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262B1 -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262B1
KR102641262B1 KR1020210073321A KR20210073321A KR102641262B1 KR 102641262 B1 KR102641262 B1 KR 102641262B1 KR 1020210073321 A KR1020210073321 A KR 1020210073321A KR 20210073321 A KR20210073321 A KR 20210073321A KR 102641262 B1 KR102641262 B1 KR 10264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ller
battery
frame
purifi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4958A (en
Inventor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이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용 filed Critical 이원용
Priority to KR102021007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262B1/en
Publication of KR2022016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2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6Energy recu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3Measuring a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는 프레임, 프레임을 상대로 회전하는 회전휠, 프레임을 상대로 회전하지 않는 고정휠을 갖는 유모차로서, 사용자가 유모차를 미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모차가 내리막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고정휠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을 하고, 사용자가 유모차를 미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모차가 오르막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고정휠의 회전시 고정휠을 회전시키는 구동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유모차를 미는지 여부, 유모차가 내리막에 있는지 오르막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휠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휠의 구동에 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oller having a frame, a rotating wheel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frame, and a fixed wheel that does not rotate relative to the frame. 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pushing the stroller, and the stroll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ller is located on a downhill side, it generates electricity when the fixed wheel rotat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pushing the stroll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ller is located on an uphill side, the fixed wheel is turned when the fixed wheel rotates. By rotating the stroller, the kinetic energy of the wheels can be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o charge the battery or participate in the driving of the wheel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pushing the stroller and whether the stroller is going downhill or uphill.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more effectively.

Description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 installed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공기질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급격한 중국 산업화의 결과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 황사에 실려 우리나라로 상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기 중 유해 중금속 농도는 우려의 수준을 넘고 있다 또한, 건물 내부에 거주하는 경우에서도, 미세 먼지, 포름알데히드, 부유 세균 등의 오염 물질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코, 눈, 목의 건조와 통증, 재채기, 코막힘, 피로 등과 같은 건물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ecently, Korea's air quality has been rapidly deteriorating. Air pollutants generated as a result of China's rapid industrialization are landing in Korea in yellow dust, and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heavy metals in the air in Korea is exceeding the level of concern. Even if you live inside,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formaldehyde, and floating bacteria are contaminating the indoor air, which causes building diseases such as dryness and pain in the nose, eyes, and throat, sneezing, nasal congestion, and fatigue. Sick building syndrome has been reported to occur.

이와 같은 환경 속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In this environment, sales of air purification devices that can purify polluted air are increasing.

