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72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limit senso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limit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729B1
KR102642729B1 KR1020220093753A KR20220093753A KR102642729B1 KR 102642729 B1 KR102642729 B1 KR 102642729B1 KR 1020220093753 A KR1020220093753 A KR 1020220093753A KR 20220093753 A KR20220093753 A KR 20220093753A KR 102642729 B1 KR102642729 B1 KR 10264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limit sensor
limit
sens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7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15910A (en
Inventor
박정휘
박재현
유철민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Priority to KR102022009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729B1/en
Publication of KR2024001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9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4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opening ai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는, 댐퍼의 개구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 기구부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 정도에 따라 상기 댐퍼 기구부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를 구비하는 리미트 감지부 및 상기 리미트 센서의 위치를 상기 개구 정도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리미트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method are disclosed, and the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posed with respect to a damper mechanism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an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the It may include a limit detection unit including a limit sens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damper mechanism, and a limi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threshold level in relation to the opening degree.

Description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LIMIT SENSOR}Damper control device and method based on limit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LIMIT SENSOR}

본원은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method.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화재안전기준에 따르면, 옥내로부터 제연 구역 내로 연기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풍속을 방연풍속으로 정의하고, 구체적으로 0.5m/s 이상 또는 0.7m/s 이상으로 적정 방연풍속 값을 결정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fire safety standards currently applied in Korea, the wind speed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inflow of smoke from indoors into the smoke control area is defined as smoke retardant wind speed, and is specifically set to be 0.5 m/s or more or 0.7 m/s or more. The flame retardant wind speed value is being determined.

그러나, 제연구역에 통상적으로 배치되는 자동차압댐퍼의 개구 면적을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규정하는 대로 적용하다 보면, 방화문의 크기 등에 따라 방연풍속이 기 정의된 방연풍속 값과 근접한 값(예를 들면, 0.7m/s 근방의 값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3m/s 수준의 방연풍속과 같이 설정된 적정 방연풍속 값을 상당히 상회하는 수준의 방연풍속이 형성되게 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opening area of the automobile pressure damper, which is usually placed in the smoke control area, is applied as specified by the Korea Fire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the smoke prevention wind speed is close to the predefined smoke prevention wind speed valu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re door, etc.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at a value around 0.7 m/s, etc.), but it may also be formed at a level that significantly exceeds the set appropriate smoke control wind speed value, such as a smoke control wind speed of 3 m/s.

이와 관련하여, 방연풍속이 높을수록 제연구역으로 투입되는 풍량이 많아져, 제연구역과 옥내 사이의 문이 개방되었을 때에는 연기의 유입을 보다 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강한 풍속으로 인하여 오히려 화세를 더욱 키우게 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는 측면이 있고, 특히, 제연구역과 계단실이 근접한 형태의 건물의 경우, 제연구역과 계단실 사이의 문이 개방될 경우, 제연구역의 방화문이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this regard, the higher the smoke prevention wind speed, the greater the amount of wind input into the smoke prevention area, which has the advantage of dramatically preventing the inflow of smoke when the door between the smoke prevention area and the interior is opened. However, due to the strong wind speed, the inflow of smoke is more dramatically prevented. On the contrary, there is a risk that the fire may intensify furth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uilding where the smoke prevention area and the staircase are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door between the smoke prevention area and the staircase is opened, the fire door in the smoke prevention area does not close. may occur.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2938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is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02938.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댐퍼의 개구 수준을 해당 댐퍼가 설치되는 제연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제연구역으로 투입되는 방연풍속이 적정 값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customizing the opening level of the damp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control area where the damper is installed, the smoke control wind speed entering the smoke control area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valu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method.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sought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는, 댐퍼의 개구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 기구부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 정도에 따라 상기 댐퍼 기구부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를 구비하는 리미트 감지부 및 상기 리미트 센서의 위치를 상기 개구 정도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리미트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posed with respect to a damper mechanism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and the damp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It may include a limit detection unit including a limit sens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mechanism, and a limi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hreshold level preset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opening.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는, 상기 리미트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댐퍼 기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amper mechanism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limit sensor.

또한, 상기 댐퍼 기구부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구조체 및 상기 기어 구조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amper mechanism may include an actuator, a gear structure rotated by the actuator, and a rack-and-pinion structure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gear structure into linear motion.

또한, 상기 리미트 센서는 상기 랙-앤-피니언 구조체의 거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mit sensor may be placed at a location where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can be detected.

또한, 상기 댐퍼 기구부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구조체, 상기 기어 구조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구조체 및 상기 기어 구조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mper mechanism unit may include an actuator, a gear structure rotating by the actuator, a guide structure coupled to the gear structure, and a rack-and-pinion structure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gear structure into linear motion. .

또한, 상기 리미트 센서는 상기 가이드 구조체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mit sensor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guide structure.

