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65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658B1
KR102640658B1 KR1020160147471A KR20160147471A KR102640658B1 KR 102640658 B1 KR102640658 B1 KR 102640658B1 KR 1020160147471 A KR1020160147471 A KR 1020160147471A KR 20160147471 A KR20160147471 A KR 20160147471A KR 102640658 B1 KR102640658 B1 KR 10264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racket
magnetic member
magnetic
main body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895A (ko
Inventor
윤형권
조제천
권지연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6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벽걸이 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메인 바디를 벽에 최대한 밀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에 결합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착탈되는 월 브라켓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월 브라켓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월 브라켓의 상단 영역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단 제1 자성 부재, 상기 월 브라켓의 중단 영역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단 제1 자성 부재 및 상기 월 브라켓의 하단 영역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제1 자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상단 제1 자성 부재 및 하단 제1 자성 부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벽걸이 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일반적으로 벽걸이 형과 거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벽걸이 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높이의 제한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거치를 위한 구조가 눈에 보이지 않아 미관상 상승효과를 가져온다는 장점이 있다.
벽걸이 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위한 구성이 모두 하나의 케이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일체형이 있고, 출력을 위한 최소한의 구성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일부의 전자적 부품이 각각 분리된 케이스에 구비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리형(이하 벽 밀착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정의한다.)이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모듈의 초박형 구조가 가능해 짐에 따라 벽 밀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벽 밀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스(이하 메인 바디로 정의한다.)를 얇게 구성하는 구조, 그리고 메인 바디를 벽에 어떻게 고정할 것인가가 문제된다.
일 예로 메인 바디를 안정적으로 벽에 고정 시키기 위해 후크 결합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 결합 구조는 벽에 고정되는 월 브라켓이 구비되어, 월 브라켓의 후크에 메인 바디를 걸어 고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후크 결합 구조는 메인 바디의 배면 전체를 벽에 밀착시킬 수 없어 박형 구조의 장점을 완전히 살리기 힘들다.
또, 사용자가 메인 바디를 벽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후크를 걸어야 하는데, 이 밀착 상태를 유지하며 결합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벽걸이 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인 바디가 후크 결합만으로 벽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벽걸이 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메인 바디가 의도한 위치에 있지 않아 후크 결합을 간단하게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에 결합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착탈되는 월 브라켓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월 브라켓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월 브라켓의 상단 영역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단 제1 자성 부재, 상기 월 브라켓의 중단 영역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단 제1 자성 부재 및 상기 월 브라켓의 하단 영역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제1 자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상단 제1 자성 부재 및 하단 제1 자성 부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월 브라켓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성부의 외측 경계는 월 브라켓의 외측 경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월 브라켓에 구비된 후크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후크 결합하는 걸림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월 브라켓에 후크 결합한 경우, 상기 자성부의 외측 경계는 월 브라켓의 외측 경계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걸림홀은,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후크가 걸쳐져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월 브라켓이 후크 결합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성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자성 부재보다 일정 거리 하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 부재의 외측 경계와 상기 월 브라켓의 외측 경계는 상기 후크가 상기 삽입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일치하고, 상기 제1 자성 부재의 외측 경계와 상기 월 브라켓의 외측 경계는 상기 후크가 상기 지지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걸림홀을 형성하고 상기 후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제1 자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차부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월 브라켓은, 비자성체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자성 물질의 제3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자성 부재는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자성 부재보다 일정 거리 하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월 브라켓은 상기 모듈 커버보다 작은 제1 직사각형 테두리에서 하단에 제2 직사각형 형상의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상단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월 브라켓의 양측 모퉁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하단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월 브라켓의 하측 모퉁이 네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중단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월 브라켓의 양측 모서리 상의 각 일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메인 바디를 벽에 최대한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메인 바디를 월 브라켓 상의 의도한 위치에 밀착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메인 바디의 월 브라켓에 대한 후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메인 바디를 월 브라켓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메인 바디에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메인 바디와 월 브라켓이 결합하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메인 바디 배면 및 월 브라켓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메인 바디 배면 및 월 브라켓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일반적으로 벽걸이 형과 거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벽걸이 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높이의 제한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거치를 위한 구조가 눈에 보이지 않아 미관상 상승효과를 가져온다는 장점이 있다.
