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971B1 -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 Google Patents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971B1
KR102640971B1 KR1020230035172A KR20230035172A KR102640971B1 KR 102640971 B1 KR102640971 B1 KR 102640971B1 KR 1020230035172 A KR1020230035172 A KR 1020230035172A KR 20230035172 A KR20230035172 A KR 20230035172A KR 102640971 B1 KR102640971 B1 KR 102640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upright
spray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윤
도일형
장영웅
김영균
Original Assignee
드림라인 주식회사
드림조이앤바투 주식회사
드림타워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라인 주식회사, 드림조이앤바투 주식회사, 드림타워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드림라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57Fire curtains, blankets, walls, fences
    • A62C3/0264Fire curtains, blankets, walls, fences by creating 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관한 것으로, 감시카메라로 메인관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의 주변 상황을 감시하여, 주변에 화재가 감지되면, 물공급배관으로 물을 공급하여, 살수배관을 통해 살수건으로 물을 공급하고, 이때, 살수건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물을 메인관 주변의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 또는 산간지역 내의 건축물(예컨대, 문화재 또는 국보)에 흩 뿌려,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주변 화재로 인해 불꽃이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 또는 건축물로 불옮김 되어, 불이 번지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 또는 산간지역 내의 건축물 주변에 화재 발생시, 감시카메라를 통해 주변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화재 상황 파악 후 살수건을 통해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물을 흩 뿌려, 수막이 형성된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불이 번지는 것이 방지되며, 불 번짐 방지와 동시에,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불이 소실되어 화재가 자동으로 진압되고, 메인관을 세운 상태에서, 메인관 및 직립관 높이의 합에 비례하는 길이를 갖는 PE재질의 살수배관을 점검구를 통해 밀어넣는 단순 공정에 의해 살수건과 물공급배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Forest fire extinguishing facility water pipe water membrane smart tower}
본 발명은 수막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관의 점검구를 통해 진입되어, 메인관 및 직립관 내에 직립되게 설치된 PE재질의 살수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면, 이 살수배관과 연결된 살수건을 통해 메인관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의 주변건물, 숲 또는 산림지역에 물을 분사하여, 주변건물, 숲 또는 산림지역에 수막을 형성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방관계법령의 소방시설은 건물의 크기 및 용도, 수용인원에 따라 소화전 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살수설비, 경보설비 등 화재진압용 소화설비를 필연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것이 법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소화설비들은 모두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 자체 진화용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으로, 화재가 외부로부터 번져오는 경우는 전혀 대처가 불가능하다.
특히, 외부로부터 번져오는 화재는 대부분 대형 화재로써 복사열, 맞바람을 동반한 화염 등으로 인해 사람이 사용하는 소화전등으로는 접근조차 불가능하고, 이러한 화재는 주로 산간 지역이나 숲 등에 인접한 건물로 번지면서, 산불 등이 발생시 전소하는 사례가 국내외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 중 가치를 산정할 수 없는 유일한 문화재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문화재 보호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때, 문화재가 위치된 산간 지역이나 숲과 같은 산림지역에는 화재 시 소방차등이 진입하기 어려운 장소들이 대부분이고 설사 출동이 가능한 지역이라 할지라도 도착시간이 장시간인 점을 감안할때 그 대비가 수월하지 않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산불방지용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지면에 매립설치된 함체를 구비하고, 이 함체 내부에 물의 공급을 안내하는 엘보관을 형성한 함체부와,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로 돌출 되게 복수개로 적층 결합된 관체를 구비하고, 이 관체 중 상, 하부의 관체 외면에 점검구를 형성한 관체부와, 관체 내부에 직립되게 설치되고, 하단이 엘보관과 연결되되, 상단에 관체 상부로 노출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형성한 살수부와, 관체부의 관체 외주면에 평판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 점검난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면에 매립 설치된 함체부의 엘보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이 물이 살수부의 연결관을 통해 노즐부 방향으로 상승 이동되고, 이때, 노즐부가 외부로 물을 분사하여, 산림지역의 숲속 또는 문화재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숲속 또는 문화재에 수막이 형성된다.
이때, 살수부는 엘보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연결관과, 이 연결관 상단에 연결되어, 그 상단에 절곡 형성된 노즐부를 형성한 상부관을 형성한다.
