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839B1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839B1
KR102642839B1 KR1020210177858A KR20210177858A KR102642839B1 KR 102642839 B1 KR102642839 B1 KR 102642839B1 KR 1020210177858 A KR1020210177858 A KR 1020210177858A KR 20210177858 A KR20210177858 A KR 20210177858A KR 102642839 B1 KR102642839 B1 KR 102642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it
plug
out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323A (ko
Inventor
이서준
Original Assignee
이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준 filed Critical 이서준
Priority to KR102021017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8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지 불량 및 감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장치의 플러그(plug)를 전기 배선과 안전하게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콘센트(concent)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단자홀을 저면부에 마련한 소켓부, 상기 소켓부의 저면부에 적층되되, 일측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천공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상기 단자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콘센트{SAFETY CONCENTRIC PLUG}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지 불량 및 감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서, 통상 콘센트 몸체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와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 몸체에 내장된 전원 단자와 결합되도록 결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단자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국가별로 사용하는 플러그와 콘센트의 규격화의 문제를 떠나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결합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콘센트는 TV, 냉장고 등 여러 전기 기기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매개체가 되는 이로운 점이 있으나, 어린이가 젓가락 등을 찔러 보게 하는 호기심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발생시킨다.
후자의 경우에서, 콘센트의 2개의 단자홀 모두에 젓가락과 같은 금속성 부재를 찔러 넣은 경우에 어린이가 감전을 당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6913호는 콘센트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부분을 덮는 덮개를 구비한 콘센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덮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어린이 보호라는 면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매번 덮개를 탈착하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러그 접속 및 분리의 불안정성을 제거하고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전기 장치의 플러그(plug)를 전기 배선과 안전하게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콘센트(concent)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외형을 형성하고, 노출홀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단자홀을 저면부에 마련한 소켓부; 상기 소켓부의 저면부에 적층되되, 일측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가이드부; 판상 형태이고,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알림부; 상기 알림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 상기 알림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 및 상기 소켓부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의 일부분에는 문자, 숫자, 도형,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에 따라 상기 노출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하기 전과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한 후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연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상기 연통홀과 상기 단자홀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상기 전기 배선의 전기 흐름을 ON/OFF 시키는 제1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는 평상시에 상기 전기 배선의 전기 흐름을 OFF 시키고, 상기 가이드부가 일측 방향으로 선회하면 상기 전기 배선의 전기 흐름을 ON으로 변환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단자홀을 가리고 사용시에는 단자홀을 노출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알림부를 형성하여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속 및 단속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림에 따라 플러그와 콘센트를 완전하게 접속하고 단속할 수 있게 하여 불안정한 요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제작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몸체부 내부의 제1 스위치부와 단자홀과 가이드부의 일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부를 선회시킨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를 정면에서 도시하고 몸체부 내부의 탄성부재와 단자홀과 가이드부의 일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가이드부를 선회시킨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에서 가이드부만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몸체부 내부의 제1 스위치부와 단자홀과 가이드부의 일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부를 선회시킨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1)는 몸체부(1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건축물 등의 벽면에 매입 설치되거나 건축물 등의 벽면에 매입된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장된 상태로 단부에 형성된 멀티탭 형상일 수 있다.
몸체부(100)는 내부에 전기 배선의 전기 흐름을 ON/OFF 시키는 제1 스위치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일측부에 전기 장치 등의 플러그(plug)(미도시)를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내부에 LED 전등을 설치하고, LED 전등은 전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배선에 전기가 흐르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소켓부(110)는 몸체부(100)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단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부(110)는 둘레부 중 양측부에 오목한 안내홈(111)을 형성할 수 있다.
안내홈(111)은 후술할 가이드부(150)의 안내 돌기(15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소켓부(110)의 둘레부 중 양측부에 형성된 안내홈(111) 중 어느 하나는 제1 스위치부(105)와 연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소켓부(110)는 저면부에 플러그의 접지 핀을 삽입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단자홀(130)을 형성할 수 있다.
단자홀(130)은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여 플러그의 접지 핀을 전기 배선과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장치의 플러그의 접지 핀 개수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단자홀(130)의 개수는 플러그의 접지 핀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자홀(130)은 서로 이격되게 소켓부(110)의 저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러그의 접지 핀을 단자홀(130)에 끼움 결합할 시에는 복수 개의 단자홀(130)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여 접지 핀을 단자홀(130)에 끼움 결합해야 한다.
