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739B1 -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739B1
KR102638739B1 KR1020230042267A KR20230042267A KR102638739B1 KR 102638739 B1 KR102638739 B1 KR 102638739B1 KR 1020230042267 A KR1020230042267 A KR 1020230042267A KR 20230042267 A KR20230042267 A KR 20230042267A KR 102638739 B1 KR102638739 B1 KR 10263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device
playback
server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준
오성식
심상훈
Original Assignee
벌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벌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벌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 목록을 포함하는 재생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에 대한 재생 조건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일정에 대한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시간대를 사용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와 시간을 동기화 하는 단계, 생성된 재생 일정과 함께, 재생일정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해, 재생 조건을 포함하는 콘텐츠ID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장치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를 수신하고나면,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CONTENT PLAYBACK DISPLAY DEVICE CONTROL}
본 발명은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와 홍보 등 다양한 목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대형 모니터 또는 전광판을 통해 재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대형 모니터 또는 전광판을 통한 콘텐츠의 재생은 지출 비용 대비 홍보 효과가 뛰어나 많은 광고주 또는 개인들이 이용하고자 하지만, 높은 비용과 한정된 시설로 인해 자유롭게 사용하는데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높은 광고 또는 홍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된 대형 모니터 또는 전광판을 사용해야 함에도 이러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수단은 충분히 존재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대형 모니터 또는 전광판을 운영하는 운영자는 운영 비용, 예컨대, 시설 유지보수 비용, 시설 관리 인건비, 감가상각 및 임대료와 같이, 해당 시설물의 유지 관리에 관한 지속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이를 충당하기 위해서는 해당 시설의 지속적인 활용에 따른 수익 창출이 필요하다.
기존의 대형 모니터 또는 전광판을 통한 콘텐츠의 재생은 단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PC를 활용하여,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돌발 상황에서의 대처 방안이 전혀 없거나, 단순히 전원을 차단하는 수준의 대처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콘텐츠 재생을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의 제어 서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특허공보 제10-248578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를 제공한다.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 목록을 포함하는 재생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에 대한 재생 조건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일정에 대한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시간대를 사용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와 시간을 동기화 하는 단계, 생성된 재생 일정과 함께, 재생일정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해, 재생 조건을 포함하는 콘텐츠ID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장치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를 수신하고나면,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재생 일정을 상호 비교하여 종속적 재생목록을 생성하되, 종속적 재생목록의 생성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재생, 동일한 시간에 재생, 중첩되는 시간 없이 재생 및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연속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주기적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장치 정보 및 재생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버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재생 일정에 따른 재생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재생 일정에 따른 콘텐츠를 대신하여 대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해상도, 콘텐츠 길이,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카테고리,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타임슬롯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유클리드 거리를 기초로 호환성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호환성 점수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를 선별하여 짝을 구성하고, 짝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우선 배정하여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콘텐츠 길이에 디스플레이 사양 점수를 곱하고,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의 주업종과 재생될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기초로 산출된 카테고리 점수로 나눈 값에 "를 곱하여 콘텐츠우선순위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콘텐츠우선순위점수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콘텐츠 우선순위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의 빈 타임 슬롯의 선택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재생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콘텐츠와 디스플레이장치의 호환성 및 콘텐츠 재생의 우선순위에 따라 재생 일정을 생성함으로써 콘텐츠 재생 목적 달성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의 구동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콘텐츠 재생 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서버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재생 일정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대체 콘텐츠의 