즉, 엘보관의 상단이 관체 하단부로 진입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관체의 점검구를 통해 엘보관과 연결관을 연결(예컨대, 용접접합)하여, 연결부위를 형성하되, 연결관의 상단과 상부관을 연결(예컨대, 용접접합)하여, 연결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연결관 상, 하단에 연결부위가 형성되고, 이에따라, 상부관, 연결관 및 엘보관이 이음 연결되어, 물이 노즐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물을 공급하는 엘보관이 함체에 의해 지중에 매립 설치되어, 엘보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공급 압력을 육안으로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엘보관 누수시 함체 주변의 지면을 파헤쳐 엘보관 유지보수를 진행하거나 혹은 함체를 지상으로 이탈시켜 엘보관 유지보수를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차량 진입이 어려운 산간지역 또는 숲속지역 내에서 작업시, 내부에 살수부가 설치된 관체부를 일체로 세워 올리는 과정에서, 살수부 파손이 일어날 우려가 있고, 만약, 관체부를 세워 올린 상태에서, 살수부 설치시, 점검구를 통해 연결관 외면 전체를 이음연결(용접 접합)하는데 큰 불편함이 있으며, 연결관 이음연결 작업으로 인해 연결관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노즐부 하강 이동시 플렉시블한 연결관이 접혀지거나 혹은 꼬임되어 연결관의 통로가 폐색되며, 이 연결관 폐색으로 물 분사 기능이 상실되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31616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로 적층 결합된 관체를 구비하되, 이 중 최 하단에 위치된 관체 외면에 점검구를 형성한 메인관을 형성하고, 메인관의 최 하단에 위치된 관체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물공급배관을 형성하며, 메인관의 최 상단에 위치된 관체 상단에 직립관을 직립되게 설치하고, 직립관 상단에 회전 작동되는 살수건을 형성하며, 메인관의 점검구로 진입되고, 메인관 내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상단이 살수건과 연결되되, 하단이 물공급배관과 연결되는 살수배관을 형성하고, 직립관 외면에 절곡 연장된 카메라거치대를 형성하며, 카메라거치대 상면에 회전작동되는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메인관의 관체에 사다리를 설치하여, 감시카메라로 메인관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의 주변 상황을 감시하여, 주변에 화재가 감지되면, 물공급배관으로 물을 공급하여, 살수배관을 통해 살수건으로 물을 공급하고, 이때, 살수건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물을 메인관 주변의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 또는 산간지역 내의 건축물(예컨대, 문화재 또는 국보)에 흩 뿌려,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주변 화재로 인해 불꽃이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 또는 건축물로 불옮김 되어, 불이 번지는 것을 차단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는, 상, 하부를 개방한 중공형상의 관체를 구비하되, 이 복수개의 상기 관체를 적층 결합하여 정해진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관체 중 최 하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 외주면에 내부공간을 확인하는 점검구를 형성한 메인관과; 일단이 상기 메인관의 최 하단에 위치된 관체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관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관체 내부 방향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배관; 상기 메인관의 최 상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체 상단에서 상방으로 직립되게 연장 형성되고, 외면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 카메라거치대를 형성한 직립관; 상기 직립관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직립관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메인관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건; PE재질로, 상기 메인관과 상기 직립관 높이의 합에 비례하는 길이를 갖도록 단일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의 점검구를 통해 진입되되어, 상기 메인관 및 직립관 내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직립관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살수건과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물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살수건으로 물을 공급하는 살수배관; 상기 카메라거치대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촬영하는 감시카메라; 상기 메인관의 관체를 따라 직립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된 사다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의 관체는, 상, 하로 서로 연통되도록 밀착되어, 플랜지 방식에 의해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복수개의 상기 관체 중 최 상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 외주면에 평판 구조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 중계기가 설치되도록 허용하는 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직립관은,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되, 상기 직립관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 상에 설치된 중계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커버하여, 상기 받침부 또는 중계기로 이물질 또는 조류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커버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배관은, 일단에 상기 살수배관 하단과 상기 물공급배관 사이를 연결 고정하는 커플러와; 외면에 상기 살수배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상기 압력계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배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직립관은, 외면에 상기 카메라거치대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낙뢰가 상기 직립관 및 상기 메인관을 통해 지면으로 방전되도록 안내하는 피뢰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직립관은,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되, 상기 직립관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 상에 설치된 중계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커버하여, 상기 받침부 또는 중계기로 이물질 또는 조류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커버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직립관은, 상기 메인관 상단과 연결되어 직립상태로 고정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 외주면을 감싸도록 삽입 체결되고, 상기 고정관을 따라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살수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살수배관은, 상단 외주면에 상기 승강관 상승 이동에 대응하도록 상, 하로 확장되거나 혹은 수축되어, 상기 살수배관을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자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 하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관은, 내주면에 상기 걸림홈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홈과; 일단이 상기 승강관 외부로 노출되되, 타단이 상기 함몰홈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 내에 삽입되고, 상, 하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 내에 위치되는 날개부를 형성한 락핀; 상기 함몰홈과 상기 락핀의 날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락핀의 타단을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 하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관은,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 걸림되되, 상기 고정관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상기 승강관에 의해 상기 고정관 외벽면에 눌림되었다가 상기 걸림홈에 도달하는 순간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홈 내에 걸림 고정되는 탄성돌기를 형성하며, 외면에 손잡이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살수건은, 외부의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정해진 방향으로 연속 회전되면서 물을 분사하거나, 또는, 정해진 각도 범위 내로 회전되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되면서 정해진 각도 범위의 회전 반경내에 물을 분사 하거나, 또는, 정해진 각도 지점으로 회전되어, 정해진 각도 지점의 반경내에 물을 집중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에 있어서, 상기 살수건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정해진 회전 반경내로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 또는 산간지역 내의 건축물 주변에 화재 발생시, 감시카메라를 통해 주변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화재 상황 파악 후 살수건을 통해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물을 흩 뿌려, 수막이 형성된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불이 번지는 것이 방지되며, 불 번짐 방지와 동시에,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불이 소실되어 화재가 자동으로 진압되고, 특히, 메인관을 세운 상태에서, 메인관 및 직립관 높이의 합에 비례하는 길이를 갖는 PE재질의 살수배관을 점검구를 통해 밀어넣는 단순 공정에 의해 살수건과 물공급배관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손쉬운 공정 방식으로 작업 시간 단축과 동시에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또한, 메인관의 최 하단에 위치된 관체 외주면으로 물공급배관을 노출시켜, 설치의 간편함과 동시에 물 공급배관의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의 직립배관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의 직립배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의 살수건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의 직립배관을 분해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의 직립배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의 살수배관을 연결하는 유압식 백관상하조절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 내지 도6 및 도 9를 참조하면, 메인관(100)은 상, 하부를 개방한 중공형상의 관체(101)를 구비하되, 이 복수개의 상기 관체(101)를 적층 결합하여 정해진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관체(101) 중 최 하단에 위치된 관체(101') 외주면에 내부공간을 확인하는 점검구(101a)를 형성한다.
