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088B1 - Appatus for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 - Google Patents

Appatus for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088B1
KR102641088B1 KR1020220006363A KR20220006363A KR102641088B1 KR 102641088 B1 KR102641088 B1 KR 102641088B1 KR 1020220006363 A KR1020220006363 A KR 1020220006363A KR 20220006363 A KR20220006363 A KR 20220006363A KR 102641088 B1 KR102641088 B1 KR 10264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time online
response information
game
onlin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0885A (en
Inventor
전동준
황준선
Original Assignee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22000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088B1/en
Publication of KR2023011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0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06F40/35Discourse or dialogue representation
    • G06Q50/50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기정의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의 제공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는 응답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랙션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부는, 상기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를 통해 상기 응답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A real-time online content providing devi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predefined real-time online conten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that analyzes user in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real-time online content and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a user interaction unit providing the generated respons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Here, the user interaction unit may cause the response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an interactive object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al-time online content.

Description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APPATUS FOR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Real-time online content provision devi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s {APPATUS FOR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

본 발명은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과정에서 출력되는 가상의 오브젝트를 통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ent provision technology that allows interaction with users through virtual objects output in the process of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

유무선 네트워크의 속도와 컴퓨팅 장치의 성능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하여 플레이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 콘텐츠, 스트리머가 특정 컨셉으로 방송을 진행하는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 등,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개인용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As the speed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the performance of computing devices have greatly improved, a variety of online content that can be enjoyed in real time is becoming available. A variety of online content that requires large-capacity data transmission, such as online game content that multiple users can access and play simultaneously, and streaming broadcast content that a streamer broadcasts with a specific concept, can be easily accessed on personal computers or mobile devices.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게임 캐릭터를 조작하여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등의 방식으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를 소비한다. 한편, 대부분의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는 사용자가 텍스트 또는 음성 메시지 등의 방식으로 방송 진행자 또는 다른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이러한 기능은 유저간 또는 유저-진행자 간의 대화 기능으로 제한되며, 콘텐츠 소비 과정에서 새로운 흥미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현재, 온라인 콘텐츠 제공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신규 유저의 진입을 유도하고 유입된 유저의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랙션 기술이 개발된다면,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게 새로운 수익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general, users consume real-time online content by manipulating game characters to play games or watching broadcast content. Meanwhile, most online content services provide the ability for users to communicate with broadcasters or other users through text or voice messages. However, these functions currently provided are limited to conversation functions between users or between users and hosts, and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new interest in the content consumption process. Currently, if interaction technology is developed that can induce new users to enter and improve the loyalty of new users by arousing new interest in users in the process of providing online content, it could become a new profit model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services. .

국내공개번호 공개특허 10-2015-0098083호Domestic Publication No. Publication Patent No. 10-2015-0098083

본 발명은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를 통해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흥미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pose a real-time online content providing devi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s, which can provide new interest to users by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users through interactive objects displayed together with real-time online cont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기정의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의 제공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는 응답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랙션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al-time online content providing devi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predefined real-time online conten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that analyzes user in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real-time online content and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a user interaction unit providing the generated respons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부는, 상기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를 통해 상기 응답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user interaction unit may cause the response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an interactive object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al-time online cont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는, 기정의된 형상의 가상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ractive object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character with a predefined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캐릭터는, 상기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방송을 진행하는 가상의 스트리머 캐릭터로 동작하거나, 또는, 스트리머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되며 해당 스트리머의 방송 진행을 서포트하는 가상의 보조 진행 캐릭터로 동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rtual character operates as a virtual streamer character that broadcasts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real-time online content, or is displayed independently of the streamer and supports the broadcasting progress of the streamer. It can act as a virtual auxiliary charac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캐릭터는, 실시간 게임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게임 콘텐츠의 가상 환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NPC(Non-Player Character)로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irtual character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Non-Player Character (NPC) plac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of the game content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real-time game cont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답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기정의된 대화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대화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답변 정보를 응답 정보로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부는,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응답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가상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nputs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a predefined conversation model and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versation model as response information, and the user interaction unit includes the The virtual character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virtual character outputs the response information as a vo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답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기정의된 심의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심의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심의 결과 정보를 기초로 응답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may input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a predefined deliberation model and generate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deliberation resul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eliberation mod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부는, 상기 NPC가 상기 실시간 게임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게임 일반 정보, 게임 미션 정보 및 게임 공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게임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action unit may cause the NPC to output game guid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general game information, game mission information, and game strategy information while the real-time game content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를 통해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흥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신규 유저의 진입을 유도하고 유입된 유저의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new interest to users by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users through interactive objects displayed together with real-time online content, thereby encouraging the entry of new users and improving the loyalty of introduced users. There is a possi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를 통해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를 통해 온라인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online content providing devi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streaming broadcast content through a real-time online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online game content through a real-time online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ames and symbo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so the simple terms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meaning of the term, not the n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100, 이하, 콘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onlin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ent providing devi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예 :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부(110), 응답 정보 생성부(120) 및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제공사에서 관리될 수 있는 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is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e.g., personal computer, smartphone, tablet PC, etc.) through a network. 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providing unit 110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unit 120 and a user interaction unit 130. Her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cluded in a server or personal computing device that can be managed by an online content service provider.

