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149B1 -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149B1
KR102642149B1 KR1020200188863A KR20200188863A KR102642149B1 KR 102642149 B1 KR102642149 B1 KR 102642149B1 KR 1020200188863 A KR1020200188863 A KR 1020200188863A KR 20200188863 A KR20200188863 A KR 20200188863A KR 102642149 B1 KR102642149 B1 KR 10264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main body
wasp
worker
b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441A (ko
Inventor
김설아
김윤걸
Original Assignee
김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설아 filed Critical 김설아
Priority to KR102020018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1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Abstract

말벌 포획 게이트와 화분 채집 게이트 및 응애 제거 게이트가 일체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각각 별도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이 개시된다. 상기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은 벌통의 소문과 연통되도록 벌통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벌통 내부의 일벌이 벌통 외부로 나갈 수 있는 메인출구가 마련되는 베이스 게이트와, 상기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벌통 외부의 일벌과 말벌이 내부로 들어 올 수 있는 메인입구가 마련되어 상기 메인입구를 통해 일벌과 함께 내부로 들어 온 말벌만 유인하여 가둬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말벌 포획 게이트와,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와 연통되도록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말벌 포획 게이트를 통과한 일벌이 내부로 들어올 시 상기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을 낙하시켜 채집하는 화분 채집 게이트 및,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 및 베이스 게이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 게이트에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분 채집 게이트를 통과한 후 내부로 들어온 일벌로부터 응애를 제거시키며, 응애가 제거된 일벌은 베이스 게이트 내부로 들어간 후 소문을 통해 벌통 내부로 들어 갈 수 있도록 하는 응애 제거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ALL-IN-ONE GATE UNIT FOR DEFENSE OF BEE ENEMIES}
본 발명은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벌통의 소문에 설치되어 말벌이나 응애 등과 같은 꿀벌의 천적이 벌통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0mm 내지 11mm 크기의 작은 꿀벌은 30mm 전후의 큰 몸집을 가지며 턱이 매우 강하고 힘이 센 말벌의 적수가 되지 못하여 벌통에 말벌이 침입하게 되면 벌통 내의 꿀벌이 모두 몰살되는 참변이 발생됨으로써 양봉사업을 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 볼 때 말벌은 사업의 성공여부를 좌지우지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두려운 존재이다.
상기와 같이 꿀벌의 천적인 말벌 중 동남아시아에서 유입된 외래종인 등 검은 말벌의 경우에는 최근 들어 개체수가 급증하여 양봉 농가에 매우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며, 재래종인 장수말벌의 경우에는 해가 지날수록 개체수가 증가하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대륙에도 상륙하여 양봉 농가에 매우 큰 타격을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양봉 농가에서는 봄부터 여름까지는 말벌 퇴치기나 말벌 포획기 등을 설치하여 말벌이 벌통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거나 말벌을 포획하여 말벌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말벌 퇴치기의 경우에는 말벌을 막을 수는 있지만 잡을 수는 없으며, 상기 말벌 포획기의 경우에는 말벌을 잡을 수는 있지만 벌통에 유입되는 말벌을 막지 못하므로 말벌이 극성을 부리는 가을철에는 말벌 퇴치기나 말벌 포획기 등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말벌에 의해 꿀벌들이 물려 죽거나 말벌이 벌통을 습격하여 벌통 내의 꿀벌을 몰살시키는 현상을 방지하기까지는 역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을철만 되면 양봉 농가에서는 작업자가 잠자리채나 파리채 등과 같이 말벌을 포획할 수 있는 도구를 가지고 벌통 주변에 상주하면서 벌통 주변에 접근하는 말벌을 직접 포획하거나 벌통에 말벌이 접근할 수 없도록 그물을 덮어 놓는 등 말벌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9200호(등록일자 2019년 09월 02일)에 개시된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등과 같이 말벌이 벌통 소문 근처에 안착하지 못하도록 하여 소문의 꿀벌 출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말벌의 출입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꿀벌과 그 애벌레의 먹이로 사용되는 화분은 초목 및 화초의 꽃 수술에서 생산되는 생식세포로써 탄수화물, 원환당,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다양한 영양 성분이 함유되어 사람의 건강 증진, 미용 및 상처 치료 등에 뛰어난 효과를 가짐으로써 건강식품이나 미용 및 약재의 재료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화분의 경우에는 초목 및 화초의 꽃 수술로부터 0.003 내지 0.1mm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채취해야 하는 특성 상, 필요한 양을 지속적으로 충분하게 채집하기 위해서는 화분을 식량으로 함으로써 활발한 화분 채집활동을 하는 꿀벌을 이용한 화분 채집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꿀벌을 이용한 화분 채집 방식에 사용되는 화분 채집 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5246호(등록일자 2018년 08월 30일)에 개시된 '말벌의 진입이 방지되는 화분 채집 장치'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육각 망이 마련되어 있는 화분 채집부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를 벌통 소문에 설치하여 꿀벌이 육각 망을 통해 벌통 내부로 출입할 시 꿀벌 뒷다리에 묻어 있는 화분이 육각 망에 걸려 낙하하여 적재부에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화분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5246호에 개시된 화분 채집 장치의 경우에도 벌통 내부로 말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지부가 설치되며, 말벌의 침입을 방지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꿀벌은 통과하고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는 간격으로 복수개의 와이어나 일자 형태의 기둥부재를 소정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꿀벌은 통과하여 벌통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며 말벌은 벌통을 출입할 수 없도록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와이어나 일자 형태의 기둥부재를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꿀벌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하여 말벌이 벌통 내부로 출입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말벌 퇴치기의 경우에는 말벌 퇴치기 내부에서 말벌 퇴치기 외부가 훤히 보이기 때문에 말벌이 말벌 퇴치기 입구 앞에 있으면 말벌 퇴치기 외부로 나와서 말벌에 달라붙어 말벌을 둘러싸는 꿀벌(일벌)의 특성 상 말벌의 공격에 의한 꿀벌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꿀벌이 초목 및 화초의 꽃 수술에는 진드기의 일종인 응애가 기생하게 되는데, 상기 응애는 꿀벌이 화분을 채취할 시 꿀벌에 붙어 꿀벌과 함께 벌통 내부로 출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응애는 꿀벌의 지방체를 녹여 먹으면서 기생을 하다가 벌통 내부에 있는 애벌레방(소방 속 번데기 방) 내부로 들어가 증식하며, 월동을 하면서 벌통 내부에 바이러스를 전파하여 벌통 내부의 벌이나 애벌레뿐만 아니라 지역 꿀벌을 모두 몰살시키게 된다.
