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024B1 - 파종기 연결대 - Google Patents

파종기 연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024B1
KR102642024B1 KR1020210108158A KR20210108158A KR102642024B1 KR 102642024 B1 KR102642024 B1 KR 102642024B1 KR 1020210108158 A KR1020210108158 A KR 1020210108158A KR 20210108158 A KR20210108158 A KR 20210108158A KR 102642024 B1 KR102642024 B1 KR 102642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unit
present
connection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132A (ko
Inventor
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농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농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농업기계
Priority to KR102021010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0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파종기 연결대가 제공된다. 상기 파종기 연결대는, 지지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연결 유닛; 상기 지지대 연결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파종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종기 연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종기 연결대{AN APPARATUS FOR CONNECTING SEEDER}
본 발명은 파종기 연결대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랙터 후방에 배치되는 복토기 등과 파종기를 연결시킴으로써 복토 작업 등과 파종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파종기를 회전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여 파종기 미사용 시 파종기의 손상 방지 및 효율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복토기 등과 연결되는 파종기의 거리, 높이,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파종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파종기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정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 연결대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종자와 비료 등을 파종함에 있어서, 복토 작업으로 분쇄된 흙을 괭이나 쟁기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깊이로 이랑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이랑 작업을 통해 형성된 고랑을 따라 종자나 비료 등을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농촌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작업 연령이 노령화 되고 있으며, 더불어 가구당 농사를 짓는 면적이 점차 더 확대됨에 따라 작업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에 직면하여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적은 노동력을 투입하여 다작을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그 해결 방안의 하나로 통합적이고, 자동화된 농업 기계의 보급을 서두르는 추세이다.
특히,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의 협정에 따라 농산물시장이 개방되는 환경에서 농산품의 가격 경쟁력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계화를 통한 생산이 필수적이고,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파종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트랙터, 경운기 등의 농기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종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파종기는 단순한 파종 작업 기능 외에 농기계에 장착되는 구조의 특성상 구입 비용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빠르게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토기 등에 결합되는 파종기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파종의 높이 또는 파종의 각도 등을 용이하게 변경하지 못하므로 작물의 성장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물의 종류에 따라 종자의 이송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파종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작물의 수확량이 급격하게 감소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복토기 등에 결합되는 파종기는 복토기 등과 파종 작업을 위한 파종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승하강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종기 미사용 시에도 파종기가 지면에 마찰되며 트랙터가 이동함으로 인해 파종기가 쉽게 손상되고, 복토 작업 또는 두둑 성형 작업과 파종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수 없으므로 효율적인 파종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복토기 등에 결합된 파종기는 파종 작업 시 파종기가 지면과 마찰로 인해 흔들림이 심하고,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결합 각도 등이 쉽게 고정 해제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트랙터 후방에 배치되는 복토기 등과 파종기를 연결시킴으로써 복토 작업 등과 파종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파종기를 회전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여 파종기 미사용 시 파종기의 손상 방지 및 효율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복토기 등과 연결되는 파종기의 거리, 높이,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파종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파종기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정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 연결대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트랙터 후방에 배치되는 복토기 등과 파종기를 연결시킴으로써 복토 작업 등과 파종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 연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종기를 회전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파종기 미사용 시 파종기의 손상 방지 및 효율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 연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토기 등과 연결되는 파종기의 거리, 높이,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파종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파종기 연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종기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정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 연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는, 지지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연결 유닛; 상기 지지대 연결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파종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종기 연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연결 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대 고정 유닛; 및 상기 지지대 고정 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고정 유닛은, 상기 승강 조절 유닛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위치 조절 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 홈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연결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고,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압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을 