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007B1 - 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 - Google Patents

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007B1
KR102646007B1 KR1020220071030A KR20220071030A KR102646007B1 KR 102646007 B1 KR102646007 B1 KR 102646007B1 KR 1020220071030 A KR1020220071030 A KR 1020220071030A KR 20220071030 A KR20220071030 A KR 20220071030A KR 102646007 B1 KR102646007 B1 KR 102646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lking assistance
string
band
tread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70488A (en
Inventor
강승탁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2007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007B1/en
Priority to PCT/KR2023/006976 priority patent/WO2023239085A1/en
Publication of KR2023017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Abstract

본 발명은 유각기에 환자 움직임을 보조하는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밴드는, 후크 형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 소재의 연결고리; 및 상기 연결고리의 타단에 연결되며, 무릎을 감싸는 형태의 밴드를 포함하는 착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고리는 보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착용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유각기 시 상기 착용부의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band and a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that assist patient movement during the swing phase.
A walking assistance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shaped fixing part; A connecting ring made of elastic material,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nd a wea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and including a band wrapped around the knee. It includes, and the link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wearing part based on the walking direction and can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front of the wearing part during the swing phase.

Description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 {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 {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

본 발명은 정상 보행 패턴을 유도하기 위한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ssistance band and a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for inducing a normal walking pattern.

보행 주기는 입각기(stance phase) 및 유각기(swing phase)로 이루어지며, 이 중 유각기는 보행 시 뒤쪽에 위치한 하지가 바닥에서 떨어져 앞으로 나오는 과정을 일컫는다. 한편 뇌병변 등의 질환으로 하지 보행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유각기에서 하지 전체를 구부리는 근육의 제어가 잘 되지 않고 하지를 펴는 근육을 많이 활용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유각기에서 하지를 쭉 뻗어 바깥쪽으로 돌리며 앞으로 내딛는 걸음걸이가 된다.The gait cycle consists of a stance phase and a swing phase, of which the swing phase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the lower extremity located behind moves forward off the floor when walking. Meanwhile,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lower extremity gait disorders due to diseases such as brain lesions, there is a problem of poor control of the muscles that bend the entire lower extremities in the swing phase and excessive use of the muscles that straighten the lower extremities. Therefore, in this case, the swing phase becomes a gait in which the lower limbs are stretched out and turned outward to take a forward step.

이러한 환자들의 재활을 위해, 유각기에서 뒤쪽에 위치한 하지가 구부러지며 앞으로 전진하는 정상 보행 패턴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For the rehabilitation of these patients,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can induce a normal walking pattern in which the lower extremities located behind are bent and move forward during the swing phase.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재활을 위한 트레드밀을 개시하며, 구체적으로는 트레드밀 전방에 환자 무릎에 연결되는 로봇암을 설치하여 실린더로 환자 무릎을 잡아당기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로봇암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점에서 환자의 움직임에 즉각적인 반응을 할 수 없고, 정해진 로직에 따른 모터 구동에 의해 유각기를 포함한 전 보행 주기에서 환자 다리가 수동적으로 움직여질 수밖에 없다. 또한 비용이 비싸고 설치가 복잡한 문제도 있다.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treadmill for patient rehabilitation to solve this problem, and specifically discloses a technology for installing a robot arm connected to the patient's knee in front of the treadmill and pulling the patient's knee with a cylinder. . However, since the robot arm is driven by a motor, it cannot immediately respond to the patient's movements, and the patient's legs have no choice but to move passively throughout the entire gait cycle, including the swing phase, due to motor drive according to a set logic. Additionally, it is expensive and installation is complicated.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미국등록특허공보 US 6666831 B1US Patent Publication US 666683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각기에 환자 움직임을 보조하는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한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specifically,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band and a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that assist patient movement during the swing phase. Addition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band and a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that are inexpensive and easy to install.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illustrative, and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walking assistance band and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밴드는, 후크 형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 소재의 연결고리; 및 상기 연결고리의 타단에 연결되며, 무릎을 감싸는 형태의 밴드를 포함하는 착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고리는 보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착용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유각기 시 상기 착용부의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A walking assistance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shaped fixing part; A connecting ring made of elastic material,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nd a wea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and including a band wrapped around the knee. It includes, wherein the link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wearing part based on the walking direction and can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front of the wearing part during the swing phase.