현재 상용되고 있는 공기 정화 장치는, 내부에 각종 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오염된 공기를 유입하여 필터를 통해 오염 입자를 물리적으로 여과시키거나 흡착시켜 걸러냄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킨다.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air purification devices have various filters inside, and purify the air by introducing polluted air and physically filtering or adsorbing polluting particles through the filter.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전기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건물, 차량 내에서는 사용에 어려움이 없으나,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영유아가 사용하는 유모차는 커버만 씌워 외부와 간접적으로 차단을 할 뿐 적극적으로 공기정화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 is no difficulty in using these air purifying devices in buildings or vehicles where electricity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but there is a problem in using them in places where electricity cannot be continuously supplied. In particular, strollers used by infants and toddlers only indirectly block the outside world by covering them, and do not actively use air purification device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138289호(2017.12.15.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8289 (published on December 15, 2017)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모차의 주행시 주행상태를 판단하여, 주행을 위해 구동되는 휠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공기청정기 등 전기를 사용하는 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t determines the driving state when the stroller is driven and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wheels driven for driving into electric energy to use electricity such as an air purifier. We want to be able to supply it to the devices in 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는 사용자가 유모차를 밀고 있는지 파악하여 사용자가 유모차를 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유모차의 휠이 구동하는 경우, 유모차가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미끄러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휠의 구동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휠의 구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pushing the stroller, and when the wheels of the stroller are driven while the user is not pushing the stroller,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ller is sliding against the user's intention. The purpose is to convert the kinetic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when driving the wheel, thereby suppressing the driving of the whe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는 경사센서를 통해 내리막을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휠의 구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오르막을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휠을 구동시켜 주행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to be running downhill through an incline sensor, the drive energy of the wheels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o charge the battery, and when it is judged to be running uphill. The goal is to use a charged battery to drive the wheels to assist driving.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는 공기청정기의 배터리와 유모차의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비교하여 공기청정기의 배터리를 유모차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mpare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of the air purifier and the battery of the stroller so that the battery of the air purifier can be charged using the battery of the stro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는 프레임, 프레임을 상대로 회전하는 회전휠, 프레임을 상대로 회전하지 않는 고정휠을 갖는 유모차로서, 사용자가 유모차를 미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모차가 내리막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고정휠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을 하고, 사용자가 유모차를 미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모차가 오르막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고정휠의 회전시 고정휠을 회전시키는 구동을 한다.A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oller having a frame, a rotating wheel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frame, and a fixed wheel that does not rotate relative to the frame. 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pushing the stroller, and the stroll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ller is located on a downhill side, it generates electricity when the fixed wheel rotat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pushing the stroll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ller is located on an uphill side, the fixed wheel is turned when the fixed wheel rotates. It is driven to ro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프레임은 하부에 후방으로 2개, 전방으로 1개 이상이 배치되며, 프레임 중 후방에 배치된 프레임에는 구동부가 배치되고, 구동부의 측단부에는 고정휠이 배치되고, 프레임 중 전방에 배치된 프레임에는 회전휠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frames rearward and one or more fronts arranged at the bottom, and a driving part is disposed in the rear frame among the frames, and the side of the driving part It is preferable that a fixed wheel is disposed at the end, and a rotating wheel is disposed on the fram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fr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구동부는 구동부하우징과, 구동부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고정자와, 고정자 내측에 배치된 회전자로 이루어진 모터발전기가 배치되고, 회전자에는 고정휠에 결합되는 휠축이 결합되어, 고정휠의 회전시 발전을 하거나, 고정휠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with a motor generator consisting of a driving unit housing, a stator fixed inside the driving unit housing, and a rotor disposed inside the stator, and the rotor is fixed. It is desirable that the wheel axle coupled to the wheel is coupled to generate power when the fixed wheel rotates or to rotate the fixed whe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프레임의 상부측 후방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이 연장배치되고, 핸들에는 사용자의 손을 센싱하는 접촉센서가 배치되어,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 handle that the user grasps is extended to the rear of the upper side of the frame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n air purifier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act sensor that senses the user's hand is disposed on the handle,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handle. When grasping, it is desirable to generate an ev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프레임에는 유모차가 내리막에 위치한 것인지 오르막에 위치한 것인지를 센싱하는 경사센서와, 경사센서 및 접촉센서와 연결되는 제어부와, 모터발전기에 연결되는 정류부와,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기를 저장하는 유모차배터리가 배치되고, 제어부는 정류부와 유모차배터리에 연결되어 접촉센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경사센서에서 유모차가 내리막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모터발전기로부터 전기를 발생시켜 정류부로 공급하고,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기를 유모차배터리에 공급하며, 제어부는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경사센서에서 유모차가 오르막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유모차배터리로부터 모터발전기에 전기를 공급하여 고정휠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of a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lt sensor that senses whether the stroller is located on a downhill or uphill slope,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ilt sensor and a contact sensor, and a motor generator connected to the frame. A rectifying unit and a stroller battery that stores the electricity rectified by the rectifying unit are arranged, an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rectifier unit and the stroller battery. The contact senso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and the incline sensor determines that the stroller is located on a downhill slope. In this case, electricity is generated from the motor generator and supplied to the rectifier, and the rectified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stroller batter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and the incline sensor determines that the stroller is uphill.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supply electricity from the stroller battery to the motor generator to drive the fixed whe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제어부는 접촉센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고정휠의 회전시 제어부는 모터발전기로부터 전기를 발생시켜 정류부로 공급하고,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기를 유모차배터리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control unit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user is not holding the handle through the contact sensor, the control unit generates electricity from the motor generator and sends it to the rectifier when the fixed wheel rotates. It is desirable to supply the electricity rectified in the rectifier to the stroller batte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프레임에는 외부의 공기를 1차로 필터링 하는 유입필터, 유입필터에서 필터링한 공기를 2차로 필터링 하는 배출필터로 구성된 필터부와, 유입필터와 배출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배출필터로 이동시키는 팬과, 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청정기배터리와, 청정기배터리와 팬과 연결되는 청정기제어부로 구성된 공기청정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청정기가 프레임에 결합하는 경우, 청정기배터리는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of a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consisting of an inlet filter that primarily filters external air, an exhaust filter that secondarily filters the air filtered by the inlet filter, and an inlet filter. The air purifier consists of a fan placed between the air purifier and the exhaust filter to bring in outside air and move the air to the discharge filter, a purifier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fan, and a purifier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urifier battery and the fan. Possibly combined, when the air purifier is combined with the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urifier battery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제어부는 청정기배터리의 충전상태와 유모차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센싱하여, 청정기배터리의 충전량이 유모차배터리의 충전량 보다 적은 경우, 유모차배터리를 이용하여 청정기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charge state of the purifier battery and the charge state of the stroller battery, and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purifier battery is less than the charge amount of the stroller battery, the stroller battery is us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harge the purifier battery.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는 사용자가 유모차를 미는지 여부, 유모차가 내리막에 있는지 오르막에 있는지에 따라 휠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휠의 구동에 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wheels into electrical energy to charge the battery or participates in the driving of the wheel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pushing the stroller and whether the stroller is downhill or uphill.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you to drive more effectively.

