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931B1 - Pile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Pile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931B1
KR102643931B1 KR1020220015986A KR20220015986A KR102643931B1 KR 102643931 B1 KR102643931 B1 KR 102643931B1 KR 1020220015986 A KR1020220015986 A KR 1020220015986A KR 20220015986 A KR20220015986 A KR 20220015986A KR 102643931 B1 KR102643931 B1 KR 102643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ground
area
construction method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9794A (en
Inventor
김학성
이용희
박정선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931B1/en
Publication of KR2023011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7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4Sampling of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말뚝 시공방법은, 원자력 발전소 주변이나 방사성폐기물이 매립되는 주변의 지반으로 단면이 환형을 가지는 말뚝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말뚝 내의 지반의 토사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지반의 물질을 조사하여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대비하여 약한 지반을 가지는 제2 영역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위치되는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il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troducing a pil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into the ground around a nuclear power plant or where radioactive waste is buried; Discharging soil from the ground within the pile; examin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having weak ground compared to the first area by examining the ground material; drilling the pile located in the second area; and injecting grout liquid into the pile.

Description

말뚝 시공방법{Pile construction method}Pil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말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construction method.

말뚝 기초(pile foundation)는 암반 등의 단단한 지반이 상대적으로 연약한 지반 아래 깊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얕은 기초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사용되는 구조물 기초 형식 중 하나이다. 말뚝의 지지력은 주로 선단 지지력과 주면 마찰력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A pile foundation is a type of structural foundation used when a shallow foundation is not appropriate because hard ground, such as rock, is located deep beneath relatively soft ground. The bearing capacity of a pile can be mainly exerted by the tip bearing force and the peripheral friction force.

선단 지지력이란 말뚝의 바닥면이 단단한 지반 위에 올라서서 지탱되면서 나타나는 지지력이며, 주면 마찰력은 말뚝의 측면과 주변 지반의 마찰력에 의한 지지력이다. 특히 주면 마찰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라우팅 기법이 말뚝 기초 시공 시 종종 활용된다. The tip bearing capacity is the bearing force that appears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e is supported on solid ground, and the peripheral friction force is the bearing force caus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sides of the pile and the surrounding ground. In particular, to improve friction between the main surfaces, grouting techniques are often used when constructing pile foundations.

말뚝은 강관을 유압을 이용하여 인입하거나 해머를 이용해 항타하여 설치하는 말뚝 형태로서, 기계적 성능이 우수하고 방향과 관계없이 균질한 강성을 보이므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Pile is a type of pile that is installed by drawing in a steel pipe using hydraulic pressure or driving it with a hammer.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excellent mechanical performance and shows uniform rigidity regardless of direction.

말뚝 설치를 위한 그라우팅 기법에 사용되는 그라우팅액은 강관의 바닥면(선단)을 통해서 지반내에 주입된다. 그러나 말뚝의 설치 목적 상 말뚝 바닥면은 견고한 지반 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그라우팅액은 상대적으로 투수성이 낮은 지반을 통과해야 하므로 멀리까지 확산되기 어렵다. 또한 실제로 보강이 필요한 연약대는 이보다 얕은 깊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원하는 깊이 및 방향에 대하여 그라우팅액이 주입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 grouting liquid used in the grouting technique for pile installation is inject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bottom surface (tip) of the steel pipe. However, for the purpose of pile installation, the bottom of the pile is generally located in solid ground. For this reason, the grouting liquid must pass through relatively low permeability ground, making it difficult to spread far. In addition, the soft zone that actually needs reinforcement is often located at a shallower depth than thi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that allows grouting liquid to be injected to a desired depth and dire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규 안전관련 구조물 건설 시 쓰나미 위협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연약한 지반이 두텁게 분포한 고지대를 부지로 선정하더라도 말뚝 시공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말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e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safely perform pile construction even if an elevated area with relatively soft ground is thickly distributed to avoid the tsunami threat when constructing a new safety-related structur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은, 원자력 발전소 주변이나 방사성폐기물이 매립되는 주변의 지반으로 단면이 환형을 가지는 말뚝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말뚝 내의 지반의 토사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지반의 물질을 조사하여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대비하여 약한 지반을 가지는 제2 영역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위치되는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inserting a pil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into the ground around a nuclear power plant or where radioactive waste is buried; Discharging soil from the ground within the pile; examin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having weak ground compared to the first area by examining the ground material; drilling the pile located in the second area; and injecting grout liquid into the pile.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2 영역의 주변으로 상기 그라우트액이 주입되도록 상기 제2 영역의 상부에 구획부를 삽입하거나 상기 구획부의 부피를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drilling the pile, the step of inserting a partition in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area or expanding the volume of the partition so that the grout liquid is injected in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area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지반을 조사하는 단계는, 시추 조사 또는 물리 탐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The step of investigating the ground may be conducted using at least one of drilling survey or physical exploration.