상기 메인관(100)은 상기 관체(101)를 상, 하로 서로 적층되게 결합되어, 최 상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101")가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 상에 위치된다.
상기 메인관(100)은 상기 살수배관(5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살수배관(500)이 직립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관(100)의 관체(101)는 상, 하로 서로 연통되도록 밀착되어, 플랜지 방식에 의해 접합 고정된다.
상기 관체(101)는 리벳이음 또는 볼트, 너트의 결합에 의해 플랜지 방식으로 연결 고정된다.
상기 메인관(100)은 복수개의 상기 관체(101) 중 최 상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101") 외주면에 평판 구조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 중계기가 설치되도록 허용하는 받침부(1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102)는 복수개의 중계기가 설치되도록 허용하여, 중계기를 통해 주변에 전파가 전달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받침부(102)는 작업자가 상기 메인관(100) 상단에 발을 딛고 서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떠받쳐 지지한다.
상기 받침부(102)는 원형 또는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메인관(100) 상단에서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관(100)은 그 상단에 상기 직립관(300)이 직립되게 설치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점검구(101a)는 커버(미도시)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관체(101)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물공급배관(200)은 일단이 상기 메인관(100)의 최 하단에 위치된 관체(101')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관체(101')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관체(101') 내부 방향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배관(200)은 외부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살수배관(500)으로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배관(200)은 일단이 직립되게 설치된 상기 살수배관(500)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배관(200)은 일단에 상기 살수배관(500) 하단과 상기 물공급배관(200) 사이를 연결 고정하는 커플러(201)와, 외면에 상기 살수배관(500)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202) 및 상기 압력계(202)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배관(20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0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플러(201)는 양단이 상기 물공급배관(200) 및 살수배관(500)에 나선 방식으로 체결 고정되어,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상기 살수배관(500)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러(201)는 상기 점검구(10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점검구(101a)를 통해 진입되는 공구에 의해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상기 살수배관(500) 사이에 조임 고정된다.
상기 압력계(202)는 상기 물공급배관(200)의 압력을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표시하여, 상기 물공급배관(200)으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203)는 화재 발생시 원격제어 방식에 의해 개폐작동되거나 혹은 수동방식으로 개폐 작동될 수 있다.
직립관(300)은 상기 메인관(100)의 최 상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101")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체(101") 상단에서 상방으로 직립되게 연장 형성되고, 외면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 카메라거치대(300a)를 형성한다.
상기 직립관(300)은 그 상단에 상기 살수건(4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살수건(400)을 떠받쳐 지지한다.
상기 직립관(300)은 그 높이가 상기 메인관(100)의 보호커버(300c)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살수건(400)이 상기 보호커버(300c)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는 그 상면에 감시카메라(6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600)가 주변 상황을 감시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는 상기 직립관(300) 상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립관(300)은 외면에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낙뢰가 상기 직립관(300) 및 상기 메인관(100)을 통해 지면으로 방전되도록 안내하는 피뢰대(300b)를 더 형성한다.
상기 피뢰대(300b)는 상기 직립관(300) 방향을 향하는 낙뢰가 지면으로 방전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받침부(102) 상에 설치된 중계기, 살수건(400) 및 감시카메라(600)가 낙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뢰대(300b)는 상기 살수건(40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낙뢰가 상기 직립관(300)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직립관(300)은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되, 상기 직립관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102) 상에 설치된 중계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커버하여, 상기 받침부(102) 또는 중계기로 이물질 또는 조류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커버(300c)를 더 형성한다.
상기 보호커버(300c)는 상기 받침부(102) 상에 설치된 중계기를 커버하여, 외부에서 중계기가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커버(300c)는 조류가 중계기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류가 중계기에 배변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변에 의해 중계기가 변색되거나 혹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커버(300c)는 그 외면에 복수개의 배기공(300c-1)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102) 상에 설치된 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직립관(300)은 상기 메인관(100) 상단과 연결되어 직립상태로 고정된 고정관(301)과, 상기 고정관(301) 외주면을 감싸도록 삽입 체결되고, 상기 고정관(301)을 따라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살수건(4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관(30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관(301)은 상기 승강관(302)이 상, 하로 승강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고정관(301)의 직경은 상기 승강관(30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관(302)이 외면에 삽입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승강관(302)은 그 상단에 상기 살수건(400)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살수건(40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승강관(302)의 높낮이 조절 거리는 상기 하단배관(501)을 따라 승강이동되어 상기 살수배관(500) 길이를 확장 또는 수축하는 상단배관(502)의 확장 길이에 비례하도록 조절된다.
상기 고정관(301)은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 하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 걸림홈(301a)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홈(301a)은 상기 승강관(302)의 락핀(302b)이 진입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락핀(302b)을 걸림 고정한다.
상기 승강관(302)은 내주면에 상기 걸림홈(301a)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홈(302a)과, 일단이 상기 승강관(302) 외부로 노출되되, 타단이 상기 함몰홈(302a)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301a) 내에 삽입되고, 상, 하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302a) 내에 위치되는 날개부(302b-1)를 형성한 락핀(302b) 및 상기 함몰홈(302a)과 상기 락핀(302b)의 날개부(302b-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락핀(302b)의 타단을 상기 걸림홈(301a)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302c)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함몰홈(302a)은 그 내부에 날개부(302b-1) 및 탄성스프링(302c)이 수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락핀(302b)은 일단이 상기 승강관(302)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걸림홈(301a) 방향을 향하도록 수평 이동된다.
상기 락핀(302b)의 날개부(302b-1)는 상기 탄성스프링(302c)에 가압되어, 상기 락핀(302b)을 상기 걸림홈(301a) 방향으로 강제 이동시킨다.
