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509B1 - 스마트 무인택배함 - Google Patents

스마트 무인택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509B1
KR102639509B1 KR1020230086796A KR20230086796A KR102639509B1 KR 102639509 B1 KR102639509 B1 KR 102639509B1 KR 1020230086796 A KR1020230086796 A KR 1020230086796A KR 20230086796 A KR20230086796 A KR 20230086796A KR 102639509 B1 KR102639509 B1 KR 10263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ing
fixing plate
front panel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오석
Original Assignee
(주)금성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이엔씨 filed Critical (주)금성이엔씨
Priority to KR102023008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에 소화용수가 설치되는 배관조립체의 일측으로 해당 층 또는 해당 세대의 택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마트 무인택배함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무인택배함{smart unmanned courier}
본 발명은 스마트 무인택배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면에 소화용수가 설치되는 배관조립체의 일측으로 해당 층 또는 해당 세대의 택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마트 무인택배함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주문한 물건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주문한 당사자 혹은 동거인이 운송지, 예컨대 주문자의 거주지에 머무르며 상품의 운송을 기다려야 한다. 이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한 물건을 본인이 직접 가지고 오지 않고,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이 경우, 주문자나 동거인이 상품이 운송될 거주지나 영업소를 비우게 되면, 주문하거나 구매한 물건을 제때에 배달받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경우에도 경비원이 상주하며 운송되는 물품을 보관해 주는 경우가 있으나, 경비원이 물건을 보관해 주더라도, 단순히 물건을 대신 받아두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경비원이 상주하지 않는 경우, 물품이 고가인 경우 또는 훼손되기 쉬운 물건인 경우에는 주문자나 동거자가 직접 물건을 수령하기 위해 거주지에 머물러 있어야만 했다. 물품의 운송이 정확히 예정된 시간에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란 점을 감안하면, 주문자나 동거자는 원하는 물건을 배달받기 위해서 거주지에 머무르며 계속해서 기다리는 시간적인 손해까지 감수해야 했다.
또한, 최근에는 여성이 혼자 거주하는 경우나, 낮에는 어린 자녀들만 집에 있는 경우가 증가하여, 안전상의 이유로 상품 운송자로부터 직접 물건을 수령하길 꺼리는 경향도 있다.
이에 따라 거주자가 물품이 운송될 거주지를 비우거나, 직접 물품을 수령하지 않더라도, 인터넷 쇼핑몰 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주문한 물품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운송되어 손상 없이 보관될 수 있는 무인택배시스템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무인택배시스템은 물품을 단순히 수납하여 보관만할 뿐이고, 냉장 보관, 냉동 보관과 같은 물품의 특성에 맞추어 보관하지는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냉장 보관이나 냉동 보관인 제품을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면 단시간 보관에는 문제가 없으나, 장시간 보관시에는 물품이 상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악취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무인택배시스템에 냉장 또는 냉동 설비를 갖추지 못한 점에 기인한 것도 있으나, 가사 냉장 또는 냉동 설비를 갖추고 있더라도 택배원이 배달되는 물품이 냉장 보관을 요구하는지, 냉동 보관을 요하는지를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택배원이 해당 물품의 특성을 파악하여 택배함에 보관할 수 있으며, 택배함은 배달되는 물품의 특성에 맞추어 보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무인택배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62285호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에 설치되는 소화용수가 내장된 배관조립체 상에 해당 세대의 택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에 소화용수가 설치되는 배관조립체의 일측으로 해당 층 또는 해당 세대의 택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마트 무인택배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인택배함은, 건축물 천정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상부고정판과, 상부고정판과 대응되는 건축물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고정판과,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의 전면 일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전면패널과,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의 전면 타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전면패널과,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의 일측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측면패널과, 상부고정판 일측단에 형성되는 안착단에 걸림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전면패널과 제2전면패널과 측면패널의 상단으로 형성되는 삽입단과, 안착단에 안착 결합되는 삽입단이 안착단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일정 탄성을 갖도록 안착단에 삽입 형성되는 탄성체와, 삽입단이 걸림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고정판 일측단에 형성되는 안착단과, 하부고정판 일측단에 형성되는 고정틀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전면패널과 제2전면패널과 측면패널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고정단과, 고정단에 안착되어 각 패널이 하부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고정판 일측단으로 형성되는 고정틀과, 제2전면패널에 각각 형성되는 물건보관물을 통해 물건이 투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 사이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물건보관틀과, 보관제어기가 매립될 수 있도록 물건보관틀 상부로 형성되는 제어기안착틀과, 소화전에서 사용되는 소화수가 외부로부터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 사이 타측으로 형성되는 소화배관과, 물건보관틀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전면패널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2전면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물건보관문과, 각각의 물건보관문의 개폐제어를 하며, 해당물건에 대한 해당세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제2전면패널 상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보관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인택배함은, 보관될 택배물건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에 맞는 해당 물건보관틀 