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168B1 - Pellet Forming System with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 Google Patents

Pellet Forming System with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168B1
KR102640168B1 KR1020230090346A KR20230090346A KR102640168B1 KR 102640168 B1 KR102640168 B1 KR 102640168B1 KR 1020230090346 A KR1020230090346 A KR 1020230090346A KR 20230090346 A KR20230090346 A KR 20230090346A KR 102640168 B1 KR102640168 B1 KR 10264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ection
moving
roller
stirr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원
정만수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주)규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규원테크 filed Critical (주)규원테크
Priority to KR102023009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1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1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2Molding 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배지, 음식물 쓰레기, 인분이나 가축의 배설물, 톱밥, 목재 칩 등의 대상물을 고체 연료나 퇴비로 사용될 수 있는 펠릿으로 제조하기 위한 펠릿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서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예열기와; 상기 공기 예열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고, 대상물이 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 구간, 상기 대상물이 혼합 및 건조되는 교반 구간, 및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 구간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건조장에 설치되는 교반 장치와; 상기 건조장에서 건조 및 교반된 상기 대상물을 이용하여 펠릿을 성형하는 펠릿 성형기를 포함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제조 시스템은 펠릿을 고체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배기가스를 활용하여 펠릿의 원료가 되는 대상물을 건조하므로, 대상물의 건조를 위해 별도의 화석 연료 사용이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for producing pellets that can be used as solid fuel or compost from objects such as mushroom culture, food waste, human or livestock waste, sawdust, and wood chip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iler using pellets as fuel; an air preheater that heats air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and the air; An internal space is provided into which air heated by the air preheater flows in and becomes an object, and the internal space includes an input section into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a stirring section into which the object is mixed and dried, and a discharge section into which the object is discharged. a stirring device installed in a drying shed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provides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 pellet molding machine that molds pellets using the object dried and stirred in the drying facility. The pellet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use of separate fossil fuel for drying the object because it dries the object that is the raw material for the pellet by utilizing the exhaust gas of a boiler that uses pellets as solid fuel.

Figure R1020230090346
Figure R1020230090346

Description

교반 장치를 포함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 및 교반 장치의 제어 방법{Pellet Forming System with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Pellet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Pellet Forming System with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본 발명은 버섯 배지, 음식물 쓰레기, 인분이나 가축의 배설물, 톱밥, 목재 칩 등의 대상물을 고체 연료나 퇴비로 사용될 수 있는 펠릿으로 제조하기 위한 펠릿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장에 배치된 교반 장치를 구비한 펠릿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for producing pellets that can be used as solid fuel or compost from objects such as mushroom culture, food waste, human or livestock waste, sawdust, and wood chip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equipped with a stirring device disposed in a drying area.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 연료를 대체하는 자원으로서, 음식물 쓰레기, 인분이나 가축의 배설물, 톱밥, 목재 칩 등의 원료를 펠릿 형태로 만든 고체 연료가 사용되고 있다.As a resource to replace fossil fuels such as oil and coal, solid fuel made from raw materials such as food waste, human waste or livestock excrement, sawdust, and wood chips in the form of pellets is used.

예를 들어, 공개특허 제10-2012-0091524호에는 톱밥을 팽연(膨軟:부풀어서 연한 상태)시켜 목질 원료 및 목재를 분쇄시킨 후 압축 성형하여 연료로 사용 가능한 펠릿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91524 discloses a method of swelling sawdust, pulverizing wood raw materials and wood, and then compression molding them into pellets that can be used as fuel. It is done.

또한, 고체 연료뿐 아니라 펠릿 형태의 퇴비도 사용되고 있다. 펠릿 형태의 퇴비는 기계식으로 살포가 용이하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분말형 퇴비에 비해서 농민들이 선호한다.Additionally, not only solid fuel but also compost in the form of pellets is being used. Pellet-type compost is preferred by farmers over powder-type compost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mechanically spread and easy to handle.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668454호에는 원료 퇴비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분상 퇴비 또는 펠릿 퇴비로 퇴비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분 함량이 특정 퇴비 유형의 수분 함량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원료 퇴비를 1차 분쇄하고 일정 크기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퇴비의 유형이 분상 퇴비이면 정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퇴비의 유형이 펠릿 퇴비이면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정역 운전 단계; 및 상기 정방향으로 이송된 퇴비를 분상 퇴비로서 포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역방향으로 이송된 퇴비를 펠릿으로 형성시킨 다음, 펠릿 퇴비로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상 퇴비 또는 펠릿 퇴비의 통합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No. 10-1668454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raw compost and determining the type of compost as powder compost or pellet compost; If the moisture content falls within the moisture content range of a specific compost type, first pulverizing the raw compost and sorting it into a predetermined size; A forward and reverse operation step of transferring in the forward direction if the type of compost is powdered compost, and transferring in the reverse direction if the type of compost is pellet compost; and packaging the compost transpor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s powder compost, or forming the compost transpor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to pellets and then packaging the compost as pellet compost. there is.

등록특허 제10-1442689호Registered Patent No. 10-1442689 등록특허 제10-1444893호Registered Patent No. 10-1444893 등록특허 제10-1668454호Registered Patent No. 10-1668454 공개특허 제10-2012-0091524호Public Patent No. 10-2012-0091524 공개특허 제10-2016-0106281호Public Patent No. 10-2016-0106281 등록특허 제10-1772906호Registered Patent No. 10-1772906

본 발명은 원료의 낭비가 최소화된 펠릿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생산된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기와 건조장에 배치된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를 건조할 수 있어, 원료의 건조를 위한 별도의 화석 연료 사용이 불필요한 펠릿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in which waste of raw materials is minimized. In addition, the raw materials can be dried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that uses the produced pellets as fuel and a stirring device placed in the drying area, making it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the use of separate fossil fuels for drying the raw materials.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이러한 교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object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stirring devi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서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예열기와; 상기 공기 예열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고, 대상물이 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 구간, 상기 대상물이 혼합 및 건조되는 교반 구간, 및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 구간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건조장에 설치되는 교반 장치와; 상기 건조장에서 건조 및 교반된 상기 대상물을 이용하여 펠릿을 성형하는 펠릿 성형기를 포함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iler using pellets as fuel; an air preheater that heats air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and the air; An internal space is provided into which air heated by the air preheater flows in and becomes an object, and the internal space includes an input section into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a stirring section into which the object is mixed and dried, and a discharge section into which the object is discharged. a stirring device installed in a drying shed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provides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 pellet molding machine that molds pellets using the object dried and stirred in the drying facility.