따라서, 양봉 농가에서는 내성이 매우 강한 응애를 제거하기 위해 벌통 내부에 다양한 살충제를 살포하여 응애에 의한 꿀벌의 피해를 방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살충제를 벌통 내부에 살포하여 응애를 제거할 경우에는 꿀에 살충에 성분이 남아 있고 벌꿀 피해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응애 제거를 위해 살충제를 살포하는 대신에 호흡기가 발달하여 산이나 매운 향에 약한 응애의 특성을 이용하여 개미산이나 옥살산 등을 기화되도록 살포하여 응애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독성이 매우 강하여 인체에도 치명적인 개미산을 기화시켜 살포함으로써 응애를 제거할 시에는 작업자 또한 개미산으로부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개미산 살포 작업 시 작업자는 호흡기를 통해 개미산을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반드시 방독면을 착용하고 개미산이 신체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장갑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착용한 후 개미산의 살포 작업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개미산의 살포양이 조절에 실패할 경우 꿀벌마저도 응애와 함께 죽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9200호(2019. 09. 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5246호(2018. 08. 3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말벌 포획 게이트와 화분 채집 게이트 및 응애 제거 게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벌통의 소문과 연통되도록 벌통에 설치되며 벌통 내부의 일벌이 벌통 외부로 나갈 수 있는 메인출구가 마련되는 베이스 게이트와, 상기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며 벌통 외부의 일벌과 말벌이 내부로 들어 올 수 있는 메인입구가 마련되어 상기 메인입구를 통해 일벌과 함께 내부로 들어 온 말벌만 유인하여 가둬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말벌 포획 게이트와,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와 연통되도록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어 말벌 포획 게이트를 통과한 일벌이 내부로 들어올 시 상기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을 낙하시켜 채집하는 화분 채집 게이트 및,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 및 베이스 게이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 게이트에 상부에 설치되어 화분 채집 게이트를 통과한 후 내부로 들어온 일벌로부터 응애를 제거시키며, 응애가 제거된 일벌은 베이스 게이트 내부로 들어간 후 소문을 통해 벌통 내부로 들어 갈 수 있도록 하는 응애 제거 게이트를 포함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게이트는 상기 벌통의 소문과 연통되도록 벌통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벌통 소문을 통해 벌통으로부터 본체부 내부로 나오는 일벌이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메인출구 및,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를 통과하면서 응애가 제거된 일벌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로부터 본체부 내부로 들어와 소문을 통해 벌통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제1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 게이트는 상기 메인출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출구를 가려 상기 메인출구 외부의 말벌과 본체부 내부로부터 메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일벌이 서로 마주치지 않게 하는 가림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출구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로 일벌이 나갈 수는 있지만 외부로부터 본체부 내부로 일벌이 들어 올 수 없도록 본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본체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를 들면,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는 상기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며 화분 채집 게이트와 마주하는 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외부의 일벌과 말벌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메인입구와, 상기 메인입구를 통해 본체부 내부로 들어온 말벌을 상기 본체부 외부로 다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말벌 포획 출구 및, 상기 말벌 포획 출구와 연통되도록 말벌 포획 출구에 설치되며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일벌만 통과할 수 있는 일벌 탈출구가 마련되어 말벌 포획 출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말벌은 내부에 가둬 놓으며 일벌은 일벌 탈출구를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말벌 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입구는 상기 본체부 외부로부터 내부로 일벌과 말벌이 들어갈 수는 있지만 본체부 내부로부터 외부로 일벌이 나갈 수는 없도록 본체부로부터 본체부 내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본체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말벌 포획 출구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말벌이 말벌 포획부로는 나갈 수 있지만 말벌 포획부 내에 포획된 말벌이 본체부 내부로는 다시 들어갈 수 없도록 본체부로부터 말벌 포획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말벌 포획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는 상기 말벌 포획부 내부에 삽입되는 말벌 유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는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와 밀착되도록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면이 개방된 본체부와,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 내의 일벌이 통과하여 본체부 내부로 들어올 시 상기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와 밀착된 본체부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화분 채집 홀과, 상기 화분 채집 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 및 본체부와 베이스 게이트 사이에 서랍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일벌이 화분 채집 홀을 통과함에 따라 낙하되는 화분을 담아 놓을 수 있는 화분 그릇 및,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와 밀착된 본체부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제1 일벌 통과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분 그릇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 게이트 상부면은 상기 화분 그릇 바닥에 쌓인 화분이 공기에 의해 자연 건조될 수 있도록 매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를 들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는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와 벌통 사이에 개재되도록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 내의 일벌이 본체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의 제1 일벌 통과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일벌 통과 홀과, 상기 본체부 내부의 일벌이 베이스 게이트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게이트의 제1 통로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 통로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면에 부착되어 응애 제거 약제를 흡수함으로써 상기 제2 일벌 통과 홀을 통해 본체부 내부로 들어온 일벌이 기어 다니게 되면 일벌에 매달려 있는 응애가 응애 제거 약제와 접촉되도록 하여 일벌로부터 응애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제 흡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은 양봉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벌통에 하나만 간단하게 설치하면 매우 심플한 구조로 꿀벌의 천적인 