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066B1 -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066B1
KR102644066B1 KR1020210008077A KR20210008077A KR102644066B1 KR 102644066 B1 KR102644066 B1 KR 102644066B1 KR 1020210008077 A KR1020210008077 A KR 1020210008077A KR 20210008077 A KR20210008077 A KR 20210008077A KR 102644066 B1 KR102644066 B1 KR 10264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images
notification
prescription
medic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414A (ko
Inventor
박회준
Original Assignee
박회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회준 filed Critical 박회준
Priority to KR102021000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066B1/ko
Priority to PCT/KR2022/000557 priority patent/WO2022158785A1/ko
Publication of KR20220105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414A/ko
Priority to KR1020240014369A priority patent/KR2024001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ustering, e.g. of similar faces in social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영수증, 약봉투 및 처방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 중 상기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
본 발명은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수증, 약봉투 및 처방전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 중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고 카테고리가 상이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고, 그루핑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금기, 중복 처방 등의 복약 관련 문제 발생 여부를 결정, 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관은 환자에 대한 진료 결과에 따라 의약품을 처방 하게 되며, 처방된 의약품을 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처방된 의약품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영수증, 약봉투 및 처방전 등의 여러 문서를 발급한다. 그러나, 환자는 의약품 관련 문서에 사용된 전문 의학 용어, 문서 양식 등에 의해 환자 자신이 처방 받은 의약품에 대한 오제조, 오처방, 성분 중복을 쉽게 파악하기 어려우며, 의약품에 대한 자신의 선호(예: 특정 의약품에 대한 대체제 사용 등)가 반영된 여부를 판단하는 것 또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영수증, 약봉투 또는 처방전 등을 비교하여 환자에게 처방된 의약품 정보에 대한 오제조 등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나, 이러한 서비스는 단일 진료에 한하여 수행될 뿐, 환자가 특정 기간 내 다수의 진료를 받은 경우 각 진료 간 비교 결과를 획득하여 각 진료에 따라 환자에게 처방된 의약품 정보에 대한 오제조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은 제공되고 있지 않아 여전히 오제조, 오처방, 성분 중복 등을 환자가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개별 진료에 대해 처방된 의약품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뿐만 아니라, 다수의 진료 대해 처방된 의약품 정보 간 비교 결과에 따라 오제조, 오처방, 성분 중복 등을 판단하는 기술을 통해 오제조, 오처방, 성분 중복 등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20-0054552호, 2020.05.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포함하고 영수증, 약봉투 및 처방전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도록 그루핑하여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따라 오제조, 오처방, 성분 중복 등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 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측면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은,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영수증, 약봉투 및 처방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 중 상기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제조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제조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내역을 획득하고,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제조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고리를 상기 영수증, 상기 약봉투 및 상기 처방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를 상기 영수증, 상기 약봉투, 상기 처방전 및 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성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 정보는 처방 의약품명, 병원명, 약국명, 처방 날짜, 조제 날짜 및 결제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약들 간의 금기 또는 중복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금기 또는 상기 중복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금기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영수증, 약봉투 및 처방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 중 상기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고,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오제조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제조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내역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오제조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약들 간의 금기 또는 중복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금기 또는 상기 중복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금기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여,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진료에 따른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진료 간 중복되는 성분의 의약품이 처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획득된 오제조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오제조된 내역을 용이하게 파악함과 동시에 대체제 사용 여부 또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성분의 의약품을 다른 대체제로 대체되었는지 등의 선호 반영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알림 제공 디바이스가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카테고리가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는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 등의 의약 관련 문서를 스캔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카테고리는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과 같이 하나의 문서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그룹은 날짜 또는 처방을 기준으로 동일 진료에 대응하는 의약 관련 문서들을 그룹화 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110)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는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 등의 의약 관련 문서를 스캔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카메라(110) 촬영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영수증(320), 약봉투(330) 및 처방전(340)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 