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205B1 - 로스터용 배기후드 - Google Patents

로스터용 배기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205B1
KR102643205B1 KR1020230112662A KR20230112662A KR102643205B1 KR 102643205 B1 KR102643205 B1 KR 102643205B1 KR 1020230112662 A KR1020230112662 A KR 1020230112662A KR 20230112662 A KR20230112662 A KR 20230112662A KR 102643205 B1 KR102643205 B1 KR 102643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rved
hood
roast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23011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스터용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덕트에 연결된 상태로 기름받이캡이 설치되어 있는 후드관을 로스터의 상부에서 미세한 각도로 조절된 위치를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연기 배출과 숯불 활성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각도 조절할 때 느끼는 작동감이 부드러워 상품성이 우수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배기덕트(1)의 하부에 수직하게 위치 고정되는 연결관(10)과; 상기 연결관(10)을 통해 연결되며, 하단부로 기름받이캡(21)이 마련되어 고기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유증기 등을 배출시키는 후드관(2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성형되는 곡면지지부(12)와; 상기 연결관(10)의 외측 하부로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되며 곡면지지부(12)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만곡부(31)가 형성되는 고정관체(30)와; 상기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와 곡면지지부(12) 사이로 끼워진 상태로 만곡부(31)의 안내로 굴곡 방향으로 각도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곡면부(51)가 구비되는 유동관체(50)와; 상기 곡면지지부(12)와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 사이에서 곡면부(51)가 굴절되며 후드관(20)의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곡면부(51)를 가압하여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가압수단(6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스터용 배기후드{Exhaust hood for roaster}
본 발명은 로스터용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덕트에 연결된 상태로 기름받이캡이 설치되어 있는 후드관을 로스터의 상부에서 미세한 각도로 조절된 위치를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연기 배출과 숯불 활성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각도 조절할 때 느끼는 작동감이 부드러워 상품성이 우수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등에서 구이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는 다량의 유증상태의 연기가 발생된다.
유증에는 다량의 기름과 냄새가 포함되어 있음으로, 고기를 구울 때 연기를 빨리 배출하기 위해 식당에는 구이판의 상측에 배기용 후드를 설치하여, 구이판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빠르게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덕트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배기용 후드는 배기팬과 연결되는 메인덕트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드관과, 이 후드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기름받이캡, 그리고 기름받이캡의 상부로 안착되는 필터로 구성된다.
후드관은 하단이 개방된 금속재의 관형태로 연기 흡입구에 위치되는 기림받이캡의 상하 높이 조절을 위해 상부연통과 하부연통이 중첩 가능하게 2중관으로 구성된다.
기름받이캡은 하측면이 밀폐된 용기형상으로 후드관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팬이 구동되면서 구이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기름받이캡의 흡기구멍을 통해 상기 후드관의 내부로 흡입된 후,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연기에 포함된 비교적 가벼운 입자상태의 기름 일부는 후드관과 연결관을 통해 배기덕트의 출구와 연결된 실외로 배출되고, 비중이 무거운 기름의 일부는 후드관의 내벽면에 부착되거나 후드관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려 상기 기름받이캡의 내부에 수집된다.
근래에는 흡입관과 로스터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로스터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연통의 하단이 로스터에 대하여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연통과 하부연통의 사이에는 자체 승강 조절장치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후드관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승강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이유는 음식물의 조리시 조리 대상물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연기 및 냄새의 정도에 따라서 흡입구의 높낮이가 적절히 조절되게 함으로써 연기 및 냄새 등의 원활한 흡입은 물론 로스터 주변에 둘러 앉은 사람들 간의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드관의 높낮이 조절은 조로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장기간 사용으로 와이어에 유증이 부착되어 열기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1133703호에서는 후드관의 각도조절을 위해 배기덕트에 연결된 연결관과 후드관 사이에 볼죠인트 구조의 힌지부를 형성하여 후드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볼 형태의 힌지구조는 생산 및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도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 그 조절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기가 어려워 사용자가 후드관을 손으로 잡고 있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 고기 굽는 과정에서 후드관의 상하 높이 조절과 시야 방해 방지를 위한 후드관 각도 변경을 수시로 실행하는 과정, 또는 사용자의 부주위로 후드관에 충격을 가했을 때 후드관과 직접 연결된 연결관과 배기덕트로 충격과 진동이 전달된다.
