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543B1 -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543B1
KR102642543B1 KR1020210024765A KR20210024765A KR102642543B1 KR 102642543 B1 KR102642543 B1 KR 102642543B1 KR 1020210024765 A KR1020210024765 A KR 1020210024765A KR 20210024765 A KR20210024765 A KR 20210024765A KR 102642543 B1 KR102642543 B1 KR 10264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es
star
bonus
door
p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949A (ko
Inventor
박두헌
Original Assignee
박두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헌 filed Critical 박두헌
Priority to KR102021002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5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06Q30/021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based on sc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Abstract

현, 다단계법상 35% 이상의 수당지급을 할 수 없어 순수방문판매로 진행하며, 회사 매출의 25%를 공유보너스로 지급하는데, 기여도에 따라 지급한다. 즉, 제안된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은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각 회원의 매출액에 따라 지급하는 단계와, 전체 매출액의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되, 15%는 스텝 보너스로 지급하고 10%는 스타 보너스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스텝 보너스는 스텝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스텝회원 자격은 제1 스텝, 제2 스텝, 제3 스텝, 제4 스텝, 제5 스텝으로 구분되고, 스타 보너스는 스타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스타회원 자격은 제1 스타, 제2 스타, 제3 스타, 제4 스타, 제5 스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Door-to-door sales bonus distribution method and bonus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판매금액에 따른 보너스 분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여도 산정을 통해 공유보너스를 배분할 수 있는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다단계 판매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내려진다. 그러나 다단계 판매법상 고액의 판매수익을 판매원에게 지급할 수 없다.
"다단계판매라 함은 판매업자 또는 용역제공업자가 어떤 자에게 자신이 운영하는 판매조직의 판매원으로 가입하여 자신이 공급하는 상품을 구입하거나 용역을 제공받아 이를 소비자에게 판매 또는 제공하고 또한 그 어떤 자에게 그 소비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그 어떤 자의 하위 판매원으로 가입토록 하여 그 하위 판매원이 그 어떤 자와 동일한 활동을 하도록 하면 일정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권유하여 판매원의 가입이 2단계 이상 순차적/단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품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을 말한다. 참고적으로 다단계법상 35% 이상의 수당지급을 할 수는 없다.
이는 판매원이 2단계 이상 순차적, 단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품의 판매방식을 말하며, 판매원은 소비자들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하여 소매 이익을 남기는 한편 다른 판매원을 모집하고 그 판매원들의 실적에 따라 보너스(조직수당)를 분배받게 된다.
또한 상품을 사용해 본 소비자가 그 상품의 우수성을 인정하면 스스로의 의사에 따라 판매원으로 전환되고 주위 사람들에게 권장하여 상품을 나누어 쓰는데, 이렇게 형성된 새로운 소비자가 다시 판매원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무한히 반복됨으로써 상품의 판매범위가 점차로 넓어지는 마케팅 방식이다.
결국 다단계 판매에서 수당(직판수당, 후원수당)의 지급을 위한 재원은 무점포 판매에 의한 매장 및 사무실, 창고 임대비용, 모델, 광고비 절감분, 대리점에서 대리점으로 이어지는 중복 운송비와 중복 소요되는 인건비 등의 절감으로 마련된다. 결국 이는 사회의 다른 영역으로 지급될 정상적인 유통비용을 판매원들에게 제공한다는 개념으로, 일반적인 유통비용보다 더 많은 유통비용이 필요하다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러한 매장 유통이나 대리점 판매방식보다 유통마진이 더욱 절감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상의 다단계 판매 방법은 방문 판매를 벗어나, 인터넷 쇼핑몰, TV 쇼핑몰 등에 접목되어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다단계 판매 방법을 포함하는 온라인상의 전자상거래(즉 네트워크 마케팅) 서비스에 있어서, 구매자 또는 1 ~ 2차 판매원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보너스(직판수당, 조직수당 등)를 창출한다. 하지만, 조직수당을 지급하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마케팅 방식에 따르면 구매자의 상품 구매 행위로 인해 발생되는 판매수수료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지급되는 보너스(조직수당)가 상위계층 위주로 배분되고, 구매자의 보너스 배분 의사가 전혀 반영되지 않아 건전한 네트워크 마케팅 서비스를 저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다단계법상 수당지급의 한계가 있다.
