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883B1 -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883B1
KR102641883B1 KR1020187021808A KR20187021808A KR102641883B1 KR 102641883 B1 KR102641883 B1 KR 102641883B1 KR 1020187021808 A KR1020187021808 A KR 1020187021808A KR 20187021808 A KR20187021808 A KR 20187021808A KR 102641883 B1 KR102641883 B1 KR 10264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and
system information
information request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821A (ko
Inventor
쇼이찌 스즈끼
다쯔시 아이바
와따루 오후찌
다까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 장치는, 시스템 정보 요구와는 관련없이 송신되는 논 디맨드 SI, 및 시스템 정보 요구에 기초하여 송신되는 복수의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제4 세대의 셀룰러 이동 통신의 무선 액세스 방식(이하, 「Long Term Evolution(LTE, 등록 상표)」, 또는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라고 칭함)의 표준화 작업을 행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 2, 3, 4, 5).
3GPP에 있어서, 제5 세대의 셀룰러 이동 통신의 무선 액세스 방식(이하, 「NX」라고 칭함)의 검토를 개시하였다(비특허문헌 6, 7). 3GPP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가 NX의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되어 있다.
"3GPP TS 36.211 V13.0.0(2015-12)", 6th January, 2016. "3GPP TS 36.212 V13.0.0(2015-12)", 6th January, 2016. "3GPP TS 36.213 V13.0.0(2015-12)", 6th January, 2016. "3GPP TS 36.321 V13.0.0(2015-12)", 14th January, 2016. "3GPP TS 36.331 V13.0.0(2015-12)", 7th January, 2016. "5G-key component of the Networked Society", RWS-150009, Ericsson, 3GPP RAN Workshop on 5G, Phoenix, USA, 17th-18th September 2015. "5G Views on Technology & Standardization", RWS-150012, Qualcomm, 3GPP RAN Workshop on 5G, Phoenix, USA, 17th-18th September 2015.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효율적으로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해당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 해당 기지국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 해당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 해당 기지국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를 제공한다.
(1) 본 발명의 양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2)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기지국 장치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3)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한다.
(4)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기지국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수신한다.
(5)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다.
(6)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기지국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와, 상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정보가 효율적으로 전송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프레임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슬롯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세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정보 요구에 관한 프로시저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정보 요구의 재송신의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니터링 윈도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1A), 단말 장치(1B), 단말 장치(1C) 및 기지국 장치(3)를 구비한다. 기지국 장치(3)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해도 된다. 단말 장치(1A), 단말 장치(1B) 및 단말 장치(1C)를 총칭하여, 단말 장치(1)라고 칭한다.
단말 장치(1)의 상태는, 커넥션 확립(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에 의해, RRC_IDLE로부터 RRC_CONNECTED로 변경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의 상태는, 커넥션 해방(connection release) 프로시저에 의해, RRC_CONNECTED로부터 RRC_IDLE로 변경되어도 된다.
RRC_IDLE의 단말 장치(1)는, 셀 선택 프로시저에 의해 하나의 셀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하나의 셀에 캠프해도 된다.
RRC_CONNECTED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서빙 셀이 설정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가 복수의 서빙 셀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술을 셀 애그리게이션, 또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고 칭한다.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설정되는 복수의 서빙 셀의 각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의 일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의 그룹의 각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의 그룹의 일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을 집약된 서빙 셀이라고도 칭한다.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은,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과 하나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을 포함해도 된다. 프라이머리 셀은, 초기 커넥션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가 행해진 셀, 커넥션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개시한 셀, 또는 핸드오버 프로시저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이라고 지시된 셀이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이 확립된 시점, 또는 후에, 세컨더리 셀이 설정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칭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칭한다.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및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총칭하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칭한다.
단말 장치(1)는, 집약되는 복수의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복수의 물리 채널/복수의 물리 시그널의 동시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1)는, 집약되는 복수의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복수의 물리 채널/복수의 물리 시그널의 동시 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프레임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축이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연속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해도 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i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연속되는 2개의 슬롯을 포함해도 된다. 해당 시간 영역에 있어서 연속되는 2개의 슬롯은, 무선 프레임 내의 슬롯 번호 ns가 2i인 슬롯, 및 무선 프레임 내의 슬롯 번호 ns가 2i+1인 슬롯이어도 된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연속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해도 된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연속되는 20개의 슬롯(ns=0, 1, …, 19)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무선 프레임의 구성은,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양쪽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슬롯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슬롯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하나의 서빙 셀에 있어서의 슬롯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축이고, 종축은 주파수축이다. 도 3에 있어서, l은 심볼 번호/인덱스이고, k는 서브캐리어 번호/인덱스이다. 여기서, 심볼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또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이어도 된다. NSC는, 셀의 대역폭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총수이다. Nsymb는,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총수이다. Nsymb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에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슬롯의 각각에 있어서 송신되는 물리 시그널 또는 물리 채널은, 리소스 그리드에 의해 표현된다. 리소스 그리드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리소스 그리드 내의 엘리먼트의 각각을 리소스 엘리먼트라고 칭한다. 리소스 엘리먼트 ak,l은, 서브캐리어 번호/인덱스 k, 및 심볼 번호/인덱스 l에 의해 표현된다. 즉, 물리 시그널 또는 물리 채널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는, 리소스 엘리먼트에 의해 표현되어도 된다.
