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968B1 -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968B1
KR102644968B1 KR1020180145412A KR20180145412A KR102644968B1 KR 102644968 B1 KR102644968 B1 KR 102644968B1 KR 1020180145412 A KR1020180145412 A KR 1020180145412A KR 20180145412 A KR20180145412 A KR 20180145412A KR 102644968 B1 KR102644968 B1 KR 102644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pin
pin portion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992A (ko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9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세워져 배치되며, 중공을 이루는 그라운드 하우징과, 상기 그라인드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되며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핀부를 갖는 제 1커넥터;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핀부와 끼움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갖는 제 2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Floating RF connector}
본 발명은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실장되는 제 1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제 1커넥터의 핀부와 제 2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부재와의 동심이 틀어지더라도 설정된 접속 위치로 안내하여 정상적으로 접속을 이룰 수 있는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팅 커넥터는 기판에 고정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위치 오차를 흡수하여 양자의 감합을 용이하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접속 핀이 마련된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는 접속핀이 끼워져 접촉되는 접속 부재가 마련된다.
여기서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는 기판에 중공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접속핀이 세워져 마련된다. 통상, 상기 전속핀은 하우징의 중심에 세워져 마련된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끼워지도록 원봉 형상의 몸체를 갖는다.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다.
만일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로그 커넥터의 중심축이 비스듬하게 경사지거나 축 선이 틀어져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접속핀은 접속 부재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과도한 외력을 통해 접속 부재와 접속핀을 결합하는 경우 접속핀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유발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86235호(공개일자 : 2018년 07월 30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실장되는 제 1커넥터에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제 1커넥터의 핀부와 제 2커넥터의 접속 부재와의 동심이 틀어지더라도 설정된 접속 위치로 안내하여 정상적으로 접속을 이룰 수 있는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세워져 배치되며, 중공을 이루는 그라운드 하우징과, 상기 그라인드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되며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핀부를 갖는 제 1커넥터;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핀부와 끼움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갖는 제 2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 부재에는, 상기 핀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핀부를 상기 삽입홀로 안내하도록 외측을 따라 벌어지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상단에는, 탄성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상단에서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중공 내벽을 따라 절곡되어 일정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편의 외측 둘레 일부는 상기 제 2커넥터의 하우징 둘레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하단 외측 둘레에는 그라운드 플로팅 부가 형성된다.
상기 그라운드 플로팅 부는, 웨이브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브 형상의 몸체 일단은,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하단 외측 둘레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브 형상의 몸체 타단은, 상기 기판의 상단에 지지된다.
상기 그라운드 플로팅 부는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외측 둘레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부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부는 서로 스위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부는, 제 1핀 부와, 제 2핀 부와, 상기 제 1핀 부와 상기 제 2핀부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핀 부는, 상기 기판에 세워져 실장되고, 상기 제 2핀 부는, 상기 제 1핀 부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핀 부를 에워싸는 제 1연결 몸체와, 상기 제 1연결 몸체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핀 부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연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핀 부의 상단 일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볼록한 회전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연결 몸체에는, 상기 회전 돌기를 수용하여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기판에 실장되는 제 1커넥터에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제 1커넥터의 핀부와 제 2커넥터의 접속 부재와의 동심이 틀어지더라도 설정된 접속 위치로 안내하여 정상적으로 접속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제 2커넥터가 제 1커넥터와의 비정상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제 1,2커넥터가 서로 결합을 이루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 따른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는 크게 기판(100)과, 제 1커넥터(200)와, 제 2커넥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100) 상단면에는 한 쌍의 그라운드 접점(110)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그라운드 접점(110)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기판(100)에는 통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20)은 상기 한 쌍의 그라운드 접점(110)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커넥터(200)는 플러그 커넥터 일 수 있다.
상기 제 1커넥터(200)는 그라운드 하우징(210)을 갖는다.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은 중공을 갖는다.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판(100) 상에 세워져 배치된다.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은 한 쌍의 그라운드 접점(110)에 접지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상단에는 탄성편(21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211)은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상단에서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중공 내벽을 따라 절곡되어 일정의 탄성을 갖는다.
상기 탄성편(211)은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된다.
다수를 이루는 탄성편(210)은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상단에서 중공 하방을 따라 절곡되며, 그 끝단은 중공 내면으로부터 간격을 형성한다.
또한 탄성편(211)은 중공 내측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된다. 볼록한 부분은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정 면적이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탄성편(211)은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상단 내측에서 중공 내주를 따라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탄성편(211)의 외측 둘레 일부는 후술되는 제 2커넥터(300)의 하우징(310) 둘레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한편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하단 외측 둘레에는 그라운드 플로팅 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그라운드 플로팅 부(212)는 웨이브 형상의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는 다수의 절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웨이브 형상의 몸체 일단은,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하단 외측 둘레에 연결된다.