이러한 충격과 진동이 누적되면서 배기덕트와 연결관 주의의 이음부가 헐거워 지거나 취약 부분에서 파손이 발생되어 자주 부품 교체나 보수를 수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1787478호(등록일자 2017년10월12일)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1264281호 (등록일자 2013년05월08일)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1133703호 (등록일자 2012년03월29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름받이캡이 설치되어 있는 후드관을 로스터의 상부에서 미세한 각도로 조절된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로스터용 배기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기 배출이 필요한 위치와 숯불 활성화가 필요한 위치 등을 감안하여 후드관의 자유로운 각도 변경이 가능하여 연기 배출 효율과 숯불 활성화 효율을 향상시켜 최적의 상태로 고기를 굽도록 하면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로스터용 배기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드관 조작시에 부주의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이 연결관 및 배기덕트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로스터용 배기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덕트와 연결관의 이음부에서 헐거워지거나 취약해지는 경우를 방지하여 보수나 부품 교체가 불필요 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로스터용 배기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도 조절할 때 느끼는 작동감이 부드러워 상품성이 우수하도록 된 로스터용 배기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기덕트(1)의 하부에 수직하게 위치 고정되는 연결관(10)과;
상기 연결관(10)을 통해 연결되며, 하단부로 기름받이캡(21)이 마련되어 고기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유증기 등을 배출시키는 후드관(2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성형되는 곡면지지부(12)와;
상기 연결관(10)의 외측 하부로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되며 곡면지지부(12)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만곡부(31)가 형성되는 고정관체(30)와;
상기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와 곡면지지부(12) 사이로 끼워진 상태로 만곡부(31)의 안내로 굴곡 방향으로 각도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곡면부(51)가 구비되는 유동관체(50)와;
상기 곡면지지부(12)와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 사이에서 곡면부(51)가 굴절되며 후드관(20)의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곡면부(51)를 가압하여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가압수단(6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고정관체(30)에는 만곡부(31)의 하단으로 꺽임부(32)가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연결관(10)과 고정관체(30)에 동일 위치로 조립구멍(41)과 체결구멍(42)을 각각 다수개 뚫고, 볼트(43)와 너트(44)를 통해 체결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40)은 연결관(10)과 고정관체(30)에 동일 위치로 조립구멍(41)과 체결구멍(42)을 각각 다수개 뚫고, 리벳을 통해 체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은 연결관(10)의 곡면지지부(12)에 조립구멍(13)을 뚫고, 이 조립구멍(33)의 위치로 연결관(10) 내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은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에 홀(33)을 뚫고, 이 홀(33)의 위치로 고정관체(3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관체(50)의 하단부에 걸림턱(52)이 형성되어 후드관(20)의 이탈 방지함과 아울러, 걸림턱(52) 내측으로 만곡부(31)에 접촉되는 O링(70)을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은 외부나사(62)와 내부나사(63)가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되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내측 선단으로 구름 자유롭게 설치되는 볼(64)과,
볼(64)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65)과,
몸체(61)의 내측 후단부에서 내부나사(63)에 나사 체결되어 스프링(65)의 탄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66)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61)의 외부나사(62)에는 너트부재(67)가 나사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기름받이캡이 설치되어 있는 후드관을 로스터의 상부에서 원하는 위치로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후드관의 각도 조절된 위치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후드관을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전혀 없다.
셋째, 연기 배출이 필요한 위치와 숯불 활성화가 필요한 위치 등을 감안하여 후드관의 각도 변경이 가능하여 연기 배출 효율과 숯불 활성화 효율을 향상시켜 최적의 상태로 고기를 굽도록 하면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넷째, 배기덕트에 고정되는 연결관과 후드관 사이에 고정관체와 유동관체를 구비하여 후드관을 조작할 때 또는 부주의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될 때 유동관체에서 유격을 통해 흔들리면서 충격 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다섯째, 연결관과 배기덕트에는 충격과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못하게 되므로 이음부가 헐거워지거나 취약부에서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여섯째, 후드관의 미세각도 조절 후 흔들리거나 복귀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할 때 느끼는 작동감이 부드러워 상품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후드관이 배기덕트에 연결관을 통해 설치된 상태로 탄성가압수단이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가압수단이 고정관체 외측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름받이캡이 설치되어 있는 후드관을 로스터의 상부에서 미세한 각도로 조절된 위치를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고기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 배출 및 숯불 활성화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고, 각도 조절할 때 느끼는 작동감도 부드럽게 하여 상품성이 우수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관(20)이 연결관(10)을 통해 배기덕트(1)에 설치되고, 후드관(20)의 하부로는 기름받이캡(21)이 조립된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기름받이캡(21)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가 설치된다.
