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085B1 - Wastesynthetic resin emulsifier equipped with air-pneumatic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Wastesynthetic resin emulsifier equipped with air-pneumatic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085B1
KR102646085B1 KR1020220010951A KR20220010951A KR102646085B1 KR 102646085 B1 KR102646085 B1 KR 102646085B1 KR 1020220010951 A KR1020220010951 A KR 1020220010951A KR 20220010951 A KR20220010951 A KR 20220010951A KR 102646085 B1 KR102646085 B1 KR 102646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resin
air
injection pipe
wast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9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8939A (en
Inventor
이정율
이돈우
Original Assignee
이정율
이돈우
주식회사 엔비엠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율, 이돈우, 주식회사 엔비엠환경 filed Critical 이정율
Publication of KR2022012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0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7/00Mechanical treatments of coal charges in the oven
    • C10B37/04Compressing 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지를 공급하는 컨베이어(200);와 폐수지를 컨베이어(200)에서 공급받아 압착하여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와 지면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압착 투입장치(20)로부터 투입되는 폐수지를 수용하여 융해 후 기화시키는 융해로(10);와 공기압착 투입장치(20) 내의 폐수지가 말랑말랑해지도록 공급되는 상기 폐수지를 가열하는 발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융해로(10)는, 지면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원통 형태의 외통(11)과; 상기 외통(11) 내부에 구성되어 폐수지를 수용하여 융해 및 기화하는 내통(12)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착 투입장치(20)는, 상기 내통(12)의 일단 상부에 연결된 원통 형태의 투입관 본체(21a), 상기 투입관 본체(21a)의 상측의 일측부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분기하고 폐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21in)를 형성하고 있는 분기 투입관(21b)을 포함하는 투입관(21);과 상기 투입관 본체(21a)의 일단 상부에 구성되어, 상하작동을 수행하는 실린더 로드(22a)가 하측에 형성되는 상하실린더(22);와 상기 실린더 로드(22a)에 고정되어 투입관 본체(21a) 내부에 수용된 폐수지를 압착하여, 폐수지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압착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or (200) for supplying waste resin; and an air compression input device (20) for receiving waste resin from the conveyor (200) and compressing it to remove air. It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ground and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waste resin into the interior. It includes a melting furnace (10) that receives the waste resin supplied from the device (20), melts it, and vaporizes it; and a heating means that heats the waste resin that is supplied to the air compressed input device (20) so that the waste resin becomes soft. The melting furnace 10 includes a cylindrical outer cylinder 11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ground; It includes an inner cylinder 12 configured inside the outer cylinder 11 to accommodate waste resin, melting and vaporizing it, and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is a cylindrical injection pip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12. An input pipe (21) including a main body (21a) and a branched injection pipe (21b) that branches out inclined upward from one upper side of the injection pipe main body (21a) and forms an inlet (21in) through which waste resin is injected; An upper cylinder 22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injection pipe body 21a and having a cylinder rod 22a for up and down opera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n injection pipe body 21a fixed to the cylinder rod 22a.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mpression plate 23 that compresses the waste resin contained therein and removes the air inside the waste resin.

Description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Wastesynthetic resin emulsifier equipped with air-pneumatic input device}Wastesynthetic resin emulsifier equipped with air-pneumatic input device}

본 발명은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지를 융해 및 기화 후 응축하여 난방 및 발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재생유를 생산하기 위한 과정 중 폐수지를 융해 및 기화하기 위한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폐수지를 폐수지 유화장치에 투입시 공기의 유입을 줄이기 위한 공기압착 투입장치의 구조를 주요 기술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melting and vaporizing the waste resin during the process of condensing it to produce recycled oil that can be used for heating and power generation. This relates to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pneumatic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for this purpose, and the main technology is the structure of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to reduce the inflow of air when injecting waste resin into the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폐수지의 재활용 방법으로는 폐수지를 녹여 재성형하는 물질적 재활용과, 폐수지를 용융하여 펠릿으로 성형하여 고형연료제품(SRF)을 생산하고, 고형연료제품(SRF)을 발전이나 난방에 사용하는 열적 재활용, 그리고 폐수지를 열분해하여 기화 후 응축하여 재생유를 생성하는 화학적 재활용으로 분류된다.Recycling methods for waste resin include material recycling, which involves melting and remolding waste resin, producing solid fuel products (SRF) by melting waste resin and molding it into pellets, and thermal recycling, which is using the solid fuel product (SRF) for power generation or heating. It is classified as chemical recycling, which generates recycled oil by pyrolyzing waste resin, vaporizing it, and condensing it.

위의 폐수지 재활용 방법 중 하나인 열적 재활용의 경우 고형연료제품(SRF)이 연소시 다이옥신이 발생하여 대기환경오염에 문제가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폐수지로부터 재생유를 생산하는 화학적 재활용이 부각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rmal recycling, which is one of the above waste resin recycling methods, dioxins are generated when solid fuel products (SRF) are burned, which causes air pollution, and as a method to complement these problems, recycled oil is produced from waste resin. Chemical recycling is gaining prominence.

폐수지의 화학적 재활용은 다른 말로 유화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폐수지를 유화하는 과정에서 다이옥신 발생의 원인이 되는 염소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고체연료제품(SRF)과 같이 연소시 다이옥신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 문제에도 이점이 있다. Chemical recycling of waste resin is also called emulsification.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remove chlorine, which causes dioxins, in the process of emulsifying waste resin, so that dioxins are not generated during combustion like solid fuel products (SRF), thus reducing environmental issues. There is an advantage.

폐수지의 유화로 생산되는 재생유는 보일러에 사용되는 등유 정도의 품질을 가지고 있으며, 원료로써 PE, PP, PS 등의 폐비닐 종류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폐수지의 유화 공정으로는 용융, 기화, 응축 과정을 포함하며, 폐수지가 기화하여 생성된 가스는 설비 내에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도록 설비 내부에 산소가 유입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Recycled oil produced by emulsifying waste resin has a quality similar to that of kerosene used in boilers, and waste vinyl such as PE, PP, and PS is mainly used as raw materials. The emulsification process for waste resin involves melting, vaporization, and condensation. It is important that oxygen does not enter the facility to prevent combustion of the gas produced by vaporizing the waste resin.

폐수지를 유화하기 위한 설비 내부에 산소가 있을시 가스가 연소하여 폭발이 일어나며, 이는 생성되는 재생유의 생산량 저하와 충격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 화재의 위험을 야기한다.If oxygen is present inside the equipment for emulsifying waste resin, the gas burns and an explosion occurs,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recycled oil produced, damage to the equipment due to shock, and the risk of fire.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폐수지를 유화장치에 투입시 공기의 유입을 줄이기 위한 선행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1314호 "폐 플라스틱의 진공열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열분해유화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 example of prior art to reduce the inflow of air when putting waste resin into the emulsification devic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51314, “Vacuum pyrolysis device for waste plastic and vacuum pyrolysis emuls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This is disclosed.

상기 선행기술은 투입부가 다수의 투수공이 관통된 제1 실린더관과, 제1 실린더관에 교차하는 제2 실린더관, 그리고 제1 및 제2 실린더 관에 구성되는 제1 및 제2 실린더를 이용하여 호퍼에 폐수지를 투입시 공기의 유입을 줄이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uses a first cylinder tube in which the input portion has a plurality of permeable holes, a second cylinder tube crossing the first cylinder tube, and first and second cylinders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tubes. A technology is proposed to reduce the inflow of air when putting waste resin into the hopper.

상기 선행기술은 실린더 2개를 사용하여 교차하는 방식으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늘어난다는 점과, 투수공이 항시 개방되어 있어 폐수지의 투입과정 중 외부 공기가 유입이 될 수 있다는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들이 존재한다.The above prior art requires improvement in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device increases by configuring the device in an alternating manner using two cylinders, and that the permeable hole is always open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during the input process of waste resin. There are things that can be done.

위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219호 "유화장치의 유기성 폐기물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또한 폐수지를 폐수지 유화장치에 투입시 공기의 유입을 줄이기 위한 기술로써, As an example of other prior art related to the abov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90219 “Organic waste supply device for emulsification device” is disclosed. The above prior art is also a technology to reduce the inflow of air when inputting waste resin into the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폐기물 이송공급수단을 이송스크루를 구비한 1차 이송관과, 1차 이송관과 연결되도록 연결하는 압축관, 압축관과 연결되어 이송스크루를 구비한 2차 이송관에서 폐수지를 압축하여 유화수단으로 공급함으로써, 유화수단에 유입되는 공기를 줄이는 것과, 폐기물 이송공급수단의 상부에 로터공급수단을 구성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줄이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waste resin is compressed in a primary transfer pipe equipped with a transfer screw as a waste transport supply means, a compression pipe connected to the primary transfer pipe, and a secondary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pipe and equipped with a transfer screw as an emulsification means. A technology is proposed to reduce the air flowing into the emulsification means by supplying it, and to reduce the inflow of external air by constructing a rotor supply means on top of the waste transport and supply means.

상기 선행기술 또한 유화장치 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줄이기 위하여 2개의 이송스크루와 로터공급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진다는 점과 로터공급수단을 거쳐 이송공급수단으로 공급되는 폐수지와 함께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이송공급수단 내에서 빠져나갈 통로가 없어, 유화수단 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는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들이 있다.The above prior art also consists of two transfer screws and a rotor supply means to reduce the air flowing into the emulsification device, so the space occupied by the device increases and the waste resin supplied to the transfer supply means through the rotor supply means is introduced together. There are matters that require improvement in that there is no passage for external air to escape within the transfer and supply means, so that air can flow into the emulsification means.