홀딩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피스톤 로드 연결 홈; 및 상기 메인프레임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체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종기 연결 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내삽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파종기 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종기 연결프레임은,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에 내삽되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파종기 연결 유닛의 결합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너트 부재; 상기 너트 부재의 일단에 체결되고 상기 파종기 연결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볼트 부재; 및 상기 너트 부재의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볼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에 의하면, 트랙터 후방에 배치되는 복토기 등과 파종기를 연결시킴으로써 복토 작업 등과 파종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에 의하면, 파종기를 회전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파종기 미사용 시 파종기의 손상 방지 및 효율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에 의하면, 복토기 등과 연결되는 파종기의 거리, 높이,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파종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에 의하면, 파종기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정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연결 유닛(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 및 메인프레임(30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이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 및 각도 조절 유닛(60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에 의해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회동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트랙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토기, 배토기 또는 두둑 성형기 등과 결합되는 지지대(20)와 파종기(3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지지대(20)는 작물 재배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트랙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토기, 배토기 또는 두둑 성형기 등이 결합될 수 있는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지지대(20)와 파종기(3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파종 작업 시 필요한 파종기(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단일의 지지대(20)에 복수 개의 파종기(30)를 연결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복수 개의 파종기(3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랙터의 주행과 동시에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진 라인별로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지지대 연결 유닛(100), 유압 실린더(200), 메인프레임(300), 고정 유닛(400), 파종기 연결 유닛(500), 각도 조절 유닛(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지지대(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연결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연결 유닛(100)은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지지대(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체결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메인프레임(300) 및 유압 실린더(20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연결 유닛(100)에 유압 실린더(200) 및 메인프레임(300)이 힌지 결합됨에 따라 유압 실린더(200) 및 메인프레임(300)이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이 상하로 회동함과 동시에 메인프레임(300)과 연결된 파종기(30)가 회전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이 회동하는 세부적인 구성은 후술할 도 3, 도 4a 및 도 4b 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 연결대(10)는 지지대 연결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고, 작동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압 실린더(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는 일단이 고정 유닛(400)을 통해 메인프레임(3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대 연결 유닛(10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작동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는 트랙터의 제어 기기(예를 들어, 트랙터 운전 보조 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트랙터의 동력 기관 등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지지대 연결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은 일단이 파종기 연결 유닛(5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대 연결 유닛(1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대(20)에 고정된 지지대 연결 유닛(100)과 힌지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이 회동함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의 일단과 연결되는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회전 방향으로 승강함으로써, 파종기 연결 유닛(500)과 결합된 파종기(30)도 회전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은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회전 방향으로 승강하는 파종기(30)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해 철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300)의 길이에 따라 회전 방향으로 승강하는 파종기(30)의 반경도 선택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300)의 길이가 길수록 회전 방향으로 승강하는 파종기(30)의 반경도 증가할 수 있고, 메인프레임(300)의 길이가 짧을수록 회전 방향으로 승강하는 파종기(30)의 반경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유압 실린더(2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메인프레임(300)을 홀딩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은 유압 실린더(200)의 일단과 메인프레임(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은 메인프레임(300)을 감싸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측이 유압 실린더(20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됨으로써,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해 메인프레임(30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 연결대(10)는 메인프레임(3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파종기(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종기 연결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은 일단에 파종기(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메인프레임(3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동되는 메인프레임(300)에 따라 회전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은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길이 