하되, 상기 감성 분석 인공지능 모델은,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 또는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기반으로 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벤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이벤트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이벤트 목록은, 콘서트 예매 일정, 팬미팅 예약 일정, 및 발매 예정 앨범 사전 예매 일정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벤트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이벤트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이벤트의 예매 또는 예약이 선택되면, 예매 또는 예약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전체 사용자의 스트리밍 기록, 다운로드 기록, 뮤직비디오 재생 기록, 및 투표 기록을 학습데이터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신곡 음원이 공개되면, 음원을 분석하여 특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신곡 음원을 입력하여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입력하여 신곡의 인기도를 예측한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아티스트 뮤직과 한국 아티스트 뮤직의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인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다수 신곡의 인기도를 예측한 결과에 따른,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더 표시하되, 상기 인기 예측 뮤직 순위에 포함되는 신곡은, 가장 최근에 공개된 100개 음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수학식 1]을 바탕으로 각 아티스트 뮤직의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점수에 따라 인기 뮤직 순위를 조정하고,
[수학식 1]
상기 score는 아티스트 뮤직의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이고, C_strm은 아티스트 뮤직의 스트리밍 횟수이며, C_dl은 아티스트 뮤직의 다운로드 횟수이고, C_mvp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아티스트 뮤직의 뮤직비디오가 재생된 횟수이며, R_ps는 아티스트 뮤직의 방송 및 뮤직비디오에 달린 댓글 중 긍정 감정의 비율이고, C_vt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음악 방송 중 아티스트 뮤직이 획득한 실시간 투표수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국가별 현지 관리자가 설정하는 UI와 언어로 구성되어 해당 국가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고, 국가별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뮤직 및 K-POP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뮤직을 통합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국가별 아티스트와 K-POP 아티스트 및 뮤직 관련 투표, 펀딩, 차트, 방송, 이벤트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아티스트 영상 또는 뮤직비디오의 댓글을 감성 분석하여 인기 순위를 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로 신곡의 인기를 예측하여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앱을 운용하되, 상기 모바일앱은 국가별 UI와 언어로 구성되고, 국가별 관리자 단말에 상기 UI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모바일앱에 사용자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회원가입으로 획득한 다수 국가의 회원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투표, 펀딩, 차트, 방송 시청 및 이벤트 메뉴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투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토픽 투표 목록,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목록, 및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목록을 표시하되, 토픽 투표,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및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는,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하는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 및 아티스트 뮤직에 대한 투표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픽 투표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토픽 투표의 투표 상황 및 투표 인터페이스, 또는 투표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목록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목록에 속하는 투표 중 하나가 선택되면, 실시간 투표 참여 가능 시간이 아닌 경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투표가 가능한 시간을 표시하고, 실시간 투표 참여 가능 시간인 경우,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인터페이스,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투표권 금액 이하이면,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리워드 광고 또는 캐쉬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펀딩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현재 진행 중인 펀딩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펀딩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의 협업 콘서트 펀딩과,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팬미팅 펀딩,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발매 예정 앨범 선 구매 펀딩, 및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굿즈 펀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펀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펀딩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행 중인 펀딩에 후원하기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최소 펀딩 금액보다 많은 경우, 펀딩 후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펀딩 금액보다 적은 경우,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아티스트 뮤직과 한국 아티스트 뮤직의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이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티스트 뮤직 재생 또는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스트리밍 이용권 또는 다운로드 이용권의 보유 유무에 따른, 스트리밍 인터페이스, 다운로드 인터페이스, 및 스트리밍 이용권 또는 다운로드 이용권 결제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 시청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제작사에 의해 제작된 방송 목록, 및 접속한 국가에 속한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방송을 재생하되, 상기 선택된 방송이 실시간 방송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채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이 실시간 방송이 아닌 경우, 댓글 인터페이스 및 감정 표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뮤직비디오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뮤직비디오를 재생하되, 댓글 인터페이스 및 감정 표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감성 분석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매주 아티스트 뮤직 방송 및 뮤직비디오의 댓글을 감성 분석하되, 상기 감성 분석 인공지능 