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400B1 -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400B1
KR102637400B1 KR1020210186317A KR20210186317A KR102637400B1 KR 102637400 B1 KR102637400 B1 KR 102637400B1 KR 1020210186317 A KR1020210186317 A KR 1020210186317A KR 20210186317 A KR20210186317 A KR 20210186317A KR 102637400 B1 KR102637400 B1 KR 10263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
somatid
plant
water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6635A (ko
Inventor
이종두
김해영
Original Assignee
제이디생명과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디생명과학(주) filed Critical 제이디생명과학(주)
Priority to KR102021018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4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6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3Interference currents, i.e. treatment by several currents summed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05Special constructive structural details of the bathtub, e.g. of the walls or supportin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4Applying ionised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iO2, Al2O3, Fe2O3, MgO, K2O, Na2O, 및 CaO 를 포함하는 광물성 미네랄과 탄소구조체이며 탄소성분인 광물계 소마티드를 포함하는 제1 미네랄 복합물을 포함하는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와 물을 1:10 내지 1:1000 중량부로 1시간 이상 정제하여 축출영역(Exclusion zone)을 갖는 구조수를 제조하는 단계; 식물성 미네랄 및 식물계 소마티드를 포함하는 식물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물성 혼합물과 상기 구조수를 포함하는 제2 미네랄 복합물을 포함하는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그래핀 및 자성체를 혼합, 교반하여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상기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bio-microcurrent activation and acidit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coating layer}
본 발명은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는 약 40 ~ 60mA의 미세한 생체전류가 각 기관에 신호전달 작용하며 흐르고 있다.
즉, 미세한 생체전류는 인간이 건강하고 정상적인 신체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며, 생체가 느끼고 움직일 수 있도록 신경계에서 전기신호를 뇌신경으로 전달하고 뇌에서 정보를 해석해서 각 기관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생체전류를 통해서 하게되며, 생체전기는 몸 속에서 신진대사의 기초단계에서 발생하여 세포 및 모든 기관의 재생과 항상성 유지에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러한, 생체전기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독일 Dr Erwin, Dr Bert SakmAnn의 마이크로 전류 치료법(Micro-Current Electrical Therapy)은 199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최근에 인체에는 생체전류라고 하는 미세한 전류(10 ~ 60mA, -70mV ~ 50mV)가 흐르고 있으며, 생체전류는 신경전달을 촉발시키고 ATP합성, 단백질합성, DNA합성, 장부운동, 호르몬 분비, 혈액과 체액의 이동 등 체내의 모든 생명활동이 이루어 지도록하는 생명에너지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세포 생명학 사이언스들의 통설에 따르면, 체내의 생체전기는 -25mV일 때 세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세포가 재생하기 위하여는 -50mV의 음전자가 유지되어야 하며 신체 부위에 상처, 염증, 질병이 발생하면 이상부위에 -50mV 이상의 더 많은 음전자가 필요하고 혈액과 체액의 pH가 약 알칼리(7.35~7.90)일 때 세포재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생체 음전자가 방전되어 0mV이하 +30mV 양전자로 바뀌고, 혈액과 체액의 pH가 7 이하로 산성화 되면 세포재생이 되지않아 병이 유발된다고 하는 것이 통설이다. 또한 인체는 체내에 독소축적과 혈액순환이 되지않아 신진대사가 떨어진 것이 질병의 원인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인체에 미세전류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치료기술과 제품 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미세전류 치료에 활용하는 미세전기는 90mV ~ 1.5mV의 전압과 400mA 이하의 전류가 쓰여진다.
특히, 질병의 성향에 따라서 1V 전압에 30pA의 극 미세전류를 갖고있는 직류전기를 필요로하며, 일반 전기나 건전지로는 미세전류를 생성하기가 어렵다.
또한, 인체의 피부층에 경우 인체의 각 부위는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각기 다른 세계의 생체전기가 흐른다.
