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300B1 - 자기장 차폐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장 차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300B1
KR102644300B1 KR1020170018444A KR20170018444A KR102644300B1 KR 102644300 B1 KR102644300 B1 KR 102644300B1 KR 1020170018444 A KR1020170018444 A KR 1020170018444A KR 20170018444 A KR20170018444 A KR 20170018444A KR 102644300 B1 KR102644300 B1 KR 10264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closed area
area
shield
shie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578A (ko
Inventor
김병찬
김상원
김성민
문정익
전상봉
조인귀
최형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1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300B1/ko
Priority to US15/599,908 priority patent/US10627456B2/en
Publication of KR20180092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25Compensating stray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2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1Active shi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2Aspects regarding the stray flux internal or external to the magnetic circuit, e.g. shielding, shape of magnetic circuit, flux compensation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자기장 차폐 장치가 개시된다.
자기장 차폐 장치에 있어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에너지 송신부; 상기 에너지 송신부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수신하는 에너지 수신부; 및 상기 에너지 수신부가 수신하지 못한 누설된 자기장을 차폐하는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i)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영역 및 (ii)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폐쇄 영역에 흡수된 후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장 차폐 장치{APPARATUS FOR SHIELDING MAGNETIC FIELD}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사/누설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저감하기 위한 자기장 차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기장 차폐는 일반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가진 물질로 주위를 둘러싸 공간에 존재하는 자기장을 차단함으로써 주변의 기기 혹은 사람에게 전달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종래의 자기장 차폐 기술은 적용될 기기의 형태 및 구조에 따라 그 방법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완벽한 차폐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지는 자기장 방출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자기장을 차폐하여 누설 자기장의 세기를 줄일 수 있는 자기장 차폐 기술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자기장 차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너지 송신부에서 에너지 수신부를 향해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고 누설된 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자기장 차폐재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경로를 자기장 차폐 장치의 외부에서 내부로 제어함으로써 주변 기기 및 사용자 보호와 전송 효율 유지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에 있어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에너지 송신부; 상기 에너지 송신부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수신하는 에너지 수신부; 및 상기 에너지 수신부가 수신하지 못한 누설된 자기장을 차폐하는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i)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영역 및 (ii)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폐쇄 영역에 흡수된 후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폐쇄 영역은,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흡수되거나 또는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하는 영역인 제1 폐쇄 영역; 및 상기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이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외부에서 내부로 투과하는 영역인 제2 폐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방 영역 중 상기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가 삽입되는 개방 영역은 나머지 개방 영역보다 폭이 더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너지 송신부에서 에너지 수신부로 이동하는 자기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차폐재들이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층 구조는 상기 차폐재들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상기 자기장 차폐부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너지 수신부는, 상기 누설된 자기장 중 상기 개방 영역을 통해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한 누설된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자기장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차폐하는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i)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영역 및 (ii)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폐쇄 영역에 흡수된 후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방 영역 중 상기 자기장 발생 장치가 삽입되는 개방 영역은 나머지 개방 영역보다 폭이 더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는 에너지 송신부에서 에너지 수신부를 향해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고 누설된 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자기장 차폐재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경로를 자기장 차폐 장치의 외부에서 내부로 제어함으로써 주변 기기 및 사용자 보호와 전송 효율 유지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된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개방 영역을 가진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된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개방 영역을 가진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는 자기장 차폐부(100),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는 자기장 차폐부(1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송신부(101)는 에너지 수신부(102)를 향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수신부(102)는 자기장 차폐부(1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수신부(102)는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가 수신하지 못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부(100)는 제1 폐쇄 영역, 제2 폐쇄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차폐부(100)의 단면도는 개방 영역의 폭이 제2 폐쇄 영역의 폭보다 넓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제1 폐쇄 영역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누설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방 영역은 제1 페쇄 영역에 흡수되거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는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하는 자기장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 장치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할 전자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폐쇄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11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12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1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1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12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13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1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130)을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13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permeability)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1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14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1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된 자기장은 경로(1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15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1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1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16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1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1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2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2 폐쇄 영역을 투과하지 못한 나머지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2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17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되지 못하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2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2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17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100)의 제2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는 자기장 차폐부(200),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는 자기장 차폐부(2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송신부(101)는 에너지 수신부(102)를 향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수신부(102)는 자기장 차폐부(2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수신부(102)는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가 수신하지 못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부(200)는 제1 폐쇄 영역, 제2 폐쇄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차폐부(200)의 단면도는 개방 영역의 폭이 제2 폐쇄 영역의 폭보다 좁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제1 폐쇄 영역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누설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방 영역은 제1 페쇄 영역에 흡수되거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는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하는 자기장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 장치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할 전자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폐쇄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는 자기장 차폐부(300),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는 자기장 차폐부(3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송신부(101)는 에너지 수신부(102)를 향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수신부(102)는 자기장 차폐부(3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수신부(102)는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가 수신하지 못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부(300)는 제1 폐쇄 영역, 제2 