재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의 구동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100)(이하, '서버'라고 함)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재생 가능한 콘텐츠의 재생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판촉 콘텐츠, 광고 및 기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조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수신된 재생 조건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조건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 목록을 포함하여, 콘텐츠의 해상도, 재생을 원하는 시간(타임슬롯) 또는 특정 디스플레이장치, 콘텐츠의 재생 시작 시각, 콘텐츠 제목, 콘텐츠의 길이, 반복 재생 빈도 및 총 재생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콘텐츠는 미디어아트,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한 로고, 영상, 이미지, 또는 생활정보(예: 날씨, 증시, 뉴스, 시간 등)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버(100)에 콘텐츠와 관련된 재생 조건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10)이 둘 이상인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과의 통신을 통해 미리 정해진 콘텐츠의 재생 스케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전광판, 옥외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예: 서버(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도록 미리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20)는 이외에도 영상을 처리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및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장치(20)는 옥외 설치되는 대형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20)는 건물의 외벽 또는 옥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재생 조건에 따라 광고 영상이나 광고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고, 보행자나 운전자 등은 디스플레이장치(20)을 통하여 해당 광고 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광고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옥외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통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댁내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들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하여 멀리에서도 사람들이 알아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별도의 저장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서버(1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함으로써 재생을 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하여 재생 일정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재생 조건을 기초로 재생될 콘텐츠를 서버(100) 또는 서버(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재생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각 콘텐츠 영상들을 미리 정해진 일정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이미 정해진 일정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미리 정해진 특정 시간(예: 매시 정각, 정오 등)에는 특정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재생 조건에 따른 콘텐츠의 재생 중 장치 또는 통신의 문제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재생 일정에 따른 콘텐츠의 재생이 불가능한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기존 콘텐츠 영상을 대체하여 재생할 영상을 포함하는 재생 일정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에 전송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콘텐츠를 비디오, 오디오 및 이미지를 포함한 다양한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재생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재생 콘텐츠를 저장하고, 재생 일정에 따른 콘텐츠의 재생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콘텐츠가 원활하게 스트리밍 재생되도록 하기 위해 ABS(Adaptive Bitrate Streaming) 알고리즘에 따라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컨대, ABS는 콘텐츠를 여러 비트 전송률로 인코딩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가 현재 네트워크 조건에 따라 적절한 비트 전송률을 선택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는 자체 저장공간이나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에도, 버퍼링이나 끊김 없이 콘텐츠를 스트리밍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을 사용하는 특정 사용자에 대해, 정해진 시간에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사용하여 콘텐츠가 재생될 재생 조건을 설정하고, 서버(100)는 재생 조건에 따라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20)에 재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재생 조건에 따라 재생될 디스플레이장치(20)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에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하고, 미리 정해진 재생 일정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 및 디스플레이장치(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이 복수개 존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가 단일한 장치인 경우, 서버(200)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재생 조건를 수신하고,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재생 일정을 생성하여, 생성된 재생 일정에 기초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콘텐츠 재생 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사용자의 콘텐츠가 재생될 시기 및 빈도를 설정할 수 있는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재생일정은 재생될 콘텐츠에 대한 재생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순번 1의 콘텐츠의 제목은 "A"이고, 파일 확장자는 "MP4"이고, 재생 길이가 10분인 영상으로서 13시 20분에 재생을 시작하여, 1회 재생된다. 또한, 순번 2의 콘텐츠의 제목은 "B"이고, 파일 확장자는 "MP4"이고, 재생 길이가 5분인 영상으로서 13시 30분에 재생을 시작하여, 3회 재생되어, 총 재생 시간은 15분이 된다. 이때, 순번 2의 콘텐츠 재생이 종료된 후 재생되는 순번 3의 콘텐츠는 제목은 "C"이고, 파일 확장자는 "MP4"이고, 재생 길이가 5분인 영상으로서, 순번 2의 콘텐츠가 반복 재생을 끝내는 13시 45분에 재생을 시작하여, 2회 재생되어, 총 재생 시간은 10분이 된다.