상기 지반을 조사하는 단계는, 지반 보강 또는 말뚝의 주면 마찰력 증진이 필요한 구간 및 범위를 조사할 수 있다.In the step of investigating the ground, the section and range that require ground reinforcement or improvement of friction on the main surface of the pile may be investigated.

상기 지반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말뚝 시공 과정에서 회수되는 지반 물질을 조사할 수 있다.In the step of investigating the ground, ground materials recovered during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may be investigated.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천공홀을 형성하도록 천공하고, 복수 개의 상기 천공홀은 가장 인접하여 이웃하는 상기 천공홀과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step of drilling the pile, the pile is drilled to form a plurality of drilling holes, and the plurality of drilling holes may be arranged to be offset from the most adjacent neighboring drilling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천공홀이 나선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천공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rilling the pile, the plurality of drilling holes may be drilled so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piral direction.

상기 말뚝을 인입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 내의 지반의 토사를 배출하는 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The step of inserting the pile and the step of discharging the soil of the ground within the pile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상기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그라우트액을 1차 주입하는 단계; 상기 구획부를 제거하거나 상기 구획부의 부피를 축소하는 단계; 및 1차 주입되는 상기 그라우트액의 상부로 상기 그라우트액을 2차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injecting the grout liquid into the pile includes first injecting the grout liquid; removing the compartment 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secondarily injecting the grout liqui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ly injected grout liquid.

상기 구획부의 부피를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구획부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여 상기 구획부의 형상을 복원하거나 상기 구획부를 터트릴 수 있다.The step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may include restoring the shape of the compartment by removing fluid inside the compartment or bursting the compartment.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는, 성형작약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of drilling the pile may be performed with a shaped peony.

상기 구획부는, 패커(packer) 또는 내부가 유체로 충진되는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artment may include a packer or a pocket filled with flui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본 발명의 말뚝 시공방법에 따르면, 말뚝 주변의 원하는 깊이와 방향, 즉 연약한 지반과 같이 필요한 영역에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말뚝의 주면 마찰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단단한 지반이 연약한 지반에 대비하여 더 깊은 곳에 형성되더라도 말뚝이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force around the pile can be improved by injecting the grouting liquid into the desired depth and direction around the pile, that is, into the required area such as soft ground, so that the hard ground is more effective than the soft ground. Even if formed in deep places, the piles can be supported.

또한 본 발명은, 부지 내에 연약한 지반이 불규칙하거나·비균질하게 분포하더라도, 지반 보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ound reinforcement can be effectively achieved even if soft ground is irregularly or non-homogeneously distributed within the si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말뚝을 인입하고, 말뚝 내의 지반을 배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말뚝을 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구획부를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이 주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flowchart showing a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serting a pile and discharging the ground within the pile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drilling a pile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insertion of a partition part of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injection of grout liquid into a pile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grout liquid being injected into a pile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inten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used as a single term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element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n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illustrative term “down” may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Elements can also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so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elements and/or sections, it is understood that these elements, element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element, or section from other elements, elements, or sections.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first element, or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also be a second element, second element, or second sec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rule out addi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elem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말뚝을 인입하고, 말뚝 내의 지반을 배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말뚝을 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flowchart showing a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pile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harging the ground in the pile, 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pile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how to drill a hole.