KR 10-2021-000002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지급하고 공유보너스의 배분은 기여도에 따라 지급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는 새로운 보너스 배분방식을 적용한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각 회원의 매출액에 따라 지급하는 단계와, 전체 매출액의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되, 공유보너스의 배분은 기여도에 따라 지급하는 방식으로 15%는 스텝 보너스로 지급하고 10%는 스타 보너스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스텝 보너스는 스텝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스텝회원 자격은 제1 스텝, 제2 스텝, 제3 스텝, 제4 스텝, 제5 스텝으로 구분되고, 스타 보너스는 스타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스타회원 자격은 제1 스타, 제2 스타, 제3 스타, 제4 스타, 제5 스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회원당 3명의 소개회원이 하나의 팀(단위그룹)으로 정의되고, 각 소개회원의 하위로 다시 팀(단위그룹)이 연결되면서 회원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소개회원의 수에 따라 상기 스텝회원 자격 및 상기 스타회원 자격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소개회원의 수에 따라 스텝회원 자격 및 스타회원 자격이 결정됨에 있어서, 각 소개회원의 추가구매에 따른 소정의 추가매출 발생시, 추가매출을 소개회원의 수로 환산하여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개회원을 입력하는 회원 단말기와,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각 회원의 매출액에 따라 각 회원의 회원 단말기로 지급하고, 전체 매출액의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되, 15%는 스텝 보너스로 지급하고 10%는 스타 보너스로 지급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관리서버는, 스텝 보너스를 스텝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스텝회원 자격은 제1 스텝, 제2 스텝, 제3 스텝, 제4 스텝, 제5 스텝으로 구분하고, 스타 보너스를 스타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스타회원 자격은 제1 스타, 제2 스타, 제3 스타, 제4 스타, 제5 스타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관리서버는, 각 회원당 3명의 소개회원을 하나의 팀(단위그룹)으로 정의하고, 각 소개회원의 하위로 다시 팀(단위그룹)을 연결하면서 회원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소개회원의 수에 따라 스텝회원 자격 및 스타회원 자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관리서버는,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소개회원의 수에 따라 스텝회원 자격 및 스타회원 자격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 소개회원의 추가구매에 따른 소정의 추가매출 발생시, 추가매출을 소개회원의 수로 환산하여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은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지급하고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는 새로운 보너스 배분방식을 적용하여 팀보너스(공유보너스)가 상위계층 위주로 과도하게 배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단계에서 지급제한 하는 수당을 지급 할 수 있다. 즉, 현 다단계법상 35% 이상의 수당지급을 할 수 없어 순수방문판매로 진행하며, 회사 매출의 25%를 공유보너스로 지급하는데, 기여도에 따라 지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1)의 구성도
도 2는 회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2)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1)의 구성도이고, 도 2는 회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1)은 회원 단말기(100)와 관리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1)과 이러한 시스템을 통한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
표 1은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에 따른 보너스 분배표의 예시도이다.
