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289B1 - 수술용 의료장치 - Google Patents

수술용 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289B1
KR102643289B1 KR1020210121335A KR20210121335A KR102643289B1 KR 102643289 B1 KR102643289 B1 KR 102643289B1 KR 1020210121335 A KR1020210121335 A KR 1020210121335A KR 20210121335 A KR20210121335 A KR 20210121335A KR 102643289 B1 KR102643289 B1 KR 10264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ever
band
medical devi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8373A (ko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메디
Priority to KR102021012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2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61F5/005Gastr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89Instruments for placement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14Separate linked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ergonomic, e.g. fitting in f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bes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 보디; 상기 보디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보디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며, 사용자의 눌림 작용이 해제되면 제1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귀하는 레버; 상기 레버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된 링크; 상기 링크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레버가 눌리면 상기 링크 때문에 상기 레버가 눌리는 변위에 비례하여 후퇴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보디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통과시키며, 제2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밀착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전진 이동은 억제하는 록커 레버; 및 상기 보디의 전방에 설치되고 후퇴 조작되면 상기 록커 레버로부터 상기 슬라이더의 억제를 해제하도록 하고, 사용자 조작이 해제되면 제3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귀하는 릴리프 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술용 의료장치{Surgical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간 절제 수술 또는 위 절제 수술할 때 또는 비만 수술에서, 스트랩, 위 밴드 또는 의료용 실을 꿰어서 특정 체내 조직으로 스트랩, 위 밴드 또는 의료용 실을 견인하거나 체내 조직 자체를 견인하거나 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체내 조직을 들어 올리거나, 체내 조직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고 실질적인 절개선을 가이드 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술용 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 절제 수술 또는 위 절제 수술할 때 또는 비만 수술에서, 스트랩, 위 밴드 또는 의료용 실을 꿰어서 특정 체내 조직으로 스트랩, 위 밴드 또는 의료용 실을 견인하거나 체내 조직 자체를 견인하거나 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체내 조직을 들어 올리거나, 체내 조직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고 실질적인 절개선을 가이드 하기 위해 체내 조직의 특정 위치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내 조직 절제 수술 중에는 처치 또는 치료가 필요한 부위를 적당히 노출하기 위하여, 수술 과정 동안에 다양한 조직과 장기의 견인 처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체내 조직에 접근하기 어렵거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았을 때는 특정 조직에 관하여 절개, 절제 등의 수술적 처리를 위하여 이와 관련된 조직의 견인 처리가 필요하다.
수술이 난이도 및 복잡성에 따라 수술적 처리하는 외과 의사와 견인 처리하는 외과 의사 또는 조수가 함께 참여해야 하고, 특히, 견인 처리가 필요한 부위가 여러 곳이면 더 많은 외과 의사 또는 조수가 수술에 참여해야 한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조직의 견인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뤄지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체내 조직의 수술 대상 부위를 견인하거나 시야를 확보하고자 수술용 의료장치에서 기능부를 작동시킬 때 기능부가 수술 의사의 의지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부정확하게 작동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198775 B1 KR 10-2034690 B1 KR 10-2018-012284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내 조직의 수술 대상 부위를 견인하거나 시야를 확보하고자 수술용 의료장치의 기능부를 작동시킬 때, 수술 의사가 한 손으로 편리하게 조작함에 따라 기능부가 정확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의료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 의사가 기능부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킨 후에, 추가적인 조작을 하지 않을 때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술 의사의 의지에 따라 기능부의 형상을 초기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의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 보디(10); 상기 보디(1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보디(10)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며, 사용자의 눌림 작용이 해제되면 제1 스프링(71)의 복원력으로 복귀하는 레버(20); 상기 레버(2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된 링크(30); 상기 링크(3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레버(20)가 눌리면 상기 링크(30) 때문에 상기 레버(20)가 눌리는 변위에 비례하여 후퇴 이동하는 슬라이더(40); 상기 보디(1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슬라이더(40)가 후퇴 이동(B)하면 상기 슬라이더(40)를 통과시키며, 제2 스프링(72)의 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더(40)에 밀착하여 상기 슬라이더(40)의 전진 이동(C)은 억제하는 록커 레버(50); 및 상기 보디(10)의 전방에 설치되고 후퇴 조작되면 상기 록커 레버(50)로부터 상기 슬라이더(40)의 억제를 해제하도록 하고, 사용자 조작이 해제되면 제3 스프링(73)의 복원력으로 복귀하는 릴리프 버튼(60);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상기 보디의 전방에 설치되고 관으로 형성된 샤프트; 한쪽 끝부분이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서 활주하는 로드; 한쪽 끝부분이 상기 로드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샤프트에서 활주하는 무빙 밴드; 상기 보디와 반대쪽의 상기 샤프트 끝부분에 고정된 스테이 밴드; 상기 무빙 밴드가 통과되고, 상기 스테이 밴드에 고정되며 서로 