더불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구획부를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의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이 주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insertion of a partition part of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injection of grout liquid into the pile of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and Figure 6 is a drawing showing the grout liquid being injected into the pile of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말뚝 시공방법은, 원자력 발전소 주변이나 방사성폐기물이 매립되는 주변의 지반으로 단면이 환형을 가지는 말뚝을 인입하는 단계(S110), 말뚝 내의 지반의 토사를 배출하는 단계(S120), 지반의 물질을 조사하여 제1 영역과 제1 영역에 대비하여 약한 지반을 가지는 제2 영역을 조사하는 단계(S130), 제2 영역에 위치되는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S140), 제2 영역의 주변으로 그라우트액이 주입되도록 제2 영역의 상부에 구획부를 삽입하거나 구획부의 부피를 확장하는 단계(S150), 및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6,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inserting a pil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into the ground around a nuclear power plant or where radioactive waste is buried (S110), and discharging soil and sand from the ground within the pile. (S120), examining the material of the ground to examin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having weak ground compared to the first area (S130), drilling the pile located in the second area (S140), It may include inserting a partition in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area or expanding the volume of the partition so that the grout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area (S150), and injecting the grout solution into the pile (S160).

먼저 원자력 발전소 주변이나 방사성폐기물이 매립되는 주변의 지반으로 말뚝(10)을 인입하는 단계(S110)는, 말뚝(10)을 지반에 압입하여 인입할 수 있다. 여기서 말뚝(10)은 환형 단면을 가지는 말뚝으로서 천공이 가능한 말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말뚝(10)은 강관 말뚝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공이 가능한 다양한 말뚝이 적용될 수 있다.First, in the step (S110) of inserting the pile 10 into the ground around a nuclear power plant or where radioactive waste is buried, the pile 10 can be pressed into the ground. Here, the pile 10 is a pil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and may be made of a pile capable of drilling. By way of example, the pile 10 may be a steel pipe pi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piles that can be drilled can be applied.

말뚝(10)을 지반에 인입하는 것은, 항타 및 유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입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말뚝(10)을 압입하면서 동시에 말뚝(10) 내의 지반의 토사를 배출하는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Driving the pile 10 into the ground can utilize driving or hydraulic pressure. For example, the step (S120) of press-fitting the pile 10 through a press-in device (not shown) and simultaneously discharging the soil of the ground within the pile 10 may be perform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그리고 말뚝(10) 내의 지반의 토사를 배출하는 단계(S120)는, 아래와 같다.And the step (S120) of discharging the soil of the ground within the pile 10 is as follows.

앞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토사를 배출하는 단계(S120)는, 말뚝(10)을 인입하는 단계(S110)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step of discharging the soil (S120)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tep of introducing the pile 10 (S110).

말뚝(10) 내의 지반의 토사를 배출하는 것은, 드릴, 고압수, 및/또는 압축공기 등을 활용하여 말뚝(10) 내의 토사를 배출하여 말뚝(10) 내부의 토사를 제거할 수 있다.To discharge the soil of the ground within the pile 10, the soil inside the pile 10 can be removed by discharging the soil within the pile 10 using a drill, high-pressure water, and/or compressed air.

예시적으로 토사 배출을 위한 장비는, 시추 장비/굴착 장비(20), 고압수 살수 장비(특고압 피스톤 펌프일 수 있음, 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압축기(도시하지 않음) 등일 수 있다. Exemplarily, equipment for soil discharge may be drilling equipment/excavation equipment 20, high-pressure water sprinkling equipment (may be a special high-pressure piston pump, not shown), and/or a compressor (not shown).

다음으로, 지반의 물질을 조사하여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을 조사하는 단계(S130)는, 시추 조사 또는 물리 탐사를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S2)은, 제1 영역(S1)에 대비하여 약한 지반을 가질 수 있다.Next, the step (S130) of investigating the first area S1 and the second area S2 by examining the ground material may be conducted using drilling survey or physical exploration. Here, the second area S2 may have weaker ground compared to the first area S1.