피부표면의 생체전기는 최대 150mV이고 신경계의 생체전기는 -70mV에서 +50mV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인체에는 0.6mV 정도의 생체전류가 흐르되 건강상태가 나쁘면 생체전류의 양이 훨씬 적게 흐르는 현상이 임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미세전류의 효과에 대하여 1950년대 존스롭킨스대학의 험프리(C.E.Hnmphrey)와 실(E.H.Seal)은 펄스 직류전기를 가하면 쥐의 암의 성장을 멈출 수 있다는 사실을 관찰하였고, 뉴욕 마운트시다이 의과대학의 래로 노턴(L.Norton)과 로리 탠스민(L.TansmAn)은 쥐의 암에 전자기장을 조사하면 암의 진행이 억제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1987년 Ngok Cheng에 의해 발표된 연구논문에는 미세전류는 세포 안의 에너지 ATP 생산비율이 500% 증가되고 단백질 생산 비율 및 폐기물 제거 기능이 70% 증가 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생체전기원리를 바탕으로 한 미세전류이용 기술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인체 혈액과 체액의 pH는 인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요소이다.
통상, PH 7은 중성, PH 7 이하는 산성, PH 7 이상은 염기성으로 구분하며, 인체 체액과 혈액의 PH가 7.35 ~ 7.90 이내의 약 알칼리일 때 항상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혈액의 PH가 중성인 7 이하로 산성화가 되면 생체전기가 -20mV이하의 양전자로 바뀌고, 세포재생과 기관에 이상이 생기며,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인체의 균형이 깨지고 질병이 유발된다.
따라서, 현대인은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PH가 7 이하로 산성화된 인체 체액과 혈액의 PH를 정상인 약 알칼리 상태의 PH(7.35 ~ 7.90)로 유지하기 위하여 운동, 온열 찜질, 온수 목욕, 복식호흡, 알칼리음식 섭취, 목욕, 디톡스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생체 항상성 유지는 혈액순환을 통한 신진대사 활성화와 체내 활성산소 및 독소 배출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특허문헌 1 내지 3이 제안되었으나, 신체 외부로부터 원하는 신체자극 측에 도달하기 위하여 피부를 관통하는 경피리드 또는 와이어를 통하여 이식되는 전극에 연결하여야 하는 외부장치와 전문가의 시술이 반드시 필요하며 효과 또한 부분적이고 시술비용 또한 고가이며, 특히, 한국특허 기술은 침술과 자성체를 이용한 장치로 침술전문가와 생체전류 전문가의 시술이 필요하며 생체전류 활성화 효과가 부분적이며 효과 또한 명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20-0034385 A KR 20-0485010 Y1 KR 10-2197114 B1
본 발명의 목적은 침시술, 미세전극시술, 뜸시술 등의 시술 없이 쉽고 안전하게 체내의 생체전기가 -20mV 이하로 양전자화되고 혈액과 체액의 pH가 7 이하로 산성화된 생체에 음전자와 적외선과 미세전류 및 약 알칼리 미네랄 온수를 공급하여 산성화된 혈액과 체액의 pH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원활한 혈액순환을 통한 신진대사 활성화 및 인체의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SiO2, Al2O3, Fe2O3, MgO, K2O, Na2O, 및 CaO 를 포함하는 광물성 미네랄과 탄소구조체이며 탄소성분인 광물계 소마티드를 포함하는 제1 미네랄 복합물을 포함하는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와 물을 1:10 내지 1:1000 중량부로 1시간 이상 정제하여 축출영역(Exclusion zone)을 갖는 구조수를 제조하는 단계; 식물성 미네랄 및 식물계 소마티드를 포함하는 식물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물성 혼합물과 상기 구조수를 포함하는 제2 미네랄 복합물을 포함하는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그래핀 및 자성체를 혼합, 교반하여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상기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1~0.5mm 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내의 생체전기가 -25mV 이하로 양전자화되고 혈액과 체액의 PH가 7 이하로 산성화된 생체에 음전자와 미세전류 및 미네랄을 공급하여 생체 미세전류를 활성화 시키고 산성화된 혈액과 체액의 pH를 약 알칼리로 조절할 수 있는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의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SiO2, Al2O3, Fe2O3, MgO, K2O, Na2O 및 CaO 를 