또한, 종래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12781호(196.05.21.)는, 호퍼에 푸셔 실린더(2)와 왕복 움직이는 실린더 로드(8, 28)를 포함하며, 게이트밸브(5, 31)를 구비하고, 실린더 압축과정에서 푸셔 실린더(2) 내의 공간(42) 내 존재하는 많은 공기는 배관의 변(41, 45)이 설치되어 압착판(3, 27)의 전진시 변이 열린 상태가 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유화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 장치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8-12781 (196.05.21.) includes a pusher cylinder (2) and a reciprocating cylinder rod (8, 28) in a hopper, and a gate valve (5, 31). It is provided with, and during the cylinder compression process, a lot of air existing in the space 42 within the pusher cylinder 2 becomes open when the sides 41 and 45 of the pipe are installed and the compression plates 3 and 27 advance. Discloses the configuration of a raw material supply device for thermal decomposition emulsification of air-emitted waste plastic.

하지만, 종래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12781호(196.05.21.)의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유화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 장치는 호퍼에 투입되어 푸셔 실린더(2)에 의해 압축되는 폐플라스틱은 아무리 세게 압축되어 변을 통해 공기가 배출된다고 하더라도 폐플라스틱 자체가 딱딱한 상태이기 때문에 잘게 잘라진 폐플라스틱의 사이에서 폐쇄된 공간이 형성되고 형성된 폐플라스틱 사이의 공간내에 공기가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이렇게 압축된 폐플라스틱은 그 사이 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로 인해 유화수단 내로 일정 수준의 공기는 유입될 수밖에 없어서 유입되는 공기 내의 산소로 인해 가스가 연소하여 폭발이 일어나며, 이것이 다시 생성되는 재생유의 생산량 저하와 충격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 화재의 위험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aw material supply device for thermal decomposition emulsification of waste plastic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08-12781 (196.05.21.), no matter how much waste plastic is put into the hopper and compressed by the pusher cylinder 2, Even if it is compressed strongly and air is expelled through the stool, the waste plastic itself is hard, so a clos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nely cut waste plastics, and air is bound to exist in the space between the formed waste plastics. Therefore, the waste plastic compressed in this way is Due to the air existing in the space between them, a certain level of air is bound to be introduced into the emulsification means, so the oxygen in the incoming air combusts the gas and causes an explosion,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regenerated oil and shock to the equipment. There is a risk of causing damage or fir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131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51314 "폐 플라스틱의 진공열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열분해유화시스템"“Vacuum pyrolysis device for waste plastic and vacuum pyrolysis emuls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21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90219 "유화장치의 유기성 폐기물 공급장치"“Organic waste supply device for emulsif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설정 크기로 잘려진 폐플라스틱 자체를 말랑말랑한 상태로 만들어 폐플라스틱의 사이의 폐쇄된 공간 형성을 최소화하여 유화수단 내로 설정 수준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 내의 산소로 인한 가스 연소 및 폭발을 방지하여, 생성되는 재생유의 생산량 증대와 충격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more active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making the waste plastic cut to a set size into a soft state, the formation of closed spaces between the waste plastics is minimized, so that air above the set level is contained within the emulsification means. It is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with a structure that prevents gas combustion and explosion caused by oxygen in the incoming air by preventing the inflow of gas,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recycled oil produced, and preventing damage to equipment and the risk of fire due to impact. The main problem is to provide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또한, 설정 크기로 잘려진 폐플라스틱 자체를 말랑말랑한 상태로 만들 때 설정 크기로 잘려진 폐플라스틱을 다시 한번 더 잘라서 더 작은 크기로 만들면서 더 작은 크기로 만들어지는 폐플라스틱 자체도 말랑말랑한 상태로 만들어 폐플라스틱의 사이의 폐쇄된 공간 형성을 더욱 최소화하여 유화수단 내로 설정 수준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 내의 산소로 인한 가스 연소 및 폭발을 방지하여, 생성되는 재생유의 생산량 증대와 충격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when the waste plastic itself cut to the set size is made into a soft state, the waste plastic cut to the set size is cut again to make it into a smaller size, and the waste plastic itself made into a smaller size is also made to be soft. By further minimizing the formation of closed spaces between the devices, the inflow of air exceeding the set level into the emulsification means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gas combustion and explosion due to oxygen in the incoming air,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recycled oil produced and equipment due to shock.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pneumatic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that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damage and the risk of fire.

본 발명의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는 폐수지를 공급하는 컨베이어(200);와 폐수지를 컨베이어(200)에서 공급받아 압착하여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와 지면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압착 투입장치(20)로부터 투입되는 폐수지를 수용하여 융해 후 기화시키는 융해로(10);와 공기압착 투입장치(20) 내의 폐수지가 말랑말랑해지도록 공급되는 상기 폐수지를 가열하는 발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융해로(10)는, 지면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원통 형태의 외통(11)과; 상기 외통(11) 내부에 구성되어 폐수지를 수용하여 융해 및 기화하는 내통(12)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착 투입장치(20)는, 상기 내통(12)의 일단 상부에 연결된 원통 형태의 투입관 본체(21a), 상기 투입관 본체(21a)의 상측의 일측부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분기하고 폐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21in)를 형성하고 있는 분기 투입관(21b)을 포함하는 투입관(21);과 상기 투입관 본체(21a)의 일단 상부에 구성되어, 상하작동을 수행하는 실린더 로드(22a)가 하측에 형성되는 상하실린더(22);와 상기 실린더 로드(22a)에 고정되어 투입관 본체(21a) 내부에 수용된 폐수지를 압착하여, 폐수지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압착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or 200 for supplying waste resin;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for receiving waste resin from the conveyor 200 and compressing it to remove air; and a ground A melting furnace (10) that is inclined at a set angle to accommodate the waste resin input from the air compressed input device 20 and vaporizes it after melting; and a melting furnace (10) that is supplied so that the waste resin in the air compressed input device (20) becomes soft. It includes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waste resin, and the melting furnace 10 includes a cylindrical outer cylinder 11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ground; It includes an inner cylinder 12 configured inside the outer cylinder 11 to accommodate waste resin, melting and vaporizing it, and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is a cylindrical injection pip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12. An input pipe (21) including a main body (21a) and a branched injection pipe (21b) that branches upward at an angle from one upper side of the injection pipe main body (21a) and forms an inlet (21in) through which waste resin is injected; An upper cylinder 22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injection pipe body 21a and having a cylinder rod 22a for up and down movement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n injection pipe body 21a fixed to the cylinder rod 22a. )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mpression plate (23) that compresses the waste resin contained therein and removes the air inside the waste resin.

상기 발열 수단은, 상기 분기 투입관(21b)의 벽에 축(51x, 52x)이 설치되어 투입되는 상기 폐수지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분기 투입관(21b)의 내측에 투입되는 상기 폐수지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51h, 52h)가 각각 내장된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 및 상기 분기 투입관(21b)의 외면에 설치된 히팅 코일(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generating means is provided with shafts 51x and 52x on the wall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so that the injected waste resin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distance that allows the passage of the waste resin, and can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 pair of rotating rollers (51, 52) each equipped with heating heaters (51h, 52h) for heating the waste resin introduced into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eating coil (53)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상기 발열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200)와 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컨베이어(200)의 컨베이어 벨트(220)에 적치되어 공급되는 폐수지를 말랑말랑해지도록 가열하는 발열장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means further includes a heating device 60 that is installed at an interval above the conveyor 200 and heats the waste resin supplied by being placed on the conveyor belt 220 of the conveyor 200 to make it soft.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분기 투입관(21b)은 내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반원형 단면의 복수의 돌출부(21b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b1 with a semicircular cross-sec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surfac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설정 크기로 잘려진 폐플라스틱 자체를 말랑말랑한 상태로 만들어 폐플라스틱의 사이의 폐쇄된 공간 형성을 최소화하여 유화수단 내로 설정 수준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 내의 산소로 인한 가스 연소 및 폭발을 방지하여, 생성되는 재생유의 생산량 증대와 충격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aste plastic itself cut to a set size is made soft and the formation of closed spaces between the waste plastics is minimized to prevent air exceeding a set level from flowing into the emulsification means, thereby preventing the inflow of air. We provide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that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gas combustion and explosion due to oxygen in the air, increases the production of recycled oil generated, and prevents damage to equipment and the risk of fire due to impact. It works.

