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785B1 -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 - Google Patents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785B1
KR102644785B1 KR1020200187896A KR20200187896A KR102644785B1 KR 102644785 B1 KR102644785 B1 KR 102644785B1 KR 1020200187896 A KR1020200187896 A KR 1020200187896A KR 20200187896 A KR20200187896 A KR 20200187896A KR 102644785 B1 KR102644785 B1 KR 10264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water
nozzle
fixing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908A (ko
Inventor
나종성
Original Assignee
라온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온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온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7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2Pumps actuated by the drinking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환기가 가능한 사육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명과학분야에서 실험용으로 사용하는 생쥐, 랫트 등의 사육 케이지의 결합레일에 관한 것이다.
외곽프레임과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납프레임과, 수납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배관과 환기를 위한 공기공급배관 및 배출배관이 설치되고, 수납프레임에 다단, 다열로 설치되어 생쥐를 사육하는 케이지와 결합되는 결합레일로서, 케이지의 좌우 양측면으로는 고정노브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노브로는 결합레일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레일은 케이지의 좌우 양측면을 따라 상기 고정노브가 설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결합레일의 일측으로는 고정노브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타측으로는 고정노브의 타단에 걸리는 결합노브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
본 발명은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명과학분야에서 실험용으로 사용하는 생쥐, 랫트 등의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첨단과학에 있어서 연구를 위한 생명과학분야에서 실험용 동물은 필연적이다.
실험용 동물들은 짧게는 수일에서부터 길게는 수년 또는 수십년동안 사육을 하면서 이들의 생체변화를 실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육하는 과정에서 실험용 동물을 실험조건에 맞게 사양관리(사료급여, 음수급여, 사료그릇 및 음수 그릇의 청소, 배설물 청소, 실험조건 및 실험동물의 종류에 따라 제각기 다른 온도조절, 동물의 행동 관찰 등)하여 최적의 환경조건 하에서 실험이 이루어지기를 과학자들은 간절히 원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있는 사육케이지의 결함과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사양조건이 달라야 하는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조건이 열악한 곳에서는 서로 다른 사양조건을 요구하는 실험용 동물군을 같은 사육실 공간에서 사육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공지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2648호는 동물사육실 등에서 개별 관리되는 다수개의 생쥐 배양용 개별 환기 케이지 사육장비를 동물사육실 등의 외부에 연결된 서버 컴퓨터 화면을 통하여 작업자가 동물 사육실 등의 외부에서 직접 통합 관리할 수 있게 하여, 생쥐 배양용 개별 환기 케이지 사육장비들을 정확하고, 편리하며,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생쥐 배양용 개별 환기 케이지 사육장비 통합관리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의 예는 사육장비 들의 관리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개별적 사육장비의 개선 및 시스템에 관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2648호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험용 동물등을 사육하는 동안 사육 케이지에 동물 등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사육할 수 있으며, 수납프레임에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사육 케이지의 급수노즐을 제공한다.
외곽프레임과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납프레임과, 수납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배관과, 환기를 위한 공기공급배관 및 배출배관이 설치되는 수납프레임에 다단, 다열로 설치되어 생쥐를 사육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설치되고, 급수배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노즐은 다단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실험동물의 접촉에 의해서 작동하는 스틱이 케이지 내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급수노즐을 통해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급수할 수 있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청소를 수행할 수 있어 항시 청결한 급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지를 손쉽게 분리하여 케이지의 청소 및 소독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쾌적한 환경에서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되므로 생쥐 등을 건강한 상태로 보전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각각의 케이지가 독립적으로 공기의 환기 및 수분의 공급을 통해 동일 장소의 사육시설에서 집단사육으로 인한 개체간의 질병전파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시설관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환기가 가능한 대용량 생쥐 사육장치에 적용된 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개별환기가 가능한 사육 케이지의 급수노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급수노즐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환기가 가능한 대용량 생쥐 사육장치에 적용된 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개별환기가 가능한 사육 케이지의 급수노즐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급수노즐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쥐를 사육하는 케이지(10)와, 상기 케이지(10)가 종횡으로 다단 및 다열로 설치되고, 케이지(10)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환기를 수행하기 위한 배관들(20a)(20b)(20c)이 설치된 수납프레임(30)을 포함하고, 환기를 위한 배관(20b)과 연결된 공조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케이지(10)는 내부로 생쥐가 생존을 위한 활동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지(10)의 내부로는 생쥐의 생존에 필요한 공기 및 수분을 공급되도록 외부와 연결된 흡, 배기노즐(12)(14)과 급수노즐(16)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급수노즐(16)은 다단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사육동물의 접촉에 의해서 작동하는 스틱이 케이지(10) 내부로 설치되어 있다.