또한 탄성 소재의 스트링 및 상기 스트링의 양 단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탄성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스트링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support part including a string made of elastic material and the fixing part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ring; It further includes, and the link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ring.

또한 상기 스트링은 길이 방향을 따라 골과 산이 반복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의 일단은 상기 스트링의 골 부분에 걸쳐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ring is repeatedly formed with valleys and peaks along its length, and one end of the link can be positioned over the valley of the string to fix the position.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스트링의 외주에 배치되는 구부러진 관 형상의 고리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리위치조절부는 상기 스트링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연결고리의 일단은 상기 고리위치조절부의 구부러진 부분에 걸쳐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further includes a bent tube-shaped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ing, wherein a plurality of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s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ng,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ring is configured to adjust the ring position. The position can be fixed by draping over the curved part of the unit.

또한 상기 연결고리는, 길이 방향으로 고리가 엮인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양 단에 클립이 배치되어 상기 탄성지지부 및 착용부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ing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chain of rings, and clips are disposed at both ends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nd the wearing portion.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트레드밀은, 상술한 보행 보조 밴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레드밀의 전방에 배치되며 높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에 양 단이 고정되며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지지대; 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walking assistance band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pair of first supports disposed in front of the treadmill a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 both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first support, and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Includes.

또한 상기 제1지지대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1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대는 양 단에 제2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홀 및 제2고정홀을 동시에 통과하여 상기 제2지지대를 상기 제1지지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위치조절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ha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formed through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has second fixing holes formed through it at both ends,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are formed at the same time. a support position adjusting unit that passes through and fixes the second support to the first support; It may further includ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iscuss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to be achie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은, 보행 장애가 있는 환자들의 재활 치료 시, 유각기에 뒤쪽에 있는 하지가 구부러지며 앞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환자들이 정상 보행 패턴을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A walking assistance band and a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rehabilitation treatment of patients with walking disabilities, bend the lower extremities in the swing phase and encourage them to move forward. In other words, it helps patients learn normal walking patterns.

또한 본 발명은 모터 구동이 아닌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환자 및 트레드밀의 구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으며, 환자 다리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크기 및 방향 또한 적합하게 작용될 수 있다. 나아가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by using elastic force rather than motor dri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mediately respond to the driving of the patient and the treadmill, and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patient's leg can also be appropriately applied. Furthermo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install and low cost.

또한 본 발명은 탄성지지부 및 연결고리의 고정 위치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게 설치 및 적용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ous effect of being able to adjust the fixing position and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nd the connecting ring,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applied appropriately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보행 보조 밴드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탄성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고리위치조절부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보행 보조 밴드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서 착용부를 미착용한 상태의 도면 및 착용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 보행 보조 트레드밀에서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을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정상 보행 패턴을 유도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assistance band and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assistanc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support part in Figure 1 and a view showing several embodiments of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art;
4 is a front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lking assistanc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wearing part in Figure 2 is not worn and a state in which the wearing part is wor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height adjustment in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dure for inducing a normal walking pattern using the walking assistance band and the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of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terms include plural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e three axes i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ut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s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also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cases where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y are describ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보행 보조 밴드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탄성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고리위치조절부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보행 보조 밴드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서 착용부를 미착용한 상태의 도면 및 착용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 보행 보조 트레드밀에서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을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보행 보조 밴드 및 보행 보조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정상 보행 패턴을 유도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lking assistance band and a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lking assistanc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nd ring position adjustment portion in Figure 1. A drawing showing several embodiments, Figure 4 is a front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lking assistanc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rawing of the wearing part in a non-worn state and a wearing state in Figure 2, and Figure 6 is a drawing of the walking assistanc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height adjustment in a tread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inducing a normal walking pattern using the walking assistance band and the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of FIG. 1 .

본 발명은 보행 보조 밴드(100)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 트레드밀(200)의 일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레드밀(200)의 전방에 보행 보조 밴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행 보조 밴드(100)를 먼저 설명한 후 보행 보조 트레드밀(200)을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mbodiment of a walking assistance band 100 and a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200 including the same. As shown in FIG. 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lking assistance band 10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treadmill 200. Below, the walking assistance band 100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200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보행 보조 밴드(100)의 일 실시예는 양 단이 트레드밀(200)에 고정되는 탄성지지부(110), 탄성지지부(110)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고리(120), 연결고리(120) 타단에 연결되며 착용자가 무릎에 착용하는 착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assistance band 100 includes an elastic support part 110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treadmill 200, and a link 120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part 110. ),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ring 120 and may include a wearing portion 130 that the wearer wears on the knee.

