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195B1 - 이종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195B1
KR102641195B1 KR1020210165324A KR20210165324A KR102641195B1 KR 102641195 B1 KR102641195 B1 KR 102641195B1 KR 1020210165324 A KR1020210165324 A KR 1020210165324A KR 20210165324 A KR20210165324 A KR 20210165324A KR 102641195 B1 KR102641195 B1 KR 10264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ing
spinning solution
partition
plate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8012A (ko
Inventor
권병민
Original Assignee
(주)나노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노랩스 filed Critical (주)나노랩스
Priority to KR102021016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1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7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이종의 방사용액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방사장치는 상부는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되, 밑판(110)에는 방사용액이 주입되는 주입공(120)과 과다배출되어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공(130)이 형성된 하우징(100);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방사용액이 경유하는 복수 개의 제1 관통공(210)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방사판(200);
상기 방사판(200)의 상부면에 상기 제1 관통공(210)을 차단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방사용액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방사용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방사노즐(300);
상기 방사노즐(300)을 통해 분사되어 회수되는 방사용액과 상기 주입공(120)을 통해 공급되는 방사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키는 제1 격벽(400);을 포함하며,
과다배출되어 회수된 방사용액과 상기 방사노즐(300)에 의해 분사되기 전의 방사용액이 상기 제1 격벽(400)에 의해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수된 방사용액의 재생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Electrospinning Device Capable of Recovering Different Types of Spinning Liquids}
본 발명은 이종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다배출되어 회수된 방사용액과 방사노즐에 의해 분사되기 전의 방사용액이 제1 격벽에 의해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수된 방사용액의 재생효율을 높이는 한편, 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공을 통해 회수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고 방사용액 회수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이종의 방사용액을 재활용하는 동시에, 방사판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를 향해 구배가 형성되어 방사판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관통공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한편, 상부커버 및 제2 격벽은 비전도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사노즐로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노 섬유는 산업 전반에 걸쳐 고성능을 발현하는 소재로서, 부직포를 이용한 필터, 전자기기들의 소형화, 고기능화, 생체조직 용도 등 나노 소재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계, 화학산업 등 전통산업에서도 고기능화를 위한 나노 소재의 적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나노 섬유 필름은 전기방사법(Electro spinning)으로 제조되고 있다.
전기방사법은 1795년 Bose가 모세관 끝에 매달려 있는 물방울에 고전압을 부여하면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 표면에서 미세 필라멘트가 방출되는 정전 스프레이 현상을 발견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점도를 가진 고분자 용액이나 용융체(방사용액)에 정전기력이 주어질 경우 섬유가 형성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방사법은 하나의 방사노즐에서 시간당 수 그램 이하의 방사용액을 압출하여 섬유를 제조한다.
방사용액의 경우 대부분 전기방사법에 의해 나노 섬유로 제조되지만, 과다배출된 일부 방사용액은 방사노즐로부터 방사판으로 흘러내려 방사판 위에 고이게 된다.
과다배출된 일부 방사용액은 회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과다배출된 방사용액을 회수 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경우 단일 방사용액을 사용하여 하나의 방사판에서 전기방사법에 의해 나노 섬유가 생산된다.