측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한 무게감지보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게감지보관부는, 승하강스크류가 매립되며, 승하강되는 물건안착판을 지지하기 위해 물건보관틀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관과, 승하강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승하강관 상부로 형성되는 승하강모터와, 결합되는 스크류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측이 승하강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하강관 내부 바닥면에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 형성되는 승하강스크류와, 승하강스크류에 결합되어 승하강스크류의 회전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부재와, 가압센서를 타격함에 따라 타격정보를 제공받은 바모터의 구동으로 택배물건을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것으로, 스크류부재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물건안착판과, 바모터의 구동시 물건안착판을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바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물건안착판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판힌지바와, 판힌지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물건안착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모터와, 물건안착판 일측으로 타격시 충격을 가압센서 측으로 제공하며, 물건안착판의 회전시 지면에 접촉됨에 따라 가압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가압센서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실리콘패드와, 사용자가 터치 또는 타격시 충격정보를 바모터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물건안착판 일측면에 부착되고, 타측은 실리콘패드가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압센서와, 물건안착판에 안착되는 택배물건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보관제어기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물건안착판 타측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화용수가 내장된 소화전과 일체화 하여 해당 층의 해당 세대의 택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문앞에 택배를 보관하여 분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마트 무인택배함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설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무게감지보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물건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진동감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마트 무인택배함(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설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무인택배함(100)은 건축물 벽면에 소화용수가 설치되는 배관조립체의 일측으로 해당 층 또는 해당 세대의 택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인택배함(100)은 상부고정판(110), 하부고정판(111), 제1전면패널(112), 제2전면패널(113), 측면패널(114), 삽입단(115), 탄성체(116), 안착단(117), 고정단(118), 고정틀(119), 물건보관틀(120), 제어기안착틀(121), 소화배관(122), 물건보관문(123), 보관제어기(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판(110)은 건축물 천정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11)은 상부고정판(110)과 대응되는 건축물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면패널(112)은 상부고정판(110)과 하부고정판(111)의 전면 일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전면패널(113)은 상부고정판(110)과 하부고정판(111)의 전면 타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패널(114)은 상부고정판(110)과 하부고정판(111)의 일측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단(115)은 상부고정판(110) 일측단에 형성되는 안착단(117)에 걸림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단(115)은 제1전면패널(112)과 제2전면패널(113)과 측면패널(114)의 상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116)는 안착단(117)에 안착 결합되는 삽입단(115)이 안착단(117)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일정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체(116)는 안착단(117)에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단(117)은 삽입단(115)이 걸림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단(117)은 상부고정판(110) 일측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118)은 하부고정판(111) 일측단에 형성되는 고정틀(119)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단(118)은 제1전면패널(112)과 제2전면패널(113)과 측면패널(114)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틀(119)은 고정단(118)에 안착되어 각 패널이 하부고정판(1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틀(119)은 하부고정판(111) 일측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건보관틀(120)은 제2전면패널(113)에 각각 형성되는 물건보관물을 통해 물건이 투입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물건보관틀(120)은 상부고정판(110)과 하부고정판(111) 사이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안착틀(121)은 보관제어기(124)가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기안착틀(121)은 물건보관틀(12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배관(122)은 소화전에서 사용되는 소화수가 외부로부터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소화배관(122)은 상부고정판(110)과 하부고정판(111) 사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건보관문(123)은 물건보관틀(120)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물건보관문(123)은 제2전면패널(113)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2전면패널(113)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제어기(124)는 각각의 물건보관문(123)의 개폐제어를 하며, 해당물건에 대한 해당세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관제어기(124)는 제2전면패널(113) 상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무게감지보관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무게감지보관부(200)는 본 발명 무인택배함(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무게감지보관부(200)는 보관될 택배물건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에 맞는 해당 물건보관틀(120) 측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감지보관부(200)는 