또한, 상기 리미트 조정부에는, 상기 랙-앤-피니언 구조체의 직선 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센서의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long hole may be formed in the limit adjustment unit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linear movement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and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of the limit sensor is inserted.

또한, 상기 리미트 조정부는, 상기 장공에 대한 상기 결합 부재의 삽입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리미트 센서의 위치를 상기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mit adjustment unit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level by adjust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coupl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elongated hole.

또한, 상기 리미트 조정부는, 상기 리미트 센서와 연결되는 접속 부재 및 상기 랙-앤-피니언 구조체의 직선 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상기 접속 부재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는 볼트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mit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limit sensor and a bolt member that adjusts a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on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linear movement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또한, 상기 임계 수준은 상기 댐퍼가 설치되는 대상 공간에 형성되는 방연 풍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reshold level may be set so that the smoke-reducing wind speed formed in the target space where the damper is installed is within a preset range.

또한, 상기 댐퍼는 건물 내 복수의 층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amp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mpers each disposed on a plurality of floors in the building.

또한, 상기 임계 수준은 상기 복수의 층 각각에 대하여 개별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댐퍼 각각에 대한 상기 리미트 센서의 위치는 개별 설정되는 상기 임계 수준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층 마다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reshold level is individually s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and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ampers may be individually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n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ly set threshold level.

또한, 상기 리미트 센서는, 스위치 센서, 근접 센서, 포토 센서, 홀 센서 또는 광 센서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mit sensor may be a switch sensor, proximity sensor, photo sensor, hall sensor, or light sensor.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댐퍼의 댐퍼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ctuator may provide driving force to rotate the damper blade of the damper.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방법은, (a) 댐퍼의 개구 정도에 대한 임계 수준을 상기 댐퍼가 설치되는 대상 공간에 미리 설정된 범위의 방연 풍속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개구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 기구부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 정도에 따라 상기 댐퍼 기구부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의 위치를 상기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리미트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댐퍼 기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the critical level for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is set to a level such that a smoke-proof wind speed in a preset range is formed in the target space where the damper is installed; Setting step, (b)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damper mechanism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adjusting the position of a limit sensor for limiting the behavior of the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level. and (c)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amper mechanism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limit sensor.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are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be presen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댐퍼의 개구 수준을 해당 댐퍼가 설치되는 제연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제연구역으로 투입되는 방연풍속이 적정 값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is institute, the opening level of the damper is customi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control area where the damper is installed, so that the smoke control wind speed introduced into the smoke control area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value based on a limit sensor. A damper control device and method can be provided.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제5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예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예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s cases where it i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bove”, “at the top”, “below”, “at the bottom”, or “at the bottom”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직선 운동 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1 내지 도 5의 (a)에서 보았을 때 직선 운동 방향은 3시에서 9시 방향이고, 도 1 내지 도 5의 (b)에서 보았을 때 직선 운동 방향은 4시에서 10시 방향일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related to direction or position (direction of linear movement, etc.) are explained based on the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a) of Figures 1 to 5, the direction of linear movement is from 3 o'clock to 9 o'clock, and when viewed from (b) of Figures 1 to 5, the direction of linear movement is from 4 o'clock to 10 o'clock. It can be.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1 기준 상향이 직선 운동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1 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is direction sett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original device. For example, if necessary, the present device may be arranged so that the upward direction of FIG. 1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of linear motion, and as another example, the present device may be arranged so that the upward direction of FIG. 1 is directed in an oblique direction.

본원은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method.

도 1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100)(이하, '댐퍼 제어 장치(100)'라 한다.)는 댐퍼(10)의 개구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 기구부(20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 개시하는 댐퍼(10)는 해당 댐퍼(10)의 개구 정도(예를 들면, 루버(블레이드)의 개구 각도, 평판형 부재의 개구 면적, 개구율 등)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체인 댐퍼 기구부(200)와 댐퍼 기구부(200)에 대하여 배치되어 댐퍼 기구부(200)에 의해 조정되는 개구 정도의 범위를 해당 댐퍼(10)가 설치되는 공간(예를 들면, 제연 구역 등)의 특성에 맞추어 구체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댐퍼 제어 장치(10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mper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used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It may b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damper mechanism unit 200. In other words, the damper 10 disclosed herein is a damper that is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e.g., the opening angle of the louver (blade), the opening area of the flat member, the opening ratio, etc.) of the damper 10. The range of the opening degre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mechanism unit 200 and the damper mechanism unit 200 and adjusted by the damper mechanism unit 2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for example, smoke control area, etc.) where the damper 10 is installed. A damper control device 100 may be provided to make specific decisions.