벽걸이 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위한 구성이 모두 하나의 케이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일체형이 있고, 출력을 위한 최소한의 구성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일부의 전자적 부품이 각각 분리된 케이스에 구비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리형(이하 벽 밀착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정의한다.)이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모듈의 초박형 구조가 가능해 짐에 따라 벽 밀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벽 밀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스(이하 메인 바디로 정의한다.)를 얇게 구성하는 구조, 그리고 메인 바디를 벽에 어떻게 고정할 것인가가 문제된다.
일 예로 메인 바디를 안정적으로 벽에 고정 시키기 위해 후크 결합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 결합 구조는 벽에 고정되는 월 브라켓이 구비되어, 월 브라켓의 후크에 메인 바디를 걸어 고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후크 결합 구조는 메인 바디의 배면 전체를 벽에 밀착시킬 수 없어 박형 구조의 장점을 완전히 살리기 힘들다.
또, 사용자가 메인 바디를 벽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후크를 걸어야 하는데, 이 밀착 상태를 유지하며 결합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11)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접하여 구비되어야 하는 기타 구성들을 포함하는 집합체의 개념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11)은 디스플레이 패널, 이를 구동하는 소스 피씨비(Source PCB, 213) 및 인터페이스 보드(Interface Board, 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벽 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테두리 전면을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까지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모듈 커버(212)는 디스플레이 모듈(211)을 덮어 디스플레이 모듈(211)의 배면을 보호하고 메인 바디(210)의 후면을 구성한다.
월 브라켓(310)은 벽에 고정되어 메인 바디(210)가 간접적으로 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월 브라켓(310)은 벽과 못 또는 스크류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메인 바디(210)의 무게를 버틸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결합될 필요가 있다.
월 브라켓(310)은 메인 바디(210)의 배면에 착탈된다. 월 브라켓(310)과 메인 바디(210)의 착탈 구조는 후크 결합 구조 및 자석 결합 구조 두 가지의 복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a) 및 도 4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메인 바디(210)와 월 브라켓(310)이 결합하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후크(311)가 걸림홀(220)의 삽입부(221)에 삽입된 상태를, 도 4(b)는 메인 바디(210)를 거치하여 후크(311)가 걸림홀(220)의 지지부(222)에 걸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 내지 도 4을 동시에 참조한다.
- 후크 결합 구조 상세 -
메인 바디(210)와 월 브라켓(310)은 후크 결합을 한다. 메인 바디(210)의 배면에는 걸림홀(220)이 구비된다.
월 브라켓(310)의 후크(311)는 걸림홀(220)에 걸려 메인 바디(210)를 고정시킨다.
걸림홀(220)의 삽입부(221)는 충분한 직경을 가져 후크(311)가 단차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걸림홀(220)의 지지부(222)는 삽입부(221)의 상측에 위치하여 후크(311)가 지지부(222)에 걸쳐지도록 한다.
걸림홀(220)은 메인 바디(210)의 배면 상에서 두께 방향에 대해 일정 높이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단차로 인해 형성된 공간에 후크(311)가 안착하게 된다.
박형 구조를 위해 걸림홀(220)의 단차 및 후크(311)의 두께 또한 박형으로 얇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후크(311)가 걸림홀(220)에 제대로 결합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후술하는 실시 예 중 일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 자성부(230) 결합 구조 상세 -
상기 후크 결합 구조에 의해 메인 바디(210)가 월 브라켓(310)에 고정된다. 하지만 후크 결합 구조만으로는 메인 바디(210) 전체가 벽 또는 월 브라켓(310)에 밀착되기 힘들어 틈이 발생하게 된다.