또한, 공기청정기배터리와 유모차의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비교하여 유모차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공기청정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dditionally, by compar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air purifier battery and the stroller's battery,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charge the air purifier battery using the stroller's battery.

아울러 사용자가 유모차를 밀고 있지 않은 경우에 유모차의 휠이 구동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휠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휠의 구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wheels of the stroller are driven when the user is not pushing the stroller, the kinetic energy of the wheels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o prevent the wheels from being driven,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that may occu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제어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고정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핸들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제어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ed wheel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installed with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handle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in which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 1 is installed.
Figure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installed with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 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Terms a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No.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제어순서도 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고정휠의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3 is a control flow chart shown in Figure 1.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ed wheel of a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n air purifier installed.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핸들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제어블록도이다. In addi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handle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는 프레임(101), 프레임(101)을 상대로 회전하는 회전휠(110), 프레임(101)을 상대로 회전하지 않는 고정휠(120)을 갖는 유모차(100)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유모차(100)를 미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모차(100)가 내리막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고정휠(120)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을 하여 고정휠(12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휠(120)의 회전시 발생되는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유모차(100)를 미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모차(100)가 오르막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유모차(100)의 배터리(15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정휠(120)을 회전시켜, 유모차(100)가 더욱 용이하게 오르막길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n air purifier installed has a frame 101, a rotating wheel 110 that rotates against the frame 101, and a fixed wheel 120 that does not rotate against the frame 101. With the stroller 100, as shown in FIG. 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pushing the stroller 100 and the stroller 100 is located on a downhill slope, electricity is generated when the fixed wheel 120 rotates. generates power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fixed wheel 120, and charges the battery with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fixed wheel 120 rotates. Conversely,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stroller 100 is pushing the stroller 100 and the stroller 100 is located uphill, the fixed wheel 120 is rotated using the electric energy stored in the battery 150 of the stroller 100. This allows the stroller 100 to move uphill more easily.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2개의 프레임(101)이 하부로 배치된 유모차(100)로 후방에 배치된 프레임(101)에는 구동부(130)가 배치되며, 구동부(130)의 측단부에는 고정휠(120)이 배치된다. 또한, 전방에 배치된 프레임(101)에는 회전휠(110)이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oller 100 with two frames 101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a frame 101 disposed at the rear. A driving unit 130 is disposed, and a fixed wheel 120 is disposed at a side end of the driving unit 130. Additionally, a rotating wheel 110 is disposed on the frame 101 disposed in the front.

이때 고정휠(120)은 프레임(101)을 기준으로 휠이 회전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회전휠(110)은 프레임(101)을 기준으로 휠이 회전하여 방향전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fixed wheel 120 means that the wheel does not rotate based on the frame 101, and the rotating wheel 110 means that the wheel rotates based on the frame 101 to change direction. .