보다 구체적으로, 댐퍼 제어 장치(100)는 댐퍼(10)의 개구 정도에 따라 댐퍼 기구부(200)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111, 112)를 구비하고, 이러한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를 댐퍼(10)의 개구 정도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is provided with limit sensors 111 and 112 for limiting the behavior of the damper mechanism 200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and these limit sensors 111 and 112 It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critical level in relation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 제어 장치(100)는 댐퍼(10)의 구동을 위한 조작 입력을 인가하거나 댐퍼(10)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관리자) 등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미도시)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미도시)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uses a preset user (administrator) to apply a manipulation input for driving the damper 10 or to check information about the driving state of the damper 10.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through a user terminal (not shown) and a network (not shown) used by others. A network (not shown)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not shown) include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5G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 Personal Area Network), wifi network,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댐퍼(10) 및/또는 댐퍼 제어 장치(10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전송하거나 댐퍼(10) 및/또는 댐퍼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댐퍼(10)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건물 내 각 층에 구비된 댐퍼(10)에 탑재된 댐퍼 제어 장치(100) 각각으로부터 댐퍼(10)의 개구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각 층의 댐퍼 제어 장치(100)에 대하여 설정되는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를 구체적으로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댐퍼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user terminals (not shown) include, for example,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 it may be any kin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and transmits operating input to the damper 10 and/or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or the damper 10 and/or the damper control device It may be a terminal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driving state of the damper 10 transmitted from 100. Illustratively, the user terminal (not shown)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opening level of the damper 10 from each of the damper control devices 100 mounted on the dampers 10 provided on each floor in the building, or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opening level of the damper 10 on each floor. It may operate to receive a user input to specifically specify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hreshold level set for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and transmit it to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bu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댐퍼(10)의 댐퍼 기구부(200)는 액츄에이터(210), 액츄에이터(210)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구조체(220) 및 기어 구조체(22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앤-피니언 구조체(230)를 포함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댐퍼(10)의 유형, 댐퍼(10)의 설치 공간의 부피(면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구 구조체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1, the damper mechanism portion 200 of the damper 10 includes an actuator 210, a gear structure 220 rotated by the actuator 210, and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gear structure 220 into a linear motion. It may be designed in a form that includes the converting rack-and-pinion structure 23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akes into account the type of damper 10, the volume (area)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amper 10, etc. So, of course, various types of mechanism structures can be appli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 기구부(200)의 액츄에이터(210)는 모터 타입, 솔레노이드 타입, 리니어 타입 등 댐퍼(10)의 개구 수준을 조정하기 위한 구조체(예를 들면, 날개형 부재, 평판형 부재 등)를 움직이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ctuator 210 of the damper mechanism 200 is a structure (for example, a wing-shaped member) for adjusting the opening level of the damper 10, such as a motor type, solenoid type, or linear type. , a flat member, etc.) can be widely applied.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댐퍼(10)의 개구 정도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계 수준'은 해당 댐퍼(10)가 설치되는 공간(대상 공간)에 형성되는 방연 풍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가 되도록 구체적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수준은 댐퍼(10)가 날개형 부재(루버, 블레이드 등)의 회전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댐퍼(10)의 개구 정도(개구율)가 조정되는 타입인 경우, 날개형 부재의 회전 각도에 대한 상한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임계 수준은 댐퍼(10)가 평판형 부재(플레이트 등)의 전후 방향으로의 전진 또는 후진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댐퍼(10)의 개구 정도(개구율)가 조정되는 타입인 경우, 평판형 부재의 전방(댐퍼(10)의 설치 위치로부터 대상 공간을 향하는 방향, 달리 말해, 댐퍼(10)에 의해 방연 풍속을 형성하기 위한 급기가 이루어지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으로의 전진 거리에 대한 상한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ritical level' that is preset in relation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is a range in which the smoke retardant wind speed formed in the space (target space) where the damper 10 is installed is preset. It may be specifically set to be . For example, the critical level is when the damper 10 is a type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pening ratio) of the damper 1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wing-shaped member (louver, blade, etc.), the rotation angle of the wing-shaped member It may mean the upper limit value for . As another example, the critical level is when the damper 10 is a type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pening ratio) of the damper 1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forward or backward distance of the flat member (plate, etc.)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flat member The forward distance to the front (the direction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amper 10 toward the target space, in other words, it can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supply to form the smoke-retardant wind speed is made by the damper 10.) It may mean the upper limit value for .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10)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예를 들면, 고층 건물)에 대하여, 복수의 층 각각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댐퍼(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층의 댐퍼(10)에 대하여 설정되는 임계 수준은 복수의 층마다 개별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댐퍼(10) 각각에 대하여 개별 설정되는 임계 수준을 고려하여 각 층에 설치되는 댐퍼(10)에 탑재되는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는 층마다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amper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mpers 10 dispo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floors in a building (for example, a high-rise building) consisting of several floors, The threshold level set for the damper 10 of each floor may be individually set for each plurality of floors.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hreshold level individually s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ampers 10, the position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mounted on the dampers 10 installed on each floor may be individually applied to each floor.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 제어 장치(100)는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 변화에 따라 댐퍼(10)가 설치된 대상 공간에 형성되는 방연 풍속이 변화하는 패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미리 보유하고, 특정 댐퍼(10)를 설치할 때 댐퍼 기구부(200)를 제어하여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테스트 위치로 세팅한 후 계측되는 방연 풍속에 대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한 후, 분석 데이터와 실측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는 방식으로 해당 댐퍼(10)에 대하여 적용될 임계 수준을 구체적으로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provides analysis data on the pattern of change in smoke-retardant wind speed formed in the target space where the damper 10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is held in advance, and when installing a specific damper 10, the damper mechanism part 200 is controlled to set the position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to a predetermined test position, and then actual data on the measured smoke wind speed is obtained. Afterwards,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specifically determine the threshold level to b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damper 10 by comparing the analysis data and the actual measurement data.

