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387B1 - Mooring system - Google Patents

Mo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387B1
KR102640387B1 KR1020190145088A KR20190145088A KR102640387B1 KR 102640387 B1 KR102640387 B1 KR 102640387B1 KR 1020190145088 A KR1020190145088 A KR 1020190145088A KR 20190145088 A KR20190145088 A KR 20190145088A KR 102640387 B1 KR102640387 B1 KR 10264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mooring line
mooring
winch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8087A (en
Inventor
정성훈
송창우
신상명
오환엽
최봉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87B1/en
Publication of KR2021005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Abstract

계류시스템 및 계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상호 계류시키는 계류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구조물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는 제1계류라인; 상기 제1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1계류라인을 권취하는 제1윈치;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계류라인이 통과하며 지지되는 제1초크; 상기 제1초크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1계류라인이 결합되어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구조물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후방영역으로 연장되는 제2계류라인; 상기 제1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2계류라인을 권취하는 제2윈치; 상기 제2구조물의 후방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계류라인이 통과하며 지지되는 제2초크; 및 상기 제2초크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계류라인이 결합되어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A mooring system and mooring method are disclosed. A mo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oring system that mutually moors a first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mprising: a first mooring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structure to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A first winch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and winding the first mooring line; A first chock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through which the first mooring line passes and is supported; a first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mooring line extending via the first choke is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a second mooring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structure to a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a second winch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and winding the second mooring line; a second chock formed in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through which the second mooring line passes and is supported; And the second mooring line extending via the second choke is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and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Description

계류시스템{Mooring system}Mooring system {Mooring system}

본 발명은 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system.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과 같은 제1구조물은 안벽, 다른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과 같은 제2구조물에 계류될 수 있다.A first structure, such as a ship or floating offshore structure, may be moored to a second structure, such as a quay, another vessel, or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종래,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를 상호 계류시키는 계류작업은 다수의 계류라인 및 각 계류라인에 대응하여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에 형성되는 윈치 또는 볼라드와 같은 계류설비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mooring operation of mooring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to each other is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and mooring equipment such as winches or bollards formed on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mooring line.

이 경우, 다수의 계류라인은 제1구조물 또는 제2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분산 배치된다. 각 계류라인은 제2구조물과 제1구조물 사이 연장되고, 각 계류라인의 양단부는 각각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에 형성되는 계류설비에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multiple mooring line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first or second structure. Each mooring line extends between the second structure and the first structure, and both ends of each mooring line may be connected to mooring facilities formed on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respectively.

이와 같은 종래의 계류작업은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정확한 계류작업이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Such conventional mooring operations have the problem of consuming a lot of time and money.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urate mooring work is difficult to perform depending on the operator's skill level.

특허문헌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4914호(2012.06.20. 공개)Patent document: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64914 (published on June 20, 201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이하게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상호 계류시킬 수 있는 계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mooring system that can easily moor a first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상호 계류시키는 계류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구조물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는 제1계류라인; 상기 제1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1계류라인을 권취하는 제1윈치;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계류라인이 통과하며 지지되는 제1초크; 상기 제1초크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1계류라인이 결합되어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구조물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후방영역으로 연장되는 제2계류라인; 상기 제1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2계류라인을 권취하는 제2윈치; 상기 제2구조물의 후방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계류라인이 통과하며 지지되는 제2초크; 및 상기 제2초크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계류라인이 결합되어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계류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oring system for mutually mooring a first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mprising: a first mooring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structure to a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A first winch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and winding the first mooring line; A first chock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through which the first mooring line passes and is supported; a first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mooring line extending via the first choke is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a second mooring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structure to a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a second winch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and winding the second mooring line; a second chock formed in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through which the second mooring line passes and is supported; And the second mooring line extending via the second choke is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and a mooring system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을 상호 계류시킬 때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 사이로 이동하여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e from the rea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It is supported on a structure,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can be moved and coupled between the front area and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when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re moored to each other.

상기 제2구조물에는 상기 제2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이동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이동몸체의 후방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A guide rail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e is formed on the second structure, the first coupling part is coupled to a first moving body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moves the first moving body. It may be coupled to a second moving body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t the rear of the body.

상기 제1윈치는 상기 제1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2윈치는 상기 제1윈치의 후방에서 상기 제1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1윈치 및 상기 제2윈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이 상호 계류되는 동안 상기 제1계류라인 및 상기 제2계류라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winch is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winch is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from the rear of the first winch. It is supported on a structur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winch and the second winch can be mov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mooring line and the second mooring line while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re mutually moored. there is.