도 1, 도 2 및 표 1을 동시에 참조하면, 각 회원당 3명의 소개회원이 하나의 팀(단위그룹)으로 정의되고, 각 소개회원의 하위로 다시 팀(단위그룹)이 연결되면서 회원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즉, 한명의 회원이 3명의 회원을 소개하여 자신을 포함한 3명의 소개회원을 팀(단위그룹)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때, 한명의 회원이 3개의 (회원)라인을 이룬다고 명칭하고, 각 (회원)라인은 하위에 연결된 모든 소개회원의 수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A회원은 3명의 소개회원(B, C, D)으로 하나의 팀(단위그룹)을 이루고, B소개회원은 다시 3명의 소개회원(E, F, G)으로 팀(단위그룹)을 이루며, E소개회원은 다시 3명의 소개회원으로 팀(단위그룹)을 형성한다. 따라서 A회원 기준으로 첫 번째 (회원)라인은 총 7명의 소개회원이 있는 것이고, 두 번째 및 세 번째 (회원)라인은 각각 4명의 소개회원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소개회원의 수에 따라 스텝회원 자격 및 스타회원 자격이 결정된다. 즉, 공유보너스를 배분하기 위한 기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스텝회원 자격은 제1 스텝, 제2 스텝, 제3 스텝, 제4 스텝, 제5 스텝으로 구분되고, 스타회원 자격은 제1 스타, 제2 스타, 제3 스타, 제4 스타, 제5 스타로 구분된다. 이때, 제1 스텝, 제2 스텝, 제3 스텝, 제4 스텝, 제5 스텝, 제1 스타, 제2 스타, 제3 스타, 제4 스타, 제5 스타 순서대로 보너스 지급액이 커지도록 프로그램이 설계된다.
회원은 회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자신이 소개한 소개회원을 입력하고, 자신에 할당된 소개회원을 관리서버(200)에 등록시킬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각 회원의 매출액에 따라 각 회원의 회원 단말기(100)로 지급하고, 전체 매출액의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되, 15%는 스텝 보너스로 지급하고 10%는 스타 보너스로 지급한다.
관리서버(200)는 스텝 보너스를 스텝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하고, 스타 보너스를 스타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한다.
즉, 관리서버(200)는 각 회원당 3명의 소개회원을 하나의 팀(단위그룹)으로 정의하고, 각 소개회원의 하위로 다시 팀(단위그룹)을 연결하면서 회원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기여도 - 예) 소개회원의 수 - 에 따라 스텝회원 자격 및 스타회원 자격을 결정한다.
한편, 관리서버(200)는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소개회원의 수에 따라 스텝회원 자격 및 스타회원 자격을 결정할 때, 각 소개회원의 추가구매에 따른 소정의 추가매출 발생시, 추가매출을 소개회원의 수로 환산하여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 구매시 33만원 매출은 2명으로 합산하고, 55만원 매출은 4명으로 합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은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지급하고, 전체 매출액의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여 회사 전체매출의 67%(2/3)를 수당으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때, 전체 매출액의 25%를 팀 보너스 중 15%는 스텝 보너스로 지급하고 10%는 스타 보너스 지급한다. 옵션으로 10% 스타 보너스 중 2%는 이벤트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다단계가 아닌 순수방문판매여야 가능하다.
예를 들어 132,000원의 매월 정기 물품 구매시, 부가세를 제외한 12만원에서 25%인 약 5만원이 홍보수당으로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추가 구매시 33만원의 제품, 55만원의 제품 구매시 마다 추가의 홍보수당 약 5만원이 지급될 수 있다.
표 1은 25%의 팀 보너스의 분배 예시를 나타낸 표인데, 10억원의 매출의 경우(예상인원 5000명에 각 매출 약 20만원을 가정함) 각 회원의 자격별 예상 보너스 금액이 나타나 있다. 표 1의 예상 보너스 금액은 대략적인 금액이며 예상금액 계산시 보너스 총액을 고려하여 일부 단위 금액이 올림/내림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2스타는 1스타의 2배, 3스타는 2스타의 2배, 4스타는 3스타의 2배, 5스타는 4스타의 2배를 1/n(예상인원)으로 배당한다.
스텝회원에는 10억원 매출의 15%인 1억 5천만원이 할당되므로, 제1 스텝, 제2 스텝, 제3 스텝, 제4 스텝, 제5 스텝에는 각각 3000만원이 분배된다.