모델은,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 또는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기반으로 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벤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이벤트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이벤트 목록은, 콘서트 예매 일정, 팬미팅 예약 일정, 및 발매 예정 앨범 사전 예매 일정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벤트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이벤트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이벤트의 예매 또는 예약이 선택되면, 예매 또는 예약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전체 사용자의 스트리밍 기록, 다운로드 기록, 뮤직비디오 재생 기록, 및 투표 기록을 학습데이터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신곡 음원이 공개되면, 음원을 분석하여 특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신곡 음원을 입력하여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입력하여 신곡의 인기도를 예측한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아티스트 뮤직과 한국 아티스트 뮤직의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인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다수 신곡의 인기도를 예측한 결과에 따른,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더 표시하되, 상기 인기 예측 뮤직 순위에 포함되는 신곡은, 가장 최근에 공개된 100개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수학식 1]을 바탕으로 각 아티스트 뮤직의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점수에 따라 인기 뮤직 순위를 조정하고,
[수학식 1]
상기 score는 아티스트 뮤직의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이고, C_strm은 아티스트 뮤직의 스트리밍 횟수이며, C_dl은 아티스트 뮤직의 다운로드 횟수이고, C_mvp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아티스트 뮤직의 뮤직비디오가 재생된 횟수이며, R_ps는 아티스트 뮤직의 방송 및 뮤직비디오에 달린 댓글 중 긍정 감정의 비율이고, C_vt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음악 방송 중 아티스트 뮤직이 획득한 실시간 투표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국가별 현지 관리자가 설정하는 UI와 언어로 구성되어 해당 국가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국가별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뮤직 및 K-POP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뮤직을 통합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국가별 현지 아티스트와 K-POP 아티스트 및 뮤직 관련 투표, 펀딩, 차트, 방송, 이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 영상 또는 뮤직비디오의 댓글을 감성 분석하여 인기 순위를 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로 신곡의 인기를 예측하여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앱에 포함되는 투표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앱에 포함되는 펀딩 메뉴와 차트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앱에 포함되는 방송 시청 메뉴와 이벤트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신곡의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앱에 포함되는 투표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앱에 포함되는 펀딩 메뉴와 차트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앱에 포함되는 방송 시청 메뉴와 이벤트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신곡의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앱을 운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다수의 국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과, 각 국가별 관리자 단말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앱을 통해 획득하는 데이터는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고, 국가별 모바일앱 UI/UX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접속하는 국가에 따라 해당 국가의 언어를 지원하고, 각 국가에 속한 현지 관리자를 통해 해당 국가에 친화적인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적용하여 모바일앱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에 대한 문의와 요청에 빠르고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국가별로 고객 담당자 단말이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감성 분석 인공지능 모델과, 제1 인공지능 모델 및 제2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거나,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는 프로세스와,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로서 S201 단계에서 서버는,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앱을 운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앱은 국가별로 다른 언어, 다른 UI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202 단계에서 서버는, 각 국가에 속한 사람들에게 편안한 UI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별 관리자 단말에 상기 UI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뉴 구성과 같은 큰 구성 부분은 그대로 두되, 디자인이나 UI를 현지 관리자가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203 단계에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모바일앱에 사용자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원가입으로 획득한 다수 국가의 회원 정보는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회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투표 기록, 펀딩 기록, 스트리밍 기록, 다운로드 기록, 뮤직비디오 재생 기록 등을 이용하여 추후에 설명할 제1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차트를 제공하는 경우, 국가별 인기 뮤직 순위 목록, 전세계 인기 뮤직 순위 목록, 사용자 접속 국가와 한국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 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S204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투표, 펀딩, 차트, 방송 시청 및 이벤트 메뉴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투표, 펀딩, 차트, 방송 시청 및 이벤트 메뉴는 사용자가 모바일앱 화면을 슬라이드해도 화면 상단 또는 화면 하단에 고정되어, 사용자에게 모바일앱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205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투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토픽 투표 목록,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목록, 및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토픽 투표,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및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는,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하는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 및 아티스트 뮤직에 대한 투표를 포함할 수 있다.
