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033B1 -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033B1
KR102643033B1 KR1020217037479A KR20217037479A KR102643033B1 KR 102643033 B1 KR102643033 B1 KR 102643033B1 KR 1020217037479 A KR1020217037479 A KR 1020217037479A KR 20217037479 A KR20217037479 A KR 20217037479A KR 102643033 B1 KR102643033 B1 KR 10264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ection
evaporator section
current carrying
coo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553A (ko
Inventor
미하엘 케슬러
올레크잔드르 졸로구벵코
야로슬라프 헴를레
안제이 리바크
아담 미할리크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15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2Cooling of switc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6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separ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chambers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duit; Loop-type heat pipes; with multiple or common evaporating or condens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2Heating or cooling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10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4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electrical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2Cooling of switch parts
    • H01H2009/523Cooling of switch parts by usin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2Cooling of switch parts
    • H01H2009/526Cooling of switch parts of the high voltage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며, 냉각 장치는 - 증발기 섹션; - 유체 도관; 및 -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전기 절연성이며,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각 장치는, 사용 시에,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가 증기 상태로 가열되고, 증기는 유체 도관에 의해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는 작동 유체로 응축된다. 응축된 작동 유체는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된다.

Description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
본 발명은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switchgear)를 위한 냉각 장치,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방법, 및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의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의 격실이 완전히 밀봉될 때, 손실로 인한 열 소산은 패널의 열 관리의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중전압 스위치기어서의 고전류 정격에 대해, 히트 싱크 또는 가스 냉각기와 같은 피동적 냉각 요소가 사용된다. 매우 높은 효율을 갖는 더 콤팩트한 해결책은 열 파이프로 구성된다. 이들은 전용 핫 스폿(hot spot)으로부터 더 낮은 온도를 갖는 영역으로 열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 파이프는 유체 및 가스에 대한 우수한 밀폐성을 제공하고 또한 동작 중에 튜브 내의 압력 증가를 관리할 수 있는 금속 튜브로 구성된다.
WO2013/139666A1은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를 설명한다. 스위치기어는 회로 차단기의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주 접촉부를 갖는다. 냉각 장치는 각각의 주 접촉부와 연관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응축기가 증발기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 유체 도관 구조물은 증발기를 응축기와 유체 연결한다. 유체 도관 구조물의 일부는 연관된 주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위치기어의 버스바(busbar)를 형성하는 버스바 튜브를 형성한다. 작동 유체는 증기 상태로 가열되도록 증발기 내에 있고, 유체 도관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주 접촉부 및 연관된 버스바 튜브를 냉각시키기 위해 증기를 응축기로 전달하도록 그리고 응축된 작동 유체를 증발기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US6574094B1은 공간 및 중량을 절감하면서 버스바의 전류 운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버스바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내부 벽을 갖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하우징 내에 분배 매니폴드를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분배 매니폴드는 중공 버스바를 포함하는, 분배 매니폴드를 위치시키는 단계; 증발 냉각제의 공급물을 매니폴드에 연통시키는 단계; 및 매니폴드를 빠져나갈 때 냉각제가 액체로부터 증기 상태로 상 변화를 겪도록 압력 하에서 냉각제를 외측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열은 적어도 열이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것만큼 빠르게 매니폴드로부터 추출된다. 냉각제의 유동 및 증발에 의한 열의 추출은 버스바의 온도를 유지 또는 낮추고, 버스바의 주어진 크기가 큰 온도 상승 없이 더 많은 전류를 운반할 수 있게 한다.
WO2013/139942A1은 버스바 조인트가 주 접촉부에 연결되는, 회로 차단기의 단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 접촉부를 갖는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를 설명한다. 냉각 장치는 주 접촉부와 연관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응축기가 증발기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 열 파이프 구조물은 증발기를 응축기와 유체 연결한다. 열 전달 구조물이 버스바 조인트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해 버스바 조인트와 결합된다. 작동 유체는 증기 상태로 가열되도록 증발기 내에 있고, 열 파이프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주 접촉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증기를 응축기로 전달하고 응축된 작동 유체를 증발기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킨다.