포함하는 광물성 미네랄과 탄소구조체이며 탄소성분인 광물계 소마티드를 포함하는 제1 미네랄 복합물을 포함하는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와 물을 1:10 내지 1:1000 중량부로 1시간 이상 정제하여 축출영역(Exclusion zone)을 갖는 구조수를 제조하는 단계; 식물성 미네랄 및 식물계 소마티드를 포함하는 식물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물성 혼합물과 상기 구조수를 포함하는 제2 미네랄 복합물을 포함하는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그래핀 및 자성체를 혼합, 교반하여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상기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SiO2, Al2O3, Fe2O3, MgO, K2O, Na2O 및 CaO를 각각 독립적, 복합적 또는 모두 포함하는 광물을 채취하는 광물 채취 단계; 상기 채취된 광물과 자성체 광물을 혼합,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광물과 물을 1:100 내지 1:1000 중량부로 고속 원심분리 공정으로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광물 혼합물을 1~24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광물계 소마티드 및 상기 7종 성분을 포함하는 제1 미네랄 복합물로 각각 분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광물계 소마티드와 제1 미네랄 복합물을 800~5000RPM으로 1~5시간 동안 회전시킨 후, 1~12시간 동안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광물계 소마티드와 제1 미네랄 혼합물을 100~300℃ 에서 1~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1 복합 천연겔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천연겔을 건조하여 복합 천연고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천연고형물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채취된 광물은 맥반석, 제올라이트, 황토, 고령토, 일라이트, 토르말린, 수정, 화산석, 포졸란, 벤토나이트와 규조토, 장석, 옥 및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된 광물은, 광물계 소마티드 2~10%, SiO2 10~60%, Al2O3 2~12%, Fe2O3 4~15%, MgO 1~4%, K2O 2~6%, CaO 2~ 4%, Na2O 1~4% 및 자성체 0.1~0.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취된 광물과 자성체 광물의 분쇄는 200~1800mesh 이내의 입자로 1차 분쇄한 후, 0.1~3μm 이내의 입자로 2차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된 광물과 물의 교반은, 500~3000RPM 으로 1~12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및 상기 7종 성분을 포함하는 제1 미네랄 복합물은 상기 교반된 광물 혼합물을 침전시켜 최상부의 불순물, 상층부와 중층부는 순수 광물계 소마티드와 SiO2, Al2O3, Fe2O3, MgO, K2O, Ca, Na2O 성분 복합 7종 미네랄과 H2O 혼합물, 하층부는 광물 찌꺼기 슬러지와 유해 중금속 성분으로 분리한 후, 분리된 혼합물에서 최상층부의 불순물과 하층부의 찌꺼기를 제거한 후 상층부와 중층부의 순수 소마티드 및 SiO2, Al2O3, Fe2O3, MgO, K2O, Ca, Na2O를 포함하는 제1 미네랄 복물로 각각 분리 추출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복합 천연겔의 건조는 1~10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천연고형물의 분쇄는 200mesh ~0.1μm 이내의 입자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는 자체 발열기능과 인체에 유익한 환원성 에너지인 고밀도의 근적외선, 원적외선 및 음전자 방출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의 제타 전위가 -37.73mV로서 음전자 특성을 띄며, 친수성이 우수하므로 0.5~1시간 후에 구조수의 전위를 -20~70mV, pH를 7.35~7.90 이내의 알칼리성으로 유지시키며, 용존산소량이 일반물보다 3배 이상 증가시키고 물의 산화환원전위인 ORP를 개선시킨다.
다음으로,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와 물을 1:10 내지 1:1000 중량부로 1시간 이상 정제하여 축출영역(Exclusion Zone)을 갖는 구조수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축출영역(Exclusion zone)을 갖는 구조수’는 고밀도 물과 저밀도 물이 섞여 있는 복합구조의 물로서, 보통 물과 달리 3차원적인 세포와 같은 치밀한 구조를 갖는 물을 의미한다.