말벌은 물론 응애까지도 벌통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벌통 내부로 드나드는 일벌로부터 화분까지 채집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은 일벌과 함께 꿀벌이 메인입구를 통해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내부로 들어온다 하더라도 말벌만 말벌 포획 게이트의 말벌 포획부에 포획하여 가둬 놓고 일벌의 경우에는 일벌 탈출구를 통해 말벌 포획부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말벌에 의한 꿀벌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벌이 응애 제거 게이트 본체부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일벌로부터 자연스럽게 응애가 떨어져 나가 제거됨으로써 응애가 일벌과 함께 벌통 내부로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응애로 인한 벌통 내부의 꿀벌과 애벌레가 몰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은 독성이 강한 응애 제거 약제를 분무기 등을 통해 기체 상태로 분무하는 것이 아니라, 주사기나 스포이드 또는 링거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액체 상태로 약제 흡수수단에 정량으로 주입하여 흡수시켜 응애를 제거하게 됨으로써 과도한 응애 제거 약제의 사용을 방지하여 응애 제거 약제에 의한 꿀벌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독면이나 고무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비 없이도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응애 제거 약제를 주입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호흡기를 통해 응애 제거 약제를 흡입하는 등의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응애 제거 약제를 벌통 내에 직접 분사하지 않아 꿀에서 응애 제거 약제 성분이 검출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 꿀을 수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은 메인입구와 메인출구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별도로 마련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출구 전방부에 가림막이 마련됨으로써 외부에서 벌통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는 말벌과 벌통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일벌이 서로 마주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메인출구 주변에 말벌이 있다하더라도 가림막에 의해 말벌이 가려지게 됨으로써 메인출구 주변에 위치한 말벌과 메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일벌이 마주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말벌에 의해 일벌이 공격당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은 메인입구와 메인출구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분리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벌통으로 들어가는 이동경로가 복잡하여 꽃이 적은 계절인 무밀기에 강군이 약군의 꿀을 훔치는 도봉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도봉으로 인한 피해를 대폭 줄임과 동시에 꿀의 생산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은 매우 심플한 구조와 저렴한 비용으로 화분 채집은 물론 말벌과 응애 등과 같은 꿀벌의 천적까지 퇴치할 수 있으며, 도봉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꿀의 생산 비용을 대폭 절감시키고 생산 효율까지도 대폭 향상시켜 가격 경쟁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방어용 게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꿀벌 천적방어용 게이트 유닛이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방어용 게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꿀벌 천적방어용 게이트 유닛이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100)은 베이스 게이트(110), 말벌 포획 게이트(120), 화분 채집 게이트(130) 및, 응애 제거 게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는 벌통(200)의 소문(210)과 연통되도록 벌통(200)에 설치되며 벌통(200) 내부의 일벌이 벌통 외부로 나갈 수 있는 메인출구(11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는 본체부(111), 메인출구(112) 및, 제1 통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1)는 상기 벌통의 소문(210)과 연통되도록 벌통(2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출구(112)는 상기 벌통 소문(210)을 통해 벌통(200)으로부터 본체부(111) 내부로 나오는 일벌이 본체부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1)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출구(112)는 상기 본체부(111)로부터 외부로 일벌이 나갈 수는 있지만 외부로부터 본체부(111) 내부로 일벌이 들어 올 수 없도록 본체부(111)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111)로부터 본체부(111)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통로부(113)는 응애 제거 게이트(140)의 제2 통로부(142)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111)에 마련되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140)를 통과하면서 응애가 제거된 일벌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140)로부터 본체부(111) 내부로 들어와 소문(210)을 통해 벌통(20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는 가림막(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114)은 상기 메인출구(112)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화분 채집 게이트(130)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림막(114)은 상기 메인출구(11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출구(112)를 가려줌으로써 메인출구(112)로부터 외부로 나오는 일벌이 메인출구(112)의 좌우측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여 메인출구(112) 외부의 말벌과 마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메인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일벌의 시야에 말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벌이 말벌에 의해 물려 죽는 현상이나 일벌이 말벌을 둘러싸 함께 열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벌의 경우에는 말벌이 메인출구(112) 앞에 있어 시야에 들어오게 되면 수백 내지 수천 마리의 일벌이 말벌을 둘러싸는 형태로 말벌을 공격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말벌을 둘러싼 수백 내지 수천 마리의 일벌은 몸에 열을 내에 말벌과 함께 모두 열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출구(11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가림막(114)을 설치하여 메인출구(112)를 가려줌으로써 메인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일벌과 말벌이 마주치지 않도록 하여 말벌에 의해 일벌이 물려 죽는 현상과 더불어 수백 내지 수천 마리의 일벌이 말벌을 둘러싸 몸에 열을 내어 말벌과 함께 열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는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 상부에 설치되며 벌통(200) 외부의 일벌과 말벌이 내부로 들어 올 수 있는 메인입구(122)가 마련되어 상기 메인입구(122)를 통해 일벌과 함께 내부로 들어 온 말벌만 유인하여 가둬 놓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는 본체부(121), 메인입구(122), 말벌 포획 출구(123) 및, 말벌 포획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1)는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 상부에 설치되며 화분 채집 게이트(130)와 마주하는 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입구(122)는 상기 본체부(121) 외부의 일벌과 말벌이 상기 본체부(121)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21)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입구(122)는 상기 본체부(121) 외부로부터 내부로 