지반 조사는, 지반 보강 또는 말뚝(10)의 주면 마찰력 증진이 필요한 구간 및 범위를 조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영역(S1)에 대비하여 약한 지반을 가지는 제2 영역(S2)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제2 영역(S2)이 지반에서 어느 위치에 마련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The ground investigation can investigate the section and range that require ground reinforcement or improvement of the frictional force of the main surface of the pile 10. In other words, it is investigated where the second area (S2) is loca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grout solution can be injected into the second area (S2), which has weaker ground compared to the first area (S1).

예를 들어 지반 조사는, 말뚝(10) 시공 과정에서 회수되는 지반 물질을 조사하여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ground investigation can be accomplished by examining ground materials recover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ile 10.

다음으로, 제2 영역에 위치되는 말뚝(10)을 천공하는 단계(S140)는, 말뚝(10)의 천공홀(11)을 통해 제2 영역(S2)으로 그라우트액을 주입하기 위함이다.Next, the step of drilling the pile 10 located in the second area (S140) is to inject the grout liquid into the second area S2 through the drilling hole 11 of the pile 10.

말뚝(10) 천공은, 복수 개의 천공홀(11)을 형성하도록 말뚝(10)을 천공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천공홀(11)은 가장 인접하여 이웃하는 천공홀(11)과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게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 개의 천공홀(11)의 배치는, 구조적 건전성 측면에서 일부 영역에 집중되지 않도록, 나선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Drilling of the pile 10 involves drilling the pile 10 to form a plurality of drilling holes 11. The plurality of drilling holes 11 may be formed to be offset from the most adjacent drilling holes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rilled holes 1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piral direction so that they are not concentrated in some areas in terms of structural integrity.

말뚝(10) 천공은, 제2 영역(S2)을 조사하는 단계(S130)를 통해 그라우트액이 주입되는 위치(제2 영역(S2))에 천공 장치(30)를 내려 보내 제2 영역(S2)에서 천공홀(11)의 위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천공 장치(30)를 정렬시켜 강관 말뚝(10)의 벽면을 천공할 수 있다.The pile 10 is drilled by sending the drilling device 30 down to the position (second area S2) where the grout liquid is injected through the step S130 of irradiating the second area S2. ), the wall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 10 can be drilled by aligning one or more drilling devices 30 with the position/direction of the drilling hole 11.

그리고 천공 장치(30)는 성형작약(shaped charge, 성형화약으로 명칭될 수 있음)이 활용될 수 있다. 성형작약은 폭약이 원추형 등의 형상으로 가공되어, 폭발력이 한 곳(천공홀(11)이 형성되는 위치)에 집중되는 먼로 효과(Munroe effect)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작약은 말뚝(10) 내에 복수 개가 동시 투입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폭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말뚝(10)의 벽체를 천공시킬 수 있으므로 드릴 등의 기계적인 천공 장치에 비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성형작약은 말뚝(10)의 내벽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천공할 수 있다.And the perforation device 30 may use a shaped charge (which may be called a shaped charge). The shaped charge can utilize the Munroe effect, in which the explosive is processed into a shape such as a cone, and the explosive force is concentrated in one place (the location where the drill hole 11 is formed). In addition, the molded peony may be of a preset size so that a plurality of pieces can b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pile 10. Since the wall of the pile 10 can be instantly drilled upon detonation, rapid construction may be possible compared to mechanical drilling devices such as a drill. The molded peony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pile (10) and can be drill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말뚝(10)에 미리 천공홀(11)을 형성하지 않고, 말뚝(10)이 지반 내부에 인입된 이후 천공홀(11)을 형성하는 것은 아래의 이유에 의해서이다.In this way, rather than forming the drilling hole 11 in advance in the pile 10, the drilling hole 11 is formed after the pile 1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for the following reasons.