콘텐츠 제공부(110)는 사용자 단말에 기정의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한다. 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predefined real-time onlin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는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 스트리밍 영상 콘텐츠, 스트리밍 음악 콘텐츠 및 온라인 게임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부(110)는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부(110)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 온라인 게임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real-time onlin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reaming broadcast content, streaming video content, streaming music content, and online game content.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er 110 may provide streaming broadcast content to a user terminal in real time in conjunction with a streaming broadcast service server. For another example, the content provider 110 may provide online gam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by linking with an online game service server.

응답 정보 생성부(120)는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의 제공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생성한다.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analyzes user in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 and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therefor.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정보는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팅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응답 정보 생성부(12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로서, 기정의된(또는 기학습된) 대화 모델을 이용해 해당 메시지 정보(채팅 메시지)에 대응하는 답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user input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messag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a chat message entered by the user while streaming broadcast content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information (chat message) using a predefined (or pre-learned) conversation model as response information to user input information. You can.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조작 정보 또는 메시지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정보는 온라인 게임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캐릭터 조작 신호 또는 질문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응답 정보 생성부(12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로서, 해당 사용자 입력 정보(캐릭터 조작 신호 또는 질문 메시지)에 대응하는 게임 가이드 정보(예 : 게임 진행 상황에 따른 게임 공략 정보 등)를 생성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nput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game operation information or messag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For example, user input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a character manipulation signal or question message input by the us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online game content. Here,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is response information to user input information, and provides game guide information (e.g., game strateg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ame progress, etc.)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formation (character manipulation signal or question message). ) can be cre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응답 정보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of user input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응답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응답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를 통해 응답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provides respons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to the user terminal. Here,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can output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an interactive object displayed along with real-time onlin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는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시각화된 객체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본인의 입력 정보에 대응한 응답 정보를 출력하는 객체로 인식된다. The interacti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sualized object output to a user terminal, and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an object that output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는 기정의된 형상의 가상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는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스트리머 캐릭터로 구현되거나, 또는 가상 스트리머 캐릭터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보조 진행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는 온라인 게임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게임 콘텐츠의 가상 환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NPC(Non-Player Character)로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ractive object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character with a predefined shape. For example, the interactive object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streamer character displayed while streaming broadcast content is played, or may be implemented as an auxiliary progress character displayed independently from the virtual streamer character. For another example, the interactive objec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Non-Player Character (NPC) plac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of the game content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online game cont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에서의 구현 예1. Example of implementation in streaming broadcast content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00)를 통해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2 to 4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streaming broadcast content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구현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implementation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can provide an interaction function with the us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streaming broadcast content.