WO2012/161930A1은 스위치기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를 설명한다. 스위치기어는 부싱에 의해 지지되고 회로 차단기의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주 접촉부를 갖는다. 냉각 장치는 각각의 주 접촉부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는 응축기 장치,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를 응축기 장치와 연결하는 유체 도관 구조물, 증기 상태로 가열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내에 있는 전기 절연 작동 유체를 포함하며, 유체 도관 구조물은 유체 도관 구조는 증기를 응축기 장치로 전달하고 응축된 작동 유체를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WO2015/018443A1은 전기 또는 전자 장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로서, 냉매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형인 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기 전도성 섹션을 갖는 냉각 장치를 설명한다. 각각의 전기 전도성 섹션은 전기 또는 전자 장치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부분과 동작적으로 연관되기에 적합한 각각의 결합부를 갖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형인 본체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절연 섹션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전기 절연 섹션은 2개의 인접하는 전기 전도성 섹션들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일반적으로, 열 파이프의 금속 튜브는 유전(dielectric) 이유로 인해 전류 경로 상의 핫 스폿에 직접 연결될 수 없다. 모든 부품이 가스 격실 내부에 머무르는 것을 필요로 하는 해결책은 일반적으로 중전압(MV)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GIS)의 경우에서와 같이 가스 유동이 작은 완전 밀봉 격실 내부에서 제한되기 때문에 양호한 냉각 효율을 제공할 수 없다. 최고 효율은 전류 유도 경로의 금속 부분으로의 열 파이프의 고온 단부의 직접 연결이 존재하고 열 파이프의 저온 단부가 격실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전기 절연 부분이 파이프 내로 통합되어야 한다. 이는 그 후 금속 윅(metallic wick)이 절연 부분에서 중단되어야 하기 때문에 모세관-구동형 액체 복귀를 갖는 종래의 열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 대신에,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력-구동형 열 파이프(일반적으로 서모사이펀(thermosyphon)으로 지칭됨)가 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열 파이프는 하나의 피스가 아니라 기밀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여러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스위치기어의 측벽을 통한 기밀 부싱이 요구되어, 추가적인 비용 및 조립 시간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류 흐름으로 인해 뜨거워지는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내부 부분을 냉각시키는 개선된 기술을 갖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주제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추가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포함된다.
제1 양태에서,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가 제공되며, 냉각 장치는
- 증발기 섹션;
- 유체 도관; 및
-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전기 절연성이며,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각 장치는 사용 시에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가 증기 상태로 가열되도록 구성된다. 증기는 유체 도관에 의해 응축기로 전달된다.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는 작동 유체로 응축된다. 응축된 작동 유체는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각 장치는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전류 운반 접촉부를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열 파이프 또는 서모사이펀이 제공되며, 응축 섹션은 스위치기어 인클로저 외부에 있을 수 있거나, 인클로저 외부에 일부분을 가질 수 있거나, 인클로저의 다른 표면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어떠한 특정한 여분의 절연 부분도 유체 도관에 통합될 필요가 없다. 이는 전류 운반 부분이 고전압이지만, 유체 도관이 냉각 장치의 증발기 섹션에서 본질적으로 전기 절연성이기 때문에, 유체 도관이 고전위로 상승되지 않고 응축기 섹션이 스위치기어의 인클로저의 전위, 예를 들어 접지 전위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그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증발기 섹션은 예를 들어 버스바 부싱을 형성하도록 전류 운반 접촉부와 통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금속 윅이 유체 도관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유체 도관이 고전위로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윅이 유체 도관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응축기 섹션으로부터 증발기 섹션으로의 응축된 작동 유체의 피동적 복귀가 모세관 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피동적 복귀의 효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응축기 섹션은 증발기 섹션 위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일 예에서, 응축기 섹션은 증발기 섹션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냉각 장치는 응축된 작동 유체를 증발기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중력이 사용되는 서모사이펀 시스템일 수 있다. 그러나, 서모사이펀 기능은 필요하다면 모세관 작용을 통해 증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전기 절연성이다.
따라서, 증발기 섹션 자체 내의 중공 도관이 유체 도관의 전기 절연 섹션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싼다.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유체가 가열되어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는 표면에서 증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전류 운반 접촉부의 냉각이 더 개선된다.