상기 축출영역을 갖는 구조수는 하기와 같은 반응식에 따라 생성된다. 즉, 일반물(또는 증류수)이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에서 방출되는 고밀도의 근적외선과 원적외선 등의 영향으로 물의 수소 이온과 결합하면서 물속의 오염물과 수소 이온이 물의 표면 밖으로 밀려 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의 밀도와 표면장력이 높아지며 음전자가 물속에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반응식]
또한, 상기 축출영역을 갖는 구조수는 항산화 효과, 물의 pH를 7.35~7.90 이내의 약 알칼리로 조절하는 효과, 물의 전위를 -20~70mV로 바꾸는 음전자 생산효과, 물속의 용존산소량 증가에 따른 ORP 개선 효과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식물성 미네랄 및 식물계 소마티드를 포함하는 식물성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식물성 혼합물은 식물성 미네랄 및 식물계 소마티드를 함유하는 천연식물, 약초, 해조류의 뿌리, 줄기, 가지, 잎, 열매들을 채집,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된 식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300℃의 온도로 0.5~5시간 동안 열처리, 분쇄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식물성 혼합물과 상기 축출영역을 갖는 구조수를 포함하는 제2 미네랄 복합물을 포함하는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한다.
이때,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는 상기 식물성 혼합물과 구조수를 1:100 내지 1:1000 중량부, 800~3000RPM으로 1~12시간 동안 고속 원심분리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3~12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식물계 소마티드 및 구조수를 포함하는 제2 미네랄 복합물을 분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2 미네랄 복합물을 가열하여 제2 복합 천연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 천연겔을 건조, 분쇄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물계 소마티드 및 구조수를 포함하는 제2 미네랄 복합물은 침전처리후 최상층부의 불순물과 최하층부의 섬유소 찌꺼기를 제거한 후 상층부와 중층부와 하층부의 순수 식물, 약초, 해조류 전성분에서 식물계 소마티드와 생체 필수 영양성분 및 구조수 혼합액을 분리 추출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분쇄된 제2 복합 천연겔을 분말, 환 또는 캡슐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는 인체내에 음전자 충전 및 산성화 된 혈액과 체액의 pH를 약알칼리(7.35~7.90)로 활성화 하는데 필요한 필수 영양소와 비타민 및 미네랄을 고농축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그래핀 및 자성체를 혼합, 교반한다.
이때, 상기 혼합, 교반하는 단계는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10~50중량부,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10~48중량부, 그래핀 1~2중량부 및 자성체 0.1~0.3중량부로 혼합,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성형체를 100~1200℃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는 천연으로 음전자와 고밀도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계 소마티드 7종 미네랄을 포함하는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생체 필수 영양성분 및 비타민을 고농축으로 함유하고 축출영역(Exclusion zone)을 갖는 구조수를 포함하는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전도성이 뛰어난 그래핀 및 자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생체 pH 조절에 효과적인 물질이다.
또한,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는 제타전위가 -37.74mV로 자체로 음전자를 방출하며, 자체발열, 고밀도의 근적외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증류수나 일반 수돗물 속에 0.1시간이상 접촉처리시에 물을 3차원적인 세포와 같은 구조의 축출영역을 갖는 음전자 약 알칼리수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볼에서 방출하는 고밀도의 근적외선, 원적외선과 음전자가 물을 수소결합시켜 물속에 수소이온을 밖으로 배출시키고, 지속적으로 음전자(-이온)를 생성하여 음전자 약 알칼리수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한다.
상기 프레임은 세라믹, 크리스탈, PVC, 고무, PE, PET, 대리석, 편백나무, 기타 목조재질 등으로 제작되며, 사람이 들어가서 눕거나 앉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프레임 상에 상기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도포(코팅)은 페인트 브러싱, 스프레이 코팅, 닥터 블레이드, 스핀 코팅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1~0.5㎜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에서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에 의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pH 조절 효과가 극대화된다.