이처럼, 서버(100)는 콘텐츠에 대한 재생 조건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일정에 대한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서버(100)가 콘텐츠의 재생 일정을 생성하고 나면,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될 콘텐츠를 동기화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에 재생 일정을 메시지 형태로 송신하여, 재생 일정대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재생 일정을 HTTP, WebSockets 또는 MQTT를 비롯한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 메시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콘텐츠가 적절한 시간에 재생되도록 NTP(Network Time Protocol)와 같은 시간 동기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NTP는 서버가 GPS 시계 또는 원자 시계와 같은 참조 시계와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킹 프로토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와 동일한 시간대를 사용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와 시간을 동기화 하여 정확하게 예약된 시간에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서버(100)는 캐싱 시스템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액세스하는 콘텐츠를 캐싱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다. 캐싱 시스템은 서버(100)의 일부로 구현되거나, 재생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장치(2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고, 메모리 캐싱, 디스크 캐싱 및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CDN)를 비롯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콘텐츠를 더 빠르게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서버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재생할 콘텐츠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콘텐츠 목록을 수신할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 목록을 포함하는 재생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목록을 수신할 사용자 단말(10)이 하나 이상인 경우 각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재생 일정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목록에 따라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재생 일정은 년(year), 월(month), 일(day), 시(time)에 따른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콘텐츠를 재생할 디스플레이장치가 둘 이상인 경우, 각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서로 독립적이거나 종속적인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에 의해 재생 일정이 관리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디스플레이1, 디스플레이2 및 디스플레이3으로 총 3개의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경우, 서버(100)는 각 디스플레이에 대해 독립 또는 종속적인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0)는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재생 일정을 상호 비교하여 종속적 재생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종속적 재생목록의 생성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재생, 동일한 시간에 재생, 중첩되는 시간 없이 재생 및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연속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재생이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장치 1, 2, 3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콘텐츠 A를 교번하여 재생하는 것을 의미하고, 동일한 시간에 재생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장치 1, 2, 3에서 동일한 시간에 콘텐츠 A를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첩되는 시간 없이 재생은 디스플레이장치 1, 2, 3에서 각 재생일정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되, 동일한 콘텐츠 A는 디스플레이장치 1, 2, 3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만 재생되어야 하며, 동시에 재생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연속 재생이란, 디스플레이장치 1, 2, 3에서 콘텐츠의 재생이 시간상 끊김 없이 디스플레이장치 1, 2, 3에서 콘텐츠 A를 교번하여 재생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때, 디스플레이장치 1, 2, 3에서 콘텐츠 A는 일부 시간동안 중첩하여 재생 가능하고, 동시에 재생되는 경우는 제외될 수 있다.
서버(100)가 재생 일정을 생성하고 나면, 서버는 재생 일정과 함께, 재생일정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해, 재생조건을 포함하는 콘텐츠ID(Identification)를 디스플레이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ID는 예컨대, 영상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정보로서, 영상의 제목, 확장자 정보, 코덱, 해상도, 영상 길이 및 영상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단말이 최초에 서버(100)에 송신한 재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20)는 재생 일정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콘텐츠 ID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장치(20)가 지원가능한 해상도의 콘텐츠를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에 재생될 콘텐츠의 해상도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재생영역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가 재생될 영역을 특정하고, 특정된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가 지원 가능한 해상도를 결정하여, 결정된 해상도의 콘텐츠를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의 해상도에 맞는 콘텐츠가 저장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가 별도의 콘텐츠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을 확보하지 않은 경우에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서버(100)가 저장하거나, 재생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 스트리밍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20)가 별도의 콘텐츠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을 확보하지 않은 경우에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장치(20)는 서버(100)가 제공한 콘텐츠를 재생하고 나면,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는, 정상 재생 완료 여부, 총 재생시간, 재생 시작 및 종료 시각 등 콘텐츠의 재생에 관한 현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로부터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를 수신하고나면, 사용자 단말(10)에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는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재생되었는지 여부와, 재생 현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0)와 사용자 단말(10)의 직접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직접적인 보안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장치 결함, 통신 장애, 콘텐츠 데이터 손실 또는 손상, 재생 일정의 손실 또는 손상과 같이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을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콘텐츠가 재생 일정에 따라 재생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고, 콘텐츠를 대체하여 재생할 대체 콘텐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장치 정보 및 재생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에 주기적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재생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0)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 