후드관(20)은 금속재의 관 형상으로 화덕 또는 구이판과의 거리 조절을 위해 2중관으로 일부 중첩되거나 또는 주름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구이판의 위치를 감안하여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결된다.
기름받이캡(21)의 내측 상부에는 걸림망 구조로 된 필터부재가 설치되어 고기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에 포함된 기름은 흡착시키고 순수 연기만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천정에 고정된 상태로 출구가 외부로 연결되어 있는 배기덕트(1)에는 후드관(20)의 설치 위치를 감안하여 연결관(10)이 수직하게 위치 고정된다.
연결관(10)은 플랜지부(11)가 일체로 절곡되어 주로 볼트에 의해 배기덕트(1)의 하부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후드관(20)은 연결관(10)을 통해 연결되는데, 연결관(10)과 후드관(20) 사이에 고정관체(30)와 유동관체(50)를 더 설치하여 후드관(20)의 미세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후드관(20)과 연결관(10) 사이에 고정관체(30)와 유동관체(50)가 설치된 상태되고, 탄성가압수단(60)이 연결관 내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구성을 분해하여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6은 고정관체(30)의 외측으로 탄성가압수단(60)이 설치되어 곡면부(51)를 볼(64)에 의해 적절한 탄성력으로 가압하고 있는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관(10)의 하부에는 일체로 구(球)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곡면지지부(12)가 연장 성형되고, 상기 고정관체(30)에는 연결관 또는 후드관(20)과 동일한 일정 두께의 금속판재로 성형되어 배기덕트(1)의 하부에 고정되는 연결관(10)의 외측으로 고정수단(40)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고정관체(30)의 하부에는 곡면지지부(12)와 일정간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만곡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유동관체(50)의 곡면부(51)와 접촉된 상태에서 특정한 방향성 없이 다양한 각도 굴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연결관(10)의 외부로 조립되는 고정관체(30)의 설치 위치를 감안하여 동일한 중심 위치로 연결관(10)에는 조립구멍(41)을, 그리고 고정관체(30)에는 체결구멍(42)을 각각 다수개 뚫게 된다.
그리고, 이 조립구멍(41)과 체결구멍(42)을 통해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볼트(43)를 관통하여 너트(44)를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 고정관체(30)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40)은 연결관(10)과 고정관체(30)에 동일 위치로 조립구멍(41)과 체결구멍(42)을 각각 다수개 뚫고, 도시하지 않은 리벳부재를 관통하여 둥근머리를 후공정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고정관체(30)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위치 고정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유동관체(50)는 일정 두께의 금속판재로 성형되어 고정관체(30)의 내측과 연결관(10) 사이로 굴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에는 후드관(20)이 연결된다.
유동관체(50)의 상부는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와 대응되는 구(球)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곡면부(51)가 일체로 성형되어 만곡부(31)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안내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동관체(50)의 하단부에는 걸림턱(52)이 형성되어 후드관(20)의 상단부가 걸어져서 후드관(20) 및 기름받이캡(21)의 자중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후드관(20)과 유동관체(20)가 함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유동관체(50)의 하단부에 걸림턱(52)이 형성되어 후드관(20)의 이탈 방지함과 아울러, 걸림턱(52) 내측으로 만곡부(31)에 접촉되는 O링(70)을 더 설치하여 만곡부(31)가 굴절을 가이드하고,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고정관체(30)에는 만곡부(31)의 하단으로 수직면 경계 위치에 꺽임부(32)가 일체로 절곡 성형되어 유동관체(50)의 곡면부(51)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10)의 하부에는 곡면지지부(12)가 일체로 성형되는데, 도 4 에서와 같이 곡면지지부(12)와 곡면부(51)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어 곡면부(51)가 미세한 각도로 굴절되며 후드관(20)이 위치 조절된 상태에서 탄성가압수단(60)에 의해 곡면부(51)를 가압하여 위치를 안정적으로 임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후드관(20)과 연결관(10) 사이에 고정관체(30)와 유동관체(50)가 피봇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유로운 각도로 후드관(20)을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연기 흡입 위치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연기 배출에 필요한 흡입력에 의해 숯불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면 숯불을 신속하게 활성화 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로스터를 이용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후드관(20)의 각도가 필요한 위치로 조절된 상태에서 탄성가압수단(60)에 의해 후드관(20)이 유동되거나 자중에 의해 수직하게 복귀되지 못하도록 조절된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은 연결관(10)의 곡면지지부(12)에 조립구멍(13)을 뚫고, 이 조립구멍(13)의 위치로 연결관(10) 내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도 2 및 도 4)