상기 날개부(302b-1)는 상기 걸림홈(301a)에서 이탈되되도록 후퇴 이동하는 상기 락핀(302b)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302c)을 압축하되, 상기 함몰홈(302a)에 걸림되어, 상기 락핀(302b)이 정해진 거리 이상 후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탄성스프링(302c)은 상기 날개부(302b-1)에 의해 압축되되, 탄성력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날개부(302b-1)를 누름 가압하여, 상기 락핀(302b)의 타단이 상기 걸림홈(302a) 내로 진입되도록 강제한다.
살수건(400)은 상기 직립관(300)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직립관(300)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로 물을 분사한다.
상기 살수건(400)은 상기 살수배관(500)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정해진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의 건축물(예컨대, 문화재, 국보)에 물을 분사하거나 혹은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에 물을 분사하여, 건축물, 동식물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살수건(400)은 외부의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물을 분사한다.
상기 살수건(400)은 그 내부에 회전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수건(400)은 외부의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정해진 방향으로 연속 회전되면서 물을 분사하거나, 또는, 정해진 각도 범위 내로 회전되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되면서 정해진 각도 범위의 회전 반경내에 물을 분사 하거나, 또는, 정해진 각도 지점으로 회전되어, 정해진 각도 지점의 반경내에 물을 집중 분사한다.
상기 살수건(400)은 외부로 부터 입력받은 무선 신호에 따라 연속회전,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의 왕복 회전 또는 정해진 각도 지점에 집중분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살수건(400)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정해진 회전 반경내로 물을 분사한다.
상기 살수건(400)은 경사진 각도 형상에 대응하도록 물의 분사 거리가 변경된다.
살수배관(500)은 PE재질로, 상기 메인관(100)과 상기 직립관(300) 높이의 합에 비례하는 길이를 갖도록 단일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100)의 점검구(101a)를 통해 진입되되어, 상기 메인관(100) 및 직립관(300) 내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직립관(300)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살수건(400)과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연결되어, 상기 살수건(400)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살수배관(500)은 상기 점검구(101a)를 통해 정해진 각도 범위 내로 휘어지면서 진입되어, 그 상단이 상기 살수건(400) 하단에 도달한다.
상기 살수배관(500)은 그 하단이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커플러(20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배관(200)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살수건(400)으로 공급한다.
상기 살수배관(500)은 그 하단이 상기 관체(101')의 점검구(10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수배관(500)은 상기 물공급배관(200)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살수건(400) 방향을 향해 수직상승 시킨다.
상기 살수배관(500)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물공급배관(200)에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배관(200)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직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하단배관(501)과, 상기 하단배관(50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단배관(501) 외주면을 감싸도록 삽입 결합되어, 상단이 상기 살수건(400)과 연결되며, 상기 승강관(302) 상승 이동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단배관(501)을 기준으로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살수배관(500)의 길이를 확장 또는 수축하는 상단배관(50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 하단배관(502, 501) 사이는 밀폐패킹(미도시)에 의해 밀폐되어, 상기 상, 하단배관(502, 501)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상단배관(502)은 상기 승강관(302) 승강 이동 높이에 비례하도록 승강 이동한다.
상기 상단배관(502)은 상기 하단배관(501)을 따라 0m ~ 0.5m 이내로 상승 이동되어, 상기 살수배관(500)이 1m인 경우, 상기 살수배관(500)의 최대 높이를 1.5m로 확장하거나, 혹은 상기 살수배관(500)의 최저 높이를 1m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살수배관(500)은 상기 상, 하단배관(502, 501)을 도 9에 도시된, 유압식 백관상하조절 구조물로 변경하여, 상기 살수배관(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600)는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상기 감시카메라(600)는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면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회전반경 내의 주변 상황을 육안으로 식별한다.
상기 감시카메라(600)는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 상면에서 360도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주변 상황을 감시 및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시카메라(600)는 외부의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그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사다리(700)는 상기 메인관(100)의 관체(101)를 따라 직립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사다리(700)는 상기 메인관(100)을 따라 이음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메인관(10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사다리(700)는 상기 메인관(100)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에서, 상기 직립관(300) 및 상기 보호커버(300c)는 상기 메인관(100)에 설치된 상태로 설명하고,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600) 및 피뢰대(300b)는 상기 직립관(300)에 설치된 상태로 설명하도록 하며, 이에대한, 구체적인 설치 과정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배관(200)에 설치된 개폐밸브(203)는 수동 또는 원격제어 방식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상기 개폐밸브(203)가 원격제어 방식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관체(101, 101', 101")를 적층하여 형성된 메인관(100)이 지면에 직립상태로 세워지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메인관(100)의 관체(101) 중 최하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101')에 물공급배관(2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물공급배관(200)이 상기 관체(101')를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관체(101') 내에 위치되되, 타단이 상기 관체(101') 외부로 노출되어, 외면에 압력계(202) 및 개폐밸브(20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관체(101')의 점검구(101a)를 통해 메인관(100) 및 직립관(300) 길이의 합에 비례하는 길이를 갖는 단일 구조의 살수배관(500)을 구비하여, 이 살수배관(500)을 상기 점검구(101a)로 진입시킨다.
