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105B1 -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 Google Patents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105B1
KR102646105B1 KR1020230127568A KR20230127568A KR102646105B1 KR 102646105 B1 KR102646105 B1 KR 102646105B1 KR 1020230127568 A KR1020230127568 A KR 1020230127568A KR 20230127568 A KR20230127568 A KR 20230127568A KR 102646105 B1 KR102646105 B1 KR 102646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slider
scraper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7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용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Priority to KR102023012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1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1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을 적재한 뒤 쌀눈 추출 장치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을 적재해 두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미강을 전달받아 쌀눈 추출 장치로 투입시켜 주는 투입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rice bran extraction that is implemented to load rice bran for rice bran extraction and then stably transport it to the rice bran extraction device. A loading system that forms a space for loading rice bran for rice bran extraction wealth; and an input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to receive the rice bran loaded on the loading unit and feed it into the rice bran extraction device.

Description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본 발명은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을 적재한 뒤 쌀눈 추출 장치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rice germ extra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rice germ extraction implemented to load rice bran for rice germ extraction and then stably transport it to the rice germ extraction device.

최근 들어, 경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과 식생활의 고급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먹거리의 선택기준도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level and the growing interest in health and the advancement of dietary life, functionality is also required as a criterion for food selection.

특히, 우리가 주식으로 하는 밥의 원료인 쌀은 우리나라 국민이 주식으로 가장 많이 소비하는 곡류로서 씨눈과 배젖으로 구성된 것으로, 왕겨만을 제거한 현미의 형태로 저장되고 현미를 겉껍질과 쌀눈을 포함한 전제 무게의 대략 8%를 도정하여 백미로 가공하게 되며, 쌀의 도정도가 증가하게 되면 중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미강층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한 성분이 제거된다.In particular, rice, which is the raw material for our staple rice, is the grain most consumed by Koreans as a staple food and is composed of the germ and endosperm. It is stored in the form of brown rice with only the husk removed, and the whole weight of brown rice including the outer husk and rice germ is stored. Approximately 8% of the rice is milled and processed into white rice. As the degree of milling increases, not only does the weight decrease, but effe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rice bran layer are removed.

과거에는 쌀 품종 개발에 있어 수량성 증대가 주요문제였으나, 최근에는, 가공원료용 쌀이나 기능성 쌀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능성 쌀이란 '쌀'에 본래의 영양원 이외에 특수한 영양적 가치가 새로인 첨가되거나 강화된 것으로서, 일정수준 이상의 고부가가치를 가진 상품성을 가진 품종 또는 그러한 상품이라 할 수 있다.In the past, increasing yield was a major issue in the development of rice varieties, but recently, the need for and interest in rice for processing raw materials or functional rice is increasing. Functional rice refers to 'rice' with new or enhanced special nutritional value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nutritional source, and can be said to be a marketable variety or such product with high added value above a certain level.

쌀눈에는 감마 오리자놀, 옥타코사놀, 알파토코페롤, 가바(Gaba), 레시틴, 비타민(A,B,C,D,E 군), 칼슘, 불포화 지방산(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을 비롯한 각종 미네랄, 식이섬유 등 기능이 뛰어난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가바 성분은 혈액내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간기능을 높여 현재 뇌 혈류를 개선하는 의약품으로 연구되고 있는 성분이다.Rice germ contains gamma oryzanol, octacosanol, alpha-tocopherol, Gaba, lecithin, vitamins (groups A, B, C, D, E), calcium, unsaturated fatty acids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various minerals, dietary fiber, etc. It contains a large amount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with excellent functions, and in particular, GABA is an ingredient that is currently being studied as a medicine that improves cerebral blood flow by reducing neutral fat in the blood and increasing liver function.