상기 제1구조물에는 상기 제1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후방에서 상기 제1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윈치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이동블럭에 결합되고, 상기 제2윈치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블럭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tructure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rail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and a second guide rail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from the rear of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first winch may be coupled to a first movable block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winch may be coupled to a second movable block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상기 제1계류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제1장력측정부; 상기 제2계류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제2장력측정부; 및 상기 제1장력측정부가 측정한 제1장력측정값 및 상기 제2장력측정부가 측정한 제2장력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제1윈치 및 상기 제2윈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tension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ension of the first mooring line; a second tension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ension of the second mooring line; And a control unit that mo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winch and the second winch based on the first tension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nsion measurement unit and the second tension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tension measurement unit.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상호 계류시키는 계류방법으로서, 제1계류라인이 상기 제1구조물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고, 제2계류라인이 상기 제1구조물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후방영역으로 연장되는 단계; 상기 제1계류라인이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에 형성되는 제1초크를 경유하여 연장되어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계류라인이 상기 제2구조물의 후방영역에 형성되는 제2초크를 경유하여 연장되어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단계;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mooring method for mutually mooring a first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in the first mooring line extends from the first structure to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and extending a second mooring line from the first structure to a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The first mooring line extends via a first chock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mooring line is formed in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Extending via the choke and being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 mooring method may be provided, including the step of coupl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에서 제2구조물로 연장되는 제1계류라인 및 제2계류라인이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상호 계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oring line and the second mooring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structure to the second structure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reby easily and effectively forming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can be mutually moo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mo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line BB in FIG. 2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IG. 4 is a view showing the line CC of FIG. 3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igure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o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o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mo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ome configurations of a mo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o.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ir meaning is not limited, and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mo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view of line BB in FIG. 2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line CC of FIG. 3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참고로, 도 1 내지 도 4에서 +X축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의 전방측을, +Y축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의 좌측을, +Z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의 후방측을 나타내고, 도 1은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100)에 의해 상호 계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에서는 제1이동몸체(도 2의 151) 및 제2이동몸체(도 2의 152)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For reference, in FIGS. 1 to 4, the +X axis represents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he +Y axis represents the left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Z represents the rear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nd Figure 1 shows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in the mo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shows a mutually moored state, and in FIG. 1, the first movable body (151 in FIG. 2) and the second movable body (152 in FIG. 2) are shown omit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100)은 좌우방향(예컨대, 도 1에서 볼 때 Y축방향)으로 이격된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킨다.Referring to FIG. 1, the mo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ructure 10 and a second structure 20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e.g., the Y-axis direction as seen in FIG. 1). are mutually moored.

여기서, 제1구조물(10)은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또는 안벽을 포함하고, 제2구조물(20)은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또는 안벽을 포함한다. 다만,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 중 어느 하나가 안벽인 경우, 나머지 하나는 안벽이 아닐 수 있다.Here, the first structure 10 includes a ship, a floating marine structure, or a quay wall, and the second structure 20 includes a ship, a floating marine structure, or a quay wall. However, if on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is a quay wall, the other may not be a quay wall.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제1구조물(10)이 선박이며, 제2구조물(20)이 선박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For reference,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first structure 10 is a ship and the second structure 20 is a ship, as shown in FIG. 1.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에 접근하여 계류될 수 있다.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은 상호 계류된 상태에서 화물의 이동과 같이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On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may approach the other and be moored.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can perform a desired task, such as moving cargo, while being moored to each other.

예컨대,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은 도 1과 같이 해상에서 제1구조물(10)의 우측면과 제2구조물(20)의 좌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근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100)은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can be approached at sea so that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20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At this time, the mo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moor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o each other.

한편, 상호 계류되는 제1구조물(10)과 제1구조물(10) 사이에는 도 1과 같이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 사이 상대운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펜더(F)가 개재될 수 있다. 펜더(F)는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펜더(F)는 제1구조물(10) 또는 제2구조물(20)의 전후방향(예컨대, 도 1에서 볼 때 X축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between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first structure 10, which are mutually moored, a fender (F) is provided to cushion the impact caus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 may be included. A plurality of fenders (F)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enders (F) may be distributed and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for example, the X-axis direction as seen in FIG. 1) of the first structure 10 or the second structure 20. there i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100)은 제1계류라인(111), 제1윈치(121), 제1초크(131), 제1결합부(141), 제2계류라인(112), 제2윈치(122), 제2초크(132), 제2결합부(14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mo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ooring line 111, a first winch 121, a first choke 131, a first coupling portion 141, It includes a second mooring line 112, a second winch 122, a second choke 132,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42.

제1계류라인(111)은 도 1과 같이 제1구조물(10)에서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제1계류라인(111)은 평상시 제1구조물(10)에 보관되고,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킬 때 제1구조물(10)에서 제2구조물(20)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mooring line 111 extends from the first structure 10 to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first mooring line 111 is normally stored in the first structure 10, and when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re mutually moored, the first mooring line 111 is moved from the first structure 10 to the second structure. It can be extended to (20).

제1윈치(121)는 도 1과 같이 제1구조물(10)에 지지된다. 이 경우, 제1윈치(121)는 제1구조물(10)의 전방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윈치(121)는 제1구조물(10)의 전방영역 상측면(즉, 갑판)에 지지될 있다. 이 경우, 제1윈치(121)는 제1구조물(1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winch 121 is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10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first winch 121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For example, the first winch 121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ide (ie, deck) of the front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In this case, the first winch 121 may be fixedly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10.

이외에도, 제1윈치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구조물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inch is not shown, but may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in the first structure.

제1윈치(121)는 제1계류라인(111)을 권취한다. 이 경우, 제1계류라인(111)은 도 1과 같이 일단부가 제1윈치(121)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제1윈치(121)의 권취동작을 통해 제2구조물(20)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winch 121 winds the first mooring line 111. In this case, one end of the first mooring line 111 is supported by the first winch 121 as shown in FIG. 1,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second structure 20 through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first winch 121. You can.