토픽 투표는, 사용자가 주제에 따른 아티스트 또는 아티스트 뮤직을 선택하는 투표로서, 사용자들이 선택한 아티스트 또는 아티스트 뮤직이 몇 표를 받았는지, 몇 퍼센트인지 모바일앱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토픽 투표는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직접 생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들이 많이 조회하고 참여한 인기 토픽 투표는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인기 토픽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한 아티스트에게는 해당 토픽을 전달하고 그에 대한 반응을 영상으로 추가 게시하여, 토픽 투표에 사용자들의 참여를 불러올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206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픽 투표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토픽 투표의 투표 상황 및 투표 인터페이스, 또는 투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투표 상황과 투표 결과는, 표를 많이 받은 순으로 정렬한 아티스트 또는 아티스트 뮤직 목록을 모바일앱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기가 많은 토픽 투표를 게시한 사용자에게는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S207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목록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목록에 속하는 투표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시간 투표 목록에 속하는 투표 중 하나를 선택한 시각이, 실시간 투표 참여 가능 시간이 아닌 경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투표가 가능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투표 시작 시간에 사용자 단말에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실시간 투표 목록에 속하는 투표 중 하나를 선택한 시각이, 실시간 투표 참여 가능 시간인 경우,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인터페이스,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투표할 아티스트 뮤직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검색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뮤직, 및 한국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뮤직을 검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208 단계에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투표권 금액 이하이면,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리워드 광고 또는 캐쉬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워드 광고의 리워드 조건을 충족하면, 소정의 리워드를 사용자 캐쉬에 추가하거나, 실시간 투표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로서 S301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펀딩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현재 진행 중인 펀딩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펀딩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의 협업 콘서트 펀딩과,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팬미팅 펀딩,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발매 예정 앨범 선 구매 펀딩, 및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굿즈 펀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302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펀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펀딩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펀딩으로 인해 획득할 수 있는 혜택을 펀딩 후원 금액별로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303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행 중인 펀딩에 후원하기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최소 펀딩 금액보다 많은 경우, 펀딩 후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펀딩 금액보다 적은 경우,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펀딩 후원으로 인한 펀딩 물품 발송 시작 일자가 되면, 사용자 단말에 펀딩 물품 발송 시작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펀딩 목표 금액을 달성하거나, 목표 금액에 미달되어도 전행되는 펀딩의 진행 일자가 되면, 사용자 단말에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S304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아티스트 뮤직과 한국 아티스트 뮤직의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일 수 있다. 또한, 전세계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S305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티스트 뮤직 재생 또는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스트리밍 이용권 또는 다운로드 이용권의 보유 유무에 따른, 스트리밍 인터페이스, 다운로드 인터페이스, 및 스트리밍 이용권 또는 다운로드 이용권 결제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트리밍 이용권이나 다운로드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으면,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아티스트 뮤직 재생이나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권이 없는 경우에는 이용권 구입에 대한 정보와 이용권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로서 S401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 시청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제작사에 의해 제작된 방송 목록, 및 접속한 국가에 속한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현지 국가의 방송 제작사에 의해 제작된 방송은 음악 방송, 음악 관련 경연 방송, 아티스트가 출연하는 방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지 제작사에 의해 제작된 방송에는 현지 아티스트가 출연하는 방송이거나, 현지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가 함께 출연하는 방송일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S402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방송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방송이 실시간 방송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채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이 실시간 방송이 아닌 경우, 댓글 인터페이스 및 감정 표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방송인 경우, 댓글 인터페이스 및 감정 표현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시간 방송 영상을 시청하며 실시간 채팅, 댓글, 감정 표현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S403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뮤직비디오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뮤직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고, 댓글 인터페이스 및 감정 표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모바일앱을 통해 아티스트 단말에, 방송 스트리밍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아티스트는 방송 스트리밍을 하면서 실시간 채팅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과 소통할 수 있다. 한국 아티스트는 현지 방송의 참여가 어렵지만 방송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과 가깝게 소통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S404 단계에서 서버는, 감성 분석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매주 아티스트 뮤직 방송 및 뮤직비디오의 댓글을 감성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감성 분석 인공지능 모델은,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 또는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댓글의 감석 분석 결과를 영상 별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을 본 다른 사용자들이 긍정적인 반응인지 부정적인 반응인지 미리 알 수 있다.