이와 같이, 쌀눈은 영양학적 가치가 높아 그 어떤 식품과도 비교할 수 없는 안전하고 완전한 식품소재로 대두되고 있으며, 쌀눈을 이용한 각종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In this way, rice germ is emerging as a safe and complete food material that cannot be compared to any other food due to its high nutritional value,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using rice germ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그러나, 쌀눈은 현미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쇄혼합물인 미강이라는 부산물에 포함되어 분리되는데, 미강에는 쌀눈 외에도 쌀겨와 기타 이물질로 혼합되어 있어 쌀겨(미강)로부터 순수한 쌀눈만을 선별하기란 사실상 대단히 어렵고 난해할 뿐만 아니라 쌀눈에 포함되어 있는 리파제(lipase)나 리폭시다제(lipoxidase)(Yamamoto et al., Lipids 15: 1-5, 1980; Luh et al., In rice production, 2nded., AVI, New York, p. 313,1991)에 의한 지방의 분해 및 산화 촉진과 더불어 쌀눈의 높은 유지 함량에 따른 저장 중 산패에 의한 품질열화가 쉽게 초래되는 이유로 식품 자원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rice germ is separated from a by-product called rice bran, which is a grinding mixtur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polishing brown rice. In addition to rice germ, rice bran is mixed with rice bran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so it is actually very difficult to select only pure rice germ from rice bran. In addition to being difficult, lipase and lipoxidase contained in rice germ (Yamamoto et al., Lipids 15: 1-5, 1980; Luh et al., In rice production, 2nded., AVI, New York, p. 313, 1991), in addition to promoting the decomposition and oxidation of fa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could not be used as a food resource because the high oil content of rice germ easily led to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rancidity during storage.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1644127호 (2016.07.29. 공고)Korean Patent No. 10-1644127 (announced on July 29, 2016)