자성부 결합 구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나아가 자성부 결합 구조는 후크 결합 구조와 함께 메인 바디(210)와 월 브라켓(310)의 고정 신뢰도를 높인다.
자성부(230)는 복수의 제1 자성 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자성 부재(231)는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월 브라켓(310)은 제1 자성 부재(231)와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월 브라켓(310)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월 브라켓(310)은 자성부(230)의 자성과 반대극을 가져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230)는 메인 바디(210)의 배면에 구비되되, 월 브라켓(310)에 대응되도록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성부(230)가 월 브라켓(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함은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뉘어 질 수 있다. 하나는 자성부(230)의 자성 부재들이 형성하는 외측 경계와 월 브라켓(310)의 외측 경계가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도 2 등 참조), 또는 자성 부재들이 월 브라켓(310)의 경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도 3 등 참조).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자성 부재(231)를 포함하는 자성부(230)는 월 브라켓(310)의 외측 경계와 동일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성부(230)가 월 브라켓(310)과 동일 경계를 형성하면 자성부(230)와 월 브라켓(310)의 인력에 의해 메인 바디(210)가 특정된 자리에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즉, 월 브라켓(310)의 경계와 자성부(230)의 경계가 일치할 때 가장 큰 인력이 발생하여 자연스럽게 메인 바디(210)가 월 브라켓(310)과 기 설정된 위치 관계의 위치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위치 관계라 함은 메인 바디(210)의 걸림홀(220)의 지지부(222)에 월 브라켓(310)의 후크(311)가 위치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는 도 3과 같이 자성부(230)의 외측 경계는 월 브라켓(310)의 외측 경계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 예보다 복수의 제1 자성 부재(231)가 안쪽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복수의 제1 자성 부재(231)가 월 브라켓(310)의 외측 경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메인 바디(210)와 월 브라켓(310)이 특정 자리에 위치하지 않고 어긋나 위치하는 경우에도 자성부(230)의 모든 영역이 월 브라켓(310)에 접촉할 수 있어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성부(230)는 월 브라켓(310)에 결합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단 제1 자성 부재(231a), 중단 제1 자성 부재(231b) 및 하단 제1 자성 부재(231c)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성부(230)는 월 브라켓(310)의 상단, 중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하여 메인 바디(210) 중 벽에서 들뜨는 부분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메인 바디(210)는 박형으로 구성되어 휘어지기 쉽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211) 또는 전자 장치의 특성상 휘어지는 경우 크랙(Crack)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중단 제1 자성 부재(231b)는 특히 상단 제1 자성 부재(231a) 및 하단 제1 자성 부재(231c)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메인 바디(210)를 월 브라켓(310)으로부터 떼어낼 때 메인 바디(210)의 하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하단 제1 자성 부재(231c)부터 중단 제1 자성 부재(231b) 및 상단 제1 자성 부재(231a)까지 순차적으로 떼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중단 영역의 인력으로 인해 큰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중단 제1 자성 부재(231b)가 상단 제1 자성 부재(231a) 및 하단 제1 자성 부재(231c)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면 다른 제1 자성 부재(231)와 비교하여 월 브라켓(310)과 상대적으로 작은 인력을 형성하므로 메인 바디(210)가 휘어지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월 브라켓(310)은 구체적으로 모듈 커버(212)보다 작은 제1 직사각형 테두리에서 하단에 제2 직사각형 형상의 컷-아웃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월 브라켓(310)은 엎어진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컷-아웃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메인 바디(210) 중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I/F Board, 214) 영역을 회피하여 구비되어 불필요한 두께 증가를 최소화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자성 부재(231)는 월 브라켓(310)의 외측 경계에 치우쳐 결합하는 것이 사용자로 하여금 들뜬 영역이 보이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컷-아웃 영역을 갖는 월 브라켓(310)에 있어서 제1 자성 부재(231)는 월 브라켓(310)의 모퉁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적어도 하나의 상단 제1 자성 부재(231)는 월 브라켓(310)의 양측 모퉁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단 제1 자성 부재(231)는 후크 결합 구조 중 걸림홀(22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박형 후크 결합 구조의 형태상 후크(311)가 걸림홀(220)의 삽입부(221)에서 지지부(222)로 이동하면서 메인 바디(210)가 월 브라켓(310)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것을 필요로 한다.