간격을 갖도록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노드 블록; 및 상기 무빙 밴드와 상기 스테이 밴드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홀 또는 슬릿이 형성된 헤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상기 무빙 밴드와 상기 스테이 밴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에서 볼 때 무빙 밴드의 긴변과 스테이 밴드의 긴변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무빙 밴드와 상기 스테이 밴드는 무빙 밴드의 긴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정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록커 레버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1 톱니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커 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2 톱니 형상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 이동하면 상기 제2 톱니 형상부가 상기 제1 톱니 형상부를 넘어가고, 상기 슬라이더가 전진 이동하면 상기 제1 톱니 형상부와 상기 제2 톱니 형상부를 물려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상기 록커 레버는 상기 레버에 설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고, 상기 제2 톱니 형상부와 반대쪽에서 상기 릴리프 버튼과 접촉하며, 상기 릴리프 버튼과 접촉하는 면에 제1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릴리프 버튼의 작동 방향에 대하여 18도 이상 20도 이하의 예각(a)을 갖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간 절제 수술 또는 위 절제 수술할 때 또는 비만 수술에서, 스트랩, 위 밴드 또는 의료용 실을 꿰어서 특정 체내 조직으로 스트랩, 위 밴드 또는 의료용 실을 견인하거나 체내 조직의 수술 대상 부위를 견인하거나 시야를 확보하고 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체내 조직을 들어 올리거나, 체내 조직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고 실질적인 절개선을 가이드 하기 수술용 의료장치의 기능부를 작동시킬 때, 수술 의사의 조작에 따라 기능부가 정확한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수술 의사가 기능부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킨 후에, 추가적인 조작을 하지 않을 때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수술용 의료장치를 조작했던 의사가 다른 의료장치를 조작하여 의료 행위를 할 수 있으므로, 수술에 참여하는 인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수술 의사가 한손으로 편리하게 기능부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수술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본 수술용 의료장치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을 변경하거나 의사가 본 수술용 의료장치를 현재 파지하고 있는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손쉬게 릴리프 버튼을 통해 기능부의 변형된 형상을 초기 형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부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에서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는 분해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조립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에서 기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6의 (a)는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평면도이며, 도 6의 (c)는 횡단면도이고, 도 6의 (d)는 노드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7부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각 도면의 (a)는 손잡이부를 보인 도면이고, 각 도면의 (b)는 기능부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부와 기능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와 기능부는 샤프트(80)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는 보디(10)와 레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기능부는 무빙 밴드(100), 스테이 밴드(110), 노드 블록(120) 및 헤드(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일 수 있고, 기능부는 체내에 침투되어 인체 조직과 접촉하면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부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에서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는 분해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조립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에서 기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6의 (a)는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평면도이며, 도 6의 (c)는 횡단면도이고, 도 6의 (d)는 노드 블록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보디(10), 레버(20), 링크(30), 슬라이더(40), 록커 레버(50) 및 릴리프 버튼(6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디(10)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디(10)는 2개로 제공될 수 있고 2개의 보디(10)는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의 보디(10)를 조합하면 하나의 완성된 보디(10)를 이룰 수 있다.
보디(10)는 제1~4 샤프트(11~1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스프링 포켓(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에는 버튼 포켓(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20)는 상기 보디(1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될 수 있고, 상기 보디(10)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눌림 작용이 해제되면 제1 스프링(71)의 복원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20)는 2개로 제공될 수 있고 2개의 레버(20)는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의 레버(20)를 조합하면 하나의 완성된 레버(20)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레버(20)는 한쪽에 제1 보스(22)가 형성되고, 제1 보스(22)는 보디(10)의 제1 샤프트(11)에 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레버(20)는 보디(10)에서 제1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레버(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샤프트(2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71)은 토션 스프링을 채용한 것으로 상기 제3 샤프트(3)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스프링(71)의 한쪽은 상기 보디(10)에 닿고 다른 한쪽은 상기 레버(20)에 닿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보디(10)와 레버(20)를 움켜쥐면 제1 스프링(71)은 압축될 수 있고, 사용자의 누름 작용이 해제되면 복원력으로 레버(20)를 들어 올린다.