본 발명의 일측면은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을 적재한 뒤 쌀눈 추출 장치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rice germ extraction that is implemented to load rice bran for rice germ extraction and then stably transport it to the rice germ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은,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을 적재해 두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미강을 전달받아 쌀눈 추출 장치로 투입시켜 주는 투입부;를 포함한다.A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part forming a space for loading rice bran for extracting rice germ; and an input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to receive the rice bran loaded on the loading unit and feed it into the rice bran extraction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적재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투입홈; 상기 투입홈으로 투입되는 미강을 입도에 따라 선별된 미강과 이물질로 분리하는 스크린; 상기 투입홈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쌀눈 추출 장치까지 연장 형성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 내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강을 수평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includes an input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A screen that separates the rice bran input into the input groove into rice bran and foreign substances selected according to particle size; a transfer pip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input groove to the rice germ extraction device; and a transfer screw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within the transfer pipe to horizontally transfer the rice bran.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은,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송관을 따라 이송된 미강을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방향으로 전달하는 경사관; 및 상기 경사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관을 따른 미강의 이동을 유도하는 미강 전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pipe and delivers the rice bran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ipe in an inclined direction inclined downward. coffin;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rice bran delivery device installed in the inclined pipe to induce movement of the rice bran along the inclined pi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강 전달 장치는, 상기 경사관의 내부 공간의 상단에 설치되는 설치 블록; 상기 설치 블록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경사관의 경사각과 직각되도록 상기 설치 블록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더 설치홈;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을 따라 승강 이동함에 따라 회동 되어 상기 경사관을 따라 이동 중인 미강의 하강 이동을 유도하는 회동 스크래퍼; 상기 회동 스크래퍼가 회동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하단 궤적에 대응하여 상기 경사관의 하단에 함몰 형성되는 스크래퍼 이동홈; 상기 설치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회동을 유도하는 제1 스크래퍼 지지대; 상기 설치 블록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회동을 유도하는 제2 스크래퍼 지지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거치 돌기; 상기 거치 돌기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돌기 이동홈; 및 상기 돌기 이동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돌기를 지지하며, 신장 또는 수축 구동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을 반복적으로 구동시켜 주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ce bran delivery device includes an installation block installed at the top of the inner space of the inclined pipe; A slider installation groove extending along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block so as to form an opening at a lower side of the installation block and at a right angle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ipe; A slider connected to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to enable sliding movement; A rotary scrap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er exposed from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and rotates as the slide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to induce a downward movement of the rice bran moving along the inclined pipe. ; a scraper movement groove recessed i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ipe in response to the lower trajectory of the rotating scraper so that the rotating scraper can move while rotating; A first scraper suppor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pivot scraper and at the same time induce rotation of the pivot scraper; a second scraper support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craper and at the same time induce rotation of the rotating scraper; a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lider; a protrusion moving groove extending along one side of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so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can be seated and moved; And an actuator installed inside the projection moving groove to support the mounting projection and repeatedly driving the slider forward or backward in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as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drive is repeatedly performed. You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크래퍼 지지대는, 원형의 링의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설치 블록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는 제1 곡선형 하우징; 상기 제1 곡선형 하우징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 곡선형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설치 블록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전단에 안착되는 제1 곡선형 지지대; 상기 슬라이더가 안착되고 남아 있는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에 수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곡선형 하우징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대를 전진 이동시켜 주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의 내측으로부터 노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으로 다시 복귀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대를 후진 이동시켜 주는 구동 유체;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전단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구체 유도홈;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구체 유도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회동 스크래퍼를 회동시켜줌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구체 유도홈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지지 구체;를 포함하는,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In one embodiment, the first scraper support includes a first curved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while forming a curved sealed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ection of the circular ring; A first curved shape that is bent roundly in response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housing,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curve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posed from the installation block and is seated on the front end of the pivoting scraper. support fixture; The slider is seated and received in the remaining slider installation groove, and as the slider is inserted and moved inside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it flows into the first curved housing and moves the first curved support forward, A driving fluid that returns to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and moves the first curved support backward as the slider is exposed and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a first support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urved support and seated on a front end of the pivot scraper to support the pivot scraper; a first spherical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scraper on which the first support plate is seated; and at least one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is seated in the first spherical guide groove, and moves along the first spherical guide groove while rotating as the first support plate rotates the rotating scraper.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comprising: one or more first support spher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스크래퍼 지지대는, 상기 제1 곡선형 하우징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설치 블록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는 제2 곡선형 하우징; 상기 제2 곡선형 하우징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 곡선형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설치 블록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후단에 안착되는 제2 곡선형 지지대; 상기 제2 곡선형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곡선형 지지대의 일단을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 상기 제2 곡선형 지지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후단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구체 유도홈;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구체 유도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회동 스크래퍼를 회동시켜줌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 구체 유도홈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craper support includes a second curved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while forming a sealed interior space with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housing; A second curved shape that is bent roundly in response to the curvature of the second curved housing,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urve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posed from the installation block and is seated on the rear end of the pivoting scraper. support fixture; a buffer spring installed inside the second curved housing to support one end of the second curved support; a second support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urved support and seated at a rear end of the pivot scraper to support the pivot scraper; a second spherical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craper on which the second support plate is seated; and at least one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is seated in the second spherical guide groove, and moves along the second spherical guide groove while rotating as the second support plate rotates the rotating scrap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 support spheres.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을 적재한 뒤 쌀눈 추출 장치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rice bran for rice germ extraction can be loaded and then stably transported to the rice germ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미강 전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미강 전달 장치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3의 제1 스크래퍼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rice bran delivery device of Figure 2.
Figures 5 to 7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rice bran delivery device of Figure 2.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scraper support of Figure 3.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10)은, 적재부(100) 및 투입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rice bran input system 10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unit 100 and an input unit 200.

적재부(100)는,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P)을 적재해 두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바닥에 투입부(200)가 설치된다.The loading unit 100 forms a space for loading rice bran (P) for extracting rice germ, and an input unit 200 is installed at the bottom.

투입부(200)는, 적재부(100)의 바닥에 설치되어 적재부(100)에 적재되어 있는 미강(P)을 전달받아 쌀눈 추출 장치(1)로 투입시켜 준다.The input unit 20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100 and receives the rice bran (P) loaded on the loading unit 100 and inputs it into the rice bran extraction device 1.