제1 스텝, 제2 스텝, 제3 스텝, 제4 스텝, 제5 스텝의 각 예상인원 수에 따라 스탭 보너스가 분배되므로, 제1 스텝의 각 회원은 약 5만원, 제2 스텝의 각 회원은 약 15만원, 제3 스텝의 각 회원은 약 43만원, 제4 스텝의 각 회원은 약 100만원, 제5 스텝이 각 회원은 약 300만원을 지급받는다.
스타회원에는 10억원 매출의 10%인 1억원이 할당되는데 표 1의 예시에서는 제1 스타 3명, 제2스타 2명이 있으므로, 제1 스타 3명은 각각 약 1420만원, 제2 스타 2명은 각각 약 2890만원을 지급받는다. 즉, 제2 스타는 제1 스타의 2배를 지급받도록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1)에서 이루어지는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은,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각 회원의 매출액에 따라 지급하는 단계와, 전체 매출액의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되, 15%는 스텝 보너스로 지급하고 10%는 스타 보너스로 지급하는 단계를 통해 수행된다.
이때, 스텝 보너스는 스텝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스텝회원 자격은 제1 스텝, 제2 스텝, 제3 스텝, 제4 스텝, 제5 스텝으로 구분되고, 스타 보너스는 스타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스타회원 자격은 제1 스타, 제2 스타, 제3 스타, 제4 스타, 제5 스타로 구분된다.
또한, 각 회원당 3명의 소개회원이 하나의 팀(단위그룹)으로 정의되고, 각 소개회원의 하위로 다시 팀(단위그룹)이 연결되면서 회원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기여도 - 예) 소개회원의 수 - 에 따라 스텝회원 자격 및 스타회원 자격이 결정된다.
또한,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소개회원의 수에 따라 스텝회원 자격 및 스타회원 자격이 결정됨에 있어서, 각 소개회원의 추가구매에 따른 소정의 추가매출 발생시, 추가매출을 소개회원의 수로 환산하여 반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2)의 구성도
도 3을 참조하면,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1)은 회원 단말기(100), 관리서버(200),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원 단말기(100) 및 관리서버(200)의 동작은 도 1의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1)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의 동작위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2)은
회원 단말기(100), 관리서버(200) 뿐만 아니라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와 상호 연계된 서비스가 진행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회원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회원 단말기(100)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증강현실안경, 스마트 보드와 같이 화면자체가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환되는 장치를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참고적으로 각 회원 팀실적과 전체회사매출은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다.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회원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는데, 관리서버(200)와의 데이터 교환은 독립적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회원 단말기(100)를 경유하여 데이터 교환을 진행하거나, 복합적으로 데이터 교환을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회원 단말기(100)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소프트웨어가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에 설치되어 상호 연동 동작한다.
한편, 관리서버(200)는 (가상)판매교육 진행시 소정의 시간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규모의 판매 이벤트를 연쇄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벤트별 매출액 현황정보를 등급별로 나누어 회원 단말기(100)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마커(판매위치)를 통해 표출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판매 이벤트별 매출액 현황정보를 나타내는 마커(판매위치)가 회원 단말기(100) 및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에도 동시에 표시된다.
이때, 회원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강현실안경 형태의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를 착용할 경우,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가 회원 단말기(100)의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회원 단말기(100)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지도상의 마커(판매위치)를 응시할 경우, 마커(판매위치)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화 되어 사용자의 시야에 표시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의 한 분야에 속하는 기술이며, 사용자가 감각으로 느끼는 실제환경에 가상환경을 합성하여 원래의 실제환경에 가상환경이 존재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컴퓨터 기법이다.
이러한 증강 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 세계의 기반에 가상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 예를 들면, 3차원 가상환경을 정합함으로써 구현된 현실을 증강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가상환경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실사 영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3차원 가상영상은 실사영상과 정합되어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단순 가상현실 기술에 비하여 3차원 가상환경에 실사영상도 같이 제공하여 현실환경과 가상환경과의 구분이 모호해지게 함으로써,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안경 형태의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교육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카메라가 내장되며 투명 디스플레이에 3차원 가상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범위 내에 표시한다.