제2 양태에서,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가 제공되며, 냉각 장치는
- 증발기 섹션;
- 2개의 유체 도관; 및
-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각각은 전기 절연성이고, 각각은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각 장치는 사용 시에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가 증기 상태로 가열되도록 구성된다. 증기는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1 유체 도관에 의해서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된다.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는 작동 유체로 응축된다. 응축된 작동 유체는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각 장치는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전류 운반 접촉부를 냉각할 수 있고, 2개의 유체 도관을 가짐으로써 작동 유체의 액상 및 기상의 순환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개선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그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증발기 섹션은 예를 들어 버스바 부싱을 형성하도록 전류 운반 접촉부와 통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금속 윅이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유체 도관이 고전위로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윅이 유체 도관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응축기 섹션으로부터 증발기 섹션으로의 응축된 작동 유체의 피동적 복귀가 모세관 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피동적 복귀의 효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응축기 섹션은 증발기 섹션 위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싼다.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유체 채널은 2개의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제3 양태에서,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냉각 장치는 증발기 섹션; 유체 도관; 및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유체 도관의 섹션이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전기 절연성이며,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
유체 도관에 의해 증기를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를 작동 유체로 응축시키는 단계; 및
응축된 작동 유체를 유체 도관을 통해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싼다.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방법은 유체 채널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서,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냉각 장치는 증발기 섹션; 2개의 유체 도관; 및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각각은 전기 절연성이고, 각각은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1 유체 도관에 의해 증기를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를 작동 유체로 응축시키는 단계; 및
응축된 작동 유체를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싼다.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체 채널은 2개의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방법은 유체 채널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서,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의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냉각 장치는 증발기 섹션,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 및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방법은:
전기 절연성인 상기 증발기 섹션 내에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들 및 예들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지고 이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전위에서 열원을 냉각하기 위한 서모사이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는 증발 섹션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는 증발 섹션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는 증발 섹션의 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방법, 및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의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각 장치는 스위치기어의 전류 운반 접촉부의 냉각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전기 장비 내에 "핫 스폿"을 형성하는 모든 방식의 부품을 냉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의 예에서, 냉각 장치는 증발기 섹션, 유체 도관, 및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전기 절연성이며,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각 장치는, 사용 시에,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가 증기 상태로 가열되고, 증기는 유체 도관에 의해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는 작동 유체로 응축되고, 응축된 작동 유체는 유체 도관을 통해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된다.
일 예에서, 전류 운반 접촉부는 주 접촉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주 접촉부는 예를 들어 스위치기어의 회로 차단기의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링 형상이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로 형성되는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유체 도관의 섹션은 전기 절연 튜브로 형성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세라믹 및 유리 재료들과 같은 절연 재료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플라스틱 및/또는 고무 재료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유리 섬유 보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구리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작동 유체는 전기 절연성이다.
일 예에서, 작동 유체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예컨대, R134a, R245fa), 플루오르케톤(fluorketons)(예컨대, 3M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NOVEC-649™, NOVEC-5110™), 및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예컨대, 3M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HFE-7100™)와 같은 냉매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그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일 예에 따르면, 금속 윅이 유체 도관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 따르면, 응축기 섹션은 증발기 섹션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
일 예에 따르면, 증발기 섹션은 전기 절연성이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싼다.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 및/또는 전류 운반 접촉부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구리 튜브를 포함한다.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의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증발기 섹션, 2개의 유체 도관, 및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각각은 전기 절연성이고, 각각은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각 장치는, 사용 시에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가 증기 상태로 가열되도록, 그리고 증기가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1 유체 도관에 의해서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는 작동 유체로 응축된다. 응축된 작동 유체는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된다.
일 예에서, 전류 운반 접촉부는 주 접촉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주 접촉부는 예를 들어 스위치기어의 회로 차단기의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링 형상이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각각의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로부터 형성된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각각의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각각의 유체 도관의 섹션은 전기 절연 튜브로 형성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구리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그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버스바 부싱을 형성하도록 전류 운반 접촉부와 통합된다.
일 예에 따르면, 금속 윅이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응축기 섹션은 증발기 섹션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전기 절연성이다.