탄성지지부(110)는, 탄성 소재의 스트링(111) 및 스트링(111)의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링(111)이 탄성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탄성지지부(110)는 전체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트링(111)은 신장 및 복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lastic support part 110 may include a string 111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fixing part 112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ring 111. Since the string 11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0 is formed to be elastic as a whole. More specifically, the string 111 may be formed to be stretchable and restoreable.

고정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크 형상의 클램프(113) 및 고정나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막대 형상 또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된 물체에 클램프(113)를 끼우고, 고정나사(114)를 조여 물체를 클램프(113)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12)는 트레드밀(200) 상에 형성된 지지대에 끼워져 스트링(11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고정나사(114)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고정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fixing part 112 is formed in a hook shape as shown in FIG. 3 and may include a hook-shaped clamp 113 and a fixing screw 114. Therefore, the clamp 113 can be inserted into an object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r panel, and the object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lamp 113 by tightening the fixing screw 114. Therefore, the fixing part 112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formed on the treadmill 200 and serves to fix the string 111, and the fixing position can be moved by loosening or tightening the fixing screw 114.

나아가 탄성지지부(110)는 스트링(111) 외주에 배치되는 고리위치조절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위치조절부(115)의 일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고리위치조절부(115)는 구부러진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가 스트링(111)의 길이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스트링(111)은 고리위치조절부(115)에 삽입되며, 여기서 스트링(111)과 고리위치조절부(115)의 내측면을 면접할 수도 있고, 스트링(111)의 직경보다 고리위치조절부(115)의 내경이 더 커서 면접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고리위치조절부(115)의 구부러진 형상으로 인하여, 스트링(111)은 길이 방향을 따라 골과 산이 반복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위치조절부(115)의 구부러진 내측, 즉 스트링(111)의 골 부분에 연결고리(120)를 걸어 연결고리(120)가 스트링(111)의 길이방향으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를 도면에 고정점(P)로 표시하였다. 또한 연결고리(120)의 걸리는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키 등 신체 조건에 따라 연결고리(120)의 고정점(P)를 조절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0 may include a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 115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ing 111. One embodiment of the ring position adjusting unit 115 i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art 115 may be formed in a bent tube shape. And a plurality of them may be arranged in ser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ng 111. The string 111 is inserted into the ring position adjusting unit 115,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string 111 and the ring position adjusting unit 115 may be interviewed, and the ring position adjusting unit ( 115) has a larger inner diameter, so it is irrelevant even if there is no interview.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 115, the string 111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valleys and mountains are repeated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ring 120 is hung on the bent inner side of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art 115, that is, the valley part of the string 111, to prevent and fix the connecting ring 120 from arbitrarily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ng 111. You can. This is indicated as a fixed point (P) in the drawing. In addition,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ring 120, the fixation point (P) of the connection ring 12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s such as height.