도 1의 실시예의 경우 전방과 후방에 각각 2개의 프레임(101)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전방과 후방에 각각 2개의 프레임(101)이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전방에 배치된 프레임은 최소한 1개 이상으로 배치되면 된다.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it is shown that two frames 101 ar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hat two frames 101 ar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and the frame disposed at the front is at least More than one can be placed.

도 3을 참조하여 구동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The driv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구동부(130)는 구동부하우징(132), 구동부하우징(132) 내부에 고정된 모터발전기(134), 모터발전기(134)에 결합되고 고정휠(120)에 결합되는 휠축(122)으로 구성된다. The drive unit 130 includes a drive unit housing 132, a motor generator 134 fixed inside the drive unit housing 132, and a wheel axle 122 coupled to the motor generator 134 and the fixed wheel 120.

구동부하우징(132)은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모터발전기(134), 휠축(122)이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drive housing 132 is one in which the motor generator 134 and the wheel shaft 122, which constitute the drive unit 130, are disposed inside,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cylindrical as shown in FIG. 3. formed into a shape.

이러한 구동부하우징(132)의 내부에는 고정자(134a)와 회전자(134b)로 이루어진 모터발전기(134)가 배치된다. 이러한 모터발전기(134)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자(134b)에는 휠축(122)이 결합되어, 전기가 모터발전기(134)에 인가되어, 회전자(134b)와 회전자(134b)에 결합된 휠축(122)이 회전하게 된다. Inside the drive housing 132, a motor generator 134 consisting of a stator 134a and a rotor 134b is disposed. A commonly used motor may be used as this motor generator 134. The wheel shaft 122 is coupled to the rotor 134b, and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motor generator 134, causing the rotor 134b and the wheel shaft 122 coupled to the rotor 134b to rotate.

이때, 횔축(122)에는 고정휠(120)이 결합되므로, 모터발전기(134)에 전기가 인가되는 경우, 고정휠(120)은 회전하게 되며, 전기가 모터발전기(134)에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고정휠(120)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휠(120)에 결합된 휠축(122)이 회전하게 되며, 휠축(122)에 결합된 회전자(134b)가 회전하게 되어 모터발전기(134)는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fixed wheel 120 is coupled to the heel shaft 122,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motor generator 134, the fixed wheel 120 rotates, and electricity is not applied to the motor generator 134. When the fixed wheel 120 rotates, the wheel shaft 122 coupled to the fixed wheel 120 rotates, and the rotor 134b coupled to the wheel shaft 122 rotates, so that the motor generator 134 generates electricity.

이러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프레임(101)의 상부측 후방에는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140)이 연장배치되며, 핸들(140)에는 사용자의 손을 센싱하는 접촉센서(142)가 배치된다. A handle 140 that the user holds is extended to the rear of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1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such an air purifier installed, as shown in FIG. 4, and the handle 140 is equipped with a contact sensor 142 that senses the user's hand. ) is placed.

따라서 사용자가 유모차(100)를 밀기 위해 핸들(140)을 잡는 경우, 접촉센서(142)는 사용자가 핸들(140)을 잡았는지를 센싱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신호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는 사용자가 유모차를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갖고 있는지, 유모차를 세위둔 상태에 있는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140 to push the stroller 100, the contact sensor 142 generates a signal by sensing whether the user holds the handle 140. Based on these signals, the control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 state to use the stroller or is in a state where the stroller is in a reclining state.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의 프레임(101)에는 유모차(100)가 내리막에 위치한 것인지 오르막에 위치한 것인지를 센싱하는 경사센서(136)가 배치된다. Specifically, an inclination sensor 136 is disposed on the frame 101 of the driving assistance stroller in which the air purifier is installed to sense whether the stroller 100 is located on a downhill or uphill slope.

경사센서(136)는 유모차의 회전휠(110)과 구동휠(120)의 높이에 따라 유모차가 놓인 지면의 경사를 센싱하는 것으로, 볼, 유체 등으로 이루어진 센서, 자이로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inclination sensor 136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on which the stroller is plac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otation wheel 110 and the driving wheel 120 of the stroller, and a sensor made of a ball, fluid, etc., a gyro sensor, etc. may be used.