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파종기(3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메인프레임(300)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결합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은 일단이 메인프레임(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타단과 힌지 결합됨으로써 메인프레임(300)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이루는 결합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은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의 길이 증감에 따라 메인프레임(300)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이루는 결합 각도가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에 의해 메인프레임(300)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이루는 결합 각도가 조절되는 세부적인 구성은 후술할 도 7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연결 유닛(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 연결 유닛(100)은 지지대(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유압 실린더(200) 및 메인프레임(30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연결 유닛(100)은 지지대 고정 유닛(110) 및 승강 조절 유닛(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 유닛(110)은 지지대(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 유닛(11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 형상을 갖는 지지대(2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체결 홈에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지지대(20)가 삽입되어 둘러싸임으로써 지지대(20)에 지지대 고정 유닛(110)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지지대(20)와 체결되는 체결 홈은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후측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지지대 고정 유닛(110)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하 방향의 길이는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 유닛(110)은 2개의 플레이트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2개의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대 고정 유닛(110)을 구성하는 2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는 상측에 배치되는 승강 조절 유닛(12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 유닛(110)은 승강 조절 유닛(120)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위치 조절 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 홈(111)은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개(예를 들어,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7개)로 구비될 수 있고, 나란히 배치되는 2개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각 위치 조절 홈(111)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하측에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위치 조절 홈(111)에 대응하여 볼트 체결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위치 조절 홈(111)이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므로, 승강 조절 유닛(120)은 전후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 개의 위치 조절 홈(1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3개의 연속적으로 나열된 위치 조절 홈(111)과 승강 조절 유닛(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홈을 일치시키고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복수 개의 위치 조절 홈(111) 중에서 위치 선택적으로 승강 조절 유닛(120)이 볼트 체결됨으로 써, 승강 조절 유닛(120)이 나란히 배치되는 2개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각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상측에서 승강 조절 유닛(120)이 전후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승강 조절 유닛(120)과 연결되는 메인프레임(300)뿐만 아니라 파종기(30)도 전후 방향으로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의 파종 방식 또는 지면 상태 등에 따라 복토기 등과 파종기(30)의 거리 간격이 조절되어 효과적으로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지지대 고정 유닛(110)과 마찬가지로 2개의 플레이트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2개의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승강 조절 유닛(120)의 2개의 플레이트 간 폭은 하측에 체결되는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2개의 플레이트 간 폭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승강 조절 유닛(120)이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2개의 플레이트 간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하측 영역보다 상측 영역이 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즉 지지대 고정 유닛(110)과 체결되는 홈이 구비되는 하측 영역, 유압 실린더(200)와 힌지 결합되는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과 상측 영역을 연결시키는 중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의 하측 영역은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복수 개의 위치 조절 홈(111) 중 연속적으로 나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예를 들어, 3개)에 대응하는 체결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위치 조절 홈(111)과 승강 조절 유닛(120)의 하측 영역의 체결 홈을 일치시키고 볼트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지지대 고정 유닛(110)과 메인프레임(300)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지지대 고정 유닛(110)과 유압 실린더(2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하측이 지지대 고정 유닛(1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메인프레임(300)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유압 실린더(200)가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메인프레임(300)이 힌지 결합될 수 있는 메인프레임 연결 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연결 홈(122)은 승강 조절 유닛(120)의 하측 영역과 중간 영역의 경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유압 실린더(20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는 실린더 연결 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연결 홈(121)은 승강 조절 유닛(120)의 상측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영역(즉, 하측 영역)이 구비될 수 있고, 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영역에서 전측 및 상측의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영역(즉, 중간 영역)이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 연결 홈(122)은 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영역에서 전측 및 상측의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영역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만곡진 후측 둘레면에 인접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는 승강 조절 유닛(120)은 전측 및 