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로 기능하는 가상 캐릭터는,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방송을 진행하는 가상의 스트리머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게임 영상을 재생하며 스트리머가 게임 진행 상황에 대한 해설, 전략 설명 등을 수행하는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여성 캐릭터로 시각화된 가상의 스트리머 캐릭터(210)가 사용자 단말에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가상의 스트리머 캐릭터(210)는 기정의된(또는 기학습된) 음성 출력 모델 또는 대화 모델을 이용해 방송을 진행(게임 진행 상황에 대한 해설, 전략 설명 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방송 진행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시지 정보(예 : 오늘 방송 너무 재미있어요~)가 입력되면, 응답 정보 생성부(120)는 기정의된(또는 기학습된) 대화 모델에 입력하고, 해당 대화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답변 정보(예 : 감사합니다)를 응답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응답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답변 정보를 스트리머 캐릭터(210)가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스트리머 캐릭터(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TO-SPEECH) 모듈과, 발음에 대응하여 캐릭터의 표정 및 입모양을 렌더링하는 스피치 애니메이션 엔진을 이용해, 스트리머 캐릭터(210)가 해당 답변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virtual character that functions as an interactive object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streamer character that conducts broadcasting while streaming broadcast content is provid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 2, in the process of providing streaming broadcast content in which a game video is played and a streamer provides commentary on the game progress, strategy explanation, etc., a virtual streamer character visualized as a female character ( 210) may be output together on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virtual streamer character 210 may operate to broadcast (commentary on the game progress, explanation of strategy, etc.) using a predefined (or pre-learned) voice output model or conversation model. During the broadcast process, when message information (e.g., today's broadcast is so interesting~)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inputs it into a predefined (or pre-learned) conversation model, and from the conversation model The output response information (e.g., thank you) can be created as response information. Here,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may control the streamer character 210 to output the answe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as a voice. For example,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uses a TTS (TEXT-TO-SPEECH) module that converts text into speech, and a speech animation engine that renders the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and mouth shape in response to pronunciation, to create a streamer character. (210) can be controlled to output the corresponding answer text as a voice.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로 기능하는 가상 캐릭터는, 스트리머(또는 가상의 스트리머 캐릭터)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되며 해당 스트리머(또는 가상의 스트리머 캐릭터)의 방송 진행을 서포트하는 가상의 보조 진행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특정 동물(예 : 새)로 시각화된 가상의 보조 진행 캐릭터(220)가 사용자 단말에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가상의 보조 진행 캐릭터(220)는 기정의된(또는 기학습된) 음성 출력 모델 또는 대화 모델을 이용해 방송을 진행을 보조(게임 기능 설명, 아이템 설명, 유머, 일반 정보 제공 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응답 정보 생성부(120)는 기정의된(또는 기학습된) 대화 모델을 이용해 사용자의 채팅 메시지에 대응한 답변 정보를 응답 정보로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생성된 답변 정보를 가상의 보조 진행 캐릭터(220)가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가상의 보조 진행 캐릭터(22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virtual character that functions as an interactive object is displayed independently of the streamer (or virtual streamer character) and is a virtual assistant that supports the broadcast progress of the streamer (or virtual streamer character). It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ession characte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in the process of providing streaming broadcast content, a virtual auxiliary character 220 visualized as a specific animal (eg, a bird) may be output to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virtual assistant host character 220 uses a predefined (or pre-learned) voice output model or conversation model to assist in broadcasting (description of game functions, description of items, humor, provision of general information, etc.) It can work.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may generat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hat message as response information using a predefined (or pre-learned) conversation model, and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 can control the virtual auxiliary progress character 220 so that the virtual auxiliary progress character 220 outputs the generated answer information as a voice.