중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하고, 하나의 그룹(410)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 여부(510)를 결정하고, 오제조 발생 여부(510)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내역(520)을 획득하고, 획득된 오제조 내역(52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약들 간의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제공 시스템은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 및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료 기관 방문 히스토리, 처방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가 독립적으로 알림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하지만, 전술한 것처럼,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와 서버는 그 기능의 측면에서 통합 구현될 수 있고, 서버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각 구성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는 사용자가 제공받은 진료와 관련된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 등의 의약 관련 문서를 스캔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는 처방된 의약품명, 병원명, 약국명, 처방 날짜, 조제 날짜 및 결제 날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영수증(320), 약봉투(330) 및 처방전(340)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 및 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종래 의료 관련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 및 약에 대한 서식 및 이미지에 대해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기저장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 및 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하나의 문서 종류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약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것은 약 자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 및 분석하는 것으로, 이미지 분석 결과에 따른 약의 형태, 색상 또는 개수 등의 정보를 통해 약의 종류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환자 진료에 대한 의약품의 오제조 등 복약 관련 문제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 중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카테고리가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하나의 그룹(410)으로 결정하게 되면 동일한 진료에 대해 획득된 영수증(320), 약봉투(330) 및 처방전(340)에 대해 비교할 수 있게 되며, 비교 결과를 통해 해당 진료에 대한 처방-조제 과정에서 발생된 의약품의 오처방 또는 오제조 여부를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진료 별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그루핑할 경우, 결정된 각 그룹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그룹 간 특정 의약품의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 처방 또는 함께 복용하면 안되는 약품 종류의 처방 여부를 나타내는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등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특성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성 정보는 사용자 진료와 관련된 처방 의약품명, 병원명, 약국명, 처방 날짜, 조제 날짜 및 결제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 날짜는 처방전(340)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특성 정보일 수 있고 조제 날짜는 약봉투(330)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특성 정보일 수 있고, 결제 날짜는 영수증(320)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특성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처방 의약품명은 처방전(340) 및 약봉투(330)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특성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성 정보에 따른 처방 의약품명이 동일할 경우 해당 객체 이미지들은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으나, 단순히 처방된 의약품명이 동일할 뿐(예: 항생제) 진료는 서로 상이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처방 의약품명뿐만 아니라 병원명, 약국명, 처방 날짜, 조제 날짜 및 결제 날짜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의 그룹(4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결정하는 것이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도록 그루핑하기에 더욱 적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진료에 대한 조제 약품에 대한 결제는 조제 약품의 결제가 가능한 기한인 일주일 내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를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기간(예: 일주일) 내에 포함되는 처방 날짜, 조제 날짜 및 결제 날짜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기설정 기간 내 사용자가 상이한 진료를 받은 경우, 즉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포함된 처방, 조제 및 결제 날짜가 해당 기설정 기간 내에 포함되나 상이한 진료에 대한 처방, 조제 및 결제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처방 날짜, 조체 날짜 및 결제 날짜와 더불어 처방 의약품명, 병원명 및/또는 약국명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 중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포함되는 병원명 및 약국명이 지도상에서 기설정 거리(예: 1km) 내에 포함되는 경우,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해당 이미지들을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국과 병원은 지도상 매우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가 많고, 병원에서 처방하는 의약품을 병원과 인접한 약국에서 취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병원과 약국이 인접할수록 병원명 및 약국명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는 서로 동일한 진료에 대한 이미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진료 과목이 상이한 병원이 다수 밀집한 지역인 경우에는 병원과 약국이 인접하더라도 반드시 동일한 진료에 대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 경우 병원명, 약국명에 추가적으로 처방 의약품명, 처방 날짜, 조제 날짜 및 결제 날짜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그루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특정 의약품(예: 항우울제)은 특정 진료 과목을 취급하는 병원(예: 정신의학과)에서 처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포함되는 특성 정보에 따른 처방 의약품명 및 병원명에 기초하여, 처방 의약품명에 따른 의약품을 처방할 수 있는 병원명(진료과목이 병원명에 포함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는 사실에 기초함)에 따른 병원에 대한 이미지들을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그룹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특성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의 그룹(4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처방 의약품명, 병원명, 처방 날짜, 조제 날짜, 결제 날짜 및 약국명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 중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하나의 그룹(4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성 정보가 나타내는 처방 의약품명이 서로 동일한 개수가 많을수록 해당 객체 이미지들은 동일한 진료에 대한 이미지들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처방 