또한, 설정 크기로 잘려진 폐플라스틱 자체를 말랑말랑한 상태로 만들 때 설정 크기로 잘려진 폐플라스틱을 다시 한번 더 잘라서 더 작은 크기로 만들면서 더 작은 크기로 만들어지는 폐플라스틱 자체도 말랑말랑한 상태로 만들어 폐플라스틱의 사이의 폐쇄된 공간 형성을 더욱 최소화하여 유화수단 내로 설정 수준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 내의 산소로 인한 가스 연소 및 폭발을 방지하여, 생성되는 재생유의 생산량 증대와 충격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ste plastic itself cut to the set size is made into a soft state, the waste plastic cut to the set size is cut again to make it into a smaller size, and the waste plastic itself made into a smaller size is also made to be soft. By further minimizing the formation of closed spaces between the devices, the inflow of air exceeding the set level into the emulsification means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gas combustion and explosion due to oxygen in the incoming air,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recycled oil produced and equipment due to shock.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that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damage and the risk of fire.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재생유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b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와 1b에 발열장치가 추가된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 중 A의 확대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재 배출장치(4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측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 중 B에서 B'까지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 중 압착판(23)의 확대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e는 도 3a의 투입관(21)의 분기 투입관(21b)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한 쌍의 롤러(R1, R2)의 사시도이다.
도 3f는 도 3e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가열장치(3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가열장치(3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압착판(23)이 하강하여 바늘(23c)이 폐수지(P)를 관통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재생유의 시험성적서이다.
Figure 1a is a process diagram for producing recycled oil using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1C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heating device is added to FIGS. 1A and 1B.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a.
Figure 2c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ure 2b.
Figure 2d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ash discharge device 4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B to B' in FIG. 3A.
FIG. 3C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essing plate 23 in FIG. 3B.
Figure 3d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3E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rollers R1 and R2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of the injection pipe 21 in FIG. 3A.
FIG. 3F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E.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device 3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device 3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diagram of 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use state diagram in which the pressing plate 23 of Figure 6a is lowered and the needle 23c penetrates the waste resin P.
Figure 7 is a test report of recycled oil produced using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s and effects will be described coll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재생유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1b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와 1b에 발열장치가 추가된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b 중 A의 확대도이며, 도 2d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재 배출장치(40)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측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 중 B에서 B'까지의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b 중 압착판(23)의 확대도이며, 도 3d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e는 도 3a의 투입관(21)의 분기 투입관(21b)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한 쌍의 롤러(R1, R2)의 사시도이며, 도 3f는 도 3e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가열장치(3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가열장치(30)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압착판(23)이 하강하여 바늘(23c)이 폐수지(P)를 관통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재생유의 시험성적서이다.FIG. 1A is a process diagram for producing recycled oil using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1C is a FIG. It is a drawing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heating device is added to 1a and 1b,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a, Figure 2c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ure 2b, Figure 2d is a state diagram of the ash discharge device 4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B to B' in FIG. 3A, FIG. 3C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mpression plate 23 in FIG. 3B, and FIG. 3D is a state of use of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3E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rollers (R1, R2)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inside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of the injection pipe 21 in FIG. 3A, and FIG. 3F is along line B-B' in FIG. 3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device 30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device 30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usage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b shows the compression plate 23 of Figure 6a being lowered. This is a diagram showing a use state in which the needle 23c penetrates the waste resin (P), and Figure 7 is a test report of recycled oil produced using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재생유를 생산하기 위한 재생유 생산 장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100);와 상기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100)에서 생성된 가스를 냉각하여 액체 상태의 재생유로 응축하는 응축부(300);와 상기 응축부(300)에 냉각수를 순환공급하는 냉각탑(400);과 상기 응축부(300)에서 생성된 재생유에 혼입된 수분을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유수분리기(500);와 상기 유수분리기(500)에서 수분과 분리된 재생유를 저장하는 재생유 저장탱크(600);와 상기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100) 내부에 수용된 폐수지를 융해 및 기화하기 위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700);를 포함한다.The reclaimed oil production device for producing recycled oil using the pneumatic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100)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ed injection device; and a waste resin emulsifier equipped with the air compressed injection device. A condensing unit 300 that cools the gas generated in (100) and condenses it into liquid regeneration oil; and a cooling tower 400 that circulates and supplies cooling water to the condensing unit 300; and generated in the condensing unit 300. An oil-water separator 500 that separates moisture mixed in the recycled oil us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and a reclaimed oil storage tank 600 that stores the reclaimed oil separated from moisture in the oil-water separator 500; and the air compressed input. It includes a fuel tank 700 that stores fuel for melting and vaporizing the waste resin contained within the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100 equipped with the device.

상기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100)는, 폐수지를 공급하는 컨베이어(200);와 폐수지를 컨베이어(200)에서 공급받아 압착하여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와 지면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압착 투입장치(20)로부터 투입되는 폐수지를 수용하여 융해 후 기화시키는 융해로(10);와 공기압착 투입장치(20) 내의 폐수지가 말랑말랑해지도록 공급되는 상기 폐수지를 가열하는 발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 수단에 의해 공기압착 투입장치(20) 내의 폐수지가 말랑말랑해지도록 공급될 수 있다.The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100 equipped with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includes a conveyor 200 that supplies waste resin; and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that receives the waste resin from the conveyor 200 and compresses it to remove air; and a melting furnace (10) that is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ground to accommodate the waste resin inputted from the air compressed input device (20) and vaporizes it after melting; It includes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supplied waste resin. The waste resin in the air compressed injection device 20 can be supplied to become soft by the heat generat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100)는, 상기 경사진 융해로(10)의 상측 측면에 구성되어, 융해로(10) 내부의 폐수지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30);와 상기 경사진 융해로(10)의 상측 하부에 구성되어, 융해로(10) 내부의 폐수지가 융해 및 기화 과정에 발생하는 재를 배출하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재 배출장치(4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100 equipped with the pneumatic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device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melting furnace 10 and applying heat to the waste resin inside the melting furnace 10. (30); and an ash discharger configured at the upper lower part of the inclined melting furnace 10, which discharges ash generated during the melting and vaporization process of the waste resin inside the melting furnace 10, but prevents external air from entering. It further includes a device 40.

융해로(10)는 지면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원통 형태의 외통(11);과 상기 외통(11) 내부에 구성되어 폐수지를 수용하여 융해 및 기화시키는 내통(12);과 상기 내통(12)의 양측단에 연결되어, 내통(12) 내부에 수용된 용융된 폐수지(M)를 교반 및 이송하여주는 스크루(13);와 상기 스크루(13)의 일단과 연결되어 스크루(13)를 회전시키는 모터(14);를 포함한다.The melting furnace 10 includes an outer cylinder 11 in the form of a cylinder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ground; and an inner cylinder 12 formed inside the outer cylinder 11 to accommodate waste resin and melt and vaporize it. )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crew (13), which agitates and transports the molten waste resin (M) contained inside the inner cylinder (12);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crew (13) to rotate the screw (13) Includes a motor (14).

외통(11)은 내주면에 구성되어 외통(11)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단열재(11a)와, 상기 단열재(11a)의 내주면에 위치하여 단열재(11a)에 화염이 닿지 않도록 하고 외통(11)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벽돌(11b)이 구성되며, 지면에서 기울어지게 구성된 외통(11)의 하측에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11c)가 형성된다.The outer cylinder 11 includes an insulating material 11a that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o prevent heat inside the outer cylinder 11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and is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11a to prevent flame from reaching the insulating material 11a. A brick (11b) is formed that absorbs and stores heat inside the outer cylinder (11), and an exhaust port (11c) through which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11) that is inclined from the ground.

또한, 상기 컨베이어(200)는,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둔 한쌍의 드럼(210, 220)의 둘레에 컨베이어 벨트(230)가 설치되어 있고, 컨베이어 벨트(230)의 외면상에는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격판(Pa1, Pa2, Pa3, Pa4, Pa5, Pa6, Pa7, Pa8)이 컨베이어 벨트(230)의 외측 방향이면서 전진 이동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격판(Pa1, Pa2, Pa3, Pa4, Pa5, Pa6, Pa7, Pa8)에 의해 컨베이어(200)가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었을 때에도 폐수지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컨베이어 벨트(230)상에 적재되어 위로 이동 공급되어 분기 투입관(21b)의 투입구(21in)으로 투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B, the conveyor 200 has a conveyor belt 230 installed around a pair of drums 210 and 2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veyor belt 230 i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30. A plurality of spaced plates (Pa1, Pa2, Pa3, Pa4, Pa5, Pa6, Pa7, Pa8) ar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veyor belt 230 and inclined in the forward movement direction. Even when the conveyor 200 is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by means of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Pa1, Pa2, Pa3, Pa4, Pa5, Pa6, Pa7, Pa8), the waste resin does not fall down and is safely loaded on the conveyor belt 230. It can be supplied by moving upward and being injected into the inlet (21in) of the branch inlet pipe (21b).

도 2c 또는 도 2d와 같이, 상기 내통(12)은 일측 상부에 폐수지가 기화하여 생성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구(12a)와, 상기 가스 배출구(12a)의 아래 방향에 폐수지의 기화 과정 중 불순물 등이 연소하여 발생하는 재(T)를 배출하는 재 배출구(12b)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C or 2D, the inner cylinder 12 has a gas outlet 12a at the top of one side through which gas generated by vaporizing the waste resin is discharged, and impurities during the vaporization process of the waste resin are discharged below the gas outlet 12a. An ash discharge port 12b is formed to discharge ash T generated by combustion of the lamp.

도 2a 내지 도 2d와 상기의 구성을 참조하여, 융해로(10)의 작동 순서와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D and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ing sequence and principle of the melting furnace 10 will be described.