아티스트 뮤직 방송은, 아티스트가 무대에서 공연하는 영상, 경연 방송에 참여하여 공연하는 영상, 야외 공연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405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벤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이벤트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목록은, 콘서트 예매 일정, 팬미팅 예약 일정, 및 발매 예정 앨범 사전 예매 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406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벤트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이벤트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서 S407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이벤트의 예매 또는 예약이 선택되면, 예매 또는 예약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지정된 이벤트의 예매 시작 일자 또는 예약 시작 일자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알람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의해 예매 또는 예약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로서 S501 단계에서 서버는, 전체 사용자의 스트리밍 기록, 다운로드 기록, 뮤직비디오 재생 기록, 및 투표 기록을 학습데이터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인공지능 모델은 전체 사용자의 선호 뮤직 특징을 학습할 수 있다.
제1 인공지능 모델은, 다층 퍼셉트론(MLP, Multi-Layer Perceptron) 또는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MLP(다층 퍼셉트론)는 인공 신경망의 일종으로,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층은 여러 개의 뉴런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접한 층의 뉴런과 연결되어 있다. MLP는 입력값을 받아 은닉층을 거쳐 출력층으로 전달하여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MLP를 사용한 제1 인공지능 모델은 전체 사용자의 스트리밍 기록, 다운로드 기록, 뮤직비디오 재생 기록, 및 투표 기록 등의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학습된 제1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데이터와 관련된 패턴을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된 제1 인공지능 모델에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입력하면 신곡의 인기 정도를 예측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RNN(순환 신경망)은 시퀀스 데이터에 적합한 신경망 구조로, 이전 단계의 출력을 현재 단계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재귀적인 연결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순차적인 데이터의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RNN을 활용한 제1 인공지능 모델은 MLP 기반 인공지능 모델과 같이, 전체 사용자의 스트리밍 기록, 다운로드 기록, 뮤직비디오 재생 기록, 및 투표 기록 등의 데이터를 시퀀스 형태로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입력된 시퀀스 데이터의 패턴을 학습하여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으면, 이전의 전체 사용자의 행동 및 패턴과 연관하여 신곡의 인기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RNN은 시간적인 의존성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버는, RNN 기반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음원 공개 일자에 따라 정렬된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시킬 수 있다. 사용자들의 선호 특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은 순차적인 학습데이터의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502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신곡 음원이 공개되면, 음원을 분석하여 특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신곡 음원을 입력하여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인공지능 모델은, LSTM(Long Short-Term Memory) 또는 GRU(Gated Recurrent Unit)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LSTM 또는 GRU 기반의 제2 인공지능모델은, 다수의 음원의 특성을 학습한 후, 입력되는 신곡 음원의 특성 데이터를 예측하여 출력할 수 있다.
LSTM은 입력 시퀀스를 기나 단계별로 처리하고, 각 시간 단계에서 LSTM 셀은 입력 데이터와 이전 시간 단계의 은닉 상태를 사용하여 현재 시간 단계의 출력과 새로운 은닉 상태를 계산할 수 있다. 기학습된 LSTM 기반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신곡 음원을 입력하면, 입력 데이터와 이전 시간 단계의 은닉 상태를 이용하여 신곡 음원의 특성 예측 데이터를 출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GRU는 업데이트 게이트, 재설정 게이트, 및 은닉 상태를 사용하여 현재 시간 단계의 특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LSTM과 마찬가지로 입력 시퀀스를 시간 단계별로 처리하고, 업데이트 게이트와 재설정 게이트를 사용하고, 이전 은닉 상태와 현재 입력을 기반으로 은닉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재설정 게이트는 현재 시간 단계에서 알마나 많은 이전 정보를 재설정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S503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입력하여 신곡의 인기도를 예측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아티스트 뮤직과 한국 아티스트 뮤직의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인 단계(S304)에,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다수 신곡의 인기도를 예측한 결과에 따른,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더 표시할 수 있다(S504).