메시지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20)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서버(100)가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서버(100)와 디스플레이장치(20)의 연결에 문제가 있거나, 재생 일정에 따른 재생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대체 콘텐츠의 재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가 재생 일정에 따른 재생이 불가능한 경우, 재생 일정에 따른 콘텐츠를 대신하여 대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0)는 재생 일정을 생성할 때, "A.mp4"콘텐츠의 재생중 또는 재생 준비중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면, "A대체 영상"이 재생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하고, 재생 일정과 함께 대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대체 영상은 본래 재생중 또는 재생준비중인 콘텐츠 대비 미리 정해진 저장용량(예: 콘텐츠 용량의 1%)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20)의 로컬 저장장치(예: 메모리, 캐싱장치 등)에 재생 일정과 함께 저장될 수 있으며, 본 콘텐츠와 연관된 텍스트가 노출되는 영상 또는 돌발상황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가 포함된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돌발 상황이 서버(100)와 디스플레이장치(20)사이의 통신만 불능이 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는 서버로부터 기 수신된 재생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서버(100)와의 통신이 정상 복구될 때까지, 재생 일정에 따른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20)의 로컬 캐싱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장 최근에 액세스한 콘텐츠를 반복 재생함으로써, 서버(100)의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디스플레이장치(20)가 동작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로컬 캐싱 시스템에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 또는 직전에 재생된 다른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재생 일정에 따른 재생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재생 일정에 따른 콘텐츠를 대신하여 대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는 서버(100)와 연결이 불량한 경우에도 서버(100)의 모니터링 범위 내에서 재생 일정에 따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콘텐츠가 재생될 디스플레이장치와 콘텐츠의 호환성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콘텐츠가 재생될 영역의 해상도, 콘텐츠의 길이, 카테고리, 사용가능한 시간대를 고려하여 호환성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호환성 점수를 기초로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해상도, 콘텐츠 길이,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카테고리,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타임슬롯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유클리드거리를 기초로 호환성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0)는 아래 수학식을 사용하여 호환성 점수(Compatibility 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해상도, L은 콘텐츠 길이, C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카테고리, T는 타임슬롯을 의미한다. 이때, 타임슬롯은 콘텐츠의 타임슬롯과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임슬롯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콘텐츠의 타임슬롯은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가 재생되기 희망하는 시간대를 의미하는 콘텐츠 타임슬롯,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임슬롯은 재생 일정이 비어 있어 콘텐츠 재생이 가능한 시간대를 의미한다. 또한, w는 각 항목에 대한 가중치로서, 서버(100)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는 콘텐츠의 내용과 관련하여 해당 콘텐츠가 속하는 콘텐츠 카테고리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된 사용 목적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카테고리를 각각 의미한다. 각 카테고리 간의 차이 값은 해당 카테고리의 속성에 따른 유클리드 거리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한된 카테고리(예: 음식, 패션, 전자제품 총 3분류) 사이의 관련성으로서 사전에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예컨대, , 과 같이 콘텐츠 카테고리와 디스플레이장치 카테고리의 차이에 따른 정량적 수치가 미리 정해져,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해상도, 콘텐츠 길이, 카테고리 및 타임슬롯에 대한 각 가중치 내지 가 각 0.4, 0.3, 0.2, 0.1일때, 콘텐츠와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상세 정보가 아래 표와 같을 때, 콘텐츠 1과 디스플레이장치 1의 호환성 점수는 아래 수학식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구분 해상도 길이(초) 카테고리 타임슬롯
콘텐츠 1 720p 20 음식 T2
콘텐츠 2 1080p 30 패션 T2
콘텐츠 3 720p 30 전자제품 T2
콘텐츠 4 4K 10 음식 T1
콘텐츠 5 1080p 20 패션 T3
디스플레이장치 1 720p - 음식 T1, T2
디스플레이장치 2 1080p - 패션 T1, T2, T3
디스플레이장치 3 4K - 전자제품 T1, T2
즉, 호환성 점수는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호환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값이 낮을수록 호환성이 높고, 그 값이 클 수록 호환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서버(100)는, 호환성 점수가 산출되면, 콘텐츠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타임슬롯에 따라 콘텐츠가 재생될 디스플레이를 지정하여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버(100)는 콘텐츠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호환성 점수를 산출하여, 호환성 점수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를 선별하여 짝을 구성하고, 짝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우선 배정하여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 1과 콘텐츠 A의 호환성 점수가 가장 낮은 경우,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 1과 콘텐츠 A를 짝으로 구성하고, 콘텐츠 A가 재생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디스플레이장치 1을 우선 배정하는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동일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재생 일정을 생성할 때 콘텐츠우선순위점수(CPS, Content Priority Score)를 산출하여 콘텐츠우선순위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콘텐츠 타임슬롯에 콘텐츠를 우선 배정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콘텐츠우선순위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CPS는 콘텐츠우선순위점수, CL은 콘텐츠 길이(초), DS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양 점수, 우선순위는 콘텐츠에 미리 부여된 수치, 카테고리 점수는 콘텐츠의 유형 및 타겟층을 고려하여 정량화한 수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우선순위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서버(100)에 수신된 수치로서, 콘텐츠의 중요도 또는 긴급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는 광고 예산, 대상 고객, 제품 출시일 및 시장 경쟁력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할당될 수 있으며, 높은 우선순위 값은 광고 이미지의 중요도 또는 긴급성이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 예로, 제한된 시간 프로모션 또는 새로운 제품 출시를 홍보하는 광고 콘텐츠는 일반적인 광고 콘텐츠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 값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대상 고객을 목적으로 하는 광고 콘텐츠나 경쟁이 치열한 시장의 광고 콘텐츠는 높은 우선순위 값을 할당 받을 수 있다.