일 실시예에서, 응답 정보 생성부(1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기정의된 심의 모델에 입력하고, 심의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심의 결과 정보를 기초로 응답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리밍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USER1 ~ 5)로부터 메시지 정보가 입력되면, 응답 정보 생성부(120)는 기정의된(또는 기학습된) 대화 심의 모델에 입력하고, 해당 대화 심의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심의 결과 정보(예 : USER1 욕설, USER2 욕설, USER3 욕설)를 응답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응답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심의 결과 정보를 기초로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제재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심의 결과 부적절한 메시지(예 : 욕설)를 입력한 사용자를 블랙 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심의 결과 부적절한 메시지(예 : 욕설)를 필터링하여 강조하여 출력하거나 해당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응답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심의 결과 정보를 기초로 특정 사용자에 대한 보상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심의 결과 선한 메시지(예 : 응원 메시지)를 기정의된 횟수 이상 입력한 사용자를 화이트 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에게 특정 아이템을 지급하는 등의 보상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may input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a predefined deliberation model and generate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deliberation resul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eliberation model.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in the process of providing streaming broadcast content, when message information is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USER1 to 5),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generates a predefined (or predefined) message information. learned) conversation deliberation model, and deliberation resul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versation deliberation model (e.g., USER1 profanity, USER2 profanity, USER3 profanity) can be generated as response information. Here,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may carry out sanctions against a specific user based on the deliberation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For example,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may manage a blacklist of users who entered inappropriate messages (e.g., profanity) as a result of deliberation. Additionally,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may filter inappropriate messages (e.g., profanity) as a result of deliberation, highlight them, and output them, or may not output the messages on the screen. Meanwhile,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may perform compensation measures for a specific user based on the deliberation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For example,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may manage a white list of users who have entered good messages (e.g., cheering messages) more than a predefined number of times as a result of deliberation. Additionally,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may perform compensation measures such as providing specific items to users included in the white list.

도 4는 본 구현 예에 따른 응답 정보 생성부(120)의 세부 구성을 구현한 예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응답 정보 생성부(120)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질문을 적어도 하나의 대화 모델(검색 기반 대화 모델, 기계 독해 기반 대화 모델, 생성 대화 모델)에 입력하여 텍스트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대화 모델은 기저장된 DB(상담, 상용구분 DB, 위키 문서 DB, 방송 스크립트 DB)와 연동될 수 있으며, 생성 대화 모델의 경우 출력되는 텍스트 답변에 대한 심의를 위해 대화 심의 모델을 통해 최종 텍스트 답변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세부 구성들이 조합과 달리,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gure 4 is an example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according to this implementation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can generate a text answer by inputting a text question input from the user into at least one conversation model (search-based conversation model, machine reading-based conversation model, generation conversation model). there is. Here, each conversation model can be linked to a pre-stored DB (consultation, commercial category DB, wiki document DB, broadcast script DB), and in the case of a generated conversation model, the output text answer is reviewed through the conversation deliberation model.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final text answer. Meanwhile, the example shown in FIG. 4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course, unlike the combination of detailed configurations shown in FIG. 4, some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or added.

2. 온라인 게임 콘텐츠에서의 구현 예2. Example of implementation in online game content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00)를 통해 온라인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5 and 6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online game content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구현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온라인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앞서 1.에서 설명한 실시예 중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나, 본 구현 예에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According to this implementation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can provide an interaction function with the us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online game content. Meanwhile, overlapping content amo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1. above will be omitted, but it is of course applicable to this implementation example as well.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로 기능하는 가상 캐릭터는, 온라인 게임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게임 콘텐츠의 가상 환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NPC(Non-Player Character)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온라인 게임 콘텐츠(예 : MMO RPG)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게임 캐릭터 이외 게임 진행 상황에 따라 기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정의되는 NPC(230, 예 : 펫, 안내 캐릭터, 적군 캐릭터 등)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NPC(230)는 기정의된(또는 기학습된) 음성 출력 모델 또는 대화 모델을 이용해 사용자와 인터랙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게임 진행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 조작 정보(예 : 캐릭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응답 정보 생성부(120)는 게임 조작 정보에 따른 게임 진행 상황을 판단하고, 게임 진행 상황에 대응한 게임 가이드 정보(예 : 게임 일반 정보, 게임 미션 정보 및 게임 공략 정보 등)를 응답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응답 정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게임 가이드 정보를 NPC(230)가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NPC(230)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virtual character functioning as an interactive objec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Non-Player Character (NPC) plac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of the game content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online game conten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in the process of providing online game content (e.g., MMO RPG), an NPC (230) defined to perform predefined actions according to the game progress other than the game character manipulated by the user , e.g. pets, guide characters, enemy characters, etc.)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NPC 230 may operate to interact with the user using a predefined (or previously learned) voice output model or conversation model. When game operation information (e.g., character oper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during the game progress,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determines the game progress status according to the game oper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game gu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ame progress status. (Example: game general information, game mission information, game strategy information, etc.) can be generated as response information. Here, the user interaction unit 130 may control the NPC 230 so that the NPC 230 outputs the game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as a voice.