승하강관(210), 승하강모터(211), 승하강스크류(212), 스크류부재(213), 물건안착판(214), 판힌지바(215), 바모터(216), 실리콘패드(217), 가압센서(218), 무게감지센서(2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관(210)은 승하강스크류(212)가 매립되며, 승하강되는 물건안착판(214)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관(210)은 물건보관틀(120)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모터(211)는 승하강스크류(21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모터(211)는 승하강관(2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스크류(212)는 결합되는 스크류부재(213)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스크류(212)는 일측이 승하강모터(211)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하강관(210) 내부 바닥면에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부재(213)는 승하강스크류(212)에 결합되어 승하강스크류(212)의 회전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건안착판(214)은 가압센서(218)를 타격함에 따라 타격정보를 제공받은 바모터(216)의 구동으로 택배물건을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것으로, 스크류부재(213)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힌지바(215)는 바모터(216)의 구동시 물건안착판(214)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힌지바(215)는 일측이 바모터(216)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물건안착판(214)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모터(216)는 판힌지바(215)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모터(216)는 물건안착판(2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패드(217)는 물건안착판(214) 일측으로 타격시 충격을 가압센서(218) 측으로 제공하며, 물건안착판(214)의 회전시 지면에 접촉됨에 따라 가압센서(218)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리콘패드(217)는 가압센서(218)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센서(218)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타격시 충격정보를 바모터(216)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센서(218)는 일측이 물건안착판(214) 일측면에 부착되고, 타측은 실리콘패드(217)가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219)는 물건안착판(214)에 안착되는 택배물건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보관제어기(124)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무게감지센서(219)는 물건안착판(214) 타측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물건고정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건고정부(300)는 본 발명 무인택배함(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건고정부(300)는 복수개의 물건보관틀(120) 중 어느 하나의 물건보관틀(120) 내부로 형성되어 보관되는 택배물건을 고정시켜 지진 또는 충격 등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건고정부(300)는 고정패드(310), 밀착센서(311), 밀착케이스(312), 바지지부재(313), 이동바(314), 밀착패드(315), 스크류모터(316), 가변스크류(317), 가변부재(318), 바고정부재(319), 바이탈방지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패드(310)는 밀착패드(315)에 의해 이동되는 택배물건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패드(310)는 물건보관틀(120) 내부 일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센서(311)는 택배물건의 밀착됨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스크류모터(316)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센서(311)는 고정패드(310) 일측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케이스(312)는 밀착패드(315)의 이동을 지지하며, 바지지부재(313)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케이스(312)는 물건보관틀(120)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지지부재(313)는 이동바(314)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지지부재(313)는 밀착케이스(312) 내부 상측과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바(314)는 밀착케이스(312) 내부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바지지부재(313)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패드(315)는 물건보관틀(120)에 택배물건 적재시 고정패드(310) 측으로 택배물건을 밀착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패드(315)는 상측과 하측으로 형성되는 이동바(314) 일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ㅇ르 특지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모터(316)는 가변스크류(317)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모터(316)는 물관보관틀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스크류(317)는 가변부재(318)를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스크류(317)는 일측이 스크류모터(316)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밀착케이스(312) 내부 중앙 일측면에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부재(318)는 가변스크류(317)에 결합되어 가변스크류(317)의 회전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고정부재(319)는 가변스크류(317)의 회전시 이동되는 가변부재(318)와 연결되어 이동바(314)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고정부재(319)는 일측이 이동바(314) 중앙에 결합고정되고, 타측이 가변부재(318)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탈방지단(320)은 이동바(314)의 슬라이드 이동시 밀착케이스(312) 상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이탈방지단(320)은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이동바(314)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진동감쇄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감쇄부(400)는 본 발명 무인택배함(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진동감쇄부(400)는 물건보관틀(120)에 내장 적재되는 택배물건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감쇄부(400)는 내진패드(410), 완충판(411), 상부고정관(412), 하부고정관(413), 완충스프링(414), 미끄럼방지패드(4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진패드(410)는 물건보관틀(120)에 가해지는 진동이 택배물건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진패드(410)는 물건보관틀(120) 내부 바닥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판(411)은 