리소스 그리드는, 안테나 포트마다 정의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복수의 안테나 포트의 각각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층은, 시스템 정보를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시스템 정보는, (a) NAS(Non Access Stratum) 공통 정보, (b) RRC_IDLE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정보, (c) RRC_CONNECTED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정보, (d) RRC_IDLE의 단말 장치(1) 및 RRC_CONNECTED의 단말 장치(1)의 양쪽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정보, (e) ETWS 통지(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notification), 및 (f) CMAS 통지(Commercial Mobile Alert Service notification)를 포함해도 된다. 해당 RRC_IDLE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정보는, 셀 선택 프로시저를 위한 파라미터, 셀 재선택을 위한 파라미터, 및 인접 셀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해당 RRC_CONNECTED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정보, 및 해당 RRC_IDLE의 단말 장치(1) 및 RRC_CONNECTED의 단말 장치(1)의 양쪽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정보는,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공통인 채널 설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ETWS 통지 및 CMAS 통지에는, 경고 타입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경고 타입은 지진 또는 해일에 대응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는, 복수의 정보 블록으로 분할되어도 된다. 해당 정보 블록을,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및 SIB(System Information Block)라고 칭해도 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정보 블록은,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의해 전송되어도 된다.
이하, 정보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다. 복수의 정보 블록은, 이하의 SI 타입 A부터 SI 타입 O를 포함해도 된다. 이하의 SI 타입 A부터 SI 타입 O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이한 정보 블록에 포함되어도 된다. 이하의 SI 타입 A부터 SI 타입 O에 포함되는 정보 이외의 정보가, 이하의 SI 타입 A부터 SI 타입 중 어느 것에 포함되어도 된다.
SI 타입 A는, 셀로부터 SI 타입 A 이외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SI 타입 A는,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셀의 송신 대역폭 설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 및 SFN(System Frame Number)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SFN은, 무선 프레임의 번호이다.
SI 타입 B는, 단말 장치(1)가 셀로의 액세스를 허가받을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SI 타입 C는, 시스템 정보 요구(system information request)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 설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해당 시스템 정보 요구는, 셀(기지국 장치(3))에 특정한 시스템 정보(특정한 SI 타입, 특정한 SI 타입의 그룹)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정보이다. 해당 특정한 시스템 정보를, 온 디맨드 SI(on demand System Information)라고 칭한다.
SI 타입 D는, 다른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해당 다른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에 관련된 정보는, SI 타입 C 이외의 SI 타입이 송신되는 시간 윈도우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해당 시간 윈도우는, SI 타입별로 정의되어도 된다. SI 타입 D는, 어떠한 SI 타입이 송신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세트, 및/또는 해당 어떠한 SI 타입이 송신될 수 없는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나타내어도 된다. 해당 서브프레임의 세트는, 복수의 SI 타입에 대하여 공통이어도 된다.
SI 타입 E는, 복수의 UE에 대하여 공통인 무선 리소스 설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SI 타입 F는, 동일한 RAT(intra Radio Access Technology)에 있어서의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SI 타입 G는, 제1 다른 RAT(inter Radio Access Technology)에 있어서의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SI 타입 H는, 제2 다른 RAT(inter Radio Access Technology)에 있어서의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SI 타입 I는, ETWS 통지를 포함한다.
SI 타입 J는, CMAS 통지를 포함한다.
SI 타입 K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MBMS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복수의 셀(기지국 장치(3))은 동일한 주파수/시간 리소스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데이터를 동시에 통지해도 된다.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데이터는, 하나의 셀(기지국 장치(3))에 의해 통지되어도 된다.
SI 타입 L은, GPS 시(Global Positioning System time), 협정 세계 시(Coordinated Universal Time, UTC)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1)는, UTC, GPS(좌표, 지리적 위치) 및 로컬 시각을 취득하기 위해, SI 타입 L에 포함되는 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SI 타입 M은, 셀룰러 네트워크(예를 들어, NX) 및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사이의 트래픽 스티어링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SI 타입 N은, 셀(기지국 장치(3))이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 프로시저를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SI 타입 N은, 사이드링크 직접 통신에 관련된 리소스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SI 타입 O는, 셀(기지국 장치(3))이 사이드링크 발견(sidelink discovery) 프로시저를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SI 타입 O는, 사이드링크 직접 발견에 관련된 리소스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사이드링크는, 사이드링크 통신, 및 사이드링크 발견을 위한 단말 장치(1)간의 인터페이스이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복수의 근방의 단말 장치(1)와의 사이에 있어서 ProSe 직접 통신(proximity based services direct communication)을 가능하게 하는 AS(Access Stratum) 기능이다. ProSe 직접 통신은, 어느 네트워크 노드도 통과하지 않는 패스(path)를 통한, 근방의 복수의 단말 장치(1)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이다.
사이드링크 발견은, ProSe 직접 발견(proximity based services direct discovery)을 가능하게 하는 AS 기능이다. ProSe 직접 발견은, 직접 무선 신호(direct radio signal)를 사용하여, 근방의 다른 단말 장치(1)를 검출 및 특정하는 프로세스/프로시저로서 정의된다.
SI 타입 D는, 셀(기지국 장치(3))에 의해 서포트되는 특정한 SI 타입의 송신, 및/또는 셀(기지국 장치(3))에 의해 서포트되는 특정한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SI 타입 D는, 셀(기지국 장치(3))이 사이드링크 통신, 및/또는 사이드링크 통신에 관련된 SI 타입 N의 송신을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는, 온 디맨드 SI(on demand System Information), 논 디맨드 SI(non demand System Information)로 분류되어도 된다. 온 디맨드 SI는, 단말 장치(1)로부터의 시스템 정보 요구의 수신/검출에 기초하여, 기지국 장치(3)가 송신하는 시스템 정보이다. 논 디맨드 SI는, 단말 장치(1)로부터의 시스템 정보 요구의 수신/검출과는 관련없이, 기지국 장치(3)가 송신하는 시스템 정보이다. 논 디맨드 SI는, 주기적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논 디맨드 SI는, 사양서 등에 의해 미리 정해진 타이밍(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어도 된다. 제1 논 디맨드 SI는, 제2 논 디맨드 SI에 의해 표현되는 타이밍(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어도 된다.