일 실시예에서, 투입부(200)는, 투입홈(210), 스크린(220), 이송관(230) 및 이송 스크류(24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200 may include an input groove 210, a screen 220, a transfer pipe 230, and a transfer screw 240.

투입홈(210)은, 적재부(100)의 바닥에 형성된다.The input groove 21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100.

스크린(220)은, 투입홈(210)으로 투입되는 미강(P)을 입도에 따라 선별된 미강(P)과 이물질로 분리한다.The screen 220 separates the rice bran (P) input into the input groove 210 into the rice bran (P) selected according to particle size and foreign substances.

이송관(230)은, 투입홈(210)의 하단으로부터 쌀눈 추출 장치(1)까지 연장 형성된다.The transfer pipe 230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input groove 210 to the rice germ extraction device 1.

이송 스크류(240)는, 이송관(230) 내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강(P)을 수평 이송한다.The transfer screw 240 rotates in one direction within the transfer pipe 230 to horizontally transfer the rice bran (P).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10)은,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을 적재한 뒤 쌀눈 추출 장치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rice bran input system 10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can load rice bran for extracting rice germ and then stably transport it to the rice germ extraction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20)은, 적재부(100), 투입부(200), 경사관(300) 및 미강 전달 장치(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rice bran input system 20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unit 100, an input unit 200, an inclined tube 300, and a rice bran delivery device 400. Includes.

여기서, 적재부(100) 및 투입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loading unit 100 and the insertion unit 20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in FIG. 1, thei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of explanation.

경사관(300)은, 이송관(230)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이송관(230)을 따라 이송된 미강(P)을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방향으로 전달한다.The inclined pipe 30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pipe 230 and delivers the rice bran (P)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ipe 230 in a downward inclined direction.

미강 전달 장치(400)는, 경사관(300)에 설치되어 경사관(300)을 따른 미강(P)의 이동을 유도한다.The rice bran delivery device 400 is installed in the inclined pipe 300 and induces the movement of rice bran (P) along the inclined pipe 3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20)은, 경사관(300)을 따라 이동 중인 미강(P)을 미강 전달 장치(400)를 이용하여 이동을 유도함으로써, 경사관(300)을 따라 이동 중인 미강(P)이 적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ice bran input system 20 for extracting rice ge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uses the rice bran delivery device 400 to feed the rice bran P moving along the inclined pipe 300. By inducing mov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ce bran (P) moving along the inclined pipe 300 from being accumulated.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미강 전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rice bran delivery device of Figure 2.

도 4를 참조하면, 미강 전달 장치(400)는, 설치 블록(410), 슬라이더 설치홈(420), 슬라이더(430), 회동 스크래퍼(440), 스크래퍼 이동홈(450), 제1 스크래퍼 지지대(460), 제2 스크래퍼 지지대(470), 거치 돌기(480), 돌기 이동홈(485) 및 액추에이터(4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rice bran delivery device 400 includes an installation block 410, a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a slider 430, a rotating scraper 440, a scraper moving groove 450, and a first scraper support ( 460), a second scraper support 470, a holding protrusion 480, a protrusion moving groove 485, and an actuator 490.

설치 블록(410)은, 경사관(300)의 내부 공간의 상단에 설치되며, 슬라이더 설치홈(420), 슬라이더(430), 회동 스크래퍼(440), 제1 스크래퍼 지지대(460), 제2 스크래퍼 지지대(470), 거치 돌기(480), 돌기 이동홈(485) 및 액추에이터(49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The installation block 41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inclined pipe 300, and includes a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a slider 430, a rotating scraper 440, a first scraper support 460, and a second scraper. Components such as a support 470, a mounting protrusion 480, a protrusion moving groove 485, and an actuator 490 are installed.

슬라이더 설치홈(420)은, 설치 블록(410)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경사관(300)의 경사각과 직각되도록 설치 블록(410)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forms an ope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installation block 410 and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block 41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ipe 300.