일벌과 말벌이 들어갈 수는 있지만 본체부(121) 내부로부터 외부로 일벌이 나갈 수는 없도록 상기 본체부(121)로부터 본체부(121) 내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121)로부터 본체부(121)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벌 포획 출구(123)는 상기 메인입구(122)를 통해 본체부(121) 내부로 들어온 말벌은 상기 본체부(121) 외부로 다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21)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말벌 포획 출구(123)는 상기 본체부(121) 내부의 말벌이 본체부(121) 외부, 즉 말벌 포획부(124)로는 나갈 수 있지만 말벌 포획부(124) 내에 포획된 말벌이 본체부(121) 내부로는 다시 들어갈 수 없도록 본체부(121)로부터 말벌 포획부(124)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121)로부터 말벌 포획부(124)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벌 포획부(124)는 상기 말벌 포획 출구(123)와 연통되도록 말벌 포획 출구(123)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말벌 포획부(124)에는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일벌만 통과할 수 있는 일벌 탈출구(1241)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말벌 포획 출구(123)를 통해 말벌과 함께 말벌 포획부(124)로 일벌이 들어온다 하더라도 일벌의 경우에는 상기 일벌 탈출구(1241)를 통해 말벌 포획부(124)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말벌에 의하여 일벌이 죽임을 당하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는 상기 말벌 포획부(124) 내부에 삽입되는 말벌을 유인할 수 있는 말벌 유인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말벌 유인수단으로는 말벌이 좋아하는 부패된 막걸리나 포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말벌 포획부(124)는 말벌 포획 본체부(1240) 및, 일벌 탈출구(12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벌 포획 본체부(1240)는 상기 말벌 포획 출구(123)와 연통되도록 상기 말벌 포획 출구(123)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말벌 포획 본체부(1240) 내부에는 말벌이 좋아하는 냄새를 풍기는 부패된 막걸리나 포도 등과 같은 말벌 유인수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일벌 탈출구(1241)는 상기 말벌 포획 출구(123)와 마주하는 말벌 포획 본체부(1240) 측면부에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말벌 포획 출구(123)를 통해 말벌 포획 본체부(1240) 내부로 말벌과 함께 들어온 일벌이 말벌 포획 본체부(1240) 외부로 탈출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는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와 연통되도록 베이스 게이트(110) 상부에 설치되어 말벌 포획 게이트(120)를 통과한 일벌이 내부로 들어올 시 상기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을 낙하시켜 채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는 본체부(131), 화분 채집 홀(132), 화분 그릇(133) 및, 제1 일벌 통과 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31)는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와 밀착되도록 베이스 게이트(1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31)의 하부면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화분 채집 홀(132)은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 내의 일벌이 통과하여 본체부(131) 내부로 들어올 시 상기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와 밀착된 본체부(131)의 측면부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분 그릇(133)은 상기 화분 채집 홀(132)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 및 본체부(131)와 베이스 게이트(110) 사이에 서랍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일벌이 화분 채집 홀(132)을 통과함에 따라 낙하되는 화분을 담아 놓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화분 그릇(133)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 상부면은 상기 화분 그릇(133) 바닥에 쌓인 화분이 공기에 의해 자연 건조될 수 있도록 매쉬 형태(도시되지 않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일벌 통과 홀(134)은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140)와 밀착된 본체부(131)의 측면부에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31) 내부로 들어온 일벌이 상기 제1 일벌 통과 홀(134)을 통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140) 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는 손잡이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5)는 본체부(131)의 상부면에 돌출됨으로써 작업자가 파지하여 말벌 포획 게이트(120)와 응애 제거 게이트(14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화분 채집 게이트(130)의 상기 본체부(131)를 손쉽게 제거하거나, 말벌 포획 게이트(120)와 응애 제거 게이트(140) 사이에 화분 채집 게이트(130)의 상기 본체부(131)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는 비가림막(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가림막(136)은 말벌 포획 게이트(120)를 설치하지 않을 시 화분 그릇(133)에 비가 침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분 채집 게이트(130) 본체부(131)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140)는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 및 베이스 게이트(1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를 통과한 후 내부로 들어온 일벌로부터 응애를 제거시키며, 응애가 제거된 일벌은 베이스 게이트(110) 내부로 들어간 후 소문(210)을 통해 벌통(20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140)는 본체부(141), 제2 일벌 통과 홀(142), 제2 통로부(143) 및, 약제 흡수수단(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41)는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와 벌통(200) 사이에 개재되도록 베이스 게이트(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일벌 통과 홀(142)은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 내의 일벌이 본체부(141)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의 제1 일벌 통과 홀(134)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141)의 측면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로부(143)는 상기 본체부(141) 내부의 일벌이 베이스 게이트(11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의 제1 통로부(113)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141)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 흡수수단(144)은 일벌이 기어 다니는 상기 본체부(141) 내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일벌 통과 홀(142)을 통해 본체부(141) 내부로 들어온 일벌이 응애 제거 약제가 흡수되어 있는 약제 흡수수단(144)을 기어 다니게 되면 상기 일벌에 매달려 있는 응애가 떨어져 나가도록 함으로써 응애가 방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약제 흡수수단(144)으로는 상기 응애 제거 약제를 흡수시킬 수 있는 융과 같은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흡수수단(144)에 흡수시키는 응애 제거 약제로는 응애를 자극할 수 있는 자연 기화될 수 있는 액체 상태의 물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제 흡수수단(144)으로는 개미산, 옥살산, 님오일, 스트립제와 같은 살충제 등 응애를 자극할 수 있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응애 제거 약제는 주사기나 스포이드, 링거 등과 같은 도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약제 흡수수단(144)에 정량을 소정간격으로 떨어뜨려 흡수시킬 수 있다.
