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925B1 -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반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반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925B1
KR102644925B1 KR1020230021012A KR20230021012A KR102644925B1 KR 102644925 B1 KR102644925 B1 KR 102644925B1 KR 1020230021012 A KR1020230021012 A KR 1020230021012A KR 20230021012 A KR20230021012 A KR 20230021012A KR 102644925 B1 KR102644925 B1 KR 10264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insurance
health
relativity
col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용
우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레이드헬스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레이드헬스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레이드헬스체인
Priority to KR102023002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디지털 의료기록정보를 통해 건강수준에 대한 건강등급을 평가하고, 건강등급을 근거로 보험상품의 순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는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의료기록정보가 저장된 기관서버와, 보험료산정 신청정보와 본인인증정보를 전송하는 고객 단말기와, 상기 고객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분석하여 참여그룹을 선정하는 참여그룹 관리부와, 상기 의료기록정보를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참여그룹에 연관된 고객의 건강등급을 산정하는 건강등급 관리부, 및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대도 관리부가 포함된 운영서버, 및 상기 위험상대도 정보와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 위험률을 이용해 보험상품의 각 담보에 대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산출하고, 각 담보별로 산출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기반으로 순보험료를 산출하는 보험사서버를 포함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의료기록정보를 분석하여 미래의 질병의 발생위험을 예측하며, 그 결과에 따라 보험료가 차등화된 고객별 맞춤형 보험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반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SYSTEM FOR DIFFERENTIATING NET INSURANCE PREMIUMS BY HEALTH GRADE BASED ON HEALTH GRADE EVALU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료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수준을 수치화하여 고객이 선택한 보험상품의 순보험료를 산출하는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의료기록정보를 통해 개인의 건강수준에 대한 건강등급을 평가하고, 건강등급을 근거로 보험상품의 순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는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각 개인들이 건강을 위한 진단, 운동, 관리 등의 프로그램 등은 본인의 의지에 의해 또는 직장의 건강관리 프로그램 또는 각종 사회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에 의한 주변 여건에 의해 주기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이를 통해 건강 정보는 의사와의 상담, 진찰기록, 수술기록, 처방기록, 사고부상 기록 등의 진료데이터와, 약국의 조제기록, 한의원에서의 진료에 의한 동양의학에 의한 체질분류 데이터, 체력증진을 위한 스포츠센터에서의 상담기록, 운동경력, 운동중 발생한 부상기록 등의 데이터, 임산부의 경우 임신중의 산부인과의 기 록, 출산 후 산후 조리원에서의 건강회복 기록, 아기의 경우 신생아 시기의 건강상태 등의 기록 및 데이터들이 개개인의 일생동안 계속적으로 생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에 관련된 정보가 개인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있지도 않고, 개인의 건강 상태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보들이 보험료를 산정하는데 직접적으로 이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매우 고가의 비용을 들여서 얻어지게 되는 각 개인들의 의료에 관련된 정보는 단편 적용을 위해서만 사용되고 이후에는 의료보험의 가입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보험료를 결정하는데 활용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일반인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가고 있는 추세와 더불어 인터넷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가 많이 개설되고 있으며, 현재도 계속해서 의료 및 건강관련 인터넷 사이트가 개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형태의 사이트에서는 건강 컨설팅 및 정보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사이트의 경우에 의료정보 시스템의 솔루션 제공, 병원과 약국 및 제약회사 등과 연계된 전자처방전 전달사업, 의료기기 및 의약품 유통사업 등과 연계하여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터넷 사이트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정보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험료를 결정하는데 적합한 맞춤 정보를 얻기가 어렵고,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제공된 정보로 개인의 건강 수준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를 통해 미래의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아울러, 보험업계에서도 상기와 같은 건강정보를 활용하여 보험 가입예정자들이 특정 요건 충족(건강검진결과서 제출, 소정 기간 걸음수 달성) 시 보험료의 일부를 할인해주는 경우가 있었으나, 보험료 할인가격을 산출하는 방법이 불명확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현재의 보건수준을 이해하고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평가지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평가지수에 따라 보험료를 체계적으로 할인해 줄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2827호(2020.09.0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2594호(2011.03.3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0401호(2013.03.2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0947호(2019.04.25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의 동의를 전제로 공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디지털 의료기록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사고 발생률과 보험 가입의 대상이 되는 피보험자의 건강등급을 산정하고, 상기 건강사고 발생률 및 건강등급을 기반으로 보험상품의 순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는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의료기록정보가 저장된 의료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기관서버와, 보험상품의 보험료산정을 신청하는 보험료산정 신청정보와 본인인증정보를 전송하는 고객 단말기와, 상기 고객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성별 및 연령을 추출하고 상기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참여그룹을 선정하는 참여그룹 관리부와, 상기 의료기록정보를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참여그룹에 연관된 고객의 건강등급을 산정하는 건강등급 관리부, 및 상기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대도 관리부가 포함된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된 위험상대도 정보와 미리 지정된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 위험률을 이용해 보험상품의 각 담보에 대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산출하고, 각 담보별로 산출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기반으로 순보험료를 산출하는 보험사서버를 포함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의 디지털 의료기록정보를 분석하여 미래의 질병의 발생위험을 예측하며, 그 결과에 따라 순보험료의 차등화된 가격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객은 자신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보험료를 지불할 수 있고, 보험사는 고객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보험료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험사의 관점에서 건강 상태가 우량한 사람들의 보험금 지급 발생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보험상품 가격 결정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보험계약자 및 보험사 모두 이익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래의 소정 기간 이내에 보험상품에 담보된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을 건강등급에 따른 위험 상대도로 산출한 후 고객에게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생활습관 개선에 대한 유인 및 사회적 건강증진 의식 제고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보상을 순보험료를 차등화하는 형태로 제공하여 피보험자들에게 건강관리에 대한 경제적 혜택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건강검진결과가 우수한 고객에게 기존보다 저렴한 보험상품에 가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국가건강검진 수검률을 높이고, 이를 통한 질병의 조기 발견 및 치료, 예방 등의 적극적 건강관리 활동을 독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반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이하,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은 의료기록정보가 저장된 의료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DB, 110)가 구비된 기관서버(100)와, 보험상품의 보험료산정을 신청하는 보험료산정 신청정보와 본인인증정보를 전송하는 고객 단말기(200)와, 유무선통신 네트워크(이하, '통신 네트워크'라고 약칭함)를 통해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제공받고 자체 수집하거나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의료기록정보와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을 사용해 건강등급을 산정하며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는 운영서버(300), 및 상기 위험상대도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상품의 건강등급별 순보험료를 산출하는 보험사서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순보험료란 보험계약자가 보험계약에 따라 보험회사에 납입하는 금액(영업보험료) 중 보험금 지급을 충당하기 위한 보험료를 의미한다. 