상측의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영역에서 다시 상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영역(즉, 상측 영역)이 구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연결 홈(121)은 상측 영역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은 하측이 지지대 고정 유닛(110)에 체결되어 파종기 연결대(10)가 지지대(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유압 실린더(200) 및 메인프레임(300)을 힌지 결합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유압 실린더(200) 및 메인프레임(300)의 회동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유압 실린더(200)를 메인프레임(300)의 상측 전방에 배치시킴으로써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의 회전 방향의 승강(즉, 상하 방향의 회동)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를 위한 동력 전달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 및 메인프레임(30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 연결대(10)는 지지대 연결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고, 작동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압 실린더(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는 승강 조절 유닛(120)의 실린더 연결 홈(121)에 힌지 결합되어 실린더 연결 홈(121)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의 일단 즉, 유압 실린더(200)에서 피스톤 운동을 하는 피스톤 로드(210)의 일단이 고정 유닛(400)의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지지대 연결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은 승강 조절 유닛(120)의 메인프레임 연결 홈(122)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프레임 연결 홈(122)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은 고정 유닛(400)에 내삽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 바람직하게는 중간부가 고정 유닛(400)에 의해 둘러싸여 홀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는 승강 조절 유닛(120)의 실린더 연결 홈(12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은 승강 조절 유닛(120)의 메인프레임 연결 홈(122)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조절 유닛(120)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조에 따라 실린더 연결 홈(121)은 메인프레임 연결 홈(122)보다 상측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의 회동 중심은 메인프레임(300)의 회동 중심보다 상측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의 피스톤 로드(210)의 일단이 메인프레임(300)의 중간부를 감싸 홀딩하고 있는 고정 유닛(400)의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 도 5 및 도 8 참고)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가 작동하여 피스톤 로드(210)가 유압 실린더(200)의 내측으로 삽입 즉, 피스톤 로드(210)의 노출되는 영역이 짧아지면, 피스톤 로드(210)의 일단과 연결된 고정 유닛(400)이 전측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고정 유닛(400)이 홀딩하는 메인프레임(300)도 전측 방향으로 당겨지며 상측 방향으로 회동(참고로, 도 3에서 시계 방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가 작동하여 피스톤 로드(210)가 유압 실린더(200)의 외측으로 인출 즉, 피스톤 로드(210)의 노출되는 영역이 길어지면, 피스톤 로드(210)의 일단과 연결된 고정 유닛(400)이 후측 방향으로 밀려나며, 이와 동시에 고정 유닛(400)이 홀딩하는 메인프레임(300)도 후측 방향으로 밀려나며 하측 방향으로 회동(참고로, 도 3에서 반시계 방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의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에는 일단이 고정 유닛(400)의 메인프레임(300)을 홀딩하는 영역과 연결되고, 타단이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의 힌지 부분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핀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에 구비되는 핀 유닛은 중간 영역이 밴딩되어 일단과 타단이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탄성을 가짐으로써, 밴딩된 중간 영역을 중심으로 일단과 타단이 벌이지는 경우 핀 유닛의 일단과 타단이 마주 보는 방향으로 다시 탄성 회복할 수 있다.
이러한 핀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으로 메인프레임(300)이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도 유압 실린더(200)와 메인프레임(300)이 이루는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따라 고정 유닛(400) 및 메인프레임(300)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되고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메인프레임(30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이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이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이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의 피스톤 로드(210)가 짧아지면 메인프레임(300)이 상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메인프레임(300)의 상측 방향의 회동에 의해서 유압 실린더(200)도 상측 방향으로 밀려나며 실린더 연결 홈(121)을 축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의 타단이 승강 조절 유닛(120)의 실린더 연결 홈(121)에 힌지 결합되어 실린더 연결 홈(121)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유압 실린더(200)의 피스톤 로드(210)가 짧아져 메인프레임(300)이 상측 방향으로 회동 시 메인프레임(300)의 상측 방향의 회동에 대응하여 유압 실린더(200)도 실린더 연결 홈(121)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순히 유압 실린더(200)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피스톤 로드(210)가 짧아지는 구성에 비해서 메인프레임(300)이 보다 더 큰 각도로 상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압 실린더(200)에 가해지는 부하도 감소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의 피스톤 로드(210)가 길어지면 메인프레임(300)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메인프레임(300)의 하측 방향의 회동에 의해서 유압 실린더(200)도 하측 방향으로 끌려가며 실린더 연결 홈(121)을 축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00)의 타단이 승강 조절 유닛(120)의 실린더 연결 홈(121)에 힌지 결합되어 실린더 연결 홈(121)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유압 실린더(200)의 피스톤 로드(210)가 길어져 메인프레임(300)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 시 메인프레임(300)의 하측 방향의 회동에 대응하여 유압 실린더(200)도 실린더 연결 홈(121)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하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순히 유압 실린더(200)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피스톤 로드(210)가 짧아지는 구성에 비해서 메인프레임(300)이 보다 더 큰 각도로 하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압 실린더(200)에 가해지는 부하도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의 회동에 의해서 메인프레임(300)과 연결되는 파종기(30)도 상하로 승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파종 작업이 불필요한 경우 파종기(30)를 지지대(20)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파종 작업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300)은 이중 프레임 구조를 가짐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종기(30)와 지지대(20) 간의 거리 