상기 링크(30)는 상기 레버(2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된다. 링크(30)는 한쪽에 제2 보스(32)가 형성되어 상기 제5 샤프트(24)에 조립된다. 또한 링크(30)는 다른 한쪽에 제3 보스(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링크(3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제3 보스(34)와 핀 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레버(20)가 눌리면 상기 링크(30)가 하강하고, 상기 링크(30)는 기울어진 자세이고, 상기 슬라이더(40)는 레버(20)가 눌러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어서 링크(30)는 슬라이더(40)를 후퇴 이동(B)시킨다.
이때 슬라이더(40)는 상기 레버(20)가 눌리는 변위에 비례하여 후퇴한다.
한편으로, 상기 슬라이더(40)가 전진 이동(C)이 억제되지 않은 상태이고, 레버(20)에 누르는 작용이 없으면, 상기 제1 스프링(71)은 레버(20)를 밀어 올리고, 레버(20)는 링크(30)를 끌어당기며, 링크(30)는 슬라이더(40)를 전진 이동(C)시킨다.
상기 록커 레버(50)는 상기 보디(10)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록커 레버(50)에 제5 보스(52)가 형성되고, 제5 보스(52)는 보디(10)의 제2 샤프트(12)와 조립된다. 즉, 록커 레버(50)는 제2 샤프트(12)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록커 레버(50)는 상기 슬라이더(40)가 후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40)를 통과시키며, 제2 스프링(72)의 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더(40)에 밀착하여 상기 슬라이더(40)의 전진 이동은 억제한다.
상기 제2 스프링(72)은 상기 제4 샤프트(14)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스프링(72)의 한쪽은 보디(10)에 닿고, 다른 한쪽은 록커 레버(50)에 닿으며, 제2 스프링(72)이 복원력을 작용하면 록커 레버(50)가 슬라이더(40)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 제1, 2 스프링(71, 72)은 수많은 스프링 형식 중에 토션 스프링을 채용한 것으로 하나의 예시를 보인 것이며, 판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릴리프 버튼(60)은 상기 보디(10)의 전방에 형성된 버튼 포켓(16)에 설치될 수 있고, 마치 총기의 방아쇠를 당기듯이 릴리프 버튼(60)을 당겨 조작할 수 있다. 릴프 버튼(60)에는 제6 샤프트(62)가 형성되고, 제6 샤프트(62)에 제3 스프링(73)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릴리프 버튼(60)을 조작하면 릴리프 버튼(60)은 작동 운동방향(A)으로 후퇴 이동되는 것이다.
릴리프 버튼(60)이 후퇴 조작되면 상기 록커 레버(50)로부터 상기 슬라이더(40)의 억제를 해제하도록 하고, 사용자 조작이 해제되면 제3 스프링(73)의 복원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보디(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한쪽에 스프링 포켓(15)이 형성되고,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스프링(73)이 수납되어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체내 조직의 수술 대상 부위를 견인하거나 시야를 확보하고자 수술용 의료장치의 기능부를 접근시키고 작동시킬 수 있고, 기능부는 수술 의사의 조작에 따라 기능부가 정확한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기능부의 작동은 레버(20)의 누름 정도에 따라 구부릴 수 있고, 릴리프 버튼(60)을 조작하여 기능부를 펼칠 수 있다.
이하, 도 7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7부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각 도면의 (a)는 손잡이부를 보인 도면이고, 각 도면의 (b)는 기능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에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은 초기 상태를 보인 것이다.
레버(20)는 보디(10)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슬라이더(40)는 도 7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상태는 전진 상태이다.
록커 레버(50)는 슬라이더(40)에 밀착되어 있고, 릴리프 버튼(60)은 전진한 상태로서 레버(50)에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은 상태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레버(20)를 누르면 링크(30)를 세워진 자세에서 눕혀지는 자세로 전환하면서 슬라이더(40)를 후퇴 이동(B)시킨다. 슬라이더(40)가 후퇴 이동(B)할 때 록커 레버(50)는 방해하지 않고 릴리프 버튼(60)은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슬라이더(40)는 후퇴하면서 로드(90)를 후퇴시키고, 로드(90)의 후퇴에 따라 기능부에서 헤드(130)의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레버(20)를 누르다가 임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고, 이러하면 록커 레버(50)는 슬라이더(40)가 전진 이동(C)할 수 없도록 슬라이더(40)를 억류하며, 이로써 기능부에서 헤드(130)는 변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수술 의사는 손잡이부에서 손을 놓더라도 기능부의 헤드(130)를 소망하는 형태로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그 수술 의사가 다른 의료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의료 행위를 할 수 있다.