일 예에 따르면,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싼다.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체 채널은 2개의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 및/또는 전류 운반 접촉부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구리 튜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는 또한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각 장치는 증발기 섹션, 유체 도관, 및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전기 절연성이며,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 유체 도관에 의해서 증기를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를 작동 유체로 응축시키는 단계; 및 응축된 작동 유체를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그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버스바 부싱을 형성하도록 전류 운반 접촉부와 통합된다.
일 예에서, 전류 운반 접촉부는 주 접촉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주 접촉부는 예를 들어 스위치기어의 회로 차단기의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링 형상이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로 형성되는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유체 도관의 섹션은 전기 절연 튜브로 형성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구리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금속 윅이 유체 도관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응축기 섹션은 증발기 섹션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싼다.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방법은 유체 채널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 및/또는 전류 운반 접촉부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구리 튜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는 또한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각 장치는 증발기 섹션, 2개의 유체 도관, 및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각각은 전기 절연성이고, 각각은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1 유체 도관에 의해서 증기를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를 작동 유체로 응축시키는 단계; 및 응축된 작동 유체를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그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버스바 부싱을 형성하도록 전류 운반 접촉부와 통합된다.
일 예에서, 전류 운반 접촉부는 주 접촉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주 접촉부는 예를 들어 스위치기어의 회로 차단기의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링 형상이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각각의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로부터 형성된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각각의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각각의 유체 도관의 섹션은 전기 절연 튜브로 형성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구리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금속 윅이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응축기 섹션은 증발기 섹션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싼다.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체 채널은 2개의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방법은 유체 채널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 및/또는 전류 운반 접촉부 내에 포함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구리 튜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예는 또한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의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각 장치는 증발기 섹션,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 및 응축기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한다.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방법은, 증발기 섹션 내에 전기 절연성인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증발기를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에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방법은 버스바 부싱을 형성하기 위해 증발기 섹션을 전류 운반 접촉부와 통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링 형상이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로 형성되는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유체 도관의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본체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벽을 갖는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된 유체 도관의 섹션은 전기 절연 튜브로 형성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구리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유체 도관의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는 증발기 섹션을 링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 내의 유체 도관의 섹션에 대응하는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튜브 또는 고체 부분이 배치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절연 재료를 포함하고, 방법은 튜브 또는 고체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튜브는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고, 튜브 또는 고체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튜브 또는 고체 부분을 가열하는 단계 및/또는 용매(예컨대, 물, 아세톤)로 튜브 또는 고체 부분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의 유체 도관의 섹션에 대응하는 증발기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튜브가 배치된다. 튜브는 절연 재료를 포함하고, 튜브는 증발기 섹션 내의 유체 도관의 섹션을 형성하며, 증발기 섹션은 구리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방법은 증발기 섹션 내에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의 내부 표면 주위에 연장된다.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 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방법은 전류 운반 접촉부 내에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 주위에 연장되고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싼다. 방법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일 예에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방법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의 내부 표면 주위에 연장된다.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 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된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증발기 섹션의 주 본체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부터의 작동 유체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표면을 갖는다.
일 예에서, 유체 채널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구리 튜브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 내에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증발기 섹션을 링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 내의 유체 채널에 대응하는 증발기 섹션 주위에 연장되는 튜브 또는 고체 링이 배치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절연 재료를 포함하고, 방법은 튜브 또는 고체 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튜브 또는 링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며, 튜브 또는 링을 제거하는 단계는 튜브 또는 링을 가열하는 단계 및/또는 튜브 또는 링을 용매(예컨대, 물, 아세톤)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증발기 섹션은 구리를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 내에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증발기 섹션을 링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증발기 섹션 내의 유체 채널에 대응하는 증발기 섹션 주위에 연장되는 전기 절연성 재료의 튜브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방법은 유체 채널로부터 전류 운반 접촉부의 중공 중심까지 전류 운반 접촉부의 벽을 통해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적어도 일부 재료가 개구를 통해서 유동하도록, 연관된 튜브 또는 고체 부분을 가열하고 및/또는 용매(예를 들어, 물, 아세톤)로 연관된 관 또는 고체 부분을 세척함으로써, 유체 도관 또는 유체 채널의 섹션의 일부를 형성하는 관 또는 고체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예에서, 스위치기어가 위에서 설명된 냉각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방법, 및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의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더 설명되며,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한다.