예를 들어, 댐퍼 제어 장치(100)는 기 보유한 분석 데이터와 일치하는 패턴으로 실측 데이터가 획득되면, 해당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 정보와 방연 풍속의 상관 관계(상관식 등)를 적용하여 임계 수준을 설정하고, 기 보유한 분석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실측 데이터가 획득되면, 해당 댐퍼(10)의 특성, 해당 댐퍼(10)가 설치되는 대상 공간의 특성(예를 들면, 댐퍼(10) 전방에 배치된 장애물 유무, 대상 공간의 부피, 층고, 단면적, 계단실까지의 거리 등) 등을 기초로 한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기 확보된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와 방연 풍속의 상관 관계(상관식 등)에 소정의 변환을 적용하여 해당 댐퍼(10)에 적용될 임계 수준을 연산하고, 해당 실측 데이터를 분석 데이터로서 추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acquires actual measurement data in a pattern that matches the previously held analysis data, the correlation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and the smoke prevention wind speed Equation, etc.) is applied to set the threshold level, and if actual measurement data that does not match the already held analysis data is ob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mper 10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where the damper 10 is installed (e.g. ,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placed in front of the damper 10, the volume of the target space, floor height, cross-sectional area, distance to the staircase, etc.), and a limit sensor (111, 112), the threshold level to b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damper 10 is calculat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transformation to the correlation (correlation equation, etc.) between the location and the smoke prevention wind speed, and the corresponding actual measurement data can be added as analysis data.

보다 구체적으로, 댐퍼 제어 장치(100)는 리미트 센서(111, 1112)의 위치를 개구 정도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댐퍼 제어 장치(100)는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그 위치가 정밀하게 조정된 상태의 리미트 센서(111, 112)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댐퍼 기구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 to adjust the position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12 to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reset threshold level in relation to the opening degree. In addition,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amper mechanism 20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whose positions are precisely adjus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level.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미트 센서(111, 112)는 댐퍼 기구부(200)의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의 거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b)를 참조하면,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의 거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란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의 직선 운동 방향을 기준으로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의 직선 운동 방향 일 방향 단부와 근접하게 제1리미트 센서(111)가 배치되고,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의 직선 운동 방향 타 방향 단부와 근접하게 제2리미트 센서(112)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of the damper mechanism 200 can be detected. Specifically, referring to (b) of FIG. 1, the position where the motion position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can be detected is the rack- A first limit sensor 111 is disposed close to an end in one direction of the linear motion direction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and a second limit sensor 111 is disposed close to an en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linear motion direction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This may mean that the sensor 112 is disposed.

이와 관련하여, 리미트 센서(111, 112)가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의 거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댐퍼 기구부(200)의 구동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위치가 조정된 리미트 센서(111, 112)에 근접하도록 랙-앤-피니언 구조체(230)가 이동하면, 댐퍼 제어 장치(100)가 미리 설정되는 임계 수준에 부합하는 정도로 개구 정도가 조정된 것으로 판단하여 댐퍼 기구부(200)가 댐퍼(10)의 개구 정도(개구율)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도록 댐퍼 기구부(200)의 거동을 제한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regard, as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are disposed in positions capable of detecting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a threshold level corresponding to a preset threshol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amper mechanism 200. When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moves to be close to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whose positions have been adjusted,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to a degree that meets the preset threshold level. It is determined that the damper mechanism 200 can perform control to limit the behavior of the damper mechanism 200 so that the opening degree (opening ratio) of the damper 10 does not increase any further.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1과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리미트 센서(111, 112)의 센서 유형,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리미트 조정 방식의 유형 등에 따른 댐퍼 제어 장치(100)의 다양한 구현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o 5 described above, a damper control device ( 100) will explain various implementation examples.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댐퍼 제어 장치(100)는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의 직선 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리미트 센서(111, 112)의 결합 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장공(121)이 형성된 리미트 조정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은 리미트 센서(111, 112) 중 제1리미트 센서(111)가 리미트 조정부(120)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나,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는 리미트 조정부(120)는 제2리미트 센서(112)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2리미트 센서(11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미트 조정부(120)에 형성된 장공(121)에 삽입되는 리미트 센서(111, 112)의 결합 부재(미도시)는 예를 들어, 장공(12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장공(1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직경으로 구비되는 돌기, 나사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is formed to exten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linear movement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and the coupling members (not shown)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It may be provided with a limit adjustment unit 120 in which a long hole 121 is inserted. By way of example, Figure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first limit sensor 111 among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is adjusted by the limit adjustment unit 120, bu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imit adjustment unit ( Of course, 120 can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mit sensor 112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mit sensor 112.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upling member (not shown)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21 formed in the limit adjustment unit 120 is, for example, at least part of the long hole 121.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screw shape, etc. with a diameter that can be moved along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long hole 121 in the inserted state.