말뚝(10)에 천공홀(11)이 미리 제공되면, 말뚝 설치를 위한 항타 시 천공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말뚝(10)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천공홀(11)이 이미 제공되는 말뚝을 제공하지 않고 말뚝(10)이 지반에 인입된 이후 천공홀(11)을 형성하므로, 특정 부위(천공홀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발생되는 변형/균열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If the pile 10 is provided with a drilled hole 11 in advance, there is a risk that the pile 10 may be deformed due to stress being concentrated in the drilled area during driving for pile installation. Accordingly, this embodiment does not provide a pile in which the drilling hole 11 is already provided, but forms the drilling hole 11 after the pile 1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so stress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drilling hole area). This can prevent deformation/crack problems that occur.

게다가 천공홀이 미리 시공되지 않음으로써, 말뚝 시공 과정에서 사전에 천공된 주입구를 통하여 토사나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illing hole is not construct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soil or groundwater flowing in through the pre-drilled injection hole during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또한, 말뚝(10) 내 토사를 제거하기 위해 고압수, 압축공기 등을 이용할 때 미러 형성되는 천공홀을 통해 말뚝(10) 외부의 토사가 불필요하게 배출되지 않으므로, 말뚝(10) 내부의 토사 제거 작업의 효율이 낮아지거나 천공홀(11) 주변 지반의 연약대를 침식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말뚝(10) 인입 및 토사 제거 작업 이후 천공홀(11)이 형성되어, 천공홀(11)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high-pressure water, compressed air, etc. are used to remove the soil inside the pile 10, the soil outside the pile 10 is not discharged unnecessarily through the mirror-formed drill hole, so the soil inside the pile 10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lowering work efficiency or eroding the soft zone of the ground around the drilling hole (11). In other words, the drilling hole 11 is formed after the pile 10 is introduced and the soil is removed, and problems caused by the drilling hole 11 can be prevented.

더불어 지반에 설치되기 전에 말뚝(10)을 공장에서 천공하면, 현장 지반조건에 따라 현장에서 다양한 천공 패턴을 신속하게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는 지반의 특성에 따라 천공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ile 10 is drilled at the factory before being installed in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change and apply various drilling patterns on site depending on the ground conditions. However, in this embodiment, drill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It can be achieved.

다음으로, 제2 영역(S2)의 주변으로 그라우트액이 주입되도록 제2 영역(S2)의 상부에 구획부(40)를 삽입하거나 구획부(40)의 부피를 확장하는 단계(S150)는, 제2 영역(S2)에 그라우트액이 집중되어 주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제1 영역(S1)에 대비하여 연약한 지반을 가지는 제2 영역(S2)이 보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Next, the step (S150) of inserting the partition 40 in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area (S2) or expanding the volume of the partition 40 so that the grout liquid is injected in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area (S2), This is to ensure that the grout liquid is concentrated and injected into the second area (S2). In other words, this is to ensure that the second area (S2), which has soft ground, is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first area (S1).

구획부(40) 삽입 또는 구획부(40)의 부피 확장은, 그라우팅액이 말뚝(10)의 상부 개구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그라우팅액을 고압으로 지반 내에 주입시키기 위하여 말뚝(10)의 일부 구간을 밀폐하는 팽창식 그라우트 패커(packer) 또는 포켓 등을 활용 수 있다. 여기서 구획부(40)의 부피 팽창은, 구획부(40)에 호스가 연결되어 구획부(40)에 그라우트 및/또는 유체(공기/질소 등의 기체 일 수 있음)가 주입되어 구획부(40)의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Inserting the partition 40 or expanding the volume of the partition 40 prevents the grouting liquid from overflowing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pile 10 and injects the grouting liquid into the ground at high pressure by inserting a portion of the pile 10. An inflatable grout packer or pocket can be used to seal the section. Here, the volume expansion of the partition 40 occurs when a hose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40 and grout and/or fluid (which may be a gas such as air/nitrogen) is injected into the partition 40. ) can expand in volume.

더불어 구획부(40)는 그라우트액이 구획부(40)의 하부 영역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도넛 형상과 같이 그라우트액 주입용 호스가 통과하기 위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40 may be shaped like a donut so that the grout liquid can be injected into the lower area of the partition 40, so that the grout liquid injection hose can pass therethrough.