지면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내통(12)에서 하측 상부에 공기압착 투입장치(20)로부터 폐수지를 공급받고, 내통(12) 내부에 구성된 스크루(13)가 모터(14)에 의해 회전하며 내통(12)에 수용된 폐수지를 교반하며 가스배출구(12a)가 위치한 상측 방향으로 이송시킨다.Waste resin is supplied from the upper lower part of the inner cylinder (12) installed at an angle from the ground, and the screw (13) formed inside the inner cylinder (12) is rotated by the motor (14) and is applied to the inner cylinder (12). The received waste resin is stirred and transferred to the upper direction where the gas outlet (12a) is located.

이때, 가열장치(30)가 외통(11)과 내통(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게 되고, 공간(S) 내부의 가열된 공기에 의해 내통(12)에 수용된 폐수지는 액체 상태로 융해가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heating device 30 heats the air inside the space S form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inner cylinder 12, and the heated air inside the space S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cylinder 12. Waste resin melts into a liquid state.

상기와 같이 가열장치(30)가 내통(12)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지 않고 공간(S)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간접열전달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내통(12)과 스크루(13)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device 30 uses an indirect heat transfer method that heats the air inside the space S without directly applying heat to the inner cylinder 12, thereby increasing the lifespan of the inner cylinder 12 and the screw 13.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또한, 가열장치(30)가 지면에서 경사지게 구성된 외통(11)의 상측에 구성되고, 내통(12) 내부의 용융된 폐수지(M)가 기화가 이루어지는 유면(M1) 부위에 집중적으로 열을 가하며, 외통(11)과 내통(12) 사이 공간(S)의 상부에서 생성되는 열이 위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하부로 이동하여 내통(12) 내부의 하부에 수용된 폐수지를 예열하게 되는 것으로 연료사용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device 30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11 inclined from the ground, and heat is concentrated on the oil surface M1 where the molten waste resin M inside the inner cylinder 12 is vaporized. , the heat gener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pace (S) between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inner cylinder (12) does not escape upward but moves to the lower part to preheat the waste resin contain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ylinder (12),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uel use. You can raise it.

도 2c 또는 도 2d와 같이, 융해된 폐수지(M)는 유면(M1)에서 기화가 되며, 생성된 가스는 가스 배출구(12a)로 배출되고, 폐수지에 함유된 이물질 등이 연소하여 생성되는 재(T)는 재 배출구(12b)로 떨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ure 2c or Figure 2d, the melted waste resin (M) is vaporized at the oil level (M1), the generated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outlet (12a),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te resin are burned to produce ash. (T) falls into the ash outlet (12b).

이때, 유면(M1)의 높이는 내통(12) 내부에 투입되는 폐수지의 양과 스크루(13)에 형성되는 스크루 날(13a)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데, 스크루 날(13a)은 융해된 폐수지(M)에 의하여 재 배출구(12b)가 막히지 않도록 일부분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oil level (M1)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waste resin introduced into the inner cylinder (12) and the position of the screw blade (13a) formed on the screw (13). The screw blade (13a) is formed by melting the waste resin (M ), it is desirable to form only a portion of the ash outlet (12b) so that it is not blocked.

상기와 같이 지면에서 기울어진 내통(12)의 상측 하단에 재 배출구(12b)를 구성하고 재를 배출함으로써, 내통 내부에 재가 잔류하게 되어 폐수지의 열분해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By configuring the ash discharge port 12b at the upper lower end of the inner cylinder 12 inclined from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discharging the ash, it is possible to prevent ash from remaining inside the inner cylinder and reduc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efficiency of the waste resin.

또한, 내통 내부에 잔류 되는 재의 양을 줄임으로써. 내통 내부의 청소 주기가 늘어남으로, 장비 운용의 시간 손실을 줄일 수 있다.Additionally, by reducing the amount of ash remaining inside the inner cylinder. By increasing the cleaning cycle inside the inner cylinder, time loss in equipment operation can be reduced.

공기압착 투입장치(20)는 상기 내통(12)의 일측 상부에 연결된 원통 형태의 투입관 본체(21a), 상기 투입관 본체(21a)의 상측의 일측부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분기하고 투입구(21in)를 형성하고 있는 분기 투입관(21b)을 포함하는 투입관(21);과 상기 투입관(21)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어, 상하작동을 수행하는 실린더 로드(22a)가 하측에 형성되는 상하실린더(22);와 상기 실린더 로드(22a)에 고정되어 투입관 본체(21a) 내부에 수용된 폐수지를 압착하여, 폐수지 간 공극의 공기를 제거하는 압착판(23);과 상기 투입관(21)의 외측면에 구성되어 내통(12)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여 주는 나이프 게이트 밸브(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ir compressed injection device 20 includes a cylindrical injection pipe body 21a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inner cylinder 12, an injection pipe body 21a, which branches out inclined upward from one upper side of the injection pipe body 21a and has an injection port 21in. an injection pipe 21 including a branch injection pipe 21b; and an upper cylinde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injection pipe 21 and having a cylinder rod 22a that performs an up-and-down opera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 22); and a pressing plate 23 that is fixed to the cylinder rod 22a and compresses the waste resin contained within the input pipe main body 21a to remove air in the voids between the waste resins; and the input pipe 2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knife gate valve 24,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shields the inner cylinder 12 from external air from entering.

투입관(21)은 일측 상부에 컨베이어(200)로부터 폐수지(P)를 공급받는 투입구(21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통(12)과 연결되어 내통(12)으로 폐수지가 공급되는 배출구(21e)가 형성된다.The input pipe 21 has an inlet 21a formed at the upper part of one side to receive waste resin P from the conveyor 200,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inner tube 12 at the bottom to supply waste resin to the inner tube 12 ( 21e) is formed.

압착판(23)은 압착판(23)이 하강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구(23a)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23a)의 상측에 힌지(H)로 연결되어 압착판(23)이 하강중에는 공기압에 의해 통기구(23a)를 개방하고, 압착판(23)이 멈추거나 상승시에는 자체하중에 의해 통기구(23a)를 닫아주는 복수의 커버(23b)가 형성된다.The pressing plate 2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23a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which air can pass when the pressing plate 23 is lowered,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ntilation holes 23a with a hinge H to form a pressing plate ( When 23) is lowered, the ventilation hole 23a is opened by air pressure, and when the compression plate 23 stops or rises, a plurality of covers 23b are formed to close the ventilation hole 23a by its own load.

나이프 게이트 밸브(24)는 상기 투입관(21)의 일측에 가로 방향으로 구성되어, 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실린더 로드(24a1)가 투입관(21)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실린더(24a)와, 상기 실린더 로드(24a1)에 고정되어, 판 형태를 가지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투입관(21) 내부의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나이프(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knife gate valve 24 is config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injection pipe 21, and a cylinder rod 24a1 that performs a linear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injection pipe 21. 24a) and a knife 24b that is fixed to the cylinder rod 24a1, has a plate shape, and performs an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inside the injection pipe 21 in a slide manner.

도 3a 내지 도 3d와 상기의 구성을 참조하여,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작동 순서와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D and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ing sequence and function of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will be described.

1. 컨베이어(200)에서 투입구(21a)를 향하여 이송된 폐수지(P)가 투입구(21a)를 통과하여 투입관(21) 내부로 공급된다.1. Waste resin (P)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200 toward the inlet 21a passes through the inlet 21a and is supplied into the inlet pipe 21.

이때, 나이프 게이트 밸브(24)는 투입관(21) 내부에서 차폐된 상태, 즉 실린더 로드(21a1)가 전진하여 폐비닐(P)과 외부공기가 내통(12)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나이프(24b)가 가로막고 있는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knife gate valve 24 is in a shielded state inside the injection pipe 21, that is, the cylinder rod 21a1 advances to prevent the waste vinyl (P) and external air from flowing into the inner cylinder 12. is in the way.

따라서, 투입관(21) 내부에 공급된 폐수지(P)는 내통(12)으로 바로 공급되지 않고 나이프(24b) 윗면에 적재된다.Accordingly, the waste resin (P) supplied inside the input pipe 21 is not directly supplied to the inner tube 12 but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24b.

2. 상하실린더(22)의 실린더 로드(22a)와 압착판(23)이 하강하게 된다. 2. The cylinder rod (22a) and the pressing plate (23) of the upper cylinder (22) descend.

투입관(21) 내부의 압착판(23)과 나이프(24b) 사이의 공기가 압축되고, 공기압에 의해 통기구(23a)를 막고 있던 커버(23b)가 열리게 되고 압축된 공기는 통기구(23a)를 통하여 상부로 빠져나게게 된다.The air between the pressing plate 23 and the knife 24b inside the input pipe 21 is compressed, and the cover 23b blocking the ventilation hole 23a is opened by the air pressure, and the compressed air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3a. It escapes through the upper part.

이후 압착판이(23) 폐수지(P)를 압착하여 부피를 줄이고 폐수지(P) 간의 공극에 위치한 공기 또한 통기구(23a)를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Afterwards, the compression plate (23) compresses the waste resin (P) to reduce its volume, and the air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waste resin (P) also escapes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3a).

여기서 폐수지(P)는 압착이 가능한 비닐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waste resin (P) may be a vinyl type that can be compressed.

3. 상기와 같이 폐수지(P)가 압착된 다음 실린더 로드(24a1)와 나이프(24b)가 후진하여 나이프 게이트 밸브(24)가 열리게 되고, 나이프(24b) 윗면에 적재되어 있던 폐수지(P)는 중력과 압착판(23)의 누르는 힘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배출구(21e)를 지나 내통(12)으로 투입되게 된다.3. After the waste resin (P) is compressed as described above, the cylinder rod (24a1) and the knife (24b) move backward to open the knife gate valve (24), and the waste resin (P)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24b) is ) falls down by gravity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compression plate 23 and is injected into the inner cylinder 12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e.