상기 SI 타입 A부터 SI 타입 O는, 온 디맨드 SI여도 된다. 상기 SI 타입 A부터 SI 타입 O는, 논 디맨드 SI여도 된다. 상기 SI 타입 A부터 SI 타입 O의 일부가 온 디맨드 SI여도 되고, 나머지가 논 디맨드 SI여도 된다. SI 타입 A, SI 타입 B, SI 타입 C, SI 타입 D, SI 타입 I가 논 디맨드 SI여도 되고, 그 이외의 SI 타입이 온 디맨드 SI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물리 채널 및 물리 시그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ㆍNX-PBCH(NX Physical Broadcast Channel)
ㆍNX-PDCCH(NX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ㆍNX-PDSCH(NX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X-PBCH는, 논 디맨드 SI를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NX-PDCCH는, NX-PDSCH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Narrow Ban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및 NX-PUSCH(Narrow B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NX-PDSCH는, 하향 링크 데이터(Downlink Shared Channel: DL-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NX-PDSCH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NX-PDSCH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함께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NX-PDCCH, NX-PDSCH)의 수신/검출에 기초하여, NX-PDSCH를 디코드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NX-PDCCH, NX-PDSCH)의 수신/검출과는 관련없이, NX-PDSCH를 디코드해도 된다.
하향 링크 데이터는, 온 디맨드 SI 및 논 디맨드 SI를 포함해도 된다. 온 디맨드 SI 및 논 디맨드 SI는, 상이한 NX-PDSCH에 있어서 송신되어도 된다. 즉, 온 디맨드 SI 및 논 디맨드 SI는, 동일한 NX-PDSCH에 있어서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시그널이 사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시그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ㆍNX-SS(NX Synchronization Signal)
ㆍNX-DL RS(NX Downlink Reference Signal)
NX-SS는, 셀 서치를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셀 서치는, 단말 장치(1)가 셀과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를 취득하고, 또한 셀의 PCI(Physical layer Cell Identity)를 검출하는 프로시저이다. 핸드오버 프로시저에 있어서, 타깃 셀의 PCI는, 소스 셀(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에 통지되어도 된다. 핸드오버 커맨드에 타깃 셀의 PCI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NX-SS는, 주기적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NX-SS를, DS(discovery signal)라고 칭해도 된다.
NX-DL RS는, 단말 장치(1)가 셀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NX-DL RS는, 단말 장치(1)가 셀의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ㆍNX-PRACH(NX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ㆍNX-PUCCH(NX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ㆍNX-PUSCH(NX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NX-PRACH는, 프리앰블(프리앰블 계열)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NX-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를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NX-PRACH는,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즉, 시스템 정보 요구는 프리앰블이어도 된다.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를 위한 NX-PRACH 리소스의 세트, 및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기 위한 NX-PRACH 리소스의 세트는 개별적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를 위한 NX-PRACH 리소스의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온 디맨드 SI에 포함되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기 위한 NX-PRACH 리소스의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어도 된다.
프리앰블은, 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에 대응하는 Zadoff-Chu 계열을 사이클릭 시프트함으로써 제공되어도 된다. Zadoff-Chu 계열은, 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하나의 셀에 있어서, 복수의 프리앰블이 정의되어도 된다. 프리앰블은, 프리앰블 인덱스에 의해 특정되어도 된다. 상이한 프리앰블 인덱스에 대응하는 상이한 프리앰블은, 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와 사이클릭 시프트의 상이한 조합에 대응한다.
시스템 정보 요구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 및 사이클릭 시프트는,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는 정보, 및/또는 PCI에 적어도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 및 사이클릭 시프트는, 온 디맨드 SI에 포함되는 정보, 및/또는 PCI에 적어도 기초하여 제공되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은, NX-PRACH 이외의 물리 채널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에 대응하는 Zadoff-Chu 계열 xu(n)은, 이하의 수학식 1에 의해 제공된다. e는 네이피어수이다. NZC는, Zadoff-Chu 계열 xu(n)의 길이이다. n은, 0부터 NZC-1까지 인크리먼트되는 정수이다.
Figure 112018074472603-pct00001
프리앰블(프리앰블 계열) xu,v(n)은 이하의 수학식 2에 의해 제공된다. Cv는, 사이클릭 시프트의 값이다. X mod Y는, X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Figure 112018074472603-pct00002
NX-PUCCH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NX-PDSCH(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NX-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Uplink Shared Channel: UL-SCH), 및/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상향 링크 데이터는, 시스템 정보 요구를 포함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이 사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ㆍNX-UL RS(Narrow Band Downlink Reference Signal)
NX-UL RS는, 기지국 장치(3)가 셀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하향 링크 물리 시그널을 총칭하여, 하향 링크 신호라고 칭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을 총칭하여, 상향 링크 신호라고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총칭하여, 물리 채널이라고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시그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을 총칭하여, 물리 시그널이라고 칭한다.