일 실시예에서, 게임 가이드 정보는 게임 일반 정보, 게임 미션 정보 및 게임 공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정보 생성부(120)는 게임 진행 상황 또는 사용자의 질문에 대응하여, 게임 일반 정보(예 : 회사, 게임 소개, 캐릭터 조작법, 캐릭터 특성 등), 게임 미션 정보(예 : 미션 완료까지 수행해야할 임무 리스트, 특정 미션에 대한 상세 설명 등), 게임 공략 정보(예 : 특정 상황에서의 플레이 전략, 특정 적군에 대한 사용 아이템, 이동 경로, 공격 방식 등)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랙션부(130)는 생성된 게임 가이드 정보를 NPC(230)가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NPC(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앞서 1.에서 설명한 대화 기능 및 대화 심의 기능도 본 구현 예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one embodiment, the gam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ame general information, game mission information, and game strategy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responds to the game progress or the user's questions, and provides game general information (e.g., company, game introduction, character operation method, character characteristics, etc.), game mission information (e.g., mission completion) You can create a list of missions to be performed, detailed descriptions of specific missions, etc.), game strategy information (e.g. play strategies in specific situations, items to use against specific enemies, movement paths, attack methods, etc.), and user interaction. The unit 130 may control the NPC 230 so that the NPC 230 outputs the generated game guide information as a voice. Meanwhile, of course, the conversation function and conversation deliberation function described above in 1. can also be applied in this implementation example.

도 6은 본 구현 예에 따른 응답 정보 생성부(120)의 세부 구성을 구현한 예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응답 정보 생성부(120)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질문을 적어도 하나의 대화 모델(검색 기반 대화 모델, 기계 독해 기반 대화 모델, 생성 대화 모델)에 입력하여 텍스트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대화 모델은 기저장된 DB(게임 대사 DB, 게임 가이드 DB, 대화 DB)와 연동될 수 있으며, 생성 대화 모델의 경우 출력되는 텍스트 답변에 대한 심의를 위해 대화 심의 모델을 통해 최종 텍스트 답변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세부 구성들이 조합과 달리,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gure 6 is an example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according to this implementation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120 can generate a text answer by inputting a text question input from the user into at least one conversation model (search-based conversation model, machine reading-based conversation model, generation conversation model). there is. Here, each dialogue model can be linked to a pre-stored DB (game dialogue DB, game guide DB, dialogue DB), and in the case of a generated dialogue model, the final text answer is provided through a dialogue deliberation model to deliberate on the output text answer. It can be configured to output. Meanwhile, the example shown in FIG. 6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course, unlike the combination of detailed configurations shown in FIG. 6, some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or added.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로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recording thes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for exampl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and floppy disk. These include disks and optical media storage device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above-described program can be distributed to computer devices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this case, any one or more of the multiple distributed computers may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transmit the execution results to one or more of the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nd receive the results. A computer can also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and provide the results to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s well.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 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in which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ne or more pieces of hardware.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age media for computer programs may include magnetic recording media, optical recording media,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as us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110 : 콘텐츠 제공부
120 : 응답 정보 생성부
130 : 사용자 인터랙션부
210 : 가상 스트리머 캐릭터
220 : 가상 보조 진행 캐릭터
230 : NPC
100: Real-time online content provision device
110: Content provision department
120: Respons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User interaction unit
210: Virtual streamer character
220: Virtual auxiliary progress character
230 : NPC