이때, 상기 살수배관(500)은 PE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101a)로 진입되면서 그 외형이 정해진 각도 범위 내로 휘어지되, 상기 메인관(100) 내로 진입된 후 상기 메인관(100)을 따라 상승 이동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살수배관(500)의 상단이 상기 직립관(300)을 통과하여, 상기 살수건(400) 하단에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메인관(100) 내로 진입되어, 상기 관체(101)의 점검구(10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살수배관(500)의 상단을 상기 살수건(400)과 연결하고, 이어서, 하단을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점검구(101a)를 통해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상기 살수배관(500) 하단 사이를 커플러(201)로 연결하여,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상기 살수배관(500) 사이를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물공급배관(200)의 개폐밸브(203)를 수동 또는 원격제어 방식으로 차단하되, 상기 압력계(202)를 통해 상기 물공급배관(2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측정하여, 외부에서 상기 물공급배관(200) 내의 압력을 육안으로 식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카메라 거치대(300a)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600)로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촬영하면서, 외부로 촬영 영상을 출력한다.
만약,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감시카메라(600)가 화재 영상을 촬영하여 외부로 송출하고, 이때, 외부에서 화재 영상 확인 후 상기 물공급배관(200)의 개폐밸브(203)를 개방하되, 상기 살수건(400)을 작동시켜 상기 살수건(400)이 회전 작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개폐밸브(203)를 개방하면, 상기 물공급배관(200)을 통해 물이 통과되어 상기 살수배관(500)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물공급배관(200)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물이 상기 살수배관(500)을 통해 수직 상승 이동되어, 상기 살수건(400)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살수건(400) 내에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가 외부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로 물을 분사하고, 이에따라,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에 설치된 건축물(예컨대, 문화재, 국보) 및 산림지역의 동,식물에 물이 흩뿌려져, 건축물, 동,식물에 수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살수건(400)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반경 내로 정해진 각도를 향하도록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각도에 대응하도록, 물의 분사 거리가 상승되는 것이다.
이때, 주변에서 발생된 화재가 점차적으로 번져가면서,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된 물의 분사 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건축물, 동,식물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화재가 번지는 것이 방지되고, 이와 동시에, 건축물 및 동,식물에 뿌려진 물에 불이 접촉되면서, 점차적으로 화염이 소실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속하여 회전반경 내에 물을 분사하여, 건축물, 동,식물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동,식물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화재 번짐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살수건(400)은 외부의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360도 회전되면서 회전반경 내에 물을 분사하거나 혹은 정해진 각도 범위내로 회전 이동되어, 회전반경 내의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되면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 연속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단일 방향으로 번지는 경우에는, 상기 살수건(400)을 회전반경 내의 정해진 지점으로 회전 이동시킨 후, 정해진 지점에 물을 집중 분사하여, 화재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거리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직립관(300)의 승강관(302)을 상기 고정관(301)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직립되게 상승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승강관(302)에 의해 상기 살수건(400)의 높이가 상승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관체(101)에 설치된 사다리(700)를 타고 상기 메인관(100) 상단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받침부(102)를 딛고 일어선 상태에서 상기 승강관(302)을 상승 이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상기 받침부(102)를 딛고 상기 받침부(102) 상에 중계기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02) 테두리에는 보호커버(300c)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보호커버(300c)에 의해 중계기가 커버됨으로써, 외부로 중계기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이물질 또는 조류가 중계기로 침투하여, 조류의 배설물 또는 이물질로 인해 중계기가 부식되거나 혹은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승강관(302) 외면으로 노출된 락핀(302b)을 파지하여, 상기 락핀(302b)을 당기게 되면, 상기 락핀(302b)이 후퇴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관(301)의 걸림홈(301a)에서 이탈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락핀(302b)에 형성된 날개부(302b-1)가 상기 함몰홈(302a)을 따라 후퇴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302c)을 누름 가압한다.
이후, 상기 락핀(302b)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관(302)을 상승 이동시켜, 상기 승강관(302)을 높낮이를 조절하되, 그 상태에서 상기 락핀(302b)의 당김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스프링(302c)을 누름 가압하는 상기 날개부(302b-1)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302c)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날개부(302b-1)를 가압하여, 상기 날개부(302b-1)에 의해 상기 락핀(302b) 타단이 상기 걸림홈(301a)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락핀(302b)이 상기 걸림홈(301a)으로 진입되고, 이에따라, 상기 승강관(302)이 상기 고정관(301)의 정해진 높이상에 고정되어, 상기 살수건(4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승강관(302)의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살수배관(500)의 상단배관(502)이 상기 하단배관(501)을 기준으로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살수배관(500)의 길이가 확장 또는 수축되고, 이에따라, 상기 하단배관(501)을 통해 직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는 물이 상기 상단배관(502)을 통해 상기 살수건(40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관(302)을 상승 이동시켜, 상기 살수건(400)의 높이를 상승시키면,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거리가 상승되고, 만약, 상기 승강관(302)을 하강 이동시켜, 상기 살수건(400)의 높이를 하강시키면,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거리가 하강되어, 상기 살수건(400)의 높낮이에 따라 물 분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립관(300)에 설치된 피뢰대(300b)는 상기 살수건(400)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피뢰대(300b)가 낙뢰를 상기 직립관(300) 및 메인관(100)을 통해 지면으로 방전되도록 안내하여, 낙뢰에 의해 상기 감시카메라(600), 상기 받침부(102)에 설치된 중계기 또는 살수건(40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2실시예]
이하의 설명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직립관(300)은 상기 메인관(100)의 최 상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101")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체(101") 상단에서 상방으로 직립되게 연장 형성되고, 외면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 카메라거치대(300a)를 형성한다.
상기 직립관(300)은 그 상단에 상기 살수건(4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살수건(400)을 떠받쳐 지지한다.
상기 직립관(300)은 그 높이가 상기 메인관(100)의 보호커버(300c)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살수건(400)이 상기 보호커버(300c)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는 그 상면에 감시카메라(6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600)가 주변 상황을 감시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는 상기 직립관(300) 상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립관(300)은 외면에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낙뢰가 상기 직립관(300) 및 상기 메인관(100)을 통해 지면으로 방전되도록 안내하는 피뢰대(300b)를 더 형성한다.