또한, 상기 인기 예측 뮤직 순위에 포함되는 신곡은, 가장 최근에 공개된 100개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인기 예측 뮤직 순위는 1~100위일 수 있고, 최근 공개된 음원의 개수가 100 이상이면, 서버는, 신곡이 공개될 때 가장 오래된 음원을 인기 에측 뮤직 순위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서버는, [수학식 1]을 바탕으로 각 아티스트 뮤직의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점수에 따라 인기 뮤직 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 산출 시 사용되는, 스트리밍 횟수, 뮤직비디오 재생 횟수, 댓글 긍정 감정 비율, 및 실시간 투표수는,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해, 소정의 시각마다 수집하되, 수집하기 이전의 일, 주, 월 데이터는 고려하지 않는다.
[수학식 1]
상기 score는 아티스트 뮤직의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이고, C_strm은 아티스트 뮤직의 스트리밍 횟수이며, C_dl은 아티스트 뮤직의 다운로드 횟수이고, C_mvp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아티스트 뮤직의 뮤직비디오가 재생된 횟수이며, R_ps는 아티스트 뮤직의 방송 및 뮤직비디오에 달린 댓글 중 긍정 감정의 비율이고, C_vt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음악 방송 중 아티스트 뮤직이 획득한 실시간 투표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_strm, C_dl, C_mvp, R_ps, 및 C_vt의 값이 각각 2,000, 1,000, 10,000,000, 0.9, 5000이면, score는 87.4일 수 있다. C_strm, C_dl, C_mvp, R_ps, 및 C_vt의 값이 각각 200, 100, 1,000, 0.1, 50이면, score는 7.9일 수 있다.
따라서, 아티스트 뮤직의 스트리밍 횟수, 아티스트 뮤직의 다운로드 횟수,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아티스트 뮤직의 뮤직비디오가 재생된 횟수, 아티스트 뮤직의 방송 및 뮤직비디오에 달린 댓글 중 긍정 감정의 비율, 및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음악 방송 중 아티스트 뮤직이 획득한 실시간 투표수를 모두 고려하여,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서버는,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를 산정할 때 신곡이 포함되면, [수학식 2]를 바탕으로 신곡의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를 산출하고,
[수학식 2]
상기 score_new는 신곡의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이고, score는 신곡의 아티스트 뮤직의 스트리밍 횟수, 아티스트 뮤직의 다운로드 횟수,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아티스트 뮤직의 뮤직비디오가 재생된 횟수, 아티스트 뮤직의 방송 및 뮤직비디오에 달린 댓글 중 긍정 감정의 비율, 및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음악 방송 중 아티스트 뮤직이 획득한 실시간 투표수를 고려하여 [수학식 1]을 바탕으로 산출한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일 수 있다.
서버는,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에서 출력한 신곡의 인기도를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곡들만 포함되는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구성할 수 있다. R_pre는 점수 산출 대상인 신곡이, 인기 예측 뮤직 순위에서 차지했던 순위이고, R_cal은 [수학식 1]의 값을 바탕으로 산출한 점수에 의한 산정 순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신곡이 인기 예측 뮤직 순위(R_pre)에서 100위였지만, 예측과 다르게, [수학식 1]의 값을 바탕으로 산출한 점수에 의한 산정 순위(R_cal)가 1위가 되었다면, score_new는 9.9일 수 있다. 또한, 인기 예측 뮤직 순위(R_pre)가 1위였지만, [수학식 1]의 값을 바탕으로 산출한 점수에 의한 산정 순위(R_cal)가 100위가 되었다면, score_new는 0.07일 수 있다.