폐쇄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차폐부(300)의 단면도는 개방 영역의 폭과 제2 폐쇄 영역의 폭이 동일한 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제1 폐쇄 영역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누설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개방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되거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는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하는 자기장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 장치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할 전자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폐쇄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된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는 자기장 차폐부(400 및 401),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와 자기장 차폐부(401)는 서로 다른 투자율(permeabilit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의 다층 구조는 2층 구조의 차폐재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2층 이상의 차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는 자기장 차폐부(4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송신부(101)는 에너지 수신부(102)를 향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수신부(102)는 자기장 차폐부(4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수신부(102)는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가 수신하지 못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부(400 및 401)는 제1 폐쇄 영역, 제2 폐쇄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차폐부(400 및 401)의 단면도는 개방 영역의 폭이 제2 폐쇄 영역의 폭보다 넓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누설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누설된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누설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누설된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개방 영역은 자기장 차폐부(400 및 401)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되거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는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하는 자기장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 장치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할 전자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폐쇄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41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42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4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42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43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4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43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4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1)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44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된 자기장은 경로(4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45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경로(4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된 자기장은 경로(4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1)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46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4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 및 401)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47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7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7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4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47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2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2 폐쇄 영역을 투과하지 못한 나머지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2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48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되지 못하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2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2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48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2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개방 영역을 가진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는 자기장 차폐부(500),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는 자기장 차폐부(5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송신부(101)는 에너지 수신부(102)를 향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수신부(102)는 자기장 차폐부(500)에 부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수신부(102)는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가 수신하지 못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부(500)는 제1 폐쇄 영역, 제1 개방 영역 및 제2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차폐부(500)의 단면도는 제1 개방 영역의 폭이 제2 개방 영역의 폭보다 넓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제1 폐쇄 영역은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누설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방 영역 및 제2 개방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되거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z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에너지 수신부(102)로 이동하는 자기장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 장치의 제1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에너지 송신부(101) 및 에너지 수신부(102)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할 전자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51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52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5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500)와 수직으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5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52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53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5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5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53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5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54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5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된 자기장은 경로(5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55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5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5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56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5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5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경로(5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5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2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57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57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된 자기장은 경로(57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2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송신부(1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58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할 수 있다. 에너지 수신부(102)를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58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수신부(102)와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58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500)의 제2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 자기장은 에너지 수신부(102)에 수신됨으로써, 에너지 수신부(102)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는 자기장 차폐부(600) 및 자기장 발생 장치(6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발생 장치(601)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부(600)는 제1 폐쇄 영역, 제2 폐쇄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차폐부(600)의 단면도는 개방 영역의 폭이 제2 폐쇄 영역의 폭보다 넓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제1 폐쇄 영역은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방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되거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 장치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발생 장치(601)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폐쇄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61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61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60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62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6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62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6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600)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63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6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된 자기장은 경로(6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600)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64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6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경로(640)를 따라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600)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65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6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6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2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2 폐쇄 영역을 투과하지 못한 