도 9은 도 8에 비교하여 레버(20)를 더 깊게 누른 상태이고 예를 들면, 도 8은 기능부의 헤드(130)가 45도 각도로 변형된 것이라면, 도 9은 기능부의 헤드(130)가 90도 각도로 변형된 것일 수 있다.
도 8과 도 9에서는 기능부의 헤드(130)가 45도 및 90도를 보이도록 표현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슬라이더(40)를 정지시키는 위치에 따라 기능부의 헤드(130)의 자세를 정교하게 변형할 수 있고, 그러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리프 버튼(60)을 조작하면 릴리프 버튼(60)은 록커 레버(50)를 작동시켜 록커 레버(50)로부터 슬라이더(40)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로써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프링(71)의 복원력으로 레버(20)가 상승하고, 링크(30)가 눕힌 자세에서 세워지는 자세로 전환되면서 슬라이더(40)를 전진 이동(C)시킨다.
슬라이더(40)가 전진 이동(C)하면 기능부의 헤드(130)는 구부린 자세에서 펼쳐진 자세로 전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수술 의사가 기능부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킨 후에, 추가적인 조작을 하지 않을 때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수술용 의료장치를 조작했던 의사가 다른 의료장치를 조작하여 의료 행위를 할 수 있으므로, 수술에 참여하는 인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수술 의사의 의지에 따라 기능부의 변형된 형상을 초기 형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수술 의사가 한손으로 편리하게 기능부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수술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본 수술용 의료장치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을 변경하거나 의사가 본 수술용 의료장치를 현재 파지하고 있는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손쉬게 릴리프 버튼을 통해 기능부의 변형된 형상을 초기 형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록커 레버(50)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1 톱니 형상부(4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록커 레버(50)는 상기 슬라이더(40)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2 톱니 형상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2 톱니 형상부(42, 54)의 형상의 특성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40)가 후퇴 이동(B)하면 상기 제2 톱니 형상부(54)가 상기 제1 톱니 형상부(42)를 넘어가고, 상기 슬라이더(40)가 전진 이동(C)하면 상기 제1 톱니 형상부(42)와 상기 제2 톱니 형상부(54)를 물려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제1 톱니 형상부(42)의 톱니 개수에 따라 슬라이더(40)가 멈추는 위치를 좀 더 정교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슬라이더(40)가 최대한 후퇴한 위치에서 최대한 전진한 위치까지 톱니 개수가 예를 들어 9개가 형성되어 있다면 한 개의 톱니 형상을 건널 때마다 슬라이더(40)가 0.5mm후퇴하게 되면 헤드(130)는 자세가 7.5도씩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헤드(130)의 자세를 변경시킴으로써 체내 조직을 끌어당기거나 스트랩에 이동시키거나 스트랩에 매듭을 형성시키는 등의 의료를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록커 레버(5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버(10)에 설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보디(10)의 제2 샤프트(12)를 중심으로 록커 레버(50)는 시소 운동할 수 있다.
록커 레버(50)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톱니 형상부(54)와 반대쪽에서 상기 릴리프 버튼(60)과 접촉한다.
록커 레버(50)는 상기 릴리프 버튼(60)과 접촉하는 면에 제1 경사면(56)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경사면(56)은 상기 릴리프 버튼(60)의 작동 운동방향(A)에 대하여 18도 이상 20도 이하의 예각(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릴리프 버튼(60)의 작동 운동방향(A)에 대하여 18도 이상 20도 이하의 예각(a)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의 (a)는 슬라이더(40)와 록커 레버(50)와 릴리프 버튼(60)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예각(a1)이 20도 초과한 예를 보인 것이고, 도 5의 (c)는 예각(a)이 18도 이상 20도 이하의 예를 보인 것이며, 도 5의 (d)는 예각(a2)이 18도 미만의 예를 보인 것이다.
제1 톱니 형상부(42)의 톱니 형상 높이(h)는 0.2~1mm 수준으로 릴리프 버튼(60)의 이동 변위에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이다.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예각(a)은 18도 이상 20도 이하이면 릴리프 버튼(60)을 조작할 때, 사용자 자신이 조작했음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릴리프 버튼(60)이 후퇴 이동(A)하는 이동 변위(s)는 예를 들어 3~7mm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수치의 범위는 릴리프 버튼(60)이 후퇴한 것을 확실하게 알아차릴 수 있다.