택배물건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판(411)은 내진패드(410)와 일정 높이를 두고 완충스프링(414)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관(412)은 완충스프링(414)의 상부가 밀착되며, 완충스프링(414)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고정관(412)은 완충판(411)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관(413)은 완충스프링(414)의 하부가 밀착되며, 완충스프링(414)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고정관(413)은 내진패드(410) 상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414)은 완충판(411)에 가해지는 무게를 지지하며, 내진패드(410)를 통해 가해지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414)은 상부고정관(412)과 하부고정관(413) 사이에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415)는 완충판(411)에 안착되는 택배물건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415)는 완충판(411) 상면으로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무인택배함 110 : 상부고정판
111 : 하부고정판 112 : 제1전면패널
113 : 제2전면패널 114 : 측면패널
115 : 삽입단 116 : 탄성체
117 : 안착단 118 : 고정단
119 : 고정틀 120 : 물건보관틀
121 : 제어기안착틀 122 : 소화배관
123 : 물건보관문 124 : 보관제어기
200 : 무게감지보관부 210 : 승하강관
211 : 승하강모터 212 : 승하강스크류
213 : 스크류부재 214 : 물건안착판
215 : 판힌지바 216 : 바모터
217 : 실리콘패드 218 : 가압센서
219 : 무게감지센서
300 : 물건고정부 310 : 고정패드
311 : 밀착센서 312 : 밀착케이스
313 : 바지지부재 314 : 이동바
315 : 밀착패드 316 : 스크류모터
317 : 가변스크류 318 : 가변부재
319 : 바고정부재 320 : 바이탈방지단
400 : 진동감쇄부 410 : 내진패드
411 : 완충판 412 : 상부고정관
413 : 하부고정관 414 : 완충스프링
415 : 미끄럼방지패드

Claims (3)

  1. 건축물 벽면에 소화용수가 설치되는 배관조립체의 일측으로 해당 층 또는 해당 세대의 택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마트 무인택배함에 있어서,
    상기 무인택배함은,
    건축물 천정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상부고정판과,
    상부고정판과 대응되는 건축물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고정판과,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의 전면 일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전면패널과,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의 전면 타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전면패널과,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의 일측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측면패널과,
    상부고정판 일측단에 형성되는 안착단에 걸림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전면패널과 제2전면패널과 측면패널의 상단으로 형성되는 삽입단과,
    안착단에 안착 결합되는 삽입단이 안착단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일정 탄성을 갖도록 안착단에 삽입 형성되는 탄성체와,
    삽입단이 걸림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고정판 일측단에 형성되는 안착단과,
    하부고정판 일측단에 형성되는 고정틀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전면패널과 제2전면패널과 측면패널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고정단과,
    고정단에 안착되어 각 패널이 하부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고정판 일측단으로 형성되는 고정틀과,
    제2전면패널에 각각 형성되는 물건보관물을 통해 물건이 투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 사이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물건보관틀과,
    보관제어기가 매립될 수 있도록 물건보관틀 상부로 형성되는 제어기안착틀과,
    소화전에서 사용되는 소화수가 외부로부터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 사이 타측으로 형성되는 소화배관과,
    물건보관틀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전면패널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2전면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물건보관문과,
    각각의 물건보관문의 개폐제어를 하며, 해당물건에 대한 해당세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제2전면패널 상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보관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무인택배함은,
    보관될 택배물건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에 맞는 해당 물건보관틀 측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한 무게감지보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게감지보관부는,
    승하강스크류가 매립되며, 승하강되는 물건안착판을 지지하기 위해 물건보관틀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관과,
    승하강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승하강관 상부로 형성되는 승하강모터와,
    결합되는 스크류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측이 승하강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하강관 내부 바닥면에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 형성되는 승하강스크류와,
    승하강스크류에 결합되어 승하강스크류의 회전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부재와,
    가압센서를 타격함에 따라 타격정보를 제공받은 바모터의 구동으로 택배물건을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것으로, 스크류부재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물건안착판과,
    바모터의 구동시 물건안착판을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바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물건안착판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판힌지바와,
    판힌지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물건안착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모터와,
    물건안착판 일측으로 타격시 충격을 가압센서 측으로 제공하며, 물건안착판의 회전시 지면에 접촉됨에 따라 가압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가압센서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실리콘패드와,
    사용자가 터치 또는 타격시 충격정보를 바모터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물건안착판 일측면에 부착되고, 타측은 실리콘패드가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압센서와,
    물건안착판에 안착되는 택배물건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보관제어기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물건안착판 타측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택배함.