간격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은 유압 실린더(20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메인프레임(300)을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은 유압 실린더(20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은 상측 영역에 유압 실린더(200)의 피스톤 로드(21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이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압 실린더(200)의 피스톤 로드(210)가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을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에는 유압 실린더(200)와 메인프레임(300) 사이의 각도를 유지시키고,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핀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앞서 본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의 하측 영역은 메인프레임(300)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이 고정 유닛(400)의 관통 홈에 내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은 메인프레임(300)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은 고정 유닛(400)의 하측 영역 즉, 메인프레임(300)이 내삽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하측 영역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은 고정 유닛(400)이 체결되는 중간 영역에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과 볼트 체결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프레임(300)의 통공과 고정 유닛(400)의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이 일치되어 볼트 체결됨으로써, 메인프레임(300)과 고정 유닛(4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은 메인프레임(300)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은 고정 유닛(400)의 하측의 메인프레임(300)을 둘러싸 홀딩하는 영역의 측면에 일렬로 나열되어 복수 개(예를 들어,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에 형성되는 통공은 일렬로 나열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는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 중 하나의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과 선택적으로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에 형성되는 통공이 복수 개의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 중 후측(참고로, 도 5에서 좌측)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과 볼트 체결될 시, 복수 개의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 중 가운데 또는 전측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과 볼트 체결되는 경우에 비해 고정 유닛(400)이 메인프레임(300)에 보다 전측에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에 형성되는 통공이 복수 개의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 중 전측(참고로, 도 5에서 우측)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과 볼트 체결될 시, 복수 개의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 중 가운데 또는 후측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과 볼트 체결되는 경우에 비해 고정 유닛(400)이 메인프레임(300)에 보다 후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과 메인프레임(300)이 체결되는 영역이 메인프레임(300)의 전후로 조절됨에 따라,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한 메인프레임(300)의 상하 방향 회동이 보다 세밀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400)과 메인프레임(300)이 체결되는 영역이 전측으로 조절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210)의 메인프레임(300)에 대한 작용점이 고정 유닛(400)과 메인프레임(300)이 체결되는 영역이 가운데 또는 후측인 경우보다 전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압 실린더(200)가 메인프레임(300)을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시, 메인프레임(300)이, 고정 유닛(400)과 메인프레임(300)이 체결되는 영역이 가운데 또는 후측인 경우의 메인프레임(300)의 회동 궤도와 동일한 궤도를, 유압 실린더(200)의 보다 강한 힘에 의해 더 적은 시간 동안 회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 및 각도 조절 유닛(60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 연결대(10)는 메인프레임(3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파종기(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종기 연결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은 고정프레임(510) 및 파종기 연결프레임(5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은 메인프레임(3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고정프레임(5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510)은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내측에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이 내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510)은 메인프레임(300)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연결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연결부(512)는 고정프레임(510)의 하측에 구비되어 메인프레임(30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510)은 메인프레임 연결부(512)에 힌지 결합된 메인프레임(300)의 일단을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51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각도 조절 유닛(600)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511)는 고정프레임(510)의 상측 영역에 구비될 수 있고, 각도 조절 유닛(600)의 일단,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볼트 부재(62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은 고정프레임(510)에 내삽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은 일단이 나사산이 형성되는 손잡이(521)와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파종기(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521)는 고정프레임(510)의 상부 내측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521)의 정회전/역회전에 따라 고정프레임(510)의 내측에서 나사산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은 일단이 손잡이(521)의 하측과 연결되어 손잡이(521)의 회전에 따라 고정프레임(510)에 내삽되어 승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의 승강에 의해서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의 타단에 결합되는 파종기(30)도 승강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은 손잡이(521)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구성이 아닌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은 파종기(30)와 지면의 마찰에 따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별도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의 별도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 또는 압축 정도에 따라 파종 작업 시 파종 깊이를 상이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 연결대(10)는 메인프레임(300)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결합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은 너트 부재(610), 제1 볼트 부재(620), 제2 