그리고 보험상품의 건강등급별 순보험료 산출은 보험기간이 1년, 보험료 납입은 가입 즉시 일시 완납을 가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은 기관서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기관서버(100)는 의료기록정보가 저장된 의료기록정보 DB(110)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의료기록정보에는 의료기관의 건강검진결과 정보인 개인별 바이오마커와 의료기관의 의료이용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바이오마커에는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공복혈당, 고밀도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중성지방, 혈색소, 요단백, 혈청크레아티닌, 혈청지티피(ALT), 감마지티피(gamma-GTP), 흡연여부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의료이용정보에는 내원(입원)일수와 총 급여비용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의료기관 명칭 및 위치, 진료개시일, 진료형태(입원, 일반외래/ 치과외래, 처방조제), 처방일수, 투약일수, 본인부담금 및 공단부담금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관서버(100)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과 같이 병원과 의원에서 생성된 의료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도록 정부에서 지정한 단체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병, 의원 DB에서 전송된 의료기관의 의료이용정보와 건강검진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관서버(100)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수행하는 건강검진 수검자들의 검진 결과를 포함하는 일반 건강검진정보와, 건강검진 문진 데이터 및 명세서와 진료기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관서버(100)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들의 정보를 일반검진 데이터베이스, 문진 데이터베이스, 명세서 데이터베이스 및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관서버(100)는 운영서버(300)가 본인인증정보 또는 본인인증정보를 기반으로 변경된 개인인증정보를 제공하면서 의료기록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의료기록정보를 웹 페이지의 형태로 운영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관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가 본인인증정보를 제공하면서 의료기록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의료기록정보를 웹 페이지의 형태로 고객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단말기(200)는 보험료 산정을 요청하기 위해 고객정보가 포함된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사용자인 고객으로부터 입력받고, 본인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상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와 본인인증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300)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 고객 단말기(200)는 사용자인 고객에 대한 의료기록정보의 이용을 동의하는 승인정보를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단말기(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300)가 제공하는 제1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웹 사이트로 본인인증정보를 전송하고, 승인정보 및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에는 고객정보 및 보험상품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정보에는 고객의 이름, 생년월일 또는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로그인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된다. 그리고 보험상품정보에는 보험사 및 보험상품 명칭 또는 보험사 및 보험상품 구분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인인증정보로는 간편인증정보, 휴대폰 인증정보, 공동인증서 인증정보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객 단말기(200)는 암호화된 본인인증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200)는 운영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의료기록정보 등이 포함된 위험상대도 정보를 보험사서버(400)로 제공하는데 대한 최종 동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후 운영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단말기(200)는 도 2와 같이 보험신청 관리앱(210)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 단말기(200)는 사용자인 고객의 요청에 따라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기관서버(100)에 접속하고,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본인인증정보를 기관서버(100)로 제공하며, 상기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기관서버(100)로부터 수집한다. 그리고 기관서버(100)를 통한 의료기록정보의 수집은 수집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10년 이내의 의료기록정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험신청 관리앱(210)은 기관서버(100)가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웹 페이지로 제공하면,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의료기록정보를 스크래핑을 통해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보험신청 관리앱(210)은 서로 다른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한 각각의 의료기록정보를 결합하고, 불필요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이 삭제되도록 분류 및 정제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200)는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운영서버(300)에 접속하고, 분류 및 정제가 완료된 의료기록정보와 승인정보 및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보험신청 관리앱(210)은 의료기록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제공하는데 대한 최종 동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후 운영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고객 단말기(200)는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운영서버(300)나 보험사서버(400)로부터 순보험료가 전송되면 해당 순보험료가 반영된 보험 상품의 보험료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러한 고객 단말기(2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보험상품의 보험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300)에 고객별로 차등화된 보험료의 확인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단말기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갖는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 유선전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객 단말기(200)는 운영서버(300) 또는 보험사서버(400)로 관리앱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URL을 제공받고, 상기 URL을 통해 보험신청 관리앱(210)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은 운영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의료기록정보를 기반으로 보험상품에 대한 보험료의 산정을 신청한 고객 단말기(200)에 보험상품의 보험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관서버(100)와 고객 단말기(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 운영서버(300)는 보험사서버(4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보험료산정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고객의 의료기록정보와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을 사용해 건강등급을 산출한다. 이러한 운영서버(300)는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승인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한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300)는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본인인증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도 1과 같이 기관서버(100)로부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제공한 고객의 의료기록정보를 직접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영서버(300)는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본인인증정보를 기관서버(100)가 요구하는 형태로 가공처리하여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인증정보를 기관서버(100)로 제공하며, 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기관서버(10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영서버(300)는 본인인증정보를 기반으로 기관서버(100)가 요구하는 암호화된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암호화 된 개인인증정보를 기관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운영서버(300)는 기관서버(100)가 본인인증정보나 개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웹 페이지로 제공하면,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의료기록정보를 스크래핑을 통해 수집하여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본인인증정보가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 되어 있는 경우, 운영서버(300)는 본인인증정보의 복호화를 진행한다.