다음으로, 말뚝(10) 내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하는 단계(S160)는, 말뚝(10) 내부만 아니라 말뚝(10)의 천공홀(11)을 통해 제2 영역(S2)으로 그라우트액을 주입할 수 있다.Next, the step of injecting the grout liquid into the pile 10 (S160) involves injecting the grout liquid not only into the pile 10 but also into the second area S2 through the drilling hole 11 of the pile 10. You can.

예를 들어 그라우팅액을 말뚝(10)의 하부에서부터 주입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그라우트액 주입용 호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불어 구획부(40) 삽입으로 밀폐되는 제2 영역(S2)에 위치되는 말뚝(10) 내부만 아니라 천공홀(11)을 통해 제2 영역(S2)의 지반으로 그라우팅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는 구획부(40)에 의해 공간이 밀폐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grouting liquid can be injected from the bottom of the pile 10. This can be done by means of a grout liquid injection hose, as previously mentioned. In addition, the grouting liquid can be injected not only into the pile 10 located in the second area S2 sealed by insertion of the partition 40, but also into the ground of the second area S2 through the drilling hole 11. This is because the partition 40 has the effect of sealing the space.

이와 같이 제2 영역(S2)에 위치되는 말뚝(10)의 내부 및 지반으로 그라우팅액을 주입한 이후, 구획부(40)의 상부 영역으로 그라우트액을 더 주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획부(40)를 제거하거나 구획부(40)의 부피를 축소시켜, 구획부(40)에 의해 구획된 말뚝(10) 내부의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의 공간을 다시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여 구획부(40)가 제거되지 않고 팽창된 상태에서 구획부(40)의 상부로 2차 그라우트액 주입이 형성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this way, after the grout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and ground of the pile 10 located in the second area S2, the grouting liquid can be further injected into the upper area of the partition 40. For this purpose, the partition 40 is removed or the volume of the partition 40 is reduced, so that the first area S1 and the second area S2 inside the pile 1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40 are separated. Space can be formed into one space again.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is embodiment, such as secondary grout liquid injection in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40 in an expanded state without the partition 40 being removed.

다시 말해서 천공홀(11)을 통해 말뚝(10)의 외부에 위치되는 지반으로 그라우트액이 주입되면 나머지 영역인 구획부(40)의 상부로 그라우트액을 주입하여 말뚝(10) 내부를 그라우트액으로 모두 충진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other words, when the grout liquid is injected into the ground located outside the pile 10 through the drilling hole 11, the grout liquid is injected into the remaining area,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40, so that the inside of the pile 10 is filled with the grout liquid.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all be filled are possible.

이러한 그라우트액 주입 단계(S160)는, 그라우트액을 1차 주입하는 단계(S161), 구획부(40)의 부피를 축소하거나 구획부(40)를 제거하는 단계(S162) 및 1차 주입되는 그라우트액의 상부(구획부(40)의 상부 영역일 수 있음)로 그라우트액을 2차 주입하는 단계(S163)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단계(S162)는 생략될 수 있다.This grout liquid injection step (S160) includes the first injection of the grout liquid (S161), the step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partition 40 or removing the partition 40 (S162), and the first injection of the grout. It may include a second injection of the grout liquid into the upper part of the liquid (which may be the upper area of the partition 40) (S163). In addition, step S162 may be omitted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여기서 구획부(40)의 부피 축소는, 구획부(40)를 제거하거나, 구획부(40)의 형상을 복원하거나(유체를 제거), 또는 구획부(40)를 터트림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volume reduction of the partition 40 can be performed by removing the partition 40, restoring the shape of the partition 40 (removing the fluid), or bursting the partition 40. .

구획부(40)의 형상을 복원하는 것은, 구획부(40)에 주입된 유체를 다시 제거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이때 구획부(40) 내부의 유체 제거는, 구획부(40)에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유체를 빼냄으로써 이룰 수 있다.Restoring the shape of the partition 40 can be achieved by removing the fluid injected into the partition 40 again. At this time, the fluid inside the partition 40 can be removed by withdrawing the fluid through a hose connected to the partition 40.