소켓부(110)는 저면부의 위에 가이드부(150)를 적층되게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단자홀(130)을 평상시에는 가리고 사용시에만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소켓부(110)의 저면부 위에 일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둘레부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된 안내 돌기(155)를 각각 형성하고, 안내 돌기(155)는 소켓부(110)의 안내홈(11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돌기(155)가 안내홈(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부(150)의 선회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가 일측으로 선회하면, 가이드부(150)의 둘레부 양측에 형성된 안내 돌기(155)가 안내홈(111)을 따라 이동하고, 양측의 안내 돌기(155) 중 어느 하나는 안내홈(111)에 연통하게 형성된 제1 스위치부(105)를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스위치부(105)가 전기 배선의 전기 흐름을 off에서 on으로 전환시키고 단자홀(130)에 전기가 흐르게 할 수 있다. 반대로 가이드부(150)가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으로 회전하면 안내 돌기(155)가 제1 스위치부(105)를 가압하던 가압력이 제거되어 제1 스위치부(105)가 전기 배선의 전기 흐름을 on에서 off로 전환하고 단자홀(130)에 전기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몸체를 관통하게 천공된 연통홀(151)을 형성할 수 있다.
연통홀(151)은 단자홀(130)과 연통하여 단자홀(13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50)를 일측으로 선회시키면 연통홀(151)은 단자홀(130)과 연통하게 위치하여 연통홀(151)을 통해 단자홀(130)에 플러그의 접지 핀을 삽입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50)는 단자홀(130)에 플러그를 접속하지 않을 시에 단자홀(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함에 따라 어린아이들이 단자홀(130)에 금속 젓가락 등을 끼워 넣어 발생하는 감전 사고 등과 단자홀(130)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소켓부(110)의 저면부와의 사이에 제1 탄성부재(15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59)는 가이드부(150)를 소켓부(110)의 저면부로부터 탄성에 의해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59)는 코일 스프링, 선 스프링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이드부(150)를 일측으로 선회시킬 때는 플러그의 접지 핀을 연통홀(151)에 끼운 상태에서 플러그를 밑으로 눌러 가이드부(15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접지핀을 연통홀(151)에 끼운 플러그를 가이드부(150)와 함께 일측으로 회전시켜 연통홀(151)과 단자홀(130)을 연통하게 위치시키고, 플러그를 내리 눌러 접지핀을 단자홀(130)에 삽입하여 끼움 결합함에 따라 플러그의 접지핀에 전기가 흐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1)는 가이드부(150)에 의해 단자홀(130)이 가려진 상태와 단자홀(13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알림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190)는 가이드부(150)의 둘레 일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알림부(19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가이드부(150)의 선회시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선회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00)는 알림부(190)의 일부분만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홀(101)을 천공할 수 있다.
즉 알림부(190)는 가이드부(150)와 연결되어 가이드부(150)와 같이 선회하는 판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알림부(190)는 문자, 숫자, 도형,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알림부(190)는 가이드부(150)가 원위치에 있을 때 노출홀(101)을 통해 예컨대 "OFF" 등의 문자를 노출시키고 가이드부(150)가 선회하여 이동하면 가이드부(150)와 함께 선회하여 노출홀(101)을 통해 예컨대 "ON" 등의 문자를 노출시켜 사용자가 눈으로 보고 직관적으로 플러그의 접속 여부를 알게 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가 선회하여 몸체부(100) 내부의 전기 배선에 전기가 흐르게 하면 몸체부(100) 내부의 LED 전등에서 빛을 발산하고 LED 전등에서 발산되는 빛이 알림부(190)에 표시된 "ON"문자 부분을 투과할 수 있다. 알림부(19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연성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림부(190)는 가이드부(150)와 연결되어 가이드부(150)가 원위치에 있을 때와 가이드부(150)가 선회 이동하였을 때를 노출홀(101)에 노출된 부분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즉 알림부(190)는 노출홀(101)에 노출된 부분을 통해 가이드부(150)의 선회 이동에 따른 위치 변화를 표시함에 따라 단자홀(130)에 플러그가 접속한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5를 정면에서 도시하고 몸체부 내부의 탄성부재와 단자홀과 가이드부의 일부를 투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가이드부를 선회시킨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에서 가이드부만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알림부(190)는 빛을 발산하는 전등 등과 같은 조명부(193)를 내부에 형성하고 알림부(190)에서 내부에 조명부(193)가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조명부(193)의 불빛이 투과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9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연성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수지 소재 일 수 있다.