이때, 압착판(23)은 나이프(24b) 보다 아래 높이까지 하강하여 폐수지를 밀어낸 후 상승하여 나이프(24b)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멈추게 되고, 커버(23b)는 자체 하중에 의해 통기구(23a)가 닫혀있는 상태를 만들어 외부공기가 압착판(23) 아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plate 23 descends to a height below the knife 24b, pushes out the waste resin, and then rises to stop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24b, and the cover 23b moves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3a by its own weight. is in a closed state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passing under the pressing plate (23).

4. 상기와 같이 압착판(23)이 나이프(24)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 멈춘 상태에서, 나이프(24b)가 전진하여 외부공기가 투입관(21) 내부에서 나이프(24b) 아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기밀을 유지한 후 압착판(23)이 상승하여 완전히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4. With the pressing plate (23) stopp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24) as described above, the knife (24b) moves forward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passing under the knife (24b) inside the input pipe (21). After maintaining airtightness, the pressing plate 23 rises and completely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4a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가열장치(3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가열장치(30)의 단면도이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device 30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device 30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가열장치(30)는 상기 외통(11)의 일측 외주면에 구성되어 내부에 연료가 연소하여 화염이 생성되는 원통 형태의 점화로(31);와 상기 점화로(31) 일단에 구성되어 점화로(31) 내부에 연료를 분사하는 로터리 버너(32);와 상기 로터리 버너(32)의 측부에 구성되어 로터리 버터(32)에서 분사되는 연료를 착화시키는 파이프 버너(33);와 상기 로터리 버너의 측부에 구성되어 로터리 버너에서 분사되는 연료가 착화되는 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 센서(34);와 상기 점화로(31) 외부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점화로 내부(31)에 연료가 연소하기 위한 공기(Air)를 공급하는 피드 팬(35);과 상기 점화로(31)와 피드 팬(35)를 연결하는 파이프에 구성되어 로터리 버너(32)에서 분무되는 연료의 양에 따라 피드 팬(35)에서 점화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비례제어 밸브(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eating device 30 is configur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1 and has a cylindrical ignition furnace 31 in which fuel is burned inside to generate a flame; and at one end of the ignition furnace 31 is an ignition furnace ( 31) a rotary burner 32 that injects fuel inside; and a pipe burner 33 configured on a side of the rotary burner 32 to ignite the fuel injected from the rotary burner 32; and a side of the rotary burner A flame detection sensor (34) configured to detect ignition of the fuel injected from the rotary burner; and air (Ai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ignition furnace (31) by a pipe to combust the fuel inside the ignition furnace (31). ), which is configured in a pipe connecting the ignition furnace 31 and the feed pan 35, and ignites the feed pan 35 according to the amount of fuel sprayed from the rotary burner 3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portional control valve 36 that controls the flow rate of air supplied into the furnace.

상기 로터리 버너(32)는 연료를 착화시키는 기능을 가지지 않아 착화를 위한 별도의 파이프 버너(33)가 구성되고, 로터리 버너(32)에서 분사되는 연료에 착화가 이루어지면 불꽃감지 센서(34)가 감지하고 파이프 버너(33)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The rotary burner 32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igniting fuel, so a separate pipe burner 33 is configured for ignition, and when the fuel injected from the rotary burner 32 is ignited, the flame detection sensor 34 is activated. detects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pipe burner (33).

가열장치(300)의 작동 초기에는 연료탱크(700)에서 로터리 버너(32)로 연료를 공급하며, 폐수지가 용해로(10)에서 기화 후 응축부(300)에서 응축되지 않은 가스는 점화로(31) 내부로 공급되어 보조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At the beginning of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300, fuel is supplied from the fuel tank 700 to the rotary burner 32, and after the waste resin is vaporized in the melting furnace 10, the gas not condensed in the condensing unit 300 is ignited in the ignition furnace 31. ) can be supplied internally and used as auxiliary fuel.

또한, 응축부(300)에서 가스를 응축 후 유수분리기(500)를 거쳐 생산된 재생유는 재생유 저장탱크(600)에 저장되고 이를 로터리 버너(32)로 공급하여 연료로 사용 가능하며, 로터리 버너(32)와 재생유 저장탱크(600) 및 연료탱크(700) 사이에 연결된 배관에 밸브(V)를 구성하여 연료탱크(700)에서 로터리 버너(32)로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고, 재생유 저장탱크(600)에 저장된 재생유만을 연료로 로터리 버너(32)에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ycled oil produced after condensing the gas in the condenser 300 and passing through the oil-water separator 500 is stored in the recycled oil storage tank 600 and can be used as fuel by supplying it to the rotary burner 32. A valve (V) is formed on the pipe connected between the burner 32, the regeneration oil storage tank 600, and the fuel tank 700 to block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tank 700 to the rotary burner 32 and regenerate it. Only the recycled oil stored in the oil storage tank 600 can be supplied to the rotary burner 32 as fuel.

그리고 상기 밸브(V)와 로터리 버너(32) 사이의 배관에 펌프(PU)가 구성되어 재생유 저장탱크(600)에 수용된 재생유와 연료탱크(700)에 수용된 연료를 로터리 버너(32)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펌프(PU)와 로터리 버너(32) 사이 배관에 압력계(PG)가 더 구성되고 로터리 버너(32)로 일정량의 재생유 및 연료가 공급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pump (PU) is configured in the pipe between the valve (V) and the rotary burner 32 to transfer the reclaimed oil contained in the reclaimed oil storage tank 600 and the fuel contained in the fuel tank 700 to the rotary burner 32. It plays a role of supplying, and a pressure gauge (PG) is further configured in the pipe between the pump (PU) and the rotary burner 32 to ensure that a certain amount of reclaimed oil and fuel is supplied to the rotary burner 32.

상기의 재생유가 가지는 발열량은 45,880 J/g (도 7의 시험성적서 참조) 정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등유가 가지는 발열량(46,002.4 J/g, 비중 0.8 기준)과 유사한 수준이며, 경유가 가지는 발열량(44,380 J/g, 비중 0.85 기준)보다 높다.The calorific value of the above-mentioned recycled oil is about 45,880 J/g (see test report in FIG. 7), which is similar to the calorific value of kerosene (46,002.4 J/g, based on specific gravity of 0.8), and the calorific value of diesel oil (44,380 J/g, based on specific gravity of 0.85).

상기 재 배출장치(40)는 상기 재 배출구(12b) 하단에 부착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체(42);와 상기 재 배출구(12b)와 회전체(42) 사이에 위치하여 케이스(41) 내부의 개폐를 수행하는 나이프 게이트 밸브(4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42)는 중심축에서 외측으로 복수의 날개(42a)가 일정 각도로 형성되고, 복수의 날개(42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42b)으로 재(T)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회천체(42)가 회전시 공간(42b)에 수용된 재(T)가 하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ash discharge device 40 includes an empty case 41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ash discharge port 12b; and a rotating body 42 configured to rotate inside the case by a motor (not show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knife gate valve (46) located between the ash outlet (12b) and the rotating body (42)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case (41), and the rotating body (42)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entral axis. A plurality of wings 42a are formed at a certain angle, and ash (T) flows from the top into the space 42b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wings 42a, and when the gray body 42 rotates, the space 42b is formed.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aterial (T) contained in is discharged to the bottom.

이때, 날개(42a)와 케이스(41) 내부면이 접촉하는 부위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내통(1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내통(12)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가 연소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area in contact between the wing 42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41 is configured to maintain airtightness, thereby preventing air from entering the inner cylinder 12, thereby preventing air generated inside the inner cylinder 12. Make sure the gas does not burn.

나이트 게이트 밸브(46)는 상기 케이스(41)의 일측에 가로 방향으로 구성되어, 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실린더 로드(43a1)가 케이스(41)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실린더(46)와, 상기 실린더 로드(46a1)에 고정되어, 판 형태를 가지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케이스(41) 내부의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나이프(4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ight gate valve 46 is configur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case 41, and a cylinder rod 43a1 that performs a linear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is formed inside the case 41. and a knife (46b) fixed to the cylinder rod (46a1), which has a plate shape and performs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the inside of the case (41) in a slide manner.

도 2d와 같이, 재 배출구(12b)를 통하여 떨어지는 재는 나이프(46b) 윗면에 적재되고, 재를 배출할 시에는 나이프(46b)가 후진하여 나이프(46b) 윗면에 적재된 재를 공간(42b)으로 낙하시키고, 나이프(46b)가 전진하여 내통(12)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D, the ash falling through the ash discharge port 12b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46b, and when the ash is discharged, the knife 46b moves backwards and the ash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46b is stored in the space 42b. and the knife (46b) moves forward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flowing into the inner tube (12).