도 5를 참조하면 유모차(100)에는 경사센서(136) 및 접촉센서(142)와 연결되는 제어부(138), 모터발전기(134)에 연결되는 정류부(138a), 정류부(138)에서 정류된 전기를 저장하는 유모차배터리(150)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stroller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38 connected to the inclination sensor 136 and the contact sensor 142, a rectifier unit 138a connected to the motor generator 134, and electricity rectified in the rectifier unit 138. A stroller battery 150 that stores is disposed.

제어부(138)는 정류부(138a)와 유모차배터리(150)에 연결되어 접촉센서(142)에서 사용자가 핸들(140)을 잡고 있는 것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면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고, 경사센서(136)에서 유모차(100)가 내리막에 위치한 것으로 신호를 발생시켜 수신하는 경우 고정휠(120)의 회전시 모터발전기(134)로부터 전기를 발생시켜 정류부(138a)로 공급하며, 정류부(138a)에서 정류된 전기를 유모차배터리(150)에 공급하여, 고정휠(120)의 구동속도를 낮추고, 유모차배터리(150)에 전기를 충전시킨다. The control unit 138 is connected to the rectifier unit 138a and the stroller battery 150, and when the contact sensor 142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140, it receives this signal and transmits it from the inclination sensor 136. When the stroller 100 generates and receives a signal as it is located downhill, electricity is generated from the motor generator 134 when the fixed wheel 120 rotates and supplied to the rectifier 138a, and the electricity rectified by the rectifier 138a is supplied to the stroller battery 150 to lower the driving speed of the fixed wheel 120 and charge the stroller battery 150 with electricity.

또한, 제어부(138)는 접촉센서(142)에서 사용자가 핸들(140)을 잡고 있는 것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경사센서(136)에서 유모차(100)가 오르막에 위치한 것으로 신호를 발생시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유모차배터리(150)로부터 모터발전기(134)에 전기를 공급하여 고정휠(120)을 구동시켜 유모차(100)를 더욱 용이하게 주행시킬 수 있도록 주행을 보조한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control unit 138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act sensor 142 indicating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140, the incline sensor 136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roller 100 is located uphill, When a signal is received,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stroller battery 150 to the motor generator 134 to drive the fixed wheel 120 to assist in driving the stroller 100 more easily.

아울러 제어부(138)는 접촉센서(142)에서 사용자가 핸들(140)을 잡고 있지 않은 것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고정휠(120)이 회전되는 경우 고정휠(120)의 회전시 고정휠(120)에 연결된 모터발전기(134)로부터 전기를 발생시켜 정류부(138a)로 공급하고, 정류부(138a)에서 정류된 전기를 유모차배터리(150)에 공급하여, 고정휠(120)의 구동속도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유모차(100)의 핸들(140)을 잡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휠(120)이 구동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138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act sensor 142 that the user is not holding the handle 140, the fixed wheel 120 rotates when the fixed wheel 120 rotates. ) generates electricity from the motor generator 134 connected to the rectifier unit 138a, and supplies the rectified electricity from the rectifier unit 138a to the stroller battery 150 to reduce the driving speed of the fixed wheel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the fixed wheel 120 is driven while the user is not holding the handle 140 of the stroller 100.

이러한 유모차의 프레임(10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60)가 결합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1차로 필터링 하는 유입필터(162a), 유입필터(162a)에서 필터링한 공기를 2차로 필터링 하는 배출필터(162b)로 구성된 필터부(162), 유입필터(162a)와 배출필터(162b)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배출필터(162b)로 이동시키는 팬(164), 팬(164)에 전원을 공급하는 청정기배터리(168), 청정기배터리(168)와 팬(164)과 연결되어 청정기배터리(168)의 충전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팬(164)을 제어하는 청정기제어부(166)로 구성된다. An air purifier 16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101 of this stroller as shown in FIG. 1 . As shown in FIG. 5, the air purifier 160 is a filter unit consisting of an inlet filter 162a that primarily filters external air and an outlet filter 162b that secondarily filters the air filtered by the inlet filter 162a. (162), a fan 164 disposed between the inlet filter 162a and the outlet filter 162b to introduce external air and move the inflow air to the outlet filter 162b, supplying power to the fan 164 It consists of a purifier battery 168 that is connected to the purifier battery 168 and the fan 164 and a purifier control unit 166 that controls the fan 164 according to the charge amount of the purifier battery 168 and the user's selection.