이러한 제1윈치(121)는 윈치드럼(미도시) 및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제1계류라인(111)을 권취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윈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is first winch 121 may include various known winch devices capable of winding the first mooring line 111, such as a winch drum (not shown) and a motor (not shown).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제1초크(131)는 도 1과 같이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에 형성된다. 이 경우, 제1초크(131)는 제2구조물(20)의 제1구조물(10)을 마주보는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초크(131)는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 상측면(즉, 갑판)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초크(131)는 제2구조물(20)의 좌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hoke 131 is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first choke 131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20 facing the first structure 10. For example, the first choke 13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ie, deck) of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In this case, the first choke 131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20.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는 제1계류라인(111)은 도 1과 같이 제1초크(131)를 통과하며 제1초크(131)에 지지된다. 이때, 제1초크(131)는 제1계류라인(111)의 일부를 지지하며 제1계류라인(111)을 후술하는 제1결합부(141)를 향해 연장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first mooring line 111 extending to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passes through the first choke 131 and is supported on the first choke 131, as shown in FIG. 1. At this time, the first choke 131 supports a portion of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can guide the first mooring line 111 to extend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제1초크(131)는 중앙부에 제1계류라인(111)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과 같이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is first choke 131 may be formed in various known structures, such as an opening (not shown)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first mooring line 111 can pass.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제1결합부(141)에는 도 1과 같이 제1초크(131)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제1계류라인(111)이 결합된다.The first mooring line 111 extending via the first choke 131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s shown in FIG. 1.

제1결합부(141)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컨대, 제1결합부(141)의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을 향하는 전단부에는 클램프부재와 같은 결합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계류라인(111)의 타단부는 결합부재에 클램핑되어 제1결합부(141)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 coupl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clamp member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facing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oring line 111 may be clamped to a coupl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이외에도, 제1결합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방법으로 제1계류라인과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coupling part is not shown, i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mooring line in various ways.

제1결합부(141)는 도 1과 같이 제2구조물(20)에 지지된다. 이 경우, 제1결합부(141)는 제2구조물(2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is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may be movably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2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계류라인(112)은 도 1과 같이 제1구조물(10)에서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12)은 평상시 제1구조물(10)에 보관되고,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킬 때 제1구조물(10)에서 제2구조물(20)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mooring line 112 extends from the first structure 10 to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second mooring line 112 is normally stored in the first structure 10, and when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re mutually moore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is moved from the first structure 10 to the second structure. It can be extended to (20).

제2윈치(122)는 도 1과 같이 제1구조물(10)에 지지된다. 제2윈치(122)는 제1윈치(1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윈치(122)는 제1구조물(10)의 후방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윈치(122)는 제1구조물(10)의 후방영역 상측면(즉, 갑판)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윈치(121)는 제1구조물(1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winch 122 is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10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winch 122 may be placed behind the first winch 121. In this case, the second winch 122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For example, the second winch 122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ide (ie, deck) of the rear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In this case, the first winch 121 may be fixedly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10.

이외에도, 제2윈치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구조물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winch is not shown, but may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in the first structure.

제2윈치(122)는 제2계류라인(112)을 권취한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12)은 도 1과 같이 일단부가 제2윈치(122)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제2윈치(122)의 권취동작을 통해 제2구조물(20)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winch 122 winds the second mooring line 112. In this case, one end of the second mooring line 112 is supported by the second winch 122 as shown in FIG. 1,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second structure 20 through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second winch 122. You can.

이러한 제2윈치(122)는 윈치드럼(미도시) 및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제2계류라인(112)을 권취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윈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is second winch 122 may include various known winch devices capable of winding the second mooring line 112, such as a winch drum (not shown) and a motor (not shown).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제2초크(132)는 도 1과 같이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에 형성된다. 이 경우, 제2초크(132)는 제2구조물(20)의 제1구조물(10)을 마주보는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초크(132)는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 상측면(즉, 갑판)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초크(132)는 제2구조물(20)의 좌측부에 형성될 수 있아.The second choke 132 is formed in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second choke 132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20 facing the first structure 10. For example, the second choke 13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ie, deck) of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In this case, the second choke 132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20.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으로 연장되는 제2계류라인(112)은 도 1과 같이 제2초크(132)를 통과하여 제2초크(132)에 지지된다. 이때, 제2초크(132)는 제2계류라인(112)의 일부를 지지하며 제2계류라인(112)을 후술하는 제2결합부(142)를 향해 연장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second mooring line 112 extending to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passes through the second choke 132 and is supported on the second choke 132, as shown in FIG. 1. At this time, the second choke 132 supports a portion of the second mooring line 112 and can guide the second mooring line 112 to extend towar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제2초크(132)는 중앙부에 제2계류라인(112)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과 같이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is second choke 132 may be formed in various known structures, such as an opening (not shown)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second mooring line 112 can pass.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제2결합부(142)에는 도 1과 같이 제2초크(132)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제2계류라인(112)이 결합된다.A second mooring line 112 extending via the second choke 132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s shown in FIG. 1 .

제2결합부(142)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결합부(142)는 제1결합부(14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ay be disposed rearwar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예컨대, 제2결합부(142)의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을 향하는 후단부에는 클램프부재와 같은 결합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계류라인(112)의 타단부는 결합부재에 클램핑되어 제2결합부(142)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 coupl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clamp member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facing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oring line 112 may be clamped to a coupl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이외에도, 제2결합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방법으로 제2계류라인과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is not shown, it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mooring line in various ways.