여기서, 상기 교반 장치는, 상기 건조장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장에 설치되는 교반기 몸체와; 상기 교반기 몸체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장치의 작동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며, 회전하는 복수의 교반 패들들이 설치된 교반 롤러를 포함한다. Here, the stirring device includes: a stirrer body installed in the drying cabinet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drying cabinet; an elevating device installed on the stirrer body; It is fixed to the lifting device,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and includes a stirring rolle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stirring paddles.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교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교반 롤러를 최하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교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최하류 측의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상기 배출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교반 롤러를 인접한 상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d) 상기 교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교반 롤러가 위치한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인접한 하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e) 최상류 측의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이 인접한 하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될 때까지 상기 c) 단계와 d)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f) 상기 교반 롤러를 상기 투입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g) 상기 교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투입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상기 최상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반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stirr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a)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nd b)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moving the object in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to the discharge section, c)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the adjacent upstream stirring section, and d)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along the width direction. moving the object in the stirring section where the stirring roller is located to the adjacen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nd e) step c) until the object in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is moved to the adjacen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nd repeating steps d), f)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the input section, and g)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place the object in the input sec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moving to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제조 시스템은 펠릿을 고체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배기가스를 활용하여 펠릿의 원료가 되는 대상물을 건조하므로, 대상물의 건조를 위해 별도의 화석 연료 사용이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pellet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use of separate fossil fuel for drying the object because it dries the object that is the raw material for the pellet by utilizing the exhaust gas of a boiler that uses pellets as solid fu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펠릿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 장치가 건조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교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교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교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교반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투입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투입 단계에서의 교반 롤러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교반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과 11은 도 6의 교반 단계의 교반 롤러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배출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교반 장치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rying yard.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stirring device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tirring device of Figure 2.
Figure 5 is a top view of the stirring device of Figure 2.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stirring device shown in FIG. 2.
Figure 7 is a flowchart of the input step of Figure 6.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vement path of the stirring roller in the input step of FIG. 6.
Figure 9 is a flow chart of the stirring step of Figure 6.
Figures 10 and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path of the stirring roller in the stirring step of Figure 6.
Figure 12 is a flow chart of the discharge step of Figure 6.
Figure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vement spe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irring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The example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펠릿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릿 제조 시스템(1000)은 보일러(30)와, 공기 예열기(40)와, 배기가스 처리 장치(50)와, 교반 장치(100)와, 공기 공급장치(60)와, 펠릿 성형기(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pellet manufactur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iler 30, an air preheater 40, a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50, and a stirring device 100. It includes an air supply device (60) and a pellet molding machine (70).

보일러(30)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제조 시스템(1000)에서 생산된 펠릿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보일러(30)에 공급되는 펠릿은 사일로(35)에 저장될 수 있다. 사일로(35)에 저장된 펠릿은 스크루 컨베이어 등의 펠릿 이송장치(36)에 의해서 보일러(30)로 공급될 수 있다.The boiler 30 can use pellets produced in the pellet manufactur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aw material. Pellets supplied to the boiler 30 may be stored in the silo 35. Pellets stored in the silo 35 may be supplied to the boiler 30 by a pellet transport device 36 such as a screw conveyor.

보일러(30)는 펠릿이 연소되는 연소실(31)과, 연소실(31)과 연통된 열교환기(33)를 포함한다. 열교환기(33)는 물이 저장되는 탱크와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연관은 연소실(31)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탱크에 저장된 물은 연관을 흐르는 고온의 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서 가열된다. 보일러(30)에서 발생하는 온수와 증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펠릿 제조 시스템(1000)이 버섯 배지를 펠릿의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에, 보일러(30)에서 발생한 증기를 버섯 살균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boiler 30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31 in which pellets are burned, and a heat exchanger 33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1. The heat exchanger 33 may include a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pipe disposed inside the tank. The fire pipe is a passage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ga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31 passes.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is he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high-temperature gas flowing through the pipe. Hot water and steam generated from the boiler 30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when the pellet manufacturing system 1000 uses a mushroom medium as a raw material for pellets, steam generated in the boiler 30 can be used for mushroom sterilization.

공기 예열기(40)는 보일러(3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서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The air preheater 40 serves to heat the air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30 and the air.

배기가스 처리 장치(50)는 보일러(3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가스 처리 장치(50)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배기가스 내의 분진들을 제거하는 싸이클론 집진기(51)와 주머니형 필터를 이용하여 분진들을 제거하는 백필터(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50 serves to purify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30. The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50 may include a cyclone dust collector 51 that removes dust in the exhaust gas using centrifugal force and a bag filter 53 that removes dust using a bag-type filter.

교반 장치(100)는 건조장(1)에 설치되어, 건조장(1)에 적재된 버섯 배지 등의 대상물을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건조장(1)의 일 측면에는 공기 공급용 파이프(3)가 매설된다. 공기 예열기(4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는 공기 공급용 파이프(3) 통해서 건조장(1)의 내부로 유입된다. 가열된 공기는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다. 교반 장치(100)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The stirr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drying cabinet 1 and serves to stir objects such as mushroom medium loaded in the drying cabinet 1. An air supply pipe (3) is buried on one side of the drying facility (1). The air heated by the air preheater 40 flows into the drying room 1 through the air supply pipe 3. Heated air is used to dry objects. The stirr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공기 공급장치(60)는 공기 예열기(40)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공기를 공기 공급용 파이프(3)에 전달한다. 공기 공급장치(60)는 공기 예열기(40)와 공기 공급용 파이프(3)를 연결하는 덕트(61)와 덕트(61)에 설치된 송풍기(63)를 포함한다. The air supply device 60 delivers high 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reheater 40 to the air supply pipe 3. The air supply device 60 includes a duct 61 connecting the air preheater 40 and the air supply pipe 3, and a blower 63 installed in the duct 61.