한편, 우선순위는 광고 이미지의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나타내도록 결정되므로, 콘텐츠 재생 목적에 따라 각 콘텐츠의 우선순위 값을 정의하고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우선순위는 절대적인 수치로서 1~9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콘텐츠에 대한 상대적인 수치로서 콘텐츠가 5개인 경우 5개 콘텐츠에 대해 1~5의 순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은 화면 크기, 해상도, 디스플레이 유형 등 다양한 정량적 요소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양은 서버(100)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되거나, 장치 감지 및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 운영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요구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크기 또는 해상도를 인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사양을 감지하고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양을 확보하고나면, 서버(100)는 디스플레이 사양에 기초한 정량적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화면 크기는 대각선 길이에 따른 점수로 환산하고, 해상도는 픽셀 수에 기초한 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 또한, 아래 수학식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양은 각 디스플레이장치의 점수는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의 대각선 길이대 픽셀수의 비율로서 정규화되어 정량적 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
이때, 화면크기의 대각선 길이보다 픽셀수가 높을수록 사양 점수는 높게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콘텐츠 수요의 타겟층과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 범위내에 포함된 사업장의 비율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가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1"인 경우,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소지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예컨대, 가지번호를 포함하는 "논현로 1 ~ 논현로 100"까지 주소지에 존재하는 사업장의 업종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주소지에 존재하는 업종 중 가장 많은 업종을 차지하는 업종을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의 주업종으로 결정하고,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의 주업종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에 미리 정해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점수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의 미리 정해진 반경(예: "논현로 1 ~ 논현로 100"까지 주소지)에 "음식"업종이 가장 많은 경우,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의 주업종을 "음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재생될 콘텐츠의 카테고리가 "음식"과 관련된 콘텐츠인 경우, 서버(100)는 카테고리 점수를 아래 수학식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카테고리 간의 차이 값은 해당 카테고리의 속성에 따른 유클리드거리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한된 카테고리(예: 음식, 패션, 전자제품 총 3분류) 사이의 관련성으로서 사전에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예컨대, ,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CL=10, DS=500,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의 주업종은 "음식", 재생될 콘텐츠의 카테고리는 "패션", 사용자가 지정한 우선순위는 5일 때,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콘텐츠우선순위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콘텐츠우선순위점수는 콘텐츠 길이에 디스플레이 사양 점수를 곱하고,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의 주업종과 재생될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기초로 산출된 카테고리 점수로 나눈 값에 "를 곱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그 값이 클수록 우선순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 우선순위점수가 산출되면, 서버(100)는 콘텐츠우선순위점수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의 빈 타임 슬롯의 선택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재생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높은 우선순위 점수란,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이를 통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및 디스플레이장치(20)의 운영자의 수익성 및 운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앞서 산출된 컴퓨터의 호환성점수로부터 콘텐츠가 재생될 디스플레이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산출된 콘텐츠우선순위점수에 따라 타임슬롯 선택에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 D1, D2, D3에 대해, 콘텐츠 A의 각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호환성 점수가 각 7, 12, 20이고, 콘텐츠우선순위점수가 1000, 1500, 1800이고, 콘텐츠 B의 각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호환성 점수가 각 6, 14, 18이고, 콘텐츠우선순위점수가 2000,1400, 1800인 경우, 콘텐츠 A, B의 호환성점수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장치 D1에 대해 재생일정을 생성하되, 콘텐츠우선순위점수가 더 높은 콘텐츠 A에 대해 타임슬롯 선택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재생 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7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10)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720) 및 저장 장치(7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7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 7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7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7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750), 저장 장치(7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6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7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 목록을 포함하는 재생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재생 조건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될 상기 콘텐츠의 일정에 대한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시간대를 사용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시간을 동기화 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재생 일정과 함께, 상기 재생 일정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해, 상기 재생 조건을 포함하는 콘텐츠ID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를 수신하고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콘텐츠 재생 완료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콘텐츠 길이에,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의 대각선 길이 대 픽셀수의 비율로서 정규화되는 디스플레이 사양 점수를 곱하고,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의 주업종과 재생될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기초로 산출된 카테고리 점수로 나눈 값에 "1+log(우선순위)"를 곱하여 콘텐츠우선순위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우선순위점수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우선순위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의 빈 타임 슬롯의 선택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재생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log(우선순위)"의 우선순위는 콘텐츠의 중요도 또는 긴급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미리 결정된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 청구항 1에서,