또한, 운영서버(300)는 본인인증정보를 제공한 고객 단말기(200)로 건강등급정보를 전송하거나, 건강등급정보와 의료기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운영서버(3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보험료산정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분석하여 차등된 순보험료의 산정을 신청한 사용자인 고객이 등급산정 대상자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300)는 도 2와 같이 기관서버(100)에 접속하여 의료기록정보를 수집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의료기록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영서버(300)는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의료기록정보가 수신되면, 기관서버(100)로부터 고객의 의료기록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의료기록정보를 사용해 고객의 건강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300)는 산정된 건강등급을 의료기록정보를 제공한 고객 단말기(200)의 보험신청 관리앱(2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분석해 고객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참여그룹을 선정하고, 의료기록정보를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고객의 참여그룹에 연관된 고객의 건강등급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 및 매핑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300)는 통신부(310)와, 참여그룹 관리부(320)와, 건강등급 관리부(330), 및 위험상대도 관리부(34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저장부(350)와 의료기록정보 수집부(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300)를 구성하는 통신부(31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 단말기(200), 기관서버(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운영서버(300)의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이때, 통신부(31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각종 정보를 저장부(350)에 저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통신부(31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보험사서버(4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31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 및 본인인증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승인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31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 및 의료기록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승인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300)를 구성하는 저장부(350)는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개인정보 DB에 저장하고,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본인인증정보를 인증정보 DB에 저장하며, 고객 단말기(200)나 보험사서버(400)로부터 제공된 의료기록정보를 의료정보 DB에 저장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300)를 구성하는 의료기록정보 수집부(360)는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의료기록정보 대신 본인인증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본인인증정보(또는 개인인증정보)를 기관서버(100)로 제공하여 본인인증정보(또는 개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기관서버(100)가 본인인증정보나 개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웹 페이지로 제공하면,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의료기록정보를 스크래핑을 통해 수집하여 저장한다. 이때, 의료기록정보 수집부(360)는 기관서버(100)로부터 수집한 의료기록정보를 자체 저장하거나, 저장부(350)의 의료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기록정보 수집부(360)는 통신부(310)와 저장부(35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300)를 구성하는 참여그룹 관리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나 의료기록정보가 수신되면 고객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참여그룹을 선정하는 것으로, 보험료산정 신청정보 또는 의료기록정보로부터 고객의 성별 및 연령을 추출한 후 고객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복수의 참여그룹 중 성별 및 연령이 매칭된 참여그룹을 고객의 참여그룹으로 선정한다. 이를 위해, 참여그룹 관리부(320)는 통신부(310)와 저장부(3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참여그룹은 종속변수인 건강사고 발생과 통계적 연관성이 높은 개인의 검사항목 및 의료이용정보를 통계적 방법으로 구간화 한 후 IV(Information Value), K-S(Kolmogorov-Smirnov) 통계량 등 건강사고와 설명변수 간의 변별력 및 신뢰도에 기초하여 설명변수를 선택 및 구간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변수를 구간화 하는 통계적 방법은 의사결정나무모델(decision tree model)의 분류나무(classification tree)를 이용하여 건강사고 발생의 불순도(Cross-entropy)가 최소화 되도록 일정구간으로 분류(정보이득이 일정수준을 만족하도록 노드를 분리)한 후, 데이터의 충분성을 만족하는 구간에 대해 건강사고 발생률, 오즈(odds), WOE(Weight Of Evidence) 등을 통해 동질성을 보이는 일부 소수의 구간으로 재분류하는 방법이다.
또한, 의사결정나무모델의 분류나무는 상위노드에서 분기되는 하위노드에서 노드(집단) 내에서는 동질성이, 노드 간에는 이질성이 가장 커지도록 선택되며, 모형의 크기는 과대적합(또는 과소적합)되지 않도록 합리적 기준에 의해 조절된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참여그룹은 남성에 35세 미만인 제1 그룹, 남성에 35세~49세인 제2 그룹, 남성에 50세~59세인 제3 그룹, 남성에 60세 이상인 제4 그룹, 여성에 30세 미만인 제5 그룹, 여성에 30세~44세인 제6 그룹, 여성에 45세~54세인 제7 그룹, 여성에 55세~64세인 제8 그룹, 여성에 65세 이상인 제9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고객의 참여그룹은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전술한 9개 그룹 중 어느 하나로 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참여그룹 관리부(320)는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나 의료기록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대상이 45세 남성으로 판독되면, 분석 대상의 참여그룹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참여그룹 관리부(320)는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나 의료기록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대상이 45세 여성으로 판독되면, 분석 대상의 참여그룹을 제7 그룹으로 분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300)를 구성하는 건강등급 관리부(330)는 의료기록정보를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참여그룹에 연관된 고객의 건강등급을 선정하는 것으로, 미리 설계된 기준에 따라 9등급으로 분류된 건강등급 중 의료기록정보가 수집된 고객의 건강등급을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건강등급 관리부(330)는 고객의 참여그룹에 매칭된 검사항목 및 의료이용정보의 수치를 추출하며, 상기 수치를 각 검사항목 및 의료이용정보의 수치별 등급에 따라 분류하여 각 검사항목 및 의료이용정보의 등급을 결정하고, 각 수치와 매칭된 등급에 미리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개인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개인점수를 고객이 소속된 참여그룹의 건강등급 점수표와 비교하여 고객의 건강등급을 산정한다. 이때, 개인의 검사항목은 개인 바이오마커 및 의료이용정보를 통해 확인된 정보에서 4~10개 내외로 선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그룹에 매칭된 검사항목들이 체질량지수, 혈압(수축기/이완기), 혈색소, 공복혈당, 콜레스테롤(HDL/LDL), 중성지방, 혈청크레아티닌, 최근 1년간 투약일수, 최근 1년간 처방일수이면, 건강등급 관리부(330)는 의료기록정보로부터 9개 검사항목의 수치를 추출하며, 각 수치와 매칭된 등급에 미리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개인점수를 산출한다. 예컨대, 체질량지수에 대한 수치의 등급이 2등급(18점)이고, 혈압(수축기/이완기)에 대한 수치의 등급이 3등급(16점)이고, 혈색소에 대한 수치의 등급이 4등급(14점)이고, 공복혈당에 대한 수치의 등급이 5등급(12점)이고, 콜레스테롤(HDL/LDL)에 대한 수치의 등급이 6등급(10점)이고, 중성지방에 대한 수치의 등급이 7등급(8점)이고, 혈청크레아티닌에 대한 수치의 등급이 8등급(6점)이고, 최근 1년간 투약일수에 대한 수치의 등급이 9등급(4점)이고, 최근 1년간 처방일수에 대한 수치의 등급이 10등급(2점)이면, 건강등급 관리부(330)는 고객의 개인점수를 90점으로 산출한다.