또한 도 3에는 고리위치조절부(115)의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로, 고리위치조절부(115a)는 중앙이 구부러진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로, 고리위치조절부(115b)는 구부러진 '>' 형태로 형성되되, 스트링(111)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변의 길이가 하부변의 길이보다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링(111)의 장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보다 연결고리(120)의 일단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이다.In addition, several embodiments of the ring position adjusting unit 115 are shown in Figure 3.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 115a may be formed in a '>' shape with a bent cent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 115b is formed in a curved '>' shape, and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when installed and inserted into the string 111.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of the string 111 is removed, the second embodiment is designed to prevent one end of the connecting ring 120 from falling downward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나아가 고리위치조절부(115)의 제3실시예로, 고리위치조절부(115c)는 일 방향으로 복수 회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실시예로, 고리위치조절부(115d)는 복수 회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되 제3실시예와는 달리 2 이상의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복수의 고정점(P)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정점(P)은 스트링(111)의 배치 및 장력에 의해 고리위치조절부(115c, 115d)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각기에 장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연결고리(120)의 일단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하부에 형성된 고정점에 걸려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 115,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 115c may be formed in a shape bent multiple times in one direc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 115d is formed in a shape bent a plurality of times, but unlike the third embodiment, it may be formed in a shape bent in two or more directions.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a plurality of fixing points (P) can be provided, and the fixing points (P) are adjusted to the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s (115c, 115d) by the arrangement and tension of the string (111). It may be formed on the inner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is removed during the swing phase, one end of the connecting ring 120 does not fall downward, and the position can be fixed by being caught by a fixing point formed at the lower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고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탄성지지부(110)의 스트링(111) 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착용부(13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연결고리(120)의 양 단에는 클립(121)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121)을 이용하여 탄성지지부(110)나 착용부(13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고리(120)의 양 단에 클립(121)이 배치되어 상기 탄성지지부(110) 및 착용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고리(120)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리가 엮인 형태로 연장 형성되거나, 복수의 고리를 형성하는 모양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121)을 탄성지지부(110)나 착용부(130)에 직접 연결 가능한 것은 물론, 클립(121)을 탄성지지부(110) 또는 착용부(130)의 일 구성에 관통시킨 후 연결고리(120)에 걸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후 복원되는 등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ring 12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tring 111 side of the elastic support part 1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earing part 130 side, as shown in FIG. 2. . Furthermore, clips 121 may be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ring 120. Therefore, it can be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part 110 or the wearing part 130 using the clip 121. Additionally, clips 121 may be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ing 120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0 and the wearing portion 130. Additionally, the connecting ring 1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 are intertwined or may be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rings,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ccordingly, the clip 121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part 110 or the wearing part 130, and the clip 121 can be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part 110 or the wearing part 130 by penetrating the connection ring. It is also possible to hang and fix it at (120), and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such as being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restored.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고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고정부(112)의 고리(116)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지지부(110)와 관련한 구성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onnecting ring 120 may be connected to the ring 116 of the fixing part 112, as shown in FIG. 4. This has the advantage of omitting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0.

도 5에는 착용부(13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착용부(130)는 연결고리(120)의 타단에 연결되며, 무릎을 감싸는 형태의 착용밴드(131)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착용밴드(131)의 중앙부는 착용밴드(131)가 착용자의 무릎 사이즈 및 형태에 따라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에 형성된 홀의 외측 방향으로 착용밴드(131)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나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양 측방향으로 연결된 부분은 착용자 무릎 위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부에서 양 측방향으로 연결된 부분은 착용자 무릎 아래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wearing unit 130. The wearing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ng 120 and may be formed to include a wearing band 131 that surrounds the knee. A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wearing band 131 so that the wearing band 131 can be smooth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wearer's knee. Additionally, the wearing band 131 may extend outward from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thus may be formed overall into a butterfly shape. Based on the drawing, the portion connected in both directions at the top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wearer's knee, and the portion connected in both directions at the bottom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wearer's knee.

나아가 착용밴드(131)의 단부에는 밸크로 등 부착부(132)가 형성되어, 무릎의 전방 돌출부에 홀을 위치시킨 후 다리(L)의 뒤쪽에서 부착부(132)를 연결함으로써 착용될 수 있다.Furthermore, a Velcro back attachment portion 13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earing band 131, and it can be worn by placing a hole in the front protrusion of the knee and then connecting the attachment portion 132 at the back of the leg (L). .