건조장(1)에서 건조된 후 배출된 대상물은 컨베이어 벨트나, 스크루 컨베이어 등의 이송장치(65)를 통해서 원료 저장 장치(67)로 공급된다. The object discharged after being dried in the drying facility 1 is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storage device 67 through a transfer device 65 such as a conveyor belt or screw conveyor.

펠릿 성형기(70)는 원료 저장 장치(67)에 저장된 건조된 대상물을 컨베이어 벨트나, 스크루 컨베이어 등의 이송 장치(69)를 통해서 전달받아서 압출한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펠릿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펠릿 성형기(70)에 투입된 대상물은 다이스의 펠릿 성형 홀로 압출된다. 압출되어 나오는 대상물은 다이스 하부에 설치된 절단기를 통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다. 펠릿 성형기(70)에서 배출된 펠릿은 마찰열과 압축열에 의해서 고온 상태로 배출된다.The pellet molding machine 70 is a device that receives the dried object stored in the raw material storage device 67 through a transportation device 69 such as a conveyor belt or screw conveyor, extrudes it, and then cuts it to a certain size to mold pellets. The object input into the pellet molding machine 70 is extruded into the pellet molding hole of the die. The extruded object is cut to a certain size using a cutt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ie. Pellets discharged from the pellet molding machine 70 are discharged at a high temperature due to friction heat and compression heat.

고온 상태로 펠릿 성형기(70)로부터 배출된 펠릿은 컨베이어 벨트나, 스크루 컨베이어 등의 이송장치(73)를 통해서 냉각 장치(75)로 공급된다.Pellets discharged from the pellet molding machine 70 in a high temperature state are supplied to the cooling device 75 through a transfer device 73 such as a conveyor belt or screw conveyor.

냉각 장치(75)에서 냉각된 펠릿은 스크린 망 등을 구비하는 선별기(77)를 통과한 후에 사일로(79)에 저장될 수 있다. 사일로(79)에 저장된 펠릿은 보일러(30)에 펠릿을 공급하는 다른 사일로(35)로 이송될 수 있다.The pellets cooled in the cooling device 75 may be stored in the silo 79 after passing through a sorter 77 equipped with a screen net, etc. Pellets stored in silo 79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silo 35, which supplies pellets to the boiler 30.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교반 장치(10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irr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 장치가 건조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교반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교반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교반 장치의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rying yard,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stirring device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tirring device of Figure 2, and Figure 5 is the stirring device of Figure 2. This is a floor plan of the device.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1)은 대상물(M)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대상물(M)은 축사에서 배출되는 축분 또는 버섯 재배에 사용된 폐 배지 등일 수 있다. 건조장(1)은 보통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rying cabinet 1 provides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object M. The object (M) may be livestock waste discharged from a livestock farm or a waste medium used for mushroom cultivation. The drying shed (1) is usually a concrete structur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n open top.

건조장(1)의 내부 공간은 건조장(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대상물(M)이 투입되는 투입 구간(A1), 투입된 대상물(M)이 혼합 및 건조되는 교반 구간(A2) 및 건조된 대상물(M)이 배출되는 배출 구간(A3)을 포함한다.The internal space of the drying cabinet (1) is comprised of an input section (A1) into which the object (M) is introdu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abinet (1), a stirring section (A2) into which the introduced object (M) is mixed and dried, and a dried object ( Includes the discharge section (A3) where M) is discharg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1)의 측면에는 공기 공급용 파이프(3)가 매설된다. 공기 공급용 파이프(3)는 외부의 공기 공급장치(60)와 연결된다. 공기 공급용 파이프(3)를 통해서 상온의 외부 공기가 건조장(1) 아래쪽으로 공급된다. 투입 구간(A1)에는 대상물(M)의 투입에 사용될 수 있는 투입 컨베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 air supply pipe 3 is buried in the side of the drying facility 1. The air supply pipe (3) is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supply device (60). External air at room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bottom of the drying cabinet (1) through the air supply pipe (3). An input conveyor that can be used to input the object (M) may be installed in the input section (A1).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건조장(1)에는 건조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침출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drying facility 1 is provided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leachate that may occur during drying is discharged.

건조장(1) 끝의 배출 구간(A3)에는 건조된 대상물(M)을 배출 구간(A3)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5)나 이송 스크류 등이 설치될 수 있다.A conveyor belt 5 or a transfer screw may be installed in the discharge section A3 at the end of the drying facility 1 to transport the dried object M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section A3.

건조장(1)에는 건조장(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한 쌍의 교반 장치 이송용 레일(9)이 설치된다. 교반 장치 이송용 레일(9)은 건조장(1)의 바닥면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교반 장치 이송용 레일(9)은 건조장(1) 상부에 줄로 고정될 수도 있다.A pair of rails 9 for transporting stirring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drying cabinet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abinet 1. Rails 9 for transporting the stirr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loor of the drying cabinet 1. Additionally, the rail 9 for transporting the stirring device may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cabinet 1 with a string.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장치(100)는 지지 프레임(10)과, 지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교반기(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stirring device 100 includes a support frame 10 and a stirrer 2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0.

지지 프레임(10)은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지지 프레임(10)의 4개의 변(11, 13) 중에서 건조장(1)의 폭 방향 2개의 변(13)은, 지지 프레임(10)이 교반 장치 이송용 레일(9) 위에 올려질 수 있도록, 교반 장치 이송용 레일(9) 사이의 간격에 비해서 약간 더 길다.The support frame 10 is generally rectangular. Among the four sides 11 and 13 of the support frame 10, the two sides 13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ying cabinet 1 are so that the support frame 10 can be placed on the rail 9 for transporting the stirring device, It is slightly longer than the gap between the stirring device transport rails (9).