슬라이더(430)는, 슬라이더 설치홈(42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495)에 의해 지지된다.The slider 430 is connected to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to enable sliding movement and is supported by a slider support spring 495.

회동 스크래퍼(440)는, 슬라이더 설치홈(420)으로부터 노출되는 슬라이더(43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스크래퍼 지지대(460)와 제2 스크래퍼 지지대(470)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더(430)가 슬라이더 설치홈(420)을 따라 승강 이동함에 따라 제1 스크래퍼 지지대(460)와 제2 스크래퍼 지지대(470)에 의해 회동 되어 경사관(300)을 따라 이동 중인 미강(P)의 하강 이동을 유도한다.The rotating scraper 4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er 430 exposed from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scraper support 460 and the second scraper support 470, and the slider As (43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it is rotated by the first scraper support 460 and the second scraper support 470, and the rice bran (P) moving along the inclined pipe 300 is lowered. induce movement.

스크래퍼 이동홈(450)은, 회동 스크래퍼(440)가 회동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 스크래퍼(440)의 하단 궤적에 대응하여 경사관(300)의 하단에 함몰 형성된다.The scraper movement groove 450 is recessed i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ipe 300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 trajectory of the rotating scraper 440 so that the rotating scraper 440 can move while rotating.

제1 스크래퍼 지지대(460)는, 설치 블록(410)의 전단에 설치되어 회동 스크래퍼(440)의 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회동 스크래퍼(440)의 회동을 유도한다.The first scraper support 46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410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pivot scraper 440 and at the same time induce rotation of the pivot scraper 440.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크래퍼 지지대(460)는, 제1 곡선형 하우징(461), 제1 곡선형 지지대(462), 구동 유체(463), 제1 지지 플레이트(464), 제1 구체 유도홈(465)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지지 구체(466)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craper support 460 includes a first curved housing 461, a first curved support 462, a drive fluid 463, a first support plate 464, and a first sphere guide. It may include a groove 465 and at least one first support sphere 466.

제1 곡선형 하우징(461)은, 원형의 링의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설치 블록(410)의 전단 내측에 설치된다.The first curved housing 461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410, forming a curved sealed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ection of the circular ring.

제1 곡선형 지지대(462)는, 제1 곡선형 하우징(46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제1 곡선형 하우징(461)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설치 블록(410)으로부터 노출되어 회동 스크래퍼(440)의 전단에 안착된다.The first curved support 462 is formed to be bent in a rou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housing 461, one end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curved housing 461, and the other end is the installation block 410. ) is exposed from and is seat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scraper 440.

구동 유체(463)는, 슬라이더(430)가 안착되고 남아 있는 슬라이더 설치홈(420)에 수용되며, 슬라이더(430)가 슬라이더 설치홈(420)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됨에 따라 제1 곡선형 하우징(461)으로 유입되면서 제1 곡선형 지지대(462)를 전진 이동시켜 주고, 슬라이더(430)가 슬라이더 설치홈(420)의 내측으로부터 노출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더 설치홈(420)으로 다시 복귀되어 제1 곡선형 지지대(462)를 후진 이동시켜 준다.The driving fluid 463 is accommodated in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that remains after the slider 430 is seated, and as the slider 430 is inserted and moved inside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the first curved housing ( As it flows into 461, the first curved support 462 moves forward, and as the slider 430 is exposed and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it returns to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and forms the first curve. Move the mold support 462 backward.

제1 지지 플레이트(464)는, 제1 곡선형 지지대(462)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동 스크래퍼(440)의 전단에 안착되어 회동 스크래퍼(440)를 지지한다.The first support plate 46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urved support 462 and is seated on the front end of the pivot scraper 440 to support the pivot scraper 440.

제1 구체 유도홈(465)은, 제1 지지 플레이트(464)가 안착되는 회동 스크래퍼(440)의 전단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spherical guide groove 465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scraper 440 on which the first support plate 464 is seated.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지지 구체(466)는, 제1 지지 플레이트(46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구체 유도홈(465)에 안착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464)가 회동 스크래퍼(440)를 회동시켜줌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1 구체 유도홈(465)을 따라 이동한다.At least one first support sphere 46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464 and is seated in the first sphere guide groove 465, and the first support plate 464 rotates the scraper 440. ), it rotates and moves along the first sphere guidance groove (465).