또한 착용밴드(131)의 저년에는 고정고리(133)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고리(133)는 연결고리(120)의 타단 클립(121)과 착용밴드(131)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고리(133)가 착용배드(131)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무릎 전면에 탄성지지부(110)의 탄성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무릎이 전방으로 나오며 다리가 굽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Additionally, a fixing ring 133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wearing band 131. The fixing ring 133 is configured to connect or separate the other end clip 121 of the connecting ring 120 and the wearing band 131. By placing the fixing ring 133 on the front of the wearing bed 131,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unit 110 can be transmitted to the front of the user's knees, thereby causing the knees to come forward and the legs to bend. .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 보행 보조 밴드(100)는, 보행 방향을 기준으로 착용부(130)의 전방에 설치될 시, 유각기에 착용부(130)의 전방으로 탄성 스트링(111)의 복원력이 가해지며 착용자의 다리를 전방으로 옮기는 동시에 무릎이 굽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뇌병변 등에 의해 다리를 쭉 편 상태에서 뒤에서 앞쪽으로 회전시켜 잘못 보행하는 것을 교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alking assistance b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ed in front of the wearing unit 130 based on the walking direction, exerts a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tring 111 in front of the wearing unit 130 during the swing phase. This can be applied to move the wearer's legs forward and at the same time bend the knees. Therefore, it can be helpful in correcting incorrect walking caused by brain lesions, etc. by rotating the legs from back to front with the legs straight.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 보행 보조 트레드밀(2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 보행 보조 트레드밀(200)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보행 보조 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행 보조 밴드(100)의 탄성지지부(110)는 고정부(112)를 통해 트레드밀(200)에 고정될 수 있다. 트레드밀(200)의 저부에는 바닥프레임(211) 및 벨트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 벨트부(210)는 실제로 트레드밀(200)의 기능을 하는 부분이고, 모터 구동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벨트부(210) 상부에 서서 벨트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보행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의 회전 방향은 후방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6 and 7. Referring to these drawings,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walking assistance band 100 described above.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0 of the walking assistance band 100 may be fixed to the treadmill 200 through the fixing portion 112. A bottom frame 211 and a belt portion 210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readmill 200. The belt unit 210 is actually a functional part of the treadmill 200, and the belt rotates by driving a motor. The user can stand on the upper part of the belt unit 210 and walk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elt. Therefore, the belt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rotation direction is backward.

트레드밀(200)의 전방에는 트레드밀(200)의 높이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제1지지대(2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대(220)는 한 쌍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대(220)는 트레드밀(200)의 전방에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지지대(2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지지대(2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지지대(23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지지대(2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한 쌍 이상 설치될 수 있다.A first support 22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treadmill 20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readmill 200,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dditionally, more than one pair of first supports 220 may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220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treadmill 200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it can b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urthermore, the second support 230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upport 220. The second support 230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ixed to the first support 220, and may be installed in one or more pairs.

보행 보조 밴드(100)의 탄성지지부(110)는, 양단의 고정부(112)에 의해 제1지지대(220) 또는 제2지지대(23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쌍의 제1지지대(22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한 쌍의 제2지지대(230)가 제1지지대(220)에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어 제1지지대(220)에 고정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지지부(11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상측의 제2지지대(230)에, 타단은 하측의 제2지지대(230)에 고정된 것이 예로써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의 보행 보조 밴드(100)는 하나의 제1지지대(220)와 나란하게 배치하여 하나의 제1지지대(220)에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탄성지지부(11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 단이 모두 하나의 제2지지대(230)에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0 of the walking assistance band 100 may be fixed to the first support 220 or the second support 230 by fixing portions 112 at both ends. In the drawing, a pair of first supports 220 ar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supports 230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supports 220 to form the first supports 220. It is shown fixed at 220. 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part 110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shown as an example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second support 23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second support 230. However, one walking assistance band 100 can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one first support 220 and fixed to only one first support 220, and the elastic support 110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both It is also possible that all stages are fixed to only one second support 230.

또한 제2지지대(230)를 제1지지대(220)에 고정하거나, 해제하거나, 해제하여 이동시킨 후 다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지지대(220) 및 제2지지대(230)에는 각각 제1고정홀(221) 및 제2고정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홀(221) 및 제2고정홀(231)을 관통하여 제1지지대(220) 상에서 제2지지대(230) 상의 고정 위치를 구속하는 지지대위치조절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위치조절부(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지지대(230)를 관통하여 제1지지대(220)에 삽입되어 제2지지대(2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220 and the second support 230 each have a first fixation so that the second support 230 can be fixed, released, or released and moved to the first support 220 and then fixed again. A hole 221 and a second fixing hole 231 may be formed.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sition adjusting part 240 that penetrates the first fixing hole 221 and the second fixing hole 231 and restricts the fixing position on the second support 230 on the first support 220. You can. The support position adjusting unit 240 may be formed in a screw shape as shown in FIG. 5, and may penetrate the second support 230 and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220 to fix the second support 230. You can.