새로운 냉각 기술은 서모사이펀의 증발기 섹션 및 절연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정 예에서 양자 모두는 버스바 부싱(핫 스폿) 내부에 통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스 밀폐성 및 전기 절연성이 에폭시 부분 자체에 의해 제공되고, 추가의 부싱 또는 밀봉부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열 파이프의 냉각 액체는 버스바 소켓 내측의 구리 부분과 직접 접촉하고 그에 따라 핫 스폿에 연결된다. 열은 스위치기어 격실 외부에서 응축기 섹션으로 소산될 수 있다. 동시에, 열 파이프는 격실 내부의 가스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 2는 전도체로서 표시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는 냉각 장치의 에폭시 수지로 제조되는 증발 섹션을 도시한다. 전기 절연을 위해, 증발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연결하는 유체 도관의 중공 섹션이 에폭시 부분 내부에 제공된다. 링 형상 접촉 영역으로서 표시된 링 형상으로 유체 채널 또는 공극을 형성하는 것은 액체가 구리 부분 주위로 유동하게 하여 매우 양호한 열 추출을 제공한다. 열가소성 부분은 사출 성형에 의해 또는 용매(예를 들어, 물, 아세톤)에 대해 민감한 3D 인쇄에 의해 제조된다. 이 부분은 부싱의 에폭시 주조 중에 몰드 내에 배치되고 그 후 세척되며(도 3 참조), 세척은 열가소성 부분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그 후 용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지지 구조물(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3D 인쇄 프로세스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채널이 중공(예컨대, 튜브형, 벌집형) 형상의 형태로 생성되는 경우에, 용매의 유동이 개선되고 용해 공정이 더 효율적일 것이다. 구리 부분의 저부에서의 작은 개구가 열가소성 섹션을 통한 유동을 단순화한다. 개구는 열가소성 재료의 제거 후에 납땜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증발기 섹션을 절연 재료로 제조하기보다는,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연결하는 유체 도관의 섹션이 제자리에 남겨지는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되는 조립된 해결책에서, 전기 절연성인 열가소성 튜브가 소켓 내에 남는다. 구리 부분 주위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통한 냉각을 돕기 위한 유체 채널인, 링 형상의 공극은 구리 부분 내의 너트 및 전도체 상에 납땜되는 구리 링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연결하는 단지 하나의 유체 도관을 사용하기보다는, 2개 이상의 튜브로 구성되는 폐쇄 루프가 유체의 액상 및 기상의 순환을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효율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들 및 전술한 설명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도시 및 설명은 설명적 또는 예시적이며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른 변형들이 도면, 개시내용, 및 종속 청구항들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고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이며, 냉각 장치는
    - 증발기 섹션;
    - 유체 도관; 및
    - 응축기 섹션을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하고,
    유체 도관의 일 섹션이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전기 절연성이며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증발기 섹션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된 유체 채널이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고,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되고,
    냉각 장치는 사용 시에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가 증기 상태로 가열되도록 구성되고, 증기는 유체 도관에 의해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되고,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는 작동 유체로 응축되며, 응축된 작동 유체는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되는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이에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냉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금속 윅이 유체 도관 내에 포함되는 냉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응축기 섹션은 증발기 섹션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는 냉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증발기 섹션은 전기 절연성인 냉각 장치.
  6.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이며, 냉각 장치는
    - 증발기 섹션;
    - 2개의 유체 도관; 및
    - 응축기 섹션을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하며;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의 섹션이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각각은 전기 절연성이고, 각각은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증발기 섹션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된 유체 채널이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고,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유체 채널은 2개의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되고,
    냉각 장치는 사용 시에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가 증기 상태로 가열되도록 구성되고, 증기는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1 유체 도관에 의해서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되고,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는 작동 유체로 응축되고, 응축된 작동 유체는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되는 냉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냉각 장치는 전류 운반 접촉부를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이에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냉각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금속 윅은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 내에 포함되는 냉각 장치.