이종의 방사용액을 사용하면 이종의 방사용액이 갖는 기능이 모두 포함된 기능성 나노 섬유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종의 방사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이종의 방사용액들이 서로 섞이는 문제로 인해 과다배출된 이종의 방사용액의 회수가 불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방사노즐로부터 과다배출된 이종의 방사용액을 회수 가능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전기방사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1179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과다배출되어 회수된 방사용액과 방사노즐에 의해 분사되기 전의 방사용액이 제1 격벽에 의해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수된 방사용액의 재생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공을 통해 회수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고 방사용액 회수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이종의 방사용액을 재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격벽으로 하우징 내부의 이종 방사용액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노즐로부터 과다배출되어 방사판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대기로 노출되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판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관통공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커버 및 제2 격벽을 비전도체로 형성하여 방사노즐로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종의 방사용액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는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되, 밑판에는 방사용액이 주입되는 주입공과 과다배출되어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방사용액이 경유하는 복수 개의 제1 관통공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방사판;
상기 방사판의 상부면에 상기 제1 관통공을 차단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방사용액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방사용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방사노즐;
상기 밑판에 결합되어 상기 방사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회수되는 방사용액과 상기 주입공을 통해 공급되는 방사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키는 제1 격벽;을 포함하며,
과다배출되어 회수된 방사용액과 상기 방사노즐에 의해 분사되기 전의 방사용액이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수된 방사용액의 재생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수 개의 방사노즐은 이종의 방사용액을 분사하는 노즐들로서, 동종의 방사용액을 분사하는 노즐들이 그룹을 지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판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방사노즐로부터 과다배출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2 격벽;
상기 하우징의 밑판과 방사판 사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격벽의 내부를 소정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입공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주입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3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사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방사노즐로부터 과다배출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배출되며,
상기 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공을 통해 회수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고 방사용액 회수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이종의 방사용액을 재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3 격벽과 방사판 사이에 결합되어 이종의 방사용액의 누수를 방지하는 탄성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격벽에 의해 하우징 내부의 이종 방사용액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방사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는 방사노즐로부터 과다배출되어 상기 방사판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대기로 노출되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방사판은 중앙부가 높고 양단부가 낮게 형성되되 중앙부와 양단부 사이는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사판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가장자리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커버 및 제2 격벽은 비전도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사노즐로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는 과다배출되어 회수된 방사용액과 방사노즐에 의해 분사되기 전의 방사용액이 제1 격벽에 의해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수된 방사용액의 재생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공을 통해 회수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고 방사용액 회수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이종의 방사용액을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격벽으로 하우징 내부의 이종 방사용액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노즐로부터 과다배출되어 방사판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대기로 노출되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판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관통공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커버 및 제2 격벽을 비전도체로 형성하여 방사노즐로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B-B 및 C-C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현재 대부분의 나노 섬유 필름은 전기방사법(Electro spinning)으로 제조된다.
전기방사법은 1795년 Bose가 모세관 끝에 매달려 있는 물방울에 고전압을 부여하면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 표면에서 미세 필라멘트가 방출되는 정전 스프레이 현상을 발견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점도를 가진 고분자 용액이나 용융체(방사용액)에 정전기력이 주어질 경우 섬유가 형성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방사법은 하나의 방사노즐에서 시간당 수 그램 이하의 방사용액을 압출하여 섬유를 제조한다.
방사용액의 경우 대부분 전기방사법에 의해 나노 섬유로 제조되지만, 과다배출된 일부 방사용액은 방사노즐(300)로부터 방사판(200)으로 흘러내려 방사판(200) 위에 고이게 된다.
과다배출된 일부 방사용액은 회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과다배출된 방사용액을 회수 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경우 단일 방사용액을 사용하여 하나의 방사판(200)에서 전기방사법에 의해 나노 섬유가 생산된다.
이종의 방사용액을 사용하면 이종의 방사용액이 갖는 기능이 모두 포함된 기능성 나노 섬유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종의 방사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이종의 방사용액들이 서로 섞이는 문제로 인해 과다배출된 이종의 방사용액의 회수가 불가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이종의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B-B 및 C-C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는 하우징(100), 방사판(200), 방사노즐(300), 제1 격벽(400), 제2 격벽(500), 제3 격벽(600), 탄성격벽(700), 상부커버(8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상부는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밑판(110)에는 방사용액이 주입되는 주입공(120)이 형성되며, 과다배출되어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공(130)이 형성된다.
방사판(200)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내측에 결합된다.
방사판(200)에는 방사용액이 경유하는 복수 개의 제1 관통공(210)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방사노즐(300)은 방사판(200)의 상부면에 제1 관통공(210)을 차단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방사용액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방사용액을 분사한다.
복수 개의 방사노즐(300)은 이종의 방사용액을 분사하는 노즐들로서, 동종의 방사용액을 분사하는 노즐들이 그룹을 지어 배치된다.
쉽게 말해 방사용액 A을 분사하는 방사노즐(300) 그룹a와, 방사용액 B를 분사하는 방사노즐(300) 그룹b와, 방사용액 C를 분사하는 방사노즐(300) 그룹c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3가지의 이종 방사용액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제1 격벽(400)은 하우징(100)의 밑판(110)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제1 격벽(400)은 방사노즐(300)을 통해 분사되어 회수되는 방사용액과 주입공(120)을 통해 공급되는 방사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킨다.
회수되는 방사용액은 용매의 일부가 휘발되기도 하고, 방사과정에서 일부 성분이 변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회수되는 방사용액을 방사노즐(300)에 의해 분사되기 전의 방사용액은 구분되어야 한다.