상기 피뢰대(300b)는 상기 직립관(300) 방향을 향하는 낙뢰가 지면으로 방전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받침부(102) 상에 설치된 중계기, 살수건(400) 및 감시카메라(600)가 낙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뢰대(300b)는 상기 살수건(40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낙뢰가 상기 직립관(300)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직립관(300)은 상기 메인관(100) 상단과 연결되어 직립상태로 고정된 고정관(301)과, 상기 고정관(301) 외주면을 감싸도록 삽입 체결되고, 상기 고정관(301)을 따라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살수건(4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관(30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관(301)은 상기 승강관(302)이 상, 하로 승강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고정관(301)의 직경은 상기 승강관(30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관(302)이 외면에 삽입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승강관(302)은 그 상단에 상기 살수건(400)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살수건(40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승강관(302)의 높낮이 조절 거리는 상기 하단배관(501)을 따라 승강이동되어 상기 살수배관(500) 길이를 확장 또는 수축하는 상단배관(502)의 확장 길이에 비례하도록 조절된다.
상기 고정관(301)은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 하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 걸림홈(301a')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홈(301a')은 상기 승강관(302)의 탄성돌기(302a')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탄성돌기(302a')가 걸림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홈(301a')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관(302)은 상기 걸림홈(301a')에 대응하는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01a')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301a')에 삽입 걸림되되, 상기 고정관(301)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상기 승강관(302)에 의해 상기 고정관(301a') 외벽면에 눌림되었다가 상기 걸림홈(301a')에 도달하는 순간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홈(301a') 내에 걸림 고정되는 탄성돌기(302a')를 형성하며, 외면에 손잡이(302b')를 더 형성한다.
상기 탄성돌기(302a')는 상기 걸림홈(301a') 형상에 대응하도록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돌기(302a')는 상기 승강관(302)에 의해 승강 이동되면서, 상, 하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상기 걸림홈(301a')에 다단으로 걸림되어, 상기 승강관(302)이 정해진 높이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302b')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승강관(302)이 상, 하로 승강 이동하도록 강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에서, 상기 직립관(300) 및 상기 보호커버(300c)는 상기 메인관(100)에 설치된 상태로 설명하고,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600) 및 피뢰대(300b)는 상기 직립관(300)에 설치된 상태로 설명하도록 하며, 이에대한, 구체적인 설치 과정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배관(200)에 설치된 개폐밸브(203)는 수동 또는 원격제어 방식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상기 개폐밸브(203)가 원격제어 방식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관체(101)를 적층하여 형성된 메인관(100)이 지면에 직립상태로 세워지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메인관(100)의 관체(101) 중 최하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101')에 물공급배관(2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물공급배관(200)이 상기 관체(101')를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관체(101') 내에 위치되되, 타단이 상기 관체(101') 외부로 노출되어, 외면에 압력계(202) 및 개폐밸브(20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관체(101')의 점검구(101a)를 통해 메인관(100) 및 직립관(300) 길이의 합에 비례하는 길이를 갖는 단일 구조의 살수배관(500)을 구비하여, 이 살수배관(500)을 상기 점검구(101a)로 진입시킨다.
이때, 상기 살수배관(500)은 PE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101a)로 진입되면서 그 외형이 정해진 각도 범위 내로 휘어지되, 상기 메인관(100) 내로 진입된 후 상기 메인관(100)을 따라 상승 이동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살수배관(500)의 상단이 상기 직립관(300)을 통과하여, 상기 살수건(400) 하단에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메인관(100) 내로 진입되어, 상기 관체(101')의 점검구(10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살수배관(500)의 상단을 상기 살수건(400)과 연결하고, 이어서, 하단을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점검구(101a)를 통해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상기 살수배관(500) 하단 사이를 커플러(201)로 연결하여,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상기 살수배관(500) 사이를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물공급배관(200)의 개폐밸브(203)를 수동 또는 원격제어 방식으로 차단하되, 상기 압력계(202)를 통해 상기 물공급배관(200) 내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측정하여, 외부에서 상기 물공급배관(200) 내의 압력을 육안으로 식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카메라 거치대(300a)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600)로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촬영하면서, 외부로 촬영 영상을 출력한다.
만약,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감시카메라(600)가 화재 영상을 촬영하여 외부로 송출하고, 이때, 외부에서 화재 영상 확인 후 상기 물공급배관(200)의 개폐밸브(203)를 개방하되, 상기 살수건(400)을 작동시켜 상기 살수건(400)이 회전 작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개폐밸브(203)를 개방하면, 상기 물공급배관(200)을 통해 물이 통과되어 상기 살수배관(500)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물공급배관(200)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물이 상기 살수배관(500)을 통해 수직 상승 이동되어, 상기 살수건(400)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살수건(400) 내에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가 외부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로 물을 분사하고, 이에따라,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에 설치된 건축물(예컨대, 문화재, 국보) 및 산림지역의 동,식물에 물이 흩뿌려져, 건축물, 동,식물에 수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살수건(400)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반경 내로 정해진 각도를 향하도록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각도에 대응하도록, 물의 분사 거리가 상승되는 것이다.