제2 스크래퍼 지지대(470)는, 설치 블록(410)의 후단에 설치되어 회동 스크래퍼(440)의 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회동 스크래퍼(440)의 회동을 유도한다.The second scraper support 47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410 and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craper 440 and at the same time induces rotation of the rotating scraper 440.

일 실시예에서, 제2 스크래퍼 지지대(470)는, 제2 곡선형 하우징(471), 제2 곡선형 지지대(472), 완충 스프링(473), 제2 지지 플레이트(474), 제2 구체 유도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craper support 470 includes a second curved housing 471, a second curved support 472, a shock spring 473, a second support plate 474, and a second sphere guide. It may include a groove and at least one second support sphere.

제2 곡선형 하우징(471)은, 제1 곡선형 하우징(461)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설치 블록(410)의 후단 내측에 설치된다.The second curved housing 471 is installed inside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410 while forming a sealed interior space with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housing 461.

제2 곡선형 지지대(472)는, 제2 곡선형 하우징(47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제2 곡선형 하우징(471)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설치 블록(410)으로부터 노출되어 회동 스크래퍼(440)의 후단에 안착된다.The second curved support 472 is formed to be bent roundly to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second curved housing 471, one end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urved housing 47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block 410. ) is exposed from and is seated at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craper 440.

완충 스프링(473)은, 제2 곡선형 하우징(471)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곡선형 지지대(472)의 일단을 지지한다.The buffer spring 473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curved housing 471 and supports one end of the second curved support 472.

제2 지지 플레이트(474)는, 제2 곡선형 지지대(472)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동 스크래퍼(440)의 후단에 안착되어 회동 스크래퍼(440)를 지지한다.The second support plate 47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urved support 472 and is seated at the rear end of the pivot scraper 440 to support the pivot scraper 440.

제2 구체 유도홈은, 제2 지지 플레이트(474)가 안착되는 회동 스크래퍼(440)의 후단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second sphere guide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craper 440 on which the second support plate 474 is seated.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구체는, 제2 지지 플레이트(47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구체 유도홈에 안착되며, 제2 지지 플레이트(474)가 회동 스크래퍼(440)를 회동시켜줌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2 구체 유도홈을 따라 이동한다.At least one second support spher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474 and is seated in the second sphere guide groove, and as the second support plate 474 rotates the rotating scraper 440. While rotating, it moves along the second sphere guidance groove.

거치 돌기(480)는, 슬라이더(43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The mounting protrusion 480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slider 430.

돌기 이동홈(485)은, 거치 돌기(480)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 설치홈(420)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The protrusion moving groove 485 is formed to extend along one side of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so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480 can be seated and moved.

액추에이터(490)는, 돌기 이동홈(485)의 내측에 설치되어 거치 돌기(480)를 지지하며, 신장 또는 수축 구동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슬라이더 설치홈(420)에서 슬라이더(430)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을 반복적으로 구동시켜 준다.The actuator 490 is installed inside the protrusion movement groove 485 to support the mounting protrusion 480, and moves the slider 430 forward or forward in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420 by repeatedly performing expansion or contraction drive. It operates backward movement repeated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강 전달 장치(400)는, 경사관(300)을 따라 이동 중인 미강(P)의 이동을 유도함으로써, 경사관(300)을 따라 이동 중인 미강(P)이 적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ice bran delivery device 4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duces the movement of the rice bran (P) moving along the inclined pipe 300, so that the rice bran (P) moving along the inclined pipe 300 is accumulated. can be prevented.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sought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

10, 20: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
100: 적재부
200: 투입부
300: 경사관
400: 미강 전달 장치
10, 20: Rice bran input system for rice germ extraction.
100: loading part
200: Input part
300: Sergeant
400: Rice bran delivery device