필요에 따라, 건강등급 관리부(330)는 고객의 참여그룹에 매칭된 여러 개의 검사항목들로부터 합산된 점수에 기본점수를 부가하여 개인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기본점수는 검사항목의 숫자와 등급별 점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건강등급 관리부(330)는 고객의 참여그룹에 매칭된 검사항목 및 의료이용정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각 수치와 매칭된 등급의 점수에 해당 검사항목과 의료이용정보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점수를 합산하여 개인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중요도가 높은 검사항목 및 의료이용정보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른 검사항목 및 의료이용정보과 구분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건강등급 관리부(330)는 의료기록정보에서 고객의 참여그룹에 매칭된 검사항목 및 의료이용정보 중 일부의 수치가 의료기록정보에서 누락되어 있는 경우, 고객 단말기(200)로 누락된 대상인 검사항목과 의료이용정보의 수치보정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누락된 대상인 검사항목과 의료이용정보에 의해 건강등급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제공한 고객은 의료기관을 통해 누락된 대상인 검사항목과 의료이용정보의 수치를 확인받은 다음 해당 자료를 운영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300)를 구성하는 위험상대도 관리부(340)는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기간 내에 고객의 건강사고가 발생할 확률인 건강사고 발생률을 건강등급별로 산정하고, 건강등급별 건강사고 발생률을 기반으로 건강등급별 위험 상대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기간은 1년 내지 15년 이내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미리 지정된 기간은 국가건강검진 기본원칙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건강사고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나 이에 상응하는 단체에서 질병부담이 높은 주요 만성질환으로 지정된 심혈관질환과 당뇨병과 만성호홉기질환과 심장질환 및 암과, 질병으로 인한 사망과, 의료법상 종합병원 이상의 입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WHO에서 지정하는 주요 만성질환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요에 따라, 건강사고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를 준용할 수 있다. 이러한 KCD의 준용은 전술한 주요 만성질환을 KCD코드로 정의하는데 적용되며, 예를 들어 암의 경우 (C00-C97)로 정의되고, 뇌혈관질환의 경우 (I60-I69)로 정의된다.
상기 위험상대도 관리부(340)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저장된 100만 이상의 코호트를 대상으로 분석하되, 전국민의 성격을 대표하는 표본(층화추출법으로 추출) 중 과거의 지정된 기간 동안 건강검진 결과가 존재하는 국민을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며, 건강등급별로 보험에서 주로 담보하는 건강사고의 발생건수를 수집하고, 각 건강사고의 건강등급별로 건강사고 발생률을 분류하여 건강사고 발생률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위험상대도 관리부(340)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고객이 선택한 보험상품의 약관 상 보장하는 각 담보의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산출하고, 상기 보험상품에 포함된 각 담보의 전체 발생률을 산출하며, 담보의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동일 담보의 전체 발생률로 각각 나누어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한다.
이때, 보험담보의 건강등급별 발생률은 건강등급별로 분류된 대상자수를 기준으로 동일 건강등급에서 보험담보에 상응하는 건강사고의 발생자수를 대상자수로 나눈 백분율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대상자 수가 38,891명이고, 건강등급이 1등급인 대상자수가 3,889명이며, 심장질환의 발생자수가 99명이면, 1등급의 건강등급에서 심장질환에 상응하는 보험담보의 발생률은 2.55%로 산출된다. 그리고 심장질환의 전체 발생률이 8.31%이면, 1등급에 해당하는 대상자에 대한 심장질환의 발생률(2.55%)을 심장질환의 전체 발생률(8.31%)로 나누어 1등급에 해당하는 대상자의 보험담보(심장질환)에 대한 위험 상대도(30.7%)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위험상대도 관리부(340)는 각 담보의 건강등급별 위험 상대도 중 고객의 건강등급에 매칭된 담보별 위험 상대도를 추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험상대도 정보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보험사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위험상대도 관리부(340)는 건강등급을 구분하는 건강사고 발생률과 담보 발생률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 담보의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국소회귀모형 등의 통계적 모형을 이용한 평활법을 사용하여 보정하며, 보정된 각 담보의 건강등급별 발생률로 담보의 건강등급별 위험 상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상대도 관리부(340)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분석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고객(남자 55세)이 소속된 제3 그룹에서 심장질환(담보)에 대한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산출할 수 있고,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국소회귀모형을 이용한 평활법을 활용하여 아래의 [표 2]와 같이 보정할 수 있으며, 보정된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동일 담보의 전체 발생률로 각각 나누어 아래의 [표 3]과 같이 심장질환의 건강등급별 위험 상대도를 산출할 수 있다.
[표 1] 제3 그룹의 심장질환에 대한 건강등급별 발생률
[표 2] 평활법을 활용하여 보정된 건강등급별 발생률
[표 3] 건강등급별 위험 상대도
한편, 위험상대도 관리부(340)는 위험상대도 산출모듈 및 위험상대도 매핑모듈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연령별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험상대도 산출모듈은 보험상품의 담보에 매칭될 수 있는 기준질병들을 지정하고, 국민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관공서서버로부터 국민건강검진결과와 의료이용기록을 수집하여 고객과 동일한 참여그룹에서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의 기준질병들에 대한 건강등급별 대상자수 및 발생자수를 검출하며, 각 기준질병에 대한 건강등급별 발생률(건강등급별 발생자수/대상자수)을 산출하고, 고객과 건강등급이 동일한 건강등급 발생률을 추출하며, 각 기준질병의 전체 발생률(발생자수/대상자수)을 산출하고, 기준질병이 동일한 건강등급 발생률을 전체 발생률로 나누어 각 기준질병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한다.
상기 연령별 보정모듈은 건강등급별로 산출된 위험 상대도를 연령별로 차등화시키는 것으로, 그레빌 보정, Beers 보정, 곰페르츠-메캄 보정 등의 통상적인 보정방법을 적용하여 타겟 연령의 보정된 위험 상대도를 산정한다. 예를 들면, 연령별 보정모듈은 참여그룹의 대표연령을 설정하고, 참여그룹의 위험 상대도를 해당 대표연령의 위험 상대도로 매핑하며, 참여그룹 대표연령의 최고 나이와 최하 나이를 벗어난 연령대의 위험 상대도를 보외처리하고, 타겟 연령의 위험 상대도에 그레빌 보정을 진행하여 타겟 연령의 보정된 위험 상대도를 산정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남자이고, 담보가 심장질환 진단이며 건강등급이 1등급인 경우, 위험상대도 산출모듈은 제1 그룹(35세 미만)의 위험 상대도를 49.595482%로 산출하고, 제2 그룹(35~49세)의 위험 상대도를 27.052523%로 산출하고, 제3 그룹(50~59세)의 위험 상대도를 27.609818%로 산출하고, 제4 그룹(60세 이상)의 위험 상대도를 33.765550%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검진기본법에 따른 국가건강검진의 최소 연령은 만 20세이고, 만 80세까지 노인신체검사 대상자이며 그 이후 연령에서는 국가건강검진 상 별도의 제약이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건강검진 대상 연령은 만 20세부터 만 80세로 지정한다.