제2결합부(142)는 도 1과 같이 제2구조물(20)에 지지된다. 이 경우, 제2결합부(142)는 제2구조물(2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is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ay be movably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2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1결합부(141)와 제2결합부(142)는 도 1과 같이 결합한다. 이때, 제1계류라인(111)과 제2계류라인(112)은 제1결합부(141)와 제2결합부(142)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연결되는 제1계류라인(111)과 제2계류라인(112)은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킬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re coupled as shown in FIG. 1 . At this time,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may be connected via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In this case,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connected to each other can moor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o each other.

달리 표현하면, 제1결합부(141)와 제2결합부(142)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1계류라인(111)과 제2계류라인(112)은 하나의 계류라인이 제1구조물(10)의 전방영역에서 제2구조물(20)로 연장되어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을 경유한 후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으로 연장되며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연결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re one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first structure 10. It extends from the front area to the second structure 20, passes through the front area and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nd then extends to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nd connects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It may have the effect of connecting the structure 2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100)은 제1구조물(10)에서 제2구조물(20)로 연장되는 제1계류라인(111) 및 제2계류라인(112)이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mo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first mooring line 111 and a second mooring line 112 extending from the first structure 10 to the second structure 2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 By being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can be easily and effectively moored to each other.

나아가, 종래 전후방향으로 분산 배치되는 다수의 계류라인(미도시) 각각의 양단부를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에 형성된 계류설비(미도시)에 연결시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상호 계류시키는 경우와 달리, 계류작업을 위한 계류라인의 수 등 세부 계류설비들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숙련 작업자도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계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both ends of each of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not shown) distributed in the conventional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connected to mooring facilities (not shown) formed on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to mutually moor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Unlike other cases, detailed mooring facilities such as the number of mooring lines for mooring work can be reduced, and even unskilled workers can easily and effectively perform mooring work.

예컨대, 제1결합부(141)와 제2결합부(142)는 전자석(미도시)과 같이 자력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조물(20)에는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에 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미도시) 및 전기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magnetic force, such as an electromagnet (not shown). In this case, the second structure 20 may be provided with wiring (not shown) and an electricity supply device (not shown) for providing electricity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이외에도,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진공을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볼트결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not shown, they can be coupled in various ways, such as coupling using a vacuum or bolting using bolts and nuts.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141)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2구조물(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결합부(142)는 제1결합부(141)의 후방에서 제2구조물(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2의 점선화살표 참조).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e 20 as shown in FIGS. 2 to 4,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 can be formed to be movab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e 20 at the rear (see dotted arrow in FIG. 2).

이때, 제1결합부(141) 및 상기 제2결합부(142)는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킬 때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 사이(이하, '중앙영역'이라 한다.)로 이동하여 결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re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regions of the second structure 20 when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re mutually moor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entral area') can be moved to and combined.

보다 상세히, 제1결합부(141)는 제1계류라인(111)과 결합하기 전 제1초크(131)에 가까워지도록, 즉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을 향해 이동하고, 제2결합부(142)는 제2계류라인(112)과 결합기 전 제2초크(132)에 가까워지도록, 즉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계류라인(111) 및 제2계류라인은 각각 제1초크(131) 및 제2초크(132)에 근접하도록 이동한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에 결합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moves closer to the first choke 131 before coupling with the first mooring line 111, that is, moves toward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nd moves toward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The portion 142 may move closer to the second mooring line 112 and the second choke 132 before the coupler, that is, toward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In this case,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a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oved to approach the first choke 131 and the second choke 132, respectively. can be combined with

그리고, 제1결합부(141)는 제1계류라인(111)과 결합한 후 제1초크(131)에서 멀어지도록, 즉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을 향해 이동하고, 제2결합부(142)는 제2계류라인(112)과 결합한 후 제2초크(132)에서 멀어지도록, 즉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각 제1계류라인(111) 및 제2계류라인(112)과 결합한 상태에서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에서 결합할 수 있다.Th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moves away from the first choke 131 after coupling with the first mooring line 111, that is, moves toward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 142) can move away from the second choke 132 after being coupled to the second mooring line 112, that is, toward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re connected to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nd form a second structure ( 20) can be combined in the central region.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100)은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결합부(141)와 제1계류라인(111)의 결합시키는 작업, 제2결합부(142)와 제2계류라인(112)을 결합시키는 작업 및 제1결합부(141)와 제2결합부(142)를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에서 결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작업자가 제1계류라인(111) 및 제2계류라인(112)을 직접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비숙련 작업자도 용이하게 계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mo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re formed to be movable,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first mooring line 111 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in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The combining task can be performed easily and effectively. Furthermore, since there is no need for workers to directly move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even unskilled workers can easily perform mooring work.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는 각각 제2구조물(2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이동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ay be formed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150 formed on the second structure 20, respectively.

가이드레일(150)은 도 1과 같이 제2구조물(2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가이드레일(150)은 제2구조물(20)의 상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guide rail 150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guide rail 150 may extend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20, but is not limited to this.

가이드레일(150)에는 도 2와 같이 제1이동몸체(151) 및 제2이동몸체(152)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이동몸체(152)는 제1이동몸체(15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동몸체(151) 및 제2이동몸체(152)는 각각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제2구조물(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 first movable body 151 and a second movable body 152 are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50 as shown in FIG. 2 . At this time, the second movable body 152 may be disposed behind the first movable body 151. In this case, the first movable body 151 and the second movable body 152 can each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econd structure 20 along the guide rail 150.