이때, 관리서버(200)는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원 단말기(100)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지도를 응시할 경우 지도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주요건물(판매위치)이 가상/증강현실화 되어 시야에 표시된다.
또한, 판매 이벤트별 매출 현황정보를 나타내는 마커도 증강되어 해당 매출상황이 실제영상 또는 가상영상으로써 재생되므로 교육자는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회원 단말기(100)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지도 촬영영상의 마커(판매위치), 객체를 식별할 때 객체들이 소정의 영상 유사도 값 이상을 가질 경우, 유사한 영역의 영상정보를 차분하여 추가인식영역을 선정하고 추가인식영역의 영상 차이점을 토대로 고유 식별자를 해당 영역에 부여할 수 있다. 즉, 유사한 영역의 영상정보를 차분하여 추가인식영역을 선정하고 추가인식영역의 영상 차이점을 토대로 고유 식별자를 해당 영역에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촬영영상을 자체적으로 영상처리하여 객체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연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촬영영상을 관리서버(200)로 전달한 후 관리서버(200)에서 영상처리를 진행한 후 결과값만을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로 피드백하여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의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회원 단말기(100)에서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모니터가 다중 모니터 - 폴더블 디스플레이, 확장형 디스플레이 - 이거나 곡면형 디스플레이일 경우, 증강현실안경 형태의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하나의 촬영영상으로 촬영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파노라마 촬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파노라마 촬영이 선택될 경우,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 착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회전시켜서 360도 원형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몸 또는 고개를 회전시키면서 360도 원형 이미지(곡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360도 원형 이미지는 관리서버(200)로 전송되어 영상처리되는데, 관리서버(200)는 원형 이미지에서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부분 왜곡 해소 및 부분 이미지 처리를 위해 원형 이미지를 분할한다. 즉, 분할된 원형 이미지의 단위(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는 해상도, 원호, 픽셀, 이미지 왜곡 등을 고려하여 분할될 수 있다.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를 기반으로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의 픽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픽셀 구조가 파악된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에 대한 기준 초점 픽셀을 추출할 수 있다. 기준 초점 픽셀은 확장 또는 축소가 필요하지 않은 픽셀일 수 있다. 픽셀 구조는 기준 초점 픽셀을 기준으로 축소해야 하는 픽셀과 확장해야 하는 픽셀로 구분될 수 있다.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부분 왜곡 해소를 위해 픽셀 당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초점 픽셀을 기준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해서는 축소 면적을 결정하여 축소를 수행하고, 축소된 영역에 대해서는 확장 영역을 결정하고 보간을 통해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해상도, 원호, 픽셀, 이미지 왜곡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이미지 처리를 통해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복수의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가 복수의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즉, 관리서버(200)는 파노라마 촬영영상이 전송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생성한 후, 화면의 객체 또는 마커를 식별하므로 자동식별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
관리서버(200)는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에서 전송되는 이미지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객체를 인식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를 진행한다. 관리서버(200)는 인식된 객체정보를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로 피드백한다. 즉, 객체인식을 진행하는 과정이 관리서버(200)에서 진행되고, 관리서버(200)는 인식된 결과만을 객체정보로써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에 피드백함으로써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의 연산부하가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이미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처리를 원하는 영상처리명령까지 관리서버(200)에 전송하고, 그 결과값만을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200)는 인식된 객체정보를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로 피드백 하는데, 각각의 객체정보는 객체 종류별로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 및 각 객체의 중심영역에 대한 시간별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화면의 영상에서 “판매 화장품”이라는 객체가 인식될 경우, “판매 화장품”에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와, “판매 화장품”의 중심영역의 위치(좌표)에 대한 시간별 위치정보가 전송된다.