삭제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100)을 통해 벌통(200) 외부에서 벌통(200) 내부로 일벌이 들어가는 과정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100)을 벌통(200)의 소문(210)과 연통되도록 벌통(200) 외부에 설치하게 되면, 메인출구(112)는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로부터 외부로 일벌이 나갈 수는 있지만 외부로부터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 내부로 일벌이 들어 올 수 없도록 본체부(111)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111)로부터 본체부(111)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벌통(200) 외부의 일벌이 상기 메인출구(112)를 통해서는 베이스 게이트(110)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한편, 메인입구(122)는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 본체부(121) 외부로부터 내부로 일벌과 말벌이 들어갈 수는 있지만 말벌 포획 게이트(120)의 본체부(121) 내부로부터 외부로 일벌이 나갈 수는 없도록 본체부(121)로부터 본체부(121) 내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121)로부터 본체부(121)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벌통(200) 외부에 날아다니는 일벌은 상기 메인입구(122)를 통해서 말벌 포획 게이트(120)의 본체부(121)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입구(122)를 통해 일벌과 함께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의 본체부(121) 내부로 말벌이 들어오게 되면, 말벌의 경우에는 말벌 포획부(124)로부터 풍기는 말벌 유인수단의 냄새를 맡고 말벌 포획 출구(123)를 통해 말벌 포획부(124) 내부로 유인된다.
여기서, 말벌 포획 출구(123)는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의 본체부(121) 내부의 말벌이 말벌 포획부(124)로는 나갈 수 있지만 말벌 포획부(124) 내에 포획된 말벌이 말벌 포획 게이트(120) 본체부(121)로는 다시 들어갈 수 없도록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의 본체부(121)로부터 말벌 포획부(124)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 본체부(121)로부터 말벌 포획부(124)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말벌 포획부(124)로부터 풍기는 말벌 유인수단의 냄새를 맡고 상기 말벌 포획 출구(123)를 통해 말벌 포획부(124) 내부로 들어간 말벌은 상기 말벌 포획부(124) 내부에 포획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말벌과 함께 말벌 포획 출구(123)를 통해 말벌 포획부(124) 내부로 들어가 일벌은 상기 말벌 포획부(124)에 마련되어 있는 일벌 탈출구(1241)를 통해 말벌 포획부(124) 외부로 탈출하게 됨으로써 말벌에 의해 일벌이 죽임을 당하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입구(122)를 통해 말벌 포획 게이트(120)의 본체부(121) 내부로 들어온 일벌은 화분 채집 게이트(130)의 복수개의 화분 채집 홀(132)을 통해 화분 채집 게이트(130)의 본체부(131)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120) 본체부(121) 내의 일벌이 상기 화분 채집 홀(132)을 통과하여 화분 채집 게이트(130)의 본체부(131) 내로 들어갈 시 상기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은 상기 화분 채집 홀(132)에 걸려서 낙하하게 되며, 상기 일벌로부터 낙하되는 화분은 상기 화분 채집 홀(132) 하부에 위치한 화분 그릇(133)에 쌓여서 모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화분이 쌓여서 모이게 되는 화분 그릇(133)의 바닥면과 베이스 게이트(110) 상부면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매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화분 그릇(133) 바닥에 쌓인 화분이 공기에 의해 자연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화분 채집 홀(132)을 통해 화분 채집 게이트(130) 본체부(131) 내부로 들어간 일벌은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130)의 제1 일벌 통과 홀(134)과 응애 제거 게이트(140)에 형성된 제2 일벌 통과 홀(1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응애 제거 게이트(140) 본체부(141)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응애 제거 게이트(140) 본체부(141) 내부로 일벌이 들어가게 되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140) 본체부(141) 내부면에 부착된 응애 제거 약제를 흡수한 약제 흡수수단(144)을 기어 다니게 됨으로써 상기 일벌에 붙어 있는 응애가 제거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응애는 꽃에 기생을 하다 벌에 올라타서 일벌과 함께 벌통(200) 내부로 들어가 꿀벌의 애벌레방 내부로 증식하며, 월동을 하면서 벌통(200) 내부에 바이러스를 전파하여 벌통(200) 내부의 꿀벌과 애벌레를 모두 몰살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100)은 응애 제거 게이트(140) 본체부(141)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약제 흡수수단(144)에 응애 제거 약제를 흡수시켜 일벌이 상기 제1, 2 일벌 통과 홀(134)(142)을 통해 응애 제거 게이트(140) 본체부(141) 내부로 들어와 기어 다니게 되면, 상기 일벌에 기생하는 응애가 응애 제거 약제와 접촉되어 상기 일벌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응애 제거 약제로 사용되는 개미산과 같은 응애 제거 약제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기체 상태로 벌통(200) 내부에 살포되는데, 상기와 같이 개미산과 같은 응애 제거 약제를 기체 상태로 살포할 경우에는 독성이 매우 강해 작업자가 방독면과 고무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비를 반드시 착용한 후 살포 작업을 진행해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개미산과 같은 응애 제거 약제를 융과 같이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섬유로 제작된 약제 흡수수단(144)에 주사기나 스포이드, 