반면에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각(a1)이 20도를 초과하여 구성하면, 제1 톱니 형상부(42)로부터 제2 톱니 형상부(54)의 물림 또는 물림 해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톱니 형상 높이(h)만큼 변위를 구현할 때 릴리프 버튼(60)의 이동 범위(s1)가 너무 작아서 사용자는 릴리프 버튼(60)이 후퇴 이동하였는지를 확신하지 못할 수 있고, 릴리프 버튼(60)의 후퇴 이동을 확신하기 위하여 무리하게 릴리프 버튼(60)에 큰 힘을 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각(a2)이 18도 미만으로 구성하면, 제1 톱니 형상부(42)로부터 제2 톱니 형상부(54)의 물림 또는 물림 해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톱니 형상 높이(h)만큼 변위를 구현할 때 릴리프 버튼(60)의 이동 범위(s2)가 너무 크게된다.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손아귀에 적합한 크기로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손잡이부의 내부 공간은 한정되어야 하는 특성이 있다. 이때문에 손잡이부의 내부공간은 비좁을 수 있고, 제1 톱니 형상부(42)의 톱니 크기는 매우 작은 크기로 형성할 수밖에 없는 특별한 사정이 있으며, 릴리프 버트(60)이 이동할 수 있는 변위 공간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경사면(56)을 상기 릴리프 버튼(60)의 작동 운동방향(A)에 대하여 18도 이상 20도 이하의 예각(a)으로 형성함으로써 릴리프 버튼(60)을 적정한 변위(s)로 이동시켜서 이동했음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고, 손잡이부 내부에 한정된 공간에서 제1 톱니 형상부(42)로부터 제2 톱니 형상부(54)의 물림 또는 물림 해제를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릴리프 버튼(60)은 기능부의 헤드(130)를 구부려진 자세에서 펼치는 자세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수술 의사는 릴리프 버튼(60)을 총기의 방아쇠를 당기듯이 당기면 릴리프 버튼(60)이 후퇴하면서 록커 레버(50)와 기구적 작용을 한다.
릴리프 버튼(60)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퇴 이동(A)하면, 제2 경사면(66)은 제1 경사면(56)과 접촉하고, 록커 레버(50)는 후퇴 이동할 수 없으므로 도 10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록커 레버(5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톱니 형상부(42)와 제2 톱니 형상부(54)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이로써 슬라이더(40)는 구속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 있다.
이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프링(71)의 복원력으로 레버(20)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링크(30)는 세워지면서 슬라이더(40)를 당기고 슬라이더(40)는 전진 이동(C)한다. 슬라이더(40)가 전진 이동(C)하면 기능부의 헤드(130)는 구부러지거나 기울어진 자세에서 펼친 자세로 전환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샤프트(80)와 로드(9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기능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무빙 밴드(100), 스테이 밴드(110), 노드 블록(120) 및 헤드(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샤프트(80)는 상기 보디(10)의 전방에 설치되고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80)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로드(90)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슬라이더(40)에 커넥터(44)구성으로 연결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샤프트(80)의 내부에서 활주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4)는 로드(90)는 슬라이더(40)에 끼우고 볼트를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고, 기능부에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볼트를 풀고 새로운 로드와 기능부 부품으로 교체할 수 있다.
무빙 밴드(100)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로드(90)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샤프트(80)에서 활주한다. 즉, 슬라이더(40)가 진퇴 운동할 때 무빙 밴드(100)가 샤프트(80)에서 진퇴 운동할 수 있다.
스테이 밴드(110)는 상기 보디(10)와 반대쪽의 상기 샤프트(80) 끝부분에 고정된다.
노드 블록(12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서로 간격을 갖도록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노드 블록(120)은 상기 무빙 밴드(100)가 통과되고, 상기 스테이 밴드(110)에 고정된다.
헤드(130)는 상기 무빙 밴드(100)와 상기 스테이 밴드(110)의 끝부분에 설치되고, 홀(132) 또는 슬릿(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32)은 바늘귀에 실을 꿰는 것처럼 스트랩을 끼워 넣을 수 있다. 슬릿(134)은 마치 갈퀴처럼 스트랩을 끌어당기거나 스트랩을 끼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이 완료된 후에 스트랩을 벗겨낼 수 있다.
즉, 상기 헤드(130)는 수술 행위에 따라 홀(132) 또는 슬릿(134)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레버(20)를 작동시키지 않은 초기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130)가 선형으로 펼쳐진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20)를 작동시키면 슬라이더(40)는 후퇴하고, 이로써 슬라이더(40)는 로드(90)를 당기며, 로드(90)는 무빙 밴드(100)를 당긴다.