의약품명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경우 동일한 병원에 방문한 경우 한 번의 진료를 받는 것이 대부분이며, 일정 기간 내(예: 일주일) 동일한 병원에서 상이한 진료를 받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병원명이 동일할 경우 동일한 진료에 대한 이미지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어 병원명에 2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처방 날짜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진료에 대한 처방일 수 있으나, 동일한 날짜에 여러 진료를 받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처방 날짜가 동일하더라도 동일한 진료로 보기는 다소 어렵다는 점에서 처방 날짜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사용자가 진료에 대해 처방받은 후 약국에 방문하여야 진료에 대응되는 의약품이 조제 및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조제 날짜에 4순위로 높은 가중치 및 결제 날짜에 5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약국에서 상이한 진료 과목에 대응되는 의약품을 취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약국명이 같더라도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보기에는 다소 어려울 수 있어 약국명에 6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성 정보에 대해 상이하게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해당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함으로써 복수개의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그룹으로 그루핑할 수 있고,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되는 약들 간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그룹 내 오제조 또는 오처방 여부 또한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240에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그룹(410)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단계 S250에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복약 관련 문제는 오제조 또는 오처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하나의 그룹(410)에 포함된 영수증(320), 약봉투(330) 및 처방전(340) 이미지에 포함된 의약품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 여부(510) 및 오제조 내역(520)을 결정 및 획득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수증(320) 및 처방전(340)이 나타내는 A 의약품은 10mg이나, 약봉투(330)가 나타내는 A의약품은 5mg으로 오제조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이 의약품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가 발생된 여부를 결정, 오제조 내역(520)을 획득할 수 있고, 오제조 발생 여부(510)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 및 오제조 내역(52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영수증(320) 및 처방전(340)이 나타내는 B 의약품은 10mg 이나, 약봉투(330)에는 B 의약품 10mg 대신 C 의약품은 10mg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B 의약품이 아닌 C 의약품으로 오제조 된 것일 수 있으나,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의약품의 종류, 용량, 대체제 사용 등 의약품에 대한 사용자 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선호 반영 필터링 기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 획득된 선호 정보(예: B 의약품의 대체제인 C 의약품으로 제조 요청)에 기초하여 B 의약품이 대체제인 C 의약품으로 대체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B 약품이 C약품으로 대체된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선호 반영 필터링은 특정 의약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를 반영하여 오제조 또는 오처방 여부를 보다 정확히 결정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B 의약품을 B의약품의 대체제인 C의약품으로 대체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선호 반영 필터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이후 B 의약품 대신 C 의약품이 제조된 경우 오제조 상황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약 자체의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 여부(510) 및 오제조 내역(520)을 결정 및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약 자체의 이미지의 모양, 색상, 크기 상이한 경우 이에 대한 오제조 발생 여부(510) 및 오제조 내역(520)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들을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은 상이한 진료의 횟수 및 종류 등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그룹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약들 간의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그룹 중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에 포함된 의약품들 간의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의약품 중에는 중첩되는 기간 동안 상이한 특정 종류의 의약품을 함께 복용할 경우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거나 함께 복용하는 것이 금지된 의약품이 존재하며, 동일한 의약품을 일정 용량 이상 복용할 경우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은 의약품이 존재한다. 만약 사용자가 일정 기간 내 다수의 진료를 받아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경우, 처방 받은 의약품 간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사용자 건강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포함하는 그룹 간의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경우, 각 그룹에 포함된 의약품 간의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에는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내역 및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 내역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오제조,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및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을 포함하는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알리는 취지의 음성 메시지 또는 발생된 복약 관련 문제의 내역을 상세하게 안내하는 취지의 음성 메시지 방식을 활용할 수 있고, 발생 여부 및 발생 내역에 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청각적 정보 획득이 어려운 특정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진동 출력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은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여러 디바이스에 송신되어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방식으로 알림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가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 및 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종래 의료 관련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 및 약에 대한 서식 및 이미지에 대해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기저장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영수증(320), 약봉투(330), 처방전(340) 및 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약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것은 약 자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 및 분석하는 것으로, 이미지 분석 결과에 따른 약의 형태, 색상 또는 개수 등의 정보를 통해 약의 