미도시된 물탱크와 케이지(10)에 연결된 급수배관(20a)은 수납프레임(3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급수배관(20a)은 케이지(10)에 설치된 급수노즐(16)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육되는 생쥐 등에 수분을 일정량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급수노즐(16)은 상기 급수배관(20a)과 조립되고, 내부로 볼이 설치되어 체크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1단노즐(16a)와, 상기 1단노즐(16a)과 결합되고, 내부로 실험을 위한 사육동물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스틱(17)이 설치되는 2단노즐(16b)과, 2단노즐(16b)과 연결되고, 스틱(17)이 돌출되어 있으며, 스틱(17)의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3단노즐(16c)이 설치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급수배관(20a)이 설치되는 1단노즐(16a)의 내부로는 볼(16aa)과 볼(16aa)을 지지하는 압축스프링(16aaa)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배관(20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일정한 압력으로 내부에 설치된 볼(16aa)을 밀고 있다.
예를 들어, 볼(16aa)이 급수배관(20a)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물은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된다.
또한, 2단노즐(16b)은 역시 내부로 압축스프링(16bb)이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스프링(16bb)으로는 스틱(17)이 설치되어 있다.
2단노즐(16b)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6bb)은 항시 일정한 압력으로 스틱(17)을 밀고 있으며, 스틱(17)의 작동 예를 들면 스틱(17)이 1단노즐(16a)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압축스프링(16bb)은 스틱(17)의 일단에 의해서 압축되어 밀리게 되고, 압축스프링(16bb)는 2단노즐(16b)와 1단노즐(16a) 사이에 설치된 스틱(미부호)를 밀게되며, 밀린 스틱(미부호)의 일단은 1단노즐(16a)의 볼(16aa)를 밀게되며 밀려진 볼(16aa)은 폐쇄된 유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스틱(17)의 일단이 밀린 동안에는 물은 유로를 통해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3단노즐(16c)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3단노즐(16c)로는 2단노즐(16b)에 설치된 스틱(17)이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의 유로는 노즐형으로 외부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로 확대되는 유로의 형상으로 인해 배출되는 물은 유로를 따라 하향으로 배출되고, 사육동물은 무리없이 물을 섭취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흡, 배기노즐(12)(14)은 흡기 및 배기배관(20b)(20c)과 연결되어 있으며, 급수노즐(16)은 급수배관(20a)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케이지(10)의 좌우 양측면으로는 고정노브(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노브(19)로는 후술하는 결합레일(18)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노브(19)는 케이지(10)의 양측면에 일체로 구성되고, 케이지(10)의 후방으로 제2노브(19b)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제1노브(19a)가 형성되며, 제1노브(19a)와 제2노브(19b)는 단차부(19c)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19c)의 하단으로는 고정돌기(19d)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납프레임(30)은 격자 구조물로서, 외곽프레임(32)과 고정프레임(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곽프레임(32)은 바닥 및 상부에 설치되어는 지지판(32a)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예로 본 발명에 적용된 외곽프레임(32)은 바닥에서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좌우 양측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곽프레임(32)의 내측으로 케이지(10)가 다단, 다열로 설치된다.
외곽프레임(32)의 내측으로는 고정프레임(34)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케이지(10)는 고정프레임(34)들 사이에 설치된다.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4) 사이로 케이지(10)는 다단을 이루며 간격을 이루고 설치되며, 케이지(10)는 고정프레임(34)에 고정된다.
케이지(10)는 결합레일(18)이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결합레일(18)이 고정프레임(34)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결합레일(18)은 케이지(10)의 측면에 조립되어 설치되고, 케이지(10)의 측면에서 케이지(10)가 설치되는 경우 케이지(10)의 수직 측면과 90도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프레임(34)에 고정된다.