  9.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방법이며, 냉각 장치는
    - 증발기 섹션;
    - 유체 도관; 및
    - 응축기 섹션을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하고,
    유체 도관의 일 섹션은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전기 절연성이며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증발기 섹션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된 유체 채널이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고,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
    유체 도관에 의해 증기를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를 작동 유체로 응축시키는 단계; 및
    응축된 작동 유체를 유체 도관을 통해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체 채널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방법이며, 냉각 장치는
    - 증발기 섹션;
    - 2개의 유체 도관; 및
    - 응축기 섹션을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하며;
    2개의 유체 도관 각각의 섹션이 증발기 섹션 내에 형성되고, 각각은 전기 절연성이고, 각각은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증발기 섹션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된 유체 채널이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고,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유체 채널은 2개의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증발기 섹션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1 유체 도관에 의해 증기를 응축기 섹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응축기 섹션 내의 증기를 작동 유체로 응축시키는 단계; 및
    응축된 작동 유체를 2개의 유체 도관 중 제2 유체 도관을 통해서 증발기 섹션으로 피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체 채널 내의 작동 유체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의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방법이며, 냉각 장치는 증발기 섹션,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 및 응축기 섹션을 포함하고; 증발기 섹션은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은 증발기 섹션을 응축기 섹션에 유체 연결하며;
    증발기 섹션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된 유체 채널이 전류 운반 접촉부를 둘러싸고, 유체 채널은 작동 유체가 전류 운반 접촉부 주위에 연장되는 전류 운반 접촉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유체 채널은 유체 도관에 유체 연결되고,
    증발기 섹션을 형성하는 방법은
    전기 절연성인 증발기 섹션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217037479A 2019-05-20 2020-05-14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 KR102643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5434.0A EP3742461B1 (en) 2019-05-20 2019-05-20 Cooling apparatus for a medium voltage or high voltage switchgear
EP19175434.0 2019-05-20
PCT/EP2020/063502 WO2020239467A1 (en) 2019-05-20 2020-05-14 Cooling apparatus for a medium voltage or high voltage switchg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553A KR20210152553A (ko) 2021-12-15
KR102643033B1 true KR102643033B1 (ko) 2024-03-05

Family

ID=6662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479A KR102643033B1 (ko) 2019-05-20 2020-05-14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27398B2 (ko)
EP (1) EP3742461B1 (ko)
KR (1) KR102643033B1 (ko)
CN (1) CN113874673A (ko)
WO (1) WO2020239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1834A1 (en) * 2020-08-26 2022-03-02 ABB Schweiz AG Cooling system for a medium voltage switchg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0292A1 (en) * 2008-08-14 2011-07-28 Abb Technology Ag High-voltage isolator with field control element
WO2013139942A1 (en) 2012-03-22 2013-09-26 Abb Technology Ag Cooling apparatus for switchgear with enhanced busbar joint cooling
WO2013139666A1 (en) 2012-03-22 2013-09-26 Abb Technology Ag Cooling apparatus for switchgear with heat pipe structure having integrated busbar tube
WO2016116410A1 (en) 2015-01-20 2016-07-28 Abb Technology Ag Switchgear cooling system comprising a heat pipe, fan and thermoelectric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9366A (en) * 1956-10-29 1959-03-24 Ohio Crankshaft Co Electrical conductor for induction heating coils
US3728585A (en) 1972-06-12 1973-04-17 Gen Electric Electric switchboard assembly with bus bar heat pipe means
US3764765A (en) 1972-06-12 1973-10-09 Gen Electric Heat dissipation means for electric devices mounted in switchboards (especially circuit breakers)
US3769551A (en) 1972-08-14 1973-10-30 Gen Electric Circuit breaker with heat pipe cooling means
US4005297A (en) 1972-10-18 1977-01-2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s having heat-dissipating devices associated with the contact structures thereof
US4358631A (en) 1980-09-10 1982-11-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eat dissipating electrical bushing
US4964457A (en) * 1988-10-24 1990-10-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Unidirectional heat pipe and wick
US6574094B1 (en) 2002-04-11 2003-06-03 General Dynamics Land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bus bars
DE502004009974D1 (de) 2004-11-16 2009-10-08 Abb Schweiz Ag 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 mit Kühlung
EP1667300B1 (de) 2004-12-03 2014-03-19 ABB Research Ltd. Hochspannungsanlage und Hochleistungsschalter mit Kühlung
EP1672655A1 (de) 2004-12-20 2006-06-21 Abb Research Ltd. Vakuumschalter mit grosser Stromtragfähigkeit
EP1737009A1 (de) 2005-06-23 2006-12-27 Abb Research Ltd. Elektrische Anlage mit einem Kühlelement und Verfahren zum Betrieb dieser Anlage
CN100383963C (zh) * 2005-07-08 2008-04-23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薄型环路式散热装置
ATE510337T1 (de) 2006-08-25 2011-06-15 Abb Research Ltd Kühlein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betriebsmittel
US8699210B2 (en) * 2007-05-31 2014-04-15 Siemens Industry, Inc. Integrated water current connection for motor drive
ITBG20090030A1 (it) 2009-05-28 2010-11-29 Abb Spa Dispositivo per la connessione di una linea elettrica ad un interruttore.