도 2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댐퍼 제어 장치(100)의 리미트 조정부(120)는 리미트 센서(111)와 연결되는 접속 부재(1211) 및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의 직선 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접속 부재(1211)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는 볼트 부재(122)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imit adjustment unit 120 of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1211 connected to the limit sensor 111 and a rack-and-pinion structure 230. It may be provided with a bolt member 122 that adjust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on member 12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linear movement.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댐퍼 제어 장치(100)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댐퍼 제어 장치(100)는 리미트 스위치, 푸시 스위치 등의 스위치 센서 유형의 리미트 센서(111, 112)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wn in FIGS. 1 and 2 are switch sensor types such as limit switches and push switches. It may be provided with limit sensors 111 and 112.

도 3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is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echanism.

전술한 본원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댐퍼 제어 장치(100)에 구비되는 스위치 센서 유형의 리미트 센서(111, 112)와 대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리미트 센서(111, 112)는 근접 센서, 포토 센서, 홀 센서 등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에 대하여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랙-앤-피니언 구조체(230)의 거동 위치를 도출하여 리미트 센서(111, 112)로의 소정 수준 이내로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contrast to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of the switch sensor type provided in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the limit sensor shown in FIGS. 3 and 4 ( 111, 112) derive the behavioral position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such as a proximity sensor, photo sensor, or hall sensor, and use the limit sensors 111, 112 It may include a sensor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furnace is within a predetermined level.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근접 센서, 포토 센서, 홀 센서 등의 타입에 해당하는 리미트 센서(111, 112)와 장공(121)이 형성되는 타입의 리미트 조정부(120)를 구비하는 댐퍼 제어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4는 근접 센서, 포토 센서, 홀 센서 등의 타입에 해당하는 리미트 센서(111, 112)와 볼트 부재(122)를 이용하는 타입의 리미트 조정부(120)를 구비하는 댐퍼 제어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igure 3 shows a damper control device ( 4 shows the structure of a damper including limit sensors 111 and 112 corresponding to types such as proximity sensors, photo sensors, hall sensors, etc., and a limit adjustment unit 120 of a type using a bolt member 122. It may represent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device 100.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 센서 타입의 리미트 센서(111, 112)는 포토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량을 통해 검출 물체(예를 들면, 랙-앤-피니언 구조체(230) 등)의 근접 여부를 확인하거나 광원부(발광부, 투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여 광원부에 의해 방사된 빛이 검출 물체(예를 들면, 랙-앤-피니언 구조체(230) 등)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을 계측하여 해당 검출 물체의 근접 여부를 확인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hoto sensor-type limit sensors 111 and 112 check the proximity of a detection object (for example,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etc.) through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photo transistor. Alternatively,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unit (light emitting unit, light trans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detection object (e.g., rack-and-pinion structure 230, etc.) It can be operated to check the proximity of .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 타입의 리미트 센서(111, 112)는 검출 물체(예를 들면, 랙-앤-피니언 구조체(230) 등)의 근접 시 센서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물체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리미트 동작(댐퍼 기구부(200)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oximity sensor type limit sensors 111 and 112 cause current to flow in the sensor coil when a detection object (e.g., rack-and-pinion structure 230, etc.) approaches. It can detect an object and use it to perform a limit operation (control of the damper mechanism unit 200).

도 5는 본원의 제5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와 댐퍼 기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nd a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5실시예에 따른 댐퍼 제어 장치(100)의 경우, 액츄에이터(210), 액츄에이터(210)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구조체(220), 기어 구조체(220)에 결합되는 가이드 구조체(222) 및 기어 구조체(22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앤-피니언 구조체(230)를 포함하는 댐퍼 기구부(200)에 대하여 배치되고, 가이드 구조체(222)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리미트 센서(111, 112)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case of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actuator 210, a gear structure 220 rotated by the actuator 210, and a gear structure coupled to the gear structure 220 It is disposed relative to the damper mechanism 200 including the guide structure 222 and the rack-and-pinion structure 230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gear structure 220 into linear motion,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guide structure 222 It may be provided with limit sensors 111 and 112 disposed in positions that can detect.