다른 예로 구획부(40)를 터트리는 과정은, 그라우팅액이 2차 주입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그라우트액을 1차 주입하는 과정에서는 구획부(40)가 터지지 않으면서도, 추가로 그라우팅액이 주입되는 과정 즉, 그라우팅액의 2차 주입 과정에서 구획부(40)가 터지는 두께로 구획부(40)를 제공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 of bursting the partition 40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cond injection of grouting liquid. This means that the partition 40 does not burst during the first injection of the grouting solution, but the partition 40 bursts at a thickness during the process of additionally injecting the grouting solution, that is, the second injection of the grouting solution.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40).

그리고 그라우팅액 1차 주입은, 제2 영역을 조사하는 단계(S130)에서 제2 영역(S2)의 위치/높이에 따른 그라우팅액의 양과 천공홀(11)을 통해 제2 영역(S2)의 지반으로 주입되는 그라우팅액의 충분한 양을 설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그라우팅액에 더해지는 양이 주입되면 구획부(40)가 터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And the first injection of the grouting liquid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grouting liquid according to the position/height of the second area (S2) and the ground of the second area (S2)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11) in the step of investigating the second area (S130). This can be achieved by setting a sufficient amount of grouting liquid to be injected and designing it so that the partition 40 bursts when the amount added to the corresponding grouting liquid is injected. However, since this is only an example, it is of course not limited thereto.

게다가 그라우트 양생(G) 후 압축 및 인발재하시험 등을 실시하여 지지력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earing capacity can be confirmed by performing compression and pulling load tests after grout curing (G).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말뚝 시공방법은, 말뚝(10) 주변의 원하는 깊이와 방향, 즉 연약한 지반으로 이루어지는 제2 영역(S2)과 같이 필요한 영역에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말뚝(10)의 주면 마찰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단단한 지반이 연약한 지반에 대비하여 더 깊은 곳에 형성되더라도 말뚝(10)이 지지될 수 있다.The p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o inject grouting liquid into a necessary area such as the desired depth and direction around the pile 10, that is, the second area S2 made of soft ground, and the main surface of the pile 10. Since friction can be improved, the pile 10 can be supported even if hard ground is formed deeper than soft ground.

또한 본 발명은, 부지 내에 연약한 지반이 불규칙·비균질하게 분포하더라도, 지반 보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ound reinforcement can be effectively achieved even if soft ground is distributed irregularly and non-homogeneously within the site.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exis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 말뚝 11: 천공홀
20: 시추 장비 30: 천공 장치
40: 구획부
10: pile 11: drilling hole
20: drilling equipment 30: drilling device
40: compartment

Claims (12)