가이드부(150)가 원위치에 있을 때 알림부(190)로 전기가 통하지 않아 빛을 발산하지 않고, 가이드부(150)가 선회하여 이동하면 알림부(190)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2 스위치부(191)가 몸체부(100)의 내부 전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알림부(190)의 내부에 형성된 조명부(193)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때 알림부(190)의 조명부(193)는 붉은 빛, 푸른 빛, 노랑 빛, 녹색 빛 등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알림부(190)는 전기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버저(buzzer) 등과 같은 경고음 발생부(195)를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가 원위치에 있을 때 알림부(190)로 전기가 통하지 않아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가이드부(150)가 선회하여 이동하면 알림부(190)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2 스위치부(191)가 몸체부(100)의 내부 전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알림부(190)의 내부에 형성된 경고음 발생부(195)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알림부(190)는 가이드부(150)의 선회시 몸체부(100)와의 마찰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탄성돌기(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가 원위치에 있을 때 알림부(190)는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가이드부(150)가 선회하여 이동하면 탄성돌기와 몸체부(10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중앙부에 회전축(16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회전축(160)은 가이드부(150)를 관통하여 몸체부(100)에 볼트 결합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가이드부(150)를 선회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제2 탄성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7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일단부를 고정하고 타단부를 가이드부(150)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7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챔버부(103)에 일단부를 고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70)는 가이드부(150)의 둘레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부(153)에 타단부를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가 선회할 시 제2 탄성부재(170)는 돌기부(153)를 따라 늘어났다가 복원력에 의해 복귀할 수 있다.
연통홀(151)을 관통하여 단자홀(130)에 끼움 결합된 플러그를 제거하면 제2 탄성부재(17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부(150)는 선회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단자홀(130)을 위에서 가리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70)는 코일 스프링, 선 스프링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단자홀을 가리고 사용시에는 단자홀을 노출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알림부를 형성하여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속 및 단속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림에 따라 플러그와 콘센트를 완전하게 접속하고 단속할 수 있게 하여 불안정한 요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제작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콘센트
100: 몸체부
101: 노출홀
103: 챔버부
105: 제1 스위치부
110: 소켓부
111: 안내홈
130: 단자홀
150: 가이드부
151: 연통홀
153: 돌기부
155: 안내 돌기
159: 제1 탄성부재
160: 회전축
170: 제2 탄성부재
190: 알림부
191: 제2 스위치부
193: 조명부
195: 경고음 발생부

Claims (5)

  1. 전기 장치의 플러그(plug)를 전기 배선과 안전하게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콘센트(concent)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외형을 형성하고, 노출홀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접지 핀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단자홀을 저면부에 마련한 소켓부;
    상기 소켓부의 저면부에 적층되되, 일측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가이드부;
    판상 형태이고,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알림부;
    상기 알림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
    상기 알림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 및
    상기 소켓부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의 일부분에는 문자, 숫자, 도형,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에 따라 상기 노출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하기 전과 상기 가이드부의 선회한 후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연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일측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상기 연통홀과 상기 단자홀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상기 전기 배선의 전기 흐름을 ON/OFF 시키는 제1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는 평상시에 상기 전기 배선의 전기 흐름을 OFF 시키고, 상기 가이드부가 일측 방향으로 선회하면 상기 전기 배선의 전기 흐름을 ON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77858A 2021-12-13 2021-12-13 안전 콘센트 KR10264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858A KR102642839B1 (ko) 2021-12-13 2021-12-13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858A KR102642839B1 (ko) 2021-12-13 2021-12-13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323A KR20230089323A (ko) 2023-06-20
KR102642839B1 true KR102642839B1 (ko) 2024-03-04

Family

ID=8699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858A KR102642839B1 (ko) 2021-12-13 2021-12-13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8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04U (ko) * 1999-02-22 2000-09-25 신현상 전원콘센트와 플러그
KR100709505B1 (ko) * 2005-10-06 2007-04-20 이광선 회전 스위치형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원 차단시스템
KR101046173B1 (ko) * 2009-09-11 2011-07-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323A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2472B (zh) 一种多功能插座
US7806557B2 (en) Lighting unit, receptacle unit, and assembly thereof
US7500854B2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having a rotatable socket
US8545090B2 (en) LED night light with interchangeable display unit
US7249976B1 (en) Electrical plug, receptacle and switch
US966039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indication effect
US7238028B2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US5484299A (en) Switching type electrical receptacles having selectively orientable plug-receiving contact carriers
CN203707514U (zh) 一种多功能插座
CN201093355Y (zh) 灯具、插接座及灯具与插接座的组合结构
CN112787171B (zh) 底座连接器
KR101932150B1 (ko) 과부하 차단 바이메탈 콘센트
US11646523B1 (en) Powered wall plate with keyed interface
KR102642839B1 (ko) 안전 콘센트
JP2004186091A (ja) 信号表示灯用のユニットおよび信号表示灯
CN102148432B (zh) 线缆连接器组件
US20100015819A1 (en)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US6390261B1 (en) Wire-winding box capable of detecting the line
CN208331888U (zh) 一种小夜灯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KR100609659B1 (ko) 부착식 전원접속기구
KR200382208Y1 (ko)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
CN109027763B (zh) 灯具结构
CN211829342U (zh) 智能插排
JP2009259597A (ja) モジューラ式電気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