링거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소정량을 정기적으로 떨어뜨려 흡수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보호 장비를 착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응애 제거 약제가 흡수되어 있는 약제 흡수수단(144)이 부착된 응애 제거 게이트(140)를 통과하면서 응애가 제거된 일벌은 응애 제거 게이트(140)의 제2 통로부(143)와 베이스 게이트(110)의 제1 통로부(113)를 통과하여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 내부로 들어간 일벌은 다시 벌통(200)에 형성되어 있는 소문(210)을 통해 벌통(20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벌통(200) 내부의 일벌은 상기 벌통(200)에 마련되어 있는 소문(210)을 통해 베이스 게이트(110)의 본체부(111)로 나온 후,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의 본체부(111)에 마련되어 있는 메인출구(112)를 통해 벌통(200) 외부로 나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의 본체부(111)에 마련되어 있는 메인출구(112)는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의 본체부(111)로부터 외부로 일벌이 나갈 수는 있지만 외부로부터 베이스 게이트(110)의 내부로 일벌이 들어 올 수 없도록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의 본체부(111)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의 본체부(111)로부터 본체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베이스 게이트(110) 외부에 있는 말벌이나 일벌은 상기 메인출구(112)를 통해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출구(11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가림막(114)이 마련되어 상기 메인출구(112)를 가려 상기 메인출구(112) 외부의 말벌과 베이스 게이트(110)의 본체부(111) 내부로부터 메인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일벌이 서로 마주치지 않게 함으로써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 외부 주변에 있는 말벌이 돌아다닌다 하더라도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 내부에 있는 일벌이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 외부 주변에 있는 말벌을 보고 달려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로부터 메인출구(112)를 통해 일벌이 외부로 나간다 하더라도 상기 메인출구(11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가림막(114)이 마련되어 메인출구(112) 정면부를 가리게 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게이트(110) 본체부(111) 내부에 있는 일벌이 메인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기어 나온다 하더라도 상기 메인출구(112)로부터 직선형태로 외부로 날아가지 못하고 상기 메인출구(112)의 좌우측 방향으로 날아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출구(112) 외부에 있는 말벌과 메인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일벌이 마주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말벌에 의하여 일벌이 죽임을 당하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100)은 양봉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벌통(200)에 하나만 간단하게 설치하면 꿀벌의 천적인 말벌은 물론 응애까지도 벌통(20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벌통(200) 내부로 드나드는 일벌로부터 화분까지 채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벌과 함께 꿀벌이 메인입구(122)를 통해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100) 내부로 들어온다 하더라도 말벌만 말벌 포획 게이트(120)의 말벌 포획부(124)에 포획하여 가둬 놓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말벌과 함께 일벌이 말벌 포획부(124) 내로 들어온다 하더라도 일벌의 경우에는 일벌 탈출구(1241)를 통해 말벌 포획부(124)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말벌에 의한 꿀벌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벌이 화분 채집 게이트(130)를 통과하여 응애 제거 게이트(140) 내부로 들어가 일벌이 응애 제거 게이트(140) 본체부(141)를 기어 다니게 되면 약제 흡수수단(144)에 흡수되어 있는 응애 제거 약제에 응애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일벌이 응애 제거 게이트(140) 본체부(141)를 통과하면서 상기 일벌로부터 응애가 떨어져 나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140) 본체부(141)를 일벌이 통과하게 되면 상기 일벌로부터 자연스럽게 응애가 떨어져 나가 제거됨으로써 응애가 일벌과 함께 벌통(200) 내부로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응애로 인한 벌통(200) 내부의 꿀벌과 애벌레가 몰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100)은 응애 제거 게이트(140) 본체부(141) 내부면에 약제 흡수수단(144)을 부착시킨 후, 상기 약제 흡수수단(144)에 응애 제거 약제를 주사기나 링거 또는 스포이드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액체 상태로 주입하여 흡수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방독면이나 장갑 등과 같은 별도의 보호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응애 제거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에는 벌통 내부의 응애를 제거하기 위해 벌통을 개방시킨 후 벌통 내부에 응애 제거 약제를 기체 상태로 살포하여 벌통 내부의 응애를 제거하게 되는데, 응애 제거 약제로 사용되는 농약이나 개미산 등의 경우에는 독성이 강해 기체 상태로 살포하게 될 경우 작업자가 호흡기를 통해 흡입하게 되면 작업자에게도 치명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응애 제거 약제를 살포할 경우에는 반드시 방독면과 고무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비를 착용한 후 응애 제거 약제를 살포해야만 한다.