이로써, 서버가 신곡을 기존 음원들과 통합하여 인기 순위를 산정할 때, 바뀐 순위를 고려하여 적정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신곡의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와, 인기 뮤직 순위에 오른 기존 아티스트 뮤직의 아티스트 뮤직의 점수를 비교하여 인기 순위를 재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국가별 현지 관리자가 설정하는 UI와 언어로 구성되어 해당 국가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고, 국가별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뮤직 및 K-POP 아티스트와 아티스트 뮤직을 통합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국가별 아티스트와 K-POP 아티스트 및 뮤직 관련 투표, 펀딩, 차트, 방송, 이벤트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아티스트 영상 또는 뮤직비디오의 댓글을 감성 분석하여 인기 순위를 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로 신곡의 인기를 예측하여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서버

Claims (3)

  1.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앱을 운용하되, 상기 모바일앱은 국가별 UI와 언어로 구성되고,
    국가별 관리자 단말에 상기 UI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모바일앱에 사용자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회원가입으로 획득한 다수 국가의 회원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투표, 펀딩, 차트, 방송 시청 및 이벤트 메뉴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투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토픽 투표 목록,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목록, 및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목록을 표시하되, 토픽 투표,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및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는,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하는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 및 아티스트 뮤직에 대한 투표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픽 투표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토픽 투표의 투표 상황 및 투표 인터페이스, 또는 투표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목록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목록에 속하는 투표 중 하나가 선택되면, 실시간 투표 참여 가능 시간이 아닌 경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투표가 가능한 시간을 표시하고, 실시간 투표 참여 가능 시간인 경우,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음악 방송의 실시간 투표 인터페이스,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투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투표권 금액 이하이면,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리워드 광고 또는 캐쉬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펀딩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현재 진행 중인 펀딩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펀딩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의 협업 콘서트 펀딩과,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팬미팅 펀딩,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발매 예정 앨범 선 구매 펀딩, 및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아티스트 또는 한국 아티스트의 굿즈 펀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펀딩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펀딩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행 중인 펀딩에 후원하기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최소 펀딩 금액보다 많은 경우, 펀딩 후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보유 캐쉬가 펀딩 금액보다 적은 경우,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아티스트 뮤직과 한국 아티스트 뮤직의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이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티스트 뮤직 재생 또는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스트리밍 이용권 또는 다운로드 이용권의 보유 유무에 따른, 스트리밍 인터페이스, 다운로드 인터페이스, 및 스트리밍 이용권 또는 다운로드 이용권 결제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 시청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에 속한 제작사에 의해 제작된 방송 목록, 및 접속한 국가에 속한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방송을 재생하되, 상기 선택된 방송이 실시간 방송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채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이 실시간 방송이 아닌 경우, 댓글 인터페이스 및 감정 표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뮤직비디오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뮤직비디오를 재생하되, 댓글 인터페이스 및 감정 표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감성 분석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매주 아티스트 뮤직 방송 및 뮤직비디오의 댓글을 감성 분석하되, 상기 감성 분석 인공지능 모델은,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 또는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기반으로 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벤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이벤트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이벤트 목록은, 콘서트 예매 일정, 팬미팅 예약 일정, 및 발매 예정 앨범 사전 예매 일정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벤트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이벤트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이벤트의 예매 또는 예약이 선택되면, 예매 또는 예약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전체 사용자의 스트리밍 기록, 다운로드 기록, 뮤직비디오 재생 기록, 및 투표 기록을 학습데이터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신곡 음원이 공개되면, 음원을 분석하여 특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신곡 음원을 입력하여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신곡의 특성 데이터를 입력하여 신곡의 인기도를 예측한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트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에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을 표시하되, 상기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은,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아티스트 뮤직과 한국 아티스트 뮤직의 통합 인기 뮤직 순위 목록인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다수 신곡의 인기도를 예측한 결과에 따른, 인기 예측 뮤직 순위를 더 표시하되, 상기 인기 예측 뮤직 순위에 포함되는 신곡은, 가장 최근에 공개된 100개 음원을 포함하는,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수학식 1]을 바탕으로 각 아티스트 뮤직의 일간, 주간, 및 월간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한 점수에 따라 인기 뮤직 순위를 조정하고,
    [수학식 1]

    상기 score는 아티스트 뮤직의 인기 뮤직 순위 조정을 위한 점수이고, C_strm은 아티스트 뮤직의 스트리밍 횟수이며, C_dl은 아티스트 뮤직의 다운로드 횟수이고, C_mvp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아티스트 뮤직의 뮤직비디오가 재생된 횟수이며, R_ps는 아티스트 뮤직의 방송 및 뮤직비디오에 달린 댓글 중 긍정 감정의 비율이고, C_vt는 상기 모바일앱을 통해 음악 방송 중 아티스트 뮤직이 획득한 실시간 투표수인, 시스템.