나머지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2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66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2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2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6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600)의 제2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된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는 자기장 차폐부(700 및 701) 및 자기장 발생 장치(6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발생 장치(601)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0)와 자기장 차폐부(701)는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의 다층 구조는 2층 구조의 차폐재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2층 이상의 차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부(700 및 701)는 제1 폐쇄 영역, 제2 폐쇄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차폐부(700 및 701)의 단면도는 개방 영역의 폭이 제2 폐쇄 영역의 폭보다 넓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은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누설된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개방 영역은 자기장 차폐부(700 및 701)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되거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 장치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발생 장치(601)를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2 폐쇄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투과한 자기장을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71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1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10)을 따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71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72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4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72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7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1)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73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후된 자기장은 경로(7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0)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74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7010)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된 자기장은 경로(7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1)의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75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7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0 및 701)의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76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1 폐쇄 영역과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701)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7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2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2 폐쇄 영역으로 이동한 자기장 중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2 폐쇄 영역을 투과하지 못한 나머지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2 페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77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2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2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77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700)의 제2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개방 영역을 가진 자기장 차폐부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 장치는 자기장 차폐부(800) 및 자기장 발생 장치(6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발생 장치(601)은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부(800)는 제1 폐쇄 영역, 제1 개방 영역 및 제2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장 차폐부(800)의 단면도는 제1 개방 영역의 폭이 제2 개방 영역의 폭보다 넓은 사다리꼴 모양일 수 있다. 제1 폐쇄 영역은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들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방 영역 및 제2 개방 영역은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되거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을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의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 장치의 제1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발생 장치(601)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81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으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81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81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82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8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82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82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83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8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된 자기장은 경로(83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84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84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경로(840)를 따라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85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8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경로(850)를 따라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경로(85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2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86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8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에 흡수된 자기장은 경로(86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2 개방 영역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해 다시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발생 장치(60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경로(870)를 따라 이동하는 자기장은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날 수 있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만난 자기장은 경로(870)를 따라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은 자유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때, 자유 공간으로 나아가던 자기장은 경로(870)를 따라 자유 공간보다 투자율이 높은 차폐재에 의해 자기장 차폐부(800)의 제2 개방 영역을 통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800: 자기장 차폐부
401, 701: 자기장 차폐부
101: 에너지 송신부
102: 에너지 수신부
601: 자기장 발생 장치

Claims (13)

  1. 자기장 차폐 장치에 있어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에너지 송신부;
    상기 에너지 송신부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수신하는 에너지 수신부; 및
    상기 에너지 수신부가 수신하지 못한 누설된 자기장을 차폐하는 자기장 차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폐쇄 영역 및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폐쇄 영역에 흡수된 후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영역은,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흡수되거나 또는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하는 영역인 제1 폐쇄 영역; 및
    상기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이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외부에서 내부로 투과하는 영역인 제2 폐쇄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제1 폐쇄 영역으로 흡수되는 자기장이 상기 돌출부를 통해 다시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상기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이 자유 공간보다 높은 투자율을 갖는 차폐제에 의해 상기 개방 영역에 포함된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가 삽입되는 제1 개방 영역; 및
    상기 개방 영역 중 상기 제1 개방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인 제2 개방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 영역은,
    상기 제2 개방 영역 보다 폭이 더 넓은, 자기장 차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너지 송신부에서 에너지 수신부로 이동하는 자기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자기장 차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차폐재들이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다층 구조인 자기장 차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는
    상기 차폐재들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상기 자기장 차폐부와 이격된 자기장 차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수신부는,
    상기 누설된 자기장 중 상기 개방 영역을 통해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한 누설된 자기장을 수신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
  9. 자기장 차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자기장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차폐하는 자기장 차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폐쇄 영역 및 상기 발생된 자기장이 폐쇄 영역에 흡수된 후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영역은,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흡수되거나 또는 상기 누설된 자기장이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하는 영역인 제1 폐쇄 영역; 및
    상기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이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외부에서 내부로 투과하는 영역인 제2 폐쇄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제1 폐쇄 영역으로 흡수되는 자기장이 상기 돌출부를 통해 다시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상기 제1 폐쇄 영역을 투과한 자기장이 자유 공간보다 높은 투자율을 갖는 차폐제에 의해 상기 개방 영역에 포함된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자기장 차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자기장 차폐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에너지 송신부 및 에너지 수신부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가 삽입되는 제1 개방 영역; 및
    상기 개방 영역 중 상기 제1 개방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인 제2 개방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 영역은,
    상기 제2 개방 영역 보다 폭이 더 넓은, 자기장 차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부는,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차폐재들이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다층 구조인 자기장 차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재들은,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 장치.