또한, 응애 제거 약제를 과도하게 살포할 경우에는 응애 뿐만 아니라 벌통 내부의 애벌레나 꿀벌까지도 몰살시킬 수 있으므로 응애 제거 약제의 살포량을 매우 정밀하게 조절하여야만 하나, 분무기 등을 통해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살포를 하게 되는 특성 상 응애 제거 약제의 살포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100)는 독성이 강한 응애 제거 약제를 분무기 등을 통해 기체 상태로 분무하는 것이 아니라, 주사기나 스포이드 또는 링거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액체 상태로 약제 흡수수단(144)에 정량으로 주입하여 흡수시켜 응애를 제거하게 됨으로써 과도한 응애 제거 약제의 사용을 방지하여 응애 제거 약제에 의한 꿀벌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독면이나 고무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비 없이도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응애 제거 약제를 주입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호흡기를 통해 응애 제거 약제를 흡입하는 등의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응애 제거 약제를 벌통 내에 직접 분사하지 않아 꿀에서 응애 제거 약제 성분이 검출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 꿀을 수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100)는 일벌이 외부로부터 벌통(200) 내부로 들어가는 메인입구(122)와 벌통(2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메인출구(112)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별도로 마련됨으로써 말벌에 의한 꿀벌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말벌의 경우에는 벌통(200) 내부로 들어가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벌의 경우에는 벌통(200) 외부에 말벌이 발견되면 벌통(200)으로부터 나와 말벌을 공격하려고 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벌통(200)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와 출구가 하나로 형성될 경우 벌통(200) 출입구에서 말벌과 일벌이 서로 마주쳐 말벌에 의해 일벌이 공격당해 죽게 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100)는 메인입구(122)와 메인출구(112)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별도로 마련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출구(112) 전방부에 가림막(114)이 마련됨으로써 외부에서 벌통(200)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는 말벌과 벌통(200)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일벌이 서로 마주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메인출구(112) 주변에 말벌이 있다하더라도 가림막(114)에 의해 말벌이 가려지게 됨으로써 메인출구(112) 주변에 위치한 말벌과 메인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일벌이 마주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말벌에 의해 일벌이 공격당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한편, 꽃이 적은 계절인 무밀기에는 강한 꿀벌이 약한 꿀벌의 벌통에서 꿀을 훔쳐오는 도봉이 발생하게 되는데, 도봉 중인 벌은 매우 빠른 속도로 날게 되며 훔치는 벌통 입구에서 훔치러 들어가는 꿀벌과 꿀을 지키려는 꿀벌이 사람의 인위적 개입이 불가할 정도의 목숨을 건 싸움을 하게 되며, 결국 도봉이 시작되면 여왕벌까지 사살할 뿐만 아니라 훔쳐올 꿀이 없어져야 끝이 나게 되어 크게는 봉장전체를 초토화시키는 아주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100)은 메인입구(122)와 메인출구(112)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분리되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메인입구(122)에서부터 벌통(200)으로 들어가는 이동경로를 복잡하게 형성하여 꽃이 적은 계절인 무밀기에 강군이 약군의 꿀을 훔치는 도봉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도봉으로 인한 피해를 대폭 줄임과 동시에 꿀의 생산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베이스 게이트 (120) : 말벌 포획 게이트
(130) : 화분 채집 게이트 (140) : 응애 제거 게이트

Claims (12)

  1. 벌통의 소문과 연통되도록 벌통에 설치되며 벌통 내부의 일벌이 벌통 외부로 나갈 수 있는 메인출구가 마련되는 베이스 게이트;
    상기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며 벌통 외부의 일벌과 말벌이 내부로 들어 올 수 있는 메인입구가 마련되어 상기 메인입구를 통해 일벌과 함께 내부로 들어 온 말벌만 유인하여 가둬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말벌 포획 게이트;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와 연통되도록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어 말벌 포획 게이트를 통과한 일벌이 내부로 들어올 시 상기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을 낙하시켜 채집하는 화분 채집 게이트; 및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 및 베이스 게이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 게이트에 상부에 설치되어 화분 채집 게이트를 통과한 후 내부로 들어온 일벌로부터 응애를 제거시키며, 응애가 제거된 일벌은 베이스 게이트 내부로 들어간 후 소문을 통해 벌통 내부로 들어 갈 수 있도록 하는 응애 제거 게이트를 포함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게이트는,
    상기 벌통의 소문과 연통되도록 벌통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벌통 소문을 통해 벌통으로부터 본체부 내부로 나오는 일벌이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메인출구; 및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를 통과하면서 응애가 제거된 일벌이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로부터 본체부 내부로 들어와 소문을 통해 벌통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제1 통로부를 포함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게이트는,
    상기 메인출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출구를 가려 상기 메인출구 외부의 말벌과 본체부 내부로부터 메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일벌이 서로 마주치지 않게 하는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출구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로 일벌이 나갈 수는 있지만 외부로부터 본체부 내부로 일벌이 들어 올 수 없도록 본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본체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는,
    상기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며 화분 채집 게이트와 마주하는 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외부의 일벌과 말벌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메인입구;
    상기 메인입구를 통해 본체부 내부로 들어온 말벌을 상기 본체부 외부로 다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말벌 포획 출구; 및
    상기 말벌 포획 출구와 연통되도록 말벌 포획 출구에 설치되며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고 일벌만 통과할 수 있는 일벌 탈출구가 마련되어 말벌 포획 출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말벌은 내부에 가둬 놓으며 일벌은 일벌 탈출구를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말벌 포획부를 포함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입구는,