KR1020230083046A 2023-06-27 2023-06-27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46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046A KR102646116B1 (ko) 2023-06-27 2023-06-27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046A KR102646116B1 (ko) 2023-06-27 2023-06-27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116B1 true KR102646116B1 (ko) 2024-03-11

Family

ID=9024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046A KR102646116B1 (ko) 2023-06-27 2023-06-27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1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695A (ko) 2000-05-23 2001-12-07 조나단 에스 박 인터넷상에서의 음반판매촉진을 위한 광고부착 엠피쓰리음악화일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38640A (ko) 2008-06-30 2011-04-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소셜 네트워크에서 장래의 인기도에 기초한 컨텐츠의 발견에 대한 사용자에의 시상
KR20150059219A (ko) 2013-11-21 2015-06-01 주식회사 와이티앤씨글로벌 음악 컨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60054121A (ko) * 2014-11-05 2016-05-16 주식회사 로엔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 순위 산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산출 방법
KR20200141960A (ko) * 2019-06-11 2020-12-21 (주) 어라운드어스 공개투표에 기반한 온라인 오디션 및 공모전 플랫폼을 운영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9083A (ko)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커넥트마인드 콘텐츠 중심의 글로벌 라이브커머스 방송 통합 플랫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695A (ko) 2000-05-23 2001-12-07 조나단 에스 박 인터넷상에서의 음반판매촉진을 위한 광고부착 엠피쓰리음악화일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38640A (ko) 2008-06-30 2011-04-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소셜 네트워크에서 장래의 인기도에 기초한 컨텐츠의 발견에 대한 사용자에의 시상
KR20150059219A (ko) 2013-11-21 2015-06-01 주식회사 와이티앤씨글로벌 음악 컨텐츠 제공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60054121A (ko) * 2014-11-05 2016-05-16 주식회사 로엔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 순위 산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산출 방법
KR20200141960A (ko) * 2019-06-11 2020-12-21 (주) 어라운드어스 공개투표에 기반한 온라인 오디션 및 공모전 플랫폼을 운영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9083A (ko)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커넥트마인드 콘텐츠 중심의 글로벌 라이브커머스 방송 통합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81321B (zh) 一种多媒体内容推荐方法及装置
US10120547B2 (en) User interfaces for determining the reaction of a group with respect to a set of elements
US10171254B2 (en) Distributed live multimedia switching mechanism and network
CN104756514B (zh) 通过社交网络共享电视和视频节目
US8250616B2 (en) Distributed live multimedia capture, feedback mechanism, and network
CN105706135B (zh) 以搜索来支持基于投票的活动
JP2018181326A (ja) ディープラーニングを活用した個人化商品推薦
US20150032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Event Feedback
US20090089162A1 (en) Distributed live multimedia monetization mechanism and network
CN108476334A (zh) 广告投放的跨屏优化
CN106170811A (zh) 利用基于同属群组的用户分析平台与营销平台的广告方法及装置
US20200160385A1 (en) Delivering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sentiment and learned behavior
CN102770861B (zh) 数据突出和提取
WO2022247220A1 (zh) 界面处理方法及装置
CN109417644A (zh) 跨屏广告投放的收益优化
CN111708948A (zh) 内容项推荐方法、装置、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109037A1 (zh) 基于直播间的互动方法及电子设备
CN112104889B (zh) 用于网络平台的虚拟物品展示方法和设备
CN109729377A (zh) 一种主播信息的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646116B1 (ko) 아티스트 뮤직 순위 제공 및 이벤트 투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70078750A1 (en) Forecasting and guidance of content consumption
US118117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 using chatbot
TW202335511A (zh) 用於推薦串流資料的系統、方法及電腦可讀取媒體
US20170078748A1 (en) Forecasting and guidance of content consumption
CN115357803A (zh) 账户推荐方法、计算机装置及计算机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