회수된 방사용액은 재생과정을 거쳐 다시 공급된다.
즉, 과다배출되어 회수된 방사용액과 방사노즐(300)에 의해 분사되기 전의 방사용액이 제1 격벽(400)에 의해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수된 방사용액의 재생효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제2 격벽(500)은 방사판(200)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 격벽(500)은 방사노즐(300)로부터 과다배출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제2 격벽(500)이 2개가 도시되어 3개의 이종 방사용액을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의 방사용액은 제2 격벽(500)에 의해 섞이지 않도록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격벽(500)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방사용액의 누수를 방지하고 방사판(200)과 상부커버(800)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제3 격벽(600)은 하우징(100)의 밑판(110)과 방사판(200) 사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3 격벽(600)은 제1 격벽(400)의 내부를 소정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제3 격벽(600)은 각 주입공(1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주입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제3 격벽(600)이 2개가 도시되어 3개의 이종 방사용액의 주입시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킨다.
세 그룹으로 형성된 방사노즐(300)로부터 과다배출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방사판(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220)을 통해 배출된다.
제2 관통공(220)을 통해 배출되는 이종의 방사용액은 밑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공(130)을 통해 회수된다.
본 발명은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고 방사용액 회수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이종의 방사용액을 재활용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 섬유로 형성되지 못한 일부의 방사용액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적이다.
탄성격벽(700)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제3 격벽(600)과 방사판(200) 사이에 결합된다.
탄성격벽(700)은 이종의 방사용액의 누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탄성격벽(700)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의 이종 방사용액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부커버(800)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0)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커버(800) 상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노즐(300)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방사노즐(300)의 일단은 방사판(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삽입공을 통해 노출된다.
삽입공의 직경은 방사노즐(300) 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부커버(800)는 방사노즐(300)로부터 과다배출되어 방사판(200)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대기로 노출되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방사용액에는 휘발성을 가진 유기용매가 포함된다. 때문에 상부커버(800)는 방사용액의 일부 성분이 휘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또한 상부커버(800)와 제2 격벽(500)은 비전도체로 형성된다. 이는 전기방사를 통해 방사용액이 나노 섬유화되는 데에 필요한 전류가 외부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커버(800)와 제2 격벽(500)을 비전도체로 형성함으로써 방사노즐(300)로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판(20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판(200)은 중앙부(230)가 높고 양단부(240)가 낮게 형성된다.
중앙부(230)와 양단부(240) 사이는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방사판(200)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관통공(220)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방사용액이 가진 점성으로 인해 방사판(200) 위에 고이려고 하는 방사용액을 제2 관통공(220)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방사용액의 회수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 및 방사판(200)은 표면이 매끄러운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을 사용하여 방사용액의 유동속도를 높임으로써 방사용액의 배출이 용이하고 나아가 방사용액의 회수율이 증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종의 방사용액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다배출되어 회수된 방사용액과 방사노즐에 의해 분사되기 전의 방사용액이 제1 격벽에 의해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수된 방사용액의 재생효율을 높이는 한편, 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공을 통해 회수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고 방사용액 회수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이종의 방사용액을 재활용하는 동시에, 방사판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를 향해 구배가 형성되어 방사판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관통공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한편, 상부커버 및 제2 격벽은 비전도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사노즐로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밑판
120 : 주입공
130 : 배출공
200 : 방사판
210 : 제1 관통공
220 : 제2 관통공
230 : 중앙부
240 : 단부
300 : 방사노즐
400 : 제1 격벽
500 : 제2 격벽
600 : 제3 격벽
700 : 탄성격벽
800 : 상부커버
810 : 삽입공

Claims (7)

  1. 상부는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되, 밑판(110)에는 방사용액이 주입되는 주입공(120)과 과다배출되어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공(130)이 형성된 하우징(100);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방사용액이 경유하는 복수 개의 제1 관통공(210)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방사판(200);
    상기 방사판(200)의 상부면에 상기 제1 관통공(210)을 차단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방사용액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방사용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방사노즐(300);
    상기 밑판(110)에 결합되어 상기 방사노즐(300)을 통해 분사되어 회수되는 방사용액과 상기 주입공(120)을 통해 공급되는 방사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키는 제1 격벽(400);을 포함하며,