이에 따라, 제1 그룹의 대표연령은 27세[(20+34)/2]이고, 제2 그룹의 대표연령은 42세[(35+49)/2]이고, 제3 그룹의 대표연령은 54.5세[(50+59)/2]이고, 제4 그룹의 대표연령은 70세[(60+80)/2]이고, 제5 그룹의 대표연령은 24.5세[(20+29)/2]이고, 제6 그룹의 대표연령은 37세[(30+44)/2]이고, 제7 그룹의 대표연령은 49.5세[(45+54)/2]이고, 제8 그룹의 대표연령은 59.5세[(55+64)/2]이고, 제9 그룹의 대표연령은 72.5세[(65+80)/2]이다.
따라서, 연령별 보정모듈은 27세의 심장질환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49.595482%로 산출하고, 42세의 심장질환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27.052523%로 산출하고, 54.5세의 심장질환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27.609818%로 산출하고, 70세의 심장질환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33.765550%로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연령별 보정모듈은 대표연령별 보험담보(심장질환)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기준으로 직선 보간 및 보외(27~70세 구간은 보간 처리, 20~26세 구간 및 71~80세 구간은 보외 처리)처리한다.
이어서, 연령별 보정모듈은 타겟 연령이 40세인 경우, 아래의 [표 4]로 표시된 심장질환에 대한 위험 상대도와 미리 지정된 범위(± 4세)의 주변 연령의 위험 상대도를 그레빌 보정 계수로 곱한 후 합산하여 타겟 연령의 보정된 위험 상대도를 산정한다.
[표 4]
결과적으로, 연령별 보정모듈은 40세 남성의 보험담보(심장질환)에 대한 보정된 위험 상대도를 아래와 같이 29.916968%로 산출할 수 있다.
(0.360697*-0.040724) + (0.345668*-0.009872) + (0.330640*0.118470) + (0.315611*0.266557) + (0.300583*0.331139) + (0.285554*0.266557) + (0.270525*0.118470) + (0.270971*-0.009872) + (0.271417*-0.040724) = 0.29916968
한편, 상기 위험상대도 매핑모듈은 보험상품의 약관 상 보장하는 담보와 기준질병을 비교하여 상기 담보의 위험 상대도에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상대도 관리부(340)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분석하여 아래의 [표 5]와 같이 보험상품의 담보에 기준질병의 위험상대도를 매핑할 수 있다.
[표 5] 담보에 매핑된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
이러한 위험상대도 매핑모듈은 상기 기준질병들을 통계청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상 KCD코드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상기 보험상품의 약관 상 보장하는 담보들을 상기 KCD코드를 기준으로 분류하며, 담보에 매칭된 기준질병의 KCD코드가 담보의 KCD코드를 모두 포함하면 상기 담보의 위험 상대도에 상기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를 매핑한다.
예컨대, 담보인 암 진단의 약관 상 보장하는 KCD코드가 C00~C96이고, 상기 암 진단에 매칭된 기준질병인 암 발생의 KCD코드가 C00~C96인 경우, 위험상대도 매핑모듈은 암 진단에 암 발생의 위험 상대도를 그대로 매핑한다. 그리고 암 진단의 약관 상 보장하는 KCD코드가 C00~C90이고, 암 발생의 KCD코드가 C00~C96인 경우, 위험상대도 매핑모듈은 암 진단에 암 발생의 위험 상대도를 그대로 매핑한다.
또한, 위험상대도 매핑모듈은 담보에 매칭된 기준질병의 KCD코드가 담보의 KCD코드를 모두 포함하지 못하면,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를 담보의 KCD코드에 한정하여 매핑하거나, 아래와 같이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를 담보의 위험 상대도로 매핑한다.
담보의 위험 상대도 = 담보와 겹친 KCD코드를 갖는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 × (미리 지정된 기간 이내에 기준질병 KCD코드로 진료한 진료자수 / 미리 지정된 기간 이내에 담보 KCD코드로 진료한 진료자수) + 담보의 KCD코드에서 벗어난 KCD코드를 갖는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 × (미리 지정된 기간 이내에 담보의 KCD코드에서 벗어난 KCD코드로 진료한 진료자수 / 미리 지정된 기간 이내에 담보 KCD코드로 진료한 진료자수)
이때, 미리 지정된 기간은 최근 1년~10년으로 지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은 보험사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3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운영서버(300)로부터 제공된 위험상대도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이 선택한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순보험료를 산출하며, 각 담보별로 산출된 순보험료에 담보별 부가보험료를 더하여 각 담보별 영업보험료를 산출하고, 각 담보별로 산출된 영업보험료를 합산하여 고객별로 차등화된 보험료를 산정하며, 상기 보험상품의 보험료를 운영서버(300)나 고객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험사서버(400)는 미리 지정된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 위험률과 담보가 매칭된 위험 상대도를 운영서버(300)로부터 제공된 위험상대도 정보로부터 추출하고, 담보가 매칭된 담보 위험률과 위험 상대도를 곱하여 보험상품의 각 담보에 대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산출하며, 각 담보별로 산출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기반으로 각 담보별 순보험료를 산출하고, 상기 각 담보별 순보험료에 부가보험료를 합산하여 각 담보별 영업보험료를 산출하며, 각 담보별로 산출된 영업보험료를 합산하여 보험상품의 보험료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보험가입금액은 1,000만원, 보험상품 적용이율은 3.0%, 보험료는 연납(1년 만기이므로 일시납)이고, 위험상대도 및 위험률을 기준으로 1년 만기 허혈성심장질환 진단을 보장하는 보험상품의 보험료를 산출하는 경우, 허혈성심장질환 담보는 보험업법상 제3보험이며, 보험금을 지급하는 경우 계약이 소멸하는 형태를 갖는 1회 지급형태의 담보이므로, 순보험료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의 수학식 1를 사용한다.