이때 공기청정기(160)가 프레임(101)에 결합하는 경우, 청정기배터리(168)는 유모차의 제어부(138)에 연결되어 청정기배터리(168)의 충전량 등의 정보를 유모차의 제어부(138)에 전달한다. At this time, when the air purifier 160 is coupled to the frame 101, the purifier battery 168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8 of the stroller and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the charge amount of the purifier battery 168 to the control unit 138 of the stroller. do.

이때 유모차의 제어부(138)는 청정기배터리(168)의 충전상태와 유모차배터리(150)의 충전상태를 전달받아, 청정기배터리(168)의 충전량이 유모차배터리(150)의 충전량 보다 적은 경우, 유모차배터리(150)를 이용하여 청정기배터리(168)를 충전하여 공기청정기(160)를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8 of the stroller receives the charging state of the purifier battery 168 and the charging state of the stroller battery 150, and if the charged amount of the purifier battery 168 is less than the charged amount of the stroller battery 150, the stroller battery The air purifier 160 can be us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by charging the purifier battery 168 using 150.

아울러 유모차의 제어부(138)은 유모차의 프레임(101)이 상호 절첩되는 경우에는 각 프레임(101)의 절첩부위에 별도의 스위치 등을 부착하여, 스위치 등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유모차의 사용이 종료되었음을 확인하고,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유모차 내의 배터리(150) 충전량 등을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rames 101 of the stroller are folded, the stroller control unit 138 attaches a separate switch to the folded portion of each frame 101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switch to confirm that the stroller has been used. Additionally, it can be configured to inform the user of the charging amount of the battery 150 in the stroller through a separate display unit.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100 : 유모차 101 : 프레임
110 : 회전휠 120 : 고정휠
122 : 휠축 130 : 구동부
132 : 구동부하우징 134 : 모터발전기
134a : 회전자 134b : 고정자
136 : 경사센서 138 : 제어부
138a : 정류부 140 : 핸들
142 : 접촉센서 150 : 배터리
160 : 공기청정기 162 : 필터부
164 : 팬 166 : 청정기제어부
168 : 청정기배터리
100: stroller 101: frame
110: rotating wheel 120: fixed wheel
122: wheel axis 130: driving unit
132: Drive housing 134: Motor generator
134a: rotor 134b: stator
136: Tilt sensor 138: Control unit
138a: Rectifier 140: Handle
142: contact sensor 150: battery
160: air purifier 162: filter unit
164: Fan 166: Purifier control unit
168: Purifier battery

Claims (8)