지지 프레임(10)의 하면의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제1 바퀴(15)가 설치된다. 제1 바퀴(15)들은 교반 장치 이송용 레일(9)에 올려진다. 제1 바퀴(15)들과 연결된 구동모터(미도시)가 작동하면 지지 프레임(10)이 교반 장치 이송용 레일(9)을 따라서 건조장(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지지 프레임(10)의 건조장(1)의 폭 방향 2개 변(13)의 상면에는 교반기 이송용 레일(17)이 설치된다.First wheels 15 are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respectively. The first wheels 15 are mounted on the rail 9 for conveying the stirring device. When the drive mo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wheels 15 operates, the support frame 1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yard 1 along the rail 9 for transporting the stirring device. Rails 17 for transporting the stirrer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wo sides 13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ying cabinet 1 of the support frame 10.

교반기(20)는 교반기 몸체(21)와, 교반기 몸체(21)에 설치되는 승강장치(23)와, 승강 장치(23)에 고정되는 교반 롤러(25)를 포함한다.The stirrer 20 includes a stirrer body 21, a lifting device 23 installed on the stirrer body 21, and a stirring roller 25 fixed to the lifting device 23.

교반기 몸체(21)의 하면의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제2 바퀴(22)가 설치된다. 제2 바퀴(22)들과 연결된 구동모터(미도시)가 작동하면 교반기 몸체(21)가 교반기 이송용 레일(17)을 따라서 건조장(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국, 교반기 몸체(21)는 건조장(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econd wheels 22 are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er body 21, respectively. When the drive mo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wheels 22 operates, the stirrer body 21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ying yard 1 along the stirrer transport rail 17. Ultimately, the stirrer body 21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drying cabinet 1.

승강장치(23)는 교반기 몸체(21)에 설치된다. 승강장치(23)는 유압 장치일 수 있다. 승강장치(23)는 교반 롤러(2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교반 롤러(25)가 내려가면 교반 패들(26)들이 대상물(M) 내부에 파묻히며, 교반 롤러(25)가 올라가면, 교반 패들(26)들이 대상물(M)로부터 멀어진다.The lifting device 23 is installed on the stirrer body 21. The lifting device 23 may be a hydraulic device. The lifting device 23 serves to move the stirring roller 25 up and down. When the stirring roller 25 goes down, the stirring paddles 26 are buried inside the object M, and when the stirring roller 25 goes up, the stirring paddles 26 move away from the object M.

교반 롤러(25)는 회전 축과 회전 축에 설치되는 교반 패들(26)들을 포함한다. 교반 패들(26)들은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축의 양단에 각각 30도 간격으로 6개씩 총 12개의 교반 패들(26)이 설치된다. 교반 패들(26)은 회전 축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부(27)와, 내측부(27)로부터 연장되며 내측부(27)와 둔각을 이루는 외측부(28)를 포함한다. 교반 롤러(25)는 복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The stirring roller 25 includes a rotating shaft and stirring paddles 26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Stirring paddles 26 are installed at regular an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ure 3,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12 stirring paddles 26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axis, 6 at intervals of 30 degrees. The stirring paddle 26 includes an inner portion 27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an outer portion 28 extending from the inner portion 27 and making an obtuse angle with the inner portion 27. A plurality of stirring rollers 25 may be installed.

교반 롤러(25)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방향은 도 3에서 교반 롤러(25)의 회전 축을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을 의미한다.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을 의미한다. 교반 패들(26)의 외측부(28)는 회전 축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치우치게 굽어 있다.The stirring roller 25 may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rection refers to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looking at the rotation axis of the stirring roller 25 in FIG. 3. The second direction means clockwise. The outer portion 28 of the stirring paddle 26 is biased and bent in a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교반 롤러(25)가 내려간 상태에서 교반 롤러(25)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교반 패들(26)들이 건조 대상물(M)을 들어올려서 건조 대상물(M)을 비교적 멀리 이동시킨다.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교반 패들(26)들이 건조 대상물(M)을 파고들면서 밀어서 건조 대상물(M)을 비교적 가까운 거리로 이동시킨다.When the stirring roller 25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stirring roller 25 is lowered, the stirring paddles 26 lift the drying object M and move the drying object M relatively far. When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tirring paddles 26 dig into the drying object M and push it to move the drying object M a relatively short distance.

이하, 상술한 교반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교반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Hereinafter, the control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stirring device will be described.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stirring device shown in FIG.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장치의 제어 방법은 대상물(M)의 투입 단계(S1), 대상물(M)의 교반 단계(S2) 및 대상물(M)의 배출 단계(S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includes an input step (S1) of the object (M), a stirring step (S2) of the object (M), and a discharge step (S3) of the object (M).

투입 단계(S1) 단계는 건조장(1)의 투입 구간(A1)에 투입된 대상물(M)을 교반 구간(A2)의 최상류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교반 구간(A2)의 최상류 측에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건조장(1)의 교반 구간(A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대상물(M)을 최하류 측 교반 구간(A2)에 저장된 대상물(M)부터 순차적으로 하류 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류 측과 하류 측은 대상물(M)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즉, 교반 구간(A2) 중에서 투입 구간(A1)에 가까운 부분이 상류 측이며, 배출 구간(A3)에 가까운 부분이 하류 측이다. The input step (S1) is a step in which the object (M) inputted into the input section (A1) of the drying plant (1) is moved to the most upstream side of the stirring section (A2). For this purpose, space must be provided on the most upstream side of the stirring section (A2), so the object (M) previously stored in the stirring section (A2) of the drying yard (1) is stored in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 It is sequentially moved to the downstream side starting from 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are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M). That is, of the stirring section A2, the portion close to the input section A1 is the upstream side, and the portion close to the discharge section A3 is the downstream side.