KR1020170018444A 2017-02-10 2017-02-10 자기장 차폐 장치 KR10264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44A KR102644300B1 (ko) 2017-02-10 2017-02-10 자기장 차폐 장치
US15/599,908 US10627456B2 (en) 2017-02-10 2017-05-19 Magnetic field shiel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44A KR102644300B1 (ko) 2017-02-10 2017-02-10 자기장 차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578A KR20180092578A (ko) 2018-08-20
KR102644300B1 true KR102644300B1 (ko) 2024-03-07

Family

ID=6310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444A KR102644300B1 (ko) 2017-02-10 2017-02-10 자기장 차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27456B2 (ko)
KR (1) KR1026443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969B1 (ko) * 1998-02-17 2001-10-29 니시무로 타이죠 결정인상장치용 초전도자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496A (ja) 1993-11-24 1995-06-06 Shimizu Corp 超電導磁気シールド構造物
KR101319488B1 (ko) 2012-01-06 2013-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차폐 구조를 위한 환기구 구조체
KR101962747B1 (ko) 2012-08-07 2019-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누설 자기장 차폐 장치 및 방법
KR20150086786A (ko) 2014-01-20 2015-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열을 고려한 전자파 차폐 장치 및 방법
KR102302150B1 (ko) 2015-02-16 2021-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기장 차폐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969B1 (ko) * 1998-02-17 2001-10-29 니시무로 타이죠 결정인상장치용 초전도자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578A (ko) 2018-08-20
US20180235112A1 (en) 2018-08-16
US10627456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7608B1 (en) ELF and VLF antenna and related methods
Georganopoulos et al. Quasar X-ray jets: gamma-ray diagnostics of the synchrotron and inverse Compton hypotheses: the case of 3C 273
KR102644300B1 (ko) 자기장 차폐 장치
CN105181723A (zh) 双能射线扫描系统、扫描方法以及检查系统
KR101857856B1 (ko) Rf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oam 멀티 모드 전송 방법
JP2016132341A (ja) 航空機および輸送機械
Scott Cosmic rays and interstellar tunnels
CN106134001A (zh) 具有吸收设备的天线
JP2015076853A (ja) 電波選択構造及び電波選択方法
CN205847849U (zh) 一种电磁屏蔽设备
Singh A review on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US3300721A (en) Means for communicating through a layer of ionized gases
CN108595996A (zh) 一种基于无线信息干扰技术的防串读超高频rfid系统及方法
Montani et al. The Crab Nebula flaring activity
KR102368652B1 (ko) Eod용 전파 교란장치
US2133303A (en) System for locating the position of movable objects
CN107203205A (zh) 信号发生装置及包括该信号发生装置的机器人系统
US20160172867A1 (en) Control of power transfer
RU2575406C1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перехвата речевой информации из защищаемого помещения здания с охраняемой зоной
Шефер Increasing of satellite telecommunication systems exploitation noise immunity on the area of space craft’s near-earth orbit injection= Застосування та експлуатація телекомунікаційних систем та мереж
Sciaccaluga et al. Stochastic acceleration in Extreme TeV BL Lacs through MCMC
Shahdadpuri et al. GSM mobile phone jammer
Deaconu Recent Results from ANITA
Kalpana et al. LF-MF Radioemission from EIS
Überall et al. Neutrino beams: a new concept in tele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