프레임(101), 상기 프레임(101)을 상대로 회전하는 회전휠(110), 상기 프레임(101)을 상대로 회전하지 않는 고정휠(120)을 갖는 유모차(100)로서,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100)를 미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모차(100)가 내리막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고정휠(120)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100)를 미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모차(100)가 오르막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고정휠(120)을 회전시키는 구동을 하고,
상기 유모차(100)의 상기 프레임(101)은 하부에 후방으로 2개, 전방으로 1개 이상이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101) 중 후방에 배치된 프레임(101)에는 구동부(130)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130)의 측단부에는 상기 고정휠(120)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1) 중 전방에 배치된 프레임(101)에는 상기 회전휠(110)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130)는 구동부하우징(132)과, 상기 구동부하우징(132) 내부에 고정된 고정자(134a)와, 상기 고정자(134b) 내측에 배치된 회전자(134b)로 일루어진 모터발전기(134)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자(134b)에는 상기 고정휠(120)에 결합되는 휠축(122)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휠(120)의 회전시 발전을 하거나, 상기 고정휠(120)을 회전시키고,
상기 프레임(101)의 상부측 후방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140)이 연장배치되고, 상기 핸들(140)에는 사용자의 손을 센싱하는 접촉센서(142)가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핸들(140)을 파지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프레임(101)에는 상기 유모차(100)가 내리막에 위치한 것인지 오르막에 위치한 것인지를 센싱하는 경사센서(136)와, 상기 경사센서(136) 및 접촉센서(142)와 연결되는 제어부(138)와, 상기 모터발전기(134)에 연결되는 정류부(138a)와, 상기 정류부(138a)에서 정류된 전기를 저장하는 유모차배터리(150)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38)는 상기 정류부(138a)와 상기 유모차배터리(150)에 연결되어 상기 접촉센서(142)에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140)을 파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사센서(136)에서 상기 유모차(100)가 내리막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발전기(134)로부터 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정류부(138a)로 공급하고, 상기 정류부(138a)에서 정류된 전기를 상기 유모차배터리(150)에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138)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140)을 파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사센서(136)에서 상기 유모차(100)가 오르막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유모차배터리(150)로부터 상기 모터발전기(134)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고정휠(120)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부(138)는 상기 접촉센서(142)에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140)을 파지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고정휠(120)의 회전시 상기 제어부(138)는 상기 모터발전기(134)로부터 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정류부(138a)로 공급하고, 상기 정류부(138a)에서 정류된 전기를 상기 유모차배터리(150)에 공급하고, 상기 프레임(101)에는 외부의 공기를 1차로 필터링 하는 유입필터(162a), 상기 유입필터(162a)에서 필터링한 공기를 2차로 필터링 하는 배출필터(162b)로 구성된 필터부(162)와, 상기 유입필터(162a)와 배출필터(162b)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출필터(162b)로 이동시키는 팬(164)과, 상기 팬(164)에 전원을 공급하는 청정기배터리(168)와, 상기 청정기배터리(168)와 팬(164)과 연결되는 청정기제어부(166)로 구성된 공기청정기(16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청정기(160)가 상기 프레임(101)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청정기배터리(168)는 상기 제어부(138)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38)는 상기 청정기배터리(168)의 충전상태와 상기 유모차배터리(150)의 충전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청정기배터리(168)의 충전량이 상기 유모차배터리(150)의 충전량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유모차배터리(150)를 이용하여 상기 청정기배터리(168)를 충전하고,
상기 공기청정기(160)가 상기 프레임(101)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청정기배터리(168)는 상기 제어부(138)에 연결되어 상기 청정기배터리(168)의 충전량 등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138)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38)는 상기 프레임(101)이 상호 절첩되는 경우에는 각 프레임(101)의 절첩부위에 부착된 스위치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유모차(100)의 사용이 종료되었음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유모차(100) 내의 상기 유모차배터리(150)의 충전량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행보조 유모차.
A stroller (100) having a frame (101), a rotating wheel (110)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rame (101), and a fixed wheel (120) that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frame (10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pushing the stroller 100 and the stroller 100 is located on a downhill slope, electricity is generated when the fixed wheel 120 rotates, and the user pushes the stroller 1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ller is pushing, and the stroller 100 is located on an uphill slope, the fixed wheel 120 is driven to rotate,
The frames 101 of the stroller 100 are disposed at the bottom, with two frames 101 in the rear and one or more in the front, and a drive unit 130 is disposed in the frame 101 disposed at the rear among the frames 101. , the fixed wheel 120 is disposed at the side end of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rotating wheel 110 is disposed on the frame 101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frame 101,
The driving unit 130 is a motor generator 134 consisting of a driving housing 132, a stator 134a fixed inside the driving housing 132, and a rotor 134b disposed inside the stator 134b. ) is disposed, and a wheel axis 122 coupled to the fixed wheel 120 is coupled to the rotor 134b to generate power when the fixed wheel 120 rotates or to rotate the fixed wheel 120. And
A handle 140 that the user holds is extended to the rear of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1, and a contact sensor 142 that senses the user's hand is disposed on the handle 140, so that the user touches the handle 140. ), generates an event,
The frame 101 includes an inclination sensor 136 that senses whether the stroller 100 is located on a downhill or uphill slope, and a control unit 138 connected to the inclination sensor 136 and the contact sensor 142. , a rectifier (138a) connected to the motor generator (134) and a stroller battery (150) that stores electricity rectified in the rectifier (138a) are disposed,
The control unit 138 is connected to the rectifier 138a and the stroller battery 15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140 at the contact sensor 142,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140 at the inclination sensor 13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ller 100 is located downhill, electricity is generated from the motor generator 134 and supplied to the rectifier 138a, and the electricity rectified by the rectifier 138a is supplied to the stroller battery 150. supply,
The control unit 138 determines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140, and when the inclination sensor 136 determines that the stroller 100 is located on an uphill slope, the control unit 138 selects the motor from the stroller battery 150. Supply electricity to the generator 134 to drive the fixed wheel 120,
When the contact sensor 142 determines that the user is not holding the handle 140, the control unit 138 operates the motor generator 134 when the fixed wheel 120 rotates. ) generates electricity and supplies it to the rectifier (138a), the electricity rectified by the rectifier (138a) is supplied to the stroller battery 150, and the frame 101 has an inflow system that primarily filters external air. A filter unit 162 consisting of a filter 162a and an outlet filter 162b that secondarily filters the air filtered by the inlet filter 162a,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filter 162a and the outlet filter 162b. A fan 164 that introduces outside air and moves the introduced air to the exhaust filter 162b, a purifier battery 168 that supplies power to the fan 164, and the purifier battery 168 and a fan. An air purifier 160 consisting of a purifier control unit 166 connected to 164 is detachably coupled, and when the air cleaner 160 is coupled to the frame 101, the purifier battery 168 is connected to the frame 101.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8,
The control unit 138 senses the charge state of the purifier battery 168 and the charge state of the stroller battery 150, and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purifier battery 168 is less than the charge amount of the stroller battery 150, Charging the purifier battery 168 using the stroller battery 150,
When the air purifier 160 is coupled to the frame 101, the purifier battery 168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8 and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the charge amount of the purifier battery 168 to the control unit 138. deliver,
When the frames 101 are folded, the control unit 138 receives a signal from a switch attached to the folded portion of each frame 101, confirms that the use of the stroller 100 has ended, and uses the display unit. A driving assistance stroller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forms the amount of charge of the stroller battery (150) in the stroller (1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73321A 2021-06-07 2021-06-07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 KR102641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321A KR102641262B1 (en) 2021-06-07 2021-06-07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321A KR102641262B1 (en) 2021-06-07 2021-06-07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958A KR20220164958A (en) 2022-12-14
KR102641262B1 true KR102641262B1 (en) 2024-02-27