참고로, 도 5에 도시된 댐퍼 제어 장치(100)는 스위치 센서 타입의 리미트 센서(111, 112)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근접 센서, 포토 센서, 홀 센서 등의 타입에 해당하는 리미트 센서(111, 112)가 본원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구조체(222)를 구비하는 타입의 댐퍼 제어 장치(100)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shown in FIG. 5 is shown as being provided with switch sensor type limit sensors 111 and 112,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bove-described proximity sensor, photo sensor, and hall sensor are used. Of course,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ensor can also be applied to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of the type provided with the guide structure 22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원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리미트 조정부(120)는 가이드 구조체(222)의 회전 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리미트 센서(도 5의 112)의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호형 구조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imit adjustment unit 120 is form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rotational movement of the guide structure 222, and has a long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of the limit sensor (112 in FIG. 5) is inserted. It may include an arc-shaped structure 123 being formed.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리미트 센서(111, 112)의 세부 위치를 조정하도록 조작 가능한 리미트 조정부(120)는 작업자(예를 들면, 댐퍼 설치자, 댐퍼 관리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이거나 작업자 등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댐퍼(10)의 개구 정도와 연계된 임계 수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동으로 리미트 센서(111, 112)의 세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imit adjustment unit 120, which can be manipulated to adjust the detailed position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is manually operated by an operator (e.g., damper installer, damper manager, etc.) The detailed position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critical level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amper 10 that is manipulated or input by a user such as a worker.

예를 들어, 자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리미트 조정부(120)의 경우, 제어부(13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인가된 제어 신호에 따라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즉,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장공(121) 내의 리미트 센서(111, 1112)의 고정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거나 볼트 부재(122)의 회전 정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 수단(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limit adjustment unit 120 operating in an automatic manner, the position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are se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e. Provides a driving force to change the fixed position of the limit sensors 111, 1112 in the long hole 121 to move them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level, or provides a driving force to vary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bolt member 122. A driving force providing means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또한, 리미트 조정부(120)는 수동으로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자를 보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댐퍼(10)의 개구 정도에 대한 임계 수준에 따른 리미트 센서(111, 112)의 세부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마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10)가 날개형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댐퍼(10)의 개구 정도가 조정되는 타입인 경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121)에 대한 리미트 센서(111)의 고정 위치에 따른 날개형 부재의 회전 범위(상한 각도)가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작업자가 '30'가 표시된 위치까지 리미트 센서(111)의 위치를 장공(121)을 따라 이동시키면, 해당 댐퍼(10)는 날개형 부재의 최대 회전 각도가 30 이내의 범위로 제한되고, 작업자가 '75'가 표시된 위치까지 리미트 센서(111)의 위치를 장공(121)을 따라 이동시키면, 해당 댐퍼(10)는 날개형 부재의 최대 회전 각도가 75 이내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imit adjustment unit 120 is a limit sensor according to the critical level of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the operator in order to assist the operator in manually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Markers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detailed positions of (111, 112). For example, when the damper 10 is a type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wing-shaped member,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limit sensor for the long hole 121 The rotation range (upper limit angle) of the wing-shaped member according to the fixed position of (111) may be displayed. In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the operator moves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111 along the long hole 121 to the position where '30' is displayed, the damper 10 has a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wing-shaped member within a range of 30. is limited to, and when the operator moves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111 along the long hole 121 to the position where '75' is displayed, the damper 10 is limited to a range where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wing-shaped member is within 75. It may be possible.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예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댐퍼 제어 장치(100)는 리미트 감지부(110), 리미트 조정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 limit detection unit 110, a limit adjustment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리미트 감지부(110)는 댐퍼(10)의 개구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 기구부(200)에 대하여 배치되고, 댐퍼(10)의 개구 정도에 따라 댐퍼 기구부(200)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111, 1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limit detection unit 110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amper mechanism 200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and is a limit sensor for limiting the behavior of the damper mechanism 200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111, 112) may be provided.