상단 제1 자성 부재(231)가 걸림홀(220)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경우 이를 최대한 구현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하단 제1 자성 부재(231)는 월 브라켓(310)의 하측 모퉁이 네 지점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중단 제1 자성 부재(231)는 월 브라켓(310)의 양측 모서리 상의 각 일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컷-아웃 영역의 내측에 해당하는 내측 모퉁이 부근 영역에는 제1 자성 부재(231)가 별도로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들뜬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중앙 영역과 외측 경계 영역이 동시에 밀착하는 경우 나머지 영역이 부자연스럽게 들뜬 영역이 형성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자성 부재(231)와 월 브라켓(310)의 위치 관계뿐만 아니라 형상도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자성 부재(231)의 형상은 각 제1 자성 부재(231)가 위치하는 월 브라켓(3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 브라켓(310)의 모퉁이는 수직 형상을 가지므로, 대응되는 제1 자성 부재(231) 또한 모퉁이가 수직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벽에 밀착시키는 효과를 최대로 하고 평면 상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함이다.
대표적인 형태로 제1 자성 부재(231)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자성 부재(231)의 배치 및 형상에 따른 특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서 후크(311)가 걸림홀(220)의 삽입부(221)에 들어간 상태를 전제에서 메인 바디(210)가 이동하여 도 4(b)와 같이 메인 바디(210)와 월 브라켓(310)이 위치해야 후크 결합 및 자성부 결합의 복합 구조가 완성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자성부(230)가 월 브라켓(310)의 경계와 일치하도록 구비되기만 하는 경우 도 4(b)의 상태로 이동하는 것은 용이하나, 도 4(a)를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상태로 가이드 하는 구조를 위해 메인 바디(210)에는 제2 자성 부재(2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a)의 위치 관계에서 월 브라켓(310)의 경계와 복수의 제2 자성 부재(232)의 경계가 대응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b)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성 부재는 제1 자성 부재(231), 도 4(a)의 상태로 가이드 하기 위한 자성 부재는 제2 자성 부재(232)가 된다.
사용자는 먼저 제2 자성 부재(232)의 경계와 월 브라켓(310)의 경계를 일치시켜 후크(311)를 걸림홀(220)의 삽입부(221)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제1 자성 부재(231)의 경계와 월 브라켓(310)의 경계를 일치시킴으로써 후크(311)를 걸림홀(220)의 지지부(222)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단 제1 자성 부재(231)의 상단 경계와 상단 제2 자성 부재(232)의 경계 사이의 거리 H2는 후크(311)가 걸림홀(220)의 삽입부(221)에 삽입되는 지점으로부터 걸림홀(220)의 지지부(222)에 걸쳐지는 지점까지의 거리 H1과 동일하게 설정될 것을 요한다.
제2 자성 부재(232)는 제1 자성 부재(231)로부터 특정 거리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제2 자성 부재(232)와 제1 자성 부재(231)는 일정 거리 D1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인력의 공백을 느끼게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도 4(a)의 상태에서 도 4(b)의 상태로 이동했음을 인지하게 된다.
제2 자성 부재(232)는 제1 자성 부재(231)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2 자성 부재(232)의 일 방향 폭 W2는 제1 자성 부재(231)의 일 방향 폭 W1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성 부재(231)와 월 브라켓(310)이 결합하는 결합력이 제2 자성 부재(232)와 월 브라켓(310)이 결합하는 결합력 보다 강할 수 있다. 도 4(a)의 상태는 도 4(b)의 상태로 가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중간 단계이기 때문이다.