Family

ID=8443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321A KR102641262B1 (en) 2021-06-07 2021-06-07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26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706A (en) * 2009-07-31 2011-02-17 Atex Co Ltd Traveling vehicle with assist motor
JP2014136568A (en) * 2013-01-18 2014-07-28 Stanley Electric Co Ltd Electric power assist device for baby carriage
KR200476837Y1 (en) * 2015-01-05 2015-05-18 서현석 s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289A (en) 2016-06-07 2017-12-15 주식회사 에어텍 Potable air cleaner
KR20190129443A (en)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에프에스엘 air cleaner for baby carri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706A (en) * 2009-07-31 2011-02-17 Atex Co Ltd Traveling vehicle with assist motor
JP2014136568A (en) * 2013-01-18 2014-07-28 Stanley Electric Co Ltd Electric power assist device for baby carriage
KR200476837Y1 (en) * 2015-01-05 2015-05-18 서현석 s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958A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4570B2 (en) Ai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31536B1 (en) Air cleaning robot
CN101306283B (en) Automatic gear of air purification
US20100096194A1 (en) Wheelchair for stairs and obstacles
JP2013223531A (en) Self-travelling air-cleaning machine
CN102815358B (en) Intelligent balance recreational vehicle
EP3889003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641262B1 (en) Driving assistance stroller with air purifier
CN108661361A (en) A kind of swimming pool cleaning device
CN108216343B (en) Child's bike with high protection function
CN110296487A (en) Air purifier
CN217154501U (en) Air purifier
CN201872061U (en) Safe and dedusting grinder
CN207113059U (en) Intellectual air cleaner device people
CN201203219Y (en) Air purifying automatic device
CN211837009U (en) Environmental protection is administered and is used dust device
KR102123416B1 (en) Apparatus for clean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CN102320342A (en) Electric remote control wheelbarrow
CN207035340U (en) Improvement type high-pressur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clarifier
JP2011042199A (en) Vehicle
CN107837611A (en) A kind of intelligent battery car with haze func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204998687U (en) Portable electric flatbed
CN207712202U (en) A kind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movement of line walking trajectory control system
CN109611967A (en) Air purifier
KR102008009B1 (en) Walking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