참고적으로, 식별코드는 객체코드 및 부가코드를 포함하는데, 객체코드는 “판매 화장품”이라는 형상에 부여된 코드이고, 부가코드는 “판매 화장품”의 제품명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 정보를 코드화한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 입장에서는 이미지 프로세싱작업을 직접 처리하지 않고도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객체정보를 수신하여, “판매 화장품”이라는 객체의 인식된 제품명과, 그 이동위치를 파악함으로서 판매 화장품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의 요청에 의해 복수의 객체를 동시에 인식하고, 각각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 가능하다. 이러한 요청사항은 회원 단말기(100)에 챗봇형태로 입력가능하다. 즉, “판매 화장품”이 복수 개 인식될 경우, 각 “판매 화장품”의 시간별 위치정보가 파악되므로 유사한 “판매 화장품”의 판매 숫자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촬영영상 중에서 영상의 변화가 없는 부분을 피드백하고,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영상의 변화가 없는 부분은 자동 제거함으로써 자체 저장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객체의 움직임 속도를 고려하여 각 영역별 저장 영상 프레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로 피드백 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는 미리 설정된 촬영영역을 복수의 서브영역으로 분할한 후, 각 영역별 감지시간, 감지객체, 감지 이벤트를 독립적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가 복수 개 일 경우, 각 디스플레이를 서브영역으로 분할한 후 각 서브영역별로 감시하고자 하는 객체 이벤트 등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의 처리속도가 빠를 경우, 자체적으로 객체인식동작 등을 수행하고 결과를 터치 패널에 표시할 수도 있으나, 관리서버(200)에 영상 및 객체인식 명령을 송신하고, 관리서버(200)에서 객체인식 동작을 진행한 후 결과만을 증강현실 디스플레이(300)로 피드백 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원 단말기(100)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에 지도가 표시되고 지도상의 마커(판매위치)가 해당 사용자에게 강조해야하는 부분일 경우 가상객체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실제영상정보에 대응되는 가상객체가 표시되며 가상객체가 터치될 경우, 미리 설정된 가상객체의 정보가 상세히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아이콘이 가상객체로 표시되고 해당부분을 터치하면 사용자에게 제공할 상세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회원 단말기(100)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실제영상정보에 대응되는 가상객체가 표시될 경우, 선택된 가상객체의 좌표는 실제영상정보에 대한 공간 좌표계에서 회원 단말기(100)의 모바일 좌표계로 변경되고, 선택 해제된 가상객체의 좌표는 회원 단말기(100)의 모바일 좌표계에서 실제영상정보에 대한 공간 좌표계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은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지급하고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는 새로운 보너스 배분방식을 적용하여 팀보너스(공유보너스)가 상위계층 위주로 과도하게 배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단계에서 지급제한 하는 수당을 지급 할 수 있다. 즉, 현 다단계법상 35% 이상의 수당지급을 할 수 없어 순수방문판매로 진행하며, 회사 매출의 25%를 공유보너스로 지급하는데, 기여도에 따라 지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회원 단말기
200 : 관리서버
300 :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소개회원을 입력하는 회원 단말기;
    전체 매출액의 42%를 판매 홍보수당으로 각 회원의 매출액에 따라 각 회원의 회원 단말기로 지급하고, 상기 전체 매출액의 25%를 팀 보너스로 지급하되, 15%는 스텝 보너스로 지급하고 10%는 스타 보너스로 지급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회원 단말기와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고, 상기 회원 단말기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상호 연동 동작하는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가상 판매교육 진행시 소정의 시간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규모의 판매 이벤트를 연쇄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벤트별 매출액 현황정보를 등급별로 나누어 상기 회원 단말기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마커(판매위치)를 통해 표출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상기 회원 단말기 및 상기 증강현실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스텝 보너스를 스텝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상기 스텝회원 자격은 제1 스텝, 제2 스텝, 제3 스텝, 제4 스텝, 제5 스텝으로 구분하고, 상기 스타 보너스를 스타회원 자격에 따라 차등지급함에 있어서 상기 스타회원 자격은 제1 스타, 제2 스타, 제3 스타, 제4 스타, 제5 스타로 구분하고,