DL-S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이다.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층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트랜스포트 채널이라고 칭한다. MAC층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단위를,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 TB) 또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라고도 칭한다. MAC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별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제어가 행해진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MAC층이 물리층에 전달하는(deliver) 데이터의 단위이다. 물리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은 코드워드로 맵되고, 코드워드마다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SRB(Signalling Radio Bearer)의 데이터 및 DRB(Data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해도 된다. SRB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및 NAS(Non Access Stratum)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된다. DRB는,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된다.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상위층(higher layer)에 있어서 신호를 수수(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층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RRC message: Radio Resource Controlmessage, RRC information: Radio Resource Control information이라고도 칭해짐)을 송수신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MAC CE(Control Element)를 송수신해도 된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CE를, 상위층의 신호(higher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이하,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채널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채널 설정은,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공통이어도 된다. 논 디맨드 SI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채널의 설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채널의 설정을 위한 정보는, 이하의 정보 A부터 정보 I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해도 된다.
ㆍ정보 A: 시스템 정보 요구로서, 프리앰블, 메시지, 또는 프리앰블과 메시지의 양쪽 중 어느 것으로 송신할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ㆍ정보 B: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주파수/시간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ㆍ정보 C: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Zadoff-Chu 계열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ㆍ정보 D: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ㆍ정보 E: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Zadoff-Chu 계열에 적용되는 사이클릭 시프트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ㆍ정보 F: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채널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
ㆍ정보 G: 프리앰블에 적용되는 CP(Cyclic Prefix)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ㆍ정보 H: 시스템 정보 요구의 하나의 송신 인스턴스에 있어서, 프리앰블, 또는 메시지가 반복하여 송신되는 횟수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ㆍ정보 I: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을 세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세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축이고, 종축은 주파수축이다. 부호 700은, 제1 세트에 속하는 리소스를 나타낸다. 부호 701은, 제2 세트에 속하는 리소스를 나타낸다. 리소스(700)는, 제1 SI 타입, 또는 복수의 SI 타입이 속하는 제1 그룹에 대응해도 된다. 리소스(701)는, 제2 SI 타입, 또는 복수의 SI 타입이 속하는 제2 그룹에 대응해도 된다. 해당 제1 그룹 및 해당 제2 그룹은, 동일한 SI 타입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해당 제1 그룹 및 해당 제2 그룹은, 상이한 SI 타입을 포함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은, 시스템 정보 요구 A의 송신, 및 시스템 정보 요구 B의 송신으로 분할되어도 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정보 요구에 관한 프로시저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면 부호 500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 A를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시스템 정보 요구 A는, NX-PRACH에 있어서 송신되는 프리앰블이어도 된다. 도면 부호 5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수신한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정보(리소스 할당)를 송신한다. 도면 부호 502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수신한 리소스 할당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요구 B를 송신한다. 시스템 정보 요구 B는,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SI 타입(정보 블록)을 나타내기 위한 메시지(정보 비트)를 포함해도 된다. 도면 부호 503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시스템 정보 요구 B의 수신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요구 B에 의해 표현되는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를 송신해도 된다.
이하, 시스템 정보의 갱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3)는, 시스템 정보 변경(system information change)을 송신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 변경은, 온 디맨드 SI 및/또는 논 디맨드 SI를 갱신하는 것을 나타내어도 된다. 시스템 정보 변경은, 온 디맨드 SI 및/또는 논 디맨드 SI를 갱신한 것을 나타내어도 된다. 논 디맨드 SI는, 온 디맨드 SI 및 논 디맨드 SI가 갱신되는 타이밍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논 디맨드 SI는, 시스템 정보 변경을 모니터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 변경은, 논 디맨드 SI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시스템 정보 변경은, 온 디맨드 SI에 포함되어도 된다. 시스템 정보 변경은, NX-PDCCH 또는 NX-PDSCH에 포함되어도 된다. 시스템 정보 변경 및/또는 온 디맨드 SI는, 갱신되는 SI 타입을 나타내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변경의 수신에 기초하여, 갱신되는 SI 타입을 나타내기 위한 온 디맨드 SI의 디코드를 시도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 변경 및/또는 온 디맨드 SI가 흥미가 있는 온 디맨드 SI의 갱신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1)는 해당 흥미가 있는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SI 타입(정보 블록)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정보 요구는,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SI 타입(정보 블록)을 나타내기 위한 메시지(정보 비트)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시스템 정보 요구는, 상향 링크 데이터에 포함되고, 또한 NX-PUS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에 송신을 요구하는 SI 타입에 기초하여, 해당 메시지(정보 비트)의 값을 세트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해당 메시지(정보 비트)의 수신에 기초하여, 해당 정보 비트의 값에 대응하는 SI 타입을 송신해도 된다. 해당 메시지(정보 비트)는, NX-PUS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는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가 프리앰블인 경우, 프리앰블 인덱스(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 및 사이클릭 시프트 Cv)에 의해,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SI 타입(정보 블록)이 제공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에 송신을 요구하는 SI 타입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인덱스(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 및 사이클릭 시프트 Cv)를 결정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해당 프리앰블 인덱스(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 및 사이클릭 시프트 Cv)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의 수신에 기초하여, 해당 프리앰블 인덱스에 대응하는 SI 타입을 송신해도 된다. 논 디맨드 SI는, 프리앰블 인덱스(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 및 사이클릭 시프트 Cv)와 SI 타입의 대응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가 송신되는 리소스에 의해,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SI 타입(정보 블록)이 제공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복수의 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논 디맨드 SI를 송신해도 된다. 해당 복수의 세트의 각각은, 상이한 SI 타입에 대응해도 된다. 즉,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SI 타입의 각각에 대하여, 리소스의 세트가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SI 타입에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의 제1 세트, 및 제2 SI 타입에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의 제2 세트는, 개별적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에 송신을 요구하는 SI 타입에 기초하여, 해당 복수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세트를 선택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해당 선택한 하나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리소스를 선택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해당 선택한 하나의 세트 중에서, 랜덤하게 하나의 리소스를 선택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시스템 정보 요구를 수신한 리소스에 기초하여, 해당 리소스에 대응하는 SI 타입을 송신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시스템 정보 요구를 수신한 리소스가 대응하는 리소스의 세트에 기초하여, 해당 세트에 대응하는 SI 타입을 송신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가 송신되는 리소스는,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공통이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가 송신되는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는,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공통인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어도 된다.