따라서 제2지지대(23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위치조절부(240)와 제2지지대(230)를 제1지지대(220)로부터 분리한 후 위치를 옮겨 다른 제1고정홀(221)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나사 형식의 지지대위치조절부(240)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제2지지대(230)의 양 단부가 제1지지대(220)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경우, 스프링 형식의 걸개로 이루어진 지지대위치조절부(240)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 형식의 걸개를 당겨 고정을 풀고, 제2지지대(230) 및 지지대위치조절부(240)를 함께 이동시켜 다시 제1고정홀(221)에 꽂으면 고정이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it is desir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pport 230, the support position adjusting unit 240 and the second support 23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220 as shown in FIG. 5 (b). It can be moved and fixed by inserting into another first fixing hole (221). At this time, a screw-type support position adjusting unit 240 can be use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Alternatively, when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230 are configured to move whil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220, the support position adjusting unit 240 made of a spring-type hanger can be used. In this case, it can be fixed by pulling the spring-type hanger to unfasten it, moving the second support 230 and the support position adjuster 240 together and inserting them into the first fixing hole 221 again.

도 6에는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착용부(130)를 무릎에 착용한 후 트레드밀(200)을 작동시켜 보행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a) 및 (b)에는 입각기, 도 6 (c) 및 (d)에는 유각기를 나타내고 있다. 입각기에서는 고정점(P)로부터 발이 멀어짐에 따라 연결고리(120)가 팽팽해지고 탄성지지부(110)의 스트링(111)이 신장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각기가 시작되는 직전에 스트링(111)의 탄성력이 최대가 되며, 유각기동안 스트링(111)이 복원되며 사용자의 무릎이 당겨지며 다리가 구부러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사용자는 정상 보행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Figure 6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shown that the user wears the wearing part 130 on the knee and then operates the treadmill 200 to walk. Figures 6 (a) and (b) show the stance phase, and Figures 6 (c) and (d) show the stance phase. It represents swing phase. In the stance phase, as the foot moves away from the fixation point (P), the link 120 becomes taut and the string 111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0 is stretched. And just before the swing phase begins, the elastic force of the string 111 is maximized, and during the swing phase, the string 111 is restored, and the user's knees are pulled and the legs are bent. Through this action, the user can learn a normal walking pattern.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attach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technical conten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 In order to describe the invention concisely and clearly,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general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the absence of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ctual device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or physical connections may be replaced or added. It can be expressed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or similar designators us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may refer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an example, the invention includes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values within the range (unless there is a statement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ame. Additionally, unless the order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learly stated or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above. The use of any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s is merely to describe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the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hat is not the case.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00 보행 보조 밴드 110 탄성지지부
111 스트링 112 고정부
113 클램프 114 고정나사
115 고리위치조절부 120 연결고리
121 클립 130 착용부
131 착용밴드 132 부착부
133 고정고리 200 보행 보조 트레드밀
210 벨트부 220 제1지지대
221 제1고정홀 230 제2지지대
231 제2고정홀 240 지지대위치조절부
100 Walking assistance band 110 Elastic support
111 string 112 fixing part
113 clamp 114 fixing screw
115 ring position control unit 120 connection ring
121 Clip 130 Wearing part
131 Wearing band 132 Attachment part
133 Fixing ring 200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210 Belt section 220 First support
221 1st fixing hole 230 2nd support
231 2nd fixing hole 240 Support position adjustment unit

Claims (7)

후크 형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 소재의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의 타단에 연결되며, 무릎을 감싸는 형태의 밴드를 포함하는 착용부; 및
탄성 소재의 스트링 및 상기 스트링의 양 단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고리는 보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착용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유각기 시 상기 착용부의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스트링의 일측에 연결되는 보행 보조 밴드.
Hook-shaped fixing part;
A connecting ring made of elastic material,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 wea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and including a band that surrounds the knee; and
An elastic support part including a string made of elastic material and the fixing part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ring; Includes,
The link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wearing part based on the walking direction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front of the wearing part during the swing phase,
The link is a walking assistance b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r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은 길이 방향을 따라 골과 산이 반복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의 일단은 상기 스트링의 골 부분에 걸쳐져 위치가 고정되는 보행 보조 밴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ring is formed repeatedly with valleys and peaks along its length,
A walking assistance band in which one end of the link is fixed to the bone portion of the st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스트링의 외주에 배치되는 구부러진 관 형상의 고리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리위치조절부는 상기 스트링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연결고리의 일단은 상기 고리위치조절부의 구부러진 부분에 걸쳐져 위치가 고정되는 보행 보조 밴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elastic support portion further includes a bent tubular ring position adjusting portion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ing,
A plurality of ring position adjusting unit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ng,
A walking assistance band in which one end of the link is fixed in position by being placed over a bent portion of the link position adjustmen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길이 방향으로 고리가 엮인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양 단에 클립이 배치되어 상기 탄성지지부 및 착용부에 연결되는 보행 보조 밴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nk is a walking assistance band that extends in the form of a chain of r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clips disposed at both ends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the wearing part.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보행 보조 밴드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 트레드밀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의 전방에 배치되며 높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에 양 단이 고정되며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대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1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대는 양 단에 제2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홀 및 제2고정홀을 동시에 통과하여 상기 제2지지대를 상기 제1지지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위치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조 트레드밀.
In the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including the walking assistance ba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to 5,
a pair of first supports disposed in front of the treadmill a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er fixed at both ends to the first supporter and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Includes,
The first support ha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formed through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has second fixing holes formed through it at both ends,
a support position adjusting unit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simultaneously and fixes the second support to the first support;
A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KR1020220071030A 2022-06-10 2022-06-10 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 KR102646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030A KR102646007B1 (en) 2022-06-10 2022-06-10 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
PCT/KR2023/006976 WO2023239085A1 (en) 2022-06-10 2023-05-23 Walking assistance band and walking assistance treadm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030A KR102646007B1 (en) 2022-06-10 2022-06-10 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488A KR20230170488A (en) 2023-12-19
KR102646007B1 true KR102646007B1 (en) 2024-03-12