리미트 조정부(120)는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를 댐퍼(10)의 개구 정도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limit adjustment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threshold level in relation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제어부(130)는 리미트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댐퍼 기구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리미트 센서(111, 112)를 구비하는 리미트 감지부(110)로부터 리미트 센서(111, 112)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지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댐퍼 기구부(200)에 전달(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amper mechanism unit 20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limit senso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from the limit detection unit 110 provided with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etection results. This can be operated to transmit (transmit) to the damper mechanism unit 200.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Below, we will briefly look at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예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Figure 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7에 도시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된 댐퍼 제어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댐퍼 제어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원의 일 실시예예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wn in FIG. 7 may be performed by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제어부(130)는 (a) 댐퍼(10)의 개구 정도에 대한 임계 수준을 댐퍼(10)가 설치되는 대상 공간에 미리 설정된 범위의 방연 풍속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step S11,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critical level for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to a level such that a smoke-retardant wind speed in a preset range is formed in the target space where the damper 10 is installed. It can be set to .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리미트 조정부(120)는 (b) 댐퍼(10)의 개구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 기구부(200)에 대하여 배치되고, 댐퍼(10)의 개구 정도에 따라 댐퍼 기구부(200)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111, 112)의 위치를 단계 S11에서 설정된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Next, in step S12, the limit adjustment unit 120 is (b)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amper mechanism unit 200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and the damper mechanism unit 200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10.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for limiting the behavior can be adjus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level set in step S11.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리미트 감지부(110)는 (c) 리미트 센서(111, 112)의 감지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에서 제어부(130)는 획득한 리미트 센서(111, 112)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댐퍼 기구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Next, in step S13, the limit detection unit 110 may obtain the detection results of (c) the limit sensors 111 and 112. Additionally, in step S13,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damper mechanism unit 20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obtained limit sensors 111 and 112.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 to S13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Additionally,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as need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댐퍼
100: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
110: 리미트 감지부
111, 112: 리미트 센서
120: 리미트 조정부
121: 장공
122: 볼트 부재
130: 제어부
200: 댐퍼 기구부
210: 액츄에이터
220: 기어 구조체
230: 랙-앤-피니언 구조체
10: damper
100: Damper control device based on limit sensor
110: Limit detection unit
111, 112: Limit sensor
120: Limit adjustment unit
121: Janggong
122: Bolt member
130: control unit
200: Damper mechanism part
210: actuator
220: gear structure
230: Rack-and-pinion structure

Claims (11)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장치에 있어서,
댐퍼의 개구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 기구부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 정도에 따라 상기 댐퍼 기구부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를 구비하는 리미트 감지부; 및
상기 리미트 센서의 위치를 상기 개구 정도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리미트 조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임계 수준은, 상기 댐퍼가 설치되는 대상 공간에 형성되는 방연 풍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되,
상기 임계 수준은, 상기 리미트 센서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의 방연 풍속이 변화하는 패턴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미리 정해진 테스트 위치에 배치된 상기 리미트 센서에 의해 계측되는 방연 풍속에 대한 실측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설정되되,
상기 분석 데이터와 일치하는 패턴으로 상기 실측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리미트 센서의 위치 정보와 방연 풍속의 상관 관계를 적용하여 상기 임계 수준이 설정되고,
상기 분석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패턴으로 상기 실측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상관 관계에 소정의 변환을 적용하여 상기 임계 수준이 연산되는 것인, 댐퍼 제어 장치.
In the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device,
a limit detection unit disposed relative to the damper mechanism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and including a limit sens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and
A limit adjust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threshold level preset in relation to the opening degree,
Including,
The threshold level is set so that the smoke-reducing wind speed formed in the target space where the damper is installed is within a preset range,
The threshold level is a comparison of analysis data on a pattern in which the smoke-proof wind speed of the target space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and actual data on the smoke-proof wind speed measured by the limit sensor placed at a predetermined test location. It is set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he actual measurement data is acquired in a pattern that matches the analysis data, the threshold level is set by appl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imit sensor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and the smoke prevention wind speed,
When the measured data is obtained with a pattern that does not match the analysis data, the threshold level is calculat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transformation to the corre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댐퍼 기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댐퍼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amper mechanism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limit sensor,
A damper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기구부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구조체 및 상기 기어 구조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미트 센서는 상기 랙-앤-피니언 구조체의 거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댐퍼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amper mechanism part,
It includes an actuator, a gear structure rotated by the actuator, and a rack-and-pinion structure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gear structure into linear motion,
The limit sensor is a damper control device that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detec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기구부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구조체, 상기 기어 구조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구조체 및 상기 기어 구조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미트 센서는 상기 가이드 구조체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댐퍼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amper mechanism part,
It includes an actuator, a gear structure rotated by the actuator, a guide structure coupled to the gear structure, and a rack-and-pinion structure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gear structure into linear motion,
The limit sensor is a damper control devic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guide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조정부에는, 상기 랙-앤-피니언 구조체의 직선 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센서의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조정부는,
상기 장공에 대한 상기 결합 부재의 삽입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리미트 센서의 위치를 상기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는 것인, 댐퍼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In the limit adjustment unit, a long hole is form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linear movement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and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of the limit sensor is inserted,
The limit adjustment unit,
A damper control device tha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level by adjust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coupl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long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조정부는,
상기 리미트 센서와 연결되는 접속 부재 및 상기 랙-앤-피니언 구조체의 직선 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상기 접속 부재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는 볼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댐퍼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limit adjustment unit,
A damp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limit sensor and a bolt member that adjusts a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on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linear movement of the rack-and-pinion structu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건물 내 복수의 층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 수준은 상기 복수의 층 각각에 대하여 개별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댐퍼 각각에 대한 상기 리미트 센서의 위치는 개별 설정되는 상기 임계 수준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층 마다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것인, 댐퍼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amper includes a plurality of dampers each disposed on a plurality of floors in the building,
The threshold level is individually s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and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ampers is individually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n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ly set threshold level.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센서는,
스위치 센서, 근접 센서, 포토 센서, 홀 센서 또는 광 센서인 것인, 댐퍼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mit sensor is,
Damper control device, which is a switch sensor, proximity sensor, photo sensor, hall sensor or light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댐퍼의 댐퍼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인, 댐퍼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actuator is a damper control device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rotate the damper blade of the damper.
리미트 센서 기반의 댐퍼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댐퍼의 개구 정도에 대한 임계 수준을 상기 댐퍼가 설치되는 대상 공간에 미리 설정된 범위의 방연 풍속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개구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 기구부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 정도에 따라 상기 댐퍼 기구부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의 위치를 상기 임계 수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리미트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댐퍼 기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상기 리미트 센서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의 방연 풍속이 변화하는 패턴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미리 정해진 테스트 위치에 배치된 상기 리미트 센서에 의해 계측되는 방연 풍속에 대한 실측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임계 수준을 설정하는 것이되,
상기 (a) 단계는,
상기 분석 데이터와 일치하는 패턴으로 상기 실측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리미트 센서의 위치 정보와 방연 풍속의 상관 관계를 적용하여 상기 임계 수준을 설정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패턴으로 상기 실측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상관 관계에 소정의 변환을 적용하여 상기 임계 수준을 연산하는 것인, 댐퍼 제어 방법.
In the limit sensor-based damper control method,
(a) setting the critical level for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to a level such that a smoke-retardant wind speed in a preset range is formed in the target space where the damper is installed;
(b) adjusting the position of a limit sensor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amper mechanism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and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damp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level; and
(c)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amper mechanism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limit sensor,
Including,
In step (a),
The threshold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analysis data on a pattern in which the smoke-resistant wind speed of the target space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limit sensor and actual data on the smoke-resistant wind speed measured by the limit sensor placed at a predetermined test location. Setting the level,
In step (a),
When the measured data is obtained in a pattern that matches the analysis data, the threshold level is set by appl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imit sensor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and the smoke-proof wind speed, and the pattern that does not match the analysis data is set. When the measured data is obtained, the threshold level is calculat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transformation to the correlation.
KR1020220093753A 2022-07-28 2022-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limit sensor KR102642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753A KR102642729B1 (en) 2022-07-28 2022-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limit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753A KR102642729B1 (en) 2022-07-28 2022-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limit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910A KR20240015910A (en) 2024-02-06
KR102642729B1 true KR102642729B1 (en) 2024-03-04