상술한 복수의 방법을 조합함으로써,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SI 타입(정보 블록)이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정보 비트)의 값, 프리앰블 인덱스, 물리 루트 시퀀스 인덱스 u, 사이클릭 시프트 Cv, 및 시스템 정보 요구가 송신되는 리소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SI 타입(정보 블록)이 결정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NX-SS에 기초하여 검출한 식별자(예를 들어, 셀의 PCI, 기지국 장치(3)의 식별자), 단말 장치(1)의 식별자, 및/또는 단말 장치(1)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값에 적어도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복수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세트를 선택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해당 선택한 하나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리소스를 선택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해당 선택한 하나의 세트 중에서, 랜덤하게 하나의 리소스를 선택해도 된다. 단말 장치(1)가 미리 유지하고 있는 값은, 단말 장치(1)가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값이어도 된다.
시스템 정보 요구는, 단말 장치(1)의 식별자(identity, identifier), 논 디맨드 SI에 의해 나타나는 식별자(identity, identifier), 및/또는 단말 장치(1)의 지리적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해당 시스템 정보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셀의 특정한 에어리어에 있어서만 시스템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이하, 시스템 정보 요구의 재송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정보 요구의 재송신의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면 부호 600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를, 셀(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도면 부호 6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윈도우(603)인 동안에, 시스템 정보 요구에 대응하는 온 디맨드 SI를 송신한다. 도면 부호 602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모니터링 윈도우(603)인 동안에, 해당 온 디맨드 SI를 재송신해도 된다.
모니터링 윈도우(603)는, 단말 장치(1)가, 온 디맨드 SI를 모니터하는 기간이다. 온 디맨드 SI를 모니터하는 것은, 온 디맨드 SI, 또는 온 디맨드 SI를 포함하는 NX-PDSCH의 디코드를 시도하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온 디맨드 SI를 모니터하는 것은, 온 디맨드 SI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NX-PDCCH의 디코드를 시도하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모니터링 윈도우(603) 중, 일부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온 디맨드 SI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단말 장치(1)는, 모니터링 윈도우(603) 중, 해당 일부의 서브프레임 이외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온 디맨드 SI를 모니터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모니터링 윈도우(603) 중, 일부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온 디맨드 SI를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모니터링 윈도우(603) 중, 해당 일부의 서브프레임 이외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온 디맨드 SI를 송신해도 된다. 해당 일부의 서브프레임, 및 해당 일부의 서브프레임 이외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가,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면 부호 604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모니터링 윈도우(603)인 동안에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모든 온 디맨드 SI가 성공리에 디코드되지 않은 경우, 시스템 정보 요구를 재송신한다. 단말 장치(1)는, 모니터링 윈도우(603)인 동안에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모든 온 디맨드 SI가 성공리에 디코드된 경우, 시스템 정보 요구를 재송신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의 횟수를 카운트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재송신의 횟수를 카운트해도 된다. 송신의 횟수는 카운터에 의해 관리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셀(기지국 장치(3))에 요구하는 SI 타입이 변경되었다고 해도, 해당 카운터를 리셋하지 않아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셀(기지국 장치(3))에 요구하는 SI 타입이 변경된 경우에, 해당 카운터를 리셋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셀(기지국 장치(3))에 요구하는 SI 타입이 특정한 SI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에만, 해당 카운터를 리셋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셀(기지국 장치(3))에 요구하는 SI 타입이 어느 SI 타입으로 변경되었는지에 기초하여, 해당 카운터를 리셋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모든 온 디맨드 SI를 성공리에 디코드한 경우에, 해당 카운터를 0으로 세트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 정보의 초기 송신을 행하기 직전에, 해당 카운터를 0으로 세트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초기 송신에 기초하여 타이머를 스타트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셀(기지국 장치(3))에 요구하는 SI 타입이 변경되었다고 해도, 해당 타이머를 리스타트하지 않아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셀(기지국 장치(3))에 요구하는 SI 타입이 변경된 경우에, 해당 타이머를 리스타트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셀(기지국 장치(3))에 요구하는 SI 타입이 특정한 SI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에만, 해당 타이머를 리스타트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셀(기지국 장치(3))에 요구하는 SI 타입이 어느 SI 타입으로 변경되었는지에 기초하여, 해당 타이머를 리스타트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해당 타이머가 러닝하고 있는 동안에 시스템 정보 요구의 재송신을 행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해당 타이머가 러닝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시스템 정보 요구의 재송신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가 대응하는 모든 온 디맨드 SI를 성공리에 디코드한 경우에, 해당 타이머를 스톱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의 횟수가 소정의 값(최댓값)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이하의 프로세스 A, 프로세스 B 및 프로세스 C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해도 된다.
ㆍ프로세스 A: 셀 선택 프로시저를 개시한다
ㆍ프로세스 B: 단말 장치(1)의 상위층에,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에 실패한 것, 온 디맨드 SI의 수신에 실패한 것, 온 디맨드 SI의 갱신에 실패한 것, RRC 커넥션 확립에 실패한 것, 및/또는 RLF(Radio Link Failure)를 통지한다
ㆍ프로세스 C: 셀(기지국 장치(3))에,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에 실패한 것, 온 디맨드 SI의 수신에 실패한 것, 및/또는 온 디맨드 SI의 갱신에 실패한 것을 리포트한다
RRC_IDLE의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의 횟수가 소정의 값(최댓값)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프로세스 A 및 프로세스 B를 실행해도 되고, 프로세스 C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RRC_CoNNECTED의 단말 장치(1)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의 횟수가 소정의 값(최댓값)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프로세스 C를 실행해도 되고, 프로세스 A 및 프로세스 B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소정의 값(최댓값)의 설정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타이머의 설정에 관한 정보는,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어도 된다. 상기 소정의 값(최댓값)의 설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소정의 값(최댓값)을 나타내어도 된다. 상기 타이머의 설정에 관한 정보는, 상기 타이머의 길이를 나타내어도 된다.