Figure 112023018514019-pat00006
여기서, 전술한 보험은 1년 만기 상품이므로, 보험수리적으로
Figure 112023018514019-pat00007
Figure 112023018514019-pat00008
는 동일하기 때문에 순보험료 산출에서 고려할 필요가 없고,
Figure 112023018514019-pat00009
은 건강등급의 순보험료이고,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0
는 기존 순보험료이고,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1
는 보험가입금액이고,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2
는 1 / (1 + 보험상품 적용이율)이고,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3
는 보험사의 담보 위험률이고,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4
는 건강등급이 적용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이다. 이때,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5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6
와 운영서버(300)로부터 제공된 k등급의 위험 상대도의 곱셈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가입연령이 39세인 남성의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7
가 0.000774이고 보험가입금액이 1,000만원이면 허혈성 심장질환의 기존 순보험료는 7,740원이고, 가입연령이 40세인 남성의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8
가 0.000889이고 보험가입금액이 1,000만원이면 기존 순보험료는 8,890원이며, 가입연령이 41세인 남성의
Figure 112023018514019-pat00019
가 0.000998이고 보험가입금액이 1,000만원이면 기존 순보험료는 9,980원이다.
그리고 가입연령이 39세인 남성에 대한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Figure 112023018514019-pat00020
가 0.000244이면
Figure 112023018514019-pat00021
가 5,222원이므로 건강등급이 1등급인 39세 남성의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순보험료(
Figure 112023018514019-pat00022
)는 2,518원으로 산출되고, 가입연령이 40세인 남성의
Figure 112023018514019-pat00023
가 0.000266이면
Figure 112023018514019-pat00024
가 6,139원이므로 건강등급이 1등급인 40세 남성의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순보험료(
Figure 112023018514019-pat00025
)는 2,751원으로 산출되며, 가입연령이 41세인 남성의
Figure 112023018514019-pat00026
가 0.000285이면
Figure 112023018514019-pat00027
가 7,025원이므로 건강등급이 1등급인 41세 남성의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순보험료(
Figure 112023018514019-pat00028
)는 2,955원으로 산출된다.
필요에 따라, 보험사서버(400)는 관리앱 요청정보가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URL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URL은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보험신청 관리앱(210)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웹 페이지의 URL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은 보험상품의 보험료산정 신청정보, 본인인증정보를 제공받는 신청 접수단계(S100)와,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본인인증정보를 기관서버(100)에 제공하고 상기 기관서버(100)로부터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수집하는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와, 고객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참여그룹을 선정하고 수집된 의료기록정보를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참여그룹에 연관된 고객의 건강등급을 산정하는 건강등급 산정단계(S300)와,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대도 산출단계(S400)와, 상기 위험상대도 정보를 제공받은 보험사서버(400)가 위험상대도 정보와 미리 지정된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 위험률을 이용해 보험상품의 각 담보에 대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산출하는 위험률 산출단계(S500), 및 각 담보별로 산출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기반으로 차등화된 순보험료를 산출하는 순보험료 산출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은 고객 단말기(200)가 웹 페이지를 통해 운영서버(300)에 접속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신청 접수단계(S100)에서는 도 5와 같이 운영서버(300)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 및 본인인증정보를 제공받으며, 선택적으로 의료기록정보 이용을 동의하는 승인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암호화된 본인인증정보가 제공되면, 운영서버(300)는 암호화된 본인인증정보를 복호화시킨 후 임시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한다. 그리고 운영서버(300)는 승인정보와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저장수단에 저장한다.
상기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에서는 도 6과 같이 의료기록정보가 저장된 의료기록정보 DB(110)가 구비된 기관서버(100)에 상기 운영서버(300)가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본인인증정보를 제공하고(S210), 운영서버(300)가 상기 기관서버(100)로부터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수집한다(S220).
구체적으로,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에서는 운영서버(300)가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본인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의 제공을 기관서버(100)로 요청하고, 상기 기관서버(100)로부터 의료기록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에서는 운영서버(300)가 의료기록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본인인증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에서 기관서버(100)가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웹 페이지로 제공하면, 운영서버(300)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의료기록정보를 스크래핑을 통해 수집하여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은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분석하여 등급산정 대상자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자 선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대상자 선별단계는 신청 접수단계(S100)와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의 사이에 구비되거나,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와 건강등급 산정단계(S300)의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대상자 선별단계에서는 운영서버(300)가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분석하여 건강등급의 산출을 신청한 고객이 등급산정 대상자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자 선별단계에서 운영서버(300)는 승인정보를 통해 개인정보의 사용을 동의하고 건강보험 또는 의료급여 적용 대상자인 고객을 등급산정 대상자로 지정한다.
상기 건강등급 산정단계(S300)에서는 운영서버(300)가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참여그룹을 선정하고(S310), 상기 운영서버(300)가 수집된 의료기록정보를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참여그룹에 연관된 고객의 건강등급을 산정한다(S320).
이러한 건강등급 산정단계(S300)는 의료기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참여그룹을 선택하는 참여그룹 선정과정(S310)과, 사용자의 참여그룹에 매칭된 검사항목 및 의료이용정보의 수치를 의료기록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수치 추출과정과, 추출된 수치를 각 대상의 등급에 따라 분류하여 각 대상의 등급을 결정하는 수치 등급화과정과, 상기 수치와 매칭된 등급의 점수를 합산하여 개인점수를 산출하는 점수화과정, 및 상기 개인점수를 사용자의 참여그룹의 건강등급 점수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등급을 산정하는 점수 등급화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위험상대도 산출단계(S400)에서는 운영서버(300)가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고(S410), 운영서버(300)가 상기 위험상대도 정보를 보험사서버(400)로 제공한다(S420).
상기 위험률 산출단계(S500)에서는 운영서버(300)로부터 위험상대도 정보를 제공받은 보험사서버(400)가 위험상대도 정보와 미리 지정된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 위험률을 이용해 보험상품의 각 담보에 대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산출한다.
상기 순보험료 산출단계(S500)에서는 운영서버(300)로부터 위험상대도 정보를 제공받은 보험사서버(400)가 상기 위험상대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기반으로 고객별로 차등화된 순보험료를 산정한다.