상기 웨이브 형상의 몸체는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하단에서 일체를 이루어 연장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별도의 부재를 통해 결합 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웨이브 형상의 몸체 타단은 상기 기판(100)의 상단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타단은 기판(100) 상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접점(110)에 접촉되어 실장되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의 타단은 그라운드 접점(110)에 면접촉될 수도 있고, 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그라운드 플로팅 부(212)는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외측 둘레 다수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라운드 플로팅 부(212)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웨이브 형상의 몸체 각각은 각각의 그라운드 접점(110)에 실장된다.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커넥터(200)는 핀 부(220)를 갖는다.
상기 핀 부(220)는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중공에 세워져 배치된다. 상기 핀 부(220)는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중공 중심축에 세워져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핀 부(220)의 하단은 기판(100)에 형성되는 통공(120)에 끼워져 고정되며, 기판(100)의 일정의 접점과 전기적 신호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통전된다.
상기 핀 부(220)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핀 부(220)는 서로 스위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부(220)는 제 1핀 부(221)와, 제 2핀 부(222)와, 상기 제 1핀 부(221)와 상기 제 2핀 부(222)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연결부(22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핀 부(221)는 상기 기판(100)에 세워져 실장된다. 상기 제 1핀 부(221)의 하단은 기판(100)에 형성된 통공(120)에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제 2핀 부(222)는 상기 제 1핀 부(221)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223)는 제 1연결 몸체(223a)와 제 2연결 몸체(223b)를 갖는다. 이들은 일체를 이룬다.
상기 제 1연결 몸체(223a)는 상기 제 2핀 부(222)를 에워싸는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연결 몸체(223b)는 상기 제 1연결 몸체(223a)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핀 부(221)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핀 부(221)의 상단 일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볼록한 회전 돌기(221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연결 몸체(223b)에는 상기 회전 돌기(221a)를 수용하여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홈(223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연결 몸체(223b)는 스위블 회전을 포함하여 회전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2커넥터(300)는 리셉터클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제 2커넥터(300)는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핀 부(220)와 끼움 접속되는 접속 부재(320)를 갖는다.
상기 접속 부재(320)에는 상기 핀 부(220)가 삽입되는 삽입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 부재(320)의 단부에는 상기 핀 부(220)를 상기 삽입홀(321)로 안내하도록 외측을 따라 벌어지는 안내홀(3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홀(322)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삽입홀(321)의 하단에서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직선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중공에는 지지부(2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핀 부(220)는 지지부(230)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230)의 상단에는 원뿔 형상의 돌출 부재(231)가 형성된다.
이에 제 2핀 부(222)가 제 2커넥터(300)의 접속 부재(320)의 삽입홀(321)에 삽입되면, 접속 부재(320)의 일단에 형성된 안내홀(322)은 상기 돌출 부재(231)의 경사진 둘레면에 경사 접촉되는 상태로 지지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은 제 2커넥터가 제 1커넥터와의 비정상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제 1,2커넥터가 서로 결합을 이루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커넥터(300)는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중공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진입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커넥터(300)는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중공과 축선이 어긋난 상태로 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커넥터(300)의 하단은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상단부에 형성된 탄성편들(211)에 의해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중공 측으로 탄성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탄성편들(211)은 제 2커넥터(300)의 하우징(310) 단부 둘레 다수 위치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커넥터(300)의 중심축은 제 1커넥터(200)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탄성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발생되는 진동은 웨이브 형상의 한 쌍의 그라운드 플로팅 부(212)에 이해 흡수됨과 아울러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자세 역시 커넥터들(200, 300) 간 결합되는 동안에 탄성적 가변 될 수 있다.