    상기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는 상기 회원 단말기의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마커(판매위치) 및 객체를 식별할 때 객체들이 소정의 영상 유사도 값 이상을 가질 경우, 유사한 영역의 영상정보를 차분하여 추가인식영역을 선정하고 추가인식영역의 영상 차이점을 토대로 고유 식별자를 해당 영역에 부여하여 관리하며, 상기 회원 단말기에서 판매교육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화면이 곡면형 디스플레이일 경우, 상기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는 파노라마 촬영을 진행하여 곡면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곡면 이미지가 전송될 경우, 복수의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생성한 후, 화면의 객체 또는 마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각 회원당 3명의 소개회원을 하나의 팀(단위그룹)으로 정의하고, 각 소개회원의 하위로 다시 팀(단위그룹)을 연결하면서 회원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소개회원의 수에 따라 상기 스텝회원 자격 및 상기 스타회원 자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회원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소개회원의 수에 따라 상기 스텝회원 자격 및 상기 스타회원 자격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 소개회원의 추가구매에 따른 소정의 추가매출 발생시, 추가매출을 소개회원의 수로 환산하여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 시스템.
KR1020210024765A 2021-02-24 2021-02-24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 KR10264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65A KR102642543B1 (ko) 2021-02-24 2021-02-24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65A KR102642543B1 (ko) 2021-02-24 2021-02-24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949A KR20220120949A (ko) 2022-08-31
KR102642543B1 true KR102642543B1 (ko) 2024-02-28

Family

ID=8306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765A KR102642543B1 (ko) 2021-02-24 2021-02-24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5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150A (ko) * 2001-04-06 2002-10-18 주식회사 지엔누리 다단계 방문판매에 있어서의 수당지급 체계
KR20070096341A (ko) * 2006-03-23 2007-10-02 정태수 보상관리서버 및 보상관리방법
KR20140032598A (ko) * 2012-09-06 2014-03-17 염성호 1인 멀티코드 순환 마케팅 시스템
KR20210000020A (ko) 2019-06-24 2021-01-04 두오 바오 판매 플랫폼 추천 시스템에 대한 보너스 계산 방법
KR102218654B1 (ko) * 2019-07-03 2021-02-22 이선표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다단계 물건 판매 수익 분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949A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llewar et al. The rise of 3D E-Commerce: the online shopping gets real with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during COVID-19
US10846937B2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TWI718348B (zh) 基於擴增實境的線下互動方法及裝置
JP6258497B2 (ja) 拡張現実デバイス
Turnbull et al. Marketing bank services to corporate customer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US86362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marketing to consumers
CN109643527A (zh) 用于零售环境仿真的虚拟现实平台
US20020128952A1 (en) Virtual interactive global exchange
US20140214629A1 (en) Interaction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2019080252A (ja) プログラム、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CN105210143A (zh) 增强现实拍卖平台
US20220253889A1 (en) Incorporating a product in a multi-level smartlink embedded media files for enhanced marketing
US2022010142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 for customized interactive image collection based on customer data
US2002019878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suitability test in the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KR20230009336A (ko) 리뷰 컨텐츠의 구매 기여도에 기초한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KR102642543B1 (ko) 순수방문판매 보너스 분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너스 분배 시스템
EP40992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ementing digital media with three-dimensional (3d) models
KR20230155768A (ko) 메타버스-토지 기반의 토지분할소유권 거래를 이용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Grande et al. Supporting Small Businesses and Local Economies Through Virtual Reality Shopp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 Position Paper.
RU118776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US11244382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auto-generation of multi-merchant interactive image collection
KR20190098357A (ko) 아트마켓 서비스 방법
KR102633357B1 (ko)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경험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502116B1 (ko)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환경 제공시스템
KR102645299B1 (ko) 메타버스-도시 및 메타버스-기업의 상장을 통해 토지분할소유권 거래를 지원하는 메타버스 운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