FR2951858B1 (fr) 2009-10-26 2011-12-23 Areva T & D Sas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d'un appareil moyenne tension utilisant des caloducs isoles
FR2951856A1 (fr) 2009-10-26 2011-04-29 Areva T & D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d'une installation electrique moyenne tension sous gaine
FR2951859B1 (fr) 2009-10-26 2012-12-21 Areva T & D Sas Procede de refroidissement par caloducs integres d'un appareil electrique moyenne tension et systeme utilisant ce procede
US8695358B2 (en) 2011-05-23 2014-04-15 Abb Research Ltd. Switchgear having evaporative cooling apparatus
US20130319024A1 (en) * 2012-05-29 2013-12-05 Abb Technology Ag Dual Port Heat Pipe Structure For Switchgear
US9906001B2 (en) 2012-09-06 2018-02-27 Abb Schweiz Ag Passive cooling system for switchgear with star-shaped condenser
WO2015018443A1 (en) 2013-08-07 2015-02-12 Abb S.P.A. Cooling apparatus for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such cooling apparatus
US10178803B2 (en) * 2016-03-11 2019-01-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Thermosyphon cooling apparatus with isolation of cooled compon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0292A1 (en) * 2008-08-14 2011-07-28 Abb Technology Ag High-voltage isolator with field control element
WO2013139942A1 (en) 2012-03-22 2013-09-26 Abb Technology Ag Cooling apparatus for switchgear with enhanced busbar joint cooling
WO2013139666A1 (en) 2012-03-22 2013-09-26 Abb Technology Ag Cooling apparatus for switchgear with heat pipe structure having integrated busbar tube
WO2016116410A1 (en) 2015-01-20 2016-07-28 Abb Technology Ag Switchgear cooling system comprising a heat pipe, fan and thermoelectric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2461B1 (en) 2022-02-23
CN113874673A (zh) 2021-12-31
WO2020239467A1 (en) 2020-12-03
KR20210152553A (ko) 2021-12-15
US20220074672A1 (en) 2022-03-10
US11927398B2 (en) 2024-03-12
EP3742461A1 (en)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5891B1 (en) Withdrawable switchgear with thermosiphon heat- pipe cooled bushings
US9867316B2 (en) Cooling apparatus for switchgear with heat pipe structure having integrated busbar tube
US8717746B2 (en) Cooling apparatus for switchgear with enhanced busbar joint cooling
US9736967B2 (en) Cooling apparatus for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such cooling apparatus
CN104335310A (zh) 用于开关设备的双端口热管结构
JP2018186272A (ja) 高圧端子の冷却構造
KR102643033B1 (ko) 중전압 또는 고전압 스위치기어를 위한 냉각 장치
KR20110007041A (ko) 열적 균형 설비를 갖는 스위칭 디바이스
US9997302B2 (en) Electrical component hav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entral element
US20230018694A1 (en) Cooling Apparatus for a Medium Voltage or High Voltage Switchgear
CN115968337A (zh) 充电器插头管嘴
EP4151943A1 (en) Cooling apparatus for a medium voltage or high voltage switchgear
EP4084244A1 (en) Cooling apparatus for a medium voltage switch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