동시에 제 1핀 부(221)의 상단은 제 2커넥터(300)의 접속 부재(320)에 형성된 안내홀(322)을 통해 삽입홀(321)에 삽입되도록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어 제 2커넥터(300)의 하우징(310) 하단은 그라운드 하우징(210)의 중공에 설치된 지지부(230) 상에 안착되며, 상술한 안내홀(322)은 지지부(230)의 돌출 부재(231)의 경사진 둘레면에 경사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핀 부(220)가 제 1,2핀부(221, 222)로 구성됨과 아울러 이들이 서로 스위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핀 부(220)와 접속 부재(320)와의 끼움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 2핀 부(222)의 자세를 회전 동작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 1,2커넥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기판에 실장되는 제 1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제 1커넥터의 핀부와 제 2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부재와의 동심이 틀어지더라도 설정된 접속 위치로 안내하여 정상적으로 접속을 이룰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기판
110 : 그라운드 접점
200 : 제 1커넥터
210 : 그라운드 하우징
211 : 탄성편
212 : 그라운드 플로팅 부
220 : 핀 부
221 : 제 1핀 부
222 : 제 2핀 부
223 : 연결부
230 : 지지부
231 : 돌출 부재
300 : 제 2커넥터
310 : 하우징
320 : 접속 부재
321 : 삽입홀
322 : 안내홀

Claims (6)

  1. 기판(100);
    상기 기판 상에 세워져 배치되며, 중공을 이루는 그라운드 하우징(210)과,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되며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핀부(220)를 갖는 제 1커넥터(200); 및,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며, 중공을 이루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되며 상기 핀부와 끼움 접속되는 접속 부재(320)를 갖는 제 2커넥터(300);를 포함하되,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은:
    웨이브 형상의 몸체의 일단이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하단 외측 둘레의 다수의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타단이 상기 기판의 상단에 지지되어, 기판에 대한 그라운드 하우징의 측방향 이동과 스위블 회전을 허용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그라운드 플로팅 부(212);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상단에서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중공 내벽을 따라 절곡되어 일정의 탄성을 갖고,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중심축과 상기 제 2커넥터의 하우징의 중심축이 정렬되도록 그 둘레 일부가 상기 제 2커넥터의 하우징 둘레에 접촉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편(211); 및
    상기 그라운드 하우징의 중공에 설치되고, 상단에 원뿔 형상의 돌출 부재(231)가 형성된 지지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핀부는:
    상기 기판에 세워져 실장된 제 1핀 부(221); 및
    상기 제 1핀 부의 상단에 스위블 회전 가능하게 접촉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 2핀 부(222);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핀 부가 삽입되는 삽입홀(321); 및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핀 부를 상기 삽입홀로 안내하도록 외측을 따라 벌어지며, 상기 제 2핀 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부재의 경사진 둘레면에 경사 접촉되는 상태로 지지되는 안내홀(322);을 구비하는,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핀 부는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 1핀부에 스위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핀 부를 에워싸는 제 1연결 몸체와,
    상기 제 1연결 몸체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핀 부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연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핀 부의 상단 일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볼록한 회전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연결 몸체에는, 상기 회전 돌기를 수용하여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홈이 형성되는,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KR1020180145412A 2018-11-22 2018-11-22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KR10264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412A KR102644968B1 (ko) 2018-11-22 2018-11-22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412A KR102644968B1 (ko) 2018-11-22 2018-11-22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92A KR20200059992A (ko) 2020-05-29
KR102644968B1 true KR102644968B1 (ko) 2024-03-07

Family

ID=7091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412A KR102644968B1 (ko) 2018-11-22 2018-11-22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295A (ko) 2021-12-30 2023-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53069A (zh) * 2007-12-08 2009-06-10 哈廷电子有限公司及两合公司 可摆动的印制电路板插塞连接器
JP2016091767A (ja) * 2014-11-04 2016-05-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6687A (en) * 1987-09-16 1989-03-22 Nec Corp Plug-in unit structure
JPH0733408Y2 (ja) * 1991-09-05 1995-07-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JP6183626B2 (ja) * 2015-08-04 2017-08-23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53069A (zh) * 2007-12-08 2009-06-10 哈廷电子有限公司及两合公司 可摆动的印制电路板插塞连接器
JP2016091767A (ja) * 2014-11-04 2016-05-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92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296B1 (ko)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JP5602947B2 (ja) 差動式データ伝送用プラグコネクタ
US5997310A (en) Swivel electric plug
TWM605406U (zh) 電連接器及其對接連接器
BRPI1002297A2 (pt) conjunto de conexão, e, método para montar um conjunto de conexão
TWM493184U (zh) 連接器
US6814580B2 (en) Rotatable connector
KR102644968B1 (ko)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US9871312B2 (en) Foldable plu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7438601B2 (en) Connector
US20160380374A1 (en) Plug-in connector
US11495910B2 (en) Rotatable electric plug
JP2019032432A5 (ko)
KR20190060662A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CN107819215B (zh) 连接器
US20090038928A1 (en) Spring loaded contact for rotary interface
US6428325B1 (en) Rotatable electrical connector for telephone cord
JPH04269482A (ja) アース、電力または信号接続を与えるためのキー結合された装置
CN102738612B (zh) 电连接器
KR20210044528A (ko) 플로팅 알에프 커넥터
TWI446638B (zh) 接電單元及其插座
JP2019216124A5 (ko)
TW202118154A (zh) 電連接器基座以及電連接器
TWI841038B (zh) 同軸連接器
TWM500370U (zh) 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