투입 단계(S1)가 완료되면 최하류 측 교반 구간(A2)에 저장된 대상물(M)을 배출 구간(A3)으로 이동되고, 투입 구간(A1)으로 새로 투입된 대상물(M)을 최상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최하류 측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 이외의 대상물(M)들은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하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건조장(1)에 투입된 대상물(M)들은 투입 순서대로 배치된다.When the input step (S1) is completed, the object (M) stored in the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is moved to the discharge section (A3), and the newly introduced object (M) into the input section (A1) is moved to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 Moves to A2). And objects M other than the object M in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sequentially move to the adjacen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Accordingly, the objects M introduced into the drying yard 1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introduction.

도 7은 도 6의 투입 단계의 순서도이며, 도 8은 도 6의 투입 단계의 교반 롤러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flowchart of the input step of FIG. 6, and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vement path of the stirring roller in the input step of FIG. 6.

투입 단계(S1)는,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롤러(25)를 최하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1)로 시작된다.The input step (S1) begins with a step (S11) of moving the stirring roller 25 to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as shown in FIGS. 7 and 8.

본 단계(S11)는 교반 패들(26)들이 대상물(M)로부터 멀어지도록, 승강장치(23)를 작동시켜 교반 롤러(25)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교반기 몸체(21)를 이동시켜서 교반 롤러(25)를 최하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교반 패들(26)들이 상기 대상물(M)에 파묻히도록, 승강장치(23)를 작동시켜 상기 교반 롤러(25)를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is step (S11) involves raising the stirring roller 25 by operating the lifting device 23 so that the stirring paddles 26 move away from the object M, and moving the stirrer body 21 to move the stirring roller ( 25) to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and operating the lifting device 23 to lower the stirring roller 25 so that the stirring paddles 26 are buried in the object M. Includes steps.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 롤러(25)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교반기 몸체(21)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교반 패들(26)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교반 롤러(25)를 최하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stirrer body 21 with the stirring roller 25 raised, but in some cases, the stirring roller 25 is moved to the most downstream side with the stirring paddle 26 lowered. It can also be moved to the stirring section (A2).

다음, 최하류 측의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을 배출 구간(A3)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2)가 진행된다.Next, a step (S12) of moving the object (M) from the stirring section (A2) on the most downstream side to the discharge section (A3) is performed.

본 단계(S12)는 교반 롤러(25)를 회전시키면서, 교반기 몸체(21)를 건조장(1)의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교반 롤러(25)가 회전하면 교반 패들(26)들이 대상물(M)을 배출 구간(A3) 방향으로 던지거나, 밀어낸다. 교반 롤러(25)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교반 패들(26)들이 대상물(M)을 들어서 배출 구간(A3) 방향으로 던지며, 제2 방향으로 회진시키면 교반 패들(26)들이 대상물(M)을 배출 구간(A3) 방향으로 민다.This step (S12) includes moving the stirrer body 21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ying cabinet 1 while rotating the stirrer roller 25. When the stirring roller 25 rotates, the stirring paddles 26 throw or push the object M toward the discharge section A3. When the stirring roller 25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stirring paddles 26 lift the object M and throw it toward the discharge section A3. When the stirring roller 25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tirring paddles 26 lift the object M. Push it toward the discharge section (A3).

도 8에는 교반 롤러(25)가 폭 방향으로 한 번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건조장(1)의 폭 방향을 따라서 교반 롤러(25)를 여러 차례 왕복 이동시킬 수도 있다.In FIG. 8, the stirring roller 25 is shown to move once in the width direction, but the stirring roller 25 may be moved back and forth several tim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ying yard 1.

다음, 교반 롤러(25)를 인접한 상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3)가 진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인접한 상류 측 교반 구간(A2)에 교반 롤러(25)가 위치하도록 상기 교반기 몸체(21)를 이동시킨다.Next, a step (S13) of moving the stirring roller 25 to the adjacent upstream stirring section A2 is performed. In this step, the stirrer body 21 is moved so that the stirring roller 25 is located in the adjacent upstream stirring section A2.

다음, 교반 롤러(25)가 위치한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을 인접한 하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4)가 진행된다.Next, a step (S14) of moving the object M in the stirring section A2 where the stirring roller 25 is located to the adjacen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is performed.

본 단계에서는 S12 단계와 마찬가지로 교반 롤러(25)를 회전시키면서, 교반기 몸체(21)를 건조장(1)의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대상물(M)을 하류 측의 교반 구간(A2)으로 이동시킨다. 본 단계에서는 건조장(1)의 양쪽 폭 방향 중에서 S12 단계에서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교반기 몸체(21)를 이동시킨다.In this step, while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25 as in step S12, the stirrer body 21 is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ying cabinet 1 to move the object M to the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 In this step, the stirrer body 21 is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step S12 among both width directions of the drying cabinet 1.

다음, 최상류 측의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이 인접한 하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될 때까지 S13 단계와 S14 단계를 반복한다(S15).Next, steps S13 and S14 are repeated until the object M in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A2 is moved to the adjacen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S15).

다음, 교반 롤러(25)를 투입 구간(A1)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6)가 진행된다.Next, a step (S16) of moving the stirring roller 25 to the input section A1 is performed.

마지막으로, 교반 롤러(25)를 회전시키면서, 교반기 몸체(21)를 건조장(1)의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투입 구간(A1)의 대상물(M)을 최상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시킨다(S17).Finally, while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25, the stirrer body 21 is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ying cabinet 1, thereby moving the object M in the input section A1 to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A2. Do it (S17).

필요한 경우에는 S11 내지 S17 단계가 여러 차례 반복될 수도 있다.If necessary, steps S11 to S17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다음, 도 9 내지 11을 참고하여 교반 단계(S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6의 교반 단계의 순서도이며, 도 10과 11은 도 6의 교반 단계의 교반 롤러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the stirring step (S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Figure 9 is a flowchart of the stirring step of Figure 6, and Figures 10 and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path of the stirring roller in the stirring step of Figure 6.

교반 단계(S2)는 교반 구간(A2)들에 저장된 대상물(M)들의 인접하는 교반 구간(A2)들이나 다른 구역으로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대상물(M)들을 교반하는 단계이다.The stirring step (S2) is a step of stirring the objects (M) stored in the stirring sections (A2) while minimizing movement of the objects (M) stored in the stirring sections (A2) to adjacent stirring sections (A2) or other areas.