종류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환자 진료에 대한 의약품의 오제조 등 복약 관련 문제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카테고리가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특성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들 중 동일한 처방 의약품명이 기설정 비율 이상으로 많은 경우 동일한 진료에 대한 이미지들일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이미지들은 동일한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상이한 크기의 가중치가 부여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으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그루핑함으로써, 동일 진료 내 영수증(320), 약봉투(330) 및 처방전(340)에 포함된 의약품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오제조 또는 오처방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복수개의 그룹 간 복용 기간이 중첩되는 경우 사용자 건강에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 발생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그룹(410)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동일한 그룹 내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들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 여부(510) 및 오제조 내역(520)을 결정 및 획득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수증(320) 및 처방전(340) 이미지가 나타내는 A 의약품은 10mg이나, 약봉투(330) 이미지가 나타내는 A의약품은 5mg으로 오제조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영수증(320) 및 처방전(340) 이미지는 B 의약품 10mg를 나타내는데 반해, 약봉투(330) 이미지는 B의약품이 아닌 C 의약품 10mg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이미지 간 상이한 의약품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는 오제조 상황일 수 있으나, 사용자가 B 의약품의 대체제인 C 의약품을 선호한다는 내용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선호 정보가 획득된 경우는 오제조 상황이 아닐 수 있다.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이 동일 그룹 내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들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 여부(510) 및 오제조 내역(520)을 결정 및 획득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관련 정보를 파악하여 오제조 여부를 판단하지 않아도 되며,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선호 정보가 반영되어 오제조 발생 여부(510)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들을 개별적인 하나의 그룹(410)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은 상이한 진료의 횟수 및 종류 등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그룹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약들 간의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그룹 중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에 포함된 의약품들 간의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의약품 중에는 중첩되는 기간 동안 상이한 특정 종류의 의약품을 함께 복용할 경우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거나 함께 복용하는 것이 금지된 의약품이 존재하며, 동일한 의약품을 일정 용량 이상 복용할 경우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은 의약품이 존재한다. 만약 사용자가 일정 기간 내 다수의 진료를 받아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경우, 처방 받은 의약품 간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사용자 건강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 제공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310)를 포함하는 그룹 간의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경우, 각 그룹에 포함된 의약품 간의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에는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내역 및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 내역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및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금기를 나타내는 알림(610) 및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620) 상황을 모르고 약을 복용하여 건강 악화를 초래하는 위험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제공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스피커(미도시), 통신부(미도시) 등 발명에 해당하는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종래의 여러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 1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로그램 내지 명령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서버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장치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명령)를 구동하여 프로세서에 연결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본 개시와 관련된 다양한 연산, 처리, 데이터 생성, 가공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데이터 등을 메모리로부터 로드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알림 제공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additionally) 또는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알림 제공 디바이스
110: 카메라 120: 프로세서
310: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
320: 영수증 330: 약봉투
340: 처방전 410: 하나의 그룹
510: 오제조 발생 여부 520: 오제조 내역
610: 금기 620: 중복

Claims (11)

  1.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영수증, 약봉투 및 처방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 중 상기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특성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특성 정보는 처방 의약품명, 병원명, 약국명, 처방 날짜, 조제 날짜 및 결제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포함되는 상기 특성 정보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처방 의약품명이 포함된 개수, 상기 병원명이 동일한지 여부, 상기 처방 날짜가 동일한지 여부, 상기 조제 날짜가 동일한지 여부, 상기 약국명이 동일한지 여부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 중에서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결정하는, 알림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제조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제조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내역을 획득하고,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제조 내역을 제공하는, 알림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를 상기 영수증, 상기 약봉투 및 상기 처방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를 상기 영수증, 상기 약봉투, 상기 처방전 및 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알림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약들 간의 금기 또는 중복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금기 또는 상기 중복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금기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제공 방법.