예컨대, 제1이동몸체(151)는 도 4와 같이 가이드레일(150)에 홈-돌기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동몸체(151)는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moving body 151 may be coupled to the guide rail 150 in a groove-protrusion structure as shown in FIG. 4. In this case, the first moving body 151 can slide along the guide rail 150.

다만, 제2이동몸체(152)와 가이드레일(150)의 결합구조는 제1이동몸체(151)와 가이드레일(150)의 결합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owever, sinc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movable body 152 and the guide rail 15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ovable body 151 and the guide rail 15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결합부(141)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이동하는 제1이동몸체(1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141)는 제1이동몸체(151)와 함께 제1초크(131)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ving body 151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50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may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movable body 151 to get closer to the first choke 131 or may move to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예컨대, 제1이동몸체(151)의 상측부에는 안착홈(151a)이 형성되고, 제1결합부(141)는 안착홈(151a)에 안착되어 제1이동몸체(15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141)는 볼트결합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1이동몸체(151)와 결합할 수 있다.For example, a seating groove 151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vable body 15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51a and can be coupled to the first movable body 151.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ving body 151 using a known method such as bolt coupling.

제2결합부(142)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몸체(1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결합부(142)는 제2이동몸체(152)와 함께 제2초크(132)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body 152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50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is cas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ay move together with the second movable body 152 to get closer to the second choke 132 or may move to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다만, 제2결합부(142)와 제2이동몸체(152)의 결합구조는 제1결합부(141)와 제1이동몸체(151)의 결합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owev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nd the second movable body 15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first movable body 15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provided. Omit it.

한편, 제1결합부(141)의 후단부는 도 2 및 3과 같이 제1이동몸체(151)의 후단부에 대해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을 향해 돌출되고, 제1결합부(141)의 후단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142)의 전단부는 제2이동몸체(152)의 전단부에 대해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는 제1이동몸체(151) 또는 제2이동몸체(152)의 간섭없이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protrudes toward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movable body 151,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coupled to the rear end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vable body 152.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can be effectively coupled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first movable body 151 or the second movable body 152.

이외에도,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 바퀴와 같은 구름부재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2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movably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rolling members such as wheel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o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o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6 내지 도 8에서 +X축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의 전방측을, +Y축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의 좌측을, +Z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의 후방측을 나타낸다.For reference, in FIGS. 6 to 8, the +X axis represents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he +Y axis represents the left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Z represents the rear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키는 계류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mooring for mutually mooring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using the mo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 how.

이 경우,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이 제1구조물(10)의 우측면과 제2구조물(20)의 좌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근하여 상호 계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may approach and be moor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20 face each other.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계류라인(111)은 제1구조물(10)에서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고, 제2계류라인(112)은 제1구조물(10)에서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으로 연장된다(S110).First,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first mooring line 111 extends from the first structure 10 to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extends from the first structure 112 to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It extends from (10) to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S110).

이 경우, 제1계류라인(111)의 타단부 및 제2계류라인(112)의 타단부는 각각 메신저라인(미도시)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1구조물(10)에서 제2구조물(20)로 전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oring line 112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structure 10 through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using a messenger line (not shown). 2 It can be delivered to the structure (20).

이 과정에서, 제1윈치(121)는 제1계류라인(111)이 제2구조물(20)을 향해 연장되도록 제1계류라인(111)을 푸는 동작하고, 제2윈치(122)는 제2계류라인(112)이 제2구조물(20)을 향해 연장되도록 제2계류라인(112)을 푸는 동작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first winch 121 operates to unwind the first mooring line 111 so that the first mooring line 111 extends toward the second structure 20, and the second winch 122 operates as a second mooring line 111. The second mooring line 112 may be released so that the mooring line 112 extends toward the second structure 20.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는 서로 분리되어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이후,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계류라인(111)은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에 형성되는 제1초크(131)를 경유하여 연장되어 제1결합부(141)에 결합되고, 제2계류라인(112)은 상기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에 형성되는 제2초크(132)를 경유하여 연장되어 제2결합부(142)에 결합된다(S120).Thereafter, referring to FIGS. 5 and 7, the first mooring line 111 extends via the first choke 131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nd connects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Couple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extends via the second choke 132 formed in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S120).

이 경우, 제1결합부(141)는 제1초크(131)에 근접하도록 제2구조물(20)의 전방영역을 향해 이동하여 제1계류라인(111)과 결합하고, 제2결합부(142)는 제2초크(132)에 근접하도록 제2구조물(20)의 후방영역을 향해 이동하여 제2계류라인(112)과 결합할 수 있다(도 7의 점선화살표 참조).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moves toward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to approach the first choke 131 and engages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 can be moved toward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to approach the second choke 132 and combined with the second mooring line 112 (see dotted arrow in FIG. 7).

이때, 제1계류라인(111)은 제1초크(131)를 통과하며 지지되고, 제2계류라인(112)은 제2초크(132)를 통과하며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mooring line 111 may be suppor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choke 13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may be suppor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choke 132.

이후,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결합부(141)와 제2결합부(142)는 결합된다(S130).Thereafter, referring to FIGS. 5 and 8,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re coupled (S130).

이 경우,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는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에서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결합부(141)는 제1계류라인(111)과 결합한 상태에서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으로 이동하고, 제2결합부(142)는 제2계류라인(112)과 결합한 상태에서 제2구조물(20)의 중앙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8의 점선화살표 참조).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may be coupl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To this e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moves to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in a state coupled to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is coupled to the second mooring line 112. In the combined state, it can be moved to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20 (see dotted arrow in FIG. 8).

