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756B1 -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756B1
KR102645756B1 KR1020180098390A KR20180098390A KR102645756B1 KR 102645756 B1 KR102645756 B1 KR 102645756B1 KR 1020180098390 A KR1020180098390 A KR 1020180098390A KR 20180098390 A KR20180098390 A KR 20180098390A KR 102645756 B1 KR102645756 B1 KR 102645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rthing
order
ship
dock
sh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598A (ko
Inventor
허순기
김윤수
강창훈
이규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9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7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접안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두가 있고, 선박 마다 적재한 제품에 따라 접안 가능한 부두가 하나 이상으로 결정되며, 해당 제품 및 양에 따라 작업 소요시간이 정해져 있을 때, 선박을 입항 순서대로 나열하여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1 단계; 및 입항된 순서에 따라 선박을 접안 가능한 부두 별로 분류할 때, 접안 가능한 부두에 부두에 선행 작업이 있는 경우, 선행 작업의 종료시간 및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부두에 가장 빠른 접안 시간으로 접안 순서를 배정하고, 상기 리스트를 수정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Docking schedule system and method of ship based on weather condition and tide}
본 발명은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안에 위치한 화학 공장, 예를 들어, NCC 공장은 원료의 입고 및 제품의 출하가 대부분 선박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조수 간만의 차가 큰 해안의 경우, 원료의 입고 및 제품 출하를 위한 선박의 접안이 만조 또는 간조를 전후해서만 가능하다.
또한, 기상 현황에 따라 안개주의보 또는 풍랑주의보로 인하여 부두가 폐쇄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부두 폐쇄가 발생하면, 원료의 입고 및 제품의 출하가 정지되고, 공장 내 각 종 탱크(원료 또는 제품)의 재고가 넘치거나 최소 레벨(level) 이하가 될 경우, 공장 운영이 매우 어렵게 된다. 특히, 연속적인 생산 및 소비가 진행되는 탱크 중 어느 한 탱크라도 넘치거나 바닥날 경우, 공장 설비를 셧다운(shutdown)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수십 개의 운영 탱크 및 공정 계획을 고려하여 담당자들이 수동으로 자료를 취합하여 리스크(risk)를 예측하고, 이상이 없는지를 파악 후 선박 스케줄을 확인하는 상황이므로, 최적화 및 시스템화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풍랑주의보 등 기상 상황과 간조/만조 등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접안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두가 있고, 선박 마다 적재한 제품에 따라 접안 가능한 부두가 하나 이상으로 결정되며, 해당 제품 및 양에 따라 작업 소요시간이 정해져 있을 때, 선박을 입항 순서대로 나열하여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1 단계; 및 입항된 순서에 따라 선박을 접안 가능한 부두 별로 분류할 때, 접안 가능한 부두에 부두에 선행 작업이 있는 경우, 선행 작업의 종료시간 및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부두에 가장 빠른 접안 시간으로 접안 순서를 배정하고, 상기 리스트를 수정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풍랑주의보 등 기상 상황과 간조/만조 등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다수 개의 부두에서 입/출하 가능한 제품, 공정(예를 들어, NCC공정)과 다운스트림(downdtream) 공장의 생산 계획으로 수십 개 탱크의 유입과 유출 흐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선박의 접안 가능한 시간까지 탱크의 제품 증가량 및 감소량을 파악하여 적절한 시점에 선박 접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입항순으로 입항된 선박 정보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도 2는 물때표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플로우 차트를 통해 도출된 접안 스케줄 결과를 나타내는 부두별 접안 리스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플로우 차트를 통해 변경된 접안 스케줄 결과를 나타내는 부두별 접안 리스트이다.
도 7은 기상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기상 정보를 반영하여 변경된 접안 스케줄 결과를 나타내는 부두별 접안 리스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입항순으로 입항된 선박 정보를 나타내는 리스트이고, 도 2는 물때표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플로우 차트를 통해 도출된 접안 스케줄 결과를 나타내는 부두별 접안 리스트이다.
도 4에 도시된 접안 리스트는, 입항 순서만을 고려한 부두별 접안 리스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이하,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이라 함)은, 선박의 접안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두가 있고, 선박 마다 적재한 제품에 따라 접안 가능한 부두가 하나 이상으로 결정되며, 해당 제품 및 양에 따라 작업 소요시간이 정해져 있을 때, 선박을 입항 순서대로 나열하여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은, 입항된 순서에 따라 선박을 접안 가능한 부두 별로 분류할 때, 접안 가능한 부두에 부두에 선행 작업이 있는 경우, 선행 작업의 종료시간 및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부두에 가장 빠른 접안 시간으로 접안 순서를 배정하고, 상기 리스트를 수정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단계에서, 접안 가능한 부두가 2곳 이상일 때, 해당 부두 중 한 곳에 선행 작업이 없는 경우,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빠른 접안 가능 시간에 선행 작업이 없는 부두에 선박의 접안 순서를 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계에서, 접안 가능한 부두가 2곳 이상일 때, 해당 부두 각각에 선행 작업이 있는 경우, 각각의 부두에서의 선행 작업의 종료시간 및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빠르게 접안 가능한 부두에 해당 접안 시간으로 접안 순서를 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플로우 차트를 통해 변경된 접안 스케줄 결과를 나타내는 부두별 접안 리스트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은, 제2 단계 이후에, 제품 별로 공장 내 탱크 레벨을 고려하여, 탱크가 소정 레벨 이상 또는 소정 레벨 이하로 유지되도록 접안 순서를 조정하는 제3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접안 리스트에서, 탱크 레벨을 고려하여 접안 순서가 변경된 부두별 접안 리스트이다.