Family

ID=8985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753A KR102642729B1 (en) 2022-07-28 2022-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limit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72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39Y1 (en) * 2005-12-08 2006-02-20 김세기 Damper Modulator
KR101355574B1 (en) * 2012-11-12 2014-01-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Limit switch device
KR200473282Y1 (en) * 2013-03-07 2014-06-24 (주)미도이앤씨 Automatic switch for composition damp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114Y1 (en) * 1993-08-02 1996-05-22 김학문 Aquarium for transferring fishes
KR0149911B1 (en) * 1995-12-14 1999-05-01 김광호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ic shutter of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39Y1 (en) * 2005-12-08 2006-02-20 김세기 Damper Modulator
KR101355574B1 (en) * 2012-11-12 2014-01-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Limit switch device
KR200473282Y1 (en) * 2013-03-07 2014-06-24 (주)미도이앤씨 Automatic switch for composition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910A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9302B2 (en) Door system with improved installation, set-up, and cloning
KR1026427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limit sensor
JP20185088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king operation
CA3165657A1 (en) Sensor calibration and operation
CN102754038A (en)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 device for a home automation apparatus
CA2645800C (en) Moveable barrier operator feature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US10204466B1 (en) Continuous calibration of a control device
KR1026427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using current sensing of actuator
US11483914B2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radar sensing system apparatuses and methods
US11921253B2 (en) Obstacl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GB2565837A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on
JP2007320717A (en)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KR1026427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amper based on angle sensor
CA2468591A1 (en) Obstacle detector-responsive movable barrier operator apparatus and method
EP3097544B1 (en) A structure including a passageway
KR102612887B1 (en) Building access zone specification for mobile applications
KR102639716B1 (en) Robot management method and robot management system
US20230287727A1 (en) Window operator assemblie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219810A (en) Building control method
CN109779445A (en) Fire fire prevention door control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5319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mper based on differential pressure
CN10868928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ll control of elevator doors
US11667498B2 (en) Auto adjust elevator door system
US20230306804A1 (en) Movable user entry device and an access system for access control
KR102577322B1 (en) Elevator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