  2. 삭제
  3. 삭제
KR1020230086796A 2023-07-04 2023-07-04 스마트 무인택배함 KR10263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796A KR102639509B1 (ko) 2023-07-04 2023-07-04 스마트 무인택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796A KR102639509B1 (ko) 2023-07-04 2023-07-04 스마트 무인택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509B1 true KR102639509B1 (ko) 2024-02-22

Family

ID=9005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796A KR102639509B1 (ko) 2023-07-04 2023-07-04 스마트 무인택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5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550B2 (ja) * 1990-03-15 1996-01-24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荷物の受取りボックス
KR101797932B1 (ko) * 2017-04-13 2017-11-15 주식회사 동산테크 무인 택배 보관함
KR102162285B1 (ko) 2018-12-27 2020-10-06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온도 조절이 가능한 무인택배시스템
KR102437260B1 (ko) * 2021-08-25 2022-08-30 (주)금성이엔씨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550B2 (ja) * 1990-03-15 1996-01-24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荷物の受取りボックス
KR101797932B1 (ko) * 2017-04-13 2017-11-15 주식회사 동산테크 무인 택배 보관함
KR102162285B1 (ko) 2018-12-27 2020-10-06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온도 조절이 가능한 무인택배시스템
KR102437260B1 (ko) * 2021-08-25 2022-08-30 (주)금성이엔씨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240B2 (en) Quakeproof plinth to shelter a showpiece thereon
JP6957678B2 (ja) オンラインでの食料品の注文品を保管して引き渡す、自動屋外端末及び該端末の動作方法
US11076710B2 (en) Merchandiser with on-product financial payment system
US9277811B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s
US20200048951A1 (en) Drone Delivery Lock Box
KR102639509B1 (ko) 스마트 무인택배함
US10034540B1 (en) Motorized shelf assembly
CN207115574U (zh) 自动售货机出货箱及自动售货机
US20170164763A1 (en) Product Display Unit
US11488432B2 (en) Bulk item access and storage system
KR101990621B1 (ko) 개인용 택배함 장치
KR102454855B1 (ko) 면진 기능을 갖는 전시용 진열장
KR100643199B1 (ko) 택배도어를 포함하는 지능형 도어 시스템
US20050115861A1 (en) Devices for storage between ceiling joists, which accommodate for joist spacing variations
US7290747B2 (en) Display case protection device
US11998132B1 (en) Outdoor electronic movable delivery box
CN104970627A (zh) 一种文物保护装置
KR102537777B1 (ko) 집합건물의 드론 배달 장치
CN112447005A (zh) 无人售货装置及自动售货机
JPH0856763A (ja) 地震等振動時の棚上陳列品の落下防止装置
KR102353009B1 (ko) 무인택배 보관장치, 무인택배 보관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63391B1 (ko) 빗물 유입이 차단되는 택배함
WO2021256988A1 (en) Cabinet for receiving delivery of parcels
CN107148300A (zh) 用于减少目标房间内的氧气的系统和方法
TWI615113B (zh) 震動式感測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