이때, 제3 단계에서, 접안 순서가 조정 시, 작업 시간이 겹치지 않으면서, 모든 선박의 대기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접안 순서로 조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단계를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3부두에 배정되어 있던 V18선박이 1부두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기상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기상 정보를 반영하여 변경된 접안 스케줄 결과를 나타내는 부두별 접안 리스트이다.
도 8 도 6의 접안 리스트에서, 기상 악화를 고려하여 접안 순서가 변경된 부두별 접안 리스트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은, 제2 단계 이후에, 기상 상황을 고려하여, 접안 순서를 조정하는 제4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에서, 기상 악화로 접안이 불가능한 시간 대의 접안 순서를 뒤로 미룰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에서, 기상 악화 발생 시, 특정 선박을 다른 부두에 접안시키도록 접안 순서를 수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4 단계를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V11선박과 V13선박의 접안시간이 변경되고, V13이 2부두에서 3부두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이하,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이라고 함)은, 선박의 접안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두가 있고, 선박 마다 적재한 제품에 따라 접안 가능한 부두가 하나 이상으로 결정되며, 해당 제품 및 양에 따라 작업 소요시간이 정해져 있을 때, 선박을 입항 순서대로 나열하여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1 모드를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모드는 접안 리스트 작성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접안 리스트는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조류 정보 및 기상 상황 정보는 모두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은, 입항된 순서에 따라 선박을 접안 가능한 부두 별로 분류할 때, 접안 가능한 부두에 부두에 선행 작업이 있는 경우, 선행 작업의 종료시간 및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부두에 가장 빠른 접안 시간으로 접안 순서를 배정하고, 상기 리스트를 수정하는 제2 모드를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제2 모드는 접안 리스트 수정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선행 작업의 종료시간 및 조류 정보를 반영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은, 상기 접안 리스트 작성부, 메모리부, 및 접안 리스트 수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수행하도록 마련(프로그램)되고, 후술한 제3 모드 및 제4 모드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모드에서, 접안 가능한 부두가 2곳 이상일 때, 제어부는 해당 부두 중 한 곳에 선행 작업이 없는 경우,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빠른 접안 가능 시간에 선행 작업이 없는 부두에 선박의 접안 순서를 배정할 수 있다. 특히, 제2 모드에서, 제어부는 접안 가능한 부두가 2곳 이상일 때, 해당 부두 각각에 선행 작업이 있는 경우, 각각의 부두에서의 선행 작업의 종료시간 및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빠르게 접안 가능한 부두에 해당 접안 시간으로 접안 순서를 배정할 수 있다.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은, 제2 모드 수행 이후에, 제품 별로 공장 내 탱크 레벨을 고려하여, 탱크가 소정 레벨 이상 또는 소정 레벨 이하로 유지되도록 접안 순서를 조정하는 제3 모드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품 별로 공장 내 탱크 레벨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접안 순서가 조정 시, 제어부는 작업 시간이 겹치지 않으면서, 모든 선박의 대기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접안 순서로 조정할 수 있다.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은, 제2 모드 수행 이후에, 기상 상황을 고려하여, 접안 순서를 조정하는 제4 모드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4 모드 수행시, 제어부는 기상 악화로 접안이 불가능한 시간 대의 접안 순서를 뒤로 미룰 수 있다.