Claims (3)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을 적재해 두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미강을 전달받아 쌀눈 추출 장치로 투입시켜 주는 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적재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투입홈;
상기 투입홈으로 투입되는 미강을 입도에 따라 선별된 미강과 이물질로 분리하는 스크린;
상기 투입홈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쌀눈 추출 장치까지 연장 형성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 내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강을 수평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송관을 따라 이송된 미강을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방향으로 전달하는 경사관; 및
상기 경사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관을 따른 미강의 이동을 유도하는 미강 전달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강 전달 장치는,
상기 경사관의 내부 공간의 상단에 설치되는 설치 블록;
상기 설치 블록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경사관의 경사각과 직각되도록 상기 설치 블록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더 설치홈;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을 따라 승강 이동함에 따라 회동 되어 상기 경사관을 따라 이동 중인 미강의 하강 이동을 유도하는 회동 스크래퍼;
상기 회동 스크래퍼가 회동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하단 궤적에 대응하여 상기 경사관의 하단에 함몰 형성되는 스크래퍼 이동홈;
상기 설치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회동을 유도하는 제1 스크래퍼 지지대;
상기 설치 블록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회동을 유도하는 제2 스크래퍼 지지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거치 돌기;
상기 거치 돌기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돌기 이동홈; 및
상기 돌기 이동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돌기를 지지하며, 신장 또는 수축 구동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을 반복적으로 구동시켜 주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래퍼 지지대는,
원형의 링의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설치 블록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는 제1 곡선형 하우징;
상기 제1 곡선형 하우징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 곡선형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설치 블록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전단에 안착되는 제1 곡선형 지지대;
상기 슬라이더가 안착되고 남아 있는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에 수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곡선형 하우징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대를 전진 이동시켜 주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의 내측으로부터 노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설치홈으로 다시 복귀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대를 후진 이동시켜 주는 구동 유체;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회동 스크래퍼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상기 회동 스크래퍼의 전단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구체 유도홈;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구체 유도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회동 스크래퍼를 회동시켜줌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구체 유도홈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지지 구체;를 포함하는, 쌀눈 추출을 위한 미강 투입 시스템.
A loading portion forming a space for loading rice bran for extraction of rice germ; and
It includes an input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to receive the rice bran loaded in the loading unit and feed it into the rice bran extraction device,
The input unit,
an input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A screen that separates the rice bran input into the input groove into rice bran and foreign substances selected according to particle size;
A transfer pip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input groove to the rice germ extraction device; and
It includes a transfer screw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within the transfer pipe to horizontally transfer the rice bran,
an inclined pipe connected to an end of the transfer pipe and delivering the rice bran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ipe in a downwardly inclined direction; and
It further includes; a rice bran delivery device installed in the inclined pipe to induce movement of the rice bran along the inclined pipe;
The rice bran delivery device,
An installation block installed at the top of the inner space of the inclined pipe;
A slider installation groove extending along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block so as to form an opening at a lower side of the installation block and at a right angle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ipe;
A slider connected to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to enable sliding movement;
A rotary scrap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er exposed from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and rotates as the slide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to induce a downward movement of the rice bran moving along the inclined pipe. ;
a scraper movement groove recessed i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ipe in response to the lower trajectory of the rotating scraper so that the rotating scraper can move while rotating;
A first scraper suppor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pivot scraper and at the same time induce rotation of the pivot scraper;
a second scraper support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craper and at the same time induce rotation of the rotating scraper;
a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lider;
a protrusion moving groove extending along one side of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so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can be seated and moved; and
An actuator installed inside the protrusion moving groove to support the mounting protrusion and repeatedly driving the slider forward or backward in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as the extension or contraction drive is repeatedly performed,
The first scraper support,
A first curved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block while forming a curved sealed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ection of the circular ring;
A first curved shape that is bent roundly in response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housing,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curved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posed from the installation block and is seated on the front end of the pivoting scraper. support fixture;
The slider is seated and received in the remaining slider installation groove, and as the slider is inserted and moved inside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it flows into the first curved housing and moves the first curved support forward, A driving fluid that returns to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and moves the first curved support backward as the slider is exposed and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slider installation groove;
a first support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urved support and seated on a front end of the pivot scraper to support the pivot scraper;
a first spherical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scraper on which the first support plate is seated; and
At least one devi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seated in the first spherical guide groove, and rotating as the first support plate rotates the rotating scraper and moving along the first spherical guide groove. A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comprising the above first support spher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27568A 2023-09-23 2023-09-23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KR1026461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7568A KR102646105B1 (en) 2023-09-23 2023-09-23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7568A KR102646105B1 (en) 2023-09-23 2023-09-23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105B1 true KR102646105B1 (en) 2024-03-11