상기 소정의 값(최댓값) 및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사양서 등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된다. 상기 소정의 값(최댓값)은 1이어도 된다.
RRC_IDLE의 단말 장치(1)의 상위층은, RLF의 원인이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에 실패한 것, 온 디맨드 SI의 수신에 실패한 것, 및/또는 온 디맨드 SI의 갱신에 실패한 것임을 기억해도 된다. RRC_IDLE로부터 RRC_CONNECTED로 된 단말 장치(1)는, RLF의 원인이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에 실패한 것, 온 디맨드 SI의 수신에 실패한 것, 및/또는 온 디맨드 SI의 갱신에 실패한 것에 의해 RLF로 되었음을, 셀(기지국 장치(3))에 리포트해도 된다.
이하, 모니터링 윈도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니터링 윈도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모니터링 윈도우(700)의 개시 시각은,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 시각에 의해 제공되어도 된다. 도면 부호 707은,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704), 및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704)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윈도우(700)인 동안의 기간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부호 707이 나타내는 기간의 길이는, 사양서 등에 의해 미리 정해져도 된다. 논 디맨드 SI는, 부호(707)가 나타내는 기간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및/또는 모니터링 윈도우(700)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부호(701)는, 제1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이다. 부호(702)는, 제2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이다. 부호(703)는, 제3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이다.
기지국 장치(3)는, 제1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701)인 동안에, 제1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705)를 송신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제1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701)인 동안에, 제1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705)를 모니터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제2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702)인 동안에, 제2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706)를 송신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제2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702)인 동안에, 제2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706)를 모니터해도 된다.
제X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는,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해 제공되어도 된다. 제X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의 기간은,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 시각과는 관련없이 제공되어도 된다. 제X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의 기간은, 개시 시각, 종료 시각, 윈도우의 길이, 반복 주기 등에 의해 제공되어도 된다.
제X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윈도우의 기간은,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 시각과는 관련없이 제공되어도 된다.
도 6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704)은, 제1 SI 타입의 온 디맨드 SI(705), 및 제2 타입의 온 디맨드 SI(706)의 송신을 요구하고 있다. 단말 장치(1)는, 모니터링 윈도우(700)인 동안에, 제1 타입의 온 디맨드 SI(705) 및 제2 타입의 온 디맨드 SI(706)를 성공리에 디코드한 경우, 온 디맨드 SI의 수신에 관한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모니터링 윈도우(700)인 동안에, 제1 타입의 온 디맨드 SI(705) 및 제2 타입의 온 디맨드 SI(706)를 성공리에 디코드하지 않은 경우, 시스템 정보 요구의 재송신에 관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모니터링 윈도우(700)는, 모니터링 타이머에 의해 표현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시각(709)에 있어서 모니터링 타이머를 스타트해도 된다. 모니터링 타이머는 시각(710)에 있어서 만료된다. 단말 장치(1)는, 모니터링 타이머의 만료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요구의 재송신에 관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제1 타입의 온 디맨드 SI(705) 및 제2 타입의 온 디맨드 SI(706)를 성공리에 디코드한 경우, 모니터링 타이머를 스톱하고, 온 디맨드 SI의 수신에 관한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논 디맨드 SI에 의해 표현되는 상술한 정보는, NX-SS에 의해 표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논 디맨드 SI에 의해 표현되는 상술한 정보는, NX-SS의 계열, NX-SS의 리소스, 및/또는 NX-SS와 함께 송신되는 메시지(정보 비트)에 의해 표현되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1)는, 무선 송수신부(10) 및 상위층 처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안테나부(11), RF(Radio Frequency)부(12), 및 기저 대역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 및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0)를 송신부, 수신부, 또는 물리층 처리부라고도 칭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무선 송수신부(10)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4)가 구비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4)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자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상위층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즉,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 등의 물리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4)에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데이터를 변조, 부호화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RF부(12)는, 안테나부(11)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직교 복조에 의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다운 컨버트: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RF부(12)는, 처리를 행한 아날로그 신호를 기저 대역부에 출력한다.
기저 대역부(13)는, RF부(1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Cyclic Prefix)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데이터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SC-FDMA 심볼을 생성하고, 생성된 SC-FDMA 심볼에 CP를 부가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RF부(12)에 출력한다.
RF부(12)는,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기저 대역부(13)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로 업 컨버트(up convert)하고, 안테나부(11)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RF부(12)는 전력을 증폭시킨다. 또한, RF부(12)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RF부(12)를 송신 전력 제어부라고도 칭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3)는, 무선 송수신부(30) 및 상위층 처리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30)는, 안테나부(31), RF부(32) 및 기저 대역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35) 및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30)를 송신부, 수신부, 또는 물리층 처리부라고도 칭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34)가 구비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35)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34)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정보, RRC 메시지, MAC CE(Control Element) 등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하고, 무선 송수신부(30)에 출력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단말 장치(1) 각각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상위층의 신호를 통하여 단말 장치(1) 각각에 대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해도 된다. 즉,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통지한다.