Claims (7)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기정의된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의 제공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기정의된 대화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대화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답변 정보를 응답 정보로 생성하는 응답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랙티브 오브젝트의 음성을 통해 상기 응답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랙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는,
기정의된 형상의 가상 캐릭터로 구현되어 상기 가상 캐릭터의 음성을 통해 상기 응답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응답 정보의 텍스트 내용에 따라 상기 가상 캐릭터의 표정 및 입모양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In a real-time online content provision devi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s,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predefined real-time online conten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that inputs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real-time online content into a predefined conversation model and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versation model as response information; and
Including a user interaction unit that outputs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of an interactive object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al-time online content,
The interacti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as a virtual character of a predefined shape, outputs th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of the virtual character, and determines the facial expression and mouth shape of the virtu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text content of the response information.
A real-time online content delivery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는,
상기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방송을 진행하는 가상의 스트리머 캐릭터로 동작하거나, 또는, 스트리머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되며 해당 스트리머의 방송 진행을 서포트하는 가상의 보조 진행 캐릭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rtual character is: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real-time online content, it operates as a virtual streamer character that conducts broadcasting, or is displayed independently of the streamer and operates as a virtual auxiliary character that supports the broadcasting progress of the streamer. to,
A real-time online content delive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는,
실시간 게임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게임 콘텐츠의 가상 환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NPC(Non-Player Charact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rtual character is:
Characterized by being implemented as at least one NPC (Non-Player Character) plac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of the game content in the process of providing real-time game content,
A real-time online content delivery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기정의된 심의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심의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심의 결과 정보를 기초로 응답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by inputting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a predefined deliberation model and generating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deliberation resul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eliberation model,
A real-time online content deliver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부는,
상기 NPC가 상기 실시간 게임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게임 일반 정보, 게임 미션 정보 및 게임 공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게임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ser intera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NPC outputs game guid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game general information, game mission information, and game strategy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real-time game content.
A real-time online content delivery device.
KR1020220006363A 2022-01-17 2022-01-17 Appatus for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 KR1026410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363A KR102641088B1 (en) 2022-01-17 2022-01-17 Appatus for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363A KR102641088B1 (en) 2022-01-17 2022-01-17 Appatus for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885A KR20230110885A (en) 2023-07-25
KR102641088B1 true KR102641088B1 (en) 2024-02-28

Family

ID=8742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363A KR102641088B1 (en) 2022-01-17 2022-01-17 Appatus for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08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703B1 (en) * 2012-08-28 2014-04-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for unify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big dat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422A (en) * 2012-03-29 2013-10-10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for providing on-line game supporting user operatable instance dungeon and the system thereof
KR20150098083A (en) 2014-02-19 2015-08-27 주식회사 그린라이프이노베이션 Mobile terminal playing game including communication content
KR102479705B1 (en) * 2017-09-14 2022-12-21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a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703B1 (en) * 2012-08-28 2014-04-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for unify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bi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885A (en)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son et al. More than stories with buttons: Narrative, mechanics, and context as determinants of player experience in digital games
Cote et al. In-depth interviews for games research
Burgess et al. I harbour strong feelings for Tali despite her being a fictional character”: Investigating videogame players’ emotional attachments to non-player characters
JP6699010B2 (en) Dialogue method, dialogue system, dialogue device, and program
El-Nasr et al. Experiencing interactive narrative: A qualitative analysis of Façade
Striner et al. Mapping design spaces for audience participation in game live streaming
Rennick et al. Improving video game conversations with trope-informed design
Wadley et al. Speaking in character: using voice-over-IP to communicate within MMORPGs
Mangiron Game accessibility: taking inclusion to the next level
Goethe et al. Visual aesthetics in games and gamification
KR102641088B1 (en) Appatus for providing real-time online content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user
CN116860924A (en)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simulated personality AI based on preset prompt word data
Palmas et al. A novel approach to interactive dialogue generation based on natural language creation with context-free grammars and sentiment analysis
Denward Pretend that it is real!: Convergence culture in practice
Hew et al. Usability and sociability of the Xbox Live voice channel
Hedge Dungeons and Digital Affordances and Dragons
Wadley Voice in virtual worlds
Cheng et al. Playing with Persiflage: The Impact of Free-Form Dialogue on the Play of Computer Role Playing Games
Liu et al. Playable experiences at the 15th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active digital entertainment (AIIDE’19)
Yang The emotional labor in the interaction of mobile game live streaming on Douyin
Wadley et al. Factors influencing users' decisions to adopt voice communication in online console games
Sun et al. Fictional Worlds, Real Connections: Developing Community Storytelling Social Chatbots through LLMs
Morrison et al. Making First Impressions: A Playable Model of Cross-Cultural Trust Building.
Sarinho et al. Providing an IM Cross-Platform Game Engine for Text-Messaging Games
Bejdaoui et al. Communicating across the gap: consoles and commun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