이를 위한 결합레일(18)의 측면으로는 고정홈(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홈(18a)은 결합레일(18)의 수직 측면에서 삽입되어 위치를 잡게되고, 고정홈(18a)으로는 돌출버튼(18b)이 작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 돌출버튼(18b)은 결합레일(18)에 삽입되어 케이지(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결합레일(18)으로는 미도시된 결합홈이 수직,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프레임(34)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상기 돌출버튼(18b)이 삽입되도록 한다.
특히,외곽프레임(32)의 내측, 즉 케이지(10)가 설치되는 방향으로도 통상 1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프레임(34)으로는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결합레일(18)의 상면은 고정노브(19) 특히, 제1노브(19a)에 안착되어 있으며, 단차부(19c)에 형성된 고정돌기(19d)는 결합레일(18)이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결합레일(18)은 케이지의 좌우 양측면을 따라 상기 고정노브(19)가 설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레일(18)의 측면으로는 고정홈(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홈(18a)은 결합레일(18)의 수직 측면에서 삽입되어 위치를 잡게되고, 고정홈(18a)으로는 돌출버튼(18bb)이 작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버튼(18bb)은 다른 케이지(10)가 설치된 상대방 결합레일(18)의 고정버튼수용홈(18bbb)이 삽입되어 케이지(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즉, 결합레일(18)은 돌출버튼(18b)이 형성된 것과 고정홈(18a)이 형성된 것이 서로 짝을 이루며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지(10)의 우측에 설치된 결합레일(18)은 돌출버튼(18b)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다른 케이지에 설치된 좌측 결합레일(18)에 형성된 미도시된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어 케이지(10)들끼리 연결되며, 케이지(10) 사이에 고정프레임(34)과도 결합되는 구조이다.
다시, 좌우측 공통적으로 결합레일(18)의 일측으로는 고정노브(19)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수단(50)을 구비하고, 타측으로는 고정노브(19)의 타단에 걸리는 결합노브(60)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수단(50)은 결합레일(18)의 내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노브(19)에 고정되거나 이탈되어 조립되도록 결합레일(18)의 내측에 설치된 힌지축(52a)(52b)와, 힌지축(52a)(52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2폴(54a)(54b)을 포함하고, 제1, 2폴(54)(56)이 상향으로 작동하여 고정노브(19)의 단차부(19c)에 형성된 고정돌기(19d) 및 제1노브(19a)의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제1, 2폴(54)(56)이 상향으로 작동하도록 결합레일(18)의 상면으로는 작동홈(18d)(18e)이 형성되어 제1, 2폴(54)(56)의 일부가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폴(54)은 힌지축(52a)를 회동지점으로 하여 상승과 하강을 수행하며, 작동홈(18d)으로 상승, 돌출되도록 힌지축(52a)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걸림노브(54a)와, 하부에 위치한 마감노브(5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감노브(54b)는 상승시 돌출상태를 제한하기 위하여 결합레일(16)의 내측으로 걸림턱(52c)이 설치되어 있으며, 마감노브(54b)의 일면은 걸림턱(52c)에 걸려 회동시 상승이 제한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제2폴(56)은 제1폴(54)과 상대적으로 작동하며, 힌지축(52b)를 회동지점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2폴(56) 역시 상부에 위치한 걸림노브(56a)와, 하부에 위치한 마감노브(56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마감노브(56b)는 상기 걸림노브(56a)의 내측면과 맞닿아 있어 제1폴(54)이 회동하는 경우 연동되어 회동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고정수단(50)이 설치된 결합레일(18)의 타측으로는 단순히 단차부(19c)에 형성된 고정돌기(19d)와 결합되도록 걸림돌기(18f)가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지(10)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환기를 수행하기 하여 공조기(40) 및 미도시된 물탱크가 설치되며, 물탱크는 급수배관(20a)에 의해서 공급받는다.
먼저, 상기 물탱크와 케이지(10)에 연결된 급수배관(20a)은 수납프레임(3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급수배관(20a)은 케이지(10)에 설치된 급수노즐(16)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육되는 생쥐 등에 수분을 일정량 공급하게 된다.