교반 단계(S2)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하나는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교반기 몸체(21)를 이동시키면서 교반하는 단계(제1 교반 단계, S21 내지 S25, 도 9 참조)이며, 다른 하나는 하류 측에서 상류 측으로 교반기 몸체(21)를 이동시키면서 교반하는 단계(제2 교반 단계, S26 내지 S29, 도 10 참조)이다. 교반하는 과정에서 원치않게 대상물(M)이 건조장(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1 교반 단계와 제2 교반 단계에서의 교반 롤러(25)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을 최소화한다.The stirring step (S2) is largely divided into two steps. One is a step of stirring while moving the stirrer body 21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first stirring step, S21 to S25, see Figure 9), and the other is a step of stirring while moving the stirrer body 21 from the downstream side to the upstream side. This is a stirring step (second stirring step, S26 to S29, see FIG. 10). Since the object M may unintentionall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cabinet 1 during the stirring proc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stirring roller 25 in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steps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is is done to minimiz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교반 단계는,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류 측 교반 구간(A2)에 상기 교반 롤러(25)가 위치하도록 교반기 몸체(21)를 이동시키는 단계(S21)로 시작된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first stirring step begins with a step (S21) of moving the stirrer body 21 so that the stirring roller 25 is located in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A2.

다음, 최상류 측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을 교반한다(S22).Next, the object (M) in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A2) is stirred (S22).

본 단계(S22)는 교반 롤러(25)가 하강한 상태에서 교반 롤러(25)를 제1 회전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교반기 몸체(21)를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This step (S22) is a step of moving the stirrer body 21 along the width direction while rotating the stirrer roller 25 in the first or second rotation direction while the stirrer roller 25 is lowered.

다음, 교반 롤러(25)를 인접하는 하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시킨다(S23).Next, the stirring roller 25 is moved to the adjacen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S23).

그리고 교반 롤러(25)를 S22 단계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교반기 몸체(21)를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교반 롤러(25)가 위치한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을 교반한다(S24).And while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25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in step S22, the stirrer body 21 is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remove the object M in the stirring section A2 where the stirring roller 25 is located. Stir (S24).

최하류 측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이 교반될 때까지 S23 단계와 S24 단계를 반복한다(S25).Steps S23 and S24 are repeated until the object (M) in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is stirred (S25).

제2 교반 단계는, 도 9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롤러(25)가 하강한 상태에서 교반 롤러(25)를 S22 단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교반기 몸체(21)를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최하류 측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을 교반하면서 원위치시키는 단계(S26)로 시작된다.In the second stirring step, as shown in FIGS. 9 and 11, while the stirring roller 25 is lowered, the stirring roller 25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step S22, and the stirrer body 21 is It begins with a step (S26) of mov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returning the object M in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2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stirring.

다음, 교반 롤러(25)를 인접하는 상류 측 교반 구간(A2)으로 이동시킨다(S27).Next, the stirring roller 25 is moved to the adjacent upstream stirring section A2 (S27).

다음, 교반 롤러(25)가 하강한 상태에서 교반 롤러(25)를 S22 단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교반기 몸체(21)를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교반 롤러(25)가 위치한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을 교반하면서 원위치시킨다(S28).Next, with the stirring roller 25 lowered, the stirring roller 25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in step S22, and the stirrer body 21 is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move the stirring roller 25 to the position where the stirring roller 25 is located. The object (M) in the stirring section (A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being stirred (S28).

다음, 최상류 측 교반 구간(A2)의 대상물(M)이 교반될 때까지 S27 및 S28 단계를 반복한다(S29).Next, steps S27 and S28 are repeated until the object (M) in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A2) is stirred (S29).

위와 같이, 제1 교반 단계와 제2 교반 단계를 교대로 진행하면, 제1 교반 단계에서 교반 롤러(25)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한 대상물(M)이, 제2 교반 단계에서 교반 롤러(25)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원위치로 이동한다.As above, when the first stirring step and the second stirring step are alternately performed, the object M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roller 25 in the first stirring step is moved by the stirring roller 25 in the second stirring step. It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다음, 도 12를 참고하여 배출 단계(S3)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discharge step (S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배출 단계(S3)는 건조가 완료된 배출 구간(A3)의 대상물(M)을 건조장(1)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The discharge step (S3)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object (M) of the discharge section (A3) in which drying has been complet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facility (1).

배출 단계(S3)에서는 교반 롤러(25)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대상물(M)을 배출 구간(A3)의 하류 측으로 밀어내고, 배출 구간(A3)의 하류 측에서는 교반 롤러(25)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밀려난 대상물(M)을 들어올린 후 이송장치 위로 던지도록 교반 장치(100)를 제어한다.In the discharge step (S3), the object (M) is push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discharge section (A3) while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25)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tirring roller (25) is mov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discharge section (A3) in the first direction. The stirring device 100 is controlled to lift the object (M) that has been pushed out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and then throw it onto the transfer devic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단계(S3)는 교반 롤러(25)를 상류 측 배출 구간(A3)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1)로 시작된다.As shown in FIG. 12, this step (S3) begins with a step (S31) of moving the stirring roller 25 to the upstream discharge section (A3).

다음, 교반 롤러(25)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교반기 몸체(21)를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류 측 배출 구간(A3)의 대상물(M)을 하류 측 배출 구간(A3)으로 이동시킨다(S32).Next, while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25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tirrer body 21 is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move the object M in the upstream discharge section A3 to the downstream discharge section A3. Do it (S32).

다음, 교반 롤러(25)를 하류 측 배출 구간(A3)으로 이동시킨다(S33).Next, the stirring roller 25 is moved to the downstream discharge section A3 (S33).