볼트 부재(6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은 일단이 고정프레임(5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511)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이 메인프레임(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제1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310)에 힌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300)은 각도 조절 유닛(600)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310)는 메인프레임(300)의 상면 영역 중 고정 유닛(400)에 의해 홀딩되는 영역의 후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이 메인프레임(300)의 후측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상측을 연결함으로써, 메인프레임(30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연결부(512)를 축으로 회동하는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회동이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의 길이에 따라 메인프레임(300)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은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너트 부재(610), 너트 부재(610)의 일단에 체결되고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볼트 부재(620) 및 너트 부재(610)의 타단에 체결되고 메인프레임(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볼트 부재(6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부재(6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너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에 제1 볼트 부재(620) 및 제2 볼트 부재(630)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볼트 부재(6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볼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고정프레임(510)의 제2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511)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타단이 너트 부재(610)의 일단 내측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볼트 부재(6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볼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너트 부재(610)의 타단 내측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타단이 메인프레임(300)의 제1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310)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이 고정프레임(510)의 상측과 메인프레임(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연결시킴으로써, 파종기(30)가 지면에 마찰되어 생기는 충격 및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메인프레임(300)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고, 고정프레임(510)과 메인프레임(300)의 결합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에 의해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회동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에 의해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에 의해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후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유닛(600)에 의해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전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볼트 부재(620) 및 제2 볼트 부재(630)가 너트 부재(610)와 나사 결합되는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메인프레임(300)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볼트 부재(620) 및 제2 볼트 부재(630)가 너트 부재(610)와 나사 결합되는 영역을 보다 증가시킴으로써 각도 조절 유닛(60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고, 각도 조절 유닛(600)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고정프레임(510)의 상측이 메인프레임(300)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은 상측이 전측 방향, 하측이 후측 방향으로 회동(참고로, 도 7b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파종기(30)도 후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볼트 부재(620) 및 제2 볼트 부재(630)가 너트 부재(610)와 나사 결합되는 영역을 보다 감소시킴으로써 각도 조절 유닛(60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각도 조절 유닛(600)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고정프레임(510)의 상측이 후측으로 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 유닛(500)은 상측이 후측 방향, 하측이 전측 방향으로 회동(참고로, 도 7c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파종기(30)도 전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 조절 유닛(600)은 볼트 너트 체결 구조가 아닌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구현되는 각도 조절 유닛(600)이 고정프레임(510)과 메인프레임(300)을 지지 고정함으로써, 파종 작업 시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 연결 유닛(500)은 상측이 후측 방향으로 회동되고, 하측(즉, 파종기(30)와 연결되는 파종기 연결프레임(520) 측)이 전측 방향으로 회동될 시,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트랙터 후진 시 파종기(30) 등의 역주행에 따른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승강 조절 유닛(120)이 지지대 고정 유닛(110)과 체결되는 영역이 전후로 조절됨으로써 파종기(30)의 전후 방향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이 메인프레임 연결 홈(122)을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종기(30)의 메인프레임(30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승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이 손잡이(521)의 회전에 따라 고정프레임(510)에 내삽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종기(30)의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의 승강에 따른 승강 즉, 높이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 작물의 종류에 따라 파종 깊이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을 시 파종기(30)가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는 구성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10)는 각도 조절 유닛(600)의 길이 조절에 의해 메인프레임(300)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타단에 결합되는 파종기(30)의 각도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에 의하면, 트랙터 후방에 배치되는 복토기 등과 파종기를 연결시킴으로써 복토 작업 등과 파종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에 의하면, 파종기를 회전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파종기 미사용 시 파종기의 손상 방지 및 효율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에 의하면, 복토기 등과 연결되는 파종기의 거리, 높이,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파종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 연결대에 의하면, 파종기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정적인 파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파종기 연결대
20: 지지대
30: 파종기
100: 지지대 연결 유닛
110: 지지대 고정 유닛
111: 위치 조절 홈