또,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은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에 홀(33)을 뚫고, 이 홀(33)의 위치로 고정관체(3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도 6 및 도 7)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의 구성은 외부나사(62)와 내부나사(63)가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되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내측 선단으로 구름 자유롭게 설치되는 볼(64)과, 볼(64)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65)과, 몸체(61)의 내측 후단부에서 내부나사(63)에 나사 체결되어 스프링(65)의 탄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66)와, 상기 몸체(61)의 외부나사(62)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재(67)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가압수단(60)을 설치하기 위해 곡면지지부(12)에 뚫어지는 조립구멍(13) 또는 만곡부(31)에 뚫어지는 홀(33)에 암나사를 가공한 후 몸체(61) 외측에 형성된 외부나사(62)가 나사 체결되도록 한 후 너트부재(67)를 조여서 유동되지 못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곡면지지부(12)에 뚫어지는 조립구멍(13) 또는 만곡부(31)에 뚫어지는 홀(33)의 중심에 볼(64)을 통과시킨 후 너트부재(67)와 곡면지지부(12) 또는 만곡부(31) 면부분에 용접을 통해 몸체(61)를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볼(64)은 스프링(65)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조절나사(66)에 의해 적절한 탄성력을 보유한 상태로 몸체(61) 내부에서 구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동관체(50)의 곡면부(51)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가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후드관(20)이 연결된 상태에서 유동관체(50)를 함께 각도 조절하게 되면 볼(64)이 적절한 압력으로 곡면부(51)를 가압한 상태로 볼(64)은 구름 동작되므로 저항감 없이 부드럽게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후드관(20)이 원하는 각도로 미세하게 위치 조절된 후 가해진 힘을 제거하더라도 후드관(20) 및 유동관체(50)는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의 역할에 의해 유동되거나 자중에 의해 수직하게 복귀되지 않고 조절된 위치를 고정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탄성가압수단(60)은 2개-4개 사이 복수개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균형감과 안정감을 갖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의 부주의로 후드관(20) 및 기름받이캡(21)에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될 때 고정관체(30)로부터 유동관체(50)가 순간적으로 흔들리면서 충격과 진동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차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후드관(20) 하단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이나 진동이 연결관(10) 및 배기덕트(1)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것에 의해, 그 이음부가 헐거워지거나 취약부에서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배기덕트
10 - 연결관
12 - 곡면지지부
20 - 후드관
30 - 고정관체
31 - 만곡부
32 - 꺽임부
40 - 고정수단
41 - 조립구멍
42 - 체결구멍
43 - 볼트
44 - 너트
50 - 유동관체
51 - 곡면부
52 - 걸림턱
60 - 탄성가압수단
61 - 몸체
64 - 볼
65 - 스프링
66 - 조절나사

Claims (9)

  1. 배기덕트(1)의 하부에 수직하게 위치 고정되는 연결관(10)과;
    상기 연결관(10)을 통해 연결되며, 하단부로 기름받이캡(21)이 마련되어 고기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유증기 등을 배출시키는 후드관(2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성형되는 곡면지지부(12)와;
    상기 연결관(10)의 외측 하부로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되며 곡면지지부(12)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만곡부(31)가 형성되는 고정관체(30)와;
    상기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와 곡면지지부(12) 사이로 끼워진 상태로 만곡부(31)의 안내로 굴곡 방향으로 각도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곡면부(51)가 구비되는 유동관체(50)와;
    상기 곡면지지부(12)와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 사이에서 곡면부(51)가 굴절되며 후드관(20)의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곡면부(51)를 가압하여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가압수단(6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후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30)에는 만곡부(31)의 하단으로 꺽임부(32)가 일체로 절곡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후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연결관(10)과 고정관체(30)에 동일 위치로 조립구멍(41)과 체결구멍(42)을 각각 다수개 뚫고, 볼트(43)와 너트(44)를 통해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후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연결관(10)과 고정관체(30)에 동일 위치로 조립구멍(41)과 체결구멍(42)을 각각 다수개 뚫고, 리벳을 통해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후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은 연결관(10)의 곡면지지부(12)에 조립구멍(13)을 뚫고, 이 조립구멍(33)의 위치로 연결관(10)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후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은 고정관체(30)의 만곡부(31)에 홀(33)을 뚫고, 이 홀(33)의 위치로 고정관체(3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후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체(50)의 하단부에 걸림턱(52)이 형성되어 후드관(20)의 이탈 방지함과 아울러, 걸림턱(52) 내측으로 만곡부(31)에 접촉되는 O링(7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후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60)은 외부나사(62)와 내부나사(63)가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되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내측 선단으로 구름 자유롭게 설치되는 볼(64)과,
    볼(64)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65)과,
    몸체(61)의 내측 후단부에서 내부나사(63)에 나사 체결되어 스프링(65)의 탄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후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몸체(61)의 외부나사(62)에는 너트부재(67)가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후드.