구체적으로, 순보험료 산출단계(S500)에서는 보험사서버(400)가 미리 지정된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 위험률과 담보가 매칭된 위험 상대도를 운영서버(300)로부터 제공된 위험상대도 정보로부터 추출하고, 담보가 매칭된 담보 위험률과 위험 상대도를 곱하여 보험상품의 각 담보에 대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산출하며, 각 담보별로 산출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기반으로 각 담보별 순보험료를 산출한다. 이어서, 보험사서버(400)가 상기 각 담보별 순보험료에 부가보험료를 합산하여 각 담보별 영업보험료를 산출하고, 각 담보별로 산출된 영업보험료를 합산하여 보험상품의 보험료를 산출하며, 보험상품의 보험료를 운영서버(300)나 고객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은 고객 단말기가 보험료산정 관리앱을 설치하는 앱 설치단계(S50)와, 운영서버(300)가 상기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접속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보험상품의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제공받는 신청 접수단계(S100)와, 상기 고객 단말기(200)가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기관서버(100)에 접속한 후 본인인증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기관서버(100)로부터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의료기록정보를 등록하는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와, 상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참여그룹을 선정하고 수집된 의료기록정보를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참여그룹에 연관된 고객의 건강등급을 산정하는 건강등급 산정단계(S300)와, 상기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대도 산출단계(S400)와, 상기 위험상대도 정보를 제공받은 보험사서버가 위험상대도 정보와 미리 지정된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 위험률을 이용해 보험상품의 각 담보에 대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산출하는 위험률 산출단계(S500), 및 각 담보별로 산출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기반으로 차등화된 순보험료를 산출하는 순보험료 산출단계(S6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방법은 고객 단말기(200)가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운영서버(300)에 접속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앱 설치단계(S50)에서는 고객 단말기(200)가 운영서버(300) 또는 보험사서버(400)로 관리앱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URL을 제공받고, 상기 URL을 통해 보험신청 관리앱(210)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설치한다.
상기 신청 접수단계(S100)에서는 도 8과 같이 운영서버(300)가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접속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보험상품의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제공받고, 회원가입을 요청받는다(S150).
상기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에서는 의료기록정보가 저장된 의료기록정보 DB(110)가 구비된 기관서버(100)에 고객 단말기(200)가 보험신청 관리앱(210)을 통해 접속하여 본인인증정보를 제공하고(S250), 고객 단말기(200)가 상기 기관서버(100)로부터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수집하며(S260), 고객 단말기(200)가 기관서버(100)로부터 수집된 의료기록정보를 운영서버(300)에 등록한다(S270).
상기 건강등급 산정단계(S300)와, 위험상대도 산출단계(S400), 및 상기 순보험료 산출단계(S500)는 고객 단말기(200)가 웹 페이지를 통해 운영서버(300)에 접속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앱 설치단계(S50), 신청 접수단계(S100), 의료기록정보 수집단계(S200), 건강등급 산정단계(S300), 위험상대도 산출단계(S400), 순보험료 산출단계(S500)에서는 전술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에 포함된 세부구성들이 사용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기관서버 110 : 의료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200 : 고객 단말기 210 : 보험신청 관리앱
300 : 운영서버 310 : 통신부
320 : 참여그룹 관리부 330 : 건강등급 관리부
340 : 위험상대도 관리부 350 : 저장부
360 : 의료기록정보 수집부 400 : 보험사서버

Claims (12)

  1. 의료기록정보가 저장된 의료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기관서버;
    보험상품의 보험료산정을 신청하는 보험료산정 신청정보와 본인인증정보를 전송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보험료산정 신청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성별 및 연령을 추출하고 상기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참여그룹을 선정하는 참여그룹 관리부와, 상기 의료기록정보를 건강 평가모형에 기반한 건강등급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참여그룹에 연관된 고객의 건강등급을 산정하는 건강등급 관리부, 및 상기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로 고객의 건강등급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상대도 관리부가 포함된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된 위험상대도 정보와 미리 지정된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 위험률을 이용해 보험상품의 각 담보에 대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산출하고, 각 담보별로 산출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기반으로 순보험료를 산출하는 보험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위험상대도 관리부는 고객이 소속된 참여그룹에서 건강등급별로 분류된 대상자수를 기준으로 동일 건강등급에서 보험담보에 상응하는 건강사고의 발생자수를 대상자수로 나눈 값으로 보험상품에 대한 각 담보의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산출하고, 상기 참여그룹에서 각 담보의 전체 발생률을 산출하며, 담보의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동일 담보의 전체 발생률로 각각 나누어 각 담보의 건강등급별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고, 각 담보의 건강등급별 위험 상대도 중 고객의 건강등급에 매칭된 위험 상대도를 추출하여 위험상대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험상대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보험사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보험사서버는 관리앱 요청정보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면 고객 단말기로 URL을 제공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URL을 통해 보험신청 관리앱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보험신청 관리앱을 설치하고, 상기 보험신청 관리앱을 통해 본인인증정보를 상기 기관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기관서버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보험료산정 신청정보 및 의료기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본인인증정보를 운영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본인인증정보를 상기 기관서버로 제공하여 본인인증정보에 매칭된 의료기록정보를 수집하는 의료기록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대도 관리부는
    각 담보의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통계적 모형을 이용한 평활법을 사용하여 보정하며, 보정된 각 담보의 건강등급별 발생률로 담보의 건강등급별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대도 관리부는
    보험상품의 담보에 매칭될 수 있는 기준질병들을 지정하고, 국민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관공서서버로부터 국민건강검진결과와 의료이용기록을 수집하여 고객과 동일한 참여그룹에서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의 기준질병들에 대한 건강등급별 대상자수 및 발생자수를 검출하며, 각 기준질병에 대한 건강등급별 발생률을 산출하고, 고객과 건강등급이 동일한 건강등급 발생률을 추출하며, 각 기준질병의 전체 발생률을 산출하고, 기준질병이 동일한 건강등급 발생률을 전체 발생률로 나누어 각 기준질병에 대한 위험 상대도를 산출하는 위험상대도 산출모듈, 및
    보험상품의 약관 상 보장하는 담보와 기준질병을 비교하여 상기 담보의 위험 상대도에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를 매핑하는 위험상대도 매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대도 매핑모듈은
    상기 기준질병들을 통계청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상 KCD코드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상기 보험상품의 약관 상 보장하는 담보들을 상기 KCD코드를 기준으로 분류하며, 담보에 매칭된 기준질병의 KCD코드가 담보의 KCD코드를 모두 포함하면 상기 담보의 위험 상대도에 상기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를 매핑하고, 담보에 매칭된 기준질병의 KCD코드가 담보의 KCD코드를 모두 포함하지 못하면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해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를 담보의 위험 상대도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수학식 1]
    담보의 위험 상대도 = 담보와 겹친 KCD코드를 갖는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 × (미리 지정된 기간 이내에 기준질병 KCD코드로 진료한 진료자수 / 미리 지정된 기간 이내에 담보 KCD코드로 진료한 진료자수) + 담보의 KCD코드에서 벗어난 KCD코드를 갖는 기준질병의 위험 상대도 × (미리 지정된 기간 이내에 담보의 KCD코드에서 벗어난 KCD코드로 진료한 진료자수 / 미리 지정된 기간 이내에 담보 KCD코드로 진료한 진료자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사서버는