원자력 발전소 주변이나 방사성폐기물이 매립되는 주변의 지반으로 단면이 환형을 가지는 말뚝을 인입하는 단계;
상기 말뚝 내의 지반의 토사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지반의 물질을 조사하여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대비하여 약한 지반을 가지는 제2 영역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위치되는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의 주변으로 그라우트액이 주입되도록 상기 제2 영역의 상부에 구획부를 삽입하거나 상기 구획부의 부피를 확장하는 단계; 및
상기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말뚝 내에 그라우트액을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그라우트액을 1차 주입하는 단계;
상기 구획부를 제거하거나 상기 구획부의 부피를 축소하는 단계; 및
1차 주입되는 상기 그라우트액의 상부로 상기 그라우트액을 2차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말뚝 시공방법.
Inserting a pil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into the ground around a nuclear power plant or where radioactive waste is buried;
Discharging soil from the ground within the pile;
examin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having weak ground compared to the first area by examining the ground material;
drilling the pile located in the second area;
inserting a partition in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area or expanding the volume of the partition so that the grout liquid is injected in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area; and
Including the step of injecting grout liquid into the pile,
The step of injecting grout liquid into the pile is,
Primary injection of the grout liquid;
removing the compartment 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and
A pil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condarily injecting the grout liqui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ly injected grout liqui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을 조사하는 단계는,
시추 조사 또는 물리 탐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investigating the ground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that is investigated using at least one of drilling investigation or physical explo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을 조사하는 단계는,
지반 보강 또는 말뚝의 주면 마찰력 증진이 필요한 구간 및 범위를 조사하는,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investigating the ground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that investigates the section and range that requires ground reinforcement or increased friction on the main surface of the pi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말뚝 시공 과정에서 회수되는 지반 물질을 조사하는,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4,
The step of investigating the ground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for examining ground materials recovered during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천공홀을 형성하도록 천공하고,
복수 개의 상기 천공홀은 가장 인접하여 이웃하는 상기 천공홀과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게 배치되는,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drilling the pile is,
Perforating to form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A pile construction method wherein the plurality of drilling holes are arranged to be off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most adjacent neighboring drilling hol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천공홀이 나선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천공하는,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step of drilling the pile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the drilling holes are drilled so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pir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을 인입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 내의 지반의 토사를 배출하는 단계는 동시에 진행되는,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 pile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the step of inserting the pile and the step of discharging the soil of the ground within the pile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부피를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구획부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여 상기 구획부의 형상을 복원하거나 상기 구획부를 터트리는,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of removing the fluid inside the partition to restore the shape of the partition or bursting the part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을 천공하는 단계는,
성형작약으로 수행되는,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drilling the pile is,
A method of pile construction, performed with molded peon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패커(packer) 또는 내부가 유체로 충진되는 포켓을 포함하는, 말뚝 시공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rtition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including a packer or a pocket whose interior is filled with fluid.
KR1020220015986A 2022-02-08 2022-02-08 Pile construction method KR102643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986A KR102643931B1 (en) 2022-02-08 2022-02-08 Pile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986A KR102643931B1 (en) 2022-02-08 2022-02-08 Pile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794A KR20230119794A (en) 2023-08-16
KR102643931B1 true KR102643931B1 (en) 2024-03-05

Family

ID=8784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986A KR102643931B1 (en) 2022-02-08 2022-02-08 Pile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93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27B1 (en) * 2006-12-20 2008-03-27 백경재 Packer for grouting
JP2016098554A (en) * 2014-11-21 2016-05-30 五洋建設株式会社 Observation method for ground water and tube body for observation use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305U (en) * 2009-09-25 2011-03-31 한국전력공사 Pile making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27B1 (en) * 2006-12-20 2008-03-27 백경재 Packer for grouting
JP2016098554A (en) * 2014-11-21 2016-05-30 五洋建設株式会社 Observation method for ground water and tube body for observation use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794A (en)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685B1 (en) Method for blasting the vast hole using blast pressure effusion inhibition device
KR101585161B1 (en) Micro-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20119581A (en) Constructing method of steel pile in sea ground
CN108999596B (en) Method for gas explosion fracturing of coal rock mass by supercritical CO2 point-type jet flow
US68461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ment of prefabricated earth drains
CN109208594B (en) Treatment method for steel casing sinking meeting boulder, steel casing structure and drilled pile
KR102131823B1 (en) Method of excavation
KR102643931B1 (en) Pile construction method
CN111911164B (en) Environment-friendly hard rock mass groove excavation method
US4222684A (en) Method of driving sheet piles into a rock substratum
US4550786A (en) Method of driving steel profiles into a rock substratum
CN104532867B (en) Multiple chamber steel-pipe pile continuous wall water-stop effect detection method
JP2010522289A (en) Rock blasting method for constructing foundation of transmission tower
CN212512756U (en) Weak blasting system of drilling bored concrete pile boulder deep hole
US5087100A (en) Method of fracturing rock or similar material and apparatus therefore
KR102635490B1 (en) Injection apparatus of expansive crushing agent and rock c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90117495A (en) Excavation method using wire saw and excavator used in the same
CN113154975A (en) Anti-slide pile pre-drilling blasting excavation method
JP4905296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KR101898646B1 (en) Rock breaker method and rock crusher
CN115262651B (en) Underground diaphragm wall local self-collapsing type water stopping method
JP7357524B2 (en) Yamadome waterproofing method
KR20060071200A (en) Method for a rock blasting
KR101841845B1 (en) Concrete dam dri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rilling concrete dam vertically
CA1090149A (en) Method of driving sheet piles into a rock substrat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