KR1020230112662A 2023-08-28 2023-08-28 로스터용 배기후드 KR10264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2662A KR102643205B1 (ko) 2023-08-28 2023-08-28 로스터용 배기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2662A KR102643205B1 (ko) 2023-08-28 2023-08-28 로스터용 배기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205B1 true KR102643205B1 (ko) 2024-03-05

Family

ID=9029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2662A KR102643205B1 (ko) 2023-08-28 2023-08-28 로스터용 배기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2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831Y1 (ko) * 2005-10-12 2006-01-11 신현구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90019740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로스터용 배기 장치
KR20100123165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로스터용 배기후드
KR101264281B1 (ko) 2009-04-16 2013-05-22 박진선 연기흡입관의 승강 조절장치
KR101787478B1 (ko) 2017-06-19 2017-10-18 나진호 후드 기름받이용 필터
KR102521255B1 (ko) * 2022-12-05 2023-04-14 주식회사 한빛이엔에스 배기후드용 승강 조절부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831Y1 (ko) * 2005-10-12 2006-01-11 신현구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90019740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로스터용 배기 장치
KR101264281B1 (ko) 2009-04-16 2013-05-22 박진선 연기흡입관의 승강 조절장치
KR20100123165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로스터용 배기후드
KR101133703B1 (ko) 2009-05-14 2012-04-06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로스터용 배기후드
KR101787478B1 (ko) 2017-06-19 2017-10-18 나진호 후드 기름받이용 필터
KR102521255B1 (ko) * 2022-12-05 2023-04-14 주식회사 한빛이엔에스 배기후드용 승강 조절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797B2 (en) Damper suitable for liquid aerosol-laden flow streams
US20090095168A1 (en) Broiler Pan having Grease Draining Function
ATE473667T1 (de) Verbesserter grill und grillkomponenten
CN107339693B (zh) 一种全上进风式灶具燃烧器
KR102643205B1 (ko) 로스터용 배기후드
US20060225723A1 (en) Detachable stove and barbecue combination
KR20190103568A (ko) 배연기능이 향상된 배기장치
CN108800239A (zh) 一种吸油烟机的安装结构及吸油烟机
KR100566858B1 (ko) 분진제거용 암타입 덕트
CN107178807A (zh) 一种低噪声厨房排油烟机
US7172221B1 (en) Pipe stabilizing system
US369161A (en) Adjustable hood for cooking-stoves
US6101925A (en) Humidity device for oven
JP5191451B2 (ja) ガラストップコンロ
CN207162652U (zh) 一种低噪声厨房排油烟机
CN219828935U (zh) 挂板组件和吸油烟机
CN220152813U (zh) 一种集成灶的吸油烟机
EP1001225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tap equipped with safety valve belonging to a multipurpose gas cooking surface
CN210218806U (zh) 一种油烟机烟管用止回阀组件
CN219432131U (zh) 可调节的蜗壳组件和抽油烟机
CN220436605U (zh) 排气嘴及集成灶
US7909113B1 (en) Hydro-powered fireplace safety and cleaning system
JP4864820B2 (ja) レンジフード
CN214581066U (zh) 环保型不锈钢烧烤炉炉头
CN207716495U (zh) 一种油烟机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