    상기 본체부 외부로부터 내부로 일벌과 말벌이 들어갈 수는 있지만 본체부 내부로부터 외부로 일벌이 나갈 수는 없도록 본체부로부터 본체부 내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본체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포획 출구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말벌이 말벌 포획부로는 나갈 수 있지만 말벌 포획부 내에 포획된 말벌이 본체부 내부로는 다시 들어갈 수 없도록 본체부로부터 말벌 포획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말벌 포획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는,
    상기 말벌 포획부 내부에 삽입되는 말벌 유인수단을 더 포함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는,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와 밀착되도록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면이 개방된 본체부;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 내의 일벌이 통과하여 본체부 내부로 들어올 시 상기 일벌에 묻어 있는 화분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와 밀착된 본체부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화분 채집 홀;
    상기 화분 채집 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말벌 포획 게이트 및 본체부와 베이스 게이트 사이에 서랍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일벌이 화분 채집 홀을 통과함에 따라 낙하되는 화분을 담아 놓을 수 있는 화분 그릇; 및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와 밀착된 본체부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제1 일벌 통과 홀을 포함하는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그릇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 게이트 상부면은 상기 화분 그릇 바닥에 쌓인 화분이 공기에 의해 자연 건조될 수 있도록 매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애 제거 게이트는,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와 벌통 사이에 개재되도록 베이스 게이트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 내의 일벌이 본체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화분 채집 게이트의 제1 일벌 통과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일벌 통과 홀;
    상기 본체부 내부의 일벌이 베이스 게이트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게이트의 제1 통로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 통로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면에 부착되어 응애 제거 약제를 흡수함으로써 상기 제2 일벌 통과 홀을 통해 본체부 내부로 들어온 일벌이 기어 다니게 되면 일벌에 매달려 있는 응애가 응애 제거 약제와 접촉되도록 하여 일벌로부터 응애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제 흡수수단을 포함하는 꿀벌 천적 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12. 삭제
KR1020200188863A 2020-12-31 2020-12-31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KR10264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63A KR102642149B1 (ko) 2020-12-31 2020-12-31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63A KR102642149B1 (ko) 2020-12-31 2020-12-31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41A KR20220096441A (ko) 2022-07-07
KR102642149B1 true KR102642149B1 (ko) 2024-02-28

Family

ID=8239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863A KR102642149B1 (ko) 2020-12-31 2020-12-31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1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710B1 (ko) * 2018-07-13 2019-04-25 윤준민 교환 장착이 가능한 벌통용 다용도 양봉기구
KR102093807B1 (ko) * 2019-10-07 2020-03-26 이신석 벌통용 해충 피해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200B1 (ko) 2017-10-23 2019-09-06 송인택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KR101895246B1 (ko) 2018-02-21 2018-09-07 김점순 말벌의 진입이 방지되는 화분 채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710B1 (ko) * 2018-07-13 2019-04-25 윤준민 교환 장착이 가능한 벌통용 다용도 양봉기구
KR102093807B1 (ko) * 2019-10-07 2020-03-26 이신석 벌통용 해충 피해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41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Anderson et al. Pesticide usage in relation to beekeeping
US20070224913A1 (en) Beehive combination bottom board for detection, monitoring and/or reduction of parasite infestations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US20200396977A1 (en)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US20080213329A1 (en) Method of Delivering a Biologically Active Agent
US20150359228A1 (en) Insect Biocontrol Method and Device: Attract-Infect-Release (AIR) Technology
US5133150A (en) Insect trap for gypsy moths and other flying insects
JP2011509678A (ja) 有害生物駆除用装置
EP3360412A1 (en) Wasp catching device
KR102642149B1 (ko)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KR20190069753A (ko) 응애치사율을 높이는 효과적인 친환경양봉 꿀벌응애 방제 방법
KR102556659B1 (ko)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벌통
JP2008100920A (ja) 害虫駆除材
ES2913290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tección de abejas melíferas frente a insectos depredadores
Nguyen The use of creosote bush and grapefruit leaves smoke in the control of Varroa mite infestation in honeybee colonies
Abrol et al. Safety of Pollinators
KR20200059918A (ko) 해충 유인용 부착트랩.
JP7085575B2 (ja) 分蜂捕獲器。分蜂群を捕獲し新巣箱へ移動する分蜂捕獲器。
KR200494787Y1 (ko) 피충복
Younis New technique for protecting honey bee colonies from oriental wasp (Vespa orientalisL.) attacks at Dokki region, Giza, Egypt.
KR20240000603U (ko) 말벌 포획 퇴치기
Faheem A brief guide to museum pests control and their management
JP2006180805A (ja) 害虫の殺虫方法及び装置
JP2004105092A (ja) スズメバチの駆除方法及び駆除用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