Family

ID=8911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030A KR102646007B1 (en) 2022-06-10 2022-06-10 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6007B1 (en)
WO (1) WO2023239085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058B1 (en) 2009-06-11 2011-10-31 김택연 A rehabilitation training room
JP2011224294A (en) * 2010-04-19 2011-11-10 Shiro Numata Walking aid
KR102130886B1 (en) * 2018-05-30 2020-07-06 한국과학기술원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6831B1 (en) 1999-08-20 2003-12-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ion of body weight support training (bwst) of biped locomotion over a treadmill using a programmable stepper device (psd) operating like an exoskeleton drive system from a fixed base
KR20060017936A (en) * 2004-08-23 2006-02-28 황인철 Multi-function sporting apparatus
KR20050009967A (en) * 2004-12-07 2005-01-26 김재철 A multi-functional running machine
GB2530121B (en) * 2014-08-05 2016-11-23 Cord Safe Ltd Motor safety device with an alarm 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058B1 (en) 2009-06-11 2011-10-31 김택연 A rehabilitation training room
JP2011224294A (en) * 2010-04-19 2011-11-10 Shiro Numata Walking aid
KR102130886B1 (en) * 2018-05-30 2020-07-06 한국과학기술원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488A (en) 2023-12-19
WO2023239085A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24103A (en) Exercising apparatus
RU2494705C2 (en) Knee joint orthosis
KR100711104B1 (en) Exercising apparatus for reforming the spinal column
US6537237B1 (en) Orthotic device
JP5726862B2 (en) Socks for correction
KR100831145B1 (en) Knee joint towing apparatus
KR101056621B1 (en) Ankle and detachable knee pads
KR102646007B1 (en) walking aid band and walking aid treadmill
US20080132817A1 (en) Brace for use with an external fixation device
KR200424270Y1 (en) Apparatus for Hip Adductor Stretching
US20200261296A1 (en) Therapeutic Leg Support Device
DE202018002263U1 (en) Modular dynamic mechanical orthosis system to aid walking - Neuron Swing Assist (HKAFO) orthosis
ZA200604129B (en) Device for reducing the risk of the developing of deep vein thrombosis
JP2020032163A (en) Stretcher
JP5483540B2 (en) Taping structure and clothing
JP6913867B2 (en) Hamstrings stretch aid
CN210992487U (en) Biliary tract drainage tube pull-off prevention device
KR102444202B1 (en) An ankle brace for a bed
CN211674753U (en) Rehabilitation device for correcting hyperextension genu varus of hemiplegic patient
RU149204U1 (en) COSTUME OF NEURODYNAMIC CORRECTION FOR RESTORATION OF MOTOR, POSITIVE, SENSOR AND COGNI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THE PATHOLOGY OF THE NERVOUS SYSTEM AND MOTOR-VEHICLE APPARATUS
JP3184390U (en) Finger training brace
CN2460074Y (en) Low limb fracture traction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 corrective shoes
CN211356549U (en) Limb rehabilitation exoskeleton and limb rehabilitation system
WO2017083881A1 (en) Knee pain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S6223471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