무선 송수신부(30)의 기능은, 무선 송수신부(10)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 장치(1)가 구비하는 부호(10)로부터 부호(16)가 첨부된 부의 각각은, 회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가 구비하는 부호(30)로부터 부호(36)가 첨부된 부의 각각은, 회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의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의 제1 양태는, 단말 장치(1)이며, 셀에 의해 서포트되는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논 디맨드 SI를 수신하는 수신부(10)와,
상기 셀에 의해 서포트되는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10)를 구비한다.
(2) 본 실시 형태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온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에 기초하여 송신되고, 상기 논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와는 관련없이 송신된다.
(3) 본 실시 형태의 제2 양태는, 기지국 장치(3)이며, 셀에 의해 서포트되는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논 디맨드 SI를 송신하는 송신부(30)와, 상기 셀에 의해 서포트되는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30)를 구비한다.
(4) 본 실시 형태의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온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에 기초하여 송신되고, 상기 논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와는 관련없이 송신된다.
(5) 본 실시 형태의 제3 양태는, 단말 장치(1)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는 수신부(10)와, 상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10)를 구비한다.
(6) 본 실시 형태의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복수의 세트 중,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1 세트에 속하는 리소스에 있어서 송신된다.
(7) 본 실시 형태의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10)는, 상기 복수의 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논 디맨드 SI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세트는, 적어도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1 세트, 및 제2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논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와는 관련없이 송신된다.
(8) 본 실시 형태의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계열을 포함한다.
(9) 본 실시 형태의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10)는, 상기 프리앰블 계열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논 디맨드 SI를 수신하고, 상기 논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와는 관련없이 송신된다.
(10) 본 실시 형태의 제4 양태는, 기지국 장치(3)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System information)를 송신하는 송신부(30)와, 상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30)를 구비한다.
(11) 본 실시 형태의 제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는,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복수의 세트 중,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1 세트에 속하는 리소스에 있어서 수신된다.
(12) 본 실시 형태의 제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30)는, 상기 복수의 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논 디맨드 SI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세트는, 적어도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1 세트, 및 제2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논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와는 관련없이 송신된다.
(13) 본 실시 형태의 제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계열을 포함한다.
(14) 본 실시 형태의 제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30)는, 상기 프리앰블 계열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논 디맨드 SI를 수신하고, 상기 논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와는 관련없이 송신된다.
(15) 본 실시 형태의 제5 양태는, 단말 장치(1)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10)와,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온 디맨드 SI를 모니터하는 수신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온 디맨드 SI는, 모니터링 윈도우에 포함되는 제1 윈도우인 동안에 모니터되고, 상기 모니터링 윈도우의 기간은,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 타이밍에 적어도 기초하고, 상기 제1 윈도우는,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는 정보에 적어도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온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에 기초하여 송신되고, 상기 논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와는 관련없이 송신된다.
(16) 본 실시 형태의 제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 타이밍과는 관련없이 제공된다.
(17) 본 실시 형태의 제5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된다.
(18) 본 실시 형태의 제6 양태는, 기지국 장치(3)이며, 복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30)와,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온 디맨드 SI를 송신하는 송신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온 디맨드 SI는, 모니터링 윈도우에 포함되는 제1 윈도우인 동안에 송신되고, 상기 모니터링 윈도우의 기간은,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의 수신 타이밍에 적어도 기초하고, 상기 제1 윈도우는,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는 정보에 적어도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온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에 기초하여 송신되고, 상기 논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구와는 관련없이 송신된다.
(19) 본 실시 형태의 제6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구의 송신 타이밍과는 관련없이 제공된다.
(20) 본 실시 형태의 제6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논 디맨드 SI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된다.
이에 의해, 시스템 정보가 효율적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3)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집합체(장치 그룹)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장치 그룹을 구성하는 장치의 각각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3)의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해도 된다. 장치 그룹으로서, 기지국 장치(3)의 필요한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1)는, 집합체로서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eNodeB에 대한 상위 노드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entral Processing Unit(CPU)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취급되는 정보는, 처리 시에 일시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에 읽어들여지거나,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나 Hard Disk Drive(HDD)에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CPU에 의해 판독하여, 수정ㆍ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일부를 컴퓨터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이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반도체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과 같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로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사용한 장치의 각 기능 블록 또는 여러 특징은, 전기 회로, 즉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 혹은 복수의 집적 회로로 실장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는, 범용 용도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여도 되며, 그 대신에 프로세서는 종래형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이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 또는 전술한 각 회로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아날로그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하는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일례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ㆍ세탁 기기, 공조 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그 밖의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2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19540호에 대하여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며, 당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그 내용 전부가 본서에 포함된다.
1(1A, 1B, 1C): 단말 장치
3: 기지국 장치
10: 무선 송수신부
11: 안테나부
12: RF부
13: 기저 대역부
14: 상위층 처리부
15: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
16: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
30: 무선 송수신부
31: 안테나부
32: RF부
33: 기저 대역부
34: 상위층 처리부
35: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
36: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

Claims (22)

  1. 셀룰러 통신을 위한 단말 장치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온 디맨드 시스템 정보(SI) 및 논 디맨드 SI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논 디맨드 SI가 다수의 자원 세트 중 제1 자원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PRACH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의 송신을 위해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 중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자원 세트에 속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논 디맨드 SI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한 상기 PUSCH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에 관계없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논 디맨드 S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논 디맨드 S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는 적어도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자원 세트 및 제2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2 자원 세트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논 디맨드 S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장치.