    상기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재생 일정을 상호 비교하여 종속적 재생목록을 생성하되,
    상기 종속적 재생목록의 생성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재생, 동일한 시간에 재생, 중첩되는 시간 없이 재생 및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연속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3. 청구항 1에서,
    상기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주기적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장치 정보 및 재생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재생 일정에 따른 재생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재생 일정에 따른 콘텐츠를 대신하여 대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4. 청구항 1에서,
    상기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해상도, 콘텐츠 길이,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카테고리,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타임슬롯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의 유클리드 거리를 기초로 호환성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호환성 점수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콘텐츠를 선별하여 짝을 구성하고, 짝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우선 배정하여 재생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5. 삭제
KR1020230042267A 2023-03-30 2023-03-30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63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267A KR102638739B1 (ko) 2023-03-30 2023-03-30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267A KR102638739B1 (ko) 2023-03-30 2023-03-30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739B1 true KR102638739B1 (ko) 2024-02-20

Family

ID=9005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267A KR102638739B1 (ko) 2023-03-30 2023-03-30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7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9823A (ja) * 2008-03-24 2009-10-08 Seiko Epson Corp 商品広告システム、商品広告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20245944A1 (en) * 2010-01-18 2012-09-27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20160335506A1 (en) * 2014-04-10 2016-11-17 Smartvu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and 3-Dimensional (3D) Display for Surveillance Systems
KR20190056594A (ko) * 2017-11-17 2019-05-27 (주)소프트레인 사용자 디스플레이를 공유하는 공유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485783B1 (ko) 2022-09-20 2023-01-09 (주)크라이저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광고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13897A (ko) *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팬라인 지역 상점 및 기업들의 광고 캠페인을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9823A (ja) * 2008-03-24 2009-10-08 Seiko Epson Corp 商品広告システム、商品広告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20245944A1 (en) * 2010-01-18 2012-09-27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20160335506A1 (en) * 2014-04-10 2016-11-17 Smartvu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and 3-Dimensional (3D) Display for Surveillance Systems
KR20190056594A (ko) * 2017-11-17 2019-05-27 (주)소프트레인 사용자 디스플레이를 공유하는 공유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제공 시스템
KR20230013897A (ko) *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팬라인 지역 상점 및 기업들의 광고 캠페인을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KR102485783B1 (ko) 2022-09-20 2023-01-09 (주)크라이저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광고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74272B (zh) 直播中互动信息展示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20014573A1 (en) Digital signage and digital signage content manager
CN104065979A (zh) 一种动态显示和视频内容相关联信息方法及系统
US20170019702A1 (en) Media production system with score-based display feature
WO2021129277A1 (zh) 直播视频的回看方法及设备
US20130212619A1 (en) Advertisement booking and media management for digital displays
KR102263896B1 (ko) 오버레이를 이용하는 타겟 콘텐츠 배치
US11432053B1 (en) Dynamic URL personalization system for enhancing interactive television
US201203081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oading and downloading a video file and synchronizing videos with an audio file
CN102103631A (zh) 内容提供服务器和方法及内容再现设备、方法和系统
US10223357B2 (en) Video data filtering
US109519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bit rate content encoding
US201700416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emental content selection and delivery
KR20160100705A (ko) 화면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60036757A1 (en) Multimedia content display system having scheduling function and method of reproducing content using the system
EP32706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emental content selection and delivery
CN101267268B (zh) 根据调度提供个人广播服务的系统、设备和方法
KR102638739B1 (ko) 콘텐츠 재생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165315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isplaying channel list performed by the same, server, and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server
CN115665472A (zh) 传输内容管控装置及方法
US20200007945A1 (en) Video production system with dynamic character generator output
US10136188B1 (en) Display of content in a program guide based on immediate availability of the content
US202401552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a media profile page
US11949970B1 (en) Generating boundary points for media content
US20240196068A1 (en) Generating boundary points for media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