Family

ID=9024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7568A KR102646105B1 (en) 2023-09-23 2023-09-23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10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72Y1 (en) * 2000-07-25 2001-01-15 대원산업주식회사 The pre-cleaner for the grain processing
JP2004017554A (en) * 2002-06-19 2004-01-22 Shigenori Saito Rake-in wheel in agricultural chipper
JP2004167463A (en) * 2002-11-22 2004-06-17 Taiwa Seiki:Kk Dust recovering apparatus of rice polishing facility
KR101248937B1 (en) * 2012-11-28 2013-04-03 한규수 Grain sorting machine
KR101644127B1 (en) 2015-12-17 2016-07-29 이상국 Grain sor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72Y1 (en) * 2000-07-25 2001-01-15 대원산업주식회사 The pre-cleaner for the grain processing
JP2004017554A (en) * 2002-06-19 2004-01-22 Shigenori Saito Rake-in wheel in agricultural chipper
JP2004167463A (en) * 2002-11-22 2004-06-17 Taiwa Seiki:Kk Dust recovering apparatus of rice polishing facility
KR101248937B1 (en) * 2012-11-28 2013-04-03 한규수 Grain sorting machine
KR101644127B1 (en) 2015-12-17 2016-07-29 이상국 Grain sort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0060B2 (en) Method for producing phospholipid containing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as a constituent element and use thereof
Khattab et al. Quality evaluation of flaxseed oil obtained by different extraction techniques
US8048652B2 (en) Biomass hydrolysate and uses and production thereof
Zheng et al. Screw pressing of whole and dehulled flaxseed for organic oil
CN102884201A (en) Eicosapentaenoic acid-producing microorganisms, fatty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s thereof
CN1308082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laxseed component separation
Temkov et al. Tailoring the structure of lipids, oleogels and fat replacers by different approaches for solving the trans-fat issue—A review
Tenorio-Garcia et al. Recent advances in design and stability of double emulsions: Trends in Pickering stabilization
CN101068477A (en) Food
Berger et al. Changes and evolution of corn coproducts for beef cattle
EP2672833A2 (en) Method for obtaining a lipid-containing composition from microbial biomass
KR102646105B1 (en) Rice bran input system for extracting rice germ
US20080118626A1 (en) Solvent Extracted Corn
CN102176839A (en) Improved emulsifying system for nutraceutical composition
JP2014507944A (en) Method for forming and extracting solid pellets containing oil-bearing microorganisms
Arellano et al. Specialty oils and fats in margarines and low-fat spreads
JP5850866B2 (en) Processing method of cooking oil
CN1794921A (en) Satiety enhancing food products
CN1719979A (en) Dispersible cocoa products
KR20110062495A (en) Granulated powder for thin rice gru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794926A (en) Satiety enhancing food products
CN103391721A (en) Organogel for assisting intake of food for persons with difficulty in swallowing/chewing and food for persons with difficulty in swallowing/chewing
WO2008155590A1 (en) Plant sprout-based emulsions, process for preparing them and use thereof
CN101326971B (en) Aquatic animal nutrition supplementation and preparation thereof
JP2018511312A (en) Astaxanthin composition (I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