샤프트(80)의 끝부분부터 헤드(130)의 사이에서 무빙 밴드(100)는 길이가 짧아지지만, 스테이 밴드(110)는 길이 변화가 없다. 이로써 헤드(130)는 무빙 밴드(100) 쪽으로 자세가 변형될 수 있다.
이후, 릴리프 버튼(60)을 조작하고 레버(20)의 누름 작용을 해제하면 슬라이더(40)가 전진 이동(C)하고, 이로써 로드(90)가 전진하면서 무빙 밴드(100)를 전진시킨다. 이로써 샤프트(80)의 끝부분부터 헤드(130)의 사이에서 무빙 밴드(100)의 길이와 스테이 밴드(110)의 길이가 같아질 수 있고, 이러하면 헤드(130)는 구부러진 자세에서 펼친 자세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으로, 도 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무빙 밴드(100)와 상기 스테이 밴드(110)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무빙 밴드(100)의 긴변과 상기 스테이 밴드(110)의 긴변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무빙 밴드(100)와 스테이 밴드(110)는 항상 특정한 방향으로 한정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특정한 방향은 상기 무빙 밴드(100)와 상기 스테이 밴드(110)의 직사각형 형상의 긴변에 대하여 직각 방향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기능부에서 헤드(130)가 어느 방향으로 구부려질 것인지를 인식한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스트랩을 끌어당기거나 스트랩에 매듭을 묶거나, 체내 조직을 당기거나 할 때, 레버(20)를 어느 정도 조작하여야 할지 예측할 수 있고, 이로써 계획된 수술 방법대로 수술을 진행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디(10), 레버(20), 및/또는 릴리프 버튼(60)은 오염 방지 효과가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시켜 오염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무기 나노 입자; 실린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의 평균 직경이 3 내지 5㎛이다.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직경이 작은 무기 파우더를 이용함에 따라, 코팅층을 형성하더라도 촉감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티탄산 바륨(barium titanate), 실리카(SiO2), 티타네이트(T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티탄산 바륨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OCF3 치환기를 다수 포함하고 있고, 상기 -OCF3 치환기에 의해 코팅층 내에 불소 피막을 형성하여 방오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링커로 탄소수 1 내지 100의 알킬렌기를 포함하고 있어 에스테르기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 -OCF3 치환기가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어, 코팅 층 내에 무기 나노 입자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함에 따라, 방오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커는 탄소수 5 내지 10의 알킬렌기로, 즉 n은 5 내지 10의 정수로,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코팅층의 두께 범위 내에서 방오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는 불소 피막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n이 5 미만인 경우, 무기 나노 입자와 -OCF3 치환기간의 간섭 효과로 인해 방오 효과가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n이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층 내의 무기 나노 입자와 불소 피막간의 거리가 멀어져 간섭 효과 발생은 방지할 수 있으나 불소 피막과 무기 나노 입자의 조합에 의한 방오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베타인계, 아미드베타인계, 술포베타인계, 히드록시술포베타인계, 아미도술포베타인계 및 포스포베타인계,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바인더, 우레탄계 바인더, 실리콘계 바인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바인더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하이드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는 카본계 필러의 분산제로 당업계에서 채용하는 공지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분산제, 폴리올레핀계 분산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분산제, 폴리아릴레이트계 분산제, 폴리아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미드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릴설폰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설폰계 분산제, 폴리페닐렌 설피드계 분산제, 폴리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케톤계분산제, 폴리벤족사졸계 분산제, 폴리옥사디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조티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즈이미다졸계 분산제, 폴리피리딘계 분산제, 폴리트리아졸계 분산제, 폴리피롤리딘계 분산제, 폴리디벤조퓨란계 분산제, 폴리설폰계 분산제, 폴리우레아계 분산제, 폴리우레탄계 분산제, 폴리포스파젠계 분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류 용매, 할로겐 함유 탄화수소류 용매, 케톤류 용매, 셀로솔브류 용매 및 아미이드류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무기 나노입자; 실란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나노 입자 5 내지 20 중량부; 실란 화합물 20 내지 50 중량부;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부; 바인더 30 내지 5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무기 나노 입자; 실란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 후, 10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여 제조한다. 제조된 코팅 조성물은 1,500 내지 2,000cps의 점도를 나타내며, 상기 점도 범위 내에서 기재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 시 일정한 형상의 유지가 가능하여 공지된 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을 용이하게 한다.