제2 자성 부재(232)는 여전히 제1 자성 부재(231)와 좌우 경계는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성 부재(231)뿐만 아니라 제2 자성 부재(232)에 의해서도 메인 바디(210)를 도 4(a)상태에 위치시키기 위한 수평 가이드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메인 바디(210) 배면 및 월 브라켓(310)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앞선 실시 예의 경우 메인 바디(210)에 자성 부재가 구비되고, 월 브라켓(310)은 상기 자성 부재의 경계와 일치하는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호 인력에 의해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달리, 월 브라켓(310)은 비자성체의 물질로 구비되되, 메인 바디(210)의 자성 부재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 별도의 자성 부재, 즉 제3 자성 부재(321) 또는 제4 자성 부재(322)를 구비하여 메인 바디(210)와 월 브라켓(310) 사이에 상호 인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시 예와 달리 자성 부재의 배치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자성 부재 간에만 인력을 발생시키므로 정확한 위치에 메인 바디(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있다.
메인 바디(210)의 배면에는 제1 자성 부재(231)가 구비되고, 월 브라켓(310)의 전면에는 도 4(b) 위치관계 상태에서 제1 자성 부재(231)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 제3 자성 부재(3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자성 부재(231)와 제3 자성 부재(321)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자성 부재(231)와 제3 자성 부재(321)가 근접하는 경우에 상호 인력을 발생시켜 제1 자성 부재(231)와 제3 자성 부재(321)가 일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b) 위치관계 상태로 별도의 측정 없이 간편하게 위치 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자성 부재(231) 및 제3 자성 부재(321)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양 부재는 도 6과 같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띨 수도 있으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자성 부재(231) 및 제3 자성 부재(321)는 메인 바디(210)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과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도형 형상은 메인 바디(210)가 월 브라켓(31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더 강한 상호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7(a) 상태에서 도 7(b) 상태로 가려는 힘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메인 바디(210) 배면 및 월 브라켓(310)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실시 예와 유사한 목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4 자성 부재(322)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4 자성 부재(322)는 메인 바디(2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반대로 월 브라켓(3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 바디(210)에 구비되는 경우 제1 자성 부재(231)보다 아래에, 월 브라켓(310)에 구비되는 경우 제3 자성 부재(321)보다 위에 위치하여야 한다. 도 8은 월 브라켓(310)에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메인 바디(210)의 제1 자성 부재(231)는 월 브라켓(310)의 제3 자성 부재(321) 또는 제4 자성 부재(322)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자성 부재(231)와 제3 자성 부재(321)가 결합된 경우에는 도 4(b)의 위치관계를 가지고, 제1 자성 부재(231)와 제4 자성 부재(322)가 결합된 경우에는 도 4(a)의 위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1 자성 부재(231)와 제4 자성 부재(322)를 일치시켜 메인 바디(210)의 걸림홀(220) 삽입부(221)에 후크(311)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후크(311)가 걸림홀(220) 삽입부(221)에 삽입된 이후 제1 자성 부재(231)와 제3 자성 부재(321)가 일치하는 위치로 메인 바디(210)를 이동시켜 걸림홀(220) 지지부(222)에 후크(311)가 걸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성 부재(231)와 제4 자성 부재(322)간의 결합력은 제1 자성 부재(231)와 제3 자성 부재(321)의 결합력보다 약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a) 상태의 메인 바디(210)와 월 브라켓(310) 간의 결합은 완전한 결합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제1 자성 부재(231)와 제4 자성 부재(322)간의 결합력을 제1 자성 부재(231)와 제3 자성 부재(321)의 결합력보다 약하게 하기 위해 제4 자성 부재(322)를 제3 자성 부재(321)의 개수보다 적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210: 메인 바디
211: 디스플레이 모듈
212: 모듈 커버
213: 소스 피씨비
214: 인터페이스 보드
220: 걸림홀
221: 삽입부
222: 지지부
230: 자성부
231: 제1 자성 부재
231a: 상단 제1 자성 부재
231b: 중단 제1 자성 부재
231c: 하단 제1 자성 부재
232: 제2 자성 부재
310: 벽 고정 브라켓
311: 후크
321: 제3 자성 부재
322: 제4 자성 부재

Claims (12)

  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에 결합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착탈되는 월 브라켓;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월 브라켓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부;