  4. 셀룰러 통신을 위한 기지국 장치로서,
    다수의 온 디맨드 시스템 정보(SI) 및 논 디맨드 SI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논 디맨드 SI가 다수의 자원 세트 중 제1 자원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PRACH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의 송신을 위해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 중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자원 세트에 속하는 자원에서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논 디맨드 SI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한 상기 PUSCH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에 관계없이 상기 논 디맨드 SI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논 디맨드 SI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는 적어도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자원 세트 및 제2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2 자원 세트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논 디맨드 SI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장치.
  7.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온 디맨드 시스템 정보(SI) 및 논 디맨드 SI를 수신하는 단계; 및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은 상기 논 디맨드 SI가 다수의 자원 세트 중 제1 자원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PRACH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의 송신을 위해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 중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1 자원 세트에 속하는 자원에서 송신되고,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은 상기 논 디맨드 SI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한 상기 PUSCH를 사용하여 송신되고,
    상기 논 디맨드 SI는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에 관계없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논 디맨드 SI가 수신되고,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는 적어도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자원 세트 및 제2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2 자원 세트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논 디맨드 SI가 수신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이 송신되는, 통신 방법.
  10. 기지국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다수의 온 디맨드 시스템 정보(SI) 및 논 디맨드 SI를 송신하는 단계; 및
    단말 장치로부터,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온 디맨드 SI 중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은 상기 논 디맨드 SI가 다수의 자원 세트 중 제1 자원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PRACH를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의 송신을 위해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 중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1 자원 세트에 속하는 자원에서 수신되고,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은 상기 논 디맨드 SI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한 상기 PUSCH를 사용하여 수신되고,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에 관계없이 상기 논 디맨드 SI가 송신되는,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논 디맨드 SI가 송신되고,
    상기 다수의 자원 세트는 적어도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자원 세트 및 제2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제2 자원 세트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논 디맨드 SI가 송신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온 디맨드 SI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통신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87021808A 2016-02-04 2017-01-19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641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9540A JP2019057749A (ja) 2016-02-04 2016-02-04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JP-P-2016-019540 2016-02-04
PCT/JP2017/001741 WO2017135051A1 (ja) 2016-02-04 2017-01-19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821A KR20180111821A (ko) 2018-10-11
KR102641883B1 true KR102641883B1 (ko) 2024-02-29

Family

ID=5950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808A KR102641883B1 (ko) 2016-02-04 2017-01-19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52137B2 (ko)
EP (1) EP3413632B1 (ko)
JP (1) JP2019057749A (ko)
KR (1) KR102641883B1 (ko)
CN (1) CN108605273B (ko)
RU (1) RU2737849C2 (ko)
WO (1) WO2017135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6972B2 (en) * 2016-06-24 2021-10-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PL3375167T3 (pl) 2017-01-04 2021-06-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Żądanie informacji systemowych na żądanie
JP2019531027A (ja) * 2017-01-26 2019-10-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システム情報を要求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345915B1 (ko) * 2018-01-11 2022-01-03 지티이 코포레이션 그룹 기반 시스템 정보 통신
US10791502B2 (en) 2018-04-02 2020-09-29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On-demand system information request procedure and error handling
CN110351736B (zh) * 2018-04-04 2022-11-29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按需系统消息请求确认的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基站、终端
CN110972328B (zh) 2018-09-28 2024-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理随机接入信道prach资源的处理方法及装置
US11277831B2 (en) 2019-02-14 2022-03-15 Qualcomm Incorporated On demand system information triggering
KR20220045213A (ko) 2019-08-15 2022-04-12 지티이 코포레이션 사이드링크 시스템 정보 송신의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11856468B2 (en) * 2020-04-15 2023-12-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devices for enhanced user-centric inter-cell mobility management
US20230336952A1 (en) * 2020-09-22 2023-10-1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i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system infor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4664A1 (en) 2006-10-04 2008-04-17 Nec Corporation Signall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WO2014129951A1 (en) 2013-02-25 2014-08-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tended system information distribution mechanisms
WO2016198909A1 (en) 2015-06-11 2016-12-15 Intel IP Corporation Low overhead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82524C2 (ru) * 2004-06-10 2010-02-20 Панасоник Корпорэйшн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EP1887822B1 (en) * 2006-08-09 2013-07-24 Alcatel Lucent A method for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by a mobile station
CN201967138U (zh) * 2009-11-19 2011-09-07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发射/接收单元
US10200920B2 (en) * 2015-02-10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system information
US9769733B2 (en) 2015-02-10 2017-09-19 Qualcomm Incorporated Incremental transmission of system information
CN108029110B (zh) * 2015-10-29 2022-08-0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按需广播系统信息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4664A1 (en) 2006-10-04 2008-04-17 Nec Corporation Signall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WO2014129951A1 (en) 2013-02-25 2014-08-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tended system information distribution mechanisms
WO2016198909A1 (en) 2015-06-11 2016-12-15 Intel IP Corporation Low overhead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063585
3GPP R2-16469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3632B1 (en) 2020-09-30
US11452137B2 (en) 2022-09-20
KR20180111821A (ko) 2018-10-11
EP3413632A1 (en) 2018-12-12
CN108605273B (zh) 2021-08-31
JP2019057749A (ja) 2019-04-11
WO2017135051A1 (ja) 2017-08-10
US20210068156A1 (en) 2021-03-04
RU2018129196A3 (ko) 2020-05-15
RU2737849C2 (ru) 2020-12-03
EP3413632A4 (en) 2019-07-24
RU2018129196A (ru) 2020-03-04
CN108605273A (zh)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883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N108605275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JP7101843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7323025B2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方法
KR102181920B1 (ko) 랜덤 액세스 메시지의 송신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482789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측정 방법 및 집적 회로
CN110192426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JP6751099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9845340B (zh) 请求系统信息的方法和装置
EP3376810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7078139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