이때, 주변에서 발생된 화재가 점차적으로 번져가면서,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된 물의 분사 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건축물, 동,식물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화재가 번지는 것이 방지되고, 이와 동시에, 건축물 및 동,식물에 뿌려진 물에 불이 접촉되면서, 점차적으로 화염이 소실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속하여 회전반경 내에 물을 분사하여, 건축물, 동,식물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동,식물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화재 번짐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살수건(400)은 외부의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360도 회전되면서 회전반경 내에 물을 분사하거나 혹은 정해진 각도 범위내로 회전 이동되어, 회전반경 내의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되면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 연속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단일 방향으로 번지는 경우에는, 상기 살수건(400)을 회전반경 내의 정해진 지점으로 회전 이동시킨 후, 정해진 지점에 물을 집중 분사하여, 화재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거리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직립관(300)의 승강관(302)을 상기 고정관(301)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직립되게 상승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승강관(302)에 의해 상기 살수건(400)의 높이가 상승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관체(101)에 설치된 사다리(700)를 타고 상기 메인관(100) 상단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받침부(102)를 딛고 일어선 상태에서 상기 승강관(302)을 상승 이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상기 받침부(102)를 딛고 상기 받침부(102) 상에 중계기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02) 테두리에는 보호커버(300c)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보호커버(300c)에 의해 중계기가 커버됨으로써, 외부로 중계기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이물질 또는 조류가 중계기로 침투하여, 조류의 배설물 또는 이물질로 인해 중계기가 부식되거나 혹은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승강관(302) 외면에 형성된 손잡이(302b')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관(302)을 강제 승강 이동시키면, 상기 승강관(302)의 탄성돌기(302a')가 상기 걸림홈(301a')에서 이탈되어 상기 고정관(301) 외벽면에 눌림된 상태로 승강 이동된다.
이후, 상기 승강관(302)의 승강 이동에 의해, 상기와 다른 상기 걸림홈(301a')에 상기 탄성돌기(302a')가 도달하는 순간, 상기 탄성돌기(302a')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홈(301a') 내로 진입되어, 상기 걸림홈(301a') 내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관(301)의 정해진 높이 상에 상기 승강관(302)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돌기(302a')는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관(301)의 걸림홈(301a')에 다단으로 걸림되어, 상기 승강관(302)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그러면, 상기 승강관(302) 상단에 설치된 상기 살수건(400)이 상기 승강관(302)의 높이에 비례하도록 상승 이동 또는 하강 이동되어, 상기 살수건(4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승강관(302)의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살수배관(500)의 상단배관(502)이 상기 하단배관(501)을 기준으로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살수배관(500)의 길이가 확장 또는 수축되고, 이에따라, 상기 하단배관(501)을 통해 직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는 물이 상기 상단배관(502)을 통해 상기 살수건(40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관(302)을 상승 이동시켜, 상기 살수건(400)의 높이를 상승시키면,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거리가 상승되고, 만약, 상기 승강관(302)을 하강 이동시켜, 상기 살수건(400)의 높이를 하강시키면, 상기 살수건(4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거리가 하강되어, 상기 살수건(400)의 높낮이에 따라 물 분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립관(300)에 설치된 피뢰대(300b)는 상기 살수건(400)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피뢰대(300b)가 낙뢰를 상기 직립관(300) 및 메인관(100)을 통해 지면으로 방전되도록 안내하여, 낙뢰에 의해 상기 감시카메라(600), 상기 받침부(102)에 설치된 중계기 또는 살수건(40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관 및 직립관 내에 설치된 PE재질의 살수배관을 통해 살수건으로 물을 공급하여, 살수건을 통해 메인관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로 물을 분사하는 구조는, 산림지역 내의 동식물 또는 산간지역 내의 건축물 주변에 화재 발생시, 감시카메라를 통해 주변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화재 상황 파악 후 살수건을 통해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물을 흩 뿌려, 수막이 형성된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불이 번지는 것이 방지되며, 불 번짐 방지와 동시에, 동식물 또는 건축물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불이 소실되어 화재가 자동으로 진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메인관 101 : 관체
101a : 점검구 102 : 받침부
200 : 물공급배관 201 : 커플러
202 : 압력계 203 : 개폐밸브
300 : 직립관 300a : 카메라거치대
300b : 피뢰대 300c : 보호커버
300c-1 : 배기공 301 : 고정관
301a : 걸림홈 301a' : 걸림홈
302 : 승강관 302a : 함몰홈
302a' : 탄성돌기 302b : 락핀
302b' : 손잡이 302b-1 : 날개부
302c : 탄성스프링 400 : 살수건
500 : 살수배관 501 : 하단배관
502 : 상단배관 600 : 감시카메라
700 : 사다리

Claims (10)

  1. 상, 하부를 개방한 중공형상의 관체(101)를 구비하되, 이 복수개의 상기 관체(101)를 적층 결합하여 정해진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관체(101) 중 최 하단에 위치된 관체(101') 외주면에 내부공간을 확인하는 점검구(101a)를 형성한 메인관(100)과;
    일단이 상기 메인관(100)의 최 하단에 위치된 관체(101')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관체(101')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관체(101') 내부 방향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배관(200);
    상기 메인관(100)의 최 상단에 위치된 관체(101")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체(101") 상단에서 상방으로 직립되게 연장 형성되고, 외면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 카메라거치대(300a)를 형성한 직립관(300);
    상기 직립관(300)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직립관(300)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건(400);
    PE재질로, 상기 메인관(100)과 상기 직립관(300) 높이의 합에 비례하는 길이를 갖도록 단일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100)의 점검구(101a)를 통해 진입되되어, 상기 메인관(100) 및 직립관(300) 내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직립관(300)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살수건(400)과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물공급배관(200)과 연결되어, 상기 살수건(400)으로 물을 공급하는 살수배관(500);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100)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회전반경 내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촬영하는 감시카메라(600);
    상기 메인관(100)의 관체(101)를 따라 직립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된 사다리(700);
    로 구성되고,
    상기 직립관(300)은 상기 메인관(100) 상단과 연결되어 직립상태로 고정된 고정관(301)과, 상기 고정관(301) 외주면을 감싸도록 삽입 체결되고, 상기 고정관(301)을 따라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살수건(4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관(302)을 포함하고,
    상기 살수배관(500)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물공급배관(200)에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배관(200)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직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하단배관(501)과, 상기 하단배관(50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단배관(501) 외주면을 감싸도록 삽입 결합되어, 상단이 상기 살수건(400)과 연결되며, 상기 승강관(302) 상승 이동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단배관(501)을 기준으로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살수배관(500)의 길이를 확장 또는 수축하는 상단배관(502)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100)의 관체(101)는,