이때, 재 배출구(12b)에는 일정량의 재가 적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재 배출구(12b)에 적재된 재에 의해 나이프(46b)가 후진할 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줄여줄 수 있다.At this time, by maintaining a certain amount of ash loaded in the ash outlet 12b, the inflow of external air when the knife 46b moves backward due to the ash loaded in the ash outlet 12b can be reduc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a 및 도 3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열 수단은, 상기 분기 투입관(21b)의 벽에 축(51x, 52x)이 설치되어 투입되는 상기 폐수지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분기 투입관(21b)의 내측에 투입되는 상기 폐수지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51h, 52h)가 각각 내장된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 및 상기 분기 투입관(21b)의 외면에 설치된 히팅 코일(53)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가 가열 히터(51h, 52h)를 각각 내장하여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분기 투입관(21b)으로 투입되는 폐수지가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가열되어 말랑말랑한 상태가 되며 1차적으로 가열되어 말랑말랑한 상태가 된 폐수지가 낙하하여 분기 투입관(21b)의 내벽면에 낙하하였을 때 히팅 코일(53)에 의해 2차적으로 가열되어 더욱 말랑말랑한 상태가 되며, 이후 폐플라스틱의 압착시 압착되는 폐플라스틱의 사이의 폐쇄된 공간 형성을 최소화하여 유화수단 내로 설정 수준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 내의 산소로 인한 가스 연소 및 폭발을 방지하여, 생성되는 재생유의 생산량 증대와 충격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A and 3E, the heat generating means has shafts 51x and 52x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to provide a gap through which the injected waste resin can pass. A pair of rotating roller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can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each having built-in heating heaters 51h and 52h for heating the waste resin introduced into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51, 52); And a heating coil 53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The pair of rotating rollers (51, 52) each have built-in heating heaters (51h, 52h),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intervals, and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forming a pair of waste resins that are injected into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As it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otating rollers 51 and 52, it is primarily heated and becomes soft, and the waste resin that is primarily heated and becomes soft falls and falls on the inner wall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When the waste plastic is secondarily heated by the heating coil 53, it becomes more soft, and when the waste plastic is compressed, the formation of closed spaces between the compressed waste plastics is minimized so that air above the set level is not introduced into the emulsification means. By preventing gas combustion and explosion caused by oxygen in the incoming ai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recycled oil produced and prevent damage to equipment due to shock and the risk of fire.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e 및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 중 회전 롤러(51)는 외주면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칼날(51c)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 중 회전 롤러(52)는 외주면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칼날(52c)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칼날(51c)과 복수의 칼날(52c)은 가위의 양날 모양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의 사이 간격을 통과하는 폐수지를 더욱 잘게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르면, 투입구(21in)를 통해 투입된 폐수지가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의 사이 간격을 통과하면서 서로 인접한 복수의 칼날(51c)과 복수의 칼날(52c)에 의해 더욱 잘게 절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의 사이 간격을 통과하면서 가열 히터(51h, 52h)에 의해 가열되고 이후 히팅 코일(53)에 의해 말랑말랑한 상태로 가열될 때 가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E and 3F, the rotating roller 51 of the pair of rotating rollers 51 and 52 has a plurality of blades 51c disposed at intervals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further includes, of the pair of rotating rollers 51 and 52, the rotating roller 52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52c disposed at intervals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plurality of blades 51c and a plurality of blades 51c. The blades 52c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hape of double-edged scissors and serve to cut the waste resin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rollers 51 and 52 into smaller pieces. According to this, the waste resin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in) can be cut more finely by the plurality of blades 51c and 52c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rollers 51 and 52. Accordingly, the heating time is shortened when it is heated by the heating heaters 51h and 52h while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rollers 51 and 52 and then heated to a soft state by the heating coil 53. It can be.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기 투입관(21b)은 내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반원형 단면의 복수의 돌출부(21b1)를 더 포함한다. 이처럼 복수의 돌출부(21b1)가 분기 투입관(21b)의 내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1차적으로 가열되어 말랑말랑한 상태가 된 폐수지가 낙하하여 분기 투입관(21b)의 내벽면에 낙하하였을 때 분기 투입관(21b) 자체의 경사로 인한 투입관 본체(21a)로의 상대적으로 빠른 진입을 방지하여 폐수지가 투입관 본체(21a)로 진입될 때까지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히팅 코일(53)에 의한 폐수지의 가열 시간을 증가시켜 폐수지를 더욱 말랑말랑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b1 with a semicircular cross-sec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surface. In this way,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b1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so that the waste resin that is primarily heated and becomes soft may fall and fall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It is possible to delay the time until the waste resin enters the input pipe main body 21a by preventing relatively rapid entry into the input pipe main body 21a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itself, and accordingly, heating coil By increasing the heating time of the waste resin by (53),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waste resin more soft.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 수단은,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와 히팅 코일(53)의 구성 또는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와 히팅 코일(53)과 반원형 단면의 복수의 돌출부의 구성 외에, 상기 컨베이어(200)와 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컨베이어(200)의 컨베이어 벨트(220)에 적치되어 공급되는 폐수지를 말랑말랑해지도록 가열하는 발열장치(60)를 더 포함한다.In a further embodiment, the heating means may include a pair of rotating rollers 51, 52 and a heating coil 53, or a pair of rotating rollers 51, 52 and a heating coil 53.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with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 heating device 60 is installed at intervals above the conveyor 200 and heats the waste resin supplied by being placed on the conveyor belt 220 of the conveyor 200 so that it becomes soft. It further includes.

도 5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구성에서 투입관(21)의 외주면에 측면 통기구(21c)와 커버(21d)가 더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Figure 5 is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 2 is a side vent hole 21c and a cov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jection pipe 21 in the configuration of Example 1. It is the same as Example 1 except that (21d) is further formed.

도 5와 같이, 상기 투입관 본체(21a)는 외주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측면 통기구(21c)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며, 상기 측면 통기구(21c)의 일단면에 힌지(H)로 연결되어 측면 통기구(21c)의 개폐를 수행하는 측면 커버(21d)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injection pipe main body 21a has a plurality of side vents 21c through which air can pas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de vent 21c with a hinge H. A side cover 21d that opens and closes the side vent 21c can be formed.

나이트 게이트 밸브(24)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관(21) 내부에 폐수지가 투입되고 압착판(23)이 하강하여 폐수지를 압착하게 되면 폐수지 간의 공극에 위치한 공기의 공기압이 상승하게 되고 압착판(23)의 통기구(23a)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된다.When the night gate valve (24) is closed and the waste resin is injected into the input pipe (21) and the pressing plate (23) descends to compress the waste resin, the air pressure of the air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waste resins increases and the pressing plate (23)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3a of 23).

이때, 폐수지의 하부나 중심, 측면에 위치한 공극의 공기는 상부에 위치한 압착판(23)의 통기구(23a) 사이에 위치하는 폐수지에 의해 가로막혀 통기구(23a)로 배출되기 어려울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in the pores located at the bottom, center, or side of the waste resin may be blocked by the waste resin located between the vent holes 23a of the pressing plate 23 located at the top, making it difficult to discharge through the vent hole 23a.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실시예 2의 구성으로 압착판(23)의 통기구(23a)로 빠져나가지 못한 폐수지 간의 공극에 위치한 공기가 측면 통기구(21c)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실시예 1의 공기압착 투입장치(20) 보다 효과적으로 폐수지 공극의 공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with the configuration of Example 2 as described above, the air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waste resins, which did not escap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3a of the compression plate 23, is allowed to escape through the side ventilation hole 21c, and the air compression of Example 1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remove air from the waste resin pores more effectively using the input device 20.

또한, 상기 커버(21d)는 폐수지 간의 공극에 위치한 공기가 측면 통기구로 빠져 나갈 시에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공기가 빠져나간 후에는 커버(21d) 자체의 하중에 의해 측면 통기구(23c)를 닫아 외부의 공기가 투입관(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In addition, the cover 21d is open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when the air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waste resins escapes through the side vent, and after the air escapes, the cover 21d is opened by the load of the cover 21d itself through the side vent 23c. ) is closed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flowing into the input pipe (21).

공기압착 투입장치(20) 내부에 투입되는 폐수지는 비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닐 간에 형성되는 공극의 공기는 비닐에 둘러싸여 있을시 공극이 밀폐된 상태를 형성하여 공기가 원활히 빠져나가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공기압착 투입장치(20)를 구성할 수 있다.The waste resin injected into the air compression device 20 may be made of vinyl, and the air in the pores formed between the vinyl forms a sealed state when surrounded by vinyl, making it difficult for the air to escape smoothl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도 6a 또는 도 6b와 같이, 공기압착 투입장치(20)는 압착판(23)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바늘(23c)과 스토퍼 블록(24d)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판(23)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복수의 축(25);과 상기 축(25)의 하단에 부착되는 원형 판으로 상기 바늘(23c)이 지나갈 수 있는 복수의 바늘구멍(26a)이 형성되는 푸셔(26);와 상기 축(25)의 외주면에 구성되는 스프링(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6A or 6B,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needles 23c and a stopper block 24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ion plate 23, and the compression plate 23 ) a plurality of shafts 25 that penetrate and couple; and a pusher 26 formed with a plurality of needle holes 26a through which the needle 23c can pass through a circular plat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25. ; and a spring 27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25.

도 6a와 같이, 압착판(23)이 하강시 푸셔(26)가 폐수지(P)와 맞닿기 전에는 스프링(27)의 탄성력과 푸셔(26)의 하중에 의해 바늘(23a) 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되고, 푸셔(26)와 축(25)이 압착판(23)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축(25)의 상부에는 스토퍼(25a)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6a, when the pressure plate 23 is lowered, before the pusher 2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ste resin P, it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needle 23a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7 and the load of the pusher 26. A stopper 25a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25 to prevent the pusher 26 and the shaft 25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essing plate 23.