상기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가 도포되어 코팅층이 구비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에 온수를 공급하게 되면, 코팅층 내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와 온수가 반응하여 축출영역을 갖는 구조수가 생성되고, 구조수의 제타 전위는 -25 내지 -70mV, 구조수의 pH는 7.35 내지 7.90의 약알칼리성으로 유지됨에 따라, 생체 미세전류가 활성화되고 산도가 약알칼리성으로 조절되어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SiO2, Al2O3, Fe2O3, MgO, K2O, Na2O, 및 CaO 를 포함하는 광물성 미네랄과 탄소구조체이며 탄소성분인 광물계 소마티드를 포함하는 제1 미네랄 복합물을 포함하는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와 물을 1:10 내지 1:1000 중량부로 1시간 이상 정제하여 축출영역(Exclusion zone)을 갖는 구조수를 제조하는 단계;
    식물성 미네랄 및 식물계 소마티드를 포함하는 식물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물성 혼합물과 상기 구조수를 포함하는 제2 미네랄 복합물을 포함하는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광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식물계 소마티드 미네랄 복합체, 그래핀 및 자성체를 혼합, 교반하여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상기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1~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10186317A 2021-12-23 2021-12-23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KR10263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317A KR102637400B1 (ko) 2021-12-23 2021-12-23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317A KR102637400B1 (ko) 2021-12-23 2021-12-23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635A KR20230096635A (ko) 2023-06-30
KR102637400B1 true KR102637400B1 (ko) 2024-02-16

Family

ID=8695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317A KR102637400B1 (ko) 2021-12-23 2021-12-23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4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195B1 (ko) 2013-03-12 2021-09-23 발렌시아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1차 전원으로서 높은 임피던스의 코인-셀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식가능 전기침술 장치
KR200485010Y1 (ko) 2016-02-16 2017-11-17 주식회사 오성전자 생체전기발생용 목걸이
KR102335143B1 (ko) 2018-09-21 2021-12-03 서상술 생체전류 활성화기
KR20230082488A (ko) * 2021-12-01 2023-06-08 제이디생명과학(주)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가 구비된 욕조구조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635A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02724B (zh) 功能织物及其制造方法
KR101423241B1 (ko) 미세전류 생성 패치
CN103397532B (zh) 修造船人员冬季元素纤维健身安全服
US20210321696A1 (en) Covid mask
CN102817091A (zh) 中风偏瘫的纳米硒锗负离子远红外防螨防电磁波织物衣
KR102637400B1 (ko) 코팅층을 구비한 생체 미세전류 활성화 및 산도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082488A (ko)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복합체가 구비된 욕조구조물의 제조방법
JP2008179594A (ja) アトピー性湿疹緩和剤組成物
KR20150117955A (ko) 미세전류 침대
CN106994180A (zh) 一种具有足部保健功能的中医药配方
CN106219693A (zh) 电气石特种陶瓷滤芯及其制备方法和由其处理得到的强抗氧化、小分子团还原水
KR102167153B1 (ko)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파우더 제조방법
CN104274913B (zh) 一种穿戴式led理疗仪及用途
CN106389101A (zh) 一种沙疗矿沙配方
KR101662460B1 (ko) 수맥파 제거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447509B1 (ko)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볼을 이용한 건강보조장치 및 소마티드 미네랄 그래핀 볼의 제조방법
CN103932941A (zh) 营养元素抗衰护肤液
KR100894614B1 (ko) 광물혼합물 및 세라믹판을 이용한 특정합성전자기력파 온열기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온열기구
CN108796658A (zh) 智能调温经络穴位理疗服
KR100884178B1 (ko) 피부마사지용 기구 및 그 제조방법
CN105568424A (zh) 功能性养生保健磁疗被褥
CN110627477A (zh) 一种无机宽波远红外复合环保材料
KR101430874B1 (ko) 팬티
KR20200027826A (ko) 효소 찜질 매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349276A (zh) 蛇粉松树针系列提取物元素胶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