  7.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영수증, 약봉투 및 처방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 중 상기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하고 동일한 진료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고,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특성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특성 정보는 처방 의약품명, 병원명, 약국명, 처방 날짜, 조제 날짜 및 결제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에 포함되는 상기 특성 정보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복약 관련 문제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 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고, 동일한 처방 의약품명이 포함된 개수, 상기 병원명이 동일한지 여부, 상기 처방 날짜가 동일한지 여부, 상기 조제 날짜가 동일한지 여부, 상기 약국명이 동일한지 여부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 중에서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알림 제공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오제조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제조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제공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제조 내역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오제조 내역을 제공하는, 알림 제공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약 기간이 중첩되는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약들 간의 금기 또는 중복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금기 또는 상기 중복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금기 또는 중복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제공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4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008077A 2021-01-20 2021-01-20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4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77A KR102644066B1 (ko) 2021-01-20 2021-01-20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PCT/KR2022/000557 WO2022158785A1 (ko) 2021-01-20 2022-01-12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240014369A KR20240018557A (ko) 2021-01-20 2024-01-30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77A KR102644066B1 (ko) 2021-01-20 2021-01-20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4369A Division KR20240018557A (ko) 2021-01-20 2024-01-30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414A KR20220105414A (ko) 2022-07-27
KR102644066B1 true KR102644066B1 (ko) 2024-03-07

Family

ID=825498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077A KR102644066B1 (ko) 2021-01-20 2021-01-20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240014369A KR20240018557A (ko) 2021-01-20 2024-01-30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4369A KR20240018557A (ko) 2021-01-20 2024-01-30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644066B1 (ko)
WO (1) WO20221587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9888B2 (ja) * 2012-09-27 2016-10-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薬剤検査装置及び方法
KR20160116856A (ko) * 2015-03-31 2016-10-10 정진호 조제 정보와 실제 투여약 비교 영상 판독 장치
KR20200054552A (ko) 2018-11-12 2020-05-20 남현욱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55926A (ko) * 2018-11-14 2020-05-22 이종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7333B1 (ko) * 2019-02-19 2021-09-02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0192A (ko) * 2020-07-31 2020-11-18 박회준 처방 정보를 통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414A (ko) 2022-07-27
KR20240018557A (ko) 2024-02-13
WO2022158785A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iff et al. A prescription for enhancing electronic prescribing safety
US77160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ok-alike sound-alike medication error messaging
US20050033606A1 (en) Medication order processing and dispensing system
US2006026524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cation selection guidance
US201003125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ormularies
US20070214014A1 (en) Pharmacy quality checking and alert system and method
US20140156298A1 (en) Modularization for prescription fulfillment and adherence
US20140156064A1 (en) Techniques to deliver multiple medications in a synchronized manner
US11521718B2 (en) Mobile application for medication reminders
US20200135314A1 (en) Personalized medication management and alert system and method
US75554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ok-alike sound-alike medication error messaging
Caffiero et al. Effectiveness of a clinical pharmacist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program in discontinuation of drugs to avoid in the elderly
US20200293612A1 (en) Analysis System
KR102644066B1 (ko) 알림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US20040059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tion error messaging
US11676692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confirmation and verification requests based on electronic prescriptions
US20170242962A1 (en) Online managed medical portal for patients and physicians
JP6550223B2 (ja) 電子お薬手帳連携システム、装置、電子お薬手帳連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271740A (ja) 処方設計支援システム
US200400596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ok-alike sound-alike medication error messaging
JP2016224777A (ja) 服薬管理支援サーバ、服薬管理支援プログラム及び服薬管理の支援方法
JP2020184180A (ja) 薬剤師支援システム、薬剤師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25115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n annotated clinical data management process
US11074998B1 (en) Real-time delivery of medical test data to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US20210264363A1 (en) Personalized medical adjudication and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