도 6b와 같이, 도 6a의 압착판(23)이 더 하강하여 푸셔(26)가 폐수지(P)와 맞닿게 되면 푸셔(26)가 폐수지(P)에 밀려 올라가게 되고 바늘(23c)이 바늘구멍(26a)을 지나 폐수지(P)를 관통하여 폐수지(P) 간의 공극에 위치한 공기가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게 되어 폐수지(P)로부터 공기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ure 6b, when the pressing plate 23 of Figure 6a is further lowered and the pusher 2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ste resin (P), the pusher 26 is pushed up by the waste resin (P) and the needle 23c. By passing through this needle hole (26a) and penetrating the waste resin (P), a hole is created through which the air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waste resins (P) can escape, making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move air from the waste resin (P).

또한, 복수의 상기 바늘(23c)이 말랑말랑해진 상태에서 압축된 폐수지를 관통하게 되면 혹시라도 잔존하고 있을 폐쇄된 상태의 밀폐 공간을 찔러 공기를 빼낼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plurality of needles 23c penetrate the compressed waste resin in a soft state, air can be extracted by piercing any remaining closed space.

이때, 스프링(27)은 허용되는 압축 길이보다 과하게 압축될 시 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에 압착판(23) 하부에 스토퍼 블록(23d)을 구성하여 푸셔(26)가 상승시 스토퍼 블록(23d) 하면과 푸셔(26) 상면이 맞닿아 스프링(27)이 과하게 압축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At this time, since the lifespan of the spring 27 is shortened when compressed more than the allowable compression length, a stopper block 23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mpression plate 23 so that when the pusher 26 rises, it contacts the bottom of the stopper block 23d.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er (26) is in contact to prevent the spring (27) from being excessively compressed and damaged.

폐수지(P)가 압착되어 공극의 공기를 제거한 후 압착판(23)이 상승할 시에는 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해 푸셔(26)가 압착판(23)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져 도 6a와 같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푸셔(26)가 바늘(23c)에 관통된 폐수지(P)를 밀어내어 폐수지(P)가 바늘(23c)에 딸려 올라오는 것을 막아준다.After the waste resin (P) is compressed and the air in the void is removed, when the pressing plate 23 rises, the pusher 26 moves away from the pressing plate 23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7, as shown in Figure 6a. It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pusher 26 pushes out the waste resin (P) that has penetrated the needle (23c), preventing the waste resin (P) from coming up with the needle (23c).

상기와 같은 구성은 실시예 1 대비 효과적으로 폐수지(P) 간의 공극에 위치한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나, 바늘(23c)의 길이 설정에 한계가 있어 장치 작동시 바늘(23c)이 폐수지(P)를 고르게 관통할 수 있는 양만큼을 투입하고, 실시예 1 대비 시간당 작동 횟수를 늘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 configuration is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the air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waste resin (P) compared to Example 1, but there is a limit to setting the length of the needle (23c), so when the device is operated, the needle (23c) is used to remove the waste resin (P). It is desirable to add an amount that can evenly penetrate P) and increase the number of operations per hour compared to Example 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clarifie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ttach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
10. 융해로
11. 외통 11a. 단열재 11b. 벽돌
12. 내통 12a. 가스 배출구 12b. 재 배출구
13. 스크루 13a. 스크루 날
14. 모터 20. 공기압착 투입장치
21. 투입관 21a.투입관 본체 21b. 분기 투입관
21b1. 돌출부 21c. 측면 통기구 21d. 측면커버
21e. 배출구 21in. 투입구
22. 상하실린더 22a.실린더 로드
23. 압착판 23a. 통기구 23b. 커버
23c. 바늘 24. 나이프 게이트 밸브
24a. 실린더 24a1. 실린더 로드 24b. 나이프
25. 축 25a. 스토퍼
26. 푸셔 26a. 바늘구멍
27. 스프링 30. 가열장치
31, 점화로 32. 로터리 버너 33. 파이프 버너
34. 불꽃감지 센서 35, 피드 팬 36. 비례제어 밸브
40. 재 배출장치
41. 케이스 42. 회전체 42a. 날개
42b. 공간 46. 나이프 게이트 밸브
46a. 실린더 46a1. 실린더 로드 46b. 나이프
51, 52. 회전 롤러 51h, 52h. 가열 히터 51x, 52x. 축
53. 히팅 코일 60. 발열장치
200. 컨베이어 220. 컨베이어 벨트
300. 응축부 400. 냉각탑
500. 유수분리기 600. 재생유 저장탱크 700. 연료탱크
P. 폐수지 S. 공간 Sa. 상측 공간 Sb. 하측 공간
M. 용융된 폐수지 M1. 유면 PU. 펌프 PG. 압력계
T. 재 V. 밸브 Air. 공기 H. 힌지
100.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pneumatic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10. Melting furnace
11. External cylinder 11a. Insulation 11b. brick
12. Inner tube 12a. Gas outlet 12b. ash outlet
13. Screw 13a. screw blade
14. Motor 20.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1. Input pipe 21a. Input pipe main body 21b. branch input pipe
21b1. Protrusion 21c. Side vent 21d. side cover
21e. Outlet 21in. Inlet
22. Upper cylinder 22a. Cylinder rod
23. Press plate 23a. Ventilation hole 23b. cover
23c. Needle 24. Knife gate valve
24a. Cylinder 24a1. Cylinder rod 24b. knife
25. Axis 25a. stopper
26. Pusher 26a. needle hole
27. Spring 30. Heating device
31, ignition furnace 32. rotary burner 33. pipe burner
34. Flame detection sensor 35, feed fan 36. Proportional control valve
40. Ash discharge device
41. Case 42. Rotator 42a. wing
42b. Space 46. Knife gate valve
46a. Cylinder 46a1. Cylinder rod 46b. knife
51, 52. Rotating rollers 51h, 52h. Heating heater 51x, 52x. axis
53. Heating coil 60. Heating device
200. Conveyor 220. Conveyor Belt
300. Condensing unit 400. Cooling tower
500. Oil-water separator 600. Recycled oil storage tank 700. Fuel tank
P. Waste water S. Space Sa. Superior space Sb. lower space
M. Molten waste resin M1. oil surface PU. Pump PG. pressure gauge
T. Re V. Valve Air. Air H. Hinge

Claims (4)