그리고 교반 롤러(25)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교반기 몸체(21)를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하류 측 배출 구간(A3)의 대상물(M)을 배출 구간(A3)에 설치된 이송장치 위로 공급한다(S34). 이송장치로는 컨베이어 벨트(5)나 이송 스쿠류를 사용할 수 있다.And while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25 in the first direction, the stirrer body 21 is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move the object M in the downstream discharge section A3 onto the transfer device installed in the discharge section A3. Supply (S34). A conveyor belt (5) or a transfer screw can be used as a transfer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술한 투입, 교반, 배출 단계 모두에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교반 장치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moving spe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irring device in the following manner in all of the above-described input, stirring, and discharge steps.

도 13은 교반 장치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속도의 제어는 교반 롤러(25)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S41), 교반 롤러(25)의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미만일 경우에는 교반기 몸체(21)를 후퇴시키는 단계(S42), 교반기 몸체(21)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를 기준 속도에 비해서 느린 속도로 조절하는 단계(S43)를 포함한다. Figure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vement spe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irring device. Referring to FIG. 13, control of the moving speed includes measur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ing roller 25 (S41), and retracting the stirrer body 21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ing roller 25 is less than the reference rotation speed. (S42), and a step (S43) of adjusting the moving spe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irrer body 21 to a slower speed compared to the reference speed.

교반 롤러(25)의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미만으로 떨어지면 교반 롤러(25)에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볼 수 있다. 교반 롤러(25)의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미만으로 떨어지면 교반기 몸체(21)를 현재의 교반기 몸체(21)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조금 후퇴시킨다. 그러면 회전수가 기존 회전수 이상으로 회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교반기 몸체(21)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를 기준 속도에 비해서 느린 속도로 조절한다. 그러면 교반 롤러(25)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로 폭 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다시 폭 방향 이동 속도를 정상 속도로 회복시킨다.If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ing roller 25 falls below the standard rotation speed, the stirring roller 25 can be considered to be overloaded.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ing roller 25 falls below the standard rotation speed, the stirrer body 21 is slightly retracted based on the current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tirrer body 21. Then, the rotation speed is restored to the original rotation speed or higher. In this state, the moving spe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irrer body 21 is adjusted to a slower speed compared to the reference speed. Then, the stirring roller (25) is not overloaded. When the width direction movement is completed in this state, the width direction movement speed is restored to the normal speed.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erely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may be possible, and such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펠릿 제조 시스템
1: 건조장
5: 컨베이어 벨트
9: 교반 장치 이송용 레일
A1: 투입 구간
A2: 교반 구간
A3: 배출 구간
100: 교반 장치
10: 지지 프레임
15: 제1 바퀴
17: 교반기 이송용 레일
20: 교반기
21: 교반기 몸체
22: 제2 바퀴
23: 승강장치
25: 교반 롤러
26: 교반 패들
30: 보일러
40: 공기 예열기
50: 배기가스 처리 장치
60: 공기 공급장치
70: 펠릿 성형기
1000: Pellet manufacturing system
1: Drying room
5: Conveyor belt
9: Rail for transporting stirring device
A1: Input section
A2: Stirring section
A3: Discharge section
100: stirring device
10: support frame
15: 1st wheel
17: Rail for transporting agitator
20: stirrer
21: stirrer body
22: second wheel
23: Elevating device
25: stirring roller
26: Stirring paddle
30: Boiler
40: air preheater
50: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60: air supply device
70: Pellet forming machine