한편, 제1윈치(121) 및 제2윈치(122)는 각각 제1결합부(141)와 제2결합부(142)가 결합한 후 제1계류라인(111) 및 제2계류라인(112)을 푸는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윈치(121) 및 제2윈치(122)는 각각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이 상호 계류되는 동안 제1계류라인(111) 및 제2계류라인(112)이 계류에 필요한 장력을 가지도록 권취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winch 121 and the second winch 122 are connected to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after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are coupled, respectively. The solving operation can be stopped. And, the first winch 121 and the second winch 122 operate on the first mooring line 1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while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re mutually moored, respectively. The win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obtain the tension necessary for this mooring.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mo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9에서 +X축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의 전방측을, +Y축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의 좌측을, +Z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의 후방측을 나타내고, 도 9는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200)에 의해 상호 계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or reference, in Figure 9, the +X axis is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he +Y axis is the left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nd +Z is the Shows the rear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nd Figure 9 shows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being mutually moored by the mo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shows the status.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200)은 제1계류라인(211), 제1윈치(221), 제1초크(231), 제1결합부(241), 제2계류라인(212), 제2윈치(222), 제2초크(232), 제2결합부(242)를 포함하고,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mo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ooring line 211, a first winch 221, a first choke 231, a first coupling portion 241, and a second mooring. It includes a line 212, a second winch 222, a second choke 232, and a second coupling part 242, and connects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ach other. It can be moored.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계류라인(211), 제1초크(231), 제1결합부(241), 제2계류라인(212), 제2초크(232), 제2결합부(242)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1계류라인(도 1의 111 참조), 제1초크(도 1의 131 참조), 제1결합부(도 1의 141 참조), 제2계류라인(도 1의 112 참조), 제2초크(도 1의 132 참조), 제2결합부(도 1의 142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mooring line 211, first choke 231, first coupling portion 241, second mooring line 212, second choke 232, and second coupling portion 24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first mooring line (see 111 in FIG. 1), the first choke (see 131 in FIG. 1), the first coupling part (see 141 in FIG. 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112 in FIG. 1)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reference), the second choke (see 132 in FIG. 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see 142 in FIG. 1).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200)은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가 제1구조물(1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을 설명한다.The mo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are movably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10. Hereinafter, in explaining this embodiment,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explained.

제1윈치(221)는 제1구조물(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구조물(10)에 지지되고, 제2윈치(222)는 제1윈치(121)의 후방에서 제1구조물(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구조물(10)에 지지될 수 있다(도 9의 점선화살표 참조).The first winch 221 is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winch 222 is attached to the first structure at the rear of the first winch 121 ( 10) can be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ee dotted arrow in FIG. 9).

이때,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이 상호 계류되는 동안 제1계류라인(211) 및 제2계류라인(21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operates on the first mooring line 2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 212) can be moved to adjust the tension.

보다 상세히, 상호 계류되는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은 바람 또는 파도와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상대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계류라인(211) 및 제2계류라인(212)은 장력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계류라인(211) 및 제2계류라인(212)은 절단 등 손상될 수 있고,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which are mutually moored, may move relative to each other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wind or waves. In this process, the tension of the first mooring line 2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212 may vary. In this case, the first mooring line 2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212 may be damaged, such as cut, and it may be difficult to moor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o each other.

이때,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구조물(10)의 전방영역 또는 후방영역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연결된 제1계류라인(211) 및 제2계류라인(212)은 이동하는 윈치(221, 222)에 의해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계류라인(211) 및 제2계류라인(212)은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상호 계류시키는 동안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을 효과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may move toward the front or rear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At this time, the tension of the first mooring line 2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212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adjusted by the moving winches 221 and 222. In this case, the first mooring line 2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212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ile mooring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12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ile mooring each other. The second structure 20 can be moored effectively.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200)은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의 권취동작과 함께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의 이동을 통해 제1계류라인(211) 및 제2계류라인(212)의 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계류라인(211) 및 제2계류라인(212)은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가 고장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권취동작이 어려운 경우에도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의 이동을 통해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the mo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winding operation of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2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212 can be adjusted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the first mooring line 2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212 maintain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even when the winding operation is difficult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failure of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And the tension can be adjusted through movement of the second winch 222.

도 9를 참조하면, 제1윈치(221)는 제1구조물(1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26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윈치(222)는 제1구조물(10)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레일(26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first winch 221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 261 formed on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winch 222 is formed on the first structure 10. It may be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62 formed in .

제1가이드레일(261)은 제1구조물(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가이드레일(262)은 제1가이드레일(261)의 후방에서 제1구조물(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제1가이드레일(261)은 제1구조물(10)의 전방영역에 형성되고, 제2가이드레일(262)은 제1구조물(10)의 후방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rail 261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guide rail 262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10 from the rear of the first guide rail 261. do. In this case, the first guide rail 261 may be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guide rail 262 may be formed in the rear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예컨대, 제1가이드레일(261) 및 제2가이드레일(262)은 도 9와 같이 각각 제1구조물(10)의 상측면에 제1구조물(10)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guide rail 261 and the second guide rail 26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 to be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rst structure 1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9.

또는,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구조물의 제2구조물을 마주보는 측면(즉,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although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ide (i.e., right side) of the first structure facing the second structure.