    상, 하로 서로 연통되도록 밀착되어, 플랜지 방식에 의해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100)은,
    복수개의 상기 관체(101) 중 최 상단에 위치된 상기 관체(101") 외주면에 평판 구조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 중계기가 설치되도록 허용하는 받침부(1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립관(300)은,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되, 상기 직립관(300)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102)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102) 상에 설치된 중계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커버하여, 상기 받침부(102) 또는 중계기로 이물질 또는 조류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커버(300c)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배관(200)은,
    일단에 상기 살수배관(500) 하단과 상기 물공급배관(200) 사이를 연결 고정하는 커플러(201)와;
    외면에 상기 살수배관(500)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202);
    상기 압력계(202)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배관(20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0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관(300)은,
    외면에 상기 카메라거치대(300a)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낙뢰가 상기 직립관(300) 및 상기 메인관(100)을 통해 지면으로 방전되도록 안내하는 피뢰대(300b)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301)은,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 하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 걸림홈(301a)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관(302)은,
    내주면에 상기 걸림홈(301a)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홈(302a)과;
    일단이 상기 승강관(302) 외부로 노출되되, 타단이 상기 함몰홈(302a)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301a) 내에 삽입되고, 상, 하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302a) 내에 위치되는 날개부(302b-1)를 형성한 락핀(302b);
    상기 함몰홈(302a)과 상기 락핀(302b)의 날개부(302b-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락핀(302b)의 타단을 상기 걸림홈(301a)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302c);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301)은,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 하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 걸림홈(301a')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관(302)은,
    상기 걸림홈(301a')에 대응하는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01a')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301a')에 삽입 걸림되되, 상기 고정관(301)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상기 승강관(302)에 의해 상기 고정관(301a') 외벽면에 눌림되었다가 상기 걸림홈(301a')에 도달하는 순간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홈(301a') 내에 걸림 고정되는 탄성돌기(302a')를 형성하며, 외면에 손잡이(302b')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건(400)은,
    외부의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정해진 방향으로 연속 회전되면서 물을 분사하거나,
    또는, 정해진 각도 범위 내로 회전되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되면서 정해진 각도 범위의 회전 반경내에 물을 분사 하거나,
    또는, 정해진 각도 지점으로 회전되어, 정해진 각도 지점의 반경내에 물을 집중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10. 제 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건(400)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정해진 회전 반경내로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KR1020230035172A 2023-03-17 2023-03-17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KR102640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172A KR102640971B1 (ko) 2023-03-17 2023-03-17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172A KR102640971B1 (ko) 2023-03-17 2023-03-17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971B1 true KR102640971B1 (ko) 2024-02-26

Family

ID=9005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172A KR102640971B1 (ko) 2023-03-17 2023-03-17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9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52B1 (ko) * 2007-03-08 2007-08-03 신현성 원격 전원제어 기능을 갖는 산불 무인감시 시스템
KR101331616B1 (ko) 2012-10-11 2013-11-22 (주) 삼진정밀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101509559B1 (ko) * 2014-05-19 2015-04-17 유한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시스템
KR101735761B1 (ko) * 2016-02-26 2017-05-24 최강석 통신안테나 및 카메라 설치용 통합폴
RU181922U1 (ru) * 2018-01-30 2018-07-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снабинвест" (ООО "Газснабинвест") Вышка пожарная для лафетного ствол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52B1 (ko) * 2007-03-08 2007-08-03 신현성 원격 전원제어 기능을 갖는 산불 무인감시 시스템
KR101331616B1 (ko) 2012-10-11 2013-11-22 (주) 삼진정밀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101509559B1 (ko) * 2014-05-19 2015-04-17 유한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시스템
KR101735761B1 (ko) * 2016-02-26 2017-05-24 최강석 통신안테나 및 카메라 설치용 통합폴
RU181922U1 (ru) * 2018-01-30 2018-07-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снабинвест" (ООО "Газснабинвест") Вышка пожарная для лафетного ствол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109B1 (en) Roof elements comprising integral fire suppression system
KR102236795B1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KR101334724B1 (ko) 산불 진화용 소화탑
CN107261347B (zh) 一种超高层建筑消防救援及灭火系统
KR102037710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US3069100A (en) Fire fighting apparatus
KR20200068367A (ko)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KR102640971B1 (ko)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JP6125897B2 (ja) 延焼防止用散水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街路壁面用散水システム
RU2722615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насосно-рукавная система
KR200408362Y1 (ko) 플러시형 드라이 팬턴트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468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TW202005681A (zh) 放水裝置及滅火系統
US5628459A (en) Fire break device
KR101509559B1 (ko)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시스템
US11559714B1 (en) Piercing pipe fire suppression system
US6719214B1 (en) Fire-extinguishing device
KR102175510B1 (ko) 화재경계지구 타워형 스프링클러 장치
CA2486384A1 (en) Fire prevention fence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US7748469B1 (en) Firefighting system
US20220288434A1 (en) Building exterior fire suppression system
US20200261757A1 (en) Fire Suppression Coupling Access Hatch
KR1021468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