삭제delete 폐수지를 공급하는 컨베이어(200);와 폐수지를 컨베이어(200)에서 공급받아 압착하여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20);와 지면에서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원통 형태의 외통(11)과 상기 외통 내부에 구성되어 공기압착 투입장치(20)로부터 투입되는 폐수지를 수용하여 융해 후 기화시키는 내통(12)을 포함하는 융해로(10);와 공기압착 투입장치(20) 내의 폐수지가 말랑말랑해지도록 공급되는 상기 폐수지를 가열하는 발열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착 투입장치(20)는, 상기 내통(12)의 일단 상부에 연결된 원통 형태의 투입관 본체(21a), 상기 투입관 본체(21a)의 상측의 일측부로부터 위로 경사지게 분기하고 폐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21in)를 형성하고 있는 분기 투입관(21b)을 포함하는 투입관(21);과 상기 투입관 본체(21a)의 일단 상부에 구성되어, 상하작동을 수행하는 실린더 로드(22a)가 하측에 형성되는 상하실린더(22);와 상기 실린더 로드(22a)에 고정되어 투입관 본체(21a) 내부에 수용된 폐수지를 압착하여, 폐수지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압착판(23)와; 상기 투입관 외측면에 구성되는 나이트 게이트 밸브(24)로 구성되고,
상기 압착판(23)은 다수의 통기구(23a)와, 힌지(H)를 통해 상기 통기구 상측에 설치되어 압착판의 하강시에는 상기 통기구를 개방하고 상승시에는 자중에 의해 통기구를 폐쇄하는 복수의 커버(32b)를 포함하고; 상기 나이트 게이트 밸브(24)는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실린더 로드(24a1)가 설치된 실린더(24a)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투입관(21) 내부를 개폐하는 나이프(24b)를 포함하여, 상기 나이프 게이트 밸브(24)의 나이프(24b)가 투입관(21) 내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폐수지가 투입관(21) 내부로 공급되면, 상하실린더(22)의 실린더 로드(22a)와 압착판(23)이 하강하여 투입관(21) 내부의 압착판(23)과 나이프(24b) 사이의 공기가 압축되고, 공기압에 의해 통기구(23a)를 폐쇄하고 있던 커버(23b)가 열리게 되어 압축된 공기는 통기구(23a)를 통하여 상부로 방출되고, 폐수지(P)가 압착된 다음 실린더 로드(24a1)와 나이프(24b)가 후진하여 나이프 게이트 밸브(24)가 열리게 되고, 나이프(24b) 윗면에 적재되어 있던 폐수지(P)가 중력과 압착판(23)의 누르는 힘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배출구(21e)를 지나 내통(12)으로 투입되게 되고, 그런 다음 나이프(24b)가 전진하여 투입관(21) 내부를 폐쇄하고 압착판(23)이 상승하여 완전히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열 수단은, 상기 분기 투입관(21b)의 벽에 축(51x, 52x)이 설치되어 투입되는 상기 폐수지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분기 투입관(21b)의 내측에 투입되는 상기 폐수지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51h, 52h)가 각각 내장된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 및 상기 분기 투입관(21b)의 외면에 설치된 히팅 코일(53)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 롤러(51)는 외주면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칼날(51c)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 롤러(52)는 외주면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칼날(52c)을 형성하여, 복수의 칼날(51c)과 복수의 칼날(52c)은 가위의 양날 모양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한 쌍의 회전 롤러(51, 52)의 사이 간격을 통과하는 폐수지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
A conveyor 200 for supplying waste resin; and an air compressing device 20 for receiving waste resin from the conveyor 200 and compressing it to remove air; and a cylindrical outer cylinder 11 that is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ground. A melting furnace (10) that is configured inside the outer cylinder and includes an inner cylinder (12) that accommodates the waste resin introduced from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and vaporizes it after melting; and the waste resin in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is soft. In the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ed injection device, including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waste resin supplied so that it becomes molten,
The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20 includes a cylindrical injection pipe body 21a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12, and an upwardly branching portion from an upper side of the injection pipe body 21a, and the waste resin is injected. an injection pipe 21 including a branch injection pipe 21b forming an injection port 21in; and a cylinder rod 22a configured at an upper end of the injection pipe main body 21a and performing an up and down operation. an upper cylinder (22)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 pressing plate (23) fixed to the cylinder rod (22a) to compress the waste resin contained within the input pipe body (21a) and remove the air inside the waste resin; It consists of a night gate valve 24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jection pipe,
The pressing plate 23 h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23a and a plurality of cover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ntilation hole through a hinge H to open the ventilation hole when the pressing plate is lowered and close the ventilation hole by its own weight when the pressing plate rises. (32b); The night gate valve 24 includes a cylinder 24a installed with a cylinder rod 24a1 that moves linear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knife 24b connected to the cylinder rod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injection pipe 21 in a slide manner. ), including the knife 24b of the knife gate valve 24 shielding the inside of the injection pipe 21, when the waste resin is supplied into the injection pipe 21, the cylinder rod of the upper cylinder 22 (22a) and the pressing plate 23 are lowered, and the air between the pressing plate 23 and the knife 24b inside the injection pipe 21 is compressed, and the cover 23b that was closing the ventilation hole 23a by air pressure ) is opened and the compressed air is released to the top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3a), the waste resin (P) is compressed, and then the cylinder rod (24a1) and the knife (24b) move backwards and the knife gate valve (24) opens. , the waste resin (P)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nife (24b) falls down due to gravity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late (23) and is injected into the inner cylinder (12)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e), and then the knife ( 24b) is configured to advance to close the inside of the injection pipe 21 and the compression plate 23 rises to completel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heat generating means is provided with shafts 51x and 52x on the wall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so that the injected waste resin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distance that allows the passage of the waste resin, and can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 pair of rotating rollers (51, 52) each equipped with heating heaters (51h, 52h) for heating the waste resin introduced into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And a heating coil 53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injection pipe 21b, wherein the rotating roller 51 forms a plurality of blades 51c arranged at intervals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rotating roller 51 (52) forms a plurality of blades (52c) arranged at intervals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blades (51c) and the plurality of blades (52c)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hape of double-edged scissors, forming a pair.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fee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uts the waste resin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otating rollers (51, 5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 본체(21a)는 외주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측면 통기구(21c)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측면 통기구(21c)의 일단면에 힌지(H)로 연결되어 측면 통기구(21c)의 개폐를 수행하는 측면 커버(21d)가 형성되어, 상기 나이트 게이트 밸브(24)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관(21) 내부에 폐수지가 투입되고 압착판(23)이 하강하여 폐수지를 압착하게 되면 상기 측면 통기구(21c)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input pipe body 21a has a plurality of side vents 21c through which air can pas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de vent 21c with a hinge H to form a side vent 21c. )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side cover 21d, and when the night gate valve 24 is closed and the waste resin is injected into the input pipe 21 and the pressing plate 23 is lowered to compress the waste resin,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ir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through the side vent (21c).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23)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바늘(23c)과 스토퍼 블록(24d)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판(23)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복수의 축(25);과 상기 축(25)의 하단에 부착되는 원형 판으로 상기 바늘(23c)이 지나갈 수 있는 복수의 바늘구멍(26a)이 형성되는 푸셔(26);와 상기 축(25)의 외주면에 구성되는 스프링(27) 더 포함하여, 상기 압착판(23)이 하강하여 푸셔(26)가 폐수지(P)와 맞닿게 되면 푸셔(26)가 폐수지(P)에 밀려 올라가게 되고 바늘(23c)이 바늘구멍(26a)을 지나 폐수지(P)를 관통하여 폐수지(P) 간의 공극에 위치한 공기가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게 되어 폐수지(P)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착 투입장치를 구비한 폐수지 유화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plurality of needles (23c) and a stopper block (24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wer part of the pressing plate (23), and a plurality of shafts (25) penetrate and couple to the pressing plate (23); and the shaft ( A pusher 26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25) is a circular plat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25) and has a plurality of needle holes 26a through which the needle 23c can pass. Including, when the pressing plate 23 is lowered and the pusher 2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ste resin (P), the pusher 26 is pushed up by the waste resin (P) and the needle 23c is pushed up through the needle hole 26a. ) and penetrates the waste resin (P) to create a hole through which the air located in the pores between the waste resins (P) will escape, thereby removing the air from the waste resin (P). A waste resin emulsification device.
KR1020220010951A 2021-03-15 2022-01-25 Wastesynthetic resin emulsifier equipped with air-pneumatic input device KR1026460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331 2021-03-15
KR20210033331 2021-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39A KR20220128939A (en) 2022-09-22
KR102646085B1 true KR102646085B1 (en) 2024-03-12

Family

ID=8344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951A KR102646085B1 (en) 2021-03-15 2022-01-25 Wastesynthetic resin emulsifier equipped with air-pneumatic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08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58B1 (en) * 2004-09-25 2007-12-31 구재완 Successive pyrolysis system of waste synthetic-highly polymerized compound
JP2011178859A (en) 2010-02-26 2011-09-15 Nihon Bio Energy Kk Biomass thermochemical decomposition gasification apparatus
KR102095746B1 (en) * 2019-04-26 2020-04-02 주식회사 브이엘홀딩스 Oil recovery device for waste pyrolysis and recover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5914B2 (en) * 1996-04-26 2004-10-13 株式会社東芝 Plastic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375569B1 (en) * 2000-05-29 2003-03-15 주식회사 영엔지니어링 Pyrolysis apparatus for polymeric wastes
KR100516015B1 (en) * 2002-10-22 2005-09-20 오재천 Disposed plastics and disposed rubber thermal dissolution apparatus
KR101090219B1 (en) 2009-05-22 2011-12-06 박연룡 supply apparatus of organic waste for emulsification
KR101243191B1 (en) * 2009-09-09 2013-03-13 현재호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oil by continual pyrolysis of waste combustible materials
KR101051314B1 (en) 2011-06-10 2011-07-25 정숙진 Waste plastic pyrolyzing apparatus and fuel oil producing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58B1 (en) * 2004-09-25 2007-12-31 구재완 Successive pyrolysis system of waste synthetic-highly polymerized compound
JP2011178859A (en) 2010-02-26 2011-09-15 Nihon Bio Energy Kk Biomass thermochemical decomposition gasification apparatus
KR102095746B1 (en) * 2019-04-26 2020-04-02 주식회사 브이엘홀딩스 Oil recovery device for waste pyrolysis and recover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39A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1776B1 (en) Device for centrifugal combustion by area using flow of combustion air
KR102529219B1 (en) Continuous powered thermal decomposition emulsifier
KR102646085B1 (en) Wastesynthetic resin emulsifier equipped with air-pneumatic input device
KR20140015772A (en) A structural improved of oil recovery apparatus
KR101024291B1 (en) Refuse drived fuel reproduction apparatus by using food garbage and combustible waste
KR100517881B1 (en) Recovery System for Waste Plastics Using Liquifaction
KR102355501B1 (en) Wastesynthetic resin emulsifier equipped with a sloping melting pot
KR102136202B1 (en) Pyrolysis system
KR20210045887A (en) Pyrolysis unit for oil extraction of foamed resin and waste vinyl
KR102441715B1 (en) Pyrolysis petrolizing method
KR20230151564A (en) Waste resin continuous pyrolysis system
KR101215308B1 (en) A metallic smelting furnace
KR20050104324A (en) Tunnel-type apparatus for recovering pyrolysis oil from waste plastics
KR100638564B1 (en) Oil revival device of dust resin
KR20120091163A (en) Carbonizing device
JP5490956B1 (en) Incinerator
KR101093408B1 (en) A burner using refused solid material
KR101832469B1 (en)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 material
KR100891103B1 (en) A incinerator for facing downward burning refuses
KR20070056390A (en) A compact incinerator
KR102228767B1 (en) Incinerator with multiple combustion space
KR102441713B1 (en) Pyrolysis petrolizing apparatus
JPH1073214A (en) Synthetic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KR200204284Y1 (en) Grill arrangement for burning solid, gel and liquid phase fuel and incinerating method
KR102503144B1 (en) Thermal renewable energy generating device using mixed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