제1가이드레일(261)에는 제1이동블럭(271)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제1이동블럭(271)은 제1가이드레일(261)을 따라 제1구조물(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 first moving block 271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rail 261. In this case, the first moving block 271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rst structure 10 along the first guide rail 261.

예컨대, 제1이동블럭(271)은 제1가이드레일(261)에 홈-돌기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동블럭(271)은 제1가이드레일(26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moving block 27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rail 261 in a groove-protrusion structure. In this case, the first moving block 271 can slide along the first guide rail 261.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이동블럭(271)과 제1가이드레일(261) 사이 결합구조가 앞선 실시예의 제1이동몸체(도 4의 151 참조)와 가이드레일(도 4의 150 참조) 사이 결합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별도의 구체적 도면으로 도시하는 것을 생략한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moving block 271 and the first guide rail 261 is between the first moving body (see 151 in FIG. 4) and the guide rail (see 150 in FIG. 4) in the previous embodiment.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upling structure, it is omitted to show it in separate detailed drawings.

제2가이드레일(262)에는 제2이동블럭(272)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제2이동블럭(272)은 제1이동블럭(271)의 후방에서 제2가이드레일(262)을 따라 제1구조물(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 second moving block 272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rail 262. In this case, the second movable block 272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10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62 from the rear of the first movable block 271.

다만, 제2이동블럭(272)과 제2가이드레일(262)의 결합구조는 제1이동블럭(271)과 제1가이드레일(261)의 결합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owev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moving block 272 and the second guide rail 26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moving block 271 and the first guide rail 26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provided. Omit it.

제1윈치(221)는 제1가이드레일(261)을 따라 이동하는 제1이동블럭(27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윈치(221)는 제1구조물(10)의 전방영역에서 제1이동블럭(271)과 함께 제1구조물(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winch 22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ving block 271 that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261. In this case, the first winch 221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10 together with the first moving block 271 in the front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제1윈치(221)는 제1이동블럭(271)의 상측면에 용접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winch 221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ving block 271 by a known method such as welding.

제2윈치(222)는 제2가이드레일(262)을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블럭(27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윈치(222)는 제1구조물(10)의 후방영역에서 제2이동블럭(272)과 함께 제1구조물(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winch 22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block 272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62. In this case, the second winch 222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10 together with the second moving block 272 in the rear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제2윈치(222)는 제2이동블럭(272)의 상측면에 용접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winch 222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oving block 272 by a known method such as welding.

이외에도, 제1윈치 및 제2윈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 바퀴와 같은 구름부재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1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winch and the second winch may be movably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rolling members such as wheels.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200)은 도 10과 같이 제1장력측정부(281), 제2장력측정부(282), 및 제어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10, the moor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ension measurement unit 281, a second tension measurement unit 282, and a control unit 290 as shown in FIG. 10. . For reference, Figur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ome configurations of a mo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장력측정부(281)는 제1계류라인(도 9의 211 참조)의 장력을 측정하고, 제2장력층정부는 제2계류라인(도 9의 212 참조)의 장력을 측정한다. 제1장력측정부(281) 및 제2장력측정부(282)는 각각 로드셀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측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tension measuring unit 281 measures the tension of the first mooring line (see 211 in FIG. 9), and the second tension layer unit measures the tension of the second mooring line (see 212 in FIG. 9). The first tension measuring unit 281 and the second tension measuring unit 282 may each include various known measuring means such as a load cel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제어부(290)는 제1구조물(도 9의 10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9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tructure (see 10 in FIG. 9).

제어부(290)는 제1장력측정부(281)가 측정한 제1장력측정값 및 제2장력측정부(282)가 측정한 제2장력측정값을 기초로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90)는 제1이동블럭(도 9의 271 참조) 및 제2이동블럭(도 9의 272 참조)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구조물(10)의 전방영역 또는 후방영역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tension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first tension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nsion measurement unit 281 and the second tension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tension measurement unit 282. The movement of the winch 222 can be controlled.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290 mo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moving block (see 271 in FIG. 9) and the second moving block (see 272 in FIG. 9) toward the front or rear area of the first structure 10. You can control it to do so.

보다 상세히, 제어부(290)는 제1장력측정부(281)로부터 제1장력측정값을 수신하고, 제2장력측정부(282)로부터 제2장력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290 may receive a first tension measurement value from the first tension measurement unit 281 and a second tension measurement value from the second tension measurement unit 282.

제어부(290)는 수신한 제1장력측정값 및 제2장력측정값을 미리 저장된 제1장력설정값 및 제2장력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장력설정값 및 제2장력설정값은 각각 제1계류라인(211) 및 제2계류라인(212)이 제1구조물(도 9의 10 참조)과 제2구조물(도 9의 20 참조)을 상호 계류시키는 동안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력값일 수 있고, 모형구조물을 이용한 다수의 실험 또는 수치해석적 방법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90 may compare the received first tension measurement value and the second tension measurement value with the first tension setting value and the second tension setting value stored in advance. Here, the first tension setting value and the second tension setting value are, respectively, the first mooring line 2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212 are connected to the first structure (see 10 in FIG. 9) and the second structure (20 in FIG. 9). It can be a tension value that can prevent damage while mutually mooring (see reference), and can be obtained through a number of experiments using model structures or numerical analysis methods.