또한, 제4 모드 수행시, 제어부는 기상 악화 발생 시, 특정 선박을 다른 부두에 접안시키도록 접안 순서를 수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선박의 접안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두가 있고, 선박 마다 적재한 제품에 따라 접안 가능한 부두가 하나 이상으로 결정되며, 해당 제품 및 양에 따라 작업 소요시간이 정해져 있을 때, 선박을 입항 순서대로 나열하여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1 단계; 및
    입항된 순서에 따라 선박을 접안 가능한 부두 별로 분류할 때, 접안 가능한 부두에 부두에 선행 작업이 있는 경우, 선행 작업의 종료시간 및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부두에 가장 빠른 접안 시간으로 접안 순서를 배정하고, 상기 리스트를 수정하는 제2 단계; 및
    제2 단계 이후에, 제품 별로 공장 내 탱크 레벨을 고려하여, 탱크가 소정 레벨 이상 또는 소정 레벨 이하로 유지되도록 접안 순서를 조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제2 단계에서, 접안 가능한 부두가 2곳 이상일 때, 해당 부두 중 한 곳에 선행 작업이 없는 경우,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빠른 접안 가능 시간에 선행 작업이 없는 부두에 선박의 접안 순서를 배정하고,
    제2 단계에서, 접안 가능한 부두가 2곳 이상일 때, 해당 부두 각각에 선행 작업이 있는 경우, 각각의 부두에서의 선행 작업의 종료시간 및 조류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빠르게 접안 가능한 부두에 해당 접안 시간으로 접안 순서를 배정하며,
    제3 단계에서, 접안 순서가 조정 시, 작업 시간이 겹치지 않으면서, 모든 선박의 대기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접안 순서로 조정되는,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단계 이후에, 기상 상황을 고려하여, 접안 순서를 조정하는 제4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4 단계에서, 기상 악화로 접안이 불가능한 시간 대의 접안 순서를 뒤로 미루는,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제4 단계에서, 기상 악화 발생 시, 특정 선박을 다른 부두에 접안시키도록 접안 순서를 수정하는,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방법.
  9. 삭제
KR1020180098390A 2018-08-23 2018-08-23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KR102645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390A KR102645756B1 (ko) 2018-08-23 2018-08-23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390A KR102645756B1 (ko) 2018-08-23 2018-08-23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598A KR20200022598A (ko) 2020-03-04
KR102645756B1 true KR102645756B1 (ko) 2024-03-11

Family

ID=6978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390A KR102645756B1 (ko) 2018-08-23 2018-08-23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299B1 (ko) * 2020-08-31 2022-02-16 윤상진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361884A (zh) * 2021-05-27 2021-09-07 中科智城(广州)信息科技有限公司 港口内外调度一体化平台
CN114005303B (zh) * 2021-09-29 2022-09-09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桥区水域通航安全条件智能预报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569A (ja) * 2005-09-27 2007-04-12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港湾内波浪予測方法、港湾内波浪予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53376B1 (ko) * 2009-06-25 2010-04-20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터미널의 선석 계획 및 자원계획 시스템
KR101620369B1 (ko) * 2016-02-01 2016-05-13 주식회사 마텍 선박 접안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569A (ja) * 2005-09-27 2007-04-12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港湾内波浪予測方法、港湾内波浪予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53376B1 (ko) * 2009-06-25 2010-04-20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터미널의 선석 계획 및 자원계획 시스템
KR101620369B1 (ko) * 2016-02-01 2016-05-13 주식회사 마텍 선박 접안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598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5756B1 (ko)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Dalgic et al. Advanced logistics planning for offshore wind farm operation and maintenance activities
CN110516976B (zh) 一种可选择装卸完工时间的自动化集装箱码头agv调度方法
Raa et al. An enriched model for the integrated berth allocation and quay crane assignment problem
Xiang et al. An almost robust optimization model for integrated berth allocation and quay crane assignment problem
Martin et al. Container ship size and the implications on port call workload
Adhitya et al. Heuristic rescheduling of crude oil operations to manage abnormal supply chain events
CN109961169A (zh) 基于延误成本管理信息的船舶进港优化调度系统
US20230252395A1 (en) A quay crane operation method
US20230267386A1 (en) Method of operating a container carrier terminal
Souravlias et al. Design framework for a modular floating container terminal
JP5011954B2 (ja) 原料輸送配船計画システム及び原料輸送配船計画立案方法
van Vianen et al. Simulation-based operational control of a dry bulk terminal
Vasileva et al. Generation of efficient cargo operation schedule at seaport with the use of multiagent technologies and genetic algorithms
Sheikholeslami et al. Practical solutions for reducing container ships’ waiting times at ports using simulation model
Briano et al. Models for support maritime logistics: a case study for improving terminal planning
Hansen Optimizing ports through computer simulation sensitivity analysis of pertinent parameters
Strelnikov et al. Finding an optimal route of a consignment in a seaport
Lane et al. The impact of ever larger vessels on terminals
JP2002149767A (ja) 港湾における船舶の運用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管理方法
Ursavas Crane allocation with stability considerations
Chamsudi et al. THE EFFECTIVENESS OF TRUCK LOSSING CONTROL ON THE CONTAINER DELIVERY ONTIME PERFORMANCE TO REDUCE THE LEAD TIME OF DELIVERY ACTIVITIES AT NILAM TERMINAL TANJUNG PERAK PORT, SURABAYA
Hadi et al. Analysis berth allocation problem (BAP) at New Priok Container Terminal One (NPTC-1) North Jakarta Indonesia
Karam et al. An improved solution for integrated berth allocation and quay crane assignment problem in container terminals
JP6710090B2 (ja) 出荷計画立案装置及び出荷計画立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