120: 승강 조절 유닛
121: 실린더 연결 홈
122: 메인프레임 연결 홈
200: 유압 실린더
210: 피스톤 로드
300: 메인프레임
310: 제1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
400: 고정 유닛
410: 피스톤 로드 연결 홈
420: 메인프레임 체결 홈
500: 파종기 연결 유닛
510: 고정프레임
511: 제2 각도 조절 유닛 연결부
512: 메인프레임 연결부
520: 파종기 연결프레임
521: 손잡이
600: 각도 조절 유닛
610: 너트 부재
620: 제1 볼트 부재
630: 제2 볼트 부재

Claims (10)

  1. 파종기 연결대(10)로서,
    지지대(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2개의 플레이트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지지대 고정 유닛(110); 및 상기 지지대 고정 유닛(110)과 메인프레임(30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그 폭이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게 형성되며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더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조절 유닛(120)을 포함하는 지지대 연결 유닛(100);
    상기 지지대 연결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프레임(300);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파종기(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종기 연결 유닛(500);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3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 조절 유닛(12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300)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압 실린더(200); 및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300)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파종기 연결 유닛(500)과 힌지 결합되어, 그 길이의 증감을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300)과 상기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이루는 결합 각도를 조절 및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유닛(6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고정 유닛(110)은 상기 승강 조절 유닛(120)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위치 조절 홈(111)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절 홈(111) 중에서 상기 승강 조절 유닛(120)이 볼트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지지대 고정 유닛(110)의 상측에서 상기 승강 조절 유닛(120)과 연결되는 상기 메인프레임(300) 및 상기 파종기 연결 유닛(500)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연결대(1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2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00)을 홀딩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파종기 연결대(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400)은,
    상기 유압 실린더(20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피스톤 로드 연결 홈(410); 및
    상기 메인프레임(300)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체결 홈(420)을 포함하는,
    파종기 연결대(1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 연결 유닛(500)은,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고정프레임(510); 및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내삽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을 포함하는,
    파종기 연결대(1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 연결프레임(520)은, 손잡이(5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내삽되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연결대(10).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유닛(600)은,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너트 부재(610);
    상기 너트 부재(610)의 일단에 체결되고 상기 파종기 연결 유닛(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볼트 부재(620); 및
    상기 너트 부재(610)의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볼트 부재(630)를 포함하는,
    파종기 연결대(10).
KR1020210108158A 2021-08-17 2021-08-17 파종기 연결대 KR102642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158A KR102642024B1 (ko) 2021-08-17 2021-08-17 파종기 연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158A KR102642024B1 (ko) 2021-08-17 2021-08-17 파종기 연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132A KR20230026132A (ko) 2023-02-24
KR102642024B1 true KR102642024B1 (ko) 2024-02-29

Family

ID=8533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158A KR102642024B1 (ko) 2021-08-17 2021-08-17 파종기 연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0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524Y1 (ko) 2000-11-07 2001-04-02 주식회사장자동화 트랙터 견인용 파종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8043B2 (ja) * 2006-06-01 2012-06-06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畝立て同時播種機
KR102118196B1 (ko) * 2018-08-10 2020-06-02 대호 (주)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KR102274592B1 (ko) * 2019-02-07 2021-07-07 지성민 파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524Y1 (ko) 2000-11-07 2001-04-02 주식회사장자동화 트랙터 견인용 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132A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298B1 (ko) 로타리 커버 일체형 배토기
US4539921A (en) Drill frame construction
KR200411294Y1 (ko) 두둑 성형용 골배토기
KR102642024B1 (ko) 파종기 연결대
KR200410295Y1 (ko) 종자 파종기 및 파종기 조립체
KR102274592B1 (ko) 파종기
KR101023322B1 (ko) 트랙터 부착형 복토 정지기
EP2773177B1 (en) An agricultural machine provided with a displaceable implement section
US5555825A (en) Direct drill stump jump seeder
EP1487249B1 (en) A soil tillage device
KR20200018072A (ko) 파종기
KR101054606B1 (ko) 두둑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토기
KR200221942Y1 (ko) 미맥 다기능 파종기
EP0620962B1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KR200274470Y1 (ko) 트랙터 연결용 점파식 파종기의 장착브라켓
KR102257364B1 (ko) 비료살포기와 배토기 및 로터베이터가 결합된 3공정 농작업기
KR102627989B1 (ko) 고랑 제초장치
KR200232837Y1 (ko) 농작용스파이크쟁기
CN2183655Y (zh) 高效多功能播种机
GB2184332A (en) Soil-tilling implement with following levelling discs
EP0166493B1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SK121393A3 (en) Cultivator with added unit with plates and a crushing roller
KR20200018066A (ko) 파종기
RU2434374C2 (ru) Способ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ES2562578B1 (es) Implemento agrícola para sembrar y descompactar el suelo en una pas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