또한, 공조기(40)가 설치된 환기를 위한 흡기 및 배기배관(20b)(20c)는 케이지(10)의 후방에 설치된 흡, 배기노즐(12)(14)과 연결되어 생쥐 등에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기배관(20b)로는 신선한 공기의 공급을 위하여 내부에 미도시된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공조기에 의해서 공급된 공기는 필터를 통해서 필터링되며, 공조기(40) 뿐만 아니라 필터에 의해서 2중으로 필터링되어 더욱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 케이지 20a, 20b, 20c: 배관들
30: 수납프레임 40: 공조기

Claims (2)

  1. 외곽프레임과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수납프레임과, 수납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배관과, 환기를 위한 공기공급배관 및 배출배관이 설치되는 수납프레임에 다단, 다열로 설치되어 생쥐를 사육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설치되고, 급수배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급수노즐은 급수배관과 조립되고, 내부로 볼이 설치되어 체크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1단노즐와, 상기 1단노즐과 결합되고, 내부로 실험을 위한 사육동물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도록 스틱(미부호)이 설치되는 2단노즐과, 2단노즐과 연결되고, 다른 스틱(17)이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스틱(17)의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3단노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
  2. 삭제
KR1020200187896A 2020-12-30 2020-12-30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 KR10264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96A KR102644785B1 (ko) 2020-12-30 2020-12-30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96A KR102644785B1 (ko) 2020-12-30 2020-12-30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908A KR20220095908A (ko) 2022-07-07
KR102644785B1 true KR102644785B1 (ko) 2024-03-07

Family

ID=8239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896A KR102644785B1 (ko) 2020-12-30 2020-12-30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7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263A (ja) 2001-09-18 2003-03-25 Hamurii Kk 実験動物用の個別環境制御飼育装置
KR101372998B1 (ko) 2013-12-23 2014-03-13 박천귀 연립형 사육이 가능한 실험동물 무균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251Y1 (ko) * 1992-08-07 1994-12-08 추기전 돈사용 급수장치
EP1719406B2 (en) * 2005-05-06 2012-04-04 TECNIPLAST S.p.A. Cage for containing laboratory animals
KR101482648B1 (ko) 2012-10-19 2015-01-19 주식회사 우레아텍 생쥐 배양용 개별 환기 케이지 사육장비 통합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263A (ja) 2001-09-18 2003-03-25 Hamurii Kk 実験動物用の個別環境制御飼育装置
KR101372998B1 (ko) 2013-12-23 2014-03-13 박천귀 연립형 사육이 가능한 실험동물 무균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908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965B1 (ko) 돈사의 환기시스템
CN205756230U (zh) 一种密闭式通风饲养舍
RU2524240C2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онных каналов для замены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части воздуха в секции стойл или в системе стойл с секциями стойл и способ вентиляции секций стойл или системы стойл
KR200441134Y1 (ko)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KR102644785B1 (ko) 개별환기가 가능한 급수노즐을 포함하는 사육 케이지
CN108651292B (zh)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的复合猪舍
KR100693071B1 (ko) 분만사의 환기시스템
KR101594742B1 (ko) 축사용 이산화탄소 포집모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공급시스템
KR200443163Y1 (ko) 컨테이너형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KR102304987B1 (ko) 개별환기가 가능한 사육 케이지의 결합레일
KR102547828B1 (ko) 개별환기가 가능한 대용량 사육장치의 흡배기노즐.
US20190133070A1 (en)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for animal housing facilities
CN207054407U (zh) 具有可改变空间母猪定位栏的猪舍
JP2008079599A (ja) 畜舎
KR200435128Y1 (ko)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KR20180067773A (ko) 애완동물을 위한 이동식 드라이룸
CN209572814U (zh) 一种家禽保育箱
CN218337415U (zh) 一种畜牧养殖用多方位通风的畜牧舍
KR200208352Y1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내의 악취 배출장치
TWI510186B (zh) 畜牧用之連棟式建築體
CN210492062U (zh) 一种采用垂直通风方式的楼房式猪舍
EP4115729A1 (en) A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CN214382122U (zh) 一种畜牧养殖用室内通风装置
CN215382677U (zh) 一种人宠共享沙发
CN208924904U (zh) 一种黑猪养殖驱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