제1장력측정값이 제1장력설정값과 차이가 있거나, 제2장력측정값이 제2장력설정값과 차이가 있는 경우, 제어부(290)는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If the first tension measurement valu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tension setting value or the second tension measurement value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tension setting value, 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 can be moved.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는 과정에, 제1결합부(241) 및 제2결합부(242)를 통해 연결된 제1계류라인(211) 및 제2계류라인(212)은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mo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the first mooring line 211 and the second mooring line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2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42. Line 212 may have its tension adjusted.

한편, 제1장력측정값이 제1장력설정값에 도달하고, 제2장력측정값이 제2장력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90)는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tension measurement value reaches the first tension set value and the second tension measurement value reaches the second tension set value, 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 can stop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한편, 제어부(290)는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동안 제1윈치(221) 및 제2윈치(222)의 권취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90 may stop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while mo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winch 221 and the second winch 222.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자가 제1계류라인 및 제2계류라인을 모니터링하며 수동으로 제1윈치 및 제2윈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an operator may monitor the first mooring line and the second mooring line and manually move the first winch and the second winch.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patent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구조물 20: 제2구조물
100, 200: 계류시스템 111, 211: 제1계류라인
121, 221: 제1윈치 131, 231: 제1초크
141, 241: 제1결합부 112, 212: 제2계류라인
122, 222: 제2윈치 132, 232: 제2초크
142, 242: 제2결합부
10: first structure 20: second structure
100, 200: Mooring system 111, 211: First mooring line
121, 221: first winch 131, 231: first choke
141, 241: first coupling portion 112, 212: second mooring line
122, 222: second winch 132, 232: second choke
142, 242: second coupling portion

Claims (7)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상호 계류시키는 계류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구조물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는 제1계류라인;
상기 제1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1계류라인을 권취하는 제1윈치;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계류라인이 통과하며 지지되는 제1초크;
상기 제1초크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1계류라인이 결합되어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구조물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후방영역으로 연장되는 제2계류라인;
상기 제1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2계류라인을 권취하는 제2윈치;
상기 제2구조물의 후방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계류라인이 통과하며 지지되는 제2초크; 및
상기 제2초크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계류라인이 결합되어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2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을 상호 계류시킬 때 상기 제2구조물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 사이로 이동하여 결합하는, 계류시스템.
A mooring system that mutually moors first and second structures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first mooring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structure to a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A first winch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and winding the first mooring line;
A first chock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through which the first mooring line passes and is supported;
a first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mooring line extending via the first choke is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a second mooring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structure to a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a second winch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and winding the second mooring line;
a second chock formed in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through which the second mooring line passes and is supported; and
The second mooring line extending via the second choke is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and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supported on the second structur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e from the rea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 mooring system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ove and couple between the front area and the rear area of the second structure when mooring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물에는 상기 제2구조물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이동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이동몸체의 후방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몸체에 결합되는, 계류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guide rail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structure is formed on the second structu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a first moving body moving along the guide rail,
The mooring system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a second moving body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t the rear of the first moving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45088A 2019-11-13 2019-11-13 Mooring system KR102640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88A KR102640387B1 (en) 2019-11-13 2019-11-13 Mo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88A KR102640387B1 (en) 2019-11-13 2019-11-13 Moo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87A KR20210058087A (en) 2021-05-24
KR102640387B1 true KR102640387B1 (en) 2024-02-22

Family

ID=7615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88A KR102640387B1 (en) 2019-11-13 2019-11-13 Mo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38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766B1 (en) * 2017-06-05 2018-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o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88B1 (en) 2010-12-10 2013-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oring apparatus for floating body
KR101616437B1 (en) * 2014-05-27 2016-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shuttle to come alongside marine structure
GB2542815B (en) * 2015-09-30 2019-02-06 Subsea 7 Norway As Holding back a tensioned rope using a wedge thim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766B1 (en) * 2017-06-05 2018-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o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87A (en)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7391A (en) Apparatus for mooring a vessel
CN109896408B (en) Orange juice ship cargo storehouse deck total section hoist and mount frock
CN112278195B (en) Mooring method of roll-on/roll-off ship
KR102640387B1 (en) Mooring system
JP2011020527A (en) Detachable turning thruster device controlling gps fixed-point, and workbench ship including the same
KR200495110Y1 (en) Dismembering jig for locking pin of Quick Release Hook
WO1997008046A1 (en) A ship and a method adapted to generate tensile stresses in a pull line extended between the ships and an object to which a pull is to be applied
KR20150065442A (en) Movable mooring system and the ship having it
KR20180090570A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docking of the submarine
CN105711746A (en) Ship dragging method and dragging tool
KR20110025506A (en) Method for managing floating cranes
KR20170115371A (en) Towing experiment device using miniature ship
WO2018221265A1 (e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CN102963509A (en) Traction method for enabling parallel built ships of 300,000 dry docks to undock
KR102659975B1 (en) Vessels and methods equipped with semi-automatic or automatic mooring systems
KR101606693B1 (en) Method for loading big size block of barge to floating dock
EP2193988B1 (en) Coupling system and a vessel provided with such a coupling system
CN109263832B (en) Position limiting method for barge centering
KR102422648B1 (en) Ship towing apparatus for shiplift
CN111498593A (en) Cable feeding device and cable feeding method for ship steel wire rope winch
KR101707411B1 (en) Guiding Keel Block System for Exact Seating of a Hull
Yimtae et al. Converted Barge for Wellhead Platform Decommissioning
CN103057666A (en) Ship mooring hole plate
KR102449089B1 (en) Emergency Towline Deployment Device
CN217864616U (en) Ship convenient for storing cable and guiding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