    미리 지정된 보험상품의 각 담보별 위험률과 담보가 매칭된 위험 상대도를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된 위험상대도 정보로부터 추출하고, 담보가 매칭된 담보 위험률과 위험 상대도를 곱하여 보험상품의 각 담보에 대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산출하며, 각 담보별로 산출된 고객건강등급용 위험률을 기반으로 각 담보별 순보험료를 산출하고, 상기 각 담보별 순보험료에 부가보험료를 합산하여 각 담보별 영업보험료를 산출하며, 각 담보별로 산출된 영업보험료를 합산하여 보험상품의 보험료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대도 관리부는
    상기 참여그룹의 대표연령을 설정하고, 참여그룹의 위험 상대도를 해당 대표연령의 위험 상대도로 매핑하며, 참여그룹 대표연령의 최고 나이와 최하 나이를 벗어난 연령대의 위험 상대도를 보외처리하고, 타겟 연령의 위험 상대도와 미리 지정된 범위의 주변 연령의 위험 상대도를 보정 계수로 곱한 후 합산하여 타겟 연령의 보정된 위험 상대도를 산정하는 연령별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의료기록정보의 이용을 동의하는 승인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의 요청에 따라 위험상대도 정보를 보험사서버로 제공하는데 대한 최종 동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후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상품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KR1020230021012A 2023-02-16 2023-02-16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반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KR10264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012A KR102644925B1 (ko) 2023-02-16 2023-02-16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반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012A KR102644925B1 (ko) 2023-02-16 2023-02-16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반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925B1 true KR102644925B1 (ko) 2024-03-07

Family

ID=9027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012A KR102644925B1 (ko) 2023-02-16 2023-02-16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반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92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910A (ko) * 2003-07-18 2005-01-26 주식회사 코어메드 인터넷상에서 건강 등급 분류 프로그램을 이용한 보험료환원 서비스 방법
KR20110032594A (ko) 2009-09-23 2011-03-3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보험료 책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0401A (ko) 2011-09-19 2013-03-27 김중현 병의원 및 건강관리자 상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별 맞춤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0573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헬스케어 보험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이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00527A (ko) * 2018-09-03 2018-09-11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보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1970947B1 (ko) 2016-12-06 2019-04-25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152827B1 (ko) 2020-01-09 2020-09-07 주식회사 그레이드헬스체인 건강사고의 발생확률을 예측하는 건강등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6708A (ko) * 2021-02-26 2022-09-16 주식회사 제나 고령자 인지장애 조기 선별 및 간편 보험심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910A (ko) * 2003-07-18 2005-01-26 주식회사 코어메드 인터넷상에서 건강 등급 분류 프로그램을 이용한 보험료환원 서비스 방법
KR20110032594A (ko) 2009-09-23 2011-03-3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보험료 책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0401A (ko) 2011-09-19 2013-03-27 김중현 병의원 및 건강관리자 상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별 맞춤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0573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헬스케어 보험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이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0947B1 (ko) 2016-12-06 2019-04-25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180100527A (ko) * 2018-09-03 2018-09-11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보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2152827B1 (ko) 2020-01-09 2020-09-07 주식회사 그레이드헬스체인 건강사고의 발생확률을 예측하는 건강등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6708A (ko) * 2021-02-26 2022-09-16 주식회사 제나 고령자 인지장애 조기 선별 및 간편 보험심사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티스토리(Make precious life). 오즈비(Odds ratio, OR)와 상대위험도(Relative Risk, RR). 2021.05.27.. 출처: https://syj9700.tistory.com/5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827B1 (ko) 건강사고의 발생확률을 예측하는 건강등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Stein et al. Mammography usage and the health belief model
Asch et al. Measuring underuse of necessary care among elderly Medicare beneficiaries using inpatient and outpatient claims
Palmer Process-based measures of quality: the need for detailed clinical data in large health care databases
Eijkenaar et al. Effects of pay for performance in health care: a systematic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Kozyrskyj et al. Validation of an electronic, population-based prescription database
Cunningham et al. Ability to obtain medical care for the uninsured: how much does it vary across communities?
Read et al. Preferences for health outcomes: comparison of assessment methods
Lurie et al. The effects of capitation on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of the Medicaid elderly: a randomized trial
US76937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health care cost reduction
US20100249531A1 (en) Medical health information system
US201001146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ports and segmentation of physician activities
US200801775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modeling driven behavioral health care management
Lee et al. Cost of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a retrospective study of commercial insurance claims data
Howie et al. Evaluating care of patients reporting pain in fundholding practices
Gilmore et al. Healthcare service use patterns among autistic adults: A systematic review with narrative synthesis
Leonhard et al. Analysis of reimbursement of genetic counseling services at a single institution in a state requiring licensure
CA3088562A1 (en) Restricted-access and/or data chip device for healthcare
Lee et al. Primary care utilization and clinical quality performance: a comparison between health centres in Medicaid expansion states and non-expansion states
KR102595654B1 (ko) 디지털 의료기록 정보를 활용한 보험계약의 인수심사 통과확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JP7101609B2 (ja) 保険設計支援システム及び保険設計支援方法
Bae et al. Burden of osteoporotic fractures using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in South Korea
KR102644925B1 (ko)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반한 건강등급별 순보험료의 차등화 시스템
KR102641741B1 (ko) 건강등급 평가 정보에 기초한 보험상품 부가보험료의 할인율 산출 시스템
Porter et al. Outcomes following telestroke-assisted thrombolysis for stroke in Ontario, Can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