    상기 월 브라켓에 구비된 후크;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후크 결합하는 걸림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홀은,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후크가 걸쳐져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월 브라켓이 후크 결합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월 브라켓에 결합하는 복수의 제1 자성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1 자성 부재보다 일정 거리 하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자성 부재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제1 자성 부재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2 자성 부재의 외측 경계와 상기 월 브라켓의 외측 경계는 상기 후크가 상기 삽입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일치하고, 상기 제1 자성 부재의 외측 경계와 상기 월 브라켓의 외측 경계는 상기 후크가 상기 지지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월 브라켓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의 외측 경계는 월 브라켓의 외측 경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월 브라켓의 상단 영역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단 제1 자성 부재;
    상기 월 브라켓의 중단 영역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단 제1 자성 부재; 및
    상기 월 브라켓의 하단 영역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제1 자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제1 자성 부재의 크기는 상기 상단 제1 자성 부재의 크기 및 하단 제1 자성 부재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월 브라켓에 후크 결합한 경우, 상기 자성부의 외측 경계는 월 브라켓의 외측 경계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을 형성하고 상기 후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제1 자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차부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월 브라켓은, 비자성체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자성 물질의 제3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는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자성 부재보다 일정 거리 하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월 브라켓은 상기 메인 바디보다 작은 제1 직사각형 테두리에서 하단에 제2 직사각형 형상의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상단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월 브라켓의 양측 모퉁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하단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월 브라켓의 하측 모퉁이 네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중단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월 브라켓의 양측 모서리 상의 각 일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47471A 2016-11-07 2016-11-07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71A KR102640658B1 (ko) 2016-11-07 2016-11-07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71A KR102640658B1 (ko) 2016-11-07 2016-11-0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895A KR20180050895A (ko) 2018-05-16
KR102640658B1 true KR102640658B1 (ko) 2024-02-26

Family

ID=6245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471A KR102640658B1 (ko) 2016-11-07 2016-11-0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610B1 (ko) 2019-09-11 2024-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월마운트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361B1 (ko) * 2009-05-19 2011-03-22 (주)파버나인 디스플레이장치의 벽걸이형 마운트
KR20110024002A (ko) * 2009-09-01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3345B1 (ko) * 2013-02-21 2019-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면 고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895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178B2 (en) Display Device
US20200196463A1 (en) Display device
CN102889527A (zh) 一种背光模组
KR1026406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5892131A (zh) 一种无边框显示器及采用其的电子设备
CN104914619B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9118959A (zh) 显示装置
EP3324615A1 (en) Display device with hanging mechanism
US9316854B2 (en) Display device
US20140049921A1 (en) Fastening sturcture and dislay module using the same
CN204536634U (zh) 透镜驱动装置、摄像头装置和电子设备
CN205751361U (zh) 一种电子价签卡式导轨
JP2016122514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CN212846312U (zh) 防尘装置及投影设备
CN205452182U (zh) 交流接触器
US20220046810A1 (en) Display device
CN207744250U (zh) 显示装置及其壳体结构
CN207299199U (zh) 壁挂板、分体机和壁挂板的安装结构
CN218768094U (zh) 电子签名笔磁吸固定结构
CN202184495U (zh) 简框
CN205699478U (zh) 台阶磁性积木
CN211092261U (zh) 笔盒及具有其的电子设备
JP7392979B2 (ja) 表示プレート支持具
CN208962994U (zh) 一种电镀饰条和格栅固定用卡扣装置
CN212515654U (zh) 一种采用磁吸装配结构的机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