Claims (8)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서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예열기와,
상기 공기 예열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고, 대상물이 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 구간, 상기 대상물이 혼합 및 건조되는 교반 구간, 및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 구간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건조장에 설치되는 교반 장치와,
상기 건조장에서 건조 및 교반된 상기 대상물을 이용하여 펠릿을 성형하는 펠릿 성형기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장치는,
상기 건조장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장에 설치되는 교반기 몸체와,
상기 교반기 몸체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장치의 작동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며, 회전하는 복수의 교반 패들들이 설치된 교반 롤러를 포함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의 상기 교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투입 단계와 교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 단계는,
a) 상기 교반 롤러를 최하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교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최하류 측의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상기 배출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교반 롤러를 인접한 상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d) 상기 교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교반 롤러가 위치한 상기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인접한 하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e) 최상류 측의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이 인접한 하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될 때까지 상기 c) 단계와 d)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f) 상기 교반 롤러를 상기 투입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g) 상기 교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투입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상기 최상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단계에서는 상기 교반 롤러를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시키면서 교반하는 제1 사이클과 상기 교반 롤러를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시키면서 교반하는 제2 사이클이 교대로 진행되며,
상기 제1 사이클은,
h) 상기 교반 롤러를 상기 최상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i) 상기 교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최상류 측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교반하는 단계와,
j) 상기 교반 롤러를 인접하는 하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k) 상기 교반 롤러를 상기 i) 단계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교반 롤러가 위치한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교반하는 단계와,
l) 상기 최하류 측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이 교반될 때까지 상기 j) 단계와 k)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이클은,
m) 상기 교반 롤러를 상기 i) 단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최하류 측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교반하면서 원위치시키는 단계와,
n) 상기 교반 롤러를 인접하는 상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o) 상기 교반 롤러를 상기 i) 단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교반 롤러가 위치한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교반하면서 원위치시키는 단계와,
p) 상기 최상류 측 교반 구간의 상기 대상물이 교반될 때까지 상기 n) 단계와 o)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반 장치의 제어방법.
A boiler using pellets as fuel,
an air preheater that heats the air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and the air;
An internal space is provided into which air heated by the air preheater flows in and becomes an object, and the internal space includes an input section into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a stirring section into which the object is mixed and dried, and a discharge section into which the object is discharged. a stirring device installed in a drying shed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 pellet molding machine that molds pellets using the object dried and stirred in the drying room,
The stirring device is,
a stirrer body installed in the drying cabinet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drying cabinet;
An elevating device installed on the stirrer body,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of a pellet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 stirring roller fixed to the lifting devic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an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stirring paddles,
It includes an input step and a stirring step,
The input step is,
a)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b)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move the object in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to the discharge section;
c)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an adjacent upstream stirring section;
d)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move the object in the stirring section where the stirring roller is located to an adjacen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e) repeating steps c) and d) until the object in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is moved to the adjacen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f)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the input section;
g)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move the object in the input section to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In the stirring step, a first cycle of stirring while moving the stirring roller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nd a second cycle of stirring while moving the stirring roller from downstream to upstream are alternately performed,
The first cycle is,
h)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i)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stir the object in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j)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an adjacen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k)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step i)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stir the object in the stirring section where the stirring roller is located;
l) repeating steps j) and steps k) until the object in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is stirred,
The second cycle is,
m)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step i)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return the object in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stirring;
n)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an adjacent upstream stirring section;
o)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step i)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return the object in the stirring section where the stirring roller is loc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stirring;
p) A method of controlling a stirring device comprising repeating steps n) and steps o) until the object in the most upstream stirring section is stir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패들은,
상기 교반 롤러의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로부터, 상기 회전 축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치우치게 상기 내측부와 둔각을 이루며 연장된 외측부를 포함하는 교반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irring paddle is,
an inner portion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tirring roller;
A control method of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n outer part extending from the inner part and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the inner part biased in a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교반 패들들이 상기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승강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교반 롤러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a-2) 상기 교반 롤러를 최하류 측 교반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a-3) 상기 교반 패들들이 상기 대상물에 파묻히도록, 상기 승강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교반 롤러를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반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In step a),
a-1) operating the lifting device to raise the stirring roller so that the stirring paddles move away from the object;
a-2)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the most downstream stirring section;
a-3) A control method of a stirr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lowering the stirring roller by operating the lifting device so that the stirring paddles are buried in the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교반 롤러를 상류 측 배출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교반 롤러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상류 측 배출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하류 측 배출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교반 롤러를 상기 하류 측 배출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교반 롤러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하류 측 배출 구간의 상기 대상물을 상기 배출 구간에 설치된 이송장치 위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반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fter step b) above,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the upstream discharge section;
moving the object in the upstream discharge section to the downstream discharge section by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in a second direction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moving the stirring roller to the downstream discharge sec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stirr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rotating the stirring roller in a first direction and moving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supply the object in the downstream discharge section onto a transfer device installed in the discharge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롤러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 롤러의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교반기 몸체를 후퇴시키는 단계와,
상기 교반기 몸체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를 기준 속도에 비해서 느린 속도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반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measur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stirring roller;
Retracting the stirrer body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ing roller is less than the reference rotation speed;
A method of controlling a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moving spe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irrer body to a slower speed compared to the reference spe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90346A 2023-07-12 2023-07-12 Pellet Forming System with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KR102640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346A KR102640168B1 (en) 2023-07-12 2023-07-12 Pellet Forming System with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346A KR102640168B1 (en) 2023-07-12 2023-07-12 Pellet Forming System with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168B1 true KR102640168B1 (en) 2024-02-23

Family

ID=9004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346A KR102640168B1 (en) 2023-07-12 2023-07-12 Pellet Forming System with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168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524A (en) 2011-02-09 2012-08-20 신동익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uel wood pellet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1442689B1 (en) 2013-06-19 2014-09-23 고유라 Biomass pellet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444893B1 (en) 2012-05-30 2014-09-26 해표산업 주식회사 The pellet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system
KR20150134670A (en)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하원 이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solid fuel from livestock sludge
KR20160106281A (en) 2015-03-02 2016-09-12 (주)해창 Removable multi-purpose pellet manufacturing appratus
KR101668454B1 (en) 2015-12-23 2016-10-20 주식회사 토비이앤지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powder compost or pellet compost
KR101772906B1 (en) 2016-12-28 2017-08-30 (주)규원테크 Pellet forming system
KR20180006139A (en) * 2016-07-08 2018-01-17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Fermentation vessel agitating device of double blade typ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524A (en) 2011-02-09 2012-08-20 신동익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uel wood pellet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1444893B1 (en) 2012-05-30 2014-09-26 해표산업 주식회사 The pellet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system
KR101442689B1 (en) 2013-06-19 2014-09-23 고유라 Biomass pellet manufacturing equipment
KR20150134670A (en)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하원 이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solid fuel from livestock sludge
KR20160106281A (en) 2015-03-02 2016-09-12 (주)해창 Removable multi-purpose pellet manufacturing appratus
KR101668454B1 (en) 2015-12-23 2016-10-20 주식회사 토비이앤지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powder compost or pellet compost
KR20180006139A (en) * 2016-07-08 2018-01-17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Fermentation vessel agitating device of double blade type
KR101772906B1 (en) 2016-12-28 2017-08-30 (주)규원테크 Pellet form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2319B2 (en) Dryer, drying method and drying plant
AU20022311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incineration of sewage sludge
CA235212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wood particles
US6249988B1 (en) Particulate drying system
US20030196577A1 (en) Two-stage wet waste gasifier and burner
CN101210679B (en) Gyration type sludge desiccation material-feeding device for sludge burning furnace
KR102640168B1 (en) Pellet Forming System with a Stir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Device
JP6502569B1 (en) Drying apparatus and drying system
JP2017087126A (en) Carbonization facility of sludge
JP6805486B2 (en) Transport device
US4706645A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thermal power for a power plant
JP2011127270A (en) Asphalt plant
CN106698013A (en) Wood chip discharging and live bottom bin system
WO2012042099A1 (en) Drying apparatus
CN206569750U (en) A kind of wood chip discharging and live bottom bin system
US20150107497A1 (en) Solid waste incinerator system
CA2421462A1 (en) Two-stage wet waste gasifier and burner
JP6670796B2 (en) Dryer
CN105645718B (en) A set of sludge drying device
CN212930061U (en) Straw round bag automatic feeding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for flue gas dust removal and straw drying simultaneously
CN117299743B (en) Garden garbage degradation system
CN211739800U (en) Drying device of fertilizer
KR102563241B1 (en) Energy saving type biochar production system using organic matter
CN218270081U (en) Biomass fuel particle drying machine capable of heating uniformly
JPS59142288A (en) Fuel and its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