[제조예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평균 직경이 3 내지 5㎛인 티탄산 바륨(barium titanate),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알킬베타인계 계면활성제, 폴리하이드로실록산 바인더, 물 및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를 혼합하고, 100 rpm의 속도로 10 내지 30분동안 교반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여기서, n 은 1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모두 구매하여 코팅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보다 구체적인 코팅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BB1 BB2 BB3 BB4 BB5 BB6 BB7 BB8 BB9 BB10 BB1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티탄산 바륨 1 5 10 15 20 25 15 15 15 15 15
실란 화합물 10 20 30 40 50 60 40 40 40 40 40
계면활성제 5 10 13 16 20 30 16 16 16 16 16
바인더 20 30 35 45 50 60 45 45 45 45 45
분산제 1 5 7 8 10 20 8 8 8 8 8
5×5cm 시편을 BB1 내지 BB11의 코팅 조성물에 침지시키고, 90 내지 95℃에서 60분 동안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외관 평가]
상기 BB1 내지 BB11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을 코팅 시키기 전에 25℃에서 Brookfield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고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외관을 관찰하였다.
기재의 표면에 평탄하게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굴곡진 정도에 따라 하기와 같은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였다.
○: 평탄한 코팅층 형성
△: 일부 굴곡진 형태로 코팅층을 형성
×: 많은 부분에서 굴곡진 형태로 코팅층을 형성
BB1 BB2 BB3 BB4 BB5 BB6
점도(cps) 500 1,120 1,560 1,800 1,920 2,250
외관 평가 Х Х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외관을 평가한 결과, 코팅 조성물의 함량 범위에 따라 점도가 다르게 측정되었으며 점도 범위에 따라 균일 코팅층 형성 여부에서 큰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내오염성 평가]
실험번호 BB1 내지 BB6로 표면이 코팅된 시편을 마찰견뢰도 시험기(모델명 DL-2007)에 위치하고, 오염포(Test fabric, 품명 IEC carbon black/mineral oil, EMPA社)를 피오염 시료 표면에 위치하여, 10회 왕복 마찰 실시하고 피오염된 시료를 육안 비교하여 하기 표 2과 같이 오염 등급을 부여하였다.
평기 기준은 하기와 같다.
◎: 피오염물이 전혀 보이지 않음
○: 피오염물이 약간 보이거나 거의 눈에 띄지 않음
△: 피오염이 약간 심하게 보임
×: 피오염이 상당히 심하게 보임
BB1 BB2 BB3 BB4 BB5 BB6
내오염성 Х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BB1은 피오염이 상당히 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BB 2 및 BB 6의 경우에는 피오염이 약간 심하게 나타났다. 반면 BB3 내지 BB5에서는 피오염물이 전혀 보이지 않거나, 피오염물이 거의 눈에 띄지 않아, 내오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장치는, 간 절제 수술 또는 위 절제 수술할 때, 스트랩 또는 의료용 실을 꿰어서 체내 조직을 견인하거나 체내 조직을 들어 올리거나, 체내 조직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보디 11~14: 제1~4 샤프트
15: 스프링 포켓 16: 버튼 포켓
20: 레버
22: 제1 보스 24: 제5 샤프트
30: 링크 32, 34: 제2, 3 보스
40: 슬라이더 42: 제1 톱니 형상부
44: 커넥터 46: 제4 보스
50: 록커 레버 52: 제5 보스
54: 제2 톱니 형상부 56: 제1 경사면
60: 릴리프 버튼 62: 제6 샤프트
64: 버튼 보디 66: 제2 경사면
71~73: 제1~3 스프링
80: 샤프트 90: 로드
100: 무빙 밴드 110: 스테이 밴드
120: 노드 블록 130: 헤드
132: 홀 134: 슬릿

Claims (5)

  1.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 보디;
    상기 보디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보디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며, 사용자의 눌림 작용이 해제되면 제1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귀하는 레버;
    상기 레버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된 링크;
    상기 링크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레버가 눌리면 상기 링크 때문에 상기 레버가 눌리는 변위에 비례하여 후퇴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보디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통과시키며, 제2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밀착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전진 이동은 억제하는 록커 레버;
    상기 보디의 전방에 설치되고 후퇴 조작되면 상기 록커 레버로부터 상기 슬라이더의 억제를 해제하도록 하고, 사용자 조작이 해제되면 제3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귀하는 릴리프 버튼;
    상기 보디의 전방에 설치되고 관으로 형성된 샤프트;
    한쪽 끝부분이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서 활주하는 로드;
    한쪽 끝부분이 상기 로드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샤프트에서 활주하는 무빙 밴드;
    상기 보디와 반대쪽의 상기 샤프트 끝부분에 고정된 스테이 밴드;
    상기 무빙 밴드가 통과되고, 상기 스테이 밴드에 고정되며 서로 간격을 갖도록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노드 블록; 및
    상기 무빙 밴드와 상기 스테이 밴드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홀 또는 슬릿이 형성된 헤드;