    과다배출되어 회수된 방사용액과 상기 방사노즐(300)에 의해 분사되기 전의 방사용액이 상기 제1 격벽(400)에 의해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수된 방사용액의 재생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방사노즐(300)은 이종의 방사용액을 분사하는 노즐들로서, 동종의 방사용액을 분사하는 노즐들이 그룹을 지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사판(200)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방사노즐(300)로부터 과다배출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2 격벽(500);
    상기 하우징(100)의 밑판(110)과 방사판(200) 사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격벽(400)의 내부를 소정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입공(1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주입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3 격벽(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사판(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220)을 통해 상기 방사노즐(300)로부터 과다배출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배출되며,
    상기 밑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공(130)을 통해 회수된 이종의 방사용액이 서로 섞이지 않고 방사용액 회수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이종의 방사용액을 재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100)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방사노즐(300)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부커버(8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800)는 방사노즐(300)로부터 과다배출되어 상기 방사판(200)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대기로 노출되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사판(200)은 중앙부(230)가 높고 양단부(240)가 낮게 형성되되 중앙부(230)와 양단부(240) 사이는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사판(200) 위로 흘러내린 방사용액이 가장자리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커버(800) 및 제2 격벽(500)은 비전도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사노즐(300)로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100) 및 방사판(200)은 표면이 매끄러운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여 방사용액의 유동속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3 격벽(600)과 방사판(200) 사이에 결합되어 이종의 방사용액의 누수를 방지하는 탄성격벽(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격벽(700)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의 이종 방사용액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65324A 2021-11-26 2021-11-26 이종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KR10264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324A KR102641195B1 (ko) 2021-11-26 2021-11-26 이종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324A KR102641195B1 (ko) 2021-11-26 2021-11-26 이종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012A KR20230078012A (ko) 2023-06-02
KR102641195B1 true KR102641195B1 (ko) 2024-02-27

Family

ID=8675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324A KR102641195B1 (ko) 2021-11-26 2021-11-26 이종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1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609B1 (ko) * 2005-11-24 2006-11-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용 노즐블럭
KR101040059B1 (ko) * 2010-12-06 2011-06-09 신슈 다이가쿠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방법
KR102278152B1 (ko) 2020-02-25 2021-07-19 이충원 평량이 균일한 나노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2845B2 (ja) * 1996-04-25 2004-08-1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20117912A1 (en) 2010-11-17 2012-05-17 Kwik Goal Ltd. Ground Anchor for Artificial Surfa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609B1 (ko) * 2005-11-24 2006-11-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용 노즐블럭
KR101040059B1 (ko) * 2010-12-06 2011-06-09 신슈 다이가쿠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방법
KR102278152B1 (ko) 2020-02-25 2021-07-19 이충원 평량이 균일한 나노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012A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7963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CN107109703B (zh) 静电纺纱用喷丝头
DE102007027014A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Nano- und Microfasern durch elektrostatisches Spinnen einer durch Zentrifugalkräften in radialer Richtung aufgeschichteten Polymerlösung
KR102641195B1 (ko) 이종 방사용액의 회수가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US9101852B2 (en) Fluid inlet apparatus
EP3408438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uniform deposition of polymeric nanofibers on substrate
KR101558213B1 (ko)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US10392727B2 (en) Nanofiber manufacturing-apparatus nozzle head and nano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the same
CN1035926C (zh) 用于冷却、湿润和/或净化气体的喷射塔及方法
KR100828665B1 (ko) 유체 분사노즐
KR20090055934A (ko)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및 이를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JP6117261B2 (ja) 紡糸装置、ノズルヘッド及び紡糸方法
JP2020532664A (ja) 繊維形成用ノズルプレート
US10370777B2 (en) Nanofiber manufacturing device and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CN1281332C (zh) 洗涤喷嘴
KR102182060B1 (ko) 사각 형태 스크러버 성능 향상을 위한 스프레이 장치
CN104507585A (zh) 静电喷雾装置
US9511389B2 (en) Nozzle plate structure
KR200305052Y1 (ko) 슬릿형 유체 분사 장치
SE512546C2 (sv) Vätskefördelning i en kontaktapparat
US20190030912A1 (en) Printhead, printing equipment and printing method
CN112172348B (zh) 化学液体排出装置用墨水罐及包括其的化学液体排出装置
KR102528282B1 (ko) 증발원
CN219338987U (zh) 喷墨头
KR20230150637A (ko) 정전분무 노즐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