    를 포함하는 수술용 의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밴드와 상기 스테이 밴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에서 볼 때 무빙 밴드의 긴변과 스테이 밴드의 긴변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무빙 밴드와 상기 스테이 밴드는 무빙 밴드의 긴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정되어 구부러지는 것
    을 포함하는 수술용 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록커 레버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1 톱니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커 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2 톱니 형상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 이동하면 상기 제2 톱니 형상부가 상기 제1 톱니 형상부를 넘어가고,
    상기 슬라이더가 전진 이동하면 상기 제1 톱니 형상부와 상기 제2 톱니 형상부를 물려서 이동이 제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 레버는 상기 레버에 설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고, 상기 제2 톱니 형상부와 반대쪽에서 상기 릴리프 버튼과 접촉하며, 상기 릴리프 버튼과 접촉하는 면에 제1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릴리프 버튼의 작동 방향에 대하여 18도 이상 20도 이하의 예각(a)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장치.
KR1020210121335A 2021-09-11 2021-09-11 수술용 의료장치 KR102643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35A KR102643289B1 (ko) 2021-09-11 2021-09-11 수술용 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35A KR102643289B1 (ko) 2021-09-11 2021-09-11 수술용 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373A KR20230038373A (ko) 2023-03-20
KR102643289B1 true KR102643289B1 (ko) 2024-03-05

Family

ID=8579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335A KR102643289B1 (ko) 2021-09-11 2021-09-11 수술용 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2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8513B2 (en) * 2003-10-30 2008-03-04 Cambridge Endoscopic Devices, Inc. Surgical instrument
KR101198775B1 (ko) 2012-01-18 2012-11-12 박광태 수술용 도구, 이를 위한 수술용 메쉬와 수술용 견인수단, 이를 이용한 수술 방법
US10610345B2 (en) * 2016-09-21 2020-04-07 Ethicon, Inc. Applicator instruments for dispensing surgical fasteners having articulating shafts
KR102034690B1 (ko) 2016-11-29 2019-10-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자유도를 극대화한 수술용 클립 조작 장치
KR102347945B1 (ko) 2017-05-04 2022-01-06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미세 수술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373A (ko) 202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9511B (zh) 用于医疗手术的切除线引导件及其使用方法
US10993721B2 (en) Surgical clip applier
US8709037B2 (en) Surgical instrument
AU2017330257B2 (en) Hemostasis clip with reloadable clipping mechanism
EP3620118A1 (en) Elongated assemblies for surgical clip appliers and surgical clip appliers incorporating the same
AU2015336119B2 (en) Torque device and securement mechanism
EP1723916A1 (en) Patellar resection tool
KR102541896B1 (ko) 혈관 보철물 전개 장치 및 사용 방법
DE69931233T2 (de) Vorrichtung zum Messen der Gewebespannung zum Gebrauch in der Kniechirurgie
TWI282266B (en) A jacket for use with a lock latch, a lock latch incorporating the same and a slide incorporating the lock latch and jacket
EP3527153A1 (en) Surgical access port fixation device
EP2043530A2 (en) Surgical instrument
US20120303049A1 (en) Surgical instrument
EP2653120B1 (de) Handhabungseinrichtung für ein medizinisches Instrument
KR102643289B1 (ko) 수술용 의료장치
JP2020512141A (ja) 鼻送達工具、システム、及び使用の方法
US20230149037A1 (en) Laparoscopic grasper with force-limiting grasping mechanism
US202203046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suture
WO1996024303A1 (en) Medical instrument with force limiting mechanism
EP3610808A1 (en) Elongated assemblies for surgical clip appliers and surgical clip appliers incorporating the same
WO2018235401A1 (ja) クリップ処置具
US11944289B2 (en) Articulating surgical instruments
US20240000591A1 (en) Resilience adaptive stent delivery device and methods
CN